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644B1 -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644B1
KR100219644B1 KR1019970031986A KR19970031986A KR100219644B1 KR 100219644 B1 KR100219644 B1 KR 100219644B1 KR 1019970031986 A KR1019970031986 A KR 1019970031986A KR 19970031986 A KR19970031986 A KR 19970031986A KR 100219644 B1 KR100219644 B1 KR 100219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ase
projector
imag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09550A (en
Inventor
문종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644B1/en
Publication of KR1999000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5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케이스에 내장된 영상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그 케이스 외부의 스크린으로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가 설치된 경통과;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랙부재와, 그 랙부재와 연결되도록 케이스에 설치된 피니언부재와, 그 피니언부재의 회전중심축에 공용으로 설치되는 캠부재와 그 캠부재와 작용되도록 경통에 마련된 캠팔로워부재 및 경통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랙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경통이 스크린의 높이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를 개시한다.A barrel having a projection lens installed to enlarge and project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ng unit built into the case to a screen outside the case; A rack member slidably mounted to the case, a pinion member installed on the cas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ack member, a cam member commonly installed on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pinion member, and a cam follower member provided on the barrel to work with the cam member. And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conveyance of the barrel, and discloses a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the projector which allows the barrel to be adjus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creen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rack member.

Description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여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투사형 및 전면투사형에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투사렌즈계의 광축이 가변되도록 조정 가능한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or for projecting and displaying an image on a scree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a projector that is adjustable so that an optical axis of a projection lens system is variable for common use in a rear projection type and a front projection type. will be.

오늘날 정보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대형화된 스크린에 영상을 재현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한 영상투사장치가 각광받고 있다.Today, as an apparatus for meeting the demand of reproducing images on a large scree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industry,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in the spotlight.

이러한 영상투사장치는 통상, 스크린과 그 스크린에 영상을 생성하여 확대투사하는 프로젝터로 이루어지는데,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에 따라 배면투사형과 전면투사형의 두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Such an image projecting device is generally composed of a screen and a projector that generates an image on the screen and enlarges the image, and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a rear projection type and a front projection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on the screen.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는, 프로젝터가 스크린과 함께 캐비넷에 장착되어 그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캐비넷 내에 경사지게 배치된 반사경에 반사되어 스크린의 배면으로 투영되도록 된 것이고, 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는 스크린 전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그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직접 스크린에 투영되어 영상을 재현하도록 된 것이다.The rear-projection image projector is a projector mounted on a cabinet together with a screen so that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is reflected by a reflector arranged obliquely in the cabinet and projected to the back of the screen. It is installed so that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is directly projected on the screen to reproduce the image.

한편, 최근들어 전면투사형 및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두가지 타입에 모두 적용가능한 프로젝터가 시도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전면투사형의 프로젝터를 스크린과 반사경이 구비된 캐비넷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면 배면투사형으로 기능하도록 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projector that is applicable to both types of front projection type and rear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has been tried and widely used. That is, when the projector of the front projection type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cabinet provided with the screen and the reflecting mirror, it functions as the rear projection type.

상기한 영상투사장치로서 전면투사형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1)에 있어서는, 프로젝터(10)가 예를 들어 극장이나 가정의 방안 등의 벽체(12)에 설치된 스크린(121)의 전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이 프로젝터(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스크린(121)의 전면에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프로젝터(10)는 그 케이스(14)에 내장되어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부(미도시)와, 생성된 영상을 스크린(121)으로 확대투사시키는 다수의 투사렌즈(111)들이 설치된 경통(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정 높이를 가진 지지대(13) 위에 안착되어서 상기 스크린(121)에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에 있어서, 초점이 정확히 조절된 깨끗한 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프로젝터(10)로부터 투사된 영상의 초점위치가 스크린(121)의 중앙점(A)에 수직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상기 프로젝터(10)가 안착되는 지지대(13)의 높이도 상기 스크린(20)의 중앙점(A) 위치에 해당하는 만큼 높아져야 하기 때문에 프로젝터(10) 설치를 위해 공간을 많이 점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프로젝터(10)를 설치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비나 배선관계를 감안할 때, 그 프로젝터(10)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121)에 투영된 영상을 감상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시청공간이 제한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An example of the front projection type as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is shown in FIG. 1, and as shown, in the front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 the projector 10 is a wall 12 such as a theater or a home room, for example. In the position facing the front of the screen 121 installed in the (),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10 is to appear on the front of the screen 121. The projector 10 includes an image generator (not shown) built in the case 14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 lenses 111 for enlarging and projecting the generated image onto the screen 121. A barrel 11 is provided and is mounted on a support 13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ject an image onto the screen 121. However, in the front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btain a clear image quality in which the focus is precisely adjusted, the focus position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10 is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point A of the screen 121. It is desirable to. However, for this purpose,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13 on which the projector 10 is seated must also be increased a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int A position of the screen 20, a large amount of space must be occupi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rojector 10. There is a problem. This is inconvenient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projector 10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quipment or wiring relations for installing the projector 10, and it is also useful for users who want to view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121.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viewing space is limited.

