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504B1 -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504B1
KR100215504B1 KR1019960034100A KR19960034100A KR100215504B1 KR 100215504 B1 KR100215504 B1 KR 100215504B1 KR 1019960034100 A KR1019960034100 A KR 1019960034100A KR 19960034100 A KR19960034100 A KR 19960034100A KR 100215504 B1 KR100215504 B1 KR 10021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mold
fit
composite metal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928A (ko
Inventor
김남곤
김운현
김억수
Original Assignee
이현우
동남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우, 동남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현우
Priority to KR101996003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5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16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making compound objects cast of two or more different metals, e.g. for making rolls for roll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고강도 인서트물의 접합면을 에칭하여 핏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인서트물을 예열시킨 후, 금형내에 투입하여 장착하는 단계; 및상기 인서트물의 접합면 위로 고온의 비철경금속 용융액을 급탕시키고, 고압하에 상기 비철경금속 용융액의 일부가 상기 인서트물의 접합면에 형성된 핏트 사이로 침투함으로써 상기 인서트물과 비철경금속이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구, 자동차 부품, 산업용 기기 제작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이종 복합 금속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고압주조법을 이용하여 이종 금속을 일체로 성형하여 접합시키는 복합 금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수용도 또는 신복합재료로 사용되는 복합 금속 강판은 비철 경금속 판재와 고강도 강판을 서로 접합시켜 원하는 기능을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복합 금속 강판의 대표적인 것은 클래드(Clad) 강판으로서 이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 경금속 소재와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일반 강판재를 압연에 의해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제작된다.
그러나, 그러한 클래드 강판은 접합시 강판재에 브러쉬 등으로 스크래치를 내어 이를 기재(基底)로 하여 압연에 의해 접합하기 때문에 접합력이 매우 약하여 그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특히, 클래드 강판을 프레스 성형시키는 경우 비교적 경도가 작은 비철재료와 경도가 큰 철강재의 경도차로 인해 접합면이 쉽게 분리 또는 박리되는 경향이 있어 제품화가 쉽지 않고 금형이 손상될 우려마저 있다.
나아가, 클래드 강판을 구성하는 비철재료와 강판의 열팽창 계수가 서로 상이하므로 제조 조건이 예컨대, 350℃ 이상의 고온인 경우에는 클래드 강판 자체가 변형되기 쉽다. 또한, 고기능을 요구하는 국부적인 부위에만 이종 금속의 복합 내지 접합이 요구될 때에는 이러한 클래드 강판의 적용이 불가능하여 부득이 제조 원가의 상승 및 응용의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고압 주조법을 사용하여 이종 금속을 일체로 성형시킴으로써 고강도의 결합력을 가진 복합 금속 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전해 에칭에 의해 터널형상을 가진 핏트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복합 금속의 조직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인서트물10a...터널형상
11...접합면12...핏트
20...용탕 모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은, 고강도 인서트물의 접합면을 에칭하여 핏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인서트물을 금형내에 투입하여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물의 접합면 위로 고온의 비철경금속 용융액을 급탕시키고, 고압하에 상기 비철경금속 용융액의 일부가 상기 인서트물의 접합면에 형성된 핏트 사이로 침투함으로써 상기 인서트물과 비철경금속이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금속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금속 제조방법은 크게 두 단계로 분류될 수 있는데, 금형(미도시)내에 삽입된 인서트(Insert)물(10)을 준비하는 단계(단계100)와 준비된 인서트물(10)을 금형 내부에 투입하여 고압주조에 의해 이종 금속을 접합 성형시키는 단계(단계200)가 그것이다. 상기 인서트물(10)은 고강도 철강재이며, 복합 금속이 요구하는 기능에 부합되는 것이라야 한다.
