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089B1 - Gene for adenylate kinase 2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nucleic acid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 Google Patents

Gene for adenylate kinase 2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nucleic acid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089B1
KR100220089B1 KR1019960017039A KR19960017039A KR100220089B1 KR 100220089 B1 KR100220089 B1 KR 100220089B1 KR 1019960017039 A KR1019960017039 A KR 1019960017039A KR 19960017039 A KR19960017039 A KR 19960017039A KR 100220089 B1 KR100220089 B1 KR 10022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ak2a
adenylate kinase
sequence
expression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74931A (en
Inventor
최인성
이영희
김재화
이인애
강호범
정태화
최용경
임종순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6001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089B1/en
Publication of KR97007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0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2Transferases (2.) transferring phosphorus containing groups, e.g. kinases (2.7)
    • C12N9/1229Phosphotransferases with a phosphate group as acceptor (2.7.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7/00Transferases transferring phosphorus-containing groups (2.7)
    • C12Y207/04Phosphotransferases with a phosphate group as acceptor (2.7.4)
    • C12Y207/04003Adenylate kinase (2.7.4.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그의 유전적 결함에 의해 비구상성 용혈성 빈혈 등이 유발되는, 사람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유전자, 그의 염기 서열 및 본 유전자를 포함하여 아데닐레이트 키나제를 대장균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enylate kinase gene, including its base sequence and the present gene, in Escherichia coli,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nergy metabolism process and induces non- globular hemolytic anemia due to a genetic defect thereof. An expression vector that can be mass produced.

Description

사람의 태아 간세포에서 분리한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A 유전자와 그의 염기 서열 및 이의 발현 벡터Adenylate kinase 2A gene isolated from human fetal hepatocytes, its nucleotide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제1도는 사람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A(AK2A) 유전자를 포함한 cDNA를 클론 HAK2A의 전체 염기 서열 및 이 염기 서열로부터 예상되는 효소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the cDNA containing the human adenylate kinase 2A (AK2A) gene, the full base sequence of clone HAK2A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enzymatic protein expected from this base sequence.

제2도는 소의 AK2A 유전자(BOVAK2A) 및 쥐의 AK2A 유전자(RATAK2)에서 예상되는 효소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사람의 AK2A(HAK2A) 유전자에서 예상되는 아미노산 서열간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the comparison betwee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enzyme protein expected in bovine AK2A gene (BOVAK2A) and the rat AK2A gene (RATAK2) and the amino acid sequence expected in human AK2A (HAK2A) gene.

제3도는 사람의 태아 간 조직에서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의 발현을 노던 블럿으로 분석한 것이다.FIG. 3 analyzes Northern blot expression of adenylate kinase in human fetal liver tissue.

제4도는 대장균에서 사람의 AK2A 유전자를 발현하여 아데닐레이트 키나제를 생산할 수 있는 발현 벡터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the production of an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producing adenylate kinase by expressing human AK2A gene in E. coli.

제5도는 대장균에서 발현된 사람의 AK2A 유전자 산물이 아데닐레이트 키나제의 활성을 가짐을 나타낸 것이다.5 shows that the human AK2A gene product expressed in E. coli has the activity of adenylate kinase.

[발명의 이용분야][Use of invention]

본 발명은 사람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유전자와 그의 염기 서열 및 본 효소를 대장균에서 발현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ctor that expresses human adenylate kinase gene and its nucleotide sequence and the present enzyme in E. coli.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에너지 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그의 유전적 결합에 의해 비구상성 용혈성 빈혈 등이 유발되는, 사람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유전자와 그의 염기 서열 및 본 유전자를 포함하여 아데닐레이트 키나제를 대장균에서 생산할 수 있는 발현 벡터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enylate kinase genes, their base sequences and the present genes of human adenylate kinase gen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metabolic processes and induce their non-glomerular hemolytic anemia and the like by their genetic binding. It relates to an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producing late kinase in Escherichia coli.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invention]

아데닐레이트 키나제(AK)는 세포내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인 ATP, ADP 및 AMP 사이에서 일어나는 인산기의 가역적 전이반응을 촉매하고 이들 간의 균형을 유지시키므로 세포내에서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의 향상성을 조절하는 작용을 갖는 효소이다. 따라서 본 AK 효소는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 과정 등과 관련한 인산화 반응에 매우 중요하고 이외에도 인체 내에서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에 세포가 죽는 현상인 아폽토시스 작용 및 세포의 이상 발육에 의한 발암작용 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mada, et al., Adenylate kinase in "A Study of Enzymes Vol II" Florida CRC Press. 403-444. 1991)Adenylate kinase (AK) catalyzes and balances the reversible transfer reactions of phosphate groups occurring between ATP, ADP and AMP, which are energy sources present in cells, and therefore has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enhancement of adenine nucleotides in cells. It is an enzyme. Therefore, this AK enzyme is very important for the phosphorylation reactions related to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rocesses and is closely related to apoptosis,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cells die due to energy metabolism in the human body, and carcinogenic action due to abnormal development of cells. (Hamada, et al., Adenylate kinase in "A Study of Enzymes Vol II" Florida CRC Press. 403-444. 1991)

