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703B1 - 관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관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703B1
KR100215703B1 KR1019950701080A KR19950701080A KR100215703B1 KR 100215703 B1 KR100215703 B1 KR 100215703B1 KR 1019950701080 A KR1019950701080 A KR 1019950701080A KR 19950701080 A KR19950701080 A KR 19950701080A KR 100215703 B1 KR100215703 B1 KR 100215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tubular members
ferrules
tub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717A (ko
Inventor
디이바아솔로뮤우 도널드
Original Assignee
도널드 디 바스로메
프로프라이에타리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2/008007 external-priority patent/WO1994007077A1/en
Application filed by 도널드 디 바스로메, 프로프라이에타리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도널드 디 바스로메
Publication of KR95070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adjustable; allowing movement of the parts joined
    • F16L37/5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adjustable; allowing movement of the parts joined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 조립체가 관 부재(14) 그 주위의 환상 부싱(17) 및 그 안의 페룰(21)로 이루어져 있다. 부싱(17)이 관 부재(l5)의 예정된 부분 둘레에 맞춰져 있고 페룰(17)이 그 말단(35)내에 삽입되어 있다. 페룰(21)이 부싱(17)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관 부재(15)의 내외면들(33,31)의 부분들을 팽창시키도록 작용한다. 페룰(75)이 그 위에 실(83)을 리테인하는 말단에서 외향으로 돌출한 플랜지(79)를 추가적으로 가진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페룰의 플랜지(101)의 직경 주위에 위치하고 그곳에서 수직으로 돌출한 립(103)이 연결된 자형 하우징(23) 안에서 관 부재(91)의 말단의 중심을 맞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관 조립체 및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본 출원은 1992년 9월 21일에 출원되어 계류중인 PCT/US92/08007 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가 관통하여 흐르는 접속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위에 설치된 부싱과 그 내부에 삽입된 페룰(ferrule)을 갖는 팽창 가능한 관부재에 관한 것이다.
다른 많은 산업에서는 물론 자동차 산업에서 저렴하고 믿을 만하며 용이하게 조립되는 부품들에 대한 수요는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수요는 연료, 브레이크 또는 냉장제 라인과 같이 유체를 전달하는 도관들 사이의 결합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히 현저해 진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결합은 자형 하우징 안에 보유된 웅형 관부재 또는 나사 부품이나 나사 너트에 의해 보유되는 접속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함께 결합되어 신속히 접속되는 부착물들이 나사 부품을 대신하여 사용되어 왔다.
신속 접속 파스너 또는 나사 부품을 보유하기 위하여, 일부 관부재들은 그 주위에 원주상으로 위치한 비드(bead)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외부로 돌출되는 비드는 관부재의 외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맞물린 자형 하우징 또는 접속기 반쪽 내에서 안전하고 누출이 방지되는 맞춤을 유지하기 위해서, 관부재 위의 미리 결정된 길이 방향 위치로 비드가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이러한 접속부가 탈착되거나 유출된다면, 차량은 불능이 되거나 또는 심지어 차량 점유자에게 위험을 줄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관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팽창가능한 관부재, 그 주위의 환상 부싱 및 그 내부의 페룰로 구성된다. 부싱은 관부재의 미리 결정된 부분 둘레로 끼어맞추어지며, 페룰은 관부재의 말단 내에 삽입된다. 페룰은 부싱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관부재의 내외부 표면의 부분들을 팽창시키는 작용을 한다.
