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158B1 -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158B1
KR100214158B1 KR1019960054490A KR19960054490A KR100214158B1 KR 100214158 B1 KR100214158 B1 KR 100214158B1 KR 1019960054490 A KR1019960054490 A KR 1019960054490A KR 19960054490 A KR19960054490 A KR 19960054490A KR 100214158 B1 KR100214158 B1 KR 10021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ressure
valve
ai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020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1996005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158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62B9/022Breathing demand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로의 공기유출구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의하여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연결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조작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므로써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강제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본 발명은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공급되는 공기의 자체압력을 이용하여 공급밸브를 작동시키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호흡기는 주변에 유독가스가 퍼져있을 때 이러한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공기실린더에 충전된 깨끗한 공기를 공급시키므로써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호흡기는 또한 주변에 산소가 희박한 상태나 스스로 호흡이 곤란한 의식불명의 환자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공기호흡기는 면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고 낮음에 따라 양압식과 부압식으로 구별된다. 양압식 공기호흡기는 부압식 공기호흡기에 비하여 면체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유독가스가 면체와 안면사이의 틈새를 통해 면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이외에 편안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제1도은 일반적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인체의 안면에 접하는 면체(1),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면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안면렌즈(3), 면체(1)의 가장자리에 있는 밀착용 러버를 안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절끈(5), 고압(이하, 1차압이라고 한다)의 호흡용 공기가 충전된 공기실린더(13), 공기실린더(13)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압력을 적절한 수준(이하, 2차압이라고 한다)으로 감소시키는 고압조정기(11), 공기압을 상기 2차압보다는 낮고 대기압보다는 약간 높은 양압상태(이하, 이를 3차압이라고도 한다)로 만들어서 면체(1)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5) 및 고압조정기(11)의 공기유출구와 공기공급장치(15)의 공기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중압호스(9)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공기실린더(13)의 공기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공기실린더(13)에서 토출되는 공기압이 실린더의 사양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이하로 떨어질 때 이를 경보하는 경보기 및 공기실린더(13)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 등이 공기호흡 시스템의 구성으로 부가되기도 한다.
제2도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제3도은 제2도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제4a도 및 제4b도는 제2도에서 밸브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도 내지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공급장치는 크게 몸체 유니트(20), 밸브 유니트(30) 및 밸브개폐 유니트(40)로 이루어진다. 몸체 유니트(20)의 상방에는 공기유출구(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측방에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 유니트(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1)와 공기유출구(22)를 구획하는 부분 격벽(23)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출구(22)에는 또한 연결부재가 설치되 있는 바 이러한 연결부재를 조작하여 공기공급장치를 면체(1)의 전면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연결하거나 공기유입구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는 적절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중압호스(9)가 결합된다. 한편, 몸체 유니트(20)의 하부에는 밸브 유니트(30)가 삽입, 체결되는 밸브유니트 체결구(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밸브유니트 체결구(24)는 공기유입구(21) 및 공기유출구(22)와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밸브유니트(30)는 공기공급용 노즐(31), 노즐(31)의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32), 밸브(32)를 개방시키는 힘(이하, 개방력이라고 한다)을 인가하는 개폐레버(33), 개폐레버(33)에 의한 개방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밸브(32)를 폐쇄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4) 및 상기한 부품들을 밸브유니트 체결구(24)에 고정시키는 밸브캡(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밸브 유니트(30)가 밸브유니트 체결구(24)에 완전하게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는 밸브(32)의 개폐여부에 따라서 공기유입구(21)까지 도달한 공기가 공기유출구(22)로 유출되거나 또는 차단된다. 