최근까지 밝혀진 AK 효소들의 생체 내에서의 기능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K 효소는 근육 조직 및 뇌 조직에서 크레아틴 키나제(creatine kinase)와 함께 TTP(thiamine triphosphate)를 생합성하는 과정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인산화 전이체계를 통한 ATP 생성을 유도하여 세포가 활동하는 중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보충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과정은 체내 에너지 대사에 직접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피루브산 키나제 또는 헥소 키나제 효소에 유전적으로 결함이 생길 때 중증의 용혈성 빈혈이 일어나는 것과 비슷한 현상으로, 본 AK 효소에 유전적으로 결함이 생길 때에는 이에 의해서 선천성 비구상성 빈혈 등이 유발된다. 이와 같이 AK 효소의 유전자 결함에 의해 용혈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노후 적혈구 내에서 해당 작용계의 기능이 약화되면 AK 효소의 유전적 결함이 세포내에서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가 생성되는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적혈구가 파괴되는 현상이 유발되기 때문이다(Miwa, S. et al., Amer. J. Hematol. 14:325, 1989).More specifically, the in vivo function of AK enzymes discovered until recently, the AK enzyme phosphorylation as well as acts on the biosynthesis of TTP (thiamine triphosphate) with creatine kinase in muscle tissue and brain tissue It induces the production of ATP through the metastasis system and supplements the energy consumed while the cell is active. This process is very important for energy metabolism directly in the body. Therefore, when a genetic defect occurs in pyruvate kinase or a hexokinase enzyme, a phenomenon similar to that of severe hemolytic anemia occurs. When a genetic defect occurs in the present AK enzyme, congenital non-spheroidal anemia is caused. The hemolysis phenomenon caused by the genetic defect of the AK enzyme causes the genetic defect of the AK enzyme to affect the production of adenine nucleotides in the cell when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system is weakened in the aged red blood cells. Red blood cells are destroyed in the process (Miwa, S. et al., Amer. J. Hematol. 14: 325, 1989).

이와 같이 AK 효소는 용혈성 빈혈 및 에너지 대사가 관여하는 근육 질환 등에 깊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본 질환 등의 진단과 치료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AK 효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생물에서 30여종의 AK 효소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어 보고되었다.As such, the AK enzyme is deeply related to muscle diseases such as hemolytic anemia and energy metabolism, and thus is very important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In addition, many studies on AK enzymes have been conducted, and so far, it has been reported that 30 kinds of AK enzymes exist in various kinds of organisms.

특히, 척추동물에는 AK1, AK2 및 AK3 등의 3가지 종류의 AK 유전자들이 각기 다른 조직에서 존재하면서 세포내에서 약간의 다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AK1의 경우는 근육 세포, 뇌 세포 및 적혈구 세포질 등에, AK2의 경우는 간세포, 신장 세포, 비장 세포 및 심장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 막 사이에 존재한다(Khoo and Russell, Biochem. Biophys. Aata 268:98-101, 1972). 또한 AK3의 경우는 GTP와 AMP 사이의 인산화 전이효소로 작용하는데 심장 세포와 간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질내에 존재한다(Tomosselli et al., Eur. J. Biochem. 93:257-262, 1979).In particular, in vertebrates, three types of AK genes, AK1, AK2 and AK3, are present in different tissues and have slightly different functions in the cell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K1, muscle cells and brain cells And in the red blood cell cytoplasm etc., the case of AK2 is present between the mitochondrial membranes in hepatocytes, kidney cells, spleen cells and heart cells (Khoo and Russell, Biochem. Biophys. Aata 268: 98-101, 1972). AK3 also acts as a phosphorylation transferase between GTP and AMP, present in the mitochondrial matrix of heart and liver cells (Tomosselli et al., Eur. J. Biochem. 93: 257-262, 1979).

이외에도 여러 생물에서 중요한 역할을 갖는 AK 효소를 깊이 이해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현재까지 AK 효소 유전자 중에서 사람의 경우 AK1 유전자, 닭의 경우 AK1 유전자 그리고 소의 경우 AK2A 및 AK2B 유전자 등이 클로닝되어 그 특성이 밝혀지고 있다(Kishi et al., J. Biol. Chem. 261:2942-2945, 1988;Matsuura et al., J. Biol. Chem. 264:10148-10155, 1989). 그러나 사람의 경우 AK2 효소의 유전자는 아직 클로닝되지 않아 그 특성이 많이 밝혀지지 못하였다.In addi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eply understand AK enzym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organisms. (Kishi et al., J. Biol. Chem. 261: 2942-2945, 1988; Matsura et al., J. Biol. Chem. 264: 10148-10155, 1989). In humans, however, the gene for the AK2 enzyme has not been cloned yet, so much of its character is unknown.

AK2 효소는 소에서 분리한 효소를 이용하여 그 특성이 밝혀졌는데, AK2 효소가 존재하는 소의 조직 부위 및 효소 단백질의 C-말단 부위에 위치하는 아미노산 염기 서열에 따라 AK2A와 AK2B의 2가지 효소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AK2A 효소 단백질은 241개의 아미노산으로, AK2B 효소 단백질은 23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AK2A 효소 단백질의 C-말단 부위에 존재하는 8개의 아미노산, Cys, Lys, Asp, Leu, Val, Met, Phe, Ile이 AK2B 효소 단백질의 C-말단에서는 Ser으로 치환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C-말단에서 효소 단백질의 서열이 달라지는 AK2A 유전자의 전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교대 스프라이싱(alternate splicing) 기작에 의해 유발된다고 보인다(Tanaka, et al., Gene, 93:221-227, 1990).The AK2 enzyme has been characterized using enzymes isolated from cows. The AK2 enzyme is divided into two enzymes, AK2A and AK2B, depending on the amino acid sequence located at the C-terminal site of the cow's tissue site and the enzyme protein. Can be. Specifically, AK2A enzyme protein is composed of 241 amino acids, AK2B enzyme protein is composed of 234 amino acids, these are the eight amino acids in the C-terminal region of the AK2A enzyme protein, Cys, Lys, Asp, Leu, Val, Met , Phe, Ile is substituted with Ser at the C-terminus of the AK2B enzyme protein. It appears that this is caused by alternating splicing mechanism that occurs during transcription of the AK2A gene, which changes the sequence of the enzyme protein at the C-terminus (Tanaka, et al., Gene, 93: 221-227, 1990).