한편 지지대(13)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상기 프로젝터(10)를 낮은 위치에 설치한 후 상기 중앙점(A)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하게 되면, 투사된 영상이 스크린(121)에 비스듬하게 입사되어 초점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사렌즈(111)가 장착된 경통(11)을 상기 영상생성부로부터 투사되어 나오는 광축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투사렌즈(111)를 통과한 영상이 비대칭으로 투사되면서 스크린의 대략 1/4 하단지점(B)에 초점이 맺혀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lower the height of the support 13, when the projector 10 is installed at a low position and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point A, the projected image is obliquely incident on the screen 121 and is focused. The adjustment is not done properly. Therefore, as shown in FIG. 1, the barrel 11 on which the projection lens 111 is mounte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axis projected from the image generato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asses through the projection lens 111. It is common for the image to be asymmetrically projected so that it is focused at approximately one quarter lower point B of the screen.

한편, 도 2는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1)이 설치된 캐비넷(32)과, 상기 캐비넷(32) 내부에 설치되는 프로젝터(4)와, 상기 프로젝터(40)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상기 스크린(31)의 배면으로 반사하는 반사경(33)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3)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경(33)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프로젝터(40)에서 투사된 영상의 초점이 상기 스크린(31) 배면의 중앙점(A)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프로젝터 케이스(42)에 내장된 영상생성부(미도시)의 광축과 경통(41)에 장착된 투사렌즈(411)를 통과하는 광축이 일직선상에 오도록 배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shows a rear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s shown, the cabinet 32 is provided with the screen 31, the projector 4 installed in the cabinet 32, and the projector 40 Reflector 33 is provided to reflect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back of the screen 31. In the rear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angle of the reflector 33 is properly adjusted so that the focus of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40 is the center point A of the rear surface of the screen 31. To be located at Therefore, in this case, the op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not shown) built in the projector case 42 and the projection lens 411 mounted on the barrel 41 ar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1,도1)에 사용되는 프로젝터(10,도1)와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3,도2)에 사용되는 프로젝터(40,도2)는, 영상을 확대 투사하기 위한 투사렌즈(111,도1)(411,도2)의 광축 위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1)에 사용되는 프로젝터(10)는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3)에 사용될 수 없고, 반대로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3)에 사용되는 프로젝터(40)는 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1)에 사용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전면 및 배면투사형에 모두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 투사방식에 따른 프로젝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는 프로젝터가 전면투사형 및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두가지 타입에 모두 적용가능한 최근의 경향과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or 10 (FIG. 1) used for the front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 (FIG. 1) and the projector 40 (FIG. 2) used for the rear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3 (FIG. 2) are images. The optical axis positions of the projection lenses 111 (FIG. 1) 411 and FIG. Therefore, the projector 10 used in the front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 cannot be used in the rear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3, and conversely, the projector 40 used in the rear projection type image projection apparatus 3 is the front projection type. It cannot be used for the image projection apparatus 1. Therefore, when it is desired to use both the front and rear projection typ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ojection method. This is in line with recent trends in which the projector is applicable to both types of front projection and rear projection image projection device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프로젝터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전면투사형 및 배면투사형의 두가지 타입의 영상재생장치에 적용가능하도록 프로젝터 투사렌즈계의 광축을 조정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easy to install the projector, but the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ment of the projector to adjust the optical axis of the projector projection lens system to be applicable to the two types of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of the front projection type and rear projection type The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도 1은 종래 전면투사형 프로젝터의 영상 투사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j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front projection type projector,

도 2는 종래 배면투사형 프로젝터의 영상 투사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j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rear projection type projector;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를 나타낸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ment device of the pro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주요 부위를 발췌 도시한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tract of the main part of Figure 3,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케이스 211..가이스슬롯21.Case 211.Gais Slots

22..경통 221..플레이트부재22. Body tube 221 Plate member

221a..가이드부 222..투사렌즈221a..guide part 222..projection lens

23..하우징 24..가이드레일23. Housing 24. Guide rail

25..캠팔로워부재 25a,28a..가이드홈25. Cam follower members 25a, 28a ..

