KR100221044B1 - Charnel custody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rnel custod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044B1
KR100221044B1 KR1019960021775A KR19960021775A KR100221044B1 KR 100221044 B1 KR100221044 B1 KR 100221044B1 KR 1019960021775 A KR1019960021775 A KR 1019960021775A KR 19960021775 A KR19960021775 A KR 19960021775A KR 100221044 B1 KR100221044 B1 KR 10022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ship
unit
storage
as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2555A (en
Inventor
고키치 하토치
요시카즈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이도 스스므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 스스므,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이도 스스므
Priority to KR101996002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044B1/en
Publication of KR98000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5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0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Abstract

유골수납부를 예배용의 설정자세가 되도록 위치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설치 스페이스를 적게 하도록 억제하면서, 유골의 수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납골 보관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is an apparatus for storing an ashtray capable of positioning an ashtray housing part to be a setting posture for worship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ing the installation space to be reduced while improving the effect of storing ashes.

유골을 수납하는 유골 수납부(IS)를 구비한 복수의 각 수납부(1)과 예배부(3)와의 사이에 수납체(ST)를 반송하는 반송장치(H)가, 예배대상에 상당하는 유골수납부(IS)를 구비한 수납체(ST)를 예배부(3)에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수납체(ST)는, 각 유골수납부(IS)가 평면적으로 봐서 위치를 다르게 한 상태로, 또한 각 유골수납부(IS) 각각의 예배용 대면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유골수납부(IS)를 복수 구비하여 구성되고, 수납체(ST)에 구비된 각 유골 수납부(IS)가, 택일적으로, 예배부(3)의 설정장소에 있어서, 그 예배용 대면부가 예배자측과 대향하는 예배용 설정자세가 되도록, 수납체(ST)를 종축심 둘레에서 회동하게 하는 회동조작수단(DO)이 설치되어 있다.A transfer device H for transferring the accommodating body ST between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ections 1 having an ashtray accommodating section IS for accommodating ashes and a worshiping section 3 is provided in a position The storage body ST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storage body ST having the ash storage unit IS to the wasting unit 3. The storage body S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sh storage unit IS has a different position in plan view And a plurality of ash storage compartments (IS) such that the facing surfaces of the respective ash collection compartments (IS)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each of the ash storage compartments (IS)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s (ST) To rotate the accommodating body ST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so that the face of the accommodating body (ST) becomes the setting posture for facing the side of the worshiper at the setting position of the worship unit (3) (DO) is installed.

Description

납골보관장치Urn retainer

제1도는 전체 사시도.Figure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제2도는 수납구조 및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structure and the carrying device; Fig.

제3도는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veying device. FIG.

제4도는 종단측면도.4 is a longitudinal side view.

제5도는 반송장치의 정면도.FIG. 5 is a front view of the transfer device. FIG.

제6도는 조광유리의 단면도.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light adjusting glass; FIG.

제7도는 시계 전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7 is a view showing a clock switching state; FIG.

제8도는 수납체의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FIG.

제9도는 유골수납부의 사시도.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h collection unit; FIG.

제10도는 유골수납부의 분해사시도.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h storage unit; FIG.

제11도는 예배용 조작부의 정면도.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ng portion for worship. FIG.

제12도는 제어 블록도.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제13도는 제어동작의 흐름도.13 is a flowchart of a control operation;

제14도는 제어동작의 흐름도.14 is a flowchart of a control operation;

제15도는 반송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1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ying state;

제16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6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y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제17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수납체의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제18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8 is a plan view showing a carry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제19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수납체의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제20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수납체의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제21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시각제어수단의 사시도.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control means of another embodiment;

제22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전체사시도.2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제23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도.Figure 23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제24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반송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24 is a plan view showing a carry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제25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도.25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제26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도.26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제27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수납체의 사시도.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제28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도.28 i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수납부 2 : 보관부분1: storage part 2: storage part

3 : 예배부 10 : 물품 이송재치장치3: worship unit 10: article transferring device

19 : 산수부 25 : 회수부19: arithmetic unit 25:

26 : 칸막이판 27b : 지시부26: partition plate 27b:

33b : 검출수단 50 : 문짝33b: detecting means 50:

101 : 반송제어수단 102 : 식별수단101: conveyance control means 102: identification means

103 : 시각상태제어수단 C : 지정수단103: Visual state control means C: Designation means

DO : 회동조작수단 G : 유리DO: rotation operating means G: glass

H : 반송수단 ID : 이동조작장치H: conveying means ID: moving operation device

IS : 유골수납부 K : 보관부 본체IS: Ashes collection part K: Storage part body

ST : 수납체 Y : 시각억제수단ST: storage body Y: visual suppression means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Applications]

본 발명은, 유골을 수납하는 유골수납부를 갖춘 복수 수납체를, 따로따로 수납보관이 자유로운 복수 수납부를 갖춘 보관부 본체와, 상기 수납체가 반출되는 예배부와, 상기 각 수납부와 상기 예배부와의 사이에 상기 수납체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예배대상에 상당하는 유골수납부를 갖춘 수납체를,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상기 예배부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납골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dy having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bodies provided with an ash bearing housing for housing ash, a hous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usings for storing and storing the housings separately, a worship distributor for carrying the housing, And the conveying means is configured to convey the housing body having the ash collection box corresponding to the object of worship to the worship collection unit by the conveying means.

[종래의 기술][0003]

상기 구성의 납골보관장치는, 설치 스페이스(space)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다수의 유골을 효율있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대도시 등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묘지 입수난을 극력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예배대상이 되는 유골만을 예배부에 반송시켜 예배할 수 있도록 해서, 예컨대, 납골상자를, 단지 종횡으로 구분된 문짝이 부착된 로커에 수납하는 구성등에 비교해서, 선조의 영령과의 접촉을 도모하는 엄숙한 분위기를 확보할 수 있어, 예배자에게 정신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elliot storage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efficiently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ashes by effectively using a space to be install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btaining a graveyard which is a problem in a large city or the like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carry only the subject ashes to the worship part and worship the worshiper so that the sole of the worshiper is stored in a locker to which the door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The atmosphere can be secured, so that the worshiper can be given spiritual satisfaction.

그런데, 이런 류의 납골보관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보관된 각 수납체에는, 각각 한 개의 유골수납부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수납체를 상기 각 수납부에서 수평으로 이동시켜 꺼내어 지지하면서, 예배부에 대응하는 개소까지 반송하고, 예배부에 대해서 반출시키는 경우에는, 수납체를 반송지지상태까지 그대로 수평으로 이동시켜 예배부의 설정위치에 재치(載置)시킴으로써, 항상 일정한 자세가 되도록 반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었다.Incidentally, in such a type of urn storing apparatus, conventionally, each of the accommodating bodies stored in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units is provided with one ash storing unit, and the carrying unit is provided with the above- The housing body is moved horizontally to the carrying support state, and the housing body is horizontally moved and held at the setting position of the worship part when the housing body is transpor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orship part while being transported to the worship part. So as to always take a certain posture.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상기 종래구성에 있어서는, 각 수납부에 대해서 하나의 유골수납부가 수납보관될 뿐이므로, 수납될 유골의 수가 수납부의 수에 한정되게 되고, 한정된 설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유골수납효율이 낮은 것으로 한정되어 버리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figuration, since only one ashtice storage portion is stored for each storage portion, the number of ashes to be stored is limited to the number of the storage portions, .

그래서, 이와 같은 수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수납부에 수납보관되는 각 수납체에 대하여, 복수의 유골수납부를 구비하게 한 구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유골수납부는, 예배부에 반출된 상태에서, 장치의 외측에서 예배자가 예배를 하기 위하여 대면할 필요가 있고, 게다가 예배부에 대한 수납체의 재치 자세가 항상 일정한 자세가 되므로, 각 수납체에 복수의 유골수납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경우에는, 각각의 유골수납부에 있어서 예배용 대면부가 동일방향으로 향하도록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병렬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storage efficiency, it is conceiv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ash storage units for the respective storage units stored in the respective storage units. However, such an ash storage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sh storage unit , The worshiper needs to face the worshiper outside the apparatus and the attitude of the receiving body with respect to the worship portion is always set to a constant attitude so that the plurality of ashes housing portions are provided on each housing body ,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m in parallel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acing surfaces for worship are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in each of the ash storage compartments.

그렇게 하면, 수납체의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의 치수가 대형화되어서, 반송수단에 의한 수납체의 반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또한 수납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이나 수납체를 수납보호하기 위한 보관부 본체 등,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어, 결과적으로 설치 스페이스가 커져 버리는 불이익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mension of the accommodating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nlarged, so that the conveyance of the accommodating body by the conveying means may not be stably carried out, and also the conveying means and the accommodating body for conveying the accommodating bod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ntire apparatus becomes large in size such as a storage unit main body for enlarging th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합리적인 구성에 의해, 유골수납부를 예배용의 설정자세가 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설치 스페이스를 적게 억제하면서, 유골의 수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납골보관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ymmetrical bonesetting structure capable of positioning the ash- And to provide an urn retaining devic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수납체는 상기 유골수납부를 복수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유골수납부가 평면적으로 보는데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예배부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유골수납부의, 예배자와 대향하는 부분인 예배용 대면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납골보관장치에는 상기 수납체를 종축심주위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조작수단이 설치되고, 이 회동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예배부의 설정 개소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각 유골수납부의 예배용 대면부가 예배자측에 대향하는 예배용 설정자세로 배치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feature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body has a plurality of ash-bone stor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ash-bone storing portions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in a plan view, The side of the ashes housing part facing the worshiper is arranged so as to face in different directions. Wherein said oval storage device is provided with a turning operation means for rotating said storage body on the longitudinal axis of said ward, and said rotation operation means causes said ward-side storage portion of said selected ashes- And is disposed in the opposing worship setting posture.

즉, 수납체가 복수의 유골수납부를 재치하고 있고, 종축심 주위에서 회동함으로써, 예배하기 위하여 선택된 납골수납부가 상기 예배용 설정 자세가 된다.In other words, the housing body mounts a plurality of ashtray housings, and rotates about the longitudinal axis, whereby the owl housing section selected for worship becomes the setting posture for worship.

또, 복수의 유골수납부가 각각 평면적으로 보는 위치가 달라, 예배용 대면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수납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sh storing sections are different in the positions viewed in a plan view, and the accommodating sections are provided such that the facing surfaces for worship are dir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그 결과, 수납체에 있어서 설치영역을 평면적으로 보는데 있어서 이차원적으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고, 수납체를 대형화하지 않고, 극력 보관가능한 유골수를 많게 할 수 있어, 수납체를 수납보관하기 위한 보관부 본체나 반송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유골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the two-dimensionally in view of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housing member in a plan view, to increase the number of ashes that can be stored in an extremely large size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housing member,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ashes can be improved without enlarging the size of the main body or the transfer device.

