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288B1 -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288B1
KR100213288B1 KR1019960005388A KR19960005388A KR100213288B1 KR 100213288 B1 KR100213288 B1 KR 100213288B1 KR 1019960005388 A KR1019960005388 A KR 1019960005388A KR 19960005388 A KR19960005388 A KR 19960005388A KR 100213288 B1 KR100213288 B1 KR 10021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bit
information
bit stream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268A (ko
Inventor
박충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0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288B1/ko
Publication of KR97006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04N19/8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in combination with error conceal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비트 스트림상의 픽춰 데이터에 포함되는 픽춰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된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복원된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호화 수단을 통해 부호화 되기 이전의 원신호로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픽춰층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각 정보들에 대한 코드워드 검색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픽춰 타입 정보에 대한 코드워드를 검색하고; 이 검색된 소정 비트의 픽춰 타입 정보의 코드워드에 대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값들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값이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여기에서의 체크결과,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가 서로 동일한 비트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정보가 서로 동일한 비트값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에러 은폐 및 복구 수단에 제공하고; 발생된 에러신호에 의거하여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중 에러가 발생된 비트 스트림 구간에서의 에러 은폐 및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발생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에러 은폐 및 복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이치(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복호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픽춰층에 포함되는 픽춰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고, 그 에러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에러 은폐 및 복구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스템 다중화 복호화 블록 200 : 영상 복호화 블록
300 : 에러 검출 블록 400 :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
500 : 프레임 메모리
본 발명은 영상전화, 영상회의 시스템 등 초저전송율(very low bit rate) 영상전송의 실현을 위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그 규격이 제정된 H.263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압축 부호화된 영상신호의 복원시에 에러를 검출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측 영상 복호화 시스템을 통해 원신호로 복원된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발생 가능한 에러를 검출하는 데 적합한 에러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같이, 이산화된 영상신호의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보다 좋은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일련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신호가 디지탈 형태로 표현될 때, 상당한 양의 전송 데이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송 채널의 사용가능한 주파수 영역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많은 양의 디지탈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그 전송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한편, 주로 통신 미디어용으로써 적합한 H.26-1과 저장 미디오용으로써 적합한 MPEG-1 및 동영상 미디어용으로써 적합한 MPEG-2 알고리즘에서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데 주로 이용되는 다양한 압축 기법으로서는, 확률적 부호화 기법과 시간적, 공간적 압축 기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부호화 기법중의 하나인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법은 움직임 보상 DPCM(차분 펄스 부호 변조), 2차원 DCT(이산 코사인 변환), DCT 계수의 양자화, VLC(가변장 부호화) 등을 이용한다. 여기에서, 움지임 보상 DPCM은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물체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현재 프레임을 예측하여 현재 프레임과 예측치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차분신호를 만들어 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들어 Staffan Ericsson 의 Fixed and Adaptive Predictors for Hybrid Predictive/Transform Coding,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3, NO.12( 1985년, 12월), 또는 Ninomiy와 Ohtsuka의 Amotion Compensated Interframe Coding Scheme for Television Picture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0, NO.1(1982년, 1월)에 기재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DPCM/DCT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법은 목표 비트레이트가 Mbps 급이고, 그 응용분야로서 CD-ROM, 컴퓨터, 가전제품(디지탈 VCR 등), 방송(HDTV) 등이 될 수 있으며, 세계 표준화기구에 의해 표준안이 이미 완성된, 영상내의 블록단위 움직임의 통계적 특성만을 주로 고려하는, 고전송율의 부호화에 관한 MPEG1,2 및 H.261 부호화 알고리즘 등에 주로 관련된다.
한편, 최근들어 PC의 성능 향상과 보급 확산, 디지탈 전송기술의 발전, 고화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현, 메모리 디바이스의 발달 등으로 가전제품을 비롯한 각종 기기들이 방대한 데이터를 가진 영상 정보를 처리하고 제공할 수 있는 기술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비트레이트가 kbps 급인 기존의 저속 전송로(예를들면, PSTN, LAN, 이동 네트워크 등)를 통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전송과 한정된 용량의 저장장치로의 저장을 위해 고압축율을 가진 새로운 부호화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영상전화, 영상회의 시스템 등에서의 실현이 가능한 추가적인 압축 실현을 위한 부호화 기법의 표준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러한 시대적인 필요 욕구에 따라 최근 인간의 시각특성에 바탕을 두고 주관적 화질을 중요시하는 MPEG-2에 대응하는 MPEG-4의 표준안 제정을 위한 저전송율 동영상 부호화 기법과 H.261에 대응하는 H.263의 표준안 제정을 위한 저전송율 동영상 부호화 기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도처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H.263 알고리즘에서의 에러 검출 기법에 관련된다.
