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141B1 -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141B1
KR100213141B1 KR1019970004856A KR19970004856A KR100213141B1 KR 100213141 B1 KR100213141 B1 KR 100213141B1 KR 1019970004856 A KR1019970004856 A KR 1019970004856A KR 19970004856 A KR19970004856 A KR 19970004856A KR 100213141 B1 KR100213141 B1 KR 100213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haft
washing
coupl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333A (ko
Inventor
엄재용
최환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14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eeth forming the inter-engaging parts; Details of shape or structure of these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조작력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는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이 회전조(12)에 결합된 탈수축(120)과 탈수축(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은 회전날개(13)에 결합되고 하단은 모터(20)에 연결된 세탁축(110)을 포함한다. 탈수축(120)에는 회전은 탈수축(120)과 일체로 하되 승강은 자유로운 연결부재(130)가 설치되어 외부조작력에 의하여 승강하여 고정부재(140)나 세탁축(110)에 연결됨으로써 탈수축(120)의 회전을 억제하거나 탈수축(120)이 세탁축(1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한다. 연결부재(130)와 승강은 일체로 하되 회전은 별개로 하는 승강부재(160)가 설치되고, 승강부재(160)의 외곽에는 외부조작력에 승강부재(160)에 전달하여 승강부재(160)가 경상진 승강안내홀(171)을 따라 이동하여 승강하도록 하는 회동부재(180)가 설치된다. 회동부재(180)는 승강부재(160)와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기어(181)와 회동기어(181)에 치합되어 회동기어(181)를 회동시키는 회동바(182)를 포함한다. 회동바(182)는 회동기어(181)에 치합된 제1바(182a)와 외부조작력과 연결된 제2바(182b)로 구획되는데, 이들은 하나의 축(18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들사이에는 스프링(184)이 개재되어 제2바(182b)의 회동력이 탄성적으로 제1바(182a)에 전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어를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를 구성하여 동작의 정확성을 높이고 외부로부터의 작동력을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구성한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세탁기의 모터와 회전조 및 회전날개사이에 장착되어 동력을 절환하고 회전속도를 감속하며 제동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은 세탁기의 회전조(1b)에 결합되고 하단은 수조(1a)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측으로 연장된 탈수축(2a)(2b)(2c)이 중공으로 마련된다. 탈수축(2a)(2b)(2c)의 내부에는 모터(도2의 9e)의 회전력을 회전날개(1c)에 전달하기 위한 세탁축(3a)(3b)이 설치되는데, 세탁축(3a)(3b)의 상단은 회전날개(1c)에 결합되고 하단은 탈수축(2a)(2b)(2c)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다. 세탁축(3a)(3b)의 하단에는 풀리(8)가 설치되어 모터(도2의 9e)의 회전력이 벨트(도2의 9f)를 통하여 세탁축(3a)(3b)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세탁축(3a)(3b)은 상하로 분리된후 유성기어(4)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모터(도2의 9e)의 회전수가 세탁에 알맞게 감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탈수축(2a)(2b)(2c)의 하부와 이에 대향하는 세탁축(3a)(3b)의 하부에는 클러치스프링(5a)과 이를 조정하기 위한 클러치레버(5c)가 보스(5b)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클러치레버(5c)를 조작하여 세탁축(3a)(3b)과 탈수축(2a)(2b)(2c)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탈수축(2a)(2b)(2c)에는 세탁시 회전조의 공회전억제 및 탈수시 급제동을 위한 제동구조가 제공된다. 제동구조는 탈수축(2b)을 감싸는 브레이크밴드(6a)와 브레이크밴드(6a)를 조정하는 브레이크레버(6b)를 구비하는데, 브레이크레버(6b)는 클러치레버(5c)와 연동한다. 이때 브레이크밴드(6a)의 하부 탈수축(2c)에는 일방클러치베어링(7)이 설치되어 브레이크밴드(6a)와 협동하여 세탁시 회전조(1b)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시를 설명하겠다. 클러치레버(5c)와 브레이크레버(6b)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때 클러치스프링(5a)은 탈수축(2a)(2b)(2c)과 세탁축(3a)(3b)을 분리시킨 상태이고, 브레이크밴드(6a)는 탈수축(2a)(2b)(2c)에 압착되어 탈수축(2a)(2b)(2c)을 제동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풀리(8)로 전달된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세탁축(3a)(3b)의 하부로 전달되어 중도에 설치된 유성기어(4)에서 감속된후 상부로 전달되어 회전날개(1c)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회전하는 회전날개(1c)는 모터(9e)의 회전방향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세탁행정을 수행한다. 이때 정역회전하는 회전날개(ac)에 의하여 형성된 수류와 회전날개(1c)를 따라 회전하는 세탁물에 의하여 회전조(1b)가 회전하려 하는데, 이는 탈수축(2a)(2b)(2c)에 압착된 브레이크밴드(6a)와 일방향클러치베어링(7)에 의하여 억제된다.