청구항 2에 기재된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반송수단이 상기 수납부의 상기 예배부에 대해서, 상기 수납체를 이송재치하는 물품이송재치장치와, 이 물품이송재치장치를 상기 수납부가 병렬된 수평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조작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조작수단은, 상기 물품이송재치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수납체를 회동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feature set forth in claim 2, there is provided an article transferring device for transferring and mounting the storage body to and from the wobbling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article transferr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ivoting operation means rotates the accommodating body supported by the article transferring device.

따라서, 수납부에서 꺼내어져서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도중에, 예배대상이 되는 유골 수납부가 예배부에 반출되었을 때 예배용 설정 자세가 되도록 회동조작된 뒤에 예배부로 반출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ashtray housing part to be worshiped is taken out to the worship service part, the wafers are taken out to the worship part after having been turned to the setting orientation for worship, while being taken out of the storage part and being transported by the transportation means.

그 결과, 예배부에 회동조작수단이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서, 예배부에 유골수납부와 예배부 구성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동용의 쓸데없는 빈 스페이스를 둘 필요가 없고, 예배부 구성을 콤팩트화 할 수 있다.As a resul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worship par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useless spare space for rotation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ash storage part and the worship part constituent member in the worship part, Can be made compact.

청구항 3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조작수단은, 상기 예배부에 반출된 상기 수납체를 회동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claim 3,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is configured to rotate the accommodating body carried out to the worship part.

따라서, 반송수단에 의해 수납부에서 반송되어 예배부로 배출된 뒤에, 수납체가 회동조작되는 구성이고, 반송수단에 의한 반송자세나 예배부에 대해서 반출될 때의 자세와 관계없이, 임의의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동에 수반하여 다른 유골수납부가 예배용 설정자세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경우에, 그 회동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설정할 수가 있고, 한 개의 수납체에 구비되는 유골수납부의 수납수를 많게 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housing body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the conveying means after being conveyed by the housing portion and discharged to the worship portion, and is rotated to an arbitrary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posture of the carrying means or the worship portion The turning angle can be set to an arbitrary angle in the case where the other ashtray housing part rotates to the setting posture for worship along with the rotation, and the number of the housings of the ashtray housing part provided in one housing body is set to You can do a lot.

청구항 4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수납체에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유골수납부 사이를 나누는 칸막이부가 구비되고, 유골수납부중의 어느것이 상기 예배부의 설정개소에 있어서 상기 예배용 설정자세로 설정된 상태로, 다른 유골수납부와 예배자와의 사이가 구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수납체에 복수의 유골수납부가 구비되며, 유골을 참배하러 온 예배자가, 예배하여야할 유골수납부 이외의 다른 유골수납부를 보지 않고, 분위기를 해치는 일 없이, 침착한 기분으로 예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 set forth in claim 4, the accommod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partitioning portion for partitioning between two neighboring ash collection units, and in the setting position of the worship collection unit,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worshipers and worshipers. As a result, the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shtrays, and a worshiper who visits the ashes can worship in a calm manner without disturbing the atmosphere without looking at the remains of the remains other than the ash collection housing to be worshiped .

청구항 5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 어느 것인가 상기 유골수납부가 상기 예배부의 설정 개소에 있어서 예배용 설정자세로 설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유골수납부와 예배자의 사이를 나누는 작용상태와, 바깥방향으로 퇴피하는 비작용 상태로 전환이 자유로운 칸막이 부재가, 상기 예배부에 설치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feature of claim 5, any one of the accommodating bodies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of dividing the adjacent ashes-collecting section and the worshiper in a state where the ash collection section is set to the worship setting posture at the setting section of the worship distribution section And a partition member free to be switched to a non-operating state for retracting in the outward direction are provided in the worship section.

그 결과, 수납체에 복수의 유골수납부가 구비되면서, 칸막이 부재를 작용상태로 전환해줌으로써, 유골을 참배하러 온 예배자가, 예배해야 할 유골수납부 이외의 다른 유골수납부를 보는 일도 없고, 분위기가 흐트러지는 일도 없이, 침착한 기분으로 예배할 수 있게 된다. 또, 칸막이 부재가 예배부에 설치되므로, 수납체에 다른 유골수납부와 예배자와의 사이를 칸막기하기 위한 키높이 만큼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회동조작시 다른 물건과의 접촉 등의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by providing a plurality of ash collection units on the housing, and switching the partition member to the operating state, the worshiper who visits the ashes will not see the ashes collection unit other than the ashes collection unit to be worshiped, We can worship in calm feeling without being disturbed. Further, since the partition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worship par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member of the same height for blocking the space between the other ashes housing part and the worshiper on the housing body, and there is no fear of contact with other objects Can be reduced.

청구항 6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관부 본체는, 상기 수납부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늘어서서 설치되는 한쌍의 보관부분을 가지고, 이들 한쌍의 보관부분의 사이에 상기 반송수단의 배열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ection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storage sections in which the storage section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between the pair of storage sections, Because they are spaced apart to form a space.

따라서, 반송수단이 각 보관부분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특별한 이동경로 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각 보관부분에 있어서 수납부의 각각에 대해서 반송작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반송수단 구조가 복잡화되지 않고, 설치 스페이스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수납부의 수를 극력 많게하여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된다.Therefore, since the conveying means is located between the respective storage portions, the convey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each of the storage portions in the respective storage portions without providing a special moving path,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conveying means is not complicated, It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 and the numb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s can be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stora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청구항 7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반송제어수단이 복수의 수납체 각각을 특정하는 식별정보, 및 각 수납체에 있어서 복수 유골수납부의 각각을 특정하는 식별정보와, 복수의 수납부의 위치정보를 대응시켜서 관리함과 동시에, 예배 개시지령에 의거하여, 지정수단에서 지정된 예배대상이 되는 유골수납부가 재치된 수납체를, 수납부에서 예배부로 반송하도록 반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지정된 유골수납부가 예배부의 설정개소에 있어서 예배대상자세로 위치하도록, 회동조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래서, 예배의 종료지령에 의거하여, 예배부에 위치하고 있는 수납체를 예배부에서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반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feature of the seventh aspect, the transporting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bodi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sh storage units in each accommodating body,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eans so as to convey the accommodating body on which the ashtray accommodating section to be worshiped to be worshiped by the designating means is placed from the accommodating section to the worshiping section on the basis of the worship start command, The operation of the pivoting operation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hous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worshiping person in the setting position of the worshiping portion. Thus,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accommodating body located in the worshiping section is transferred from the worship distribution section to the storage section on the basis of the worship end command.

따라서, 예배자는 예배 개시에 수반하는 개시지령과 지정수단에 의한 예배대상이 되는 유골수납부의 지정을 행함으로써, 지정된 유골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체가, 자동적으로, 예배부로 반송됨과 동시에, 그 지정된 유골수납부가 예배부에서 예배대상자세로 위치하게 된다. 또 예배가 종료하면, 종료를 지령하는 조작만으로, 예배후에는 수납체가 원래의 수납부로 자동적으로 환송되는 것이 된다.Therefore, the worshiper designates the ash collection unit to be worshiped by the start command and the designation means accompanying the start of worship, so that the receiver having the specified ash collection unit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worship divi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housekeeper will be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worship department. When the worship is finished, the storage body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original storage unit only after the worship service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instructing the end.

청구항 8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예배부가 이간하는 상태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반송제어수단은, 복수의 예배부의 각각과, 상기 각 수납체에 있어서 복수의 유골 수납부의 각각을 따로따로 대응시켜서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각 유골수납부의 각각을, 따로따로 대응하는 예배부에 대해서 반송해야 하고, 상기 반송수단 및 상기 회동조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feature of the eighth aspect, a plurality of worship portions ar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veyance control means controls each of the plurality of worship portion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shore storage portions separately And each of the ash storage units is separately transported to the corresponding worship distributing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ing unit and the rotation operating unit is controlled.

따라서, 수납체의 복수의 유골수납부의 각각에 대해서, 예배가 행해지는 예배부, 즉 반출되어야 할 예배부가 대응되어서 관리되기 때문에 예컨대, 복수의 예배부에 있어서, 종파(宗派)의 차이 등에 따라 예컨대 장식이 다른 경우, 항상 그것에 대응하는 유골수납부가 대응 관리됨으로써, 잘못하여 다른 유골수납부가 반송되는 등의 불리함이 없는 상태에서 효율있게 관리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worship part to be worshiped, that is, the worship part to be wiped out, is manag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ash storage compartments of the accommodating body. Therefore, for example, in a plurality of worship parts, For example, when the decoration is different, the corresponding ash collection unit is always managed correspondingly, so that it is possible to manage efficiently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disadvantage such that another ash collection box is mistakenly transported.

청구항 9에 기재된 특정구성에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반송제어수단은, 상기 예배부와 유골수납부와의 대응지워진 관리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예배부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회동동작을 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체를 반송시킬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ing control means carries out a setting rotation operation preset in advan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ship sections, based on the erased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orship section and the ashes storage section , The housing body can be transported.

따라서, 예컨대, 각 수납부에 대한 수납자세를 일정하게 되도록 관리함과 동시에, 각 예배부에 대한 각각의 반송형태가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예컨대, 각 유골수납부가 어느 예배부에 대해서도 반출가능하게 구성되고, 그때마다, 지정정보에 의거하여 회동조작상태를 제어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반송제어구성을 간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반송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receiving posture for each receiving portion to be constant, and to manage each conveying form for each worship portion to be always constan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veyance control configuration and to improve the conveyance efficiency a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urning operation state is controlled based on the designation information.

청구항 10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유골수납부에 설치된 지시부에 있어서 표시되는 식별 정보가, 예배부에 설치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고, 그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식별 수단에 의해, 예배부의 설정개소에 있어서 예배대상자세로 위치하는 유골수납부가, 지정수단에 지정된 유골수납부인지 아닌지가 식별되도록 된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feature of claim 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struction section provided on the ash storage section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ction provided on the worship distribution section, an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 It is discriminated whether or not the ash collection unit located vertically to the subject of worship is the ashes collection unit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그 결과, 반송수단의 오동작 등에 기인해서, 지정된 유골수납부와 다른 유골수단부가 예배부에 반출되어 있을 때에는, 그때 그때 식별수단에서 식별되기 때문에, 예컨대, 그때를 알려주기도 하고, 혹은 반송수단에 의한 반출작동을 재차 실행하도록 하는 등의 후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지정된 유골수납부와 다른 유골수납부가 예배대상이 되는 등의 좋지 않은 상태를 미연에 회피할 수가 있다.As a result, when the ashtory unit other than the specified ash collection unit is taken out to the worship service unit due to a malfunction of the conveying unit or the like, it is then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post-process such as carrying out the carry-out operation again, and to avoid a bad situation such as the designated ash collection box and the other ash collection box being worshiped.

