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496B1 -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 Google Patents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496B1
KR100209496B1 KR1019960031693A KR19960031693A KR100209496B1 KR 100209496 B1 KR100209496 B1 KR 100209496B1 KR 1019960031693 A KR1019960031693 A KR 1019960031693A KR 19960031693 A KR19960031693 A KR 19960031693A KR 100209496 B1 KR100209496 B1 KR 10020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witch
pedal
electric mo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9999A (en
Inventor
배명순
Original Assignee
이장섭
거상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섭, 거상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장섭
Priority to KR101996003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496B1/en
Publication of KR98000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49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2Actuator
    • F16D2500/1021Electrical type
    • F16D2500/1023Electric motor
    • F16D2500/1025Electric motor with threaded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F16D2500/3109Vehicle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4Signal inputs from the user
    • F16D2500/31406Signal inputs from the user input from pedals
    • F16D2500/3144Accelerator 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12Relating to the driver
    • F16D2500/5128Driver workload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동식 변속차량에서의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자동적인 제어를 위해 클러치페달의 조작하에서 수동식 변속레버에 의해 설정되는 변속기어에 의존하여 차속이 결정되는 수동식 변속차량에서 상기 변속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크러치페달에 대한 클러치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스위치(10a)와 상기 클러치자동제어모드의 설정하에서 차속의 변속을 위해 조작되면서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자동제어전원을 단속하는 핸드스위치(10b)와,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21)에 대한 조작을 스위치신호로서 검출하는 게속페달감지스위치(25), 상기 클러치자동제어모드하에서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에 의해 감지되는 가속상태신호와 상기 핸드스위치(10b)의 조작하에 실행되는 변속상태 및 제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자동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30), 상기 제어유니트(30)의 제어하에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위치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클러치제어유니트(40), 상기 클러치제어유니트(40)에 의해 전달되는 클러치페달(51)의 자동제어토오크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위치를 자동으로 작동제어하는 클러치작동유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wherein the vehicle speed is dependent on a transmission gear set by a manual shift lever under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clutch pedal 51 in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The clutch pedal is installed on the shift lever in the determined manual shift vehicle and is operated for shifting the vehicle speed under the setting of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and a mode setting switch 10a for setting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for the clutch pedal. A hand switch 10b for controlling automatic control power to 51, a speed pedal detecting switch 25 for detecting an operation on the accelerator pedal 21 of the vehicle as a switch signal, and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under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The acceleration phase signal detected by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and the shift phase executed under the operation of the hand switch 10b. And a control unit 30 for executing automatic control of the clutch pedal 51 based on the braking signal, and a clutch control for executing position control for the clutch pedal 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A unit 40 and a clutch operating unit 50 for automaticall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lutch pedal 51 based on the automatic control torque of the clutch pedal 51 transmitted by the clutch control unit 40. It is composed.

Description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s

본 발명은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페달이 갖추어지는 차량에 대해 클러치페달의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해서 차속의 변화에 기초하여 그 클러치페달의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More particularly, the automatic control mode of the clutch pedal is set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clutch pedal, and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is automatically performed based on the change of the vehicle speed. It relates to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to achieve.

주지된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을 적용하여 운행추진력을 얻는 차량에 대해서는 그 차속의 변화에 기초해서 엔진의 동력의 변화를 차속의 가변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클러치메카니즘과 엔진의 동력을 증감시켜서 차속의 증감변화량을 조정하는 악셀레이터메카니즘과 및, 증가된 차속의 변화량을 감속/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메카니즘이 구비되게 된다.As is well known, for a vehicle that obtains driving force by applying engine power, the clutch mechanism and the engine power are increased or decreased as a means for linking the change in the engine power to the variable vehicle spe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vehicle speed. Accelerator mechanism for adjus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vehicle, and a brake mechanism for slowing / stopp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ncreased vehicle speed.

그 중, 클러치메카니즘은 수동식 변속차량의 경우 변속 또는 정차중 재출발시 클러치페달을 조작하게 되면 그 클러치메카니즘의 클러치디스크가 엔진의 플라이휠(Fly wheel)에 결합되면서 그 엔진의 동력을 수취하여 드라이브샤프트를 매개로 전류 및/또는 후륜에 전달해서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Among them, in case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if the clutch pedal is operated when shifting or restarting while stopping, the clutch disc of the clutch mechanism is coupled to the flywheel of the engine and receives the power of the engine to drive the drive shaft. It transmits to the current and / or the rear wheel as a medium to perform the action to enable the vehicle to run.

따라서, 수동식 변속차량의 운행중에는 정차중인 차량의 재출발시의 경우라던지 차속의 변환을 위해 기어의 변환이 이루어져야 되는 바, 그 경우에는 클러치페달에 대한 반복적인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the gear must be converted to change the speed of the vehicle or at the time of restarting the stopped vehicl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operate the clutch pedal.

그런데, 수동식 변속차량에 구비되는 클러치페달에 대해서는 예컨대 고속주행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그 조작의 회수가 감소되기는 하지만, 예컨대 교통장애가 발생되는 차량의 정체가 심한 경우에는 차량의 운행/정차가 반복되게 되고, 그에 따라 클러치페달의 조작이 운전자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된다.By the way, with respect to the clutch pedal provided in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high-speed driving, the number of operations is relatively reduced, but, for example, when the traffic jam is severe, driving / stopping of the vehicle is repeated.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put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driver.

그에 대해, 자동변속기능이 설계된 자동변속차량의 경우에는 비제동상태에서는 항시 클러치메카니즘이 엔진의 동력을 수취하여 드라이브샤프트를 매개해서 전륜 및/또는 후륜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클러치페달이 설치되지 않고, 그에 따라 차량의 정차중 재출발 또는 차속의 변환이 클러치페달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도 실행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in which the automatic transmission function is designed, the clutch pedal is not installed because the clutch mechanism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ower of the engine and transmit it to the front wheel and / or the rear wheel at all times in the non-braking state. Therefore, restarting or vehicle speed change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can be executed without the clutch pedal being operated.

그러나, 자동변속차량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수동변속차량에 비해 단위주행거리에 대한 연료의 소모량이 증가됨과 더불어 차량의 판매단가의 증가원인으로 되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s, the consumption of fuel for a unit driving distance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manual transmission vehicles, and the sales cost of the vehicle is increased.

그러한 점을 고려해서, 최근에는 수동식 변속차량에 대해 클러치메카니즘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는 자동클러치제어방법을 적용해서 운전자에 의한 클러치페달의 반복적인 조작의 필요성을 배제시키는 다향한 형태의 구성이 적용된 상태인 바, 그 자동클러치제어방식의 일예에 따르면 차량의 진공배력을 클러치작동의 동력으로 적용해서 엔진의 회전수 또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포함된다.In view of this,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configurations have been applied to eliminate the need for repeated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by the driver by applying an automatic clutch control method that automatically operates the clutch mechanis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Ba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ethod includes a method of applying the vacuum power of the vehicle as the power of the clutch operation to control by using the engine speed or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그렇지만, 그러한 방식의 자동클러치제어에 의하면 클러치작동의 동력이 엔진의 진공배력으로부터 취해지기 때문에 그 자동클러치제어방식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에의 장착도 상당히 번거롭게 됨과 더불어 장착의 소요시간도 대폭 증가되게 된다.Howev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of such a method, since the power of the clutch operation is taken from the vacuum power of the engine,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is not only complicated, but also the installation on the vehicle is considerably cumbersom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Also greatly increased.

또한,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자동클러치제어방식으로는 차량의 직류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직류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얻으면서 엔진의 회전수나 엔진의 녹킹(Knocking)상태, 해당하는 차량의 주행속도,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정도, 제동페달의 작용상태, 변속기어의 위치, 클러치의 압력 및 온도 상태 등의 검지에 적용되는 다수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해서 클러치메카니즘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도 포함되는 바, 그 방식의 경우에는 다수의 센서에 대한 설치위치를 고려하면 차량의 생산공정의 도중에서 장착되어야만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미 운행에 적용되는 수동식 변속차량에 대해서는 적용하기가 상당히 번거롭게 되거나 불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obtains the driving force by the DC electric motor operated by the DC power source of the vehicle while the engine rotation speed, the engine knocking (knocking) state, the corresponding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t also includes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lutch mechanism based on signals from a number of sensors applied to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e pedal,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clutch,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e method, since it is desirable to be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sensors, it becomes quite cumbersome or impossible to apply to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lready applied to the operation.