그리고 탈수시에는 브레이크레버(6b)와 클러치레버(5c)가 동시에 당겨지는데, 이로써 클러치스프링(5a)은 탈수축(2a)(2b)(2c)과 세탁축(3a)(3b)을 결합시키고 브레이크레버(6b)는 브레이크밴드(6a)를 탈수축(2a)(2b)(2c)에서 이격시킨다. 이 상태에서 모터(9e)의 회전력은 세탁축(3a)(3b)과 탈수축(2a)(2b)(2c)을 통하여 회전날개(1c)와 회전조(1b)로 동시에 전달되어 이들을 고속회전시킨다. 이로써 회전조(1b)의 내부에 있는 세탁물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세탁물에 있는 물기 원심분리된다.
한편 탈수중 급제동시에는 브레이크레버(6b)에 당기던 힘이 소멸되어 이에 의하여 위치가 변화되었던 브레이크밴드(6a)가 탈수축(2a)(2b)(2c)에 압착되어 탈수축(2a)(2b)(2c)을 제동함으로써 회전조(1b)를 급제동시킨다. 이때 클러치스프링(5a)은 연동하여 세탁축(3a)(3b)과 탈수축(2a)(2b)(2c)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레버(5c)는 드레인모터(8a)에 연결된다. 즉, 드레인모터(9a)와 배수밸브(9b)사이에는 동작줄(9c)이 설치되는데, 동작줄(9c)과 배수밸브(9b)는 링크(9d)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링크(9d)에 클러치레버(5c)의 자유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수밸브(9b)와 클러치레버(5c)가 연동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알수 있듯이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는 세탁행정시와 탈수행정시의 요구 회전속도가 다른 관계로 회전속도를 가변하기 위하여 유성기어를 내장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여 그 제조가 힘들고 고가의 제조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와 부품이 상하로 길게 설치됨으로써 제품의 높이가 높아 세탁기에 장착되었을때 세탁기의 높이가 높아져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조의 공회전과 탈수시 급제동을 위한 밴드형 브레이크는 작동시 마찰소음을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밴드형 브레이크는 일ㅇ향 제동력을 강하나 반대방향 제동력을 약하여 세탁시 정역회전하려는 회전조의 공회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방향클러치베어링을 추가 장착함으로써 조립공정은 더욱 힘들었으며, 제조비용은 더욱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의 절환이 원활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높이가 낮으며 세탁시 회전조의 공회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조작력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는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채용된 세탁기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4는 세탁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5은 탈수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설치된 세탁기 수조의 저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의 측면도이다.