26..피니언부재 27..랙부재 271..레버부재 28..캠부재26. Pinion member 27. Rack member 271. Lever member 28. Cam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는 케이스에 내장된 영상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상기 케이스 외부의 스크린으로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가 설치된 경통과; 상기 경통을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랙부재와, 상기 랙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피니언부재와,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중심축에 공용으로 설치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와 작용되도록 상기 경통에 마련된 캠팔로워부재 및 상기 경통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ment apparatus of a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lens for expanding the projection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on unit built in the case to the screen outside the case; And a conveying means for slidingly conveying the barrel, wherein the conveying means comprises: a rack member slidably mounted to the case, a pinion member installed on the cas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ack member, and a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pinion member. And a cam member installed on the common member, a cam follower member provided on the barrel so as to act with the cam member, and guide means for guiding the transfer of the barrel.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랙부재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랙부재는 그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송되는 레버부재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is provided with a guide slot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rack member, the rack member is preferably slidingly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conveyed along the guide slot.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구동원의 출력축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case.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영상생성부 전면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경통을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means may include a plate member having a housing installed in front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guide part supporting the barrel to be transport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s. desirable.

상기 캠부재는 그 외주면에 상기 캠팔로워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 memb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receiving the end of the cam follower member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경통의 이송이 허용되도록 형성된 개구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ning formed to allow the barrel to be transfer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는, 투사렌즈(222)가 설치된 경통(22)이 캠부재(28)에 연동되어 스크린(30)의 높이방향(Y축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송되면서 광축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ing apparatus of the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el 22 in which the projection lens 222 is installed is linked to the cam member 28 so that the height direction Y of the screen 30 is Y. FIG. The optical axis is adjusted while being f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경통(22)은 케이스(21)에 내장된 영상생성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영상을 받아들여 투사렌즈(222)를 통해 스크린(30)으로 확대투사하며, 상기 영상생성부 전면에 설치된 하우징(23)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 플레이트부재(221)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 영상생성부라 함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원과 그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매개로 영상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광학부재 및 광학부재들을 포함한 것을 가리킨다.The barrel 22 receives an image generated by an image generator (not shown) embedded in the case 21 and enlarges and projects the image through the projection lens 222 onto the screen 30, and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image generator. It is supported by a plate member 221 slidab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23.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mage generating unit refers to a light sourc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members and optical members arranged to generate an image through a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상기 하우징(23)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4)이 상기 스크린(30)의 높이방향(Y축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부재(221)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housing 23, a pair of guide rails 24 are provided side by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Y axis direction) of the screen 30, the plate member 221 is slidable to the guide rail Is supported.

한편, 상기 캠부재(28)는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마련된 랙부재(27)에 기어연결된 피니언부재(26)에 결합되어 있으며, 경통(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캠팔로워부재(25)가 상기 캠부재(28)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28a,도4)에 수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m member 28 is coupled to the pinion member 26 geared to the rack member 27 provided in the case 21, the cam follower member 25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el 22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28a (FIG. 4)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member 28.

상기 랙부재(27)가 상기 케이스(21)에 소정 형상으로 마련된 가이드슬롯(211)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피니언부재(26)가 상기 랙부재(27)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캠부재(28)는 그 중심( C1 )이 피니언부재(26)의 회전중심( C2 )에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캠팔로워부재(25)와 상기 캠부재(28)의 접촉점(T)이 그만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부재(221)가 가이드레일(2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경통(22)의 위치가 스크린(30)의 높이방향(Y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도 3에서 참조부호 212는 상기 플레이트부재(221)의 슬라이딩에 따라 그 플레이트부재(221)에 지지된 경통(22)의 이송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케이스(29)에 마련된 개구부를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221a는 플레이트부재(22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4)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271은 상기 가이드슬롯(211)을 통해 케이스(21) 외부로 돌출되도록 랙부재(27)에 형성되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랙부재(27)를 조작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된 레버부재를 나타낸 것이다.The rack member 27 is guided and slides in the guide slot 211 provided in the case 21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pinion member 26 is rotated by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rack member 27. At this time, the cam member 28 is the center ( C 1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inion member 26 C 2 ), And the contact point T between the cam follower member 25 and the cam member 28 is moved by that distance. Therefore, while the plate member 221 slides along the guide rail 24, the position of the barrel 22 is adjustable in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creen 30. In FIG. 3, reference numeral 212 denotes an opening provided in the case 29 so that the conveyance of the barrel 22 supported by the plate member 221 is guided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plate member 221. Is shown on both sides of the plate member 221 is a guide portion coupled to be transported to the guide rail 24. In addition, a reference numeral 271 is formed on the rack member 27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case 21 through the guide slot 211, for example, a lever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operate and slide the rack member 27. Absence is shown.

