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738B1 -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 Google Patents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738B1
KR100212738B1 KR1019960037907A KR19960037907A KR100212738B1 KR 100212738 B1 KR100212738 B1 KR 100212738B1 KR 1019960037907 A KR1019960037907 A KR 1019960037907A KR 19960037907 A KR19960037907 A KR 19960037907A KR 100212738 B1 KR100212738 B1 KR 10021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oice
transformer
voice connection
extension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699A (ko
Inventor
조정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7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에는 키폰주장치의 음성접속단에 키폰 전화기 또는 일반전화기 접속상태에 따라 스위칭시켜야 하는 스위치가 분산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작시 일일이 스위치를 찾아 조작하여야 했으며, 상기 스위치는 점퍼의 전환으로 조작됨으로 점퍼 전환시 롱로우즈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였고, 옥외 사용과 같이 원거리의 내선가입자가 접속된 경우에는 내선가입자 회로로 인입되는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의 양단 인피던스가 동일하지 않아 신호의 피드백시 잡음이나 통화 음량의 감쇄가 발생하였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일체화된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음성접속단을 상기 제1트랜스포머로 연결하거나,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로 연결하여 접속된 내선가입자의 종류에 따른 음성 패스를 형성하는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를 구현함에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 회로에 적용한다.

Description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SWITCHING CIRCUIT FOR SETTING EXTENSION SUBSCRIBER IN KEYPHONE SYSTEM}
본 발명은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 회로에 구비된 하이브리드 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회로에 접속되는 내선가입자에 따라 통화 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 회로는 키폰 내선가입자 회로와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로 구성되는데, 상기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 회로를 구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첫 번째 방법은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와 키폰 내선가입자 회로를 별도로 구비하는 방법으로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현된 내선가입자 회로에서 내 선가입자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회로(Board)를 제거한 후 변경하고자 하는 회로(Board)를 삽입하여야 했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키폰 내선가입자 회로와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의 공통되는 회로를 하나의 하이브리드 포트(hybrid port)로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현되는 내선가입자 회로는 내선가입자의 변경이 있을 경우에 타입 변경 스위치를 조작하여 변경된 내선가입자에 따른 내선가입자 회로를 변경하였다.
상술한 방법 중 상기 두 번째 방법으로 구현된 내선가입자 회로는 상기 첫 번째 방법으로 구현된 내선가입자 회로에 비해 생산자는 중복되는 회로를 줄일 수 있어 제품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편리하게 키폰과 일반전화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상술한 두 번째 방법으로 구현된 내선가입자 회로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트랜스포머(T1)(10)는 키폰주장치의 네트워크와 음성접속단(Tip단,Ring단) 사이의 음성통화를 매칭시킨다.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12)는 상기 제1트랜스포머(T1)(10)와 음성접속단(Tip단,Ring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일반전화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일반가입자의 훅크-온/오프를 감지하거나 링을 공급한다.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12)는 통상적인 칩 SLC 03A로 구현 가능하다. 제1스위치(14), 제2스위치(16), 제3스위치(18) 및 제4스위치(20)는 3핀을 가지는 점퍼 스위치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전환되는 점퍼(jumper)의 위치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된다. 상기 제1스위치(14)는 상기 제1트랜스포머(T1)(10)의 2차측과 상기 음성접속단(Tip단) 사이에 연결된 제1콘덴서(C1)과 병렬 접속된다. 상기 제2스위치(16)는 상기 제1트랜스포머(T1)(10) 2차측의 중간탭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제1스위치(14)와 제2스위치(16)는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일반전화기가 접속되는 경우 오프 되며, 키폰이 접속되는 경우 온 되어 음성 통화 패스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3스위치(18)와 제4스위치(20)는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일반전화기가 접속되는 경우 온 되며, 키폰이 접속되는 경우 오프 된다. 상기 제3스위치(18)와 제4스위치(20)는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을 각각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12)로 연결한다.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 표 1과 같다.