그리고, 수동식 변속차량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자동클러치제어방식의 구조에 따르면 자동클러치제어모드에서도 항시 클러치페달에 대해서는 고정된 위치, 즉 차량의 재출발시 또는 차속의 변환시에 실행되는 자동적인 자동클러치제어모드에서는 클러치페달에 대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상태와 유사하게 클러치페달에 대한 위치변환이 바람직하게 되지만, 대부분의 자동클러치제어방식의 구조에서는 클러치페달에 대해 전혀 위치의 변화없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되므로, 운전자에 따라서 자동클러치제어모드에서 클러치페달의 고정적인 위치에 대해 운전상의 불안감을 갖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most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ethod installed in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ode is executed at the fixed position for the clutch pedal at all times even in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ode, that is, when the vehicle is restarted or when the vehicle speed is changed. In the clutch pedal, the position of the clutch pedal is preferably changed similarly to the state of the driver's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clutch pedal. However, in the structure of most automatic clutch control methods, the clutch pedal is kept at a constant state without any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lutch pedal. According to the driver, there is anxiety about driving the clutch pedal in a fixed position in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o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동클러치 제어모드에서 차속과 제동상태 및 가속페달의 조작상태에 기초하여 전동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적용하여 클러치페달조정매체를 매개하여 클러치페달이 위치가변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면서 클러치페달에 대한 자동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n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ode, the clutch pedal is mediated through the clutch pedal adjusting medium by apply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electric motor based on the vehicle speed, the braking state,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that enables this position to operate variably and enables automatic control of the clutch ped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에 의해 변속기어의 위치가 설정되면서 차량의 정차중 재출발 또는 차속의 감속시에 조작되는 클러치페달과 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한 수동식 변속차량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페달에 대한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스위치수단과 상기 클러치자동제어모드의 설정하에서 차속의 변속을 위해 조작되면서 상기 클러치페달에 대한 자동제어전원을 단속하는 핸드스위치수단,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에 대한 조작을 스위치신호로서 검출하는 가속페달감지스위치수단, 상기 클러치자동제어모드하에서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가속상태신호와 상기 핸드스위치수단의 조작하에 실행되는 변속상태 및 제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페달에 대한 자동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 상기 제어유니트의 제어하에 상기 클러치페달에 대한 위치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클러치제어유니트, 상기 클러치제어유니트에 의해 전달되는 클러치페달의 자동제어토오크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페달의 위치를 자동으로 작동제어하는 클러치작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자동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 shift is set by the shift lever and a manual shift having a clutch pedal and a brake pedal operated when the vehicle is restarted or the vehicle speed is decelerated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A vehicle, comprising: a mode setting switch means installed on the shift lever to set an automatic control mode for the clutch pedal, and operated for shifting of the vehicle speed under the setting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ode to supply automatic control power to the clutch pedal; An acceleration pedal detection switch means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of the vehicle as a switch signal, an acceleration state signal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pedal detection switch means and the hand switch means under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On the basis of the shift state and the braking signal executed under the operation of On the basis of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utomatic control of the clutch pedal, a clutch control unit for executing position control for the clutch ped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 automatic control torque of the clutch pedal transmitted by the clutch control unit. Provided is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including a clutch operating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lutch pedal.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수단은 상기 가속페달에 그 스위치부재가 연결와이어를 매개하여 접속되어 상시적으로 폐쇄위치를 유지하는 스위치소자로 구성된다.Prefer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ng switch means is composed of a switch element that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pedal via a connection wire to maintain the closed position at all times.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클러치페달의 자동제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가속페달의 조작상태에서 상기 클러치페달의 위치조정을 위한 가속상태를 감지하는 가속감지부, 상기 차량의 실제 차속을 감지하여 상기 클러치페달에 의한 자동제어모드의 실행조건을 설정하는 차속감지부, 상기 가속페달감지신호와 상기 가속감지신호, 상기 차속신호 및 제동신호를 기초로 상기 클러치페달에 대한 위치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전동모터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detects an acceleration state for position adjustment of the clutch pedal in an operation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based on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for automatic control of the clutch pedal and a switch signal applied from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An accelera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actual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and set an execution condition of an automatic control mode by the clutch pedal, based on the acceleration pedal detection signal, the acceleration detection signal, the vehicle speed signal, and the braking signal. And an electric motor control unit for setting a power path for executing position control for the clutch pedal.

또, 상기 클러치페달의 조작에 대한 역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역전압조정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reverse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reverse voltage for the clutch pedal ope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클러치제어유니트는 상기 제어유니트의 전동모터제어부의 제어하에 정/역회전하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와 상기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클러치페달을 자동제어하는 클러치조정메카니즘을 포함하게 된다.Preferably, the clutch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clutch pedal by forward /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and a clutch adjustment mechanism driving unit including an electric motor that rotates forward / backward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of the control unit. It includes a clutch adjustment mechanism.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는 상기 전동모터의 축단에 형성된 워엄과 그 워엄에 치합되는 워엄기어, 그 워엄기어의 중앙부에 결합된 워엄기어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워엄과 워엄기어 및 워엄기어샤프트는 워엄기어하우징에 수납된다.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driving unit includes a worm formed at the shaft end of the electric motor and a worm gear engaged with the worm, and a worm gear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worm gear, wherein the worm, the worm gear, and the worm gear shaft are It is housed in a worm gear housing.

또한,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은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의 워엄기어샤프트에 축결합되어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클러치페달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권취/해제하는 원통형상의 권취부재와, 그 권취부재의 일단 중앙에서 돌출된 돌출부의 주변에 형성된 기어치열에 치합되는 기어치열이 하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부재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수평이동래크부재, 그 수평이동래크부재의 수평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칭소자, 상기 수평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역회전속도조정/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제2스위칭소자 및 상기 전동모터의 정회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3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lutch adjusting mechanism is cylindrically coupled to the worm gear shaft of the clutch adjusting mechanism driving unit, and is wound in a forward / reverse direction and has a cylindrical winding member for winding up / releasing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clutch pedal, and at one end of the winding member. The gear teeth engaged with the gear teeth formed around the protrud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re provided on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for converting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into linear motion, and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A first switching element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for limiting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a second switching elemen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and generating a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ping signal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tting of the electric motor And a third switching element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rot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2스위칭소자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의 수평이동이동경로상에서 상기 제3스위칭소자에 대해 클러치페달의 해제방향에서 상기 제3스위칭소자와 위치어긋나게 설치된다.Preferably,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disposed to be displaced from the third switching element in the release direction of the clutch pedal with respect to the third switching element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ing rack member.

또, 상기 제2스위칭소자는 제1스위치브라켓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브라켓에는 최소한 2의 장공이 형성되며, 그 최소한 2의 장공에 대해서는 그 스위치브라켓을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스위치브라켓의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돌출되는 제1 조정노브에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fixed to the first switch bracket, the switch bracket is formed with at least two long holes, for the at least two long holes are fastened to the screw for holding the switch bracket movable, One end of the switch bracket is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knob that protrudes outside the housing by bolts.

그리고, 상기 제3스위칭소자는 제2스위치브라켓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브라켓에는 최소한 2의 장공이 형성되며, 그 최소한 2의 장공에 대해서는 그 스위치브라켓을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제2스위치브라켓의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돌출되는 제2 조정노브에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An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is fixed to the second switch bracket, the switch bracket is formed with at least two long holes, for the at least two long holes are fastened to the screw for holding the switch bracket movable,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bracket is coupled by bolting to a second adjustment knob that protrudes outside the housing.

그리고, 상기 가속감지부는 상기 자동제어모드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소정의 펄스신호에 의해 스위칭구동되어 상기 전동모터에 대한 정회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가속페달의 비조작시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그 소정의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모터에 대한 역회전의 전원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ing unit is driven by the first single-stable multivib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by the power applied 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and the predetermined pulse signal, the forward rotation control signal for the electric motor A first single switching transis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by a power applied through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not operated, and based on the predetermined pulse signal And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for controlling a power path of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motor.

상기 차속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실제 차속에 대해 캐패시터와 저항에 의한 시정수를 갖는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펄스신호에 대해 역전위를 갖는 신호를 형성하는 저항 및 캐패시터, 그 저항 및 캐패시터에 의해 형성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작용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정지해제신호를 생성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includes a monostable multivibrator for generating a pulse signal having a time constant by a capacitor and a resistance for the actual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and a resistor for forming a signal having a reverse potential with respect to the pulse signal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And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that switch by a capacitor, a resistor thereof, and a signal formed by the capacitor to generate a stop signal of the electric motor.

또,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시정수를 결정하는 저항은 제1 -제7의 고정저항과 최소한 1의 가변저항의 병렬접속에 의해 구성되고, 그 제1-제7의 고정저항과 외적인 조정의 가변저항에 대해서는 차종마다 속도펄스신호에 대한 조정을 위해 드프스위치를 통해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접속된다.The resistance for determining the time constant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is constituted by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first to seventh fixed resistors and at least one variable resistor, and the first to seventh fixed resistors and the external adjustment. The variable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through a duff switch for adjustment of the speed pulse signal for each vehicle type.