상기한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가 적용된 프로젝터는, 전면투사형 또는 배면투사형 중 사용하고자 하는 모드에 따라 상기 경통(22)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투사렌즈(222)의 초점위치를 선택된 모드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전면투사형으로 프로젝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투사렌즈(222)의 광축이 영상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의 광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경통(22)을 이송시키면 된다.The projector to which the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is applied may adjust the focus position of the projection lens 222 to the selected mode by sliding the barrel 22 according to a mode to be used, either front projection type or rear projection type. . That is, when the projector is used as the front projection type, the barrel 22 may be transferred such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projection lens 222 is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에 의해 투사렌즈의 광축이 이송되는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optical axis of the projection lens by the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사용자가 레버부재(271)를 조작하여 상기 랙부재(27)를 예를 들어 도 3의 (X)방향으로 이송시키면, 상기 랙부재(27)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부재(26)가 도 3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피니언부재(26)에 결합된 캠부재(28)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캠팔로워부재(25)를 통해 상기 캠부재(28)에 연결된 경통(22)이 연동되어, 도 3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0)에 대해 상승하는 방향(Y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상기 경통(22)이 지지된 플레이트부재(221)가 상기 가이드레일(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플레이트부재(221)에 지지된 경통(22)도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경통(22) 내의 투사렌즈(222)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통(22)이 이송되는 거리는 매우 미소하기 때문에, 영상생성부(23)에서 출사되는 영상이 경통(22)에 설치된 상기 투사렌즈(222)의 투사 영역을 벗어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First,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lever member 271 to transfer the rack member 27 in the direction of (X) of FIG. 3, for example, the pinion member 26 engaged with the rack member 27 is shown in FIG. 3. As seen from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and the cam member 28 coupled to the pinion member 26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Then, the barrel 22 connected to the cam member 28 through the cam follower member 25 is interlocked, and as shown by the imaginary line of FIG. Is transferred to. Then, since the plate member 221 on which the barrel 22 is supported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24, the barrel 22 supported by the plate member 221 is also moved together, thereby allowing the barrel 22 to be moved. Position of the projection lens 222 changes. At this time, since the distance that the barrel 22 is conveyed is very small, the image emitted from the image generating unit 23 does not occur outside the projection area of the projection lens 222 installed in the barrel 22.

또한, 반대로 전면투사형으로 사용된 프로젝터를 배면투사형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레버부재(271)를 조작하여 랙부재(27)를 (-X)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술한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캠부재(28)가 회전하면서 상기 경통(22)이 스크린(30)에 대해 하강하는 방향(-Y방향)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 케이스(21)를 스크린이 설치된 캐비넷(미도시) 내부의 소정 장착부에 장착시키면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영상생성부(23)의 광축과 상기 투사렌즈(222)의 광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projector used as the front projection type is to be used as the rear projection type, the user may operate the lever member 271 to slide the rack member 27 in the (-X) direction. Then, while the cam member 28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rrel 22 is conveyed in the downward direction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creen 30. Then, the case 21 may be mounted to a predetermined mounting portion inside a cabinet (not shown) where the screen is installed. Therefore, in this state,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23 and the optical axis of the projection lens 222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팔로워부재(25)의 단부가 상기 캠부재(28)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8a)에 수용되도록 마련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팔로워부재(25)의 단부에 가이드홈(25a)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25a)에 상기 캠부재(28)의 외주면이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end of the cam follower member 25 is provided to be received in the guide groove 28a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member 28.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guide groove 25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cam follower member 2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m member 28 may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25a. .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부재(271)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랙부재(27)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설명하였으나, 레버부재(27)가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예를 들어 전면투사형에 적합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프로젝터의 케이스(21)가 배면투사형 영상재생장치의 캐비넷(미도시)에 장착될 때 소정의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간섭되어 레버부재(27)가 배면투사형에 적합한 위치로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r member 271 is operated to be directly operated by the user to slide the rack member 27. However, the lever member 27 is elastically bias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suitable for, for example, a front projection type. When the case 21 of the projector is mounted in a cabinet (not shown) of the rear projection type image reproducing apparatus in the state, it is interfered by a predetermined stopper (not shown) so that the lever member 27 is transferred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rear projection type. You may.