스위치선가입자 제1스위치 제2스위치 제3스위치 제4스위치
일반전화기 오프 오프
키 폰 오프 오프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일반전화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스위치(14)와 제2스위치(16)는 오프 되며, 제3스위치(18)와 제4스위치(20)는 온 되어 통화 음성 패스를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음성 패스에 의해 내선가입자 회로는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키폰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스위치(14)와 제2스위치(16)는 온 되며, 제3스위치(18)와 제4스위치(20)는 오프 되어 통화 음성 패스를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음성 패스에 의해 내선가입자 회로는 키폰 내선가입자 회로로 동작한다.
키폰시스템에서 접속되는 내선가입자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스위치가 분산되어 있어 조작시 일일이 스위치를 찾아 조작하여야 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점퍼의 전환으로 조작됨으로 점퍼 전환시 롱로우즈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였고, 옥외 사용과 같이 원거리의 내선가입자가 접속된 경우에는 내선가입자 회로로 인입되는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의 양단 인피던스가 동일하지 않아 신호의 피드백(Feedback)시 잡음이나 통화 음량의 감쇄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통화에 필요한 다수의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 그룹으로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통화에 필요한 다수의 스위치를 전환이 간편한 절체 스위치로 교체하여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접속단의 양단 임피던스를 매칭하기 위한 콘덴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폰주장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음성접속단을 통해 음성통화를 매칭시키기 위한 제1트랜스포머와, 상기 제1트랜스포머에 연결되어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를 감지하기 위한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를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음성접속단을 상기 제1트랜스포머로 직접 연결하여 키폰 음성 패스를 형성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음성접속단을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로 연결하여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로 전환하는 제2스위칭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2스위칭부에 구비되는 스위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위칭부와; 상기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로 전환될 시 형성되는 음성 패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성접속단을 통해 접속된 내선단말기와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콘덴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키폰시스템의 하이브리드 포트의 상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포트의 상세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포트 상세 회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트랜스포머(T1)(30)는 키폰주장치의 네트워크와 음성접속단(Tip단,Ring단) 사이의 음성통화를 매칭시킨다.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는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와 음성접속단(Tip단,Ring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일반전화기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일반가입자의 훅크-온/오프를 감지하거나 링을 공급한다. 스위칭부(32)는 상기 음성접속단을 상기 제1트랜스포머(30)로 연결하거나,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32)는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접속된 내선가입자의 종류에 따른 음성 패스를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 스위칭부(32)의 제1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제1스위치(34)와 제2스위치(36)는 키폰이 접속될 시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을 상기 제1트랜스포머(30)로 직접 연결하여 키폰 음성 패스를 형성한다. 상기 스위칭부(32)의 제2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제3스위치(38)와 제4스위치(40)는 일반전화기가 접속될 시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을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로 연결하여 일반전화기 음성 패스를 형성한다. 상기 제1스위치(34), 제2스위치(36), 제3스위치(38) 및 제4스위치(40)는 통상적인 2단 절체 스위치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1콘덴서(C1)와 제2콘덴서(C2)는 상기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로 전환될 시 형성되는 음성 패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음성접속단을 통해 접속된 내선단말기와의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일반전화기가 접속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내선단말기로 일반전화기가 접속되면 상기 스위칭부(32)의 상기 제1스위치(34)와 제2스위치(36)를 오프하며, 상기 제3스위치(38)와 제4스위치(40)를 온 시킨다. 따라서,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이 상기 제3스위치(38)와 제4스위치(40)를 통해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에 접속되어 링 공급 서비스 및 훅크-온/오프 감지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의 팁(TIP)단은 상기 제1콘덴서(C1)를 통해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 2차측에 접속되며, 링(RING)단은 상기 제2콘덴서(C2)를 통해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 2차측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에 키폰이 접속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내선단말기로 키폰이 접속되면 상기 스위칭부(32)의 상기 제1스위치(34)와 제2스위치(36)를 온 시키며, 상기 제3스위치(38)와 제4스위치(40)를 오프 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3스위치(38)와 제4스위치(40)가 오프 되므로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는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과 접속 차단된다. 한편,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의 팁(TIP)단은 상기 제1스위치(34)를 통해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 2차측에 접속되며, 링(RING)단은 상기 제2스위치(36)를 통해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 2차측에 접속된다. 