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716B1 -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716B1
KR100220716B1 KR1019950037783A KR19950037783A KR100220716B1 KR 100220716 B1 KR100220716 B1 KR 100220716B1 KR 1019950037783 A KR1019950037783 A KR 1019950037783A KR 19950037783 A KR19950037783 A KR 19950037783A KR 100220716 B1 KR100220716 B1 KR 10022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food
rotating
resistor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982A (ko
Inventor
정문종
안성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3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716B1/ko
Publication of KR97002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thaw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동기능을 가진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시간별로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동모터의 구동시에 회전하는 회전자위치를 검출하여 회전접시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과, 상기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는 고주파검출수단과, 상기 고주파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고주파량에 따라 퍼지추론을 수행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판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시간별로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회전접시의 회전위치별로 마그네트론의 발진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을 균일하게 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렌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회전자취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의 제어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구성부분의 상세한 회로도.
제5(a)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출력파형도.
제5(b)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그네트론의 신호입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조리실 5 : 고압트랜스
7 : 마그네트론 9 : 도파관
11 : 회전접시 15 : 구동모터
17 : 회전자 19 : 마이크로스위치
20 : 직류전원수단 25 : 조리입력수단
30 : 제어수단 35 : 고주파검출수단
40 : 위치감지수단 45 : 마그네트론구동수단
50 : 표시수단
본 발명은 해동기능을 가진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시간별로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여 음식물의 중량(구체적으로는, 해동량)을 검출하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의한 전자렌지에 있어서는 본체내부 일정부위에 형성된 조리실내의 회전접시상에 해동하고자 하는 음식물(해동물)을 재치한다음 해동버튼을 선택하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가 도파관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내로 유입분산된다.
이때, 상기 조리실내로 유입분산된 고주파는 조리실의 구조체인 금속벽에 의해 반사되어 여러 방향으로부터 음식물에 인가되거나 직접 음식물에 인가되기도 하면서 상기 회전접시상에 재치되어 회전하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가 조리실내에 유입분산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때, 음식물에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음식물에서 흡수하고 난 잔류고주파가 음식물의 중량에 반비례하여 발생하는데, 이를 고주파센서에서 감지하여 그 감지된 고주파에너지에 비례하는 전압을 제어부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고주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고주파전압의 전기신호를 일정시간(약, 10초정도)동안 입력받아 이들의 평균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판단하고, 음식물의 중량에 적합한 조리시간을 산출하여 조리코스(해동코스)를 진행한다.
그러나, 음식물의 형태가 완전대칭이 아니므로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고주파센서에서 감지하는 고주파신호에 차이가 있으나, 종래에는 회전접시의 회전위치별 고주파신호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단지 일정시간(약, 10초정도)동안 고주파센서에서 감지하는 고주파신호의 평균값을 가지고 음식물의 중량을 판단하므로 동일한 음식물의 중량인데도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다른 레벨의 전기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음식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시간별로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접시의 회전위치별로 마그네트론의 발진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을 균일하게 해동시킬 수 있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는 음식물을 재치하도록 일정공간이 형성된 조리실과, 고주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가 음식물에 전달되도록 회전하는 회전접시와, 상기 회전접시가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에 회전하는 회전자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접시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과, 상기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는 고주파검출수단과, 상기 고주파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고주파량에 따라 퍼지추론을 수행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판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리실(3)은 음식물(F)에 가해지는 열원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내부 일정부위에 형성되어 음식물(F)를 재치하고, 상기 조리실(3)의 우측하단부에는 고압트랜스(5)가 장착되어 고압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고압트랜스(5)의 상부에는 마그네트론(7)이 장착되어 상기 고압트랜스(5)로부터의 고압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발생하고, 