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125B1 -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125B1
KR100214125B1 KR1019960081181A KR19960081181A KR100214125B1 KR 100214125 B1 KR100214125 B1 KR 100214125B1 KR 1019960081181 A KR1019960081181 A KR 1019960081181A KR 19960081181 A KR19960081181 A KR 19960081181A KR 100214125 B1 KR100214125 B1 KR 10021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arameter
input
terminal
service rou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804A (ko
Inventor
이석란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8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1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소프트웨어 디버깅(debuging) 방법을 제공하여 시스템 개발 시간을 줄이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버깅 시에 프린트 문으로 일일이 확인하는 절차를 겪어야 함으로 시스템 디버깅 시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디버깅 시에 셀 상에서 명령어만을 입력하여 에러가 발생한 함수 이름 및 필요한 함수의 어드레스 및 파라미터의 수를 알 수 있는 디버깅 명령어를 제공하여, 편리한 디버깅 방법을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제공하여 시간 절약은 물론 교환기의 안정성을 높이며 프로그램의 프린트 문을 줄여주어 교환기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는 디버깅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소프트웨어 디버깅(debuging) 방법을 제공하여 시스템 개발 시간을 줄이고 교환기에 걸리는 하중(load)을 줄여주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전자 교환기의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이하 MP라 약칭함 )는 모듈화 및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다중 프로세서 구조로 된 분산 제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MP는 호 정보 처리, 번호 번역 그룹 스위치 제어, 시스템 유지 및 보수와 같은 실기간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상위 레벨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하위 프로세서(periperial processoe)는 텔레포니 소자 또는 입·출력 장치(이하 I/O라 약칭함 )들로부터 감지 및 순간 분석들과 같은 신호의 실기간 처리가 요구되는 하위 레벨의 일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든 프로세서의 통신은 CI(communication interworking)네트위크를 통하여 메시지가 전달되어 진다. CI 네트위크는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서가 같은 레벨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한편 , TDX -10 시스템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 라 칭함)은 씨알오에스(Concurrent real-time operating system; 이하 CROS 라 약칭함 )와 피피오에스(Peripheral pricessor operaying system; 이하 PPOS로 약칭함 )로 나뉜다.
이 중 상위 레벌의 운용체제인 CROS는, 시스템 내부의 프로세서들이 각각의 기능들을 병렬처리가 가능하도록 모든 환경을 제공하는 콘커런트 프로세싱(concurrent processing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온 라인(on-line) 수행 중 특정 프로세스에서 메모리가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메모리 할당/해제 기능이 가능하도록 제반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전전자 교환기 내부 MP들은 모두 이중화 구조로 운용되고 있으며 액티브측 프로세서에서 심각한 장애가 발생시 서비스의 유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본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MP 내부에 탑제된 여러 불럭의 공통 루틴들을 각 블록마다 공유해서 수행이 블록별로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종 기능 수행과정에서 프로세스간 통신 기능 수행 필요시 프로세서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어셈블리어나 순차적 프로그래밍의 고급 언어로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은 생산성과 유지보수성이 부족하나, 동시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한다면 높은 생산성과 프로그래밍의 용이성을 성취할 수 있다.
그래서 CCITT의 Z.200에서 권고된 표준 고급언어인 CHILL(CCITT high level language)의 동시 처리기능을 사용함으로써 교환기 소프트워어에 CHILL 동시 기능과 실시간 기능을 지원하도록 운영체제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교환기 응용 프로그래머가 소프트웨어 디버깅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중간 중간에 프린트 문을 넣어 소스 컴파일(COMPILE)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 시스템에 프린트 문 이라는 로드(load)를 주지 않기 위해서 디버깅이 끝나고 나서도 디버깅을 위한 프린트 문을 지워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는 시스템 디버깅 시에 프린트 문으로 일일이 확인하는 절차를 겪어야 함으로 시스템 디버깅 시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에러가 발생한 경우 어느 프로세서에서 어떤 이유로 잘못이 발생했는지 알 수가 없으며, 만약 잘못이 발생한 문장을 찾기 위해서는 프린트 문을 삽입해야 하는데 이는 교환기에 부하를 걸리게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불안을 가져올 수 있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전자 교환기에서 응용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 디버깅하는 경우 보다 쉽게 에러 수정을 할 수 있는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환기의 MP장치에 있어서 함수파리미터 추적 명령어를 입력하고 입력된 명령어 신택스(Syntax)검사를 수행하여 신택스 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전 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제1단계; 추적하고자 하는 파리미터의 함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고 이를 입력 받는 제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입력받는 함수 어드레스 정보를 심볼 테이블에서 찾아 브레이크를 걸수 있는 OP 코드를 해당 어드레스에 삽입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함수 파리미터 추적 방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메인 프로세서 시스템과 운용자 터미널의 개략적인 불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리미터 추적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라 전전자 교환기에서 오피(op)코드를 삽입하는 과정의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전전자 교환기의 함수 파리미터 추적 중 응용 프로그래머가 요구하는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엠피엠에이(MPMA) 100; 심볼 테이블
110; 운용 체제 120; 커널
122; 파일 시스템 관리자 124; I/O 관리자
126; IPC 관리자 128; 시간 관리자
130; 메모리 관리자 132; 시간 관리자
134; 예외 관리자 140; 운용자 터미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MP의 블록도를 설명하면 각각의 엠피엠에이(main processor and memory management board assemblay; 이하 MPMA라 칭함 )는 MP와 메모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블록이다.