먼저, 준비된 인서트물(10)의 접합면(11)은 에칭(etching)되어 그 표면에 핏트(12)가 형성된다(단계110). 상기 핏트(12)는 이종 금속 접합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핏트(12)는 에칭의 종류 예를 들어, 전해에칭 및 화학에칭의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크기 및 분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에칭 용액으로는 FeCl3, HCl 및 소량의 CuCl2혼합용액이, 용액의 온도는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인서트물(10)을 전해에칭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핏트(12)를 형성시킨 후 이를 세척하고 다시 교류전원을 재인가함으로써 핏트(12)에 터널형상(10a)을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터널형상(10a)은 접합에 있어서 특히 효과적이다. 이 경우, 상기 직류전원은 80mA/Cm2, 150coulomb/Cm2이고, 교류전원은 200mA/Cm2, 400coulomb/Cm2이며, 주파수는 60Hz일 때 가장 효과적인 핏팅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르면, 상기 핏트(12)의 크기는 0.2 - 0.6mm 이고 전체 인서트물(10)의 면적에 대한 핏트 면적 분율은 50%이상일 때 가장 접합력이 양호하였다.
에칭이 완료된 철강재인 인서트물(10)은 예컨대, 180 - 250℃로 예열된 후 금형내에 투입 장착된다. 만약 예열되지 않은 상태의 인서트물(10)을 금형내에 투입시키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조작업을 행하면, 고온의 용탕과 저온의 인서트물(10)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인서트물(10)은 용탕과의 큰 온도차로 인해 접합이 불완전하게 된다. 상기 인서트물(10)의 투입은 고강도 판재가 접합되어야 할 부분에 맞도록 수행되어야 하는데, 즉, 금형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고기능이 요구되는 부위만이 금형내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클래드강 제작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모재의 국부적인 부위의 강화 및 접합을 가능케 한다.
이어서, 인서트물(10)이 투입되고 난 후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용융액인 용탕(20)이 금형내로 공급된다(단계210). 상기 용탕(20)의 조성은 원하는 용도에 상응하는 비철합금의 조성으로 구성되는데, 예컨대 Al-Si 합금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 내의 주조공정은 일반적인 다이캐스팅, 진공다이캐스팅 및 용탕단조법 등의 고압주조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용탕(20)은 고온고압상태에서 금형내로 급탕된다. 상기 고압주조법은 원하는 최종제품의 용도 및 성능과 모재의 후처리 필요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며 본 발명에 의해 어느 한가지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재의 후처리가 필요없을 경우에는 통상의 고압주조법에 의해 급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복합 금속 제조후 용접, 열처리 및 고온 코팅 등의 별도의 공정이 필요한 때에는 주조시 모재 내부의 예컨대, 가스 공극(Gas Porosity), 수축공(Shrinkage) 등과 같은 잔존 결함을 제어할 수 있는 진공다이캐스팅이나 용탕단조법이 바람직하다.
용탕(20)이 급탕된 후에는 고압 성형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복합 금속을 형성한다(단계220). 이때 용탕(20)은 인서트물(10) 접합면(11)에 형성된 핏트(12)의 터널형상(10a)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철강재인 인서트물(10)과 알루미늄 비철금속의 사이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서트물(10)은 금형 내에 투입되기 전에 미리 예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상호작용은 더욱 촉진된다.