상기 마그네트론(7)의 좌측하단부에는 마그네트론(7)에서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조리실(3)내로 안내시키도록 도파관(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3)의 하단부에는 회전접시(11)가 장착되어 상기 마그네트론(7)의 구동시에 조리실(3)내의 음식물(F)을 회전시킴으로써 음식물(F)이 고르게 조리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접시(11)의 하단에는 회전접시(11)를 지지하는 회전접시롤러(1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접시롤러(13)의 하단에는 상기 마그네트론(7)의 구동시에 상기 회전접수(11)를 회전시키기위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5)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15)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5)의 회전시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90의 간격으로 4개의 날개(18)를 구비한 회전자(17)의 상기 구동모터(15)의 축(16)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17)와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구동모터(15)의 하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구동모터(15)의 회전시에 변화하는 회전자(17)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접시(11)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회전접시(11)의 1회전시마다 4차례 온동작하는 마이크로스위치(19)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리실(3)의 좌측하단에는 상기 회전접시(11)상에 재치되는 음식물(F)의 중량에 따라 반비례적으로 변화하는 고주파를 검출하는 고주파센서(3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렌지의 조리동작을 제어하기위한 블록도를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류전원수단(2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전자렌지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조리입력수단(25)은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기능(조리시간, 조리메뉴, 전자렌지의 출력, 조리동작의 시작/정지 등)을 입력하도록 다수의 기능키가 콘트롤판넬상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30)은 상기 직류전원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전자렌지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조리입력수단(25)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조리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써, 이 제어수단(30)은 상기 회전접시(11)의 회전위치에 따라 시간별로 변화하는 상기 고주파센서(35)에 의해 검출된 고주파량을 입력받아 퍼지추론을 수행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판단하고, 음식물(F)의 중량에 적합한 조리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고주파검출수단(35)은 상기 조리실(3)내에 재치된 음식물(F)의 중량에 따라 반비례적으로 변화하는 고주파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하는 구조파센서로써, 이 고주파검출수단(35)은 상기 조리실(3)내의 회전접시(11)상에 재치된 음식물(F)을 투과한 고주파량에 따라 일정전계를 형성하는 안테나(36)와, 상기 안테나(36)에 형성된 전계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성분(2450MHz의 기본파를 제외한 저주파특성)을 필터링하는 저항(R1) 및 캐패시터(C1)와, 상기 안테나(36)에 형성된 전계에 포함되어 있는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상기 안테나(36)의 전계를 전압레벨로 변화시키는 고주파검파 다이오드(SBD1)와 ,상기 고주파검파 다이오드(SBD1)에 의해 변화된 전압레벨에 포함되어 있는 리플성분을 필터링하는 저항(R3) 및 평활용 캐패시터(C2)와 상기 저항(R3) 및 평활용 캐패시터(C2)에 의해 필터링된 전압레벨을 상기 제어수단(30)의 입력단자(A/D)에 출력하는 저항(R4)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감지수단(40)은 상기 구동모터(15)의 구동시에 회전하는 회전자(17)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접시(I1)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이 위치감지수단(40)은 상기 구동모터(15)의 구동에 의한 회전자(17)의 1회전시 즉, 상기 회전접시(11)의 1회전시마다 상기 회전자(17)의 날개(18)에 의해 4차례 온동작하는 마이크로스위치(19)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9)의 온시에 상기 직류전원수단(20)으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5V)에 포함되어 있는 리플성분을 필터링하는 저항(R5) 및 평활용 캐패시터(C3)와 상기 저항(R5) 및 평활용 캐패시터(C3)에 의해 필터링된 직류전압을 상기 제어수단(30)의 입력단자(11)에 출력하는 저항(R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마그네트론구동수단(45)은 상기 조리입력수단(25)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마그네트론(7)의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릴레이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수단(50)은 상기 조리입력수단(25)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조리시간이나 조리메뉴등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전자렌지에 전원이 공급되면, 직류전원수단(2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상기 전자렌지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수단(30) 및 각 구동회로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직류전원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전자렌지를 조리동작에 맞게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조리실(3)내의 회전접시(11)상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F;해동하고자 하는 해동물)을 재치한 다음 조리입력수단(25)의 시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마그네트론(7)의 구동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마그네트론구동수단(45)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구동수단(45)에서는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원이 고압트랜스(5)에 인가되어 고압을 발생하도록 릴레이를 온시킨다.