AK 효소 유전자는 생체내의 에너지 대사를 포함한 인체내 생리 활성에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장 질환을 비롯한 근육 질환에 관한 분자 병태학적 연구 및 활용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사람에서는 아직까지 AK2 효소의 유전자가 클로닝되지 않아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바가 많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사람의 태아 간세포를 이용하여 AK2 효소의 유전자를 밝히고자 시도한 결과, 인체 유래의 AK2A의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그 서열을 밝히고, 발현용 벡터 pHT-AK2A를 제조하여 효소 활성을 갖는 인체 AK2A 효소 단백질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Since the AK enzyme gene is closely related to physiological activity in human body including energy metabolism in vivo, it will contribute to molecular pathological research and utilization of muscle disease including heart disease. In humans, however, the genes for the AK2 enzyme have not been cloned yet, and despite its usefulness, little is know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attempted to reveal the gene of AK2 enzyme using human fetal hepatocytes, and cloned the gene of AK2A derived from the human body to reveal its sequence, and produced the expression vector pHT-AK2A to produce human AK2A having enzyme activ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preparing enzyme proteins.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본 발명은 아데닐레이트 키나제(AK)2A 유전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AK2A 유전자는 사람의 태아 간세포에서 제조한 cDNA 라이브러리에서 분리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enylate kinase (AK) 2A gene. The AK2A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solated from a cDNA library prepar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람의 AK2A 유전자의 일부 및 전체를 포함하는 각 cDNA 클론 P05D07 및 HAK2A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ach cDNA clones P05D07 and HAK2A, which comprise some and all of the human AK2A gene.

또한, 본 발명은 cDNA 클론 HAK2A로 형질전환시킨 대장균(수탁번호:KCTC 8735P)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Escherichia coli (Accession No .: KCTC 8735P) transformed with cDNA clone HAK2A.

또한 본 발명은 cDNA 클론 P05D07 및 HAK2A로부터 AK2A 유전자의 염기 서열 및 이로부터 예상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se sequence of the AK2A gene from the cDNA clones P05D07 and HAK2A and an amino acid sequence expected therefrom.

또한, 본 발명은 AK2A 유전자를 포함하여 AK2A 효소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AK2A 효소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생산하는 발현 벡터 pHT-AK2A를 제공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pression vector capable of expressing AK2A enzyme protein in E. coli, including the AK2A gen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pression vector pHT-AK2A that effectively produces AK2A enzyme protein.

또한,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대장균에서 AK2A 효소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culturing the transformant to produce AK2A enzyme protein in E. coli.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람의 태아 간 조직으로부터 mRNA를 분리하고, 이에 상응하는 cDNA를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와 역전사 효소를 사용하여 합성한다. 합성된 cDNA를 λZAPII XR 벡터 등에 클로닝하여 사람의 태아 간 조직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라이브러리인 cDNA 라이브러리를 작성한다. 이들 라이브러리로부터 부분 염기 서열을 결정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이미 밝혀진 유전자들의 데이타 베이스와 비교하여 유전자들을 동정한다(제2도 및 표 1 참조).MRNA is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tissue and the corresponding cDNA is synthesized using oligonucleotide primers and reverse transcriptase. The synthesized cDNA is cloned into a λZAPII XR vector or the like to prepare a cDNA library, which is a library of genes expressed in human fetal liver tissu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are determined from these libraries and genes are identified by comparison with a database of genes already known using computer programs and the like (see FIG. 2 and Table 1).

데이타 베이스를 사용하여 유전자의 염기 서열들을 확인한 결과, 소에서 존재하는 것이 알려진 인산 전이효소의 일종인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A와 아미노산 수준에서 93%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미노산의 서열과 그 특성의 면에서 보면 전체적으로는 97%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cDNA 클론인 P05D07을 분리한다.Using a database to identify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enes, it showed 93% homology at the amino acid level with adenylate kinase 2A, a type of phosphate transferase known to exist in cattle, In terms of overall isolation, P05D07, a cDNA clone showing 97% similarity, is isolated.

사람의 태아 간 조직의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아데닐레이트 키나제의 전체 구조를 포함하는 클론을 얻기 위하여, cDNA 클론 P05D07을 탐침으로 사용하여 본 효소 단백질의 전체 구조를 포함하는 클론을 검색하여 분리한다. 이때 분리한 클론을 사용하여 cDNA 전체 염기 서열을 결정하고 이 cDNA 클론을 HAK2A로 명명한다(제1도 참조). HAK2A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형질전환 대장균을 1996년 4월 8일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KCTC 8735P).To obtain a clone containing the entire structure of adenylate kinase from the cDNA library of human fetal liver tissue, cDNA clone P05D07 was used as a probe to search for and isolate a clone containing the entire structure of the present enzyme protein. At this time, the isolated clone is used to determine the cDNA total nucleotide sequence and the cDNA clone is named HAK2A (see FIG. 1). Transgenic Escherichia coli containing the HAK2A base sequence was deposited on 8 April 1996 to the Genetic Bank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ccession Number: KCTC 8735P).

