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467B1 -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467B1
KR100211467B1 KR1019960036142A KR19960036142A KR100211467B1 KR 100211467 B1 KR100211467 B1 KR 100211467B1 KR 1019960036142 A KR1019960036142 A KR 1019960036142A KR 19960036142 A KR19960036142 A KR 19960036142A KR 100211467 B1 KR100211467 B1 KR 10021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main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541A (ko
Inventor
최순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3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467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Abstract

본 발명은 주화면의 화면상태가 인식이 어려울 정도로 과조정되어 있을 때 표준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부화면을 발생시키므로써 혹시 있을지도 모를 중요한 장면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은 주화면을 일부 구획한 부분에 부화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어 임의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주화면에 대해 임의의 화면조정 키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화면조정 키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하는 상태로 화면을 조정한 후에 현재의 화면상태가 인식가능한 범위내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현재의 화면상태가 인식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현재 부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현재 부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표준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주화면에 대한 영상을 부화면을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화면의 화면상태가 인식이 어려울 정도로 그릇 조정되어 있을 때 표준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주화면에 대한 영상을 부화면영역에 띄우는 부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에는 화면 상태, 예를 들어 밝기, 화질, 색상 및 색농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상태 조정노브가 구비되어 있는 바, 사용자는 이러한 화면상태 조정노브를 조정하여 본인이 원하는 화면상태를 즐길 수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상태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과조정에 따라 화면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바, 종래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는 수단이 젼혀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칫 중요한 장면을 놓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화면의 화면상태가 인식이 어려울 정도로 과조정되어 있을 때 표준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주화면에 대한 영상을 부화면영역에 띄우므로써 혹시 있을 지도 모를 중요한 장면까지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은 크게 주화면을 일부 구획한 부분에 부화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어 임의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주화면에 대해 임의의 화면조정 키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임의의 화면조정 키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해당하는 상태로 화면을 조정한 후에 현재의 화면상태가 인식가능한 범위내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현재의 화면상태가 인식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현재 부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현재 부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표준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주화면에 대한 영상을 부화면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이 구현되는 부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PIP처리부의 상세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20 : 분배기,
30 : 주튜너, 40 : 주PIF부,
50 : 주스위칭부, 60 : Y/C분리부,
70 : 주영상처리부, 80 : 편향·고압회로부,
100 : 부튜너, 110 : 부PIF부,
120 : 부스위칭부, 130 : 주/부절환스위치,
140 : 부영상처리부, 150 : PIP처리부,
160 : 스위칭부, 170 : CRT구동부,
180 : CRT, 200 : 시스템제어부,
210 : 라스트메모리, 220 : 키입력부,
230 : 수신부, 240 : 동기신호 생성부,
250 : 표준데이터 메모리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이 구현되는 부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PIP처리부의 상세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화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송신국에서 공중으로 발사된 여러 채널의 방송파신호를 안테나(10)로 수신한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선정된 주채널 및 부채널의 방송파신호만을 분배기(20)를 거쳐서 주튜너(30) 및 부튜너(100)에 의하여 선국한다. 이렇게 선택된 주채널의 방송파신호는 주영상중간주파증폭부(40 ; 이하 주PIF부라고 한다)에서 음성중간주파신호(SIF)와 영상중간주파신호로 분리되고, 영상중간주파신호는 검파되어 복합영상신호(CV)로 된 후에 주스위칭부(50)로 입력된다.
다음, 이렇게 입력된 복합영상신호(CV)는 Y/C분리부(60)에 의하여 휘도신호(Y)와 색신호(C)로 분리되어 주영상처리부(70)에 제공되고, 주영상처리부(70)에서는 이렇게 제공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처리하여 음의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 G-Y, B-Y)를 출력한다. 편향·고압회로부(80)는 주영상처리부(70)에서 제공된 수평동기신호(HM) 및 수직동기신호(VM)에 의거하여 편향신호 및 고직류전압을 발생시켜서 CRT(180)에 공급한다.