청구항 11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예배부의 전면부에, 예배자가 예배부의 설정개소에 위치하는 유골수납부를 볼 수 있게 허용하는 가시상태와, 예배자가 예배부의 내부를 보는 것을 억제하는 불가시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시각억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feature set forth in claim 11,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sible state in which the worshiper can see the ashtray accommodation part positioned at the set location of the worship site, and an invisible state in which the worshiper is prevented from seeing the inside of the worship site There is provided a visual restraining means capable of switching.

따라서, 수납체가 예배부에 반출될 때에는, 시각억제수단을 불가시상태로 전환해 두면, 예배자가 수납체의 반송도중에 수납체의 출입용 개구부분을 통해서 장치의 내부가 보여 엄숙한 분위기를 흐트리는 등의 불합리를 회피할 수 있다. 그래서 예배부에 수납체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시각억제수단을 가시상태로 전환해둠으로써, 예배자는 유골이 수납된 유골수납부에 대면할 수가 있어, 예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accommodating body is taken out to the worship part, if the visual restraining device is switched to the invisible state, the worshiper can see the inside of the devic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accommodating body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accommodating body, You can avoid unreasonableness. Thus, by switching the visual restraining means to the visible state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body is installed in the worship portion, the worshiper can face the ashes housing portion in which the ashes are housed, and worship can be performed.

청구항 12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시각억제수단이 개폐가 자유로운 문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짝이 닫힘으로써 내부가 보이지 않는 불가시상태가 되고, 문짝이 열림으로써 가시상태가 되어 예배자가 유골수납부를 볼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feature of claim 12, since the visual restrain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door that is openable and closable, the door is closed to make the inside invisible, invisible, and opened by the door open, can see.

청구항 13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유리를 투시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내부를 볼 수 없는 불가시상태가 되고, 투시억제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예배부에 설치된 유골수납부를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feature of the thirteenth aspect, by changing the glass into the transparent state, the inside can not be seen, and the invisible state is switched to the transparent state.

이와 같이 상기 시각억제수단이 유리로 구성되므로 개폐문짝처럼, 크게 변위하는 부재가 없고, 잘못하여 예배자에게 접촉하는 등의 불편도 없다.In this way, since the visual restraining means is made of glass, there is no inconvenience such as contact with the worshiper by mistake, as there is no member that largely displaces like an opening and closing door.

청구항 14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유골수납부가 예배하기 위하여 상기 예배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상기 시각억제수단을 가시상태로 하도록, 그 시각억제수단을 가시상태와 불가시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시각상태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전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항상 적절한 타이밍으로 가시상태와 불가시상태를 선택적으로 자동전환할 수 있어, 조작의 번거로움 없이, 게다가 오조작으로 기인하여 수납체의 반송중에 가시상태가 되어 장치의 내부가 보여 엄숙한 분위기를 흐트러뜨리는 등의 불편이 없다.According to the feature set forth in claim 14, the time restraining means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visible state and the invisible state so that the time restraining means is visible only when the ash collection box is located in the worship division for worship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witch the visible state and the invisible state selectively at appropriate timing at all times in comparison with a manually switching op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witch between the visible state and the invisible state automatically,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such that the inside of the apparatus becomes visible and disturbing the solemn atmosphere.

청구항 15에 기재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유골수납부는, 정수(淨水)가 산수(散水)되고, 그 정수를 낙하배출하는 산수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예배부에는 상기 산수부에서 낙하 배출되는 정수를 회수하는 회수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참배하기 위하여 예배를 하는 경우에, 종래부터 습관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깨끗한 정수를 산수하는 해위가 가능하게되어, 고인을 생각하는 마음을 보다 소중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eature set forth in claim 15, the ash-bearing housing part is provided with a water spraying part for spraying the purified water and dropping the purified water, Because the collection section for collecting the purified water is provided, when the worship service is performed for worshiping,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lear water which is conventionally practiced in the past, and the mind for thinking of the deceased can be deemed more important.

청구항 16에 기재된 특징구성에 의하면, 상기 산수부는 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석재(石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수된 정수가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물이 장기간 보관으로 부패하고, 곰팡이나 해충이 발생하는 등의 우려를 극력 회피할 수 있게 하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상태로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 된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zing matter described in claim 16, since the arithmetic unit is composed of a stone capable of controlling moistu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tagnation of the purified water, to prevent the water from decaying due to storage fo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ashes can be stored in a good sta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실시예][Example]

이하,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관한 납골보관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liot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납골보관장치는 유골이 수납될 유골수납부(IS)를 구비한 수납체(ST)를, 따로따로 수납보관이 자유로운 복수의 수납부(1)가, 상하방향(U)과 횡폭방향(W)으로 나열하여 배치된 보관부분으로서 수납선반(2)이, 전후방향(D)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한쌍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수납부(1)의 각각에 따로따로 다른 수납체(ST)가 수납보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is rivet storage device comprises a storage body ST having an ash storage part IS to which an ash is to be stored, a plurality of storage parts 1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 and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W as a storage part and a pair of the storage shelves 2 are provi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bodies ST are separately stored and stored in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portions 1, respectively.

따라서, 한쌍의 상기 각 수납선반(2)에서 보관부 본체(K)가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the storage unit main body K is constituted by a pair of the respective storage shelves 2.

그리고 한쪽 수납선반(2)의 횡폭방향(W)의 중앙위치에 있는 하방측 개소에, 평면적으로 봐서, 수납부(1)와 중복되는 상태로, 예배부(3)가 설치되고, 수납선반(2)에 수납보관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체(ST)중, 지정된 수납체(ST)가 이 예배부(3)까지 반송되고, 이 예배부(3)에서 예배자가 유골의 예배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worship portion 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portion at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wise direction W of the one storage shelf 2 in a state of overlapping with the storage portion 1 in a plan view, (ST) among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bodies 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 is transported to the worship unit 3 and the worshiper 3 can organize the worship service so that the worshiper can worship the ashes .

또한, 이 납골보관장치에 있어서 예배부(3)를 제외한 외면부분은, 금속제 판체(4)로 둘러싸고 구성으로 되어 있고, 외방측에서 수납체(ST)를 볼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유골의 존엄성을 가질 수 있게 되어 있다.The outer portion of the oval storage device except for the worship portion 3 is configured so as to surround the metal plate 4 and can not see the storage body ST on the outer side. It is possible to have dignity.

또한, 상기 예배부(3)가 설치되는 외면부분(4a)의 횡일측 개소에는, 예배자 혹은 관리 주체자에 의해 후술할 인위조작을 하기 위한 예배용 조작부(5)가 설치되어 있다.A worship operation unit 5 for performing an artificial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by a worship party or a management subject is provided at a lateral sid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4a on which the worship unit 3 is installed.

전후의 각 수납선반(2)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후 양측의 각각에 복수의 지주(6)가 설치되고, 이들 지주(6)에 걸쳐 복수의 가로선반(7)이 연결고정되고, 전후의 가로선반(7)에 걸쳐서 설정간격마다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된 걸림부재(8)가 가설연결되고, 좌우걸림부재(8)에 의해 수납체(ST)를 재치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각 수납부(1)가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front and rear storage shelves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6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helves 7 are connected An engaging member 8 formed substantially L-shaped at every predetermined interval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transverse shelves 7 so that the accommodating body ST can be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engaging members 8 And eac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s 1 is constituted.

그리고, 상기 각 수납부(1)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체(ST)를, 상기 예배부(3)에 반송함과 동시에, 예배부(3)에서 원래의 수납부(1)까지 수납체(ST)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으로서 반송장치(H)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장치(H)는 전후의 각 수납선반(2)의 사이에 형성된 배치설정공간에 설치되고,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accommodating body ST accommodated in each accommodating portion 1 is transferr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ST from the worship portion 3 to the original accommodating portion 1, As a transpor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recording medium W. The transfer apparatus H is installed in a layout set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torage shelves 2, and is configured as follows.

수납선반(2)의 가로방향의 폭과 거의 같은 길이의 승강대(9)가 설치되고, 이 승강대(9)는 승각조작기구에 의해 수평자세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조작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승강대(9)에는, 승강대(9)위에 위치하는 수납체(ST)를, 각 수납부(1)나 예배부(3)를 향하여 이동시킴과 동시에, 각 수납부(1)나 예배부(3)에 위치하는 수납체(ST)를 승강대(9)위에 이송재치시키는 물품이송재치장치로서의 이송재치장치(10)가, 가로이동조작기구에 의해 승강대(9)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이동자유롭게 재치지지되어 있다.A platform 9 having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storage shelf 2 is provided. The platform 9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posture by the bolt operation mechanism. The housing ST located on the platform 9 is moved toward the housing part 1 or the worship part 3 and is housed in the housing part 1 or worship part 3, (10) as an article transferring device for transferring and placing the storage body (ST) placed on the platform (3) on the platform (9) is movable transvers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It is supported.

그리고, 승강대(9)의 승강작동, 및 이송재치장치(10)의 가로이동작동에 의해, 이송재치장치(10)가 어느 지정된 수납부(1) 혹은 예배부(3)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이송재치장치(10)에 의해, 수납부(1) 혹은 예배부(3)에 위치하는 수납체(ST)를 승강대(9)위에 이송재치시킨 후에, 재차 승강대(9)의 승강작동, 및 이송재치장치(10)의 가로이동작동에 의해, 이송재치장치(10)를 지정된 수납부(1) 혹은 예배부(3)에 이동시켜, 이송재치장치(10)에 의해 수납체(ST)를 이송재치시킴으로써, 반송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elevation and descent operations of the platform 9 and the transverse movement operation of the conveyance apparatus 10 cause the conveyance apparatus 10 to mov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y specified storage section 1 or worship section 3 The transfer receiving device 10 transports the accommodating body ST located at the accommodation portion 1 or the worship portion 3 on the platform 9 and then raises and lowers the platform 9 again The transfer device 10 is moved to the designated storage part 1 or the wobbling part 3 by the operation and the lateral movement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10 and the storage device 10 ST) are transported and mounted, whereby transporting is performed.

따라서, 가로이동조작기구와 승강조작기구에 의해 이동조작장치(ID)가 구성되게 된다.Therefore, the lateral movement operation mechanism and the vertical movement operation mechanism constitute the movement operation device (ID).

즉, 제3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대(9)의 네 구석을 각각 조작 와이어(wire)(11)에 매달아 지지됨과 동시에, 각 조작 와이어(11)의 타단측에 밸런스 웨이트(balanceweight)(12)가 연결되고, 각 조작 와이어(11)는 수납선반(2)의 상부에 전후축심주위에서 회전자유로이 지지된 안내드럼(drum)(13)에서 늘어뜨러진 자세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밸런스 웨이트(12) 배치설정측의 안내드럼(13)을 승강용 전동 모터(M1)에서 회동구성시킴으롤써, 승강대(9)를 거의 수평자세를 유지시킨 채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대(9)의 승강위치가 지정된 수납부(1)나 예배부(3)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것은 투과측 광전 센서 등의 위치검출수단(K)에서 검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승강조작기구가 구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our corners of the platform 9 are respectively suspended by the operation wire 11, and at the same time, and a balance weight 12 is connected to each of the operation wires 11 so that each operation wire 11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rack 2 in a sagging attitude by a guide drum 13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front and rear axial centers Respectively. The guide drums 13 on the side of the arrangement of the balance weights 12 are configured to be rotated by the elevating electric motor M1 so that the elevating and lowering platforms 9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maintain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ture . The elevation position of the platform 9 i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storage section 1 or the worship distribution section 3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means K such as a transmission side photoelectric sensor. Thus, the elevating operation mechanism is constructed.