한편, 송신측에서는 영상신호를 전송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부호화 기법을 통해 블록단위 또는 화소단위로 영상신호가 갖는 공간적, 시간적인 상관성을 고려해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측의 버퍼에 차례로 저장하게 되며, 이와같이 저장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즉 비트 스트림은 채널의 요구에 부응하여 소망하는 비트 레이트로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측의 부호화 시스템에 전송될 것이다.
다음에, 수신측의 복호화 시스템에서는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압축 부호화된 영상의 비트 스트림에 대해, IVLC, 역양자화, IDCT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되기 이전의 원신호로 복원되며, 이러한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은 전송시에 발생 가능한 전송 에러 등의 복구(recovery) 및 은폐(concealment) 과정을 거친 다음, 모니터를 통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에러 복구 및 은폐 기법의 경우, H.261 알고리즘에서는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H.263 알고리즘에서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모드 전송망에서 비트열이 전송되는 점을 고려하여 보다 적극적인 에러 복구 및 은폐 기법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H.263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방식에서는 영상 프레임의 비트 스트림에서 한 비트만 손상되더라도 실질적으로 복원된 영사엥서의 화질열화에 큰 영향을 미칠수가 있다. 따라서, 영상 프레임의 비트 스트림상에서 에러가 발생한 부분을 검출한다는 것은, 효과적인 에러 복구 및 은폐 기법을 적용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영상 프레임의 비트 스트림상의 픽춰 데이터에 포함되는 픽춰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된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 다중화 복호화 블록을 통해 분리되는 부호화된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 대해 IVLC, 역양자화 및 IDCT의 기법을 포함하는 복호화 수단을 이용하여 부호화되기 이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며, 에러 은폐 및 복구 수단을 통해 상기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상에서 에러가 발생할 때 발생된 에러를 은폐 및 복구하기 위해 비트 스트림상에서의 에러신호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픽춰층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각 정보들에 대한 코드워드 검색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픽춰 타입 정보에 대한 코드워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소정 비트의 픽춰 타임 정보의 코드워드에 대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값들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상기 상기 특정된 비트 정보값이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비트값 체크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가 서로 동일한 비트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러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가 서로 동일한 비트값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에러 은폐 및 복구 수단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에러시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중 에러가 발생된 비트 스트림 구간에서의 에러 은폐 및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1995년에 발간한 드래프트에 따르면, H.263의 영상 데이터 계층 구조는, 픽춰층(picture layer), GOB층(group of block layer), 마크로 블록층(macro block layer) 및 블록층(block layer)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계층 구조에 있어서, 픽춰층은 한 화면분의 화면 데이터인 것으로, 픽춰층을 이루는 각 픽춰의 데이터는 픽춰 헤더 정보와 그 뒤를 따르는 GOB 데이터로 구성되고, GOB는 포맷이 CIF(common intermediate format)일 때는 한 화면을 12분할한 화면 데이터로 구성되고 종횡의 화소수가 CIF의 절반인 QCIF(quarter CIF)일 때는 3분할한 화면 데이터로 구성되며, 각 GOB의 데이터는 GOB헤더 정보와 그 뒤에 이어지는 마크로 블록(MB)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픽춰층에 포함되는 픽춰 타입 정보(PTYPE : picture type information)를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를 검출하고자 한다.
또한, 마크로 블록층(MB)은 마크로 블록 헤더 정보와 그 뒤에 이어지는 블록 데이터로 구성되고, 블록층내의 하나의 블록은 4개의 휘도 블록과 2개의 색차 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층의 각 블록 데이터는 8비트의 INTRADC(DC coefficient for INTRA block) 정보와 가변길이를 갖는 TCOEF(transform coefficients) 정보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에러 검출에 이용하고자 하는 픽춰층은 22 비트의 PSC(Picture Start Code)정보, 5비트의 TR(Temporal Reference) 정보, 11비트의 PTYPE(Picture Type Information) 정보, 5비트의 PQUANT(Picture Quantizer Information) 정보, 3비트의 TRB(Temporal Reference for B frames) 정보, 2비트의 DBQUANT(Quantization information for B pictures)정보, 1비트의 PEI(Extra Insertion Information), 0/8/16 ... 비트의 PSPARE(Spare Information) 정보, 22비트의 EOS(End Of Sequence) 및 가변길이를 갖는 STUF(Stuffing)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픽춰층에 포함되는 각 정보들중 본 발명에서 에러 검출시에 이용하고자 하는 픽춰 타입 정보(PTYPE)는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총 11개의 비트로 이루어진다.