상기 릴레이가 온되면, 마그네트론(7)에서는 고압트랜스(5)로부터의 고압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발생하고, 상기 마그네트론(7)에서 발생된 고주파는 도파관(9)을 통해 조리실(3)내로 안내되어 분산된다.
상기 조리실(3)내로 분산된 고주파는 조리실(3)의 구조체인 금속벽에 반사되어 음식물(F)에 인가되기도 하고, 직접 음식물(F)에 인가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회전접시(11)의 저면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15)가 구동하여 회전접시(1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접시(11)상에 재치되어 회전하는 음식물(F)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마그네트론(7)에서 발생된 고주파가 음식물(F)에 입사되어 음식물(F)을 가열시키는데 손실될 때, 음식물(F)에 흡수되지 않거나 음식물(F)을 투과한 고주파(음식물에서 흡수하고 난 잔류고주파)가 음식물(F)의 중량에 반비례하여 발생하는데, 고주파검출수단(35)에서는 구동모터(15)에 의한 회전자(17)의 1회전시 즉, 상기 회전접시(11)의 1회전시에 회전자(17)의 날개(18)에 의해 제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로스위치(19)가 최초에 온되는 순간(REFO;기준펄스)을 기준으로 마이크로스위치(19)가 연이어 4차례 온되는 순간(P1,P2,P3,P4)에 음식물(F)을 투과한 고주파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고주파량에 비례하는 전압을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상기 고주파검출수단(35)에서 고주파전압을 검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접시(11)상에 재치된 음식물(F)을 투과한 고주파량에 따라 고주파검출수단(35)의 안테나(36)에 일정전계가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36)에 형성된 전계에 포함되어 있는 2450MHz의 기본파를 제외한 저주파특성의 노이즈성분은 저항(R1) 및 캐패시터(C1)에 의해 필터링된다.
상기 저항(R1) 및 캐패시터(C1)에 의해 2450MHz의 기본파를 제외한 저주파특성이 필터링된 전계의 전류성분은 전류제한저항(R2)을 통해 제한되고, 상기 전류제한저항(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상기 안테나(36)의 전계는 고주파검파 다이오드(SBD1)에 의해 고주파에너지와 비례하는 전압레벨로 변화된다.
상기 고주파검파 다이오드(SBD1)에 의해 변화된 전압레벨에 포함되어 있는 리플성분을 필터링하는 저항(R3) 및 평활용 캐패시터(C2)에 의해 필터링되어 회전접시(11)의 회전위치(P1,P2,P3,P4)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전압이 저항(R4)을 통해 제어수단(30)의 입력단자(A/D)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회전접시(11)가 1회전하는 동안 각 회전위치별(P1,P2,P3,P4)로 검출된 고주파전압(VO1,VO2,VO3,VO4)의 아날로그값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고주파전압(VO1,VO2,VO3,VO4)을 회전접시(11)의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5)의 회전수(rpm)는 6rpm으로 10초에 1회전하므로, 상기 구동모터(15)의 축(16)에 연결된 회전자(17)와 회전접시(11)도 10초에 1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자(17)가 10초에 1회전한다면, 마이크로스위치(19)가 한번 온동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tl(2.5초)이므로, 상기 회전접시(11)의 1회전시 마이크로스위치(19)가 최초에 온되는 순간(기준펄스발생시간)부터 회전접시(11)의 회전위치(P1,P2,P3,P4)별로 변화하는 고주파전압을 검출하기위해 마이크로스위치(19)가 4차례 온되는데 필요한 고주파검출시간은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2(12.5초)가 소요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회전접시(11)가 1회전하는 동안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변화하는 고주파전압을 검출하는데 소요되는 고주파검출시간(t2;12.5초)과 마그네트론((7)의 발진동작을 중지하는 지연시간(t3;7.5초)을 가지고 제5(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t4(20초)주기로 기준펄스(REF0,REF1,REF2,REF3)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수단(30)에서 최초의 기준펄스(REFO)를 감지한 후, t4(20초)가 경과하면 마이크로스위치(19)의 온동작에 의해 다음의 기준펄스(REF1)가 감지되면서 회전접시(11)의 다음 1회전동안 각 회전위치별(P1,P2,P3,P4)로 변화하는 고주파전압(V11,V12,V13,V14)을 고주파검출수단(35)에서 검출하여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기준펄스(REF1)가 감지된 시점에서 회전접시(11)의 1회전동안 각 회전위치별(P1,P2,P3,P4)로 검출된 고주파전압(V11,V12,V13,V14)의 아날로그값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고주파전압(V11,V12,V13,V14)을 회전접시(11)의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각 회전위치(P1,P2,P3,P4)에서 현재의 고주파전압(V11,V12,V13,V14)과 이전의 1회전시에 검출된 고주파전압(V01,V02,V03,V04)의 차를 비교하여 