즉, 밸브(32)가 개방된 경우에는 제2도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것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가 유출되게 되어 호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밸브개폐 유니트(40)는 이를 몸체 유니트(20)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41), 밸브개폐 유니트(4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2), 수축 시에 개폐레버(33)에 개방력을 인가하는 다이아프램(43), 다이아프램(43)에 미는 힘을 전달하는 푸시부재(44), 푸시부재(4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스프링(45) 및 사용자로부터 밸브개폐 지령을 입력받는 개폐핸들(4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개폐핸들(46)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즉 제3도에서 위치(P)에서 위치(N)를 향하여 돌리게 되면, 푸시부재(44)에 형성된 안내턱(44a)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에 개폐핸들(46)의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50)가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안내홈(42b)의 해당 단부에 걸리는 위치에 이르러서는 푸시부재(44)의 구속단(44b)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에 의해 구속되므로써 압축스프링(45)의 탄성력이 다이아프램(43)에 인가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43)은 원래의 상태인 볼록한 상태로 복원이 되고, 연이어서 개폐레버(33)가 복귀되어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32)를 폐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핸들(46)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즉 위치(N)에서 위치(P)를 향하여 돌리게 되면, 푸시부재(44)에 형성된 안내턱(44a)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에 개폐핸들(46)의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50)가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안내홈(42b)의 해당 단부에 걸리는 위치에 이르러서는 푸시부재(44)의 구속단(44b)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로부터 해방되므로써 압축스프링(45)의 탄성력이 다이아프램(43)에 인가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43)은 수축되게 되고, 연이어서 개폐레버(33)가 이동되어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32)를 개방하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47 및 48은 전술한 메카니즘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개폐핸들(46)이 위치(N)로 돌려진 상태에서 다이아프램(43)에 직접적인 힘을 인가하여 강제로 밸브(32)를 개방시키기 위한 푸시버튼 및 이에 연결된 푸시로드를 각각 나타내고, 49는 사용자가 푸시버튼(47)에서 손을 떼었을 때 푸시로드(48)를 후퇴시키는 복귀스프링(49)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공급장치에서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개폐 메카니즘이 직접적인 접촉력을 발생시키는 부품, 즉 개폐핸들, 압축스프링, 푸시부재, 개폐레버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늘어나고 부피 및 중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접적인 접촉력이 누적되게 되면 부품이 파손되거나 무디어지기 때문에 사용연한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이 큰경우에는 면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힘이 폐로 전달되어 호흡 시에 압박감에 의한 불쾌지수가 상승되고, 작업현장의 환경에 따라서는 공포감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작업자가 면체를 쓴 상태에서 고개를 위로 향하는 때에는 고개를 아래로 향할 때보다도 푸시부재의 자중에 의해 다이아프램을 미는 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의 고개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면체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귀스프링이 꼬이거나 하면 공기압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5도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 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6도은 제5도에서 다이아프램을 제거한 상태에서 공기공급장치를 보인 평면도로서, 양압형성 과정이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부품들의 직접적인 접촉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공급되는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기공급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에서는 공급노즐(61)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중압호스(9)에 연결하고, 몸체 유니트(60)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를 면체(1)의 전면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공기 실린더(13)의 토출구를 막고 있는 밸브를 개방시키면 고압조정기(11) 및 중압호스(9)를 통하여 감압된 2차 압력의 공기가 공급노즐(61)을 통하여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급노즐(61)의 후단에 위치한 노즐 밸브(63)가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공기가 공급노즐(61)의 단부에 자리잡은 플랜지에 형성된 노즐공(61a)을 거치고 이어서 몸체 유니트(60)에 형성된 중앙 통공(67)을 거쳐서 면체(1)로 유출되므로써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65)에 의해 다이아프램(62)이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다이아프램(62)이 내압노즐(64)을 막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호흡을 멈추거나 또는 숨을 내뿜을 때에는 면체(1)의 내부압력이 압력전달공(69)을 통하여 다이아프램(62)에 전달되기 때문에 다이아프램(62)이 스프링(65)을 축으로 하여 뒤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62)이 내압노즐(64)을 통한 공기의 유출을 막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압노즐(64)이 막히게 되면 노즐밸브(63)의 노즐공(63a)을 통과한 공기가 정압상태로 되면서 공급노즐(61)의 바이패스공(61a)을 막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다음의 흡입동작을 개시할때까지 양압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66은 장치를 면체(1)에 장착하거나 면체(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잠금부재를 나타낸다. 