상기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음성 통화 패스가 상기 제1스위치(34)와 제2스위치(36)를 통해 상기 음성접속단(Tip단,Ring단)과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 2차측이 연결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키폰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가 필요 없으므로 접속을 차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산되어 있던 다수의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 그룹으로 구현하여 스위치 조작을 간편화하였으며, 스위치를 절환 스위치인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하여 스위치 조작시 별도의 도구가 필요 없도록 하였다. 또한, 음성 통화 패스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콘덴서를 구비하여 원거리 통화시 발생되는 잡음과 음성 감쇄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키폰주장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음성접속단을 통해 음성통화를 매칭시키기 위한 제1트랜스포머와, 상기 제1트랜스포머에 연결되어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를 감지하기 위한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를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음성접속단을 상기 제1트랜스포머로 직접 연결하여 키폰 음성 패스를 형성하는 제1스위칭부와, 상기 음성접속단을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로 연결하여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로 전환하는 제2스위칭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제2스위칭부에 구비되는 스위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위칭부와;
    상기 일반전화기 내선가입자 회로로 전환될 시 형성되는 음성 패스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성접속단을 통해 접속된 내선단말기와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콘덴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2. 키폰주장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음성접속단을 통해 음성통화를 매칭시키기 위한 제1트랜스포머(30)와, 상기 제1트랜스포머(30)에 연결되어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를 감지하기 위한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를 구비한 키폰시스템의 내선가입자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음성접속단에 키폰이 접속될 시 상기 음성접속단을 상기 제1트랜스포머(30)로 직접 연결하여 키폰 음성 패스를 형성하는 제1스위치(34)와 제2스위치(36)와, 상기 음성접속단에 일반전화기가 접속될 시 상기 음성접속단을 상기 링공급 및 훅크-온/오프감지부(42)로 연결하여 일반전화기 음성 패스를 형성하는 제3스위치(38)와 제4스위치(40)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위칭부(32)와;
    상기 음성접속단의 팁단과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 2차측 사이에 접속되는 제1콘덴서와, 상기 음성접속단의 링단과 상기 제1트랜스포머(T1)(30) 2차측 사이에 접속되는 제2콘덴서를 구비하여 상기 음성접속단을 통해 접속된 내선단말기와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콘덴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KR1019960037907A 1996-09-02 1996-09-02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KR10021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907A KR100212738B1 (ko) 1996-09-02 1996-09-02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907A KR100212738B1 (ko) 1996-09-02 1996-09-02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699A KR19980019699A (ko) 1998-06-25
KR100212738B1 true KR100212738B1 (ko) 1999-08-02

Family

ID=1947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907A KR100212738B1 (ko) 1996-09-02 1996-09-02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7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142A (ko) * 1990-11-02 1992-06-27 정용문 키폰시스템의 겸용 가입자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142A (ko) * 1990-11-02 1992-06-27 정용문 키폰시스템의 겸용 가입자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699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859A (en) Telephone handset interface for device having audio input
US4367374A (en) Modem telephone interface circuit
US81895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izing user switching between IP network and PSTN network
USRE42590E1 (en) Telephone line coupler
US5297141A (en) Ethernet automatic adapter interface card
KR100212738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 설정 스위칭회로
US4792970A (en) Expansion port for us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504807A (en) Telephone apparatus with a continuously-connected DC-isolated modem
US4419543A (en) Tone activated hold circuit
US6917646B2 (en) Circuit for exchanging communications over a transmission line
US4815127A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balanced communication paths
CA1321252C (en) Side-tone adjusting system and method for key telephone system establishing plural kinds of speaking paths
CA1054277A (en) Telephone circuit to eliminate use of a hold button
US4204094A (en) Tone applying line circuit
CN1026746C (zh) 程控磁石式电话用户交换机系统
EP0593116B1 (en) Telephone apparatus including a modem
KR910002768B1 (ko) 일반전화기와 키폰전화기 겸용의 자동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4178484A (en) Long line telephone system with an amplifying substation
US6891947B1 (en) Multifunctional analog trunk circuit
KR0145481B1 (ko) 전원잡음 제거기능을 갖는 전자식 교환시스템
WO1994007319A1 (en) Telephone line interface
JPS6220744B2 (ko)
CA1142281A (en) Transformerless trunk circuit
KR100191216B1 (ko) 두 개의 전화라인을 보유한 전화기
KR920011142A (ko) 키폰시스템의 겸용 가입자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