또한, 밸런스 웨이트(12) 배치측의 안내드럼(13) 근처에는, 보조드럼(13a)이 설치되고, 밸런스 웨이트(12) 배치설정개소와 반대측에 연결되는 조작 와이어(11)는, 일단 이 보조드럼(13a)에 감긴 후에 타단측의 안내드럼(13)에 감는 구성으로서, 구동측 드럼에 대한 감기 각도가 충분히 커지도록 해서 슬립 등이 발생하는 우려를 적게 하고 있다.An auxiliary drum 13a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drum 13 on the arrangement side of the balance weight 12 and an operation wire 11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lance weight 12 arrangement position, And wound around the drum 13a and then wound around the guide drum 13 on the other end side, there is less fear that slippage or the like will occur such that the wi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e-side drum becomes sufficiently large.

또한 승강대(9)의 일단측에 설치된 가로이동용 전동모터(M2)에서, 승강대(9)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이동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로이동용 전동모터(M2)에 설치된 폴리(pulley)(51)와, 타단측에 설치된 풀리(52)에 걸쳐서 감김과 동시에, 양단부가 이송재치장치(10)에 대해서 무단형상으로 연결된 와이어(53)가, 전동모터(M2)의 구동에 수반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조작되고, 이송재치장치(10)가 가로 이동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form 9 with the electric motor M2 for horizontal movement installed on one end side of the platform 9. [ 5, a pulley 51 provided on the transverse movement electric motor M2 and a pulley 52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are wound and both end portions are wound around the conveyance device 10, The wire 53 connected in an endless form to the driving unit 1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M2 as the electric motor M2 is driven.

또, 이송재치장치(10)가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것이 투과측 광전센서 등의 위치검출수단(KS)에서 검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detection means KS of the transmission side photoelectric sensor or the like detects that the transfer device 10 has mov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이송재치장치(10)는, 수납체(ST)에 대해서 걸어 계지하는 계지구(14)를 슬라이드(slide) 이동시킴에 의해 수납부(1) 혹은 예배부(3)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키면서 이동하게하는 주지 구조의 계지이동조작식 이송재치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ying and mounting apparatus 10 is configured to move the slide 14 to slide on the accommodating body ST so as to slide the accommodating unit 1 or the worshiping unit 3 while sliding And an apparatus 10 for transferring an apparatus for moving the apparatus.

또한 계지구(14)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재(54)는, 소정 범위 사이에서 상하 위치 조절을 자유롭게 또한 계지구(14)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범위에서 위치조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The support member 54, which supports the slider 14 freely in a slidable manner, is freely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s freely adjust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14 .

그리고, 이 이송재치장치(10)는 승강대(9)에 대해서 자유롭게 가로이동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차륜부착이동지지체(55)위에 종축심(X) 둘레에서 상대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거의 중심에 위치하는 회동지축(56)을 통해서 이동지지체(55)에 대해서 상대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동지지체(55)측에 설치된 감속기 부착 전동모터(M3)에서 종축심 둘레에서 회동구성되도록 되어 있다.The transfer device 10 is structured such that it can freely rotate relative to the vertical axis X on a wheel attaching and moving support member 55 for supporting the platform 9 so as to freely transversely move relative to the platform 9. The electric motor M3 with the reduc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ovable support body 55 is supported on the movable support body 55 in a freely rotatable manner around the movable support body 55 via the pivotal support shaft 56, .

또한 그 회동조작량은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57)에서 검출되고, 그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회동각도가 조정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지지체(55)의 반경방향 외방측 개소의 상면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된 전동불(58)에서, 회동조작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이송재치장치(1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수납체(ST)에 구비된 상기 각 유골수납부(IS)가, 택일적으로 상기 예배부(3)의 설정개소에 있어서, 그 예배용 대면부가 예배자측에 대향하는 예배용 설정 자세가 되도록, 상기 수납체(ST)를 종축심둘레에서 회동시키는 회동조작수단(DO)이 구성되게 된다.The rotary operation amount is detected by a rotary encoder 57, and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and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Further, on the upper face portion of the radially outer side portion of the movable support body 55, the weight of the conveyance apparatus 10 can be supported in a state of allowing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electric fire 58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In this way, the ash storage units IS provided on the housing ST can alternatively be arranged at the set position of the worship unit 3 such that the face for worship serves as a service station for worship opposite to the worshiper And a turning operation means (DO) for rotating the housing body (ST)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to constitute the setting posture.

상기 예배부(3)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평면으로 볼 때, 수납부(1)와 중복되는 상태, 즉 수납선반(2)에 있어서 일부의 수납부(1)의 형성공간을 이용하는 형태로, 보관부 본체(K)의 일부에 구획형성되는 상태로 구성되고, 예배부(3)가 구성되는 공간의 내면은, 수납선반(2)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화장벽(化粧壁)으로서 벽체(15)로 구획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내면 안쪽 면에는, 수납체(ST)가 출입하기 위한 삽탈개구로서의 개구부(16)가 형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worship unit 3 is provided in a state of overlapping with the storage unit 1 in a plan view, that is,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storage unit 1 in the storage rack 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constituting the worship part 3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storage rack 2 is partitioned by a barrier wall And an opening 16 as an insertion / removal opening for allowing the accommodating body ST to enter and ex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또한, 이 예배부(3)에는, 종파 등에 대응해서, 적절하게 장식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orship section 3 is appropriately deco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ctarian wave or the like.

예컨대, 꽃을 장식하거나, 전기식 촛불이나 조명장치 따위를 적절히 장식하게 된다.For example, flowers are decorated, or electric candles or lighting devices are appropriately decorated.

그리고, 이 예배부(3)의 전면부에는, 예배자가 예배부(3)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는 가시상태와, 예배자가 예배부(3)의 내부를 보는 것을 억제하는 불가시상태로 전환가능한 시각억제수단(Y)으로서의 조광유리(G)가 설치되어 있다.The front part of the worship part 3 is provided with a visible state in which the worshiper can see the inside of the worship part 3 and a visible state in which the worship person can see the inside of the worship part 3 And a light control glass G as the visual suppression means Y are provided.

이 조광유리(G)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투명한 판유리(41) 사이에 액정부(42)가 끼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고, 액정부(42)의 양면측에는 각각 투명도전막(43)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액정부(42)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투명도전막(43)의 사이에 소정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부(42)의 액정분자가 일정방향으로 정렬해서 빛을 통하는 상태로 되고, 투명상태가 되어, 예배자가 예배부(3)의 내부를 볼 수 있는 가시상태로 전환된다(제7(a) 참조). 또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면, 액정분자의 정렬상태가 해제되어, 빛이 통과할 수 없고, 제7(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불투명상태가 되어, 예배자가 예배부(3)의 내부를 볼 수 없는 불가시상태로 전환되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light control glass G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portion 42 i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transparent plate glasses 41, an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portion 42, 43 are installed and configured.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respectiv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4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level portion 42,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level portion 42 are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worshiper is switched to a visible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worship unit 3 can be seen (see FIG. 7 (a)). When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is stopped, the align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s released, light can not pass through, an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become opaque as shown in FIG. 7 (b) It is switched to an invisible state which can not be seen.

상기 조광유리(G)의 가시상태와 불가시상태와의 전환동작은, 후술한 바와같이, 수납체(ST)의 반송동작에 맞춰 자동적으로 전환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이 조광유리(G)의 하방측에는 후술할 정수를 산수하기 위한 설정 높이만큼 개방되어 잇다.The switching operation between the visible state and the invisible state of the light adjusting glass G is automatically switched and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arrying operation of the accommodating body ST as described later, Is opened by a set height for arithmetic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다음, 상기 수납체(ST)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ST will be described.

이 수납체(ST)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납부(1) 및 예배부(3)에 안정적으로 재치하기 위한 직사각형 모양의 대좌(台座)(17)가 설치되고, 이 대좌(17)위에, 각 유골수납부가 평면으로 봐서 위치를 다르게한 상태이고, 또한 이 유골수납부 각각의 예배용 대면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복수(4개)의 유골수납부(IS)가 구비된 상태로 설치되고, 각 유골 수납부(IS)는 칸막이판(26)으로 나누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is accommodating body ST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base 17 for stably mount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 and the worship portion 3, (Four) ash storage units IS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17 so that the ash storage units are position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n plan view and the facing surfaces of the ash storage units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each of the ash collection units IS is divided into a partition plate 26,

그리고, 각 유곡수납부(IS)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골이 수용되는 당집모양의 외관을 가지는 유골보관부(18)가 건립되는 상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묘지 참배시에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정화를 위해 정수가 뿌려질 때, 정수가 산수되고, 이 정수를 낙하 배출하는 산수부(1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each of the warp compartments IS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n ashtree storage section 18 having an outer shape of a sugar-candy-like shape in which ashes are received is erected, and at the time of cemetery visit, And a arithmetic unit 19 for integrating the integer when the integer is sprayed for the purification to be performed and dropping and discharging the integer.

유골보관부(18)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골이 수납되는 유골단지(20)가 내부에 위치 고정상태로 수납되고, 그 바깥쪽을 덮는 상태이고, 그 외관이 당집모양으로 형성되어 당집형 묘소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고인의 유골이 유골단지(20) 그대로의 상태로 안치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유골이 당집 내부에 소중하게 보관되고 존엄성을 간직하고 간수되는 상태로서, 예배자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ash house storage part 18 is a state in which the ashtray housing 20 in which the ashes are housed is housed in a positionally fixed state and covers the outer side thereof. And is constructed as a temple-type mausoleum. In this wa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re placed in the state of the ashes (20), the remains of the remains are preserved in the inside of the temple, and the dignity is kept and kept, and the worshipers can feel relieved.

상기 유골보관부(18)는 저부가 개구상태이고, 또한 내부가 공동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대좌(17)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대좌(17)위에 재치된 유골을 위쪽에서 덮도록 구성되고, 또한 유골보관부(18)는, 네 구석의 기둥부분의 하단부가 대좌(17)에 삽입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ash storage unit 18 is configured to cover the ash placed on the pedestal 17 from above and to be mounted on the pedestal 17, The ash storage unit 18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ar part of the four corners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pedestal 17.