페룰은 페룰의 말단에서 그 위로 실(seal)을 보유하는 역할을 하는 외부로 돌출된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페룰의 플랜지의 원주 둘레에 위치하고 그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한 립(lip)은 관부재의 말단을 자형 하우징 내에서 중심에 두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 기술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진다. 페룰은 관부재 위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부싱을 단단히 체결하고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종래 사용되던 것 보다 더 강한 부착력을 제공한다. 또한, 페룰은 관부재 위로 실을 보유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페룰은 관부재를 맞물린 접속기내에서 중심에 두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페룰은 관부재 안에 용이하게 설치되면서도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들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기재와 첨부된 청구 범위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부분 단면이 보여진 맞물림 자형 하우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선을 따라 절단된, 맞물림 자형 하우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2-2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관형 조립체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2-2 선을 따라 취해진, 본 발명에 따른 관 조립체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비 형성된 홈을 주위에 갖는 관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2-2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2-2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 4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2-2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 5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 8 도는 제 1 도 내지 3 도의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 1 제작 단계 전의 관부재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 9 도는 제 1 도 내지 3 도의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작 과정 중 제 1 단계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 10 도는 제 1 도 내지 3 도의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작 과정 중 제 2 단계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제 11 도는 제 1 도 내지 3 도의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제작 과정 중 제 3 단계를 보여주는 측면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 1 도 및 제 2 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접속기 조립체(11)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는 리테이너(13), 도관 또는 관부재(15), 비드 또는 부싱(17), 실(sea1; 19), 페룰(21) 및 하우징(23)으로 구성된다. 접속기 조립체(11)는 자동차 등의 내부에서 연료용, 브레이크 또는 냉동 시스템용 유체 도관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웅형 부재인 관부재(15)는 자형 부재인 맞물림 하우징(23) 내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와 관련하여, 관부재(15), 부싱(17) 및 페룰(21)은 관조립체(25)를 규정한다. 관부재(15)는 외부면(31), 내부면(33) 및 그 단부의 말단부(35)를 갖는 긴 원통형 부품이다. 관부재(15)의 외부면(31)은 말단부(35)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방향 거리 만큼에 위치하는 부싱(17)이 고정되는 지점(37)을 갖는다. 부싱(17)은 하우징(23)의 내부면(40)에 의해 규정되는 관통 보어(36) 안으로 안내(piloting) 관부재(15)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말단부(35)로부터 충분히 뒤쪽으로 떨어져 있는 거리에 위치한다. 제 9 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점(37)에 위치하는 관부재(15)의 외부면(38)은 부싱(l7)을 설치하기 전에, 통상적으로 단면이 원통형인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부분들(39,41)과 같은 높이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관부재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 4 도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원주 홈(43)이 관부재(47)의 외부면(45)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립되는 부싱(17)이 더 잘 배치되도록 하고 마찰에 의해 보유되도록 한다. 관부재들(15,47)은 고무와 같이 반-가요성이고 팽창가능한 탄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팽창가능한 중합체 및 금속 물질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제 1 실시예로 돌아가서, 하우징(23)에서 부싱(17)이 점점 가늘어지는 보어부(42)에 안착되어야 한다. 부싱(17)의 외측 단부는 돌출된 리테이너(13)와 맞물림으로써, 그렇지 않으면 관부재(15)를 하우징(23)으로부터 분리시킬 힘을 전달한다. 리테이너(13)는 부싱(17)으로부터의 관부재(15)에 대한 이러한 분리력들을 수용하여, 리테이너 보어(46)에 제공된 오목한 보어(44)의 후방벽과 체결함에 의해 자형 하우징(23)으로 힘을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안내 홈(48)이 리테이너(13)의 설치를 돕는다. 돌출 리테이너(13)는 하우징(23)의 안내홈(48)내로 삽입됨으로써 관부재(15)의 길이 방향 축을 향하여 안쪽으로 압축되는 신속 접속 파스너이다.
부싱(17)은 환상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변형 벽에 의해 규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부싱(17)은 U 자형이거나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부싱(17)은 그것에 작용하는 반경 외향의 힘을 지탱하기에 충분한 테두리 강도(hoop strength)를 갖는 금속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페룰(21)은 내부면(53)과 외부면(55)을 갖는 원통형의 길이 방향 부분(51)을 갖는다. 페룰(21)의 외부면(55)은 관부재(15)의 내부면(37)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페룰(21)은 전단(57)과 그 반대쪽의 말단(59)을 가진다. 플랜지(61)는 페룰(21)의 말단(59)에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 부분(51)에 대하여 외향 수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페룰(21)의 플랜지(61)는 관부재(15)의 외부면(31)을 지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관부재(15)의 말단부(35)는 그 둘레로 테이퍼(taper; 65)가 제공되어, 하우징(23) 내로 용이하게 중심 잡고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제 1 도 및 제 2 도 참조).