한편, 부튜너(100)에 의해 선국된 부채널의 방송파신호는 부PIF부(110)를 거쳐서 복합영상신호(CV)로 된 후에 부스위칭부(120)를 경유하여 부영상처리부(140)에 제공된다. 주스위칭부(50)와 부스위칭부(120)에는 또한 복수개의 외부영상신호 입력단자(V1-V3)가 공통으로 접속되는데, 상기 주스위칭부(50)나 부스위칭부(120)는 후술하는 시스템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주채널이나 부채널의 복합영상신호나 외부영상신호중에서 선택된 신호만을 주영상처리부(70) 또는 부영상처리부(140)에 각각 제공한다. 주/부절환스위치(130)는 시스템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주채널을 부영상처리부(140)로, 부채널을 주영상처리부(70)로 절환하기 위하여 주어진다.
다시, 부영상처리부(140)에서는 부채널의 복합영상신호(CV)를 휘도신호(Y)와 색신호(C)로 분리한 후에 이에 의거하여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 B-Y)를 발생시킨다.
한편, PIP처리부(1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D변환기(151), 다수의 화상메모리(152), D/A변환기(153) 및 PIP제어기(154) 등의 기능블록을 구비하는데, A/D변환기(151)에서는 부영상처리부(140)에서 발생된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 B-Y)를 시분할방식에 의하여 소정비트, 예를 들어 6비트의 디지탈신호로 압축하여 변환하고, 화상메모리(152)에서는 상기 변환되는 디지탈신호를 저장한 후에 D/A변환기(153)로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D/A변환기(153)에서는 이렇게 변환된 디지탈신호를 다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후에 상기 변환된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매트릭스처리하여 원색신호(R, G, B)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모든 동작은 PIP제어기(154)에 의하여 제어된다.
다음, 주영상처리부(70)에서 제공되는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R-Y, G-Y, B-Y)와 PIP처리부(150)에서 제공되는 원색신호(R, G, B)는 통상 PIP처리부(150)에서 발생되는 블랭킹신호(PBLK)에 따라 절환되는 스위칭부(160)에 의하여 혼합되어 CRT구동부(170)에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블랭킹신호(PBLK)는 주채널에 대한 수평동기신호(HM)에 의거하여 생성되는데, 동기신호 생성부(240)는 주채널에 방송이 존재하는 경우, 즉 수평동기신호(HM)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처리하여 PIP처리부(150)에 제공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수평동기신호(H'M)를 생성하여 PIP처리부(150)에 제공한다. 다음, CRT구동부(170)는 제공되는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 G-Y, B-Y)를 매트릭스처리하여 원색신호(R, G, B)로 변환한 후에 CRT(180)를 구동하므로써 주화면을 일부 구획한 부분에 부화면이 정확하게 동기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시스템제어부(200)에서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본체에 구비된 키입력부(220)를 통하여 각종 키신호를 입력받거나 리모트 콘트롤러(225)에 의하여 송출된 원격키신호를 수신부(230)를 통하여 입력받아 명령의 종류를 판단한 후에 수상기의 각부를 제어하게 된다. 즉, 주튜너(30) 및 부튜너(100)에 의한 채널선국동작과 전술한 각종 스위칭부(50, 120, 130, 160)의 절환동작을 제어하며, 주영상처리부(70)나 부영상처리부(140)로부터 각각 수평동기신호(HM, HS) 및 수직동기신호(VM, VS)를 제공받아 주화면과 부화면의 동기화 및 부화면의 크기나 송출위치등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시스템제어부(200)는 또한 주영상처리부(70)를 제어하여 밝기, 화질, 색상 및 색농도등의 화면상태를 조절하며, OSD와 관련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화면상에 텔레비젼 수상기의 각종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10은 라스트메모리를 나타내는 바, 전원차단시에 주채널이나 부채널의 번호, 각종 스위칭부(50, 120, 130, 160)의 절환상태, 부화면의 제어상태등을 시스템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였다가 전원투입시에 전원차단전의 상태로 재현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PIP용 표준데이터 메모리(250)는 부화면에 대한 표준 화면상태에 관한 데이터, 즉 밝기, 화질, 색상 및 색농도에 대한 표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시스템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독출되어 부화면의 화면상태를 표준상태로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계(S1)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메인전원이 온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온된 경우에는 단계(S2)로 진행하여 현재 주화면에 대한 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지, 즉 튜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 무신호가 아닌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에서의 판단은 예를 들어 수평동기신호(HM,)가 검출되고 있는 지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다음, 단계(S2)에서 현재 주화면에 대한 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3)로 진행하여 주화면을 주화면영역상에 출력한다.