도8과 도9 및 도10은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세탁축 120 : 탈수축 130 : 연결부재
131 : 내치 132 : 외치 140 : 고정부재
150 : 회전부재 160 : 승강부재 170 : 승강안내부재
171 : 승강안내홀 180 : 회동부재 181 : 회동기어
182 : 회동바 184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력전달치는, 일단은 세탁기의 회전조에 결합되고, 타단은 세탁기의 수조의 하부로 연장된 중공의 탈수축, 상기 탈수축의 내부에 마련되며, 일단은 세탁기의 회전날개의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조와 상기 회전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결합된 세탁축, 상기 탈수축에 상기 탈수축과 회전은 일체로 하되 승강자재로 마련되어 그 승강위치에 따라 상기 수조에 결합되거나 상기 세탁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승강은 일체로 하되 회전자재로 마련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승강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승강안내홀을 갖는 승강안내부, 상기 돌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기어, 양측이 중도에 마련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회동기어에 치합된 제1바와 외부조작력과 연결된 제2바를 포함하는 회동바, 상기 둘로 분리된 회동바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채용된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는 수조(11)가 설치된다. 수조(11)의 내부에는 회전조(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조(12)의 내부 저면에는 회전날개(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1)의 하면 외측면 중심부에는 회전조(12)와 회전날개(13)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20)가 설치되는데, 모터(20)는 정역회전하고 회전속도가 가변되며 탈수시 회전조(12)와 회전날개(13)를 급제동할 수 있는 모델이 설치된다. 모터(20)와 이들 회전체사이에는 동력전달장치(100)가 설치되어 모터(20) 회전력을 회전날개(13) 또는 회전날개(13)와 회전조(12)로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함과 동시에 세탁시 회전조(12)의 공회전을 억제한다. 그리고 수조(11)의 하면 일측에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14)가 연결되는데, 배수호수(14)의 자유단은 본체케이스(10)의 외부까지 연장되며, 그 중도에 배수밸브(30)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100)는, 도3와 도4 그리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은 회전조(도2의 12)에 결합되고 하단은 수조(도2의11)의 하부까지 연장된 중공의 탈수축(120), 탈수축(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은 회전날개(도2의13)에 결합되고 하단은 연장되어 모터(20)에 결합된 세탁축(110), 탈수축(120)을 세탁축(11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30)와 회전조(12)의 공회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탈수축(12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40)로 대별된다.
탈수축(120)은 수조(도2의 11)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하 양단이 수조(도2의11)의 내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단은 회전조(도2의 12)에 일체로 결합설치된다. 이때 탈수축(120)이 관통설치되는 부위에는 보강판(191)이 결합설치되어 탈수축(120)이 결합되는 부위를 보강하며, 보강판(191)과 탈수축(120)사이에는 탈수축(120)을 회전지지하는 베어링(192)이 개재된다. 탈수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세탁축(110)의 상단은 회전날개(13)에 결합되고 하단은 연장되어 모터(20)에 결합되는데, 상단에는 회전날개(13)에 세레이션 결합된다.
그리고 세탁축(110)의 하단부는 탈수축(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이 노출부위에는 회전부재(150)가 세탁축(1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보강판(191)의 하면에는 고정부재(140)가 고정결합되며, 이들사이의 탈수축(120)에는 상승시 고정부재(140)와 결합되고 하강시 회전부재(15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130)가 탈수축(1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즉, 회전부재(150)는 외치(151)가 형성된 기어형상으로 세탁축(1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고정부재(140)의 중심부위에는 내치(141)가 마련되며, 연결부재(130)의 상하측에는 외치(132)와 내치(131)가 각각 형성되어 상승시 고정부재(140)에 치합되고 하강시 회전부재(150)에 치합된다. 한편 연결부재(130)에 대향하는 탈수축(120)의 하부 외측면에는 상하로 연장된 세개의 홈(121)이 동일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이에 대향하는 연결부재(130)의 내측면에는 홈(121)에 삽입되는 돌출부(133)가 마련되어 연결부재(130)가 회전은 탈수축(120)과 일체로 하면서 탈수축(120)을 미끄럼운동하여 승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30)가 탈수축(120)을 상승하여 고정부재(140)에 결합되어 탈수축(120)을 고정시키거나 하강하여 회전부재(150)에 결합되어 탈수축(120)이 세탁축(1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공된다. 즉, 연결부재(130)와 일체로 승강하고 회전은 별도로 하도록 승강부재(160)가 설치된다. 즉,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승강부재(160)는 베어링(193)를 개재하여 연결부재(130)에 결합설치됨으로써 승강부재(160)와 연결부재(130)가 승강은 일체로 하되 회전은 별도로 하도록 한다. 이때 승강부재(160)의 하부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돌출턱(162)이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베어링(93)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걸림턱(163)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30)의 상측으로 지지함으로써 베어링(93)을 승강부재(160)의 내측에 결합시킨다.