또, 유골은 유리섬유 등의 내화성능이 높은 천으로 구성된 납골자루(22)에 정리한 상태로 납골단지(20)내에 안치됨과 동시에, 이 납골자류(22)의 내부에는, 납골자(고인)의 성명 등의 정보를 기재한 작은 플레이트(23)를 삽입해서, 혹 지진이나 예측하지 못한 사태시, 가령 낙하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낙하 때문에 유골이 산산이 흩어지거나, 화재에 의해 손상하는 등의 우려를 적게하고, 소유주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ashes are housed in the urn housing 20 in a state of being gathered in the urn housing bag 22 composed of a cloth having a high refractory performance such as glass fiber and at the same time, A small plate 23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person or the like may be inserted so that even if an earthquake or an unpredictable situation occurs, for example, when a falling accident occurs, the ashes may be scattered due to falling,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owner.

유골단지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된다.The osseous complex is fixed so as not to be peeled off by fixing means such as a belt (not shown).

게다가, 이와 같이 당접모양 묘소로 구성함으로써, 죽은후 예컨대, 49일후에 납골하는 것이 일반적 습관이지만, 그 동안은, 유골은 고인의 자택에 안치되어 있는 일이 많지만, 이 당집모양 묘소를 이용하면, 유족이 자택에서 참배하던 기분을 그대로 사원(寺院)등에 간직할 수 있어, 고인을 생각하는 기분을 소중히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t is a general practice to make a cremation after forty days, for example, by making such a gravestone grave in this way, but in the meantime, the ashes are often laid in the home of the deceased, The feeling that the bereaved family worshiped at home can be kept in the temple, and the feeling of thinking about the deceased can be cherished.

또, 상기 산수부(19)는 특수세라믹, 예컨대 경질 제오라이트를 주원료로 해서, 표면에 금속이온에 의한 특수가공처리를 한 습도조절용 석재로 된 다수의 자갈(24)을 깔아 놓았고, 방충, 방균, 곰팡이 방지 등의 성능이 뛰어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장기간 보관해도, 묘소가 곰팡이나 해충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극력 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arithmetic unit 19 has a plurality of gravels 24 made of a special ceramics such as a hard zeolite as a main material and made of a stone for humidity control whose surface is subjected to special processing with metal ions. And has a structure excellent in performance such as prevention of mold,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void the fouling of the mausoleum with molds and insects even if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 산수부(19)가 형성되는 대좌부분은 망구조로, 물이 망부분을 통해서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예배부(3)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낙하하는 물을 회수하는 회수부(25)가 설치되어 있다.The pedestal portion on which the arithmetic unit 19 is formed has a net structure in which water drops downward through the net por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worship portion 3, And a recovery unit 25 for recovering the water to be treated.

이 회수부(25)에서 회수된 물은, 전용 배수통을 통해서 배수시키는 구성도 좋고, 또는 설정 시간마다 고인물을 수동으로 회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The water recovered in the recovery unit 25 may be drained through a dedicated drainage tank, or may be configured to manually recover a high-level object at each set time.

그리고, 상기 각 유골수납부(IS)는, 수납체(ST)가 90도씩 회동조작된 경우에, 예배자가 대면하기 위한 예배용 대면부가 각각, 동일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housing ST is rotated by 90 degrees, each of the ash storage compartments IS are arranged so that the ward-facing portions for facing the worshipers ar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예배부(3)에서 예배자측의 외면부분은, 설정예배위치에 반출된 한개의 유골수납부(IS)만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판(26)에 의해 예배자가 다른 유골수납부(IS)나 장치 내측을 볼 수 없게 구성되어 있다.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worship party 3 in the worship portion 3 is configured to be able to view only one ash storage portion IS carried out at the set worship position and the worshiper can be seen by the worn- IS) or the inside of the apparatus.

또한, 상기 대좌(17)에 있어서 횡측면 부분에는 이 수납체(ST)에 관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바 코드(bar code)(27a)가 부착되고, 상기 각 유골수납부(IS)의 횡측에 위치하는 칸막이판(26)의 외측에는, 이 유골수납부(IS)에는, 어느 유골이 수납되어 있는지에 관한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식별부로서의 바 코드(27b)가 부착되어 있다.A bar code 27a for indi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attached to the transverse side surface of the pedestal 17 and is provided on the transverse side of each ash containing portion IS On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plate 26 located thereon, a bar code 27b is attached to the ash collection unit IS as an identification unit for display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which ashes are stored.

상기 이송재치장치(10)에는, 수납부(1)에서 이송재치장치(10)상에 수납체(ST)가 이송재치되었을 때, 수납체(ST)에 관한 바 코드(27a)의 정보를 판독하는 바 코드 리더(barcodereader)(33a)가 설치되어, 예배부(3)의 예배용 설정위치의 횡측개소에 유골수납부(IS)에 대한 식별용 바 코드(27b)의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수단의 바 코드 리더(3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배부(3)에 있어서는, 이들 바 코드(27a, 27b)는, 바깥쪽에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bar code 27a relating to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read out from the conveying and mounting apparatus 10 when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transferred and placed on the conveying and mounting apparatus 10 in the accommodating section 1, A barcode reader 33a for reading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barcode 27b for the ash storage unit IS is provided at a lateral position of the worship setting position of the worship unit 3, And a bar code reader 33b of the bar code reader 33b. In the worship section 3, these bar codes 27a and 27b are made visible from the outside.

상기 예배용 조작부(5)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배자가 미리 유골수납물품(IS)에 관한 식별정보가 등록된 지정수단으로서의 IC 카드(IC card)(C)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부(28)와, 예배가 종료한 후에 조작되는 인위조작식의 종료지령 조작부로서의 종료스위치(29), 반송작동중에 어떤 이상이 발생했을 때 등에 적절히 조작되는 비상정지 스위치(30)등이 설치되어 있다. 카드 삽입부(28)의 내부에는 삽입된 IC 카드(C)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판별하는 카드 리더(31)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worship operation unit 5 is a unit for inserting an IC card (C) as designation means in which the worshiper has previously register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shes collection article IS A card insertion section 28, an end switch 29 as an artificial operation termination command manipulation section operated after worship is completed, and an emergency stop switch 30 or the like suitably operat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during transportation operation Is installed. A card reader 31 for discrimin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serted IC card C is provided in the card insertion portion 28. [

상기 IC 카드(C)에는, 이 납골보관장치에 새롭게 유골이 보관되었을 때, 관리 주체자(사원등)에 의해, 이 유골이 어느 수납부(1)에 보관되어 있는가에 관한 관리정보, 고인의 이름등의 식별정보가 미리 등록 보존되어 있다.When the ashes are newly stored in the oillet storage device, the management card (C) stores management information on which osseous bone is stored in the storage part (1) by the management subject person (employee) And the like are registered and stored in advance.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조작부(5)의 정보, 및 바 코드 리더(33a, 33b)의 검출정보등에 의거하여, 상기 반송장치(H)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micro computer)를 구비한 제어장치(32)가 설치되고, 이 제어장치(32)는, 수납체(ST)의 각각을 특정하는 식별 정보 및 각 유골수납부(IS)를 특정하는 식별상태와, 복수의 수납부(1)의 위치정보를 대응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반송장치(H)와 회동조작수단(DO)의 동작을 제어하는 반송제어수단(101)과, 반송되어 있는 수납체(ST)가, 지정된 수납체(ST)인지 아닌지를 식별함과 동시에, 예배부(3)에 설치된 유골수납부(IS)가 예배대상인 유골수납부(IS)인지 아닌지를 식별하는 수납체 식별수단(102), 수납체(ST)가 예배를 하기 위하여 상기 예배부(3)에 놓여 있을 때에만, 상기 조광유리(G)를 가시상태가 되도록, 그 조광유리(G)를 가시상태와 불가시 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시각상태제어수단으로서의 시각제어수단(103)의 각각이 구비되어 있다.12,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 apparatus H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unit 5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bar code readers 33a and 33b, The control device 32 is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each of the accommodating bodies ST and an identification state for specifying each of the ash storage units IS, A transport control means 101 for correspondingly manag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y portion 1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transport device H and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DO, The storage body identification means 102 that identifies whether or not the storage body ST is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identifies whether or not the ash storage section IS provided in the worship distribution section 3 is the ash storage section IS to be worshiped, (G) is in a visible state only when the object (ST) is placed on the worship unit (3) for worship, It is provided with a respective visible-time state control means as a time control means (103) to automatically switch to an invisible state.

다음, 제13도, 제14도에 도시한 흐름도에 의거하여, 제어장치(32)에 있어서의 예배용 반송작동의 제어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wicking transport operation in the control device 32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s shown in Figs. 13 and 14. Fig.

우선, 예배자는 IC 카드(C)를 카드삽입부(28)에 삽입하게 된다.First, the worshiper inserts the IC card C into the card inserting portion 28.

IC 카드(C)가 삽입되고 카드 리더(31)에서 식별정보가 판독되면 도시하지 않은 버저가 울려서 판독하였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렇게 하면, IC 카드(C)가 빠져나온다.When the IC card C is insert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ad by the card reader 31, a buzzer (not shown) sounds to indicate that it has read. Then, the IC card C comes out.

제어장치(32)는, 카드리더(31)로부터의 정보에 의거 IC 카드(C)가 삽입된 것을 판별하면, 카드리더(31)에 삽입된 IC 카드(C)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유골수납부(IS)가 안치된 수납체(ST)를 지정한다(스텝 1,2). 그리고 수납체(ST)가 지정되면, 반송개시를 지령한다(스텝 3).The control device 32 reads o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C card C inserted in the card reader 3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 card C is inserted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card reader 31 And designates the accommodating body ST in which the ash storage part I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laced (steps 1 and 2). When the housing ST is designated, the start of the transportation is instructed (step 3).

반송개시가 지령되면, 지정된 예배대상인 유골수납부(IS)를 갖춘 수납체(ST)를, 수납부(1)로부터 반송시킨다(스텝 4). 이때 이송재치장치(10)위에 수납체(ST)가 이송재치된 상태로 그것에 부착되어 있는 바 코드(27a)의 식별정보가 바 코드 리더(33a)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된 식별정보가 IC 카드(C)로부터 판독된 식별정보(지정정보)와 합치하는지 아닌지 판별되고(스텝 5,6), 합치되면 해당 수납체(ST)를 예배부(3)에 반송시킨다(스텝 7).When the start of conveyance is instructed, the accommodating body ST equipped with the ashtory accommodating portion IS to be a designated worship destination is convey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1 (step 4). At this time, the bar code reader 33a detec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r code 27a attached to the receiving body ST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body ST is placed on the transfer receiving apparatus 10, (Step 5, 6).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affirmative, the storage unit ST is returned to the worship unit 3 (Step 7).