미설명 부호 70은 다이아프램(62)의 수직 절곡부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테(62a)가 걸리는 결합력을 나타내는 바, 이에 의해 다이아프램(62)의 내측 공간(A)의 기밀이 유지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압 형성이 공급되는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 및 중량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공기의 면체로의 유출을 단속하는 수단, 유출 량을 조절하는 수단 및 비상시에 공기를 직접 바이패스시켜서 공급받는 수단 등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 측면 및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기의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공기의 유출을 단속하기 위해서는 공기실린더에 구비된 밸브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불편함이 따르고, 이로 인하여 공기의 소모량도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된다. 이외에도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몸체 유니트가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한 결합홈에 불가피하게 고르지 못한 파팅라인이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의 내측 공간(A)의 기밀이 손상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프링 압력에 따라 면체 내부의 압력에 변동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공기공급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양압을 형성시키는 공기공급장치 상에서 공기의 면체로의 유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작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불필요한 공기의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양압을 형성시키는 공기공급장치에서 면체로 유출되는 공기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편리성을 증진시킨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조작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양압식 공기 호흡 시스템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임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에 형성된 노즐공 및 노즐밸브를 경유하는 흡기유로 이외에 상기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직접 공기유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는 공기 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조작력을 인가받는 개폐핸들; 상기 개폐핸들에 축결합되고 그 몸체의 적소에는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스핀들 및 상기 개폐핸들과 개폐스핀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가 수납되는 원통부의 상기 연결유로의 단부의 회전궤적과 면하는 위치에는 상기 내압노즐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핸들의 조작에 연동한 상기 개폐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를 연결유로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통공과 차단시키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은 일반적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은 제2도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2도에서 밸브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제6도은 제5도에서 다이아프램을 제거한 상태에서 공기공급장치를 보인 평면도.
제7도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의 정면도.
제8도은 제7도에서 Ⅰ-Ⅰ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제9도는 제7도에서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배면도.
제10도는 제7도에서 Ⅱ-Ⅱ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제11도은 제7도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측면도.
제12도는 제7도에서 노즐밸브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13a도 및 제13a도는 제8도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제14는 제8도에서 양압형성 유니트를 이루는 각 부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등가적으로 표현한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유니트 101 : 공기유입구
103 : 공기유출구 105 : 노즐 실린더
107 : 중앙통공 109 : 밸브시트
111 : 밸브 유니트 삽입구 113 : 개폐유니트 삽입구
117 : 조절유니트 삽입구 121 : 양압형성실
123 : 지지용 돌기 125 : 압력전달공
127 : 바이패스 입구공 129 : 바이패스 출구공
130 : 면체연결부재 140 : 필터
141 : 필터고정부재 151 : 결합공
153 : 안내홈 200 : 밸브 유니트
210 : 공급노즐 211 : 노즐관
213 : 수나사 215 : 바이패스공
216 : 플랜지부 217 : 노즐공
219, 221, 223 : 0링 230 : 노즐밸브
231 : 고무판 233 : 금속편
235 : 노즐공 300 : 밸브개폐 유니트
310 : 개폐핸들 311 : 걸림턱
313 : 걸림홈 315 : 핸들캡
320 : 지지부재 321 : 수나사
323 : 통공 325 : 스토퍼
327 : 볼삽입홈 328 : 압축스프링
329 : 볼 330 : 개폐스핀들
332 : 수평통로 333 : 수직통로