본 발명의 관 조립체(69)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 5 도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부재(71)는 제 1 실시예의 관부재(15)와 상당히 유사하다. 그러나, 관부재(71)의 말단(73)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점점 가늘어지는 부분을 가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룰(75)은 관부재(71) 내부로 돌출한 원통형 길이 방향 부분(77)을 가지며, 그로부터 수직이며 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79)를 갖는다. 플랜지(79)는 관부재(71)의 외부면(81)을 지나 연장되며, 환형의 실(83) 또는 O 링을 보유하고 하우징(23) 내에 말단(73)의 중심을 두는 작용을 한다(제 1 도 및 제 2 도 참조). 실(83)은 플랜지(79)와 부싱(85) 사이에 위치한다. 부싱(85)은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싱(1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83)은 바람직하게 탄성 고무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진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 조립체(89)의 제 4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부재(91), 부싱(93), 실(95) 및 페룰(97)로 구성된다. 관부재(91), 부싱(93) 및 실(95)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페룰(97)은 관부재(91) 내에 동심으로 돌출한 길이 방향의 원통형 부분(99)을 가지며 그에 수직하며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01)를 가진다. 또한, 립(103)은 그 원주 둘레의 플랜지(101)로부터 수직 외향으로 돌출된다. 립(103)은 맞물림 자형 하우징(23) 내에 관부재(91)의 가늘어지지 않는 말단(107)의 중심을 잡고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제 1 도 및 제 2 도 참조). 또한, 상기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페룰(97)의 플랜지(101)는 그 자신과 부싱(93) 사이에 실(95)을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 조립체(131)의 제 5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부재(133), 한쌍의 부싱(135,137), 및 페룰(139)로 구성된다. 실(19) (제 1 도 참조)은 부싱들(135,137) 사이 및 관부재(133)의 주위에 보유될 수 있다. 부싱들(135,137)은 그 안에 페룰(139)을 삽입함으로써 관부재(133)로 고정된다.
비드를 갖는 본 발명의 관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처리 단계들이 제 8 도 내지 제 11 도에 보여진다. 관부재(31)는 바람직하게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원통형 외부면들(39,41)과 같은 높이인 지점(37)에 외부면(38)(제 9 도)을 갖는다(제 8 도 참조). 그러나, 제 4 도에서 관찰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선결된 지점(43)은 그 안에 형성된 원주 홈(44)을 가질 수 있다. 제 1 단계는 제 9 도에 도시되는데, 부싱(17)이 미리 결정된 지점(37)에서 관부재(31)의 외부면(38) 둘레로 설치된다. 이러한 처리 단계에서, 부싱(17)은 외부면(38) 주위로 알맞게 끼어맞추어지지만, 부싱(17)은 여전히 관부재(3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처리 단계는 제 10 도에 도시된다. 페룰(21)의 길이 방향 부분(51)이 관부재(31)의 내부면(33) 내로 삽입된다. 제 11 도를 참조하면, 3 단계에서, 페룰(21)의 전단(57)은 미리 결정된 지점(37)을 지나서 관부재(31)내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다. 페룰(21)은 내부면(33)과 외부면들(39,41)을 관부재(31)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반경 외향으로 팽창시킨다. 그러나, 부싱(17)은 미리 결정된 지점(37)에서 관부재(31)의 반경 방향의 팽창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부싱(17)은 관부재(31) 위에 단단히 보유되고 배치되어, 그 둘레에 안전한 비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관 조립체의 여러가지 실시예가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목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화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다수의 실들과 다수의 부싱들이 관부재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페룰은 그 단부에 플랜지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또한, 특정의 리테이너 및 특정의 하우징 배열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여러 가지 다른 신속 접속 파스너들 또는 나사 부품들이 접속기 조립체의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관부재들은 가정용 전기 장치들, 산업 구조재들 및 자동차에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특정의 물질이 개시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물질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수용가능한 자형 배열을 갖고 그 안에 연장된 중앙 관통 보어(36)를 규정하는 원통형 내부면(40)을 갖는 하우징(23)과 결합하여 액체 매질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조립체로서, 원통형이고 웅형 배열을 가지며, 내부면(33), 말단부(35,73,107) 및 말단부(35,73,107)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방향 거리에 위치하는 지점(37)을 갖는 외부면(31,81)을 더 포함하고, 팽창 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관부재(15,47,71,91,133); 상기 관부재(15,47,71,91,133)와 상기 하우징(23)의 상기 내부면(4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외부면(31,81)을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위치하며, 상기 관부재(15,47,71,91,133) 주위에 협력하여 맞추어지고,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반경 방향 팽창을 제한하는 부싱(17,85,93,135,137); 및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말단부(35,73,107)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길이 방향 부분(51)을 갖는 페룰(21,75,97,139)로 구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관부재의 내외부면들의 부분들이 그 안의 상기 페룰(21,75,97,139)의 상기 길이 방향 부분(51)에 의하여 반경 외향으로 팽창되며,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은 