또, 상기 전동모터제어부는 상기 차속감지부의 전동모터 정지해제신호에 의해 활성화제어되어 상기 전동모터에 대한 전원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제1릴레이소자와, 상기 차속감지부의 가속페달의 조작감지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전동모터에 대한 전원경로를 스위칭제어를 위한 제2릴레이소자와, 상기 제2릴레이소자의 전원경로 스위칭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동모터에 인가되는 전원경로를 스위칭형성해서 상기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3릴레이소자 및, 상기 제3릴레이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4릴레이소자를 갖추어 구성된다.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may be activated and controlled by an electric motor stop release signal of the vehicle speed sensing unit to switch a path of power to the electric motor, and to respond to an operation detection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of the vehicle speed sensing unit. Is activated to switch the power path of the electric motor to a second relay element for switching control and to switch the power path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in response to the power path switching control of the second relay element. And a third relay element for performing forward / reverse rotation and a fourth relay element for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third relay element.

또한, 상기 역전압조정부는 상기 전동모터의 역회전시에 적용되는 전원전위를 설정하는 가변저항과 그 가변저항에 의해 설정되는 전위를 상기 전동모터의 역회전전위로 출력하는 다링톤접속된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갖추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verse voltage adjusting unit is a Darlington-connected first outputting a variable resistor for setting the power potential applied at the time of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potential set by the variable resistance to the reverse rotation potential of the electric motor. And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는 연결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클러치페달이 직접 접속되어 상기 제어유니트의 제어하에 상기 클러치페달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nect the clutch pedal via a connecting memb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lutch ped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수동식 변속차량에 대해 가속페달의 조작상태와 제동상태, 차속의 변화에 따라 제어유니트의 제어하에 클러치제어유니트와 클러치작동유니트의 연동적인 작용에 의해 클러치페달을 자동으로 위치조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수동식 차량에서도 클러치페달에 대한 빈번한 조작이 배제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lutch control unit and the clutch oper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and braking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change of the vehicle speed with respect to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By the interlocking action of the clutch pedal automatically adjusts the position, thereby eliminating frequent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in the manual vehicle.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자동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러치제어유니트를 구성하는 클러치조정메카니즘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constituting the clutch control unit shown in FIG.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러치제어유니트의 클러치조정메카니즘과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lutch adjusting mechanism and the clutch adjusting mechanism driving unit of the clutch control unit shown in FIG.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러치구동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drive unit shown in FIG.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에 구성되는 제어유니트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에 구성되는 제어유니트의 상세 회로도.FIG.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unit configured in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shown in FIG.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러치페달의 조작과정을 설명하는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a)도 내지 제8(c)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러치제어유니트의 제어하에 실행되는 클러치페달의 제어상태를 설명하는 도면.8 (a) to 8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lutch pedal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lutch control unit shown in FIG.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제어유니트에서 수평이동래크부재와 체인권취드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and the chain winding drum in the clutch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변속레버 10a : 모드설정스위치10: shift lever 10a: mode setting switch

10b : 핸드스위치 20 : 가속페달검출유니트10b: hand switch 20: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21 : 가속페달 25 : 가속페달감지스위치21: accelerator pedal 25: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30 : 제어유니트 40 : 클러치제어유니트30: control unit 40: clutch control unit

50 : 클러치작동유니트 51 : 클러치페달50: clutch operation unit 51: clutch pedal

52 : 회동로울러부재 142 : 체인권취드럼52: rotating roller member 142: chain winding drum

144 : 수평이동래크부재 500 : 가속감지부144: horizontal moving rack member 500: acceleration detection unit

600 : 차속감지부 700 : 전동모터제어부600: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700: electric motor control unit

800 : 역전압조정부800: reverse voltage adjus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해당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에서 기어변속을 위한 변속레버를 나타내는 바, 그 변속레버(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에 대해 클러치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스위치(10a)와 그 클러치자동제어모드에서 차량의 변속시 조작가능한 핸드스위치(10b)가 설치된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hift lever for gear shift in a corresponding manual shift vehicle, and the shift lever 10 includes a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for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shif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e setting switch 10a for setting and a hand switch 10b operable when the vehicle shifts in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are provided.

또, 참조부호 20은 해당하는 차량에 대한 가속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페달검출유니트로서, 그 가속페달검출유니트(20)에 따르면 주지의 가속페달(21)의 일단은 해당하는 차량의 차체프레임(22)을 통과해서 페달와이어(23)을 매개하여 엔진(도시생략)측으로의 흡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밸브(도시 생략)에 결합되고, 그 가속페달(21)의 중앙부분에는 그 가속페달(21)의 조작시 회동을 위한 회동점(24)이 제공된다.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state for a corresponding vehicle, an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20, one end of a known accelerator pedal 21 is a vehicle body frame of a corresponding vehicle ( 22 is coupled to a throttle valve (not shown) for adjusting the intake air amount toward the engine (not shown) via the pedal wire 23, and the accelerator pedal 2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accelerator pedal 21. A pivot point 24 is provided for the pivoting operation.

또한, 그 가속페달검출유니트(20)에 따르면 상기 가속페달(21)의 조작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가속페달검출스위치(25)가 설치되는 바, 그 가속페달검출스위치(25)의 스위치부재(25a)는 연결와이어(26)를 매개하여 상기 가속페달(21)의 상류측에 연결되어 그 가속페달(21)의 비조작시에는 상기 연결와이어(26)에 의해 상시폐쇄접점(Normal close)으로서의 스위칭접점(25b)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20,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for electrically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21 is provided, and the switch member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is provided. 25a is connected to an upstream side of the accelerator pedal 21 through a connecting wire 26, and normally closed by the connecting wire 26 when the accelerator pedal 21 is not operated. The state connected to the switching contact 25b as is maintained.

또, 제1도에서 참조부호 30은 상기 변속레버(10)의 모드설정스위치(10a)에 의해 클러치자동제어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속페달검출유니트(20)의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로부터 정차시 및 정차후 재출발에 의한 가속상태로의 변화(즉, 제동상태의 해제)가 판단되는 경우 클러치 자동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를 나타낸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20 in a state where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ode is set by the mode setting switch 10a of the shift lever 10. In FIG. The control unit that executes automatic clutch contro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to the acceleration state (that is, the release of the braking state) by restarting at the stop and after the stop is determined.

또한, 제1도에서 참조부호 40은 상기 제어유니트(30)의 제어하에 클러치자동제어모드를 실행하는 클러치제어유니트를 나타내는 바, 그 클러치제어유니트(40)에는 후술하는 클러치페달의 당김/풀림을 실행하는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과, 상기 제어유니트(30)의 클러치자동제어신호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을 구동하기 위한 토오크를 발생하는 후술의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b)를 포함하게 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 clutch control unit which executes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lutch control unit 40 shows the pull / unlock of the clutch pedal described later. A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a to be executed, and an electric motor to be described later which generates torque for driving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a by forward / reverse rotation by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 The clutch adjusting mechanism driving portion 40b is included.

또, 참조부호 50은 상기 클러치제어유니트(40)에 의해 구동되어 클러치작동을 실행하는 클러치구동유니트를 나타내는 바, 그 클러치구동유니트(50)는 주지의 클러치페달(51)이 차체프레임(22)에 고정된 회동로울러부재(52)의 안내에 의해 그 클러치페달(51)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작용을 행하는 연결부재(53)를 매개하여 상기 클러치제어유니트(40)에 연결된다.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 clutch drive unit which is driven by the clutch control unit 40 to perform a clutch operation. The clutch drive unit 50 has a well known clutch pedal 51 in the body frame 22. It is connected to the clutch control unit 40 via the connecting member 53 which performs the action of pulling or releasing the clutch pedal 51 by the guide of the rotating roller member 52 fixed thereto.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클러치페달(51)에 접속되는 체인부(53a)에 연설되면서 상기 회동로울러부재(52)에 의해 안내되는 와이어부(53b) 및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에 수용되는 체인부로 이루어지게되는 바, 상기 와이어부(53b)는 가이드부재(54)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차량에의 설치시 그 와이어부(53b)의 커버링을 위한 와이어케이블(55)의 형태로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의 하우징(141)에 결합되게 되며, 그러한 연결부재(53)는 상기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53 is directed to the chain portion 53a connected to the clutch pedal 51 while being guided by the rotation roller member 52 and the clutch adjusting mechanism 40a. The wire part 53b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member 54 and in the form of a wire cable 55 for covering the wire part 53b when installed in a vehicle. It is coupled to the housing 141 of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a, and such a connecting member 53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러치제어유니트(40)에 구성되는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참조부호 141로 표시된 하우징내에서 상기 연결부재(53)는 와이어케이블(55)내의 와이어부(53b)와 체인부(53c)를 포함하게 되고, 그 하우징(141)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b)를 구성하는 전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53)의 체인부(53b)가 감기거나 풀려지는 원형의 체인권취드럼(142)이 설치된다.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a configured in the clutch control unit 40 shown in FIG. 1,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3 is a wire cable in the housing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41. FIG. The wire part 53b and the chain part 53c in the 55 are included, and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using 141 rotates forward / reversely by the electric motor constituting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drive part 40b. A circular chain winding drum 142 in which the chain portion 53b of the connecting member 53 is wound or released is installed.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의 중앙부분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3)의 주변부에는 기어치열이 형성되고, 그 돌출부(143)의 기어치열상에는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a)에 포함된 전동모터의 회전동력을 그 돌출부(143)를 매개하여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에 전달하도록 작용하는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대응적으로 제공된다.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하단면에는 상기 돌출부(143)의 기어치열과 치합되는 기어치열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중앙부분에는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구간을 정의하는 길이를 갖는 작동장공(144a)이 형성되고, 그 작동장공(144a)의 내측에는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1조의 고정나사(144b)가 위치하게 된다.Gear teeth ar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143 protruding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center of the chain winding drum 142, the transmission of gears on the gear teeth of the protrusion 143 is included in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driving portion (40a) A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is provided correspondingly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to the chain winding drum 142 via its protrusion 143.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is formed with the gear teeth to be engag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protrusion 143, a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movement section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is defined 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Having a working hole 144a is formed, a set of fixing screws 144b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is located inside the operating hole 144a.