1) 비트 1 : 다규먼트 카메라 표시자(Document camera indicator) 정보로써, 0일 때는 오프를, 1일 때는 온을 의미함
2) 비트 2 : 프리즈 픽춰 해제(Freeze Picture Release) 정보로써, 0일 때는 오프를, 1일 때는 온을 의미함
3) 비트 3 및 4 : 소스 포맷(Source Format) 정보로써, 0일 때는 서브 -QCIF를, 1일 때는 QCIF를, 11일 때는 CIF를, 11는 예비 비트를 각각 의미함
4) 비트 5 : H.261 과의 구분을 위한 정보인 것으로, 항상 0임
5) 비트 6 : 스타트 코드 에뮬레이션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항상 1임
6) 비트 7 : 픽춰 부호화(coding) 타입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0일 때는 인트라 프레임을, 1일 때는 인터 프레임을 각각 의미함
7) 비트 8 :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Optional Unrestricted Motion Vector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0일 때는 오프를, 1일 때는 온을 각각 의미함
8) 비트 9 : 임의의 싱크텍스 기반 산출 부호화 모드(Optional Syntaxbased Arithmetic Coding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0일 때는 오프를, 1일 때는 온을 각각 의미함
9) 비트 10 :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Optional Advanced Prediction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0일 때는 오프를, 1일 때는 온을 각각 의미함
10) 비트 11 : 임의의 PB 프레임 모드(Optional PB frames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0일 때는 통상적인 인터 프레임을, 1일 때는 PB 프레임을 의미함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11 비트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픽워 타입(PTYPE) 정보에서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Optional Unrestricted Motion Vector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8번째 비트와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Optional Advanced Prediction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10번째 비트는 항상 동일한 값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가 온일 경우(즉, 픽춰 타입 정보의 8번째 비트가 1인 경우)에만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가 온(즉, 픽춰 타입 정보의 10번째 비트가 1)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이용하여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 검출이 가능, 즉 픽춰 타입 정보의 8번째 비트값과 10번째 비트 값이 서로 다를 경우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정보들을 갖는 픽춰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H.263 알고리즘의 영상 비트 스트림상에서 발생 가능한 에러를 검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복호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복호화 시스템은 시스템 다중화 복호화 블록(100), 영상 복호화 블록(200), 에러 검출 블록(300),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 및 프레임 메모리(500)를 포함한다.
제1도에 있어서, 시스템 복호화 블록(100)은, 전송채널을 통해 도시 생략된 송신측의 부호화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부호화된 영상, 음성 및 문자 등의 정보를 동기를 취해 가면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분리된 음성 및 문자 등의 정보는 도시 생략된 음성 및 문자 정보 복호화 블록으로 제공되고, 또한 비트 스트림 형태의 영상 정보는 라인 L11을 통해 영상 복호화 블록(200)으로 제공된다.
또한, 영상 복호화 블록(200)은 H.263 의 표준안에서 결정된 사양에 따라 압축 부호화된 영상 비트 스트림을 부호화되기 이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는 것으로, 인트라 프레임 또는 인터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은, IVLC, 역양자화, IDCT 및 움직임 보상 예측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영상 비트 스트림을 복원하여 원신호에 대한 영상 비트 스트림을 발생하며, 이와같이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은 라인 L13을 통해 에러 검출 블록(300)으로 제공됨과 동시에 라인 L15를 통해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으로 제공된다.