승강부재(160)의 외곽에는 승강부재(160)의 승강을 유도하기 위한 승강안내부재(170)가 설치된다. 승강안내부재(170)에는 승강부재(160)의 외측면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161)가 삽입되어 미끄럼운동하는 승강안내홀(171)이 좌우 연장형성되는데, 이 승강안내홀(171)은 상하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좌우로 회동하는 돌기(161)가 경사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승강부재(160)와 연결부재(130)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승강부재(160)를 회동시켜 연결부재(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회동부재(180)가 설치되는데, 회동부재(180)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체 탄성복원력을 갖는 배수밸브(30)와 배수밸브(30)를 개방하기 위한 드레인모터(40)에 의하여 동작된다. 배수밸브(30)와 드레인모터(40)사이는 동작줄(41)이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시키는데, 동작줄(41)과 배수밸브(30)사이에는 링크(42)가 개재된다. 그리고 회동부재(180)는 이 링크(42)에 결합되어 배수밸브(30)와 연동함으로써 외부 조작력이 동력전달장치(100)로 전달되도록 한다.
회동부재(180)를 도3과 도7 그리고 도8내지 도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동부재(180)는 승강안내홀(171)을 관통한 돌기(161)의 자유단부가 그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승강안내부재(170)의 외곽에 배치되며 외치(181a)를 갖는 회동기어(181)와 일단은 회동기어(181)에 치합되고 타단은 동작줄(41)에 연결되어 동작줄(41)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회동기어(181)를 회동시키는 회동바(182)를 포함한다. 돌기(161)에 대향하는 회동기어(181)의 내측면에는 홈(181b)이 형성되어 돌기(161)가 삽입결합되도록 하는데, 홈(181b)은 상하로 연장되어 돌기(161)가 회동기어(181)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승강안내홀(171)을 따라 승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동바(182)는 수조(11)의 하면에 고정된 축(183)에 의하여 양단이 회동되도록 설치되는데, 회동바(182)는 그 내측단의 외측면에 회동기어(181)의 외치(181a)에 이물림되는 이(182c)가 마련된 제1바(182a)와 그 외측단에 드레인모터(40)와 배수밸브(30)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동작줄(41)에 결합된 제2바(182b)를 포함한다. 이때 제1바(182a)의 외측단과 제2바(182b)의 내측단은 하나의 축(18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프링(184)에 의하여 연결설치됨으로써 제2바(182b)와 제1바(182a)의 양단이 축을 기준으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184) 역시 축(183)에 함께 결합되어 그 양단이 제1바(182a)와 제2바(182b)에 각각 마련된 리브(185a)(185b)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제1바(182a)와 제2바(182b)가 탄성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로써 제1바(182a)와 제2바(182b)를 회동시 소정의 유격을 가짐으로써 동작줄(41)과 드레인모터(40)의 동작오차를 보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을 세탁기의 작동과 함께 설명하겠다.