또,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는 상기 체인권취드럼(143)의 역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클러치페달해제방향의 최종이동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진 모터 역회전정지스위치(145)가 제공되는 바, 그 모터역회전정지스위치(145)에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일단에 의해 스위칭상태가 제어되는 스위치부재(145a)가 갖추어짐과 더불어 그 스위치부재(145a)의 선단에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 돌출되면서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와의 접촉시 회동하는 소형의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회동부재(145b)가 갖추어지게 된다.In addition,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to limit the final movement position of the clutch pedal releas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to stop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hain winding drum (143). For example, a motor reverse rotation stop switch 145 made of a micro switch is provided. The motor reverse rotation stop switch 145 has a switching member 145a whose switching state is controlled by one end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At the tip of the switch member 145a, a rotating member is formed of a small roller that protrudes on the horizontal moving path of the horizontal moving rack member 144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moving rack member 144. 145b is provided.

또한,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서 클러치페달의 당김/해제방향에는 상기 체인권취드럼(143)의 역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진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가 제공된다. 그 모터역회전 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는 하우징(141)상에 변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스위치브라켓(147)에 결합되고, 그 제1 스위치브라켓(147)의 일측에는 그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1장공(148)이 설치되며, 그 제1 장공(148)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스위치브라켓(147)의 지지를 위한 제1 나사(149)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브라켓(147)의 타측에도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2장공(150)이 형성되고, 그 제2장공(150)의 내측에도 상기 제1스위치브라켓(147)의 지지를 위한 제2나사(151)가 체결된다.Further,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ping switch made of, for example, a micro switch for stopp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hain winding drum 143 in the pull / release direction of the clutch pedal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146 is provided.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is coupled to the first switch bracket 147 displace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141, and the motor reverse rota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switch bracket 147. A first long hole 148 is install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A first screw for supporting the first switch bracket 147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long hole 148. 149 is fastened. In addition, a second long hole 15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witch bracket 147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The second screw 151 for supporting the first switch bracket 147 is fastened.

그에 더하여, 상기 제1스위치브라켓(147)의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141)의 외부로 돌출된 제1조정노브(152)에 연설된 제1조정볼트부재(15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너트(154)가 제공되어 상기 제1조정노브(152)를 조정하게 되면 상기조정볼트부재(153)를 매개해서 전달되는 조정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및 제2나사(149, 151)의 지지하에 상기 제1스위치브라켓(147)의 위치가 변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위치가 조정되게 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switch bracket 147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bolt member 153 protruded from the first adjustment knob 152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141. 154 is provided to adjust the first adjustment knob 152 under the support of the first and second screws 149 and 151 in response to the adjustment amount transmitted via the adjustment bolt member 153. The position of the first switch bracket 147 is displaced, whereby the position of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is adjusted.

또한, 상기 모터 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에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 돌출되면서 그 선단에 소형의 로울러에 의한 회동부재(155)가 설치된 스위치부재(156)가 연설되고, 그 스위치부재(156)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수평이동하면서 그 회동부재(155)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부재(156)가 스위치접점(157)과 접촉되어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의 역회전정지 및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b)에 구성되는 전동모터의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tor reverse rotational speed adjusting / stopping switch 146 is protruded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and the switch member 156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155 by a small roller at the tip thereof. ) And the switch member 156 presses the pivot member 155 while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is horizontally moved so that the switch member 156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contact point 157. A signal for instructing the reverse rotation stop of the chain winding drum 142 and the stop of the electric motor constituted in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driving unit 40b is generated.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는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후방에서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의 정회전정지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된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가 설치되는 바, 그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도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와 유사하게 상기 하우징(141a)에 변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스위치브라켓(159)상에 설치되고, 그 제2 스위치브라켓(159)에는 그 일측에 형성된 제1장공(160)의 내측에 제1나사(161)가 체결됨과 더불어 그 타측에 형성된 제2 장공(162)의 내측에 제2나사(163)가 체결되게 된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micro switch which generates a signal for stopping the forward rotation of the chain winding drum 142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behind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is formed of a bar, and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is fixed to the housing 141a so as to be displaced similarly to the motor reverse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It is installed on the second switch bracket 159, the first switch 161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long hole 160 formed on one side to the second switch bracket 159 and the o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second screw 163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two long holes 162.

또한, 상기 제2스위치브라켓(159)에 대해서도 상기 하우징(141)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조정노브(164)에 제2조정볼트부재(165)를 매개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너트(166)가 제공되어 상기 제2조정노브(164)의 조정시 제2조정볼트부재(165)를 매개하여 전달되는 조정량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치브라켓(159)이 제1 및 제2 장공(160, 162)에 체결된 제1 및 제2나사(161, 163)의 지지하에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nut 166 coupled to the second switch bracket 159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adjusting knob 164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1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bolt member 165. The second switch bracket 159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ong holes 160, according to the adjustment amoun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bolt member 165 when the second adjusting knob 164 is adjusted. Position adjustment is possible under the support of the first and second screws 161 and 163 fastened to 162.

여기서,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와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는 다소 어긋난 위치로 설치되는 바, 정확하게는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방향에서 클러치페달이 완전히 당겨지는 최종적인 위치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는 그 최종적인 위치보다 내측에 설치되게 된다.Here,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and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ment / stop switch 146 is installed in a slightly shifted position, precisely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is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In the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144, the clutch pedal is installed at the final position to be completely pulled, while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is installed at the inner side than the final position.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141)에 수용되는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에 대해서는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53)의 체인부(53c)가 권취되거나 풀려지는 상태에 대한 가이드를 위해 대체로 그 체인권취드럼(142)의 주변에 상기 하우징(14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재(141a)가 제공되게 된다.Preferably, for the chain winding drum 142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41, the chain is generally used to guide the state in which the chain portion 53c of the connecting member 53 is wound or unwound by rotation thereof. The guide member 141a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41 is provided around the winding drum 142.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클러치제어유니트(40)의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과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b)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a and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driving portion 40b of the clutch control unit 40 shown in FIG.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70으로 표시된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의 선단에는 일정한 길이의 워엄(171)이 연설되고, 그 워엄(171)에 대해서는 워엄기어하우징(172)에 수납된 워엄기어(173)가 결합되며, 그 워엄기어(173)의 중심에서 워엄기어샤프트(174)가 연설되어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의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부(143)의 중앙부분에 나사결합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70)의 회전동력이 상기 워엄(171)을 매개하여 상기 워엄기어(173)에 전달되면 그 워엄기어(173)가 회동하게 되며, 그 워엄기어(173)의 회동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워엄기어샤프트(174)의 회전이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에 전달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41a)의 가이드하에 체인부(53b)의 권취 또는 풀림이 실행되게 된다.In the figure, the worm 171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spoken at the tip of the electric motor capable of forward / reverse rotation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70, and the worm gear (housed in the worm gear housing 172) for the worm 171 is provided. 173 is coupled, the worm gear shaft 174 is spoken at the center of the worm gear 173 is screw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sion 143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chain winding drum 142,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lectric motor 170 is transmitted to the worm gear 173 via the worm 171, the worm gear 173 is rotated, and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173.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shaft 174 is transmitted to the chain winding drum 142 to perform winding or unwinding of the chain portion 53b under the guide of the guide member 141a.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클러치구동유니트(5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로서, 그 클러치구동유니트(50)에 따르면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소정위치에는 와이어 체결부재(51a)가 결합되는 바, 그 와이어체결부재(51a)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페달고정공(200)과 그 페달고정공(2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클러치페달(51)에 형성되는 관통공(도시 생략)에 볼트(201)를 체결하여 상기 와이어체결부재(51a)가 상기 클러치페달(51)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driving unit 50 shown in FIG. 1, and according to the clutch driving unit 50, a wire fastening member 51a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lutch pedal 51.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lutch pedal 5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dal fixing hole 200 and the pedal fixing hole 200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ire fastening member 51a. The wire fastening member 51a is fixedly coupled to the clutch pedal 51 by fastening the bolt 201.