사람의 AK2A 유전자가 실제로 세포내에서 발현되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의 태아 간 조직에서 mRNA를 분리하여 상보적 cDNA 클론 P05D07에서 얻은 DNA 절편을 하이브리디제이션 탐침을 사용하여 노던 블럿(Northern Blot)한다(Sambrook, et al., in "DNA Cloning:A Laboratory Manual"). 제3도에서 보듯이, 사람의 AK2A 유전자의 mRNA를 분석한 결과, 각각 약 3.4kb, 2.1kb 및 1.0kb의 분자량을 갖는 각기 다른 전사체가 존재함을 확인한다(제3도 참조). 이는 소의 AK2A 유전자의 전사 과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의 AK2A 및 AK2B 유전자들의 전사 과정에서도 mRNA의 교대 스프라이싱이 일어날 가능성을 제시한다.To confirm the actual expression of human AK2A gene in cells, DNA fragments obtained from the complementary cDNA clone P05D07 by isolating mRNA from human fetal liver tissue were examined using Northern blot using a hybridization probe. Sambrook, et al., In "DNA Cloning: A Laboratory Manual". As shown in Figure 3, the analysis of the mRNA of the human AK2A gene,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t transcript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3.4kb, 2.1kb and 1.0kb, respectively (see Figure 3). This suggests that alternating splicing of mRNA also occurs in the transcription of human AK2A and AK2B genes, as seen in the transcription of bovine AK2A genes.

또한 사람의 AK2A 효소의 재조합 단백질을 대장균 등에서 생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HAK2A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pHT-AK2A를 제조한다. 이는 AK2A 유전자의 전체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HAK2A 클론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여 AK2A 유전자 얻어 이를 벡터에 삽입하여 제조한다(제4도 참조). 이 때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이용한 증폭소는 AK2A의 전체 염기 서열을 참조하여 오픈 리딩 프레임의 개시 부분과 종결 부분을 코딩하는 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recombinant protein of human AK2A enzyme in Escherichia coli, an expression vector pHT-AK2A comprising the HAK2A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t is prepared by perform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a HAK2A clone containing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K2A gene to obtain an AK2A gene and inserting it into a vector (see FIG. 4).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station used for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is a chemical synthesis of a sequence encoding the start and end portions of the open reading frame with reference to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of AK2A.

또한 대장균에서 아데닐레이트 키나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대장균 DH5α를 발현 벡터 pHT-AK2A로 형질전환하여 이들 형질전환체들을 배양한다. 이들 형질전환체에서 AK2A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양하고 있는 세포의 대수적 증식기에서 IPTG를 사용하고 배양한 균체는 파쇄하여 조세포액으로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활성을 조사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adenylate kinase in Escherichia coli, E. coli DH5α is transformed with the expression vector pHT-AK2A to culture these transformants. In order to induce the expression of the AK2A gene in these transformants, IPTG was used in the logarithmic proliferative phase of the cultured cells, and the cultured cells were disrupted and examined for adenylate kinase activity in the crude cell solution.

이때,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활성은 연쇄 효소 반응을 이용한 분광분석법 등으로 측정한다(Kim, et al., Biochemistry, 29:1107-1111, 1990).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본 벡터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 AK2A 효소의 활성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다(제5도 참조).At this time, adenylate kinase activity is measured by spectroscopic analysis using a chain enzyme reaction or the like (Kim, et al., Biochemistry, 29: 1107-1111, 199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of the AK2A enzy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 coli transformed with the present vecto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e FIG. 5).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cDNA 라이브러리의 제조][Preparation of cDNA Library]

사람의 태아 간 조직으로부터 구아니딘 티오시아네이트와 산성 페놀을 이용한 방법으로 세포내에 포함된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다음, 추출한 전체 RNA를 올리고-dT 셀룰로스 컬럼에 통과시켜 폴리(A)-RNA를 분리하였다. cDNA 라이브러리를 작성하기 위하여, 5μg의 폴리(A)-RNA에 17개의 (dT)가 연결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와 몰로니 류케미아 바이러스의 역전사 효소(reverse transcriptase)를 함께 반응시켜 첫 번째 가닥 cDNA를 합성한 다음, RNA 분해효소와 대장균의 DNA 합성효소를 사용하여 두 번째 가닥의 cDNA를 합성하였다.Total RNA contained in cells was extracted from human fetal liver tissue by using guanidine thiocyanate and acid phenol. The extracted total RNA was then passed through an oligo-dT cellulose column to separate poly (A) -RNA. To prepare the cDNA library, the first strand cDNA was synthesized by reacting 5 μg of poly (A) -RNA with 17 (dT) linked oligonucleotide primers and a reverse transcriptase of the Moroni leuchemia virus. Next, a second strand of cDNA was synthesized using RNA degrading enzyme and E. coli DNA synthase.

합성된 cDNA를 운반체인 벡터에 클로닝하기 위하여, cDNA의 양쪽 말단에 벡터의 양 말단과 상보적인 염기 배열을 제공하는 제한효소 Eco RI의 연결쇄를 연결한 다음 제한효소 Xho I으로 절단하였다. 이때 cDNA 라이브러리에 포함되는 염기의 길이를 길게 하고 클로닝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한 효소에 의해 절단된 DNA 조각들과 200bp 이하의 작은 cDNA는 세파크럴 컬럼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이 후 cDNA는 제한효소 Eco RI과 Xho I으로 절단한 벡터 λZAPII XR에 연결하고 이를 사용하여 생체의 패키징(in vitro packaging) 방법으로 파아지를 제조하여 사람의 태아 간 조직의 cDNA 라이브러리를 작성하였다.To clone the synthesized cDNA into a vector, the carrier, a linking chain of restriction enzyme Eco RI, which provides a base sequence complementary to both ends of the vector at both ends of the cDNA, was cut with restriction enzyme Xho I.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base included in the cDNA library and to increase the cloning efficiency, DNA fragments cut by restriction enzymes and small cDNAs of 200 bp or less were removed using a separcral column. The cDNA was then linked to the vector λZAPII XR digested with the restriction enzymes Eco RI and Xho I and phages were prepared by in vivo packaging to prepare a cDNA library of human fetal liver tissue.