그 주위의 부싱(17,85,93,135,137)에 의하여 반경 외향 방향의 팽창이 제한되며, 상기 부싱(17,85,93,135,137)은 상기 관부재(15,47,71,91,133) 상의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안전하게 보유되는 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21,75,97,139)은 상기 페룰(21,75,97,139)이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내부로 설치된 뒤로,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말단부(35,73,107)에 인접하여,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61,79,101)를 갖는 관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75,97)의 상기 플랜지(79,101)는 상기 관부재(71,91)의 상기 외부면(81)을 지나서 반경 외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플랜지(79,101)는 상기 밀봉 수단을 보유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부싱(85,93)과 상기 페룰(75,97)의 상기 플랜지(79,10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부재(71,91)의 상기 외부면(81)을 알맞게 둘러싸는 관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97)의 상기 플랜지(101)는 그 원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으로 배향된 립(103) 부분을 갖는 관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21,139)의 상기 플랜지(61)는 상기 관부재(15,133)의 상기 내부면(33)을 지나서 반경 외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면(31) 보다 앞서서 끝나는 관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탄성 중합체의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환상의 실(19,83,95)인 관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15,47,71,91,133)를 상기 하우징(23)에 보유하기 위한 수단(13)으로 더 구성되는 관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13)은 신속 접속 체결 장치인 관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13)은 나사 부품인 관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외부면(31,81)은 그 주위에 원주상으로 위치한 홈(43)을 가지며, 상기 홈(43)은 상기 부싱(17,85,93,135,137)과 일치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위치하며, 상기 관부재(15,47,71,91,133)가 그 안에 삽입된 상기 페룰(21,75,97,137)에 의하여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면 상기 부싱(17,85,93,135,137)은 상기 홈(43) 안에 부분적으로 끼어맞추어지는 관 조립체.
  11. 액체 매질을 전달하는 관 조립체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관부재(15,47,71,91,133) 주위에 비드(bead)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a) 원통형이며 외부면(31,81) 및 내부면(33)을 갖고 부싱(17,85,93,135,137)으로부터 떨어져서 연장된 말단부(35,73,107)를 더 가지는 팽창 가능한 관부재(15,47,71,91,133) 주위로, 환상 모양의 부싱(17,85,93,135,137)을 설치하고;
    (b) 상기 관부재(15,47,71,91,133) 위로 상기 부싱(17,85,93,135,137)을 배치하고;
    (c) 페룰(21,75,97,139)의 원통형 길이 방향 부분(51)을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말단부(35,73,107)내로 삽입하고;
    (d) 반경 방향 팽창을 제한하는 상기 부싱(17,85,93,135,137)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내부면(33) 및 외부면(31,81)을 팽창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상기 관부재(15,47,71,91,133)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21,75,97,139)은 그 말단에 외향으로 연장된 플랜지(61,79,101)를 가지며, 상기 페룰(21,75,97,139)의 플랜지(16,79,101)는 상기 페룰(21,75,97,139)이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내부로 설치된 후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말단부(35,73,107)에 인접해 있는,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맞물림 자형 하우징(23)의 내부면(40)으로 상기 관부재(71,91)의 상기 외부면(81)을 밀봉하는 수단이 상기 부싱(85,93)과 상기 페룰(75,97)의 상기 플랜지(79,101)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부재(71,91)의 상기 외부면(81)을 알맞게 둘러싸고, 상기 페룰(75,97)의 상기 플랜지(79,101)는 상기 관부재(71,91)의 상기 외부면(81)을 지나 반경 외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79,101)는 상기 밀봉 수단을 보유하는,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97)의 상기 플랜지(101)는 그 원주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수직으로 배향된 립(103) 부분을 가지는,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탄성 중합체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환상의 실(19,83,95)인,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21,139)의 상기 플랜지(61)는 상기 관부재(15,133)의 상기 내부면(33)을 지나 반경 외향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면(31) 보다 앞서서 끝나는,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조립체는 상기 관부재(15,47,71,91,133)를 하우징(23)에 보유하기 위한 수단(13)으로 더 구성되는,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13)은 신속 접속 체결 장치인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13)은 나사 부품인,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외부면(31,81)은 그 주위에 원주상으로 위치한 홈(43)을 가지며, 상기 홈(43)은 상기 부싱(17,85,93,135,137)과 일치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위치하며, 상기 관부재(15,47,71,91,133)가 그 안에 삽입된 상기 페룰(21,75,97,137)에 의하여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면 상기 부싱(17,85,93,135,137)은 상기 홈(43) 안에 부분적으로 끼어맞추어지는, 관부재 주위에 비드를 첨가하는 방법.