또, 상기 와이어체결부재(51a)에는 추가적인 관통공(202)이 형성되는 바, 그 관통공(202)에는 상기 연결부재(53)의 체인부(53a)의 일단이 결합되어 그 연결부재(53)에 의해 클러치페달(51)을 당기거나 풀어주기 위한 작용력이 전달되는 체인고정부재(203)가 삽입고정되게 된다.In addition, an additional through hole 202 is formed in the wire fastening member 51a, and one end of the chain portion 53a of the connection member 53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02, and the connection member 53 is connected thereto. The chain fixing member 203 to which the actuation force for pulling or releasing the clutch pedal 51 is transmitted is inserted into and fixed.

즉, 상기 체인고정부재(203)의 일단은 상기 관통공(202)에 삽입장착가능한 직경의 연설부(203a)가 형성되고, 그 연설부(203a)가 상기 관통공(202)에 삽입장착되는 경우 그 장착상태를 지원하기 위해 부시(203b)가 상기 연설부(203a)의 종단에 삽입고정되게 된다.That is, one end of the chain fixing member 203 is formed with a speech portion 203a having a diamet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2, the speech portion 203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2 In this case, the bush 203b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end of the speech portion 203a to support the mounting state.

또한, 상기 와이어고정부재(203)의 타단은 상기 연설부(203a)에 비해 대구경으로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분은 상기 체인부(53a)의 일단을 개재되도록 일방향으로 관통개구되고, 그 관통개구된 양단면에 상기 체인부(53a)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핀공(204)이 형성되어 그 핀공(204)에 상기 체인부(53a)의 고정위치를 정합시키고서 핀공(204)을 통해 고정핀을 삽입시켜 줌으로써 상기 체인고정부재(203)에 상기 연결부재(53)가 고정체결되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other end of the wire fixing member 203 is formed in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eaker 203a,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penetrated in one direction so as to interpose one end of the chain portion 53a, and the amount of the through opening is increased. A pin hole 20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hain portion 53a to fix one end of the chain portion 53a, and a fixing pin is inserted through the pin hole 204 while match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chain portion 53a to the pin hole 204. By doing so, the connection member 53 is fixedly fastened to the chain fixing member 203.

또, 제4도에서 회동로울러부재(52)는 상기 연결부재(53)를 이루면서 상기 체인부(53a)의 타단에 연결되는 와이어부(53b)의 원활한 안내를 위한 와이어가이드부재(206)를 포함하게 되는 바, 그 가이드부재(206)의 내측은 상기 와이어부(53b)의 이동자재한 수납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가이드부재(206)의 선단은 대체로 원형상을 이루면서 그 중앙부분에는 나사관통공(207)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roller member 52 in FIG. 4 includes the wire guide member 206 for smoothly guiding the wire portion 53b which forms the connection member 53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in portion 53a. The inner side of the guide member 206 is opened upward and downward for the movable storage of the wire portion 53b, and the tip of the guide member 206 is generally circular, and 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A screw through hole 207 is formed.

또, 상기 와이어가이드부재(206)의 원형상의 선단 양측에는 그 가이드부재(206)를 고정하기 위한 1조의 고정브라켓(208, 209)이 제공되는 바, 그 고정브라켓(208, 209)의 선단도 상기 가이드부재(206)의 선단 형상과 유사하게 원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중앙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06)의 원형상 선단에 형성된 나사관통공(207)에 대응하도록 나사관통공(208a, 209a)이 형성되어 나사(210a)와 너트(210b)에 의해 상호 체결되게 된다.In addition, a pair of fixing brackets 208 and 209 for fixing the guide member 206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ircular tip of the wire guide member 206, and the tip of the fixing brackets 208 and 209 is provided. Similarly to the tip shape of the guide member 206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center portion of the screw through holes 208a, 209a to correspond to the screw through hole 207 formed in the circular tip of the guide member 206 ) Are form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screw 210a and the nut 210b.

그리고, 상기 와이드가이드부재(206)의 원형상 선단 내측에는 상기 나사(210a)에 의한 체결시 그 나사(210a)가 관통적으로 수용되는 일정한 내경의 제1회동부재(211)와 그 제1회동부재(211)가 수납가능한 내경을 가지면서 양단이 다소 대구경으로 형성된 제2회동부재(212)가 추가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와이어부(53b)의 원활한 회동을 지원하게 된다.In addition, a first pivot member 211 having a constant inner diameter and the first pivot of the wide guide member 206 are accommodated through the screw 210a at the inner end of the circular tip. While the member 211 has an inner diameter that can be accommodated, a second pivoting member 212 having both ends of a slightly larger diameter is additionally provided to support smooth rotation of the wire part 53b.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8, 209)의 타단은 대체로 직각을 이루도록 만곡됨과 더불어 그 중앙부분에는 상기 차체프레임(22)에 형성된 나사공(22a, 22b)에 대응하도록 나사체결공(208a, 209b)이 형성되어 나사(213a, 213b)의 관통삽입에 의해 상기 회동로울러부재(52)가 상기 차체프레임(22)에 고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rackets (208, 209) is bent to form a substantially right angle and the screwing holes (208a, 209b) to correspond to the screw holes (22a, 22b) formed in the body frame 22 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The rotation roller member 52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frame 22 by the insertion of the screws 213a and 213b.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53)의 와이어부(53b)는 예컨대 차량의 실내측 저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그 와이어부(53b)를 보호하기 위한 형태로서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206)의 종단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상기 하우징(141)에 결합되는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케이블(55)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Preferably, the wire portion 53b of the connecting member 53 is a type for protecting the wire portion 53b, for example, when the wire portion 53b is mounted on an indoor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one end thereof terminates the guide member 206. In addition to being coupled to the screw fastening method, the other end is made in the form of a wire cable 55 of a constant length is coupled to the housing 141.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제어시스템의 상세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lutch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shown in FIG.

제5와 제6도에서, 참조부호 300은 해당하는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전원을 나타내고, 400은 해당하는 차량의 제동페달(도시 생략)의 조작에 따라 검출되는 제동신호(BS)가 입력되는 제동신호입력단을 나타낸다.5 and 6, reference numeral 300 denotes a battery power sourc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vehicle, and 400 denotes a brake signal to which a brake signal BS detected by an operation of a brake pedal (not show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input. Indicates the signal input terminal.

또, 참조부호 500은 상기 가속페달(21)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에서 인가되는 스위칭신호에 응답하여 클러치페달(51)의 자동작동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가속감지부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500 denotes an acceleration sensing unit for executing control regarding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51 in response to a switching signal applied from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21. Indicates.

그 가속감지부(500, 제6도(b)참조)에 대해서는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의 조작시 그 모드설정스위치(10a)를 매개하여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이 저항(101)과 캐패시터(102)에 의해 전위가 설정되는 제1 전원(VDD1)이 인가된다. 또,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스위치부재(25a)의 상시폐쇄접점(NC)측에는 저항(501, 502)을 매개하여 제1 쉬미트트리거소자(503)의 입력단이 공통으로 접속되며, 그 제1 쉬미트트리거소자(503)의 출력측에는 저항(504)과 일단접지의 캐패시터(505)를 매개하여 제2쉬미트트리거소자(506)의 입력단이 공통으로 접속된다. 그 제2 쉬미트트리거소자(506)의 출력측에는 저항(507)과 일단접지의 캐패시터(508)를 매개하여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9)의 입력단(D)이 접속되는 바, 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9)에 대해서는 저항(510)과 캐패시터(511)에 의해 시정수가 설정됨과 더불어 그 출력단(Q')에는 저항(512)을 매개하여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513)의 베이스가 접촉되고, 그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513)의 에미터-컬렉터의 사이에는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514)가 접속되며, 그 제1 스위칭트랜지스터(513)의 에미터측은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에 접속된다.Regarding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500 (see FIG. 6B), when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operated, the batter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via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resistance 101. ) And the capacitor 102 are applied with a first power source VDD1 whose potential is set. In addition,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chmitt trigger element 503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side of the switch member 25a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through the resistors 501 and 502. The input side of the second Schmitt trigger element 506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first Schmitt trigger element 503 via a resistor 504 and a capacitor 505 of one end grounding. An input terminal D of the first single-stable multivibrator 509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schmitt trigger element 506 via a resistor 507 and a capacitor 508 of one end ground. The time constant is set by the resistor 510 and the capacitor 511 with respect to the multivibrator 509, and the bas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5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Q ′ via the resistor 512.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514 is connected between the emitter and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513, and the emitter si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513 is connected to the mode setting switch 10a.