시간(20초 경과후)에 따라 각 회전위치(P1,P2,P3,P4)에서 변화하는 고주파 전압의 변화량 (△P1,△P2,△P3,△P4)을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물론,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기준펄스(REF2)가 감지된 시점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검출된 고주파전압(V21,V22,V23,V24)의 아날로그값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고주파전압(V21,V22,V23,V24)을 회전접시(11)의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현재의 고주파전압(V21,V22,V23,V24)과 이전에 검출된 고주파전압(V11,V12,V13,V14)의 차를 비교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전압의 변화량 (△P1,△P2,△P3,△P4)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30)에서는 기준펄스(REF3)가 감지된 시점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검출된 고주파전압(V31,V32,V33,V34)의 아날로그값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고주파전압(V31,V32,V33,V34)을 회전접시(11)의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지정된 메모리에 저장하고, 현재의 고주파전압(V31,V32,V33,V34)과 이전에 검출된 고주파전압(V21,V22,V23,V24)의 차를 비교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전압의 변화량 (△P1,△P2,△P3,△P4)을 산출한다.
이와같이, 해동이 진행됨에 따라 음식물(F)의 상태(해동정도)가 변하고, 음식물(F)의 중량에 따라 고주파검출수단(35)에서 검출되는 고주파전압이 변화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검출수단(35)에서 검출되는 고주파전압은 회전접시(11)의 회전위치(P1,P2,P3,P4)에 따라 변화하므로 일정시간(20초) 간격으로 기준위치(기준펄스 발생시간;REF0,REF1,REF2,REF3)를 정하여 그 위치에 놓여 있을때의 시간변화에 따른 고주파전압을 검출하면, 상기 회전접시(11)의 각 회전위치(P1,P2,P3,P4)별로 정확한 고주파전압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수단(30)에서는 상기에서 산출한 고주파전압의 변화량가운데 가장 큰 값(△max)을 취하고, 최초기준펄스(REF0)에서 검출된 고주파전압의 평균값{(V01+V02+V03+V04)/4}을 가지고 퍼지추론을 수행하여 음식물(F)의 중량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음식물(F)의 중량에 적합한 조리시간을 산출하여 마그네트론(7)의 발진동작을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를 마그네트론구동수단(45)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론구동수단(45)에서는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마그네트론(7)의 구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켜 마그네트론(7)의 발진동작을 온/오프제어함으로써 회전접시(11)상에 재치되어 회전하는 음식물(F)을 균일하게 해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회전자(17)의 날개(18)를 90간격으로 4개인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자(17)의 날개(18)를 120간격으로 3개로 하거나 60간격으로 6개로 변경하여 상기 회전자(17)의 회전시에 변화하는 회전접시(11)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15)의 구동시에 회전하는 회전자(17)위치를 검출하도록 상기 회전자(17)의 날개(18)에 의해 온동작하는 마이크로스위치(19)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전자(17)의 날개(18)에 의해 발광부의 빛이 차단될 때 변화하는 수광부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온/오프동작하는 광센서를 사용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에 의하면,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시간별로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회전접시의 회전위치별로 마그네트론의 발진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을 균일하게 해동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식물을 재치하도록 일정공간이 형성된 조리실과, 고주파를 발생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가 음식물에 전달되도록 회전하는 회전접시와, 상기 회전접시가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자를 구비한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에 회전하는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접시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과, 상기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접시의 회전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고주파량을 검출하는 고주파검출수단과, 상기 회전접시의 각 회전위치에서 검출된 고주파량의 