이들 식별정보가 합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수납체(ST)와 다른 수납체(ST)가 반송되었다고 판단해서, 반송중에 수납체(ST)는 원래의 수납부(1)로 되돌려지고, 재차 카드 리더(31)에 인식된 식별정보로부터, 대응하는 수납체(ST)를 지정하게 된다(스텝 8).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재 체크가 설정 회수 실시되어도 합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재차 IC 카드(C)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다.If the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not match,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ed accommodating body ST and another accommodating body ST have been transported, and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accommodating unit 1 during transportation, 31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storage unit ST (step 8). Also, although not shown, if the re-check is not performed even if the re-check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user is informed that 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IC card C again.

그리고, 수납체(ST)가 예배부(3)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반송되어 오면, 지정된 유골수납부(IS)가 예배부(3)에 대한 설정위치에 대응하도록 지정정보에 의거하여, 로터리 엔코더(57)의 검출정보에 의해 회동용 전동모터(M3)를 제어하여, 이송재치장치(10)를 회동조작시킨다(스텝 8). 또 수납부(1)에 수납보관될 때는, 항상 일정한 대기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지정정보에 의해 90° 좌우로 회동시키거나, 180°회동시키는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When the housing body ST is convey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obbling section 3, on the basis of the designation information, the specified asymmetrical boss housing section IS corresponds to the set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wobbling section 3, (Step 8) by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 M3 for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57 (step S8). When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1, it is set so as to be in a constant standby state at all times, and control is performed such that rotation is made by 90 degrees leftward or rightward, 180 degrees rotated by the specified information.

예컨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기상태에서는 유골수납부(IS)(A)가 예배부(3)에 대응하는 개소에 있고, 지정된 유골수납부(IS)가 다른 유골수납부(IS)(D)이면, 수납체(ST)를 90° 회전조작시키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in the standby state, the ash storage unit IS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orship unit 3, the specified ash storage unit IS is located at the other ash storage unit IS, (D), the housing body ST is rotated by 90 degrees.

그 뒤, 수납체(ST)를 예배부(3)의 설정위치에 반출시켜, 지정된 유골수납부(IS)가, 그 예배용 대면부가 외방측(예배자측)으로 향하도록 예배용 설정자세가 되도록 위치시킨다(스텝 9).Thereafter,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taken out to the setting position of the worship part 3 so that the specified ash containing part IS becomes the worship setting posture so that the facing face for the worship is directed to the outer side (worship side) (Step 9).

상기 반송작동에 있어서, 이송재치장치(10)에 의한 동작은, 각 수납부(1)로부터의 승강대(9)위로 이송재치동작, 및 승강대(9) 위에서 각 수납부(1)로 이송재치동작은, 재빨리 행해지는 구성으로 해서, 능률있게 반송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the carry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apparatus 10 is performed by a conveyance placement operation on the platform 9 from each storage section 1 and a conveyance placement operation from the platform 9 to each storage section 1 Is configured to be quickly carried out, so that the carry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그에 대해, 예배부(3)에 대한 이송재치동작은, 수납부(1)에 대한 이송재치속도보다도 저속으로 천천히 행하여지도록 동작속도가 설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speed is set so that the transfer mounting operation for the wobbling section 3 is performed slowly at a lower speed than the transfer mounting speed for the storage section 1. [

이와 같이하여, 예배자가 반출작동되고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더라도, 예배자와 친근한 고인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는 수납체(ST)를 소중하게 취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 예배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안정된 기분으로 예배를 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In this way, even if the worshiper can see the state in which the worshiper is operating, it shows that the worshiper and the close-up of the familiar deceased person (ST) are dealt with treasuredly. To be able to do.

또한, 이때, 유골수납부(IS)의 칸막이판(26)에 부착되어 있는 바 코드(27b)의 식별정보가 바 코드 리더(33b)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된 식별정보가, IC 카드(C)에서 판독된 식별정보와 합치하는지 아닌지 판단되고(스텝 11), 이들 식별정보가 합치하지 않으면, 회동조작에 잘못이 있다고 판단해서 이송재치장치(10)로 되돌려지고, 재차 카드리더(31)에서 인식된 식별정보로부터, 대응하는 유골수납부(IS)가 설정위치가 되도록 지정해서 회동조작하게 된다(스텝 12).At this ti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r code 27b attached to the partition plate 26 of the ash storage unit IS is detected by the bar code reader 33b, and the det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C card (Step 11). If these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not agree with each o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mistake in the turning operation,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conveying and placing apparatus 10, (Step ST12). In the step ST12, the corresponding ash storage section IS is set to be the set position.

그리고, 상기 식별정보가 합치하면, 조광유리(G)에 대해서 전압을 인가시키고, 가시상태로 전환한다(스텝 13). 이와 같이하여, 예배자가 수납체(ST)를 볼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matche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light control glass (G) to switch to a visible state (step 13). In this way, the worshiper can see the receptacle ST.

유골에의 예배(묘지참배)가 끝나 종료스위치(29)가 조작된 것을 판별하던지 또는 IC 카드(C)가 삽입되었을 때부터 설정시간이상 경과한 것이 판별되면, 종료를 지령하게 된다(스텝 14,15,16). 종료가 지령되면, 조광유리(G)에 대해서 전압인가를 정지시키고, 예배부(3)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로 전환하여, 예배가 종료한 수납체(ST)를 원래의 수납부(1)까지 반송시켜(스텝 17,18), 반송동작을 종료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worship service (cemetery visit) ends and the end switch 29 is operated or the IC card C is inserted, the end is instructed (step 14, 15,16). The voltage application to the light control glass G is stopped and the inside of the worship part 3 is switched to the invisible state so that the accommodating body ST in which worship has been complete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accommodating part 1, (Steps 17 and 18), and the conveying operation is terminated.

또, 계속하여 다른 수납체(ST)를 참배하고 싶을 때는,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다른 IC 카드로 다른 수납체(ST)를 지정하게 된다(스텝 19).When the user intends to continue to visit another housing ST, another housing ST is designated by another IC card until the set time elapses (step 19).

그래서, IC 카드가 삽입되고, 종료스위치(29)가 조작되면, 조광유리(G)에 대해서 전압인가를 정지시켜서, 예배부(3)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어, 예배가 종료한 수납체(ST)를 원 수납부(1)까지 반송시켜(스텝 20,21,22), 스텝 4로 이행해서, 새롭게 지정된 수납체(ST)를 그것이 수납보관되는 수납부(1)에서 예배부(3)를 향하여 반송시키게 된다.Thus, when the IC card is inserted and the end switch 29 is operated, the voltage application to the light control glass G is stopped, the inside of the worship part 3 is switched to the invisible state, The body ST is transferred to the original housing unit 1 (steps 20, 21 and 22)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 The newly designated housing body ST is transferred from the housing unit 1, 3).

상술한 것처럼, 유골에의 예배가 종료한 후에, 종료 스위치(29)의 조작을 잊어버린 경우에도, 설정시간 이상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예배대상으로서의 수납체(ST)가 원수납부(1)로 되돌려서, 안치되게 되고, 예배부(3)에 그대로 남아있는 일이 없고, 다음 예배자가 관계도 없는 다른 유골을 잘못 예배하는 등의 불상사도 발생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end switch 29 is forgotten after worship of the ashes is finished, the accommodating body ST as the worship object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raw water payment portion 1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re is no worry that the worshiper will not be left in the worship department (3), and the next worshiper will not worship another ashes without relation.

[실시의 다른 형태][Other Modes of Implementation]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조작 수단(DO)이 반송장치(H)측에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술한 구성과 같은 회동조작수단(DO)을 예배부(3)측에 구비하는 구성도 좋다. 또한 이 구성은 예배부(3)의 주벽부(15)에 대해서 수납체(ST)가 간섭하지 않도록 빈 스페이스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회동 조작한 뒤에 수납체(ST)를 재치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조작수단(DO)을 예배차(3)측에 수평이동시키는 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DO is provided on the transport apparatus H side is exemplified. However, instead of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6, DO) may be provided on the worship part 3 side. This configuration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blank space so that the accommodating body S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ircumferential wall 15 of the worship unit 3, A mechanism for horizontally moving the means DO to the worship car 3 side may be provided.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체(ST)에 구비된 4개의 유골 수납부의 각각이, 그 예배부대면부가 90도 회동 조작된 경우에 항상 동일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예컨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어느 복수의 유골 수납부(IS)가 각각 예배용 대면부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수납체(ST)에 배치되고, 남은 다른 복수의 유골 수납부(IS)가, 예배용대면부가 180도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해도 좋다.(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of the four ash storage compartment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configured so as to always be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worship side surface portion is rotated by 90 degrees. As shown in FIG. 17 for example, instead of the same structure, a plurality of ash storage compartments IS are arranged in the housing body ST so that the ward-facing parts face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I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facing surface for worship is directed 180 degree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facing surface.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구조이면, 동일 방향을 향하고 있는 유골 수납부(IS)중 다른 것을 예배하는 경우에는 예배부(3)에 대한 설정위치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위치가 벗어나 버리기 때문에 예컨대, 제18(a)도, 제18(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배부(3)의 재치가능한 영역을 넓게함과 동시에 예배부(3)에 대한 반출작동을 실행할 때의 이송재치장치(10)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반출되도록 하여도 좋다.With such a structure, if the other of the ash storage compartments IS facing the same direction is worshiped, the position is shifted from the se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worship bundle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8 (a) and 18 (b), the wiping area of the wobbler 3 is wid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wobbler 3 is moved The position of the placement device 10 may be shifted and carried out.

또, 이와 같은 구성의 수납체(ST)를 이용하여,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 회동 조작 수단(DO)을 예배부(3)측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경우에는, 수납체(ST)를 회동 조작한 뒤에 수납체(ST)를 재치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 조작 수단(DO)을 예배자측으로 수평 이동 시킴과 동시에 이송재치장치(10)의 가로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키는 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In the case of using the housing S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provide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DO on the side of the wobbling section 3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6, The turning operation means DO is horizontally moved toward the worshiper in a state in which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mounted and supported after the housing body ST is rotated and horizontally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nsporting apparatus 10, A mov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3) 상기 수납체(ST)의 유골 수납부의 배치 구성으로서 제19도에 도시하는 구성도 좋다. 즉, 상기 실시 형태의 각 유골 수납부(IS)의 윗방향으로 복수단 겹쳐서 유골수납부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수납체(ST)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배부(3)에 있어서, 수납체(ST)의 상하위치를 조정하는 기구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던지, 또는 예배자에게 대면하는 복수의 유골 수납부에 대해서 따로 따로 조광유리 등의 시계억제수단(Y)을 설치하기도하여 대응하게 된다.(3) The structure shown in Fig. 19 may be also adopted as the arrangement of the ashes housing part of the housing ST. In other words, the ash coll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verlapping portion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respective ash collection units IS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case of using the accommodating body S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up-and-down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used in the worship part 3 or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ashe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lock suppressing means Y such as dimming glass separately for the payment.