335 : 연결로드 337 : 0링시트
339 : 0링 340 : 내압노즐
400 : 양압형성 유니트 410 : 캡부재
411 : 축돌기 413 : 대기출입공
415 : 안내돌기 417 : 암나사
419 : 누름턱 420 : 다이아프램
421 : 원판부 423 : 금속판
425 : 탄력부 427 : 걸림테
500 : 유량조절 유니트 510 : 조절노브
520 : 교축밸브 521 : 0링
600 : 공기공급원 610 : 면체
620 : 메인 유로 630 : 개폐밸브
640 : 개폐밸브 642, 682 : 조작노브
650 : 압력검출부 660 : 제어부
670 : 바이패스 유로 680 : 유량제어밸브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제1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다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의 정면도이고, 제8도은 제7도에서 Ⅰ-Ⅰ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배면도이고, 제10도은 제7도에서 Ⅱ-Ⅱ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제11도은 제7도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제7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는 크게 몸체 유니트(100), 밸브 유니트(200), 밸브개폐유니트(300), 양압형성 유니트(400), 유량조절 유니트(500)로 이루어진다. 몸체 유니트(400)의 일 측면에는 공기유입구(101)가 형성되고, 그 배면에는 공기유출구(103)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01)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밸브개폐 유니트(30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113)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01)와 직각을 이루는 측면에는 유량조절 유니트(50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117)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양압형성 유니트(400)는 몸체 유니트(100)의 전방에 결합된다. 공기유입구(101)와 개폐유니트 삽입구(113)는 관통이 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관로의 도중에는 밸브시트(109)로 기능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시트(109)를 중심으로 하여 우측통로(이하, 노즐실린더(105)라고 한다)에는 후술하는 공급노즐(210)이 삽입, 고정되고, 개폐유니트 삽입구(113)에는 밸브 유니트(200)의 일부를 이루는 노즐밸브(230) 및 밸브개폐 유니트(30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몸체 유니트(100)의 노즐 실린더(105)의 중앙에는 공기유출구(103)와 연통되는 중앙통공(107)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맞은 편에는 양압형성실(121)로 기능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압력전달공(125), 바이패스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등이 적소에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30은 본 발명의 장치를 면체(1)에 결합시키기 위한 면체연결부재를 나타내고, 140 및 141은 면체(1)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및 그 고정부재를 각각 나타낸다. 미설명 부호 123은 양압형성실(121)의 적소에 수직으로 돌출된 지지용 돌기를 나타내는 바, 이러한 지지용 돌기(123)는 후술하는 다이아프램(420)에 면체(1)로부터의 압력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 다이아프램(420)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므로써 내압노즐(340)이 막히지 않도록 한다.
다음, 밸브 유니트(200)는 중압호스(9)를 통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노즐(210), 노즐밸브(230) 및 관계되는 결합부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0링들(219), (221), (223)로 이루어진다. 공급노즐(210)에는 그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211)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관(211)의 노즐밸브(230)와 면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16)에는 이를 횡으로 관통하는 노즐공(21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공급노즐(210)의 도중에는 또한 그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바이패스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공급노즐(210)의 노즐실린더(105)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경은 노즐실린더(105)의 내경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되어 있는 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공간을 경유하여 바이패스공(215)을 빠져나온 공기가 공기유출구(103)로 유출될 수 있다. 바이패스공(215)과 노즐공(217)의 사이에는 상기한 0링(219)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호간의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공급노즐(210)이 완전하게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몸체 유니트(100)에 형성된 중앙통공(107)이 상기 0링(219)의 좌측에 놓이도록 되어 있어서 노즐밸브(230)의 밀착여부에 따라 노즐공(217)과 중앙통공(107)이 서로 통하기도 하고 차단되기도 한다. 제12도는 제7도에서 노즐밸브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밸브(230)는 고무판(231)과 고무판(231)의 중심부에 심어진 금속편(233)으로 이루어지는데, 금속편(223)의 중앙에는 노즐관(211)의 직경에 비하여 매우 적은 직경을 가지는 미세 노즐공(235)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유니트(200)에서, 미설명 부호 213은 중압호스(9)와의 연결을 위한 수나사를 나타낸다.
제13a도 및 제13b도는 도 8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13a도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개폐 유니트(300)는 사용자로부터 밸브개폐지령을 입력받는 개폐핸들(310), 본 유니트(3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20), 공기유출구(103)로의 공기의 소통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개폐스핀들(330) 및 내압노즐(340)로 이루어진다.