또, 상기 가속감지부(500)에서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스위치부재(25a) 측에는 저항(515, 516)을 매개하여 제3 쉬미트트리거소자(517)의 입력단이 접속되고, 그 제3 쉬미트트리거소자(517)의 출력측에는 저항(518)과 일단접지의 캐패시터(519)를 매개하여 제4 및 제5 쉬미트트리거소자(520, 521)가 직렬접속된다.In addition, an input terminal of the third Schmitt trigger element 517 is connected to the switch member 25a side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through the resistors 515 and 516 in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500. On the output side of the three Schmitt trigger element 517, the fourth and fifth Schmitt trigger elements 520 and 521 are connected in series via a resistor 518 and a capacitor 519 of one end ground.

그 제4 및 제5 쉬미트트리거소자(520, 521)의 중간노드에는 저항(522)과 일단접지의 캐패시터(523)를 매개하여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24)의 입력단(D)이 접속되는 바, 그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24)에 대해서는 저항(525)과 캐패시터(526)에 의해 시정수가 설정된다.The input terminal D of the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524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nodes of the fourth and fifth Schmitt trigger elements 520 and 521 via a resistor 522 and a capacitor 523 of one ground. As a result, the time constant is set by the resistor 525 and the capacitor 526 for the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524.

그리고, 상기 제5쉬미트트리거소자(521)의 출력은 상기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9)의 리세트신호로서 인가되고, 상기 제2 쉬미트트리거소자(506)의 출력은 제6 쉬미트트리거소자(526)와 저항(527), 일단접지의 캐패시터(528) 및 제7 쉬미트트리거소자(529)를 매개하여 상기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24)의 리세트신호로서 인가된다.The output of the fifth schmitt trigger element 521 is applied as a reset signal of the first single-stable multivibrator 509,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schmitt trigger element 506 is a sixth schmitt. It is applied as a reset signal of the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524 via the trigger element 526, the resistor 527, the capacitor 528 of one end grounding, and the seventh Schmitt trigger element 529.

또, 상기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24)의 출력은 저항(530)을 매개하여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532)의 베이스에 접촉됨과 더불어 상기 제5쉬미트트리거소자(521)의 출력도 다이오드(531)를 매개하여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532)의 베이스측에 공통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532)의 에미터는 다이오드(533)를 매개하여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에 접속된다.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524 is in contact with the bas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via a resistor 530, and the output of the fifth Schmitt trigger element 521 is also a diode ( 531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and the emitter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is connected to the mode setting switch 10a via a diode 533. .

또, 제5도와 제6도에서 참조부호 600은 차속센서(도시생략)로부터 인가되는 차속신호(SP)에 기초하여 클러치페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차속감지부를 나타내는 바, 그 차속감지부(600)에 대해서도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의 접속시 배터리 전원이 저항(103)과 정격의 제너다이오드(104) 및 캐패시터(105)를 통해 설정되는 전위의 제2전압(VDD2)이 인가되게 된다.In FIG. 5 and FIG. 6, reference numeral 600 denotes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SP applied from a vehicle speed sensor (not shown). In the case of the mode setting switch 10a, the battery power is supplied with the resistor 103 and the second voltage VDD2 having the potential set via the zener diode 104 and the capacitor 105 of the rated voltage.

그리고, 상기 차속감지부(600: 제6도(b))는 상기 차속(SP)이 저항(601)을 매개하여 입력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를 포함하게 되는 바, 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에 대해서는 시정수소자로서 캐패시터(603)와 다수의 저항(604-609) 및 가변저항(610)이 제공되는 바, 그 다수의 저항(604-609) 및 가변저항(610)은 디프스위치(611)를 매개하여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 디프스위치(611)에 의해 차종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되는 차속펄스신호의 전위레벨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시정수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가변저항(610)은 그 디프스위치(611)에 의해 선택되는 저항(604-609)에 의해서도 차종마다의 차속펄스신호에 대한 조정이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하여 광범위한 시정수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프스위치(611)는 상기 제어유니트(30: 제1도참조)의 소정위치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적인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600 (FIG. 6B) includes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to which the vehicle speed SP is input through the resistor 601.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For 602, a capacitor 603, a plurality of resistors 604-609, and a variable resistor 610 are provided as time constant elements, and the plurality of resistors 604-609 and the variable resistor 610 are deep. Time constant in the form of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via a switch 611 to adjust the potential level of the vehicle speed pulse signal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by the dip switch 611. Can be selected, and the variable resistor 610 has a wide time constant in case that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vehicle speed pulse signal for each vehicle type even by the resistors 604 to 609 selected by the deep switch 611. To enable the setting of It is. Preferably, the deep switch 611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30 (see FIG. 1), and is provided for external adjustment.

그리고,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의 출력측에는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612)와 제2전원(VDD2)에 접속된 저항(613) 및 캐패시터(614)의 일단을 통해 3스테이지의 쉬미트트리거소자(615, 616, 617)가 접속되고, 그 쉬미트트리거소자(617)의 출력측에는 저항(618)을 매개하여 제3스위칭 트랜지스터(619)의 베이스가 접속된다.In addition, at the output side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a three-stage schmitt trigger element is provided through one end of a resistor 613 and a capacitor 614 connected to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612 and the second power supply VDD2. 615, 616, and 617 are connected, and the base of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619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Schmitt trigger element 617 via a resistor 618.

그 제3 스위칭 트랜지스터(619)의 에미터측은 저항(620)을 매개하여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에 접속되는 한편, 저항(621)을 매개하여 제4스위칭 트랜지스터(62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그 제4스위칭 트랜지스터(622)의 에미터측도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에 공통적으로 접속되며, 그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622)의 에미터-컬렉터의 사이에는 역전류방지용 다이오드(623)가 접속된다.The emitter side of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619 is connected to the mode setting switch 10a via a resistor 620, while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622 via a resistor 621. The emitter side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622 is also commonly connected to the mode setting switch 10a, and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623 is provided between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622. Connected.

또, 제5도와 제6도에서 참조부호 700은 클러치의 당김/해제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동모터제어부를 나타낸다.5 and 6, reference numeral 700 denotes an electric moto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ull / release function of the clutch.

그 전동모터제어부(700)에 따르면, 상기 변속레버(10)에 구비되는 모드설정스위치(10a)의 일단은 상기 전원부(100)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상기 가속감지부(500)의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513, 532)의 에미터측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차속감지부(600)의 제3 및 제4 스위칭 트랜지스터(619, 622)의 에미터측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의 타단에는 상기 핸드스위치(10b)의 일단이 접속된다.According to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one end of the mode setting switch 10a provided in the shift lever 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first and the first of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500. It is connected to the emitter side of the two switching transistors 513 and 532, and is connected to the emitter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switching transistors 619 and 622 of 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600, and the mode setting switch 10a. The other end of the hand switch 10b is connected to one end.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에는 상기 차속감지부(600)에서 인가되는 해당 차량의 차속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페달(51)의 당김/해제를 위해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정/역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로서의 제1 릴레이소자(701)가 구비되는 바, 그 제1릴레이소자(701)의 릴레이코일(701)은 상기 차속감지부(600)에 구성된 제2스위칭트랜지스터(622)의 컬렉터측에 접속되어 그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622)의 스위칭 작용에 따라 상시접속상태의 제1 및 제2상시폐쇄접점(NC1, NC2)에 대한 제1 및 제2 공통접점(703a, 703b)의 스위칭제어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1공통접점(703a)은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상시폐쇄접점(NC)에 접속되는 반면 상기 제2공통접점(703b)은 상기 제동신호입력단(400)을 통해 입력되는 제동신호(BS)에 접속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has a forward /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motor 170 for pulling / release of the clutch pedal 51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signal appli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600. A first relay element 701 is provided as a switching element for controlling driving. The relay coil 701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has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622 configured in 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600. First and second common contacts 703a and 703b to the first and second normally closed contacts NC1 and NC2 in the normally connected state, connected to the collector side of the < RTI ID = 0.0 > (2) < / RTI > ), And the first common contact 703a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of the motor reverse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while the second common contact 703b is It is connected to the braking signal BS input through the braking signal input terminal 400.

또한,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제1상시개방접점(NO1)은 상기 가속페달 감지스위치(25)의 상시폐쇄접점(NC)과 상기 역전압조정부(800)의 입력측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가속감지부(500)의 저항(501)측에 접속되는 반면,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제2상시개방접점(NO2)은 상기 핸드스위치(10b)의 출력측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가속감지부(500)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532)의 출력측에도 접속된다. 또,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에 구비되는 제1상시폐쇄접점(NC1)은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상시개방접점(NO)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모터역회전정지스위치(145)의 상시개방접점(NO)에 공통적으로 접속된다.In addition, the first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1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point NC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and the input side of the reverse voltage adjusting unit 800. While connected to the resistance 501 side of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500, the second normally open contact NO2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hand switch 10b and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 It is also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of 500. In addition, the first normally closed contact NC1 provided in the first relay element 701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 of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ment / stop switch 146 and stops the motor reverse rotation. It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 of the switch 145.