  21. 수용가능한 자형 배열을 갖고, 그 안에 연장되어 안내 홈(48)에서 끝나는 중앙 관통 보어(36)를 규정하는 원통형 내부면(40)을 갖는 하우징(23)과 결합하여 액체 매질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조립체로서, 원통형이고 웅형 배열을 가지며, 내부면(33), 말단부(35,73,107) 및 말단부(35,73,107)로부터 미리 결정된 길이 방향 거리에 위치하는 지점(37)을 갖는 외부면(31,81)을 더 포함하고, 팽창 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관부재(15,47,71,91,133); 상기 하우징(23)의 안내 홈(48)으로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는, 상기 하우징(23)으로 상기 관부재(15,47,71,91,133)를 보유하기 위한 돌출 리테이너(13); 상기 관부재(15,47,71,91,133)와 상기 하우징(23)의 상기 내부면(4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외부면(31,81)을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위치하며, 상기 관부재(15,47,71,91,133) 주위에 협력하여 맞추어지고,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반경 방향 팽창을 제한하는 부싱(17,85,93,135,137); 및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말단부(35,73,107)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길이 방향 부분(51)을 갖는 페룰(21,75,97,139)로 구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관부재의 내외부면들의 부분들이 그 안의 상기 페룰(21,75,97,139)의 상기 길이 방향 부분(51)에 의하여 반경 외향으로 팽창되며, 상기 관부재(15,47,71,91,133)의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은 그 주위의 부싱(17,85,93,135,137)에 의하여 반경 외향 방향의 팽창이 제한되며, 상기 부싱(17,85,93,135,137)은 상기 관부재(15,47,71,91,133) 상의 상기 미리 결정된 지점(37)에 안전하게 보유되는 관 조립체.
KR1019950701080A 1992-09-21 1993-07-09 관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KR100215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2/008007 WO1994007077A1 (en) 1992-09-21 1992-09-21 Means of coupling of non-threaded connections
USPCT/US92/08007 1992-09-21
PCT/US1993/006477 WO1994007076A1 (en) 1992-09-21 1993-07-09 Tubula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717A KR950703717A (ko) 1995-09-20
KR100215703B1 true KR100215703B1 (ko) 1999-08-16

Family

ID=6664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080A KR100215703B1 (ko) 1992-09-21 1993-07-09 관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7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717A (ko) 199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181B2 (en) Joining assembly for fixing a tube at a holder
US5131691A (en) Snap-fit connector for connecting slender piping members at end portions
US5181751A (en) Quick connector
US5655796A (en) Tubula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452599B2 (ja) 車両用パイプ−コンテナ継手組立体
EP0633991B1 (en) Flexible pipe joint
US5368337A (en) Adjustable stabilizer clamp
US5685575A (en) Power steering coupling assembly
US3575447A (en) Tube fitting
JP4736057B2 (ja) クイックコネクト継手
JPH06123390A (ja) 迅速な管連結器およびその連結方法
HU211103B (en) Fastening element for quick-connecting tubes
US5816626A (en) Spring lock coupling
EP0660907B1 (en) Tubula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621796A (en) Airspring with pneumatic fitting
US4536019A (en) Fluid conduit system
WO2008077013A2 (en) Connection of tubes for air conditioning and seal adapted thereto
US7040668B2 (en) Tube joint
KR100215703B1 (ko) 관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US4715107A (en) Method of forming an airspring with pneumatic fitting
CA1320235C (en) Quick connect pipe coupling
JPH08121666A (ja) 継手部をもつホース
JP2000055271A (ja) 配管用継手
JP2021162060A (ja) 自動車用の継手
MXPA96005314A (es) Ensamble de acoplamiento de servodirec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