개폐핸들(310)은 마개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개폐핸들(310)의 내측에는 그 내각이 예를 들어 120。를 이루는 부채꼴 형상의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1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걸림홈이(31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320)는 개폐핸들(310)이 장착되는 머리부와 개폐스핀들(330)의 몸체가 수납되는 원통부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320)의 머리부 위에는 상기 걸림턱(311)의 회전을 정해진 위치, 즉 제1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폐위치 또는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325)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볼삽입홈(3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삽입홈(327)에는 개폐핸들(310)에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개폐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328)과 볼(329)이 삽입된다. 지지부재(320)의 몸통부의 적소에는 후술하는 내압노즐(340)과 연통되는 통공(323)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스핀들(330)은 몸체(331) 및 몸체(331)로부터 연장된 연결로드(335)로 이루어지는데, 연결로드(335)의 자유단부는 지지부재(320)에 형성된 결합공을 경유하여 개폐핸들(310)과 축결합된다. 따라서, 개폐핸들(310)을 그 개폐위치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3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력이 개폐스핀들(330)의 몸체(331)에 전달되어 개폐핸들(310)과 개폐스핀들(33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개폐스핀들(330)의 몸체(331)에는 그 자유단부에서 연결로드(335)쪽을 향하여 소정 깊이의 통로(332: 이하, 수평통로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고, 나아가 수평통로(332)와 직각으로, 즉 스핀들 몸체(331)를 종단하여 상기 수평통로(332)와 연통되는 통로(333: 이하, 수직통로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직통로(333)로부터 소정각도, 예를 들어 120。만큼 떨어진 스핀들 몸체(331)의 외주면에는 0링(339)이 삽입되는 홈(337: 이하, 0링시트라고 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내압노즐(340)은 개폐유니트 삽입구(113)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몸체 유니트(100)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압형성실(121)과 연통되도록 장착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개폐핸들(310)을 제13a도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폐핸들(310)이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120。회전한 상태에서 걸림턱(311)이 스토퍼(325)에 걸리게 되므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중지되게 된다. 이렇게 회전이 중지되면 각 부품의 상태가 제13b도에 도시한 상태로 되는데, 이 위치에서는 볼(329)이 걸림홈(313)에 걸리게 되어 외부에서의 조작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나아가, 볼(329)이 걸린홈(313)에 걸리게 되면 딸깍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사용자는 이 소리를 듣고 개폐핸들(310)이 개방위치까지 회전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편,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서는 수직통로(333)가 지지부재(320)의 몸통에 형성된 통공(323)과 일직선 상태가 되는데, 이에 따라 노즐관(211),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 수평통로(332), 수직통로(333), 통공(323), 내압노즐(340)을 통과하는 일련의 유로가 형성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개폐핸들(310)을 제13b도의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폐핸들(310)이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120。회전한 상태에서 걸림턱(311)이 스토퍼(325)에 걸리게 되므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중지되게 된다. 이렇게 회전이 중지되면 각 부품의 상태가 제1제3도A에 도시한 상태로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0링(339)이 지지부재(320)의 원통부에 형성된 통공(323)을 밀폐시키므로써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로는 형성되지 않는다. 양압형성 유니트(400)는 다이아프램(420)과 이를 보호하는 캡부재(410)로 이루어진다.
제14도는 제8도에서 양압형성 유니트를 이루는 각 부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면들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420)은 가운데에 위치하는 원판부(421)와 원판부(421)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탄력부(425)와 탄력부(425)에서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걸림테(427)로 이루어진 고무판과 고무판의 상기 원판부(421)의 안쪽에 압착된 금속판(423)으로 이루어진다.