[실시예 2]Example 2

[부분 염기 서열 결정][Partial sequencing]

각 클론의 부분 염기 서열을 결정하기 위하여, 대장균에 cDNA 라이브러리의 파아지와 ExAssist 헬퍼 파아지(helper phage)를 함께 감염시켜 pBluescript 플라스미드 부분만을 포함한 f1 파아지를 얻었다. 이 파아지를 다시 대장균에 감염시켜 엠피실린이 포함된 배지를 이용하여 두 가닥의 복제형(replacative form)인 플라스미드를 포함한 클론들을 선별하였다. 다시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대장균에 M13 헬퍼 파아지를 감염시킨 후, 한 가닥의 M13 DNA 파아지를 추출하여 부분 염기 서열 결정을 위한 주형 DNA로 사용하였다.To determine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 of each clone, E. coli was infected with the phage of the cDNA library and the ExAssist helper phage together to obtain the f1 phage containing only the pBluescript plasmid portion. The phages were again infected with Escherichia coli, and clones containing two strands of replicate plasmids were selected using a medium containing empicillin. E. coli containing the plasmid was then infected with M13 helper phage, and one strand of M13 DNA phage was extracted and used as template DNA for partial sequencing.

염기 서열은 서열 번호 1의 SK 프라이머를 주행 DNA에 결합시킨 후 반응에 필요한 dNTP와 반응 생성물을 X-선 필름에 표시하기 위한35S-dATP를 함께 DNA 중합효소인 시쿼네이즈(sequenase)로 반응시켜 결정하였다. 반응물을 ddNTP 용액에 분주하여 DNA 중합반응을 정지시켰다. 본 반응 생성물을 7M 우레아(urea)를 포함하는 6% 아크릴아미드 젤에 전기영동하여 분리하고 젤을 건조시켜 반응물들이 분리된 양상을 X-선 필름에 감광시켜 판독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2의 부분 염기 서열을 얻었다.The nucleotide sequence binds the SK primer of SEQ ID NO: 1 to the running DNA, and then reacts the dNTP necessary for the reaction with 35 S-dATP for displaying the reaction product on the X-ray film together with a DNA polymerase sequence. Decided. The reaction was dispensed into ddNTP solution to stop DNA polymerization. The reaction product was separated by electrophoresis on a 6% acrylamide gel containing 7M urea, and the gel was dried to read the photos from which the reactants were separated by X-ray film. As a result, a partial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was obtained.

[실시예 3]Example 3

[염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의 분석][Analysis of base sequence and amino acid sequence]

실시예 1에서 얻은 각 cDNA의 염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을 검색하기 위하여, 생명공학 연구소내에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된 주 컴퓨터를 사용하였다. 핵산 염기 서열의 분석은 BLAST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GenBank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였으며, 아미노산 서열의 분석은 BLAST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스위스 포트 프로테인(swiss port protein) 데이타 베이스를 검색하였다(Altschul et al., J. Mol. Biol. 215:403-410, 1990)(제2도 및 표 1 참조).In order to search for the nucleotide sequence and amino acid sequence of each cDNA obtained in Example 1, a main computer connected to a local area network within the biotechnology laboratory was used. Analysis of nucleic acid nucleotide sequences was performed using the BLASTN program to search the GenBank database, and analysis of amino acid sequences using the BLASTX program was used to search the Swiss port protein database (Altschul et al., J. Mol). Biol. 215: 403-410, 1990) (see FIG. 2 and Table 1).

[실시예 4]Example 4

[사람의 AK2A 유전자의 부분 염기 서열을 가진 클론의 분리 및 그의 전체 염기 서열 결정][Isolation of Clones Having Partial Base Sequences of Human AK2A Gene and Determination of Total Base Sequences thereof]

사람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유전자의 부분 염기 서열을 가지고 있는 cDNA 클론 P05D07을 선별하여 이 클론에 포함된 AK2A 유전자의 DNA 염기 서열을 결정하였다.The cDNA clone P05D07, which has a partial nucleotide sequence of the human adenylate kinase gene, was selected to determine the DNA base sequence of the AK2A gene included in this clone.

데이타 검색에 사용된 cDNA 클론 P05D07은 서열 번호 2의 부분 염기 서열을 갖으며, 본 발명의 클론의 핵산 염기 서열에서 예상되는 아미노산의 서열과 유사성을 가지는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데이타 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는 클로닝되어 GenBank에 등록된 AK2A 유전자의 등록번호와 유전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고, 오픈 리딩 프레임(open reading frame, ORF)은 핵산 염기 서열을 3개씩 짝을 이루어 번역할 때 사용된 번역 골격을 나타낸다. 하이 스코어(high score)는 염기 서열의 상동성을 숫자로 표현한 것으로, 비교하는 두 유전자 상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두 염기가 각기 동일한 염기일 경우 +5, 동일한 염기가 아닐 경우는 -4의 값을 주어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검색한 전체 염기에서 얻어지는 값을 합산한 후 얻어지는 수치가 높을수록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확률(probability)은 검색한 염기 서열이 우연히 데이타 베이스의 자료와 일치할 확률을 의미한다.The cDNA clone P05D07 used for data retrieval has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nd the base sequence of the gene having similarity with the sequence of amino acids expected in the nucleic acid nucleotide sequence of the cl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earched using a databas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In Table 1, the registration number of the AK2A gene cloned and registered in GenBank and the name of the gene are recorded, and the open reading frame (ORF) is a translation skeleton used when translating three nucleic acid sequences in pairs. Indicates. The high score is a numerical representation of the homology of the nucleotide sequences, with a value of +5 if the two corresponding bases on the two genes being compared are the same base and -4 if they are not the same base. It is calculated.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 higher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after summing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entire bases searched, the higher the similarity is. Probability also means the probability that the searched sequence will coincide with data in the database.