또한 각각의 MPMA는 MP보드로서, OS 및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이 탑제되며 그리고 서로간에 S-체널로 연결하여 이중화 절체시 MP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MPMA 내부에는 운영 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유저 블록은 호처리, 운용, 보존 등의 응용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쉘(shell)은 유저 블록과 대등한 관계를 가지며 명령어의 입력, 검사 수행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쉘과 유저 블록의 하부에는 인터페이스가 쉘과 유저 블록이 운용 체제의 서비스를 받는 것을 중간에서 도와 준다.
한편 운용 체제는 감독자(supervisor)모드로 동작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의 하부에는 운용 체제가 존재한다. 그중 파일 시스템 관리자는 전전자 교환기의 MTU(magnetic tape unit)와 하드 디스크 유니트 등의 파일들을 관리한다.
I/O관리자는 전전자 교환기의 input/output메시지 등을 관리한다.
그리고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관리자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의 통신을 관리한다.
또한 이중화 관리자는 두 개의 이중화된 프로세서 간의 통신 및 데이터 등의 정보를 프로세서 간을 연결하여 자료의 전송이 이중화된 프로세서 단의 데이터 전송이 끊어지지 않도록 한다.
메모리 관리자는 프로세서의 정보의 저장 및 기타의 메모리에 관련된 제어를 담당한다.
시간 관리자는 프로세서의 타이머를 관리하여 시간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의 요청이 들어오면 이를 실행시킨다. 일 예로 시간 관리자는 오류 처리 프로세서를 제어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되도록 한다.
예외 상황 처리 관리자는 프로세스의 인터럽트(interrupt)요청에 따라 인터럽트를 수행한다.
그리고 커널(Kernel)은 각각 상기의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수행시키는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다음과 같은 구성 부제 및 구성을 포함하는 정형적인 교환 시스템이 MP 구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에 대하여 도2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함수 파라미터 추적 명령을 입력 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프로그래머는 교환기의 MP 중 MPMA 블록으로 사용자와 교환기 시스템 사이의 대화를 가능케 하는 명령 해석기인(shell)을 통하여 교환기의 프로세서로 함수 파리미터 추적 명령어를 입력한다.(단계 200).
입력된 명령어를 신택스(Syntax)검사하여 에러가 발생하였는가 판단한다.(단계 202).
신택스 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입력된 명령어가 틀렸음으로 오류 메시지, 예를 들어 Syntax error 또는 입력된 명령어를 읽을 수 없습니다. 등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처음의 명령어를 입력할 때의 셀로 넘어간다.(단계 204)
입력된 명령어를 신택스 검사하여 에러가 없으면 추적하고자 하는 함수 이름을 명령어가 입력된 단말기로 요구한다.(단계 206)
한편 단말기는 교환기의 프로그램을 입력하도록 설계되어진 컴퓨터로 워크스태이션 또는 더미 터미널(dummy terminal)과 같은 기타의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명령어를 입력한 프로그래머는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된 함수 이름 입력 요구에 답하여 찾고자 하는 함수 이름을 입력한다.(단계 208)
그러면 MP의 MPMA 는 함수 이름을 심볼 테이블에서 찾고 단말기로 추적하고자 하는 함수 파라미터 갯수 입력을 프로그래머의 단말기로 요구한다.(단계 210)
프로그래머는 단말기를 통하여 교환기의 MP 장치중 MPMA로 함수 파리미터 갯수를 입력한다.(단계 212)
그러면 MP의 MPMA는 함수 파라미터의 갯수를 일정 데이터 영역에 저정하고 추적하고자 하는 파라미터의 위치의 입력을 프로그래머의 단말기로 요구한다.(단계 214)
추적하고자 하는 함수 파라미터의 위치 요구를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MPMA로 입력한다.(단계 216)
MPMA는 프로그래머의 단말기로 추적조건의 입력을 요구한다.(단계 218).