캡부재(41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테(427)를 양압 형성실(121)의 벽(122)위에 대고 누르는 누름턱(419) 및 다이아프램(420)을 축지하는 축돌기(411)가 형성되어 있다. 캡부재(410)에는 또한 대기가 출입하는 대기출입공(4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다이아프램(420)의 외측이 항상 대기압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부재(410)의 상기 몸체 유니트(100)와 접하는 면에는 복수 개, 예를 들어 4개의 암나사(417)와 안내 돌기(4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몸체 유니트(100)에 대한 설명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상기 캡부재(410)에 형성된 암나사(417) 및 안내 돌기(415)와 정대향하는 위치의 몸체 유니트(100)에는 각각 결합공(151)과 안내홈(1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420) 및 캡부재(410)를 몸체 유니트(100)에 조립하는 작업은 다이아프램(420)의 걸림테(427)를 양압 형성실(121)을 한정하는 벽(122)위에 자연스럽게 얹혀 놓은 상태에서 캡부재(410)에 형성된 안내 돌기(415)를 안내홈(153)에 정확하게 맞추고, 이어서 결합용 수나사(미도시)를 몸체 유니트(100)의 결합공(151)을 경유하여 암나사(417)에 결합시켜서 완료된다. 결과적으로, 다이아프램(420)은 그 걸림테(427)가 양압 형성실 벽(122)에 놓여진 상태에서 캡부재(410)의 누름턱(419)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몸체 유니트(100)의 사출성형 시에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파팅라인에 관계없이 양압 형성실(121)내의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안내 돌기(415)가 안내홈(153)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아니 하는 경우에는 캡부재(410)가 몸체 유니트(100)에 정위치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축 돌기(411)는 다이아프램(420)에 면체(1)로부터의 압력이 전달된 경우에 다이아프램(420)을 축지하여 내압노즐(340)이 막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스프링(제5도의 부호 65 참조)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면체(1) 내부의 압력 변동을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량조절 유니트(500)는 몸체 유니트(100)에 형성된 조절 유니트삽입구(117)에 삽입, 고정되는데, 노즐실린더(105)의 벽을 종단하여 형성된 바이패스 입구공(127)에서 유출되는 공기 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교축밸브(520) 및 교축밸브(520)를 조작하기 위한 조절노브(51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조절노브(510)를 조작하여 교축밸브(520)를 완전하게 닫으면, 교축밸브(520)의 단부가 바이패스 입구공(127)을 막게 되고, 이에 따라 바이패스 출구공(129)을 통한 공기의 유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노브(510)를 조작하여 교축밸브(520)를 풀게 되면, 공급노즐(210)에 형성된 바이패스공(215), 노즐실린더(105)의 내면과 공급노즐(210)의 외면사이에 형성된 공간,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 공기유출구(103)로 이어지는 일련의 유로가 형성되어 공기유입구(101)를 통한 공기가 공기유출구(103)로 바이패스되게 된다. 유량조절 유니트(500)에서 미설명 부호 521은 대기가 바이패스 출구공(129)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0링을 나타낸다. 이하에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호흡 시스템을 사용하여 호흡을 하기 위해서는 면체연결부재(130)를 조작하여 공기공급장치를 면체(1)에 연결한 상태에서 중압호스(9)에 구비된 암나사부재(미도시)를 공기공급장치의 공급노즐(210)에 형성된 수나사(213)와 연결한다. 다음, 공기실린더(13)에 마련된 개폐 밸브를 개방하고, 공기실린더(13)를 편안하게 착용한 후에 중압호스(9)의 원터치 플러그를 고압조정기(11)에 연결한다. 이때, 개폐핸들(310)이 폐쇄위치로 돌려져 있는 지도 확인한다. 다음, 면체(1)에 구비된 조절끈(5)을 최대한 푼 후에 면체(1)를 위로부터 안면에 착용한다. 다음, 면체(1)를 고르게 편 후에 양손으로 조절끈을 뒤로 당겨서 너무 압박되지 않도록 편안하게 조인 후에 흡입을 실시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지를 확인한다.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다시 착용하여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동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개폐핸들(310)을 그 폐쇄위치에서 120。돌리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공기공급장치가 개방상태가 되어 양압상태에서의 편안한 호흡이 가능해진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면체(1)를 쓴 상태에서 개폐핸들(310)을 개방위치로 돌리면,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통로(333)가 지지부재(320)의 몸통에 형성된 통공(323)과 일직선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노즐관(211),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 수평통로(331), 수직통로(333), 통공(323), 내압노즐(340)을 경유하여 공기가 유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노즐밸브(230) 측에서 공급노즐(210) 측에 인가되는 공기압보다 공급노즐(210) 측에서 노즐밸브(230) 측에 인가되는 공기압이 높기 때문에 노즐밸브(230)가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공급된 공기가 공급노즐(210)의 플랜지부(216)에 형성된 노즐공(217) 및 중앙통공(107)을 경유하여 공기유출구(103)로 유출되게 된다. 