먼저 세탁행정을 설명하겠다. 세탁행정시에는 연결부재(130)는 승강하여 고정부재(140)에 치합되어 있고, 탈수축(120)은 세탁축(110)과 분리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20)는 세탁에 알맞은 회전속도로 세탁축(110)을 정역 회전시킨다. 정역회전하는 세탁축(110)에 결합된 회전날개(13)가 정역회전하여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세탁행정을 수행한다. (도4)
계속해서 탈수행정으로의 절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드레인모터(40)가 동작하여 동작줄(41)을 당기면, 동작줄(41)에 연결된 배수밸브(30)가 열리고 링크(42)에 타단이 결합된 회동바(182)의 일측이 회동축(183)을 기점으로 반시계방향(도6)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회동바(182)의 일단부는 시계방회동함으로써 일단에 형성된 이(182a)에 치합된 회동기어(181)가 시계방향(도6)으로 회전된다. 즉, 스프링(184)은 도10과 같이 이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제2바(182b)가 축(18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스프링(184)의 일단이 제2바(182b)를 따라 회동하여 압축된다. 스프링(184)의 압축력이 일정치에 도달하면 제2바(182b)의 회전력은 스프링(184)을 통하여 제1바(182a)로 전달된다(도8). 이로써 제1바(182a)의 내측단은 축(18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동기어(18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동기어(18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기(161)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돌기(161)가 승강안내홀(171)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돌기(161)와 승강시 연동하는 승강부재(160)와 연결부재(130)가 하강하여 하측에 배치된 회전부재(150)에 치합된다. 즉 연결부재(130)의 내치가 회전부재(150)의 외측에 치합되며, 연결부재(130)는 탈수축(120)에 상하로 형성된 홈(121)을 따라 하강한다. 그리고 승강하지 않은 회동기어(181)에 결합된 돌기(161)는 회동기어(181)의 내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홈(181b)을 따라 승강한다. (도5)
탈수행정은 상기의 상태에서 모터(20)가 탈수에 알맞은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모터(20)의 회전력은 세탁축(110)과 이와 연결된 탈수축(120)을 통하여 회전날개(13)와 회전조(12)에 전달됨으로써 이들이 고속회전하여 원심력을 발생시켜 세탁물에 있는 물기를 원심분리시킨다.
세탁행정이 완료되어 드레인모터(40)에 인가되어 전원이 차단되면 동작줄(41)과 링크(42)는 배수밸브(30) 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우측(도6)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력이 탈수로의 절환과 상반되게 즉,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됨으로써 회동바(182)는 회동하여 회동기어(18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회동기어(181)가 승강부재(160)를 회전시켜 상승시킴으로써 연결기어(130)가 상승하여 고정부재(150)에 치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는 세탁시 회전조의 공회전을 기어의 치합에 의하여 억제하기 때문에 공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공회전억제시 마찰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조의 공회전 방지와 모터 회전력의 전달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구조가 세개의 기어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장치의 절환을 위한 외부 조작력을 기어의 치합을 이용하여 공급받기 때문에 조작력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구성부품의 양상성 및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모터와 배수밸브에 의한 외부조작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고 스프링을 탄성력을 거쳐 공급되기 때문에 외부조작력의 작동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2)

  1. 일단은 세탁기의 회전조에 결합되고, 타단은 세탁기의 수조의 하부로 연장된 중공의 탈수축,
    상기 탈수축의 내부에 마련되며, 일단은 세탁기의 회전날개의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조와 상기 회전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결합된 세탁축,
    상기 탈수축에 상기 탈수축과 회전은 일체로 하되 승강자재로 마련되어 그 승강위치에 따라 상기 수조에 결합되거나 상기 세탁축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와 승강은 일체로 하되 회전자재로 마련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마련된 돌기가 삽입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승강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승강안내홀을 갖는 승강안내부,
    상기 돌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기어,
    양측이 중도에 마련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회동기어에 치합된 제1바와 외부조작력과 연결된 제2바를 포함하는 회동바,
    상기 둘로 분리된 회동바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와 상기 제2바는 하나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축에 고정되되 양단이 상기 제1바와 제2바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제2바의 회전력이 상기 제1바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9970004856A 1997-02-18 1997-02-18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13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856A KR100213141B1 (ko) 1997-02-18 1997-02-18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856A KR100213141B1 (ko) 1997-02-18 1997-02-18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333A KR19980068333A (ko) 1998-10-15
KR100213141B1 true KR100213141B1 (ko) 1999-08-02

Family

ID=1949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856A KR100213141B1 (ko) 1997-02-18 1997-02-18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130B1 (ko) * 2001-03-31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KR100762129B1 (ko) * 2001-03-27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333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427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29135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29134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207073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213141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411784B1 (ko) 세탁기
KR100200793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18956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00792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12859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13136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9980037935A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9980037934A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13135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및 배수밸브 조작장치
KR19980037936A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999000582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0152794B1 (ko) 전자동 세탁기
KR100195452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950007854B1 (ko) 전자동 세탁기
KR100845838B1 (ko) 전자동세탁기의 클러치
KR0152330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720540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9990004881U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100207080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0152793B1 (ko) 전자동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