한편, 에러 검출 블록(300)에서는, 라인 L11 상의 복원된 인트라 프레임 또는 인터 프레임의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를 검출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영상 비트 스트림상에서 픽춰층에 포함되는 픽춰 타입(PTYPE)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가 발생한 위치를 검출하며, 여기에서 검출된 에러 위치 정보는 발생된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은폐 또는 복구를 위한 제어신호로써 라인 L17을 통해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으로 제공된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픽워 타입(PTYPE) 정보는 11비트의 길이를 갖는데,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Optional Unresticted Motion Vector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8번째 비트와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Optional Advanced Prediction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인 10번째 비트는 항상 동일한 값을 가져야 하며, 그 이유는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가 온일 경우(즉, 픽춰 타입 정보의 8번째 비트가 1인 경우)에만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가 온(즉, 픽춰 타입 정보의 10번째 비트가 1)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이용하여 후술되는 에러 검출 블럭(300)에서는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를 검출, 즉 픽춰 타입 정보의 8번째 비트값과 10번째 비트값이 서로 다를 경우 에러 발생을 검출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에러 검출 블록(300)에서는 라인 L13을 통해 영상 복호화 블록(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상에서 픽춰층에 포함되는 픽춰 타입(PTYPE) 정보를 검색한 다음,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 정보인 8번째 비트값과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 정보인 10번째 비트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 비트값을 비교하며, 그 비교결과 검출된 8번째 비트값과 10번째 비트값(0 또는 1)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되면,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의 해당 픽춰에서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리기 위한 에러신호(예를들면, 1 또는 0의 논리신호)를 발생하여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에 제공한다. 그 결과,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에서는 현재 입력되는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가 발생한 해당 픽춰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500)에 저장되는 있는 바로 이전 픽춰 데이터로 대체하는 등의 기법을 통해 에러 은폐 및 복구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픽춰층에 포함되는 픽춰 타입(PTUPE)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에러 은폐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제2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에러 검출 블록(300)에서는 전술한 영상 복호화 블록(200)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L13 상의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 즉 복원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비트 스트림이 입력되면(단계 210), 이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비트 스트림에 대한 픽춰층내의 해당 정보들에 대한 코드워드, 예를 들면 PSC(Picture Start Code) 정보, 5비트의 TR(Temporal Reference) 정보, 11비트의 PTYPE(Picture Type Information)정보, 5비트의 PQUANT(Picture Quantizer Information) 정보, 3비트의 TRB(Temporal Reference for B frames) 정보, 2비트의 DBQUANT(Quantization information for B pictures) 정보, 1비트의 PEI(Extra Insertion Information), 0/8/16 ... 비트의 PSPARE(Spare Information)정보, 22 비트의 EOS(End Of Sequence) 및 가변길이를 갖는 STUF(Stuffing)정보들에 대한 코드워드 검색을 수행한다(단계 220).
그런다음, 단계(230)에서는 상기 단계(220)에서 검색된 코드워드를 체크하여 현재 검색된 코드워드가 본 발명에 따른 에러 검출을 위해 검색하고자 하는 픽춰 타입(PTYPE) 정보에 대한 코드워드가 아니면 픽춰 타입(PTYPE) 정보에 대한 코드워드가 검색될 때까지 상기 코드워드 검색단계(220)를 반복 수행하고, 체크결과 현재 검색된 코드워드가 검색하고자 하는 픽춰 타입(PTYPE) 정보에 대한 코드워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240)로 진행된다. 이때, 검색된 픽춰 타입(PTYPE)정보는, 앞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11비트의 길이를 갖는다.
한편, 단계(240)에서는 상기한 단계(230)를 통해 검색된 픽춰 타입(PTYPE) 정보에 대한 코드워드의 비트값을 검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에러 검출을 위해 필요로 하는 11비트의 픽춰 타입 정보에서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 정보를 나타내는 8번째 비트값과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 정보인 10번째 비트값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검출되는 픽춰 탑입 정보내용중 8번째 비트(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 정보)와 10번째 비트(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 정보)는 항상 동일한 값을 가져야 하는데, 그 이유는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가 온일 경우(즉, 픽춰 타입 정보의 8번째 비트가 1인 경우)에만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가 온(즉, 픽춰 타입 정보의 10번째 비트가 1)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단계(250)에서는 상기한 단계(240)를 통해 검출된 픽춰 타입(PTYPE) 정보내의 8번째 비트값과 10번째 비트값이 동일, 즉 1 또는 0, 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런다음, 상기 단계(250)에서의 체크결과, 검출된 8번째 비트값과 10번째 비트값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에러 검출 블록(300)에서 에러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예를 들면 에러 플러그가 0(예를들면, 논리신호)로 세팅되는 단계(260)로 진행된다. 따라서,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에서는, 에러 검출 블록(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에러발생이 없음을 의미하는 에러신호(0의 논리신호)에 응답하여, 에러 은폐 및 복구 기법의 적용없이 입력되는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을 다음단의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에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250)에서의 체크결과, 검출된 픽춰 타입 정보내의 8번째 10번째 비트값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 검출 블록(300)에서는 에러 플러그값 1을 발생하며(단계 270), 이와같이 발생된 논리신호 1값의 에러 플러그 신호는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으로 제공된다.