(4) 또, 수납체(ST)의 유골수납부(IS)의 배치구성으로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가지 유골수납부(IS)를 각각의 예배용 대면부가 서로 180도 다른 방향이 되도록 서로 맞대는 구성도 좋다.(4) As shown in FIG. 20, the two ash storage compartments I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180 degrees from each other as the arrangement of the ash collection unit IS of the housing S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y are opposed to each other.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골수납부(IS)로서의, 당집모양의 외관을 가지고 있는 아래방향 개방형의 유골보관부(18)를 구비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유골상자나 유골단지를 직접, 반출입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5)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tructure is provided with the downward-opening osseous bones storage section 18 having the shape of a sugar-cane as the ash collection section IS. Instead of such a structure, May be directly carried in and out.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유골 수납부(IS)를 나누는 구성으로서, 수납체(ST)에 칸막이판(26)이 구비되는 구성이었지만, 예배부(3)의 천장부를 통해서 하강해서 작용위치에 설정되고, 윗방향측으로 밀어냄으로서 비작용 위치가 되도록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하는 칸막이부재가 예배부(3)에 설치하는 구성도 좋다.(6)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rtitioning plate 26 is provided on the accommodating body ST as a structure for dividing the ash storage units IS. However, the partitioning plate 26 can be lowered through the ceiling of the worshiping unit 3, And a partitioning memb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mechanism so as to be in the non-acting position by pushing it to the upper direction side may be provided in the worship part 3. [

(7) 또, 상기 각 유골 수납부(IS)를 나누는 구성으로서, 수납체에 있어서 대좌에 칸막이판을 설치하는 경우나, 예배부측에 설치되는 구성 대신에, 예컨대, 제2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납체(ST)에 구비된 각 유골 수납부(IS)로서, 예배용 대면부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개방된 거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되고, 그것들의 예배용 대면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이 상자모양의 유골수납부의 이웃하는 것 끼리에 대한 외벽면이, 칸막이부로 작용하는 구성도 좋다.(7) Further, as a configuration for dividing each of the ash storage units IS, instead of the partition plate provided on the pedestal of the accommodating body or the constitutio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rvice luggage compartment, Similarly, each of the ash storage units IS provided in the housing ST is configured to have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shape opened to the inside so as to be able to see the inside thereof, and arranged such that the facing surfaces thereof face each other The outer wall surfaces of adjacent box-shaped ash storage parts may act as a partitioning part.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광 유리(G)의 아래방향측이 개방되고, 정수를 산수할 수 있게 구성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대신하여, 조광 유리(G)를 예배부의 전면부의 전영역을 덮는 상태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8)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ower side of the light adjustment glass G is opened and the integer can be multiplied. However, instead of this structure, Or may be installed in a covering manner.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배부의 시각억제수단(Y)으로서 조광 유리(G)가 이용되고, 납골용 반입부(55)의 시각 억제 수단(Y)으로서 문짝이 사용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대신하여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배자가 예배부(3)의 내부를 볼 수 있게하는 가시상태와, 예배자가 예배부(3)의 내부를 보는 것을 억제하는 불가시상태로 전환 가능한 시각억제수단(Y)의 다른 예로서 양쪽여닫이 구조의 문짝(50)을 설치하는 구성도 좋다.(9)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ght-shielding glass G is used as the viewing restraining means Y of the worship part and the door is used as the visual restraining means Y of the carrying-in part 55. However, 21, a visible state in which the worshiper can see the inside of the worship part 3 and an invisible state in which the worshiper is prevented from seeing the inside of the worship part 3 is switched to an invisible state As another example of the possible visual restraining means Y, there may be provided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s 50 of both hinged structures are provided.

이 문짝(5)은, 수동으로 조작하는 구성도 좋고, 또는 전동 모터 등의 구동수단으로 자동으로 개폐조작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시각억제수단(104)에 의한 제어에 의거 자동적으로 개폐하도록 해도 좋다.The door 5 may be manually operated, or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time restraining unit 104, which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 driving means such as an electric motor.

또 커텐이나 블라인드형식의 시각억제수단을 이용해도 좋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urtain or blind type visual restraining means.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체(ST)가 예배를 위한 예배부(3)에 놓여 있을 때에만 상기 시각억제수단(Y)을 가시상태가 되도록, 그 시각 억제수단(Y)을 가시상태와 불가시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나는 시각억제용의 제어수단(104)이 설치되는 구성이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예컨대, 수납체(ST)가 예배부(3)에 놓여있는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을 설치하고 이 알림에 따라 수동조작으로 불가시상태로부터 가시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을 하여도 좋다.(1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isual restraining means Y is placed in a visual state only when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placed on the worship part 3 for worship, And the visual restraint control means 104 is provide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ver to the invisible state. However, in place of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a notification means (not shown) for notifying that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placed on the worship portion 3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from the invisible state to the visible state by manual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otification.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체(ST)에 산수부(19)가 설치되고, 정수로 보통물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정수로써 각종 향기를 넣은 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수납체(ST)에 이와 같은 산수부(19)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1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rrangement body ST is provided with the arithmetic unit 19 and water is used as the constant water. However, water in which various aromas are added as the constant may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rithmetic unit 19 is not provided in the housing ST.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IC 카드(C)의 삽입과 수반하여, 예배자에 관한 식별 정보가 자동적으로 판독되고, 반송 개시가 지령되는 구성으로서, 조작의 번거로움을 극력 적게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다음과 같은 구성도 좋다. 예컨대, IC 카드(C)의 식별정1보가 판별된 뒤에 반송개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반송 개시가 지령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 IC 카드(C)를 대신하여, 예배자의 식별정보를 키보드로 입력하는 구성도 좋다.(1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s such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worship person is automatically read and the start of conveyance is instructed with the insertion of the IC card C, thereby minimizing the troublesome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also applicable.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the carriage start is instructed by operating the carriage start switch after the discrimination of the identification card of the IC card C is discriminated. Alternatively, instead of the IC card C, The input configuration is also good.

또, IC 카드(C)를 이용하는 경우에 예배 날짜를 순차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구성도 좋다. 더욱이 IC 카드(C)에 대신하여 자기카드를 이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IC card C, the worship date may be stored sequentially. Furthermore, a magnetic card may be used in place of the IC card C.

(1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종료 스위치(29)의 조작에 수반하여, 또는 조작 개시가 지령되고 나서 설정시간 경과함에 따라 예배종료가 지령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종료스위치(29)의 조작만에 의거 종료가 지령되는 구성도 좋고, 예배 개시가 지령되고 나서 설정 시간만 경과하면 종료가 지령되는 구성도 좋다.(1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orship ending is i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nd switch 29 or after the start of the operation has been instructed. However, depending on only the operation of the end switch 29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ding is instructed,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ding is instructe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art of worshiping is instructed may be used.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수단으로 승강대위를 가로 이동하는 이송재치장치(10)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수납선반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 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자주(自走)식 반송대차에 이송재치장치(10)를 승강자유롭게 지지시킨 스텍커크레인이나, 혹은, 상하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반송로보트 등의 각종 반송 수단을 사용할수도 있다.(1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veyance device 10 for transversely moving the platform is provided as the conveying mea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Such as a stacker cran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transfer device 10 on a self-propelled conveyance truck, or a conveying robot capable of mov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상기 보관부 본체를 복수의 수납선반이 병렬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하고, 각 수납선반을 그 병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해서, 각 수납선반 사이에, 상기 반송수단을 선택적으로 이동조작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형태도 좋다.Wherein the storage section main body is configur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shelv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each storage shelf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parallel direction so that the transfer means can be selectively moved It is also good form.

(1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선반이 전후 한쌍 설치되는 있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한 개의 수납선반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좋고, 또, 수납선반으로써, 상하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수납부가 병렬되는 구성을 대신하여, 가로방향으로만 복수의 수납부가 병렬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고, 또한, 상하방향으로만 수납부가 병렬배치된 구성도 좋다.(15) In the above embodiment, there is shown a case in which the storage shelves are provided in pair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However, the storage shelves may be constituted by one storage shelf and the storage shelve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torage unit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1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배부가 한 곳에만 설치된 구성이지만, 예컨대,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일한 수납선반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고, 복수의 예배부(3)를 설치하는 구성도 좋고,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후 각 수납선반(2,2)에 각각 예배부(3,3)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25도, 제2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 위치를 다르게 하여 한쪽 예배부는 건물의 1층 부분에 대응하고, 다른 한쪽의 예배부는 2층 부분에 대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16)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orship part is provided in only one place. However, as shown in Fig. 22,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worship parts 3 are provided with the sam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ame storage shelf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3, the front and rear storage shelves 2 and 2 may be provided with worship parts 3 and 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5 and FIG. 26, the one worship part may correspond to the first floor part of the building, and the other worship part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floor part with different vertical positions.

게다가, 이와같이 예배부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각 수납체의 반송제어구성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In addition, in the constitution including the worship s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ance control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accommodating bodies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또한, 반송제어수단(101)은 예배부를 복수의 예배부(3)의 각각과, 각 수납체(st)에 복수의 유골 수납부의 각각을 따로따로 대응시켜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각 유골 수납부(IS)의 각각을 따로 따로 대응하는 예배부(3)에 대해서 반송해야할 상기 반송장치(H) 및 상기 회동조작수단(DO)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고, 게다가, 상기 예배부(3)와 유골 수납부(IS)와의 대응시킨 관리정보에 의거, 상기 복수의 예배부(3)의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해둔 설정 회동동작을 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체(ST)를 반송시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onveyance control means 101 controls the worship distributing section 3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orship distributing sections 3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sh storage sections to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bodies st, IS and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H and the turning operation means DO which are to be carried separately to the corresponding worship part 3. The worship part 3 and the ashes And is configured so as to carry and control the accommodating body ST in a state in which the setting rotation operation set in advan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rship sections 3 is performed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ection IS .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제2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컨대, 수납체(ST)위에 2종류의 유골 수납부(IS)가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수납체(ST)의 소정위치의 유골 수납부(IS), 예컨대, 유골 수납부(IS)(A)는, 어느 한쪽이 예배부(3A)에 대해서만 반출되도록 반송제어되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유골 수납부(IS)(B)는 다른쪽 예배부(3B)에만 반출되도록 반송제어가 실행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24, for example, two types of ash storage units IS are arranged on the storage unit ST, and the ash storage unit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ST (IS) A, for example, the asbestos containing portion IS is conveyed and controlled such that only one of them is carried out to the worship portion 3A, and the ash- The transporting control is performed so as to be carried out only to the portion 3B.