입력된 파라미터 위치에 해당하는 파라미터의 추적조건을 입력한다. 즉, 〈, 〉,<=, >=, ==의 조건중에서 한가지 조건을 선택한다.(단계 220).
조건의 선택이 없을 시에는 브레이크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 함수의 모든 파라미터를 단순 출력한다.
MPMA는 단말기로 비교하는 값을 요구한다.(단계 222)
입력된 파리미터의 위치에 해당하는 파라미터의 비교값을 입력한다. 즉, 입력된 파라미터 위치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 >, <=, >=, ==비교값(compare value)를 입력한다.(단계 224)
예를 들어 입력된 파라미터 위치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값이 3이라고 하고 그리고 추적 조건은 <, 비교값은 4라고 하면 , 브레이크 서비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는 추적값 3이 비교값 4보다 작으므로 출력한다.
그리고 비교값이 2이고, 추적 조건을 같다면 브레이크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는 출력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제 함수에서 프린트 문을 넣어 디버깅하는 것보다 로드를 줄일수 있는 것이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3은 도2에 따라 전전자 교환기에서 오퍼레이션(이하 OP라 약칭함)코드를 삽입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MPMA는 입력 받은 함수 이름에 해당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RAM디스크에 저장된 심볼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찾아낸다.(단계 300).
여기서, 심볼 테이블이란 모든 함수 이름과 그 이름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및 정보를 갖고 있는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서, 프로그램을 컴파일 하면 함수와 글로벌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형성되는데 이를 심볼 테이블이라 한다.
그리고 찾아낸 MPMA의 메모리 어드레스 영역에 브레이크(break) 오퍼레이션 코드를 삽입한다.(단계 302).
그러면, MPMA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llegial interrupt service routine)을 브레이크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치환하여 해당 어드레스 번지에 브레이크 서비스 루틴을 저장한다.(단계 304).
그리고 도4를 참조하여 보면 도4는 브레이크 서비스 루틴에서 현재 수행중인 피씨비(process control block; PCB)스택 프레임에서 프로그래머가 요구하는 파라미터를 찾아 디스플레이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브레이크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MPMA의 어드레스 번지로 들어오면 ,브레이크 인터럽트가 걸린 시점에서 수행 중이었던 프로세스를 찾는다.(단계 400).
그리고, 프로세서 콘트롤 블록인 피씨비에서 해당 프로세스의 스텍 포인터(Stack pointer)를 찾는다.(단계 402).
사용자가 요구한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값을 찾는다.(단계 404).
상기 단계 404에서 찾은 값이 비교값과 해당하는 조건에 맞는지 비교한다.(단계 406).
상기 단계 406에서 판단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파라미터의 추적 조건에 맞는 경우 해당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408).
예를 들어, 입력된 파라미터 위치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값이 3이라고 하고 그리고 추적 조건은 <, 비교값은 4라고 하면, 브레이크 서비스 인터럽트 서비스루틴에서는 추적값 3이 비교값 4보다 작으므로 출력한다.
그리고 비교값이 2이고 , 추적 조건을 같다면 브레이크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는 출력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제 함수에서 프린트 문을 넣어 디버깅하는 것보다 로드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는 이중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중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은 액티브인 프로세서에서 작용이 되며 만약 프로세서에서 절체가 발생한다면 새로이 액티브로 설정된 프로세서에서 본 원이 작용한다.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기술하였는데 이러한 기술된 바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눈으로 보기 편리한 디비깅 방법을 응용 프로그래머에게 제공하여 시간 절약은 물론 디버깅의 편리함을 기한다.