따라서 표 1 및 제2에서 보듯이, cDNA 클론 P05D07의 염기 서열은 검색 과정에서 확인한 유전자의 염기 서열중에서 특히 소 또는 쥐에서 클로닝된 AK 유전자의 핵산 염기 서열과 높은 상동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able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base sequence of the cDNA clone P05D07 has a high homology with the nucleic acid base sequence of the AK gene cloned in cows or mice, among the base sequences of the genes identified in the search process.

[실시예 5]Example 5

[사람의 AK2A 유전자의 전체 염기 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 확인][Identification of entire nucleotide sequence and amino acid sequence of human AK2A gene]

사람의 AK2A의 전체 유전자를 포함하는 cDNA 클론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태아 간 조직의 cDNA 라이브러리를 프라크 하이브리디제이션(plaque hybridization) 방법으로 검색하였다. 이 때 탐침으로는 실시예 4의 P05D07 클론을 사용하였고 그 검색 결과 5개의 cDNA 클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클론들로부터 유전자의 전체 염기 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서열번호 5의 핵산 염기 서열과 이 염기 서열로부터 유출되는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핵산 염기 서열을 가지고 있는 cDNA 클론을 HAK2A로 명명하였다(제1도 참조).To find cDNA clones containing the entire gene of human AK2A, cDNA libraries of human fetal liver tissues were searched by the plaque hybridiz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P05D07 clone of Example 4 was used as a probe, and five cDNA clones were isolated as a result of the search. From the isolated clones, the nucleic acid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containing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flowing out from this nucleotide sequenc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cDNA clone having the entire nucleic acid base sequence was named HAK2A (see also Figure 1).

HAK2A 유전자는 931개의 염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한 개의 오픈 리딩 프레임이 717개의 염기로 구성되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핵산 염기 서열로부터 첫 번째 메티오닌에서 시작하여 239개의 아미노산이 번역되어 본 효소 단백질을 구성하며 분자량은 26KD 정도로 계산된다.The HAK2A gene consists of 931 bases, where one open reading frame consists of 717 bases. Starting from the first methionine from these nucleic acid sequences, 239 amino acids are translated to form the enzyme protein, with a molecular weight of about 26KD.

이 효소 단백질을 소의 AK2A 및 쥐의 AK2 효소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 98%의 유사성(95%의 동일성 및 3% 유사치환) 및 96%의 유사성(92%의 동일성 및 4%의 유사치환)을 보이므로 이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단백질로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유전자는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전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제2도 참조).The enzyme protein was compared with bovine AK2A and rat AK2 enzyme protein by amino acid sequence, and showed 98% similarity (95% identity and 3% similar substitution) and 96% similarity (92% identity and 4, respectively). % Substitutions), so they can be judged as protein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the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be a new gene that is not known at all to the world (see FIG. 2).

[실시예 6]Example 6

[cDNA 클론 HAK2A를 포함하는 대장균 형질전환체의 제조][Preparation of Escherichia Coli Transformant Containing cDNA Clone HAK2A]

실시예 4에서 얻은 cDNA 클론 HAK2A로 대장균 DH5α를 형질전환하여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이 형질전환체를 1996년 4월 8일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KCTC 8735P).E. coli DH5α was transformed with the cDNA clone HAK2A obtained in Example 4 to obtain a transformant. This transformant was deposited on April 8, 1996 to the Gene Bank of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ccession Number: KCTC 8735P).

[실시예 7]Example 7

[사람의 AK2A 유전자의 mRNA 분석][MRNA Analysis of Human AK2A Gene]

사람의 AK2A 유전자가 실제로 세포내에서 발현되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의 태아 간 조직에서 mRNA를 분리하여 포름알데히드 젤에서 전기영동을 하였다. 다음, 이를 나일론 막에 옮기고 UV-크로스링커(UV-cross linker)로 mRNA를 고정시켰다. 여기서 상보적 cDNA 클론 P05D07에서 얻은 DNA 절편을 동위원소 P로 표지한 하이브리디제이션 탐침을 사용하여 노던 블럿(Northern Blot)하였다(Sambrook, et al., in DNA Cloning:A Laboratory Manual).In order to confirm the actual expression of human AK2A gene in cells, mRNA was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tissue and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on formaldehyde gel. Next, they were transferred to nylon membranes and immobilized mRNA with a UV-cross linker. Here isotope DNA fragments obtained from complementary cDNA clone P05D07. Northern blot using a P-labeled hybridization probe (Sambrook, et al., In DNA Cloning: A Laboratory Manual).