또한, 상기 피니언부재(26)를 구동원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캠부재(28)가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피니언부재의 회전축이 케이스에 설치되는 구동원의 출력축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된다.In addition, the cam member 28 may be rotated by rotating the pinion member 26 by a drive sourc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ca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에 따르면, 투사렌즈의 광축이 스크린의 높이방향으로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프로젝터가 전면투사형 및 배면투사형의 두가지 타입에 적용가능하며 프로젝터의 설치가 용이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ing device of the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or can be applied to two types of front projection type and rear projection type by allowing the optical axis of the projection lens to be adjus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creen, and the installation of the projector is easy. Become.

Claims (7)

케이스에 내장된 영상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상기 케이스 외부의 스크린으로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가 설치된 경통과; 상기 경통을 슬라이딩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고,A barrel having a projection lens installed to enlarge and project an image generated by an image generator embedded in a case to a screen outside the case; A conveying means for slidingly conveying the barrel; 상기 이송수단은,The transfer means,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랙부재와,A rack member slidably installed in the case; 상기 랙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피니언부재와,A pinion member installed on the cas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ack member;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중심축에 공용으로 설치되는 캠부재와,A cam member common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inion member; 상기 캠부재와 작용되도록 상기 경통에 마련된 캠팔로워부재 및A cam follower member provided in the barrel to act on the cam member; 상기 경통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And a projection means for guiding the conveyance of the barre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랙부재의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슬롯이 마련되고,The case is provided with a guide slot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rack member, 상기 랙부재는 그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송되는 레버부재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The rack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ment apparatus of the proj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drive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member conveyed along the guide slo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구동원의 출력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And a rotation shaft of the pinion member is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of a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cas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수단은,The guide means, 상기 영상생성부 전면에 설치된 하우징과,A housing installed in front of the image generating unit;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using, 상기 경통을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And a plate member having a guide portion which supports the barrel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캠부재는 그 외주면에 상기 캠팔로워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And the cam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 receiving an end portion of the cam follower memb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캠팔로워부재는 그 단부에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And the cam follower member has a guide groove formed at an end thereof to recei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경통의 이송이 허용되도록 형성된 개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The cas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med to allow the conveyance of the barrel, the projection lens system optical axis adjustment apparatus of the projector.
KR1019970031986A 1997-07-10 1997-07-10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KR100219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986A KR100219644B1 (en) 1997-07-10 1997-07-10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986A KR100219644B1 (en) 1997-07-10 1997-07-10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550A KR19990009550A (en) 1999-02-05
KR100219644B1 true KR100219644B1 (en) 1999-09-01

Family

ID=1951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986A KR100219644B1 (en) 1997-07-10 1997-07-10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64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550A (en)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610B2 (en) Rear projector
JP5002319B2 (en) Projection display
US5851060A (en) Projective display device
US7265798B2 (en) Optical system for projection television
US5826962A (en) LCD integrated/overhead projector
JP2000171897A (en) Liquid crystal projector
KR100219644B1 (en)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WO2018003041A1 (en) Projection-type video display device
JPH08297337A (en) Three-dimensional projection system
KR100219647B1 (en) Apparatus to project images
KR100219648B1 (en)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KR100219650B1 (en)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KR100219646B1 (en)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ector
KR20010039392A (en) Projection-lens installing structure for projector
KR100219649B1 (en) Apparatus to control the center of lens unit for projrctor
KR100207727B1 (en) Projector
US20070146648A1 (en) Projector Using a Motor for Driving an Iris Installed Between a Light Source and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JP2005172959A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device
JP2004317986A (en) Moving device, lens barrel support device,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KR200209093Y1 (en) An apparatus for adjusiting optical axis in projector
KR0135340Y1 (en) Mirror control apparatus of optical system for rear projection television
KR20030066829A (en) Apparatus for adjusting a focus of a projection lens
KR200432083Y1 (en) Type of projector that establish in wall
KR980009997U (en) Focus Adjuster on Projection TV
KR20010107922A (en) Lcd integrated/overhead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