그 결과, 각 예배부(3A, 3B)에의 장식을 각기 다른 종파를 달리 해서, 그 종파에 대응하는 유골 수납부(IS)를 각 수납체(ST)의 소정위치에 설치보관 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반송 실수가 적은 상태에서 항상 일정한 곳에서 예배를 할 수가 있다. 게다가, 한쪽의 예배부(3A)에 대해서는, 수납부에 대한 수납위치와 동일한 자세로 그대로 반출시키는 반출 형태로 좋고, 다른쪽 예배부(3B)에 대해서만 회동조작수단(DO)에 의한 회동조작을 행하면 좋고, 수납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반송 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rrange to store the ash collection section IS corresponding to the denomination of the worship division 3A or 3B at different positions in different positions of different housewares ST, With few mistakes, you can always worship at a certain place. In addition, the worship part 3A on one side may be taken out in a state of being carried out as it is in the same posture as the receiv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and a turning operation by the turning operation device D0 may be performed only on the other worship part 3B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arrying efficiency while improving the carrying efficiency.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수납체(ST)에의 유골 수납부(IS)의 수납수는 2개로 한정하는게 아니라, 3개이상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ash storage units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body ST is not limited to two, but three or more may be stored.

(17) 더욱이,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일한 수납선반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하여, 복수의 예배부(3)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제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예배부(3A, 3B)에 대응해서 따로따로 예배실(70A, 70B)을 형성해서, 각 방마다 각각 문짝(72A, 72B)을 설치하는 상태에서, 중앙의 칸막이부(71)로 칸막이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이 칸막이부(71)를 어코디온 커텐등의 신축이 자유로운 부재나 혹은 부착하고 벗기기 자유로운 벽체를 이용하여, 예배자가 많은 경우에는, 각 방(701, 70B)를 연결하는 1방으로써 이용할 수 있게 하는등, 사용자의 사람수에 맞게 사용 구분하여도 좋다.(17) Furthermore, as shown in FIG. 28,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worship units 3 are provided with different posi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ame storage rack,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A wardrobe 70A or 70B is formed separately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worship parts 3A and 3B so that the partition 72 is partitioned by the central partition part 71 in a state in which the doors 72A and 72B are provided for each room, And the partition 71 is used as a flexible member such as an accordion curtain or a wall that can be peeled off and attached to the wall 71. When there are many worshipers,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of the user.

Claims (16)

유골을 수납하는 유골수납부를 구비한 복수의 수납체를, 따로따로 수납보관이 자유로운 복수의 수납부를 구비한 보관부 본체와, 상기 수납체가 반출되는 예배부와, 상기 각 수납부와 상기 예배부의 사이에서 상기 수납체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이 구비되고, 예배대상에 상응하는 유골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체를, 상기 반송수단에 의해 상기 예배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납골보관장치로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유골수납부를 복수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유골수납부가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수납부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예배부에 배치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골수납부의, 예배자와 대향하는 부분인 예배용 대면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납골 보관장치에는 상기 수납체를 종축심 둘레에서 회전시키는 회동조작수단이 설치되고, 이 회동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예배부의 설정장소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각 유골수납부의 예배용 대면부가, 예배자측으로 대향하는 예배용 설정자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A storage unit body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having an ash collection unit for storing ashes and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that can be separately stored and stored; a worship unit to which the storage unit is taken out; Wherein the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carrying means for carrying the housing body and carrying the housing body provided with the ashes hous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worship object to the worship part by the carry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ashtray housings, wherein the plurality of ashtree housing units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housing unit in a plan view, and when the ashtray housing units are arranged in the worship unit, And the wristbear reten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operation portion for rotating the accommodating body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Wherein the ward-side facing portion of the selected ash-bone containing portion selected at the setting place of the worshiping portion is disposed at a worshiping setting posture opposed to the worshiper side by the turning oper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이 상기 수납부와 상기 예배부에 대하여, 상기 수납체를 이송재치하는 물품이송재치장치와, 이 물품 이송재치장치를 상기 수납부가 나열되어 있는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조작수단은, 상기 물품 이송재치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수납체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means comprises: an article transferring device for transferring and mounting the accommodating body to and from the storage portion and the worship portion; Wherein the pivoting operation means pivots the accommodating body supported by the article transfer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수단은 상기 예배부에 반출된 상기 수납체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operation means rotates the accommodating body carried out to the worship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에는 서로 이웃한 2개의 유골 수납부 사이를 나누는 칸막이부가 설치되고, 어느 유골 수납부가 상기 예배부의 설정장소에 있어서 상기 예배용 설정자세로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유골 수납부와 예배자와의 사이가 나누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A w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said accommod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partitioning portion for partitioning between two adjacent ash collection units, and wherein the ash collection unit is set in said setting position for worship Wherein the ashtray storage unit and the worship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et state.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 상기 어느 유골수납부가 상기 예배부의 설정장소에 있어서 예배용 설정자세로 설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유골수납부와 예배자와의 사이를 나누는 작용상태와, 바깥방향으로 멀어지는 비작용상태로 전환이 자유로운 칸막이부재가, 상기 예배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A w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ccommodat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sh collection unit is set to the worship setting posture at the setting place of the worship unit, And a partitioning member which is free to be switched to a non-operating state away from the outward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worship storage unit.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본체는, 상기 수납부가 세로 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보관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한쌍의 보관부분 사이에서 상기 반송수단의 배치설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띄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orage portion has a pair of storage portion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and between the pair of storage portions, And is spaced apart to form a layout setting space.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납체의 각각을 특정한 식별정보, 및 각 수납체에 있어서 복수의 유골수납부의 각각을 특정한 식별정보와, 복수의 수납부의 위치정보를 대응시켜서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수단 및 상기 회동조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반송제어수단과, 예배대상이 되는 유골수납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반송제어수단은, 예배의 개시지령에 의거,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유골 수납부가 재치된 수납체를,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예배부에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지정된 유골수납부가 상기 예배부의 설정 장소에서 예배대상 자세로 위치하도록 상기 회동조작수단을 제어하고, 예배 종료지령에 의거, 상기 지정된 수납체를 상기 예배부에서 상기 수납부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bodies is provided with 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pec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sh storage sections in each accommodating body, A transf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transfer means and the rotation operation means and the designation means for designating the ash collection means to be worshiped are provided,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housing body on which the ashtray housing portion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is placed is transferred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o the worship portion on the basis of the i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turning operation means to be positioned in the target posture, and based on the worship end command, causes the specified accommodation body to be moved from the worship unit to the accommod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eans so as to convey the object to be convey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배부가 이간하는 상태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반송제어 수단은, 복수의 예배부의 각각과,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 복수의 수납부의 각각과를 따로 따로 대응하게 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각 유골 수납부의 각각을 따로따로 대응하는 예배부에 대하여 반송해야할 상기 반송수단 및 상기 회동조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worship portions ar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transfer control means manages each of the plurality of worship portion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in the housing body separately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conveying means and the turning operation means which are to be conveyed to the corresponding worship distributing portions, respectively, of each of the ash storage compartme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제어수단은, 상기 예배부와 유골 수납부를 대응하게한 관리 정보에 의거, 상기 복수의 예배부의 각각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설정회동동작을 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수납체를 반송시키도록, 상기 반송수단 및 상기 회동조작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9.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in the state in which the set rot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advan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obble sections, based 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 which the worship section and the ash- Wherein said control means controls the operation of said conveying means and said turning operation mea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 수납부에, 그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지시부가 설치되고, 그 지시부에 표시되는 식별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이 상기 예배부에 설치되고, 이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예배부의 설정장소에 있어서 예배대상 자세로 위치하는 유골수납부가, 상기 지정수단에서 지정된 유골수납부인지 아닌지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aspheric containing section is provided with an indication section for display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dication section is provided in the worship distribution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sh storage unit located at the worship object position at the setting place of the worship unit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whether or not the ash collection unit is designated by the designation means.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예배부의 전면부에, 예배자가 예배부의 설정장소에 위치하는 유골 수납부를 볼 수 있게 허용하는 가시상태와, 예배자가 예배부의 내부를 보는 것을 억제하는 불가시상태로 전환가능한 시각억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A w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visible state allowing the worshiper to see the ashes housing part located at the setting place of the worship part; and a visible state for allowing the worshiper to see the inside of the worship part And a time restraining means capable of being switched to an invisibl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억제수단이, 개폐가 자유롭게 문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urn-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visual restrain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doo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fre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억제수단이, 투시 가능한 상태와 투시를 억제하는 투시억제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urn-h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visual suppression means is constituted by a glass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viewable state and a perspective suppression state for suppressing perspectiv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 수납부가 예배를 위하여 상기 예배부에 위치할때에만, 상기 시각 억제수단을 가시상태로 되도록, 그 시각 억제 수단을 가시상태와 불가시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시각상태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visual-sta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visual-state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visual-restraining unit to a visible state and an invisible state so that the visual restraining unit is in a visible state only when the ashes housing storage unit is located in the worship- Wherein the means for retaining the earthenware is provided.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 수납부는, 정수가 산수되고, 그 정수를 낙하배출하는 산수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예배부에는 상기 산수부에서 낙하 배출된 정수를 회수하는 회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sh bearing housing has arithmetic units for dividing the integer and for dropping and discharging the integer,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llected uri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산수부는, 습기를 조정할 수 있는 석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보관장치.16. The urn retai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arithmetic unit is made of stone capable of adjusting moisture.
KR1019960021775A 1996-06-17 1996-06-17 Charnel custody apparatus KR100221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775A KR100221044B1 (en) 1996-06-17 1996-06-17 Charnel custod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775A KR100221044B1 (en) 1996-06-17 1996-06-17 Charnel custod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55A KR980002555A (en) 1998-03-30
KR100221044B1 true KR100221044B1 (en) 1999-09-15

Family

ID=19462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775A KR100221044B1 (en) 1996-06-17 1996-06-17 Charnel custod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0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877A (en) * 2000-05-03 2000-09-05 박기병 Ashesbox la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55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01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ded, self-service transfer of articles
US8641353B2 (en) System for storing and retrieving shoes
US10982461B2 (en) Storage facility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TWI742261B (en) Storage facility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JP3332137B2 (en) Bone storage device
KR100221044B1 (en) Charnel custody apparatus
CN209168270U (en) Mobile storage and extraction system
KR100219114B1 (en) Charnel custody apparatus
JPH09137637A (en) Cinerary storing device
JP3100031B2 (en) Bone storage device
JP7168040B2 (en) Storage facility for worship objects
WO2016068314A1 (en) Book handling device and book return device
KR100219113B1 (en) Charnel custody apparatus
JP2016088641A (en) Book handling device
JP6494247B2 (en) Book return device
JPH09317247A (en) Mausoleum/chapel equipment
JP2002004636A (en) Cinerary storage device
TWI778177B (en) Storage facility for object of paying of respects
JP3757251B2 (en) Automatic ossuary system
JPH10102824A (en) Ashes-laying and storing device
KR200376872Y1 (en) Gravestone having a image display function and ashes management system
JP2007262709A (en) Grave-visiting system
JPH0726792A (en) Multistory graveyard
BE820758A (en) Automatic distribution of clean garments - with control unit permitting recovery of a coded garment by inserting a coded card
ITUB20153030A1 (en) APPARATUS FOR TEMPORARY STORAGE OF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