둘째, 프로그램의 프린트 문을 줄여주어 교환기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Claims (8)

  1. 전전자 교환기 메인 프로세서 장치에서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은, 함수 파라미터 추적 명령어를 입력하고 입력된 명령어 신택스(syntax)검사를 수행하여 신택스 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전 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제1단계; 추적하고자 하는 파라미터의 함수 어드레스 정보를 요구하고 이를 입력받는 제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입력받은 함수 어드레스 정보를 심볼 테이블에서 찾아 브레이크를 걸수 있는 오퍼레이션(OP)코드를 해당 어드레스에 삽입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추적하고자 하는 상기 함수 이름을 명령어가 입력된 단말기로 요구하는 제1단계; 명령어를 입력한 상기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된 상기 함수 이름 입력 요구에 답하여 찾고자 하는 상기 함수 이름을 입력하는 제2단계; 상시 단말기로 추적하고자 하는 함수 파라미터 갯수 입력을 단말기로 요구하여 함수 파라미터 갯수를 입력하는 제4단계; 추적하고자 하는 파라미터의 위치의 입력을 단말기로 요구하고 상기 함수 파라미터의 위치를 입력하는 제6단계; 입력 받은 함수 이름에 해당하는 함수 파라미터의 위치를 찾는 제7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이름은, RAM 디스크에 저장된 심볼 테이블에서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파라미터 갯수는 RAM 디스크에 저장된 심볼 테이블에서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위치는 RAM 디스크에 저장된 심볼 테이블에서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인터럽트(interrupt)서비스 루틴을 브레이크 서비스 루틴으로 치환하여 해당 어드레스 번지에 브레이크 서비스 루틴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서비스 루틴의 현재 수행중인 피씨비(process control block; PCB)스택 프레임에서 파라미터를 찾아 그 값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 방법은 상기 브레이크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들어오면 브레이크 인터럽트가 걸린 시점에서의 수행 중이었던 프로세서를 찾는 단계; 상기 피씨비에서 해당 프로세스의 스텍 포인터(Stack pointer)를 찾는단계; 상기 파라미터의 이름, 갯수와 위치를 검사하여 요구한 모든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KR1019960081181A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KR10021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181A KR100214125B1 (ko)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181A KR100214125B1 (ko)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04A KR19980061804A (ko) 1998-10-07
KR100214125B1 true KR100214125B1 (ko) 1999-08-02

Family

ID=1949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181A KR100214125B1 (ko) 1996-12-31 1996-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21B1 (ko) * 2000-03-07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에서 어서트 기능을 이용한 프로그램 디버깅 방법
KR20220164975A (ko)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에스와이텍 잔류침하 감소와 지지성능 향상을 위한 복합기초 선 재하 구조 및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186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장비의 명령어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21B1 (ko) * 2000-03-07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에서 어서트 기능을 이용한 프로그램 디버깅 방법
KR20220164975A (ko)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에스와이텍 잔류침하 감소와 지지성능 향상을 위한 복합기초 선 재하 구조 및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04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2210A (en) Use of dynamic translation to provide fast debug event checks
US8856742B2 (en) Distributed debugging
CA2292123C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executable code to add additional functionality
US4819234A (en) Operating system debugger
US4885684A (en) Method for compiling a master task definition data set for defining the logical data flow of a distributed processing network
Eifert et al. Processor monitoring using asynchronous signatured instruction streams
US5680584A (en) Simulator system for code execution and debugging within a multi-architecture environment
US8225286B2 (en) Debugging interpreted input
US5737521A (en) Tracer system for analyzing errors in running real-time systems
CN102722438A (zh) 一种内核调试的方法和设备
KR10021412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함수 파라미터 추적 방법
US20020129336A1 (en) Automatic symbol table selection in a multi-cell environment
CN101237350A (zh) 用于多任务环境单板机的全局变量异常改写定位方法
CN116301836A (zh) 一种基于国产自主可控环境的嵌入式开发系统
CN112559336A (zh) 自适应调试异构计算芯片的方法、装置、系统及主板芯片
KR100208268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오류 정보 출력 방법
US6539436B2 (en) Management of interruptions in a computer platform
AU651682B2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ross-domain instruction calls and data references especiallly adapted for code interface jacketing in a multi-code execution and debugging system within a multi-architecture environment
KR100299623B1 (ko)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서버 프로그램의 통합 디버깅 방법
JP2659366B2 (ja) デバッグ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01584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데이터 베이스 추적방법
Goldberg et al. The PRIM System: An alternative architecture for emulator development and use
JP2000181748A (ja) マルチメモリ空間プログラムのデバッ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デバッグ方法
Galley et al. Software debugging: the virtual machine approach
Goldberg et al. PRIM system-A framework for emulation-based debugging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