그 결과,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에서는 상기한 에러 검출 블록(300)으로부터 에러신호가 입력되면, 라인 L15를 통해 영상 복호화 블록(200)으로부터 현재 입력되는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상에서 에러 발생이 확인된 해당 픽춰 데이터에 대해 에러 은폐 및 복구를 수행한다(단계 280). 예를들면,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400)에서는 현재 입력되는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해당되는 픽춰 데이터(에러발생이 확인된 픽춰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500)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픽춰 데이터로 대체하는 등의 기법을 통해 에러를 은폐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상에서 에러가 발생된 해당 픽춰에 대한 에러 은폐가 원활하게 수행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H.263의 알고리즘에 따라 부호화된 다음 수신측에서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에러의 은폐 또는 복구를 위해, 영상 비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픽춰층내의 픽춰 타입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재생 영상에서의 화질열화를 수반하는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발생 검출 및 이를 이용한 에러 은폐 및 복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시스템 다중화 복호화 블록을 통해 분리되는 부호화된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 대해 IVLC, 역양자화 및 IDCT의 기법을 포함하는 복호화 수단을 이용하여 부호화되기 이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며, 에러 은폐 및 복구 수단을 통해 상기 복원된 영상비트 스트림상에서 에러가 발생할 때 발생된 에러를 은폐 및 복구하기 위해 비트 스트림상에서의 에러신호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을 입력하여 픽춰층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각 정보들에 대한 코드워드 검색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소정 비트의 픽춰 타입 정보에 대한 코드워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소정 비트의 픽춰 타입 정보의 코드워드에 대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값들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상기 특정된 비트 정보값이 서로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비트값 체크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가 서로 동일한 비트값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러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상기 검출된 적어도 2비트의 특정된 비트 정보가 서로 동일한 비트값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에러 은폐 및 복구 수단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에러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중 에러가 발생된 비트 스트림 구간에서의 에러 은폐 및 복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춰 타입 정보내의 특정된 비트 정보값은, 1비트 길이를 갖는 임의의 비한정 움직임 벡터 모드 정보와 1비트의 길이를 갖는 임의의 전방 예측 모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비트 정보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발생하는 상기 에러신호는, 0 또는 1의 논리값을 갖는 플러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은, 픽춰층을 이루는 각 픽춰 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은폐 및 복구는, 각 픽춰 단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춰 단위의 에러 은폐 및 복구는, 상기 에러 은폐 및 복구 블록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인접하는 이전 픽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현재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 에러 발생이 검출된 해당 픽춰 데이터는, 에러 은폐 및 복구를 위해 상기 이전 픽춰 데이터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KR1019960005388A 1996-02-29 1996-02-29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21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388A KR100213288B1 (ko) 1996-02-29 1996-02-29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388A KR100213288B1 (ko) 1996-02-29 1996-02-29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268A KR970064268A (ko) 1997-09-12
KR100213288B1 true KR100213288B1 (ko) 1999-08-02

Family

ID=1945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388A KR100213288B1 (ko) 1996-02-29 1996-02-29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2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268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7012B2 (ja) ビデオ符号化方法
US5235419A (en)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using a plurality of motion compensators
US5376968A (en) Adaptive compression of digital video data using different modes such as PCM and DPCM
US6744924B1 (en) Error concealment in a video signal
US200501056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error concealment in a video decoder
US20110026592A1 (en) Intra block walk around refresh for h.264
JP2003533950A (ja) ビデオ符号化方法
KR20060043051A (ko) 영상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US5796436A (en) Video data storing device and method for coding video data based up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video data conforms to a predetermined standard
US6356661B1 (en) Method and device for robust decoding of header information in macroblock-based compressed video data
KR100213289B1 (ko)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US6040875A (en) Method to compensate for a fade in a digital video input sequence
KR100213288B1 (ko)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385620B1 (ko) 개량된 엠펙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3756897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符号化方法
KR100203711B1 (ko)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212544B1 (ko) 에이치. 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 방법
KR0178242B1 (ko) 에이치(h).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0178243B1 (ko) 에이치.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220578B1 (ko) 에이치.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220579B1 (ko) 에이치.263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203719B1 (ko) 엠팩-2 영상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212543B1 (ko) 엠팩-2 인트라 프레임의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100213290B1 (ko) 엠팩-2 인트라 프레임의 비트 스트림에서의 에러 검출방법
KR20060043120A (ko) 영상 신호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