시간변화량을 감지하여 각 회전위치에서의 고주파변화량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각 회전위치에서의 고주파 변화량과 상기 회전접시의 1회전시에 검출된 고주파량의 평균값에 따라 퍼지추론을 수행하여 음식물의 중량을 판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상기 회전자의 1회전시에 상기 회전자의 날개에 의해 4차례 온동작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온시에 직류전원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5V)의 리플성분을 필터링하는 저항(R5) 및 평활용 캐패시터(C3)와, 상기 저항(R5) 및 평활용 캐패시터(C3)에 의해 필터링된 직류전압을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저항(R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검출수단은 상기 회전접시상에 재치된 음식물을 투과한 고주파량에 따라 일정전계를 형성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형성된 전계의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저항(R1) 및 캐패시터(C1)와, 상기 안테나에 형성된 전계의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상기 안테나의 전계를 전압레벨로 변화시키는 고주파검파 다이오드(SBD1)와, 상기 고주파검파 다이오드(SBD1)에 의해 변화된 전압레벨의 리플성분을 필터링하는 저항(R3) 및 평활용 캐패시터(C2)와, 상기 저항(R3) 및 평활용 캐패시터(C2)에 의해 필터링된 전압레벨을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저항(R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가 온되는 기준펄스발생순간부터 소정 시간동안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온동작시에 검출되는 고주파량을 가지고 상기 마그네트론의 발진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KR1019950037783A 1995-10-28 1995-10-28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KR10022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783A KR100220716B1 (ko) 1995-10-28 1995-10-28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783A KR100220716B1 (ko) 1995-10-28 1995-10-28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982A KR970021982A (ko) 1997-05-28
KR100220716B1 true KR100220716B1 (ko) 1999-09-15

Family

ID=1943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783A KR100220716B1 (ko) 1995-10-28 1995-10-28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7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982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8380C (en) Defrosting method for a microwave oven using an infrared sensor
CA1192619A (en) Heating apparatus of thawing sensor controlled type
EP1021067B1 (en) Microwave oven operating method
RU21222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нагревателя для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KR100220716B1 (ko)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EP076396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by using a vapor sensor in a microwave oven
KR0152151B1 (ko) 전자 렌지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8961B1 (ko) 소량 조리물의 과다조리를 방지하는 전자렌지의 제어방법
KR100346977B1 (ko) 전자렌지
KR0168128B1 (ko) 전자렌지의 제어장치
EP0954204B1 (en) Magnetron drive circuit for a microwave oven
KR100225625B1 (ko) 전자렌지의 음식물 가열온도 제어장치
KR0138606B1 (ko)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54070B1 (ko) 전자렌지의 자동조리 제어방법
JP2002181334A (ja) 加熱調理器
KR0127659Y1 (ko) 고주파가열장치
KR100320715B1 (ko) 전자레인지의부하정합방법
KR100248781B1 (ko) 전자 렌지의 운전 제어 장치
KR100341328B1 (ko) 전자렌지의 자동조리 제어방법
KR0161026B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100233442B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제어장치
KR0168187B1 (ko)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JP3821765B2 (ja) 電子レンジ
KR0133437B1 (ko) 전자레인지의 용기뚜껑 유무에 따른 추가가열시간 설정방법
KR0118078Y1 (ko)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