즉, 공기가 면체(1) 내로 유입되게 되므로써 인체가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양압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숨을 멈추거나 또는 숨을 내뿜을 때는 양압상태인 면체(1)의 내부압력이 압력전달공(125)을 통해 양압형성실(121)에 전달된다. 이 때, 다이아프램(420)의 외측에는 대기출입공(413)을 통하여 대기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이아프램(420)이 축돌기(411)에 의해 축회전되어 내압노즐(340)을 폐쇄시키게 된다. 내압노즐(340)이 막히게 되면,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을 통과한 공기가 다시 정압(static pressure) 상태로 되면서 공급노즐(210)의 노즐공(217)을 막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숨을 들여 마시면 면체(1) 내부의 압력이 순식간에 감소하여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다이아프램(420)은 압축전의 정상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내압 노즐(340)이 다시 열리게 되고, 내압노즐(340)을 통한 공기가 압력전달공(125)을 통하여 면체(1) 내로 급속하게 유입되기 때문에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노즐밸브(230)의 좌측의 압력이 우측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노즐공(217)이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공급이 재개된다. 이를 요약하면, 사용자가 숨을 멈추거나 내뿜을 때에는 공급노즐(210)을 통한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고, 숨을 들여 마실때에는 공급노즐(210)을 통한 공기의 공급이 재개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대기압, 숨을 들여 마실 때와 내뿜을 때의 면체(1) 내부 압력 사이의 대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유출입로가 이물질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막히는 경우에는 면체(1)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호흡이 불편해지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호흡이 편안해질 때까지 조절노브(510)를 조작하여 교축밸브(520)를 열면 된다. 이렇게 하여 교축밸브(520)가 열리게 되면, 중압호스(9)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공급노즐(210)의 중간에 형성된 바이패스공(215), 노즐실린더(105)에 형성된 공기가 공급노즐(210)의 중간에 형성된 바이패스공(215), 노즐실린더(105)에 형성된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직접 면체(1)로 유입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노즐공(217), 중앙통공(107) 및 공기유출구(10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메인 유로와 노즐관(211), 바이패스공(215),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 및 공기 유출구(10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거쳐서 공기가 면체(1)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교축밸브(520)를 통하여 유입 공기 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면 면체(1) 내의 압력을 호흡하기에 편안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유로가 이물질에 의해 완전하게 막힌 경우에는 바이패스 유로만에 의하여 공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등가적으로 표현한 블록구성도이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공기공급원(600), 면체(610), 공기공급원(600)과 면체(610)를 연결하는 메인 유로(620), 메인 유로(620)의 도중에 설치되며 호흡동작에 따라 공기공급원(600)과 면체(610) 사이의 공기의 소통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개폐밸브(630), 메인 유로(620)의 도중에 설치되어 호흡에 따른 면체(610) 내부의 압력변화를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650), 상기 압력 검출부(650)에서 검출된 면체(610) 내부의 압력을 기준 압력, 즉 대기압과 비교한 후에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개폐밸브(630)를 개폐하는 제어부(660), 메인 유로(620)의 도중에 설치되어 외부 조작력에 의해 상기 메인 유로(620)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40), 공기공급원(600)과 면체(610)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670) 및 외부 조작력에 의해 바이패스 유로(670)를 통한 공기공급(600)과 면체(610)사이의 공기의 소통을 허용 또는 차단하고, 상기 허용하는 경우에는 그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 밸브(680)를 구비한다. 제15도에서 미설명 부호 642 및 682는 상기 개폐밸브(640)와 유량제어밸브(680)에 외부조작력을 각각 인가하는 조작노브를 나타낸다.