또,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에는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정/역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제어스위칭소자로서의 제2릴레이소자(704)가 구비되는 바, 제2릴레이소자(704)의 릴레이코일(705)은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제2상시개방접점(NO2)측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그 제2릴레이소자(704)의 제1 및 제2공통접점(706a, 706b)은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전원경로를 형성하도록 스위칭 작용하게 되며, 그 제2릴레이소자(705)의 제1항시폐쇄접점(NC1)은 상기 모터정회전스위치(145)의 공통접점(145a)에 접속된다. 또한, 그 제2릴레이소자(705)의 제1상시개방접점(NO1)은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의 스위치부재(169)에 접속되는 반면 제2상시개방접점(NO2)은 접지전위에 접속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is provided with a second relay element 704 as a power control switching element for supplying forward / reverse power to the electric motor 170,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Relay coil 705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second normally open contact NO2 side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on contacts 706a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706b) is switched to form a power path for the electric motor 170, the first normally closed contact (NC1)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5 is a common contact of the motor forward switch 145 145a. Further, the first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1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5 is connected to the switch member 169 of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while the second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2 is the ground potential. Is connected to.

또한,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에는 상기 핸드스위치(10b)의 조작시 또는 가속페달(21)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전동코터(170)의 작동/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제3릴레이소자(707)가 갖추어지게 되는 바, 그 제3릴레이소자(707)의 릴레이코일(708)의 일단은 상기 제동신호입력단(400)과 상기 핸드스위치(10b)의 출력단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그 공통접점(709)은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스위치부재(25a)측과 상기 차속감지부(500)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513)의 컬렉터측에 접속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has a third relay element 70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 stop of the electric coater 1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hand switch 10b or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21. ), One end of the relay coil 708 of the third relay element 707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braking signal input end 400 and the output end of the hand switch 10b, and the common contact point 709 is connected to the switch member 25a side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and to the collector si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513 of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500.

그에 더하여,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에는 상기 클러치페달(51)의 당김/해제를 위해 상기 전동모터(170)의 전원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전원스위칭소자로서의 제4릴레이소자(710)이 구비되는 바, 그 제4릴레이소자(710)의 릴레이코일(711)은 상기 제3릴레이소자(707)의 상시폐쇄접점(NC)에 접속되고, 그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1공통접점(712a)은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제1공통접점(706a) 측에 접속되는 반면, 그 제2 공통접점(712b)은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제2공통접점(706b)측에 접속된다.In addition,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is provided with a fourth relay element 710 as a power switching element for setting a power path of the electric motor 170 to pull / release the clutch pedal 51. The relay coil 711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of the third relay element 707, and the first common contact point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is applied. 712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on contact 706a side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while the second common contact 712b is the second common contact 706b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It is connected to the side.

또, 제5도와 제6도에서 참조부호 800은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의 제1릴레이소자(701)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170)의 정회전이 종료되고 나서 가속페달(21)의 조작시에는 그 전동모터(170)를 역회전시키기 위해 가속페달(21)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해 레벨조정된 역회전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역전압조정부를 나타내는 바, 그 역전압조정부(800)에 따르면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제1상시개방접점(NO1)에 대해 다이오드(801)를 매개하여 다링톤접속 된 제1 및 제2트랜지스터(802, 803)의 컬렉터가 접속되고, 그 제1 및 제2트랜지스터(802)의 베이스에 접속된 저항(804, 805)에 대해서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802)의 컬렉터측에 일단이 접속된 가변저항(806)이 제공되어 상기 제2트랜지스터(803)의 에미터측에서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제2상시폐쇄접점(NC2)에 인가되는 역전원의 레벨을 조정해주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저항(806)의 조정노브가 상기 제어유니트(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적인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In FIG. 5 and FIG. 6, reference numeral 800 denotes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21 after the forward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is finished by the first relay element 701 of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When the accelerator pedal 21 is operated to reversely rotate the electric motor 170, the reverse voltage adjusting part for supplying the reverse rotation potential adjusted to the electric motor 170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adjusting unit 800, collector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802 and 803 connected to the first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1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via a diode 801 are connected. A variable resistor 806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side of the first transistor 802 is provided for the resistors 804 and 805 connected to the bas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802. On the emitter side of the second transistor 803 to the second normally closed contact NC2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Adjust the level of reverse power applied. Preferably, the adjustment knob of the variable resistor 806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unit 30 so that external adjustment is possible.

그리고,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러치페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참조부호 'A'는 운전자가 클러치페달(51)을 조작해서 변속을 원하는 경우에 그 클러치페달(51)의 전체적인 작동거리이고, 위치'B'는 클러치페달(51)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위치'C'는 운전자가 변속을 행하는 경우에 클러치페달(51)이 위치되어 변속기 내부에 차량의 엔진측의 플라이휠에서부터 클러치디스크가 완전히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위치'D'는 그 위치 'C'로부터 예컨대 1단변속 또는 후진변속을 행하고 나서 차량을 유연하게 출발시키기 위해 클러치디스크가 플라이휠에 접속되는 시작점을 나타내는 바, 상기 클러치디스크의 차단위치'C'로부터 클러치디스크가 플라이휠에 접속되는 시작점의 위치'D'까지는 클러치페달을 빠르게 해제시켜도 무리가 없게 되고, 그 경우에도 차량의 출발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또, 위치'E'는 클러치디스크가 플라이휠에 완전하게 접속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바, 위치'D'로부터 위치'E'까지는 클러치디스크가 플라이휠에 부드럽게 접속되도록 해야만이 차량이 유연하게 출발하게 된다. 또, 위치'E'로부터 위치'B'까지는 자유 유격거리로서 클러치디스크와 플라이휠의 접속과는 무관하며 단지 변속기내부에 변속작동시 작용되는 스러스트베어링의 마모를 방지하고 수동변속기에서의 유압식 클러치작동기구의 잔류압소거를 위한 자유유격거리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F'는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조작에 의한 클러치접속거리를 나타낸다.And,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utch pedal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A' denotes the overall of the clutch pedal 51 when the driver wants to shift by operating the clutch pedal 51. The operating distance, position 'B'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clutch pedal 51 is not operated, and position 'C' indicates that the clutch pedal 51 is positioned when the driver shifts to the engine side of the vehicle. The clutch disc is completely blocked from the flywheel. In addition, the position 'D' indicates a starting point at which the clutch disc is connected to the flywheel for smoothly starting the vehicle after, for example, performing a single speed shift or a reverse shift from the position 'C'. From 'to' the position 'D' of the starting point at which the clutch disc is connected to the flywheel, there is no problem even if the clutch pedal is released quickly, and in that case, the vehicle is not started. In addition, the position 'E' indicates a position where the clutch disc is completely connected to the flywheel, and the vehicle starts smoothly only when the clutch disc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flywheel from the position 'D' to the position 'E'. In addition, the position 'E' to the position 'B' is a free play distance, which is independent of the clutch disc and flywheel connection, and only prevents the wear of the thrust bearings acting during the shifting operation inside the transmission, and the hydraulic clutch operating mechanism in the manual transmission. Denotes a free play distance for the residual pressure elimination, and reference numeral 'F' denotes a clutch connection distance by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51.

이어,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of the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제어유니트(30)를 나타낸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는 상시 비접속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핸드스위치(10b)도 비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스위치부재(25a)는 가속페달(21)의 비조작시 상시폐쇄접점(NC)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모터역회전정지스위치(145)와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 및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의 스위치부재(145a, 156, 168)도 상시폐쇄접점(NC)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의 제1 - 제4릴레이소자(701, 704, 707, 710)의 공통접점이라던지 제1 및 제2공통접점(703a, 703b; 706a, 706b; 709; 712a, 712b)도 각기 대응하는 상시폐쇄접점(NC1, NC2; NCQ, NC2, NC; NC1, NC2)에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6 showing the control unit 30,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always kept in a disconnected state, and the hand switch 10b is also in a disconnected state. The switch member 25a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is kept connect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when the accelerator pedal 21 is not operated, and the motor reverse rotation stop switch 145 and the motor reverse The switch members 145a, 156, and 168 of the rotational speed adjustment / stop switch 146 and the motor forward rotation stop switch 158 are also positioned at the normally closed contacts NC. In addition, the common contact point of the first to fourth relay elements 701, 704, 707, and 710 of the electric motor controller 700 or the first and second common contacts 703a, 703b; 706a, 706b; 709; 712a. , 712b also maintains the connection state to the corresponding normally closed contacts NC1, NC2; NCQ, NC2, NC; NC1, NC2.