이어서, 냉각 공정을 거쳐 철강재인 인서트물(10)에 알루미늄 등의 비철 경금속이 접합된 이종 복합 금속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종 복합 금속판의 조직 사진이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철강재인 인서트물과 알루미늄 용탕 모재 사이에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합부는 에칭에 의해 터널형상을 가진 핏트 사이로 용탕 모재가 침투 결합된 모습을 보여준다. 접합된 철강재는 모재인 알루미늄의 결점을 보강해줌으로써 고기능이 요구되는 곳에 적절히 쓰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금속 제조방법은 핏트가 형성된 철강재에 비철경금속 용탕을 가하여 고압주조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시킴으로써 강력한 접합력을 가진 이종 복합 금속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압연이나 롤링장비 없이 기존의 고압주조설비를 이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주조의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고기능이 요구되는 부위에만 국부적으로 이종 금속의 접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금속 제조방법은, 예를 들어 유도가열조리기구 제작시 유도발열체인 인서트물에 열도체인 모재를 고압주조를 통해 일체로 성형시킴으로써 우수한 성능을 가진 조리기구의 생산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및 산업용 기기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한정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Claims (6)

  1. 고강도 인서트물의 접합면을 에칭하여 핏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인서트물을 금형내에 투입하여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물의 접합면 위로 고온의 비철경금속 용융액을 급탕시키고, 고압하에 상기 비철경금속 용융액의 일부가 상기 인서트물의 접합면에 형성된 핏트 사이로 침투함으로써 상기 인서트물과 비철경금속이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물을 금형내에 투입하기 전에 적절한 온도로 미리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핏트는 전해에칭 또는 화학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에칭은 직류전원과 교류전원을 번갈아 인가함으로써 상기 핏트에 터널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핏트의 크기는 0.2 - 0.6mm 이며, 상기 접합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핏트 면적의 분율은 5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내부는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KR1019960034100A 1996-08-17 1996-08-17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KR10021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100A KR100215504B1 (ko) 1996-08-17 1996-08-17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100A KR100215504B1 (ko) 1996-08-17 1996-08-17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28A KR19980014928A (ko) 1998-05-25
KR100215504B1 true KR100215504B1 (ko) 1999-08-16

Family

ID=1946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100A KR100215504B1 (ko) 1996-08-17 1996-08-17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84B1 (ko) * 2000-12-21 2007-01-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마모성과 인성이 우수한 이중복합주조체의 제조방법
KR100826658B1 (ko) 2006-11-13 2008-05-02 (주)신영유니크 이종금속 접합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5269B (zh) * 2011-02-01 2015-08-19 昶联金属材料应用制品(广州)有限公司 制造包含复数层金属之壳体的方法及装置
KR102394848B1 (ko) * 2017-11-30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루미늄-스틸 하이브리드 주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주조되는 자동차용 강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84B1 (ko) * 2000-12-21 2007-01-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마모성과 인성이 우수한 이중복합주조체의 제조방법
KR100826658B1 (ko) 2006-11-13 2008-05-02 (주)신영유니크 이종금속 접합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28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5504B1 (ko) 고압주조법을 이용한 이종 복합 금속 제조 방법
IE922446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ing utensil
CN110405204A (zh) 异质金属件的制备方法
CN105562648B (zh) 一种用于钛合金与铝合金半固态成形连接一体化的方法
CN102049605A (zh) 一种铝质锅底的铝钢复合工艺及应用该工艺的铝钢复合锅
CN109290388A (zh) 一种铜包钢导线连续包覆轧制生产工艺
DE69938454D1 (d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unterschiedlichen metallischen materialien
CN101491828B (zh) 铜钢熔铸焊工艺
US26572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lates
CN110326861B (zh) 一种带纹饰的真分色金属饰品及其制作方法
JPS58387A (ja) 複合ロ−ルの製造方法
US2066647A (en) Enameled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1814368U (zh) 一种铝钢复合锅
CN110405418B (zh) 一种分色工艺饰品及其制作方法
KR100507829B1 (ko) 동-알루미늄-스테인리스강 클래드재의 제조방법
JP4323768B2 (ja) 真空部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
KR100245278B1 (ko) 유도 가열용 주방기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를 위한 금형
RU2123916C1 (ru) Способ сварк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олос внахлестку
KR19980084125A (ko) 성형가공용 클래드(clad)판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된 클래드판
KR100460618B1 (ko) 동합금의 세미솔리드구간을 이용한 접합방법
KR200292123Y1 (ko) 이중재질의 플랜지
KR20100042495A (ko) 전자유도 가열 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JPH11162612A (ja) 導電性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H06218479A (ja) 金属材料の表面成形方法と表面成形装置
JPS61270336A (ja) 中空工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