제15도에서, 면체(610)는 면체(1)에 대응된다. 공기공급원(600)은 공기실린더(13)에 대응되고, 메인 유로(620)는 전술한바와 같이 중압호스(9), 공급노즐(210)의 플랜지부(216)에 형성된 노즐공(217), 중앙통공(107) 및 공기유출구(103)로 이어지는 일련의 유로에 대응될 수 있다. 개폐밸브(630)는 노즐밸브(230)에 대응될 수가 있다. 압력검출부(650)는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 양압 형성실(121), 압력전달공(125), 면체(1)로 이어지는 일련의 압력 검출용 유로(제15도에서 참조 번호 622 참조)에 설치된 내압노즐(340)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660)는 캡부재(410)의 대기출입공(413)을 통하여 유입된 대기압을 기준해서 상기 검출된 면체(1)의 내압을 비교하고, 그 대소에 따라 내압노즐(340)을 개폐하므로써, 결과적으로 노즐밸브(230)가 공급노즐(210)의 노즐공(217)을 개폐하도록 만드는 다이아프램(420)에 대응될 수 있다. 개폐밸브(640)는 지지부재(320)와 개폐스핀들(330)의 관련 구성들에 대응될 수 있고, 조작노브(642)는 개폐핸들(310)에 대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이패스 유로(6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압호스(9), 노즐관(211), 바이패스공(215),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 및 공기유출구(10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일련의 유로에 대응될 수 있고, 유량제어밸브(680)는 교축밸브(520)에 대응될 수 있고, 조작노브는(682)는 조절노브(510)에 대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제15도에 도시한 기술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따르면, 공기의 면체로의 유출을 공기공급장치 상에서 단속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작의 편리성이 증진되고, 나아가 불필요한 공기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호흡시의 흡기 및 배기 저항이 극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면체로 유출되는 공기 량을 조절하는 이외에 비상시에는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직접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 및 안전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 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 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조작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을 그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인가되기 전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그 개방 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에 형성된 노즐공 및 노즐밸브를 경유하는 흡기유로 이외에 상기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직접 공기유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는 공기의 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교축밸브로 이루어진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밸브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밸브체 및 그 중앙에 노즐공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체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밸브는 상기 금속편을 밸브체와 함께 삽입압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9.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에 형성된 노즐공 및 노즐밸브를 경유하는 흡기유로 이외에 상기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직접 공기 유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는 공기 량을 제어하는 교축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10.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 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조작력을 인가받는 개폐핸들; 상기 개폐핸들에 축결합되고 그 몸체의 적소에는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스핀들 및 상기 개폐핸들과 개폐스핀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가 수납되는 원통부의 상기 연결유로의 단부의 회전궤적과 면하는 위치에는 상기 내압노즐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핸들의 조작에 연동한 상기 개폐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를 연결유로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통공과 차단시키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KR1019960054490A 1996-11-15 1996-11-15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KR10021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490A KR100214158B1 (ko) 1996-11-15 1996-11-15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490A KR100214158B1 (ko) 1996-11-15 1996-11-15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20A KR19980036020A (ko) 1998-08-05
KR100214158B1 true KR100214158B1 (ko) 1999-08-02

Family

ID=1948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490A KR100214158B1 (ko) 1996-11-15 1996-11-15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765B1 (ko) * 2009-01-30 2011-07-26 주식회사 산청 호흡기용 공급밸브
KR101490815B1 (ko) * 2014-08-13 2015-02-06 주식회사 산청 우회 유로가 마련된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공기호흡기용 압력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20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1090B1 (en) Resuscitation and ventilation device
US6394091B1 (en) Breathing apparatus
US5632298A (en) Resuscitation and inhalation device
US8955514B2 (en) Facepiece with open port
US4436090A (en) Piston actuated, pilot valve operated breathing regulator
US4274404A (en) Oxygen supply system controlled by user exhalation
US5537999A (en) Breathing apparatus
US4037595A (en) Breathing equipment such as resuscitators
US8196581B2 (en) Mouthpiece supply valve
US6364161B1 (en) Oxygen conserver
US5241955A (en) Breathing apparatus
US6718980B2 (en) Treat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US20230310906A1 (en) Mask using oxygen supply device
US5645047A (en) Inhalation mask
EP0260021B1 (en) Pilot operated valves
KR100214158B1 (ko)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
EP0631795B1 (en) Regulator for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US5960793A (en) Breathing device for diving
US5070871A (en) Anaesthetic valve for converting between Mapleson `A` and `D` systems
US20030127099A1 (en) Demand valve which can be used in oxygen therapy
JPH0247964Y2 (ko)
KR940002940Y1 (ko) 방진 및 방독마스크의 공기공급밸브 장치
JP2502449Y2 (ja) 循環式呼吸器の安全装置
KR20170105991A (ko)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압 가스 용기와 방호 마스크
CA2371161C (en) Treat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