단계(S4)에서는 화면상태 조정키신호, 즉 밝기, 화질, 색상 및 색농도 중의 어느 하나의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데, 단계(S4)에서 화면상태 조정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S5)로 진행하여 입력되는 키신호의 상태에 해당하는 화면조정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단계(S6)에서는 현재 주화면의 화면상태가 인식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 단계(S6)에서의 판단은, 예를 들어 모든 화면상태 조정키신호의 레벨을 합산한 값이 소정의 범위내에 속하는 지의 여부로 수행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모든 화면상태 조정키신호가 사용자가 화면을 인식할 수 있는 범위내로 조정된 경우에는 조정키신호의 레벨을 합산한 값이 소정의 범위내에 속할 것이기 때문이다.
단계(S6)에서 화면상태 조정키신호의 레벨의 합산값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단계(S7)로 진행하여 현재 PIP기능이 온되어 있는 지, 즉 주화면이외에 부화면이 동시에 출력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S7)에서, 부화면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상태라면, 단계(S8) 및 단계(S9)에서 PIP용 표준데이터 메모리(2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부화면상에 현재 주화면에 대한 영상을 표준화면상태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화면과 부화면에 동시에 같은 영상이 뜨게 되는데, 현재 중요한 장면이 송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주화면에 대한 화면상태를 과조정하여 이를 인식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되더라도 부화면상에는 표준상태로 조정된 주화면이 동시에 뜨기 때문에 안심하고 주화면에 대한 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에 따르면, 주화면의 화면상태가 인식이 어려울 정도로 과조정되어 있을 때 표준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주화면에 대한 영상을 부화면영역에 띄우므로써 혹시 있을 지도 모를 중요한 장면까지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화면을 일부 구획한 부분에 부화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전원이 온되어 임의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주화면에 대해 임의의 화면조정 키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화면조정 키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하는 상태로 화면을 조정한 후에 현재의 화면상태가 인식가능한 범위내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현재의 화면상태가 인식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현재 부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현재 부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표준화면 데이터에 의거하여 주화면에 대한 영상을 부화면을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KR1019960036142A 1996-08-28 1996-08-28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KR10021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142A KR100211467B1 (ko) 1996-08-28 1996-08-28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142A KR100211467B1 (ko) 1996-08-28 1996-08-28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541A KR19980016541A (ko) 1998-06-05
KR100211467B1 true KR100211467B1 (ko) 1999-08-02

Family

ID=1947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142A KR100211467B1 (ko) 1996-08-28 1996-08-28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4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54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221B1 (ko) 텔리비젼 수상기
KR950000323B1 (ko) 텔레비전수상기
KR100223644B1 (ko) 개인용 컴퓨터 모니터 겸용 멀티시스템 텔레비젼 수상기
US5194954A (en) Automatic channel sampling picture-in-picture circuitry
US6011594A (en) Television device having text data processing function
EP0230787A2 (en) Picture-in-picture television receivers
JPS62159989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4761688A (en) Television receiver
US5703657A (en) Video display in which a screen mode for different input signals is set based on stored information
US6067123A (en) Monitor output device in high-definition television
KR100211467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준화면 발생방법
KR100211210B1 (ko)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를 겸용하는 멀티미디어 텔레비젼 수상기
KR100228215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부화면 밝기조절회로
KR0153893B1 (ko) Pip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의 부화면 osd표시 장치
KR200155134Y1 (ko) 와이드 스크린 신호를 이용한 화면 자동 조정 장치
KR0169305B1 (ko) 현재시산에 따른 부화면위치 자동 변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46847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0178901B1 (ko) 와이드비젼 텔레비젼 수신기의 수직 사이즈 자동제어회로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31275U (ko)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정장치
JPH079549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00034294A (ko) 텔레비전의 자동선국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00040655A (ko) 케이블 텔레비전의 제어데이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14551A (ko) Pip모드시 화면밝기 조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JPS62157483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