[실시예 8]Example 8

[사람의 AK2A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발현 벡터의 제조][Production of Expression Vectors Producing Human AK2A Recombinant Protein]

사람의 AK2A 유전자의 부분 염기 서열을 지닌 클론 P05D07을 Sma I과 Xho I으로 절단한 다음 클레노(klenow) 효소로 평활화하였다. 이를 미리 Nco I으로 절단하여 평활화시켜 둔 pHT12I 플라스미드와 접합시켜 플라스미드 pHT-AK2At1을 제조하였다. 이를 다시 Nco I으로 절단하고, AK2A 유전자의 전체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클론 HAK2A를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여 얻은 Nco I 절편을 접합시켜 발현 벡터 pHT-AK2A를 제조하였다(제4도 참조).Clone P05D07, which has a partial nucleotide sequence of human AK2A gene, was cleaved with Sma I and Xho I and then smoothed with klenow enzyme. The plasmid pHT-AK2At1 was prepared by conjugation with the pHT12I plasmid which was previously cut and smoothed with Nco I. This was again cleaved with Nco I, and the Nco I fragment obtain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the clone HAK2A containing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K2A gene was conjugated to prepare an expression vector pHT-AK2A (see FIG. 4). .

이때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이용한 증폭소는 AK2A 유전자의 전체 염기 서열을 참조하여 오픈 리딩 프레임의 개시 부분과 종결 부분을 코딩하도록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서열을 갖도록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작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amplification station used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repared by chemically synthesizing to have the sequence of SEQ ID NO: 3 and SEQ ID NO: 4 to reference the entir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K2A gene to encode the start and end of the open reading frame.

[실시예 9]Example 9

[대장균에서 생산한 사람의 AK2A 재조합 효소 단백질의 효소 활성][Enzyme Activity of Human AK2A Recombinase Enzyme Protein Produced in Escherichia Coli]

본 발명의 AK2A 유전자가 본 효소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발현하고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장균 DH5α를 각각 발현 벡터 pHT-AK2A아 표준 대조군 pHT12I로 형질전환하여 이들 형질전환체들을 배양하였다. AK2A 유전자에 의한 효소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배양하고 있는 세포의 대수적 증식기에 0.5mM IPTG를 가한 다음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한 균체를 회수하여 초음파로 파쇄하고 조세포액으로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활성을 조사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at the AK2A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expressed the present enzyme protein and exhibited adenylate kinase activity, E. coli DH5α was transformed with the expression vector pHT-AK2A and the standard control pHT12I, respectively, and these transformants were cultured. In order to induce the expression of the enzyme protein by the AK2A gene, 0.5 mM IPTG was added to the logarithmic growth of the cultured cells, followed by shaking culture. The cultured cells were recovered, disrupted by ultrasonication, and examined for adenylate kinase activity with crude cell solution.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활성은 연쇄 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분광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Kim, et al., Biochemistry, 29:1107-1111, 1990). 75mM 트리에탄올아민(pH7.6), 1.2mM AMP, 1.0mM ATP, 1mM MgSO, 120mM KCl, 0.2mM NADH, 0.3mM 포스포이놀피루브산, 16.5 단위의 젖산 탈수소 효소, 6단위의 피루브산 키나제가 포함된 반응 혼합액을 25℃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다음, 반응 혼합액에 시료를 넣고 반응의 진행을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파장 340nm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로 측정하였다.Adenylate kinase activity was determined spectroscopically using chain enzyme reactions (Kim, et al., Biochemistry, 29: 1107-1111, 1990). Reaction with 75 mM triethanolamine (pH7.6), 1.2 mM AMP, 1.0 mM ATP, 1 mM MgSO, 120 mM KCl, 0.2 mM NADH, 0.3 mM phosphinolpyruvic acid, 16.5 units lactic acid dehydrogenase, 6 units pyruvic acid kinase The mixed solution was left at 25 ° C. for 10 minutes. Next, the sample was placed in the reaction mixture, and the progress of the reaction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to the extent that the absorbance decreased with time at a wavelength of 340 nm.

그 결과, AK2A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pHT-AK2A를 지닌 대장균에서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의 효소 활성은 960mU/mg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준 대조 균주로 사용한 플라스미드 pHT12I를 가지고 있는 대장균에서의 550mU/mg에 비해 두 배정도 더 높은 값이었다(제5도 참조). 따라서 정상적인 균주에는 나타나지 않는 부가적인 효소 활성으로 볼 때, 발현 벡터 pHT-AK2A에 의해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 사람의 AK2A 유전자가 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a result, the enzymatic activity of adenylate kinase in E. coli with the expression vector pHT-AK2A containing the AK2A gene was found to be 960 mU / mg. This was about twice as high as 550mU / mg in Escherichia coli with the plasmid pHT12I used as the standard control strain (see Figure 5).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human AK2A gene was expressed in E. coli transformed by the expression vector pHT-AK2A, which is not shown in the normal strain.

따라서 본 발명의 AK2A 유전자는 세포내에서 발현하는 아데닐레이트 키나제의 활성을 측정하고 용혈성 빈혈 또는 근육 질환 등의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본 AK2A 유전자의 염기 서열 결과에 비추어 본 효소 단백질을 특성을 깊이 연구하여 이와 관련된 질환의 분자 병태학적 연구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AK2A ge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 for measuring the activity of adenylate kinase expressed in cells and for diagnosing and treating hemolytic anemia or muscle disease, and in view of the base sequence results of the present AK2A gene, By studying these characteristics in depth, they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molecular pathological studies of related diseases.

그 외에도 본 AK2A 유전자 및 그의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체내에 소량 존재하는 본 효소 단백질을 대량 얻을 수 있으며, 이는 AK 효소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질환의 치료에도 응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K2A gene and its expression vector can be used to obtain a large amount of the present enzyme protein present in the body, which can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specific diseases as well as the study of AK enzymes.

[서열표][SEQUENCE TABLE]

서열번호 : 1SEQ ID NO: 1

서열의 길이 : 20Sequence length: 20

서열의 형 :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 기타 핵산(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 (oligonucleotide)

[서열표][SEQUENCE TABLE]

서열번호 : 2SEQ ID NO: 2

서열의 길이 : 332Length of sequence: 332

서열의 형 :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 cDNAType of sequence: cDNA

[서열표][SEQUENCE TABLE]

서열번호 : 3SEQ ID NO: 3

서열의 길이 : 26Sequence length: 26

서열의 형 :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 기타 핵산(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 (oligonucleotide)

[서열표][SEQUENCE TABLE]

서열번호 : 4SEQ ID NO: 4

서열의 길이 : 30Sequence length: 30

서열의 형 :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 기타 핵산(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Type of sequence: Other nucleic acid (oligonucleotide)

[서열표][SEQUENCE TABLE]

서열번호 : 5SEQ ID NO: 5

서열의 길이 : 931Sequence length: 931

서열의 형 : 핵산Type of sequence: nucleic acid

쇄의 수 :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 cDNAType of sequence: cDNA

[서열표][SEQUENCE TABLE]

서열번호 : 6SEQ ID NO: 6

서열의 길이 : 239Sequence length: 239

서열의 형 : 아미노산Type of sequence: amino acid

쇄의 수 : 1본쇄Number of chains: 1 chain

형태 : 직쇄상Form: Straight

서열의 종류 : 단백질Type of sequence: protein

Claims (8)

서열번호 5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인체 조직 유래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A 유전자.An adenylate kinase 2A gene derived from human tissue compri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제1항에 있어서,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A 전체 유전자를 포함하는 cDNA 클론 HAK2A에서 유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유전자.The adenylate kinase gene of claim 1, wherein the adenylate kinase gene is derived from a cDNA clone HAK2A comprising the entire adenylate kinase 2A gene. 제2항의 cDNA 클론 HAK2A로 대장균을 형질전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체(수탁번호:KCTC 8735P).The transformant (accession number: KCTC 8735P) characterized by producing E. coli transforming with the cDNA clone HAK2A of claim 2.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채 조직 유래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A.Adenylate kinase 2A from human tissue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6. 제1항의 사람의 아데닐레이트 키나제 2A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An expression vector comprising the human adenylate kinase 2A gene of claim 1. 제5항에 있어서, 발현 벡터는 pHT-AK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현 벡터.The expression vector of claim 5, wherein the expression vector is pHT-AK2A. 제5항의 발현 벡터로 대장균을 형질전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질전환체.A transformant characterized by producing E. coli transforming with the expression vector of claim 5. 제7항의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아데닐레이트 키나제를 대장균에서 대량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 단백질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n enzyme protein, comprising culturing the transformant of claim 7 to produce adenylate kinase in Escherichia coli.
KR1019960017039A 1996-05-20 1996-05-20 Gene for adenylate kinase 2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nucleic acid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KR100220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39A KR100220089B1 (en) 1996-05-20 1996-05-20 Gene for adenylate kinase 2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nucleic acid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39A KR100220089B1 (en) 1996-05-20 1996-05-20 Gene for adenylate kinase 2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nucleic acid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931A KR970074931A (en) 1997-12-10
KR100220089B1 true KR100220089B1 (en) 1999-10-01

Family

ID=1945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039A KR100220089B1 (en) 1996-05-20 1996-05-20 Gene for adenylate kinase 2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nucleic acid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08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931A (en)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anaka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and murine homologues of the Drosophila polo serine-threonine kinase
Antonetti et al. Increased expression of mitochondrial-encoded genes in skeletal muscle of humans with diabetes mellitus.
Wu et al. Cloning, sequencing, and heterologous expression of the murine peroxisomal flavoprotein, N1-acetylated polyamine oxidase
Xin et al. Cloning and expression of mitochondrial translational elongation factor Ts from bovine and human liver
Chen et al. Studies of the cloned 37-kDa subunit of activator 1 (replication factor C) of HeLa cells.
Bennett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DNA encoding a novel fatty acid binding protein from rat brain
Heikkinen et al. Mouse hexokinase II gene: structure, cDNA, promoter analysis, and expression pattern
Noma et al. cDNA cloning and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the gene encoding human adenylate kinase isozyme 2
Zhang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sarco/endoplasmic reticulum Ca2+-ATPase (SERCA) from crayfish axial muscle
US6368794B1 (en) Detection of altered expression of genes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JP2002513276A (en) Enzyme having S-adenosyl-L-homocysteine hydrolase (AHCY) type activity
Robson et al. Sequence comparison of rat liver phenylalanine hydroxylase and its cDNA clones
Janzen et al. ARPP-16 mRNA is up-regulated in the longissimus muscle of pigs possessing an elevated growth rate
KR100220089B1 (en) Gene for adenylate kinase 2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nucleic acid sequence and expression vector thereof
KR100202387B1 (en) A protein of human adenylate kinase 2b and a preparation method
Blin et al. Partial molecular cloning and tissue distribution of hexokinase I cDNA in common carp
US6252046B1 (en) Polypeptide having water channel activity and DNA sequence
JP3014159B2 (en) DNA sequence encoding human epidermal transglutaminase
Shinohara et al. Expression of NAD+-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in brown adipose tissue
JP2001512007A (en) ZGGBP1, novel peptides involved in type 1 bipolar affective disorder, sequences and uses thereof
Yamazaki et al. Structural properties of mammalian mitochondrial ADP/ATP carriers: identification of possible amino acids that determine functional differences in its isoforms
Tanaka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cDNAs encoding trehalase from post-dormant embryos of the brine shrimp, Artemia franciscana
JP3755040B2 (en) Polynucleotide, polypeptide and method for producing glycolytic enzyme
JP3014295B2 (en) CNK1 gene
KR100802687B1 (en) Partners of the ptb1 domain of fe65, preparation and 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