그 상태에서, 해당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에 대해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동적인 클러치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6도에 도시된 전원부(300)로부터 시동 ON시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에 전원이 유입되어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스위치부재(156)와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제1공통접점(703a) 및 제1상시폐쇄접점(NC1)을 통해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측으로 인가되고, 그 제2릴레이소자(704)측으로 인가된 전원은 그 제2 상시폐쇄접점(NC2)과 제2공통접점(712b)을 경유함에 이어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2상시폐쇄접점(NC2)과 공통접점(712b)을 통해 상기 전동모터(170)에 인가되며, 그 전동모터(170)에 인가된 전원은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1공통접점(712a)과 상시폐쇄접점(NC1)을 통해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제1상시폐쇄접점(NC1)에 접속된 공통접점(706a)을 경유함에 이어 상기 모터역회전정지스위치(145)의 공통접점(145a)을 통해 상시폐쇄접점(NC)으로 인가되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된다.In this state, when manual clutch control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not performed for the corresponding manual transmission vehicle, the start-up is star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shown in FIG.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so that the switch member 156 of the motor reverse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and the first common contact point 703a and the first constant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are always on. The power applied to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side through the closed contact NC1 and applied to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side connects the second normally closed contact NC2 and the second common contact 712b. Subsequently, the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170 through the second normally closed contact NC2 and the common contact 712b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and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170 is The second relay element through the first common contact point 712a and the normally closed contact point NC1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After the common contact 706a connected to the first normally closed contact NC1 of 704, it is appli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through the common contact 145a of the motor reverse stop switch 145. It flows to the ground side.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170)는 역회전하게 되면서 그 역회전동력이 상기 워엄(71)을 매개하여 상기 워엄기어(173)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그 워엄기어(173)에 축결합된 워엄기어샤프트(174)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을 역회전시키게 된다. 그 체인권취드럼(142)의 역회전에 의해 그 돌출부(143)상의 기어치열에 치합된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클러치페달(51)의 해제를 위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electric motor 170 is reversely rotated while the reverse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worm gear 173 via the worm 71, and thus the worm gear axially coupled to the worm gear 173. As the shaft 174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chain winding drum 142 is reverse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hain winding drum 142,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engaged with the gear teeth on the protrusion 143 is moved in the direction for releasing the clutch pedal 51.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상기 모터역회전정지스위치(145)의 스위치부재(145a)를 압암(狎壓)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그 모터역회전정지스위치(145)의 스위치 부재(145a; 제6도)가 상시폐쇄접점(NC)으로부터 상시개방접점(NO)으로 접속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접지전위가 차단되게 되어 그 모터(170)가 제동상태로 되면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페달(51)은 통상적인 수동변속을 위한 조작이 가능한 위치(즉, 제8(a)도 참조)에 위치하게 된다.A switch member 145a of the motor reverse rotation stop switch 145 when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is moved to a position to crush the switch member 145a of the motor reverse rotation stop switch 145; FIG. 6) is connected from the normally closed contact point NC to the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 whereby the ground potential to the electric motor 170 is cut off so that the motor 170 is stopped and stopped. do. Accordingly, the clutch pedal 5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a normal manual shift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at is, also refer to the eighth (a)).

한편,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10)상에 설치되는 모드 설정스위치(10a)가 ON상태로 조작되어 클러치자동제어모드가 설정되면(단계 900), 상기 전원부(300)의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이 진행되는데(단계 902), 즉, 그 모드설정스위치(10a)를 통해 저항(101)과 캐패시터(102)에 인가되어 제1전원(VDD1)으로 얻어짐과 더불어 저항(103)과 제너다이오드(104) 및 캐패시터(105)에 의해 제2전원(VDD2)으로 얻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를 통과하는 전원부(300)의 전원은 상기 가속감지부(500)의 제1 및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513, 532)의 에미터측에도 인가됨과 더불어 상기 차속감지부(600)의 제1 및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619, 622)의 에미터측에도 인가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when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nstalled on the shift lever 10 is operated in the ON state and the clutch automatic control mode is set (step 900), the power supply unit 300 Is applied to the resistor 101 and the capacitor 102 through the mode setting switch 10a to obtain the first power source VDD1 and to the resistor ( 103 and the zener diode 104 and the capacitor 105 are obtained as the second power source VDD2. In additio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00 passing through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also applied to the emitt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513 and 532 of the acceleration detecting unit 500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 It is also applied to the emitt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619 and 622 of 600.

따라서, 해당하는 차량의 속도펄스신호가 상기 속도감지부(600)에 인가되면 그 속도감지부(600)의 저항(601)을 매개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에 제공되는 바, 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는 차종마다 적절한 시정수의 조절을 위한 디프스위치(611)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저항(604-609) 및/또는 가변저항(610)에 의한 저항치와 상기 캐패시터(603)의 시정수를 갖는 펄스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그 펄스신호에 대해 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의 후단에 접속되는 저항(613)과 캐패시터(614)의 충/방전에 의해 차속신호가 얻어지게 되고, 그 차속신호는 상기 3스테이지의 쉬미트트리거소자(615, 616, 617)를 매개하여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619)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그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619)가 도통상태로 된다.Therefore, when the speed puls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applied to the speed sensing unit 600, it is provided to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through the resistance 601 of the speed sensing unit 600,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is a resistance value by the resistors 604-609 and / or the variable resistor 610 selectively connected by the deep switch 611 for adjusting the appropriate time constant for each vehicle type and the time constant of the capacitor 603. Generates a pulse signal, and the vehicle speed signal is obtained by charging / discharging the resistor 613 and the capacitor 614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with respect to the pulse signal. Since the vehicle speed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619 via the three-stage Schmitt trigger elements 615, 616, and 617,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619 is brought into a conductive state.

그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619)의 도통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622)의 베이스에도 저항(620, 621)에 의한 바이어스 전압이 설정되므로, 그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622)가 도통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그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622)의 컬렉터측에서는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를 매개하여 인가되는 전원부(300)의 전원이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릴레이코일(702)에 인가되어 그 릴레이소자(701)가 활성화되게 된다.Since the bias voltages of the resistors 620 and 621 are also set at the bas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622 by the conduction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619,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622 is brought into a conductive state. Accordingly, at the collector si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622,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00 applied through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702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The relay element 701 is activated.

따라서,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공통접점이 제1상시개방접점(NO1)으로 접속되고,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공통접점(156)과 상시폐쇄접점(NC)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부(300)의 전원이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상시 폐쇄접점(NC1)측으로 인가된다.Therefore, the common contact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is connected to the first normally open contact NO1, and the common contact 156 and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of the motor reverse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are normally closed.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00 applied through) is appli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1 side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여기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스위치부재(25a; 제1도참조)는 상시폐쇄접점(NC) 측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원이 저항(501, 502)을 통해 제1쉬미트트리거소자(503)를 통과하면서 파형정형되고 나서 상기 저항(504) 및 캐패시터(505)를 통과하여 제2쉬미트트리거소자(506)에 인가되어 재차 파형정형되고, 그 파형정형된 신호가 상기 저항(507)과 캐패시터(508)를 통해 상기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9)에 인가된다. 따라서, 그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9)에서는 저항(510)과 캐패시터(511)에 의해 설정된 상당히 단시간의 시정수를 갖는 1회의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저항(512)을 통해 상기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513)에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를 매개하여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제3릴레이소자(707)의 공통접점(709)과 상시폐쇄접점(NC)을 통해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의 릴레이코일(711)로 흐르게 된다.Here, in the state where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accelerator pedal, the switch member 25a (see FIG. 1)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is kept connected to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side. The power is waveform-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schmitt trigger element 503 through the resistors 501 and 502 and then passed through the resistor 504 and the capacitor 505 to the second schmitt trigger element 506. The waveform is applied again, and the waveform is then applied to the first single-stable multivibrator 509 through the resistor 507 and the capacitor 508. Accordingly, the first single-stable multivibrator 509 generates a single pulse signal having a fairly short time constant set by the resistor 510 and the capacitor 511 to generate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the resistor 512. And power applied through the mode setting switch 10a through the common contact 709 and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of the third relay element 707. Flow to the relay coil 711 of the relay element 710.

따라서, 그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1 및 제2공통접점(712a, 712b)이 상시개방접점(NO1, NO2)측으로 단시간 동안 스위칭절환되게 되고, 그 경우 상기 전동모터(170)의 내부에서 관성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이 접지측으로 급속하게 방전되면서 모터브레이크상태로 정지되고 나서 해제되게 된다(단계 904).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common contact points 712a and 712b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are switched to the normally open contact points NO1 and NO2 for a short time, in which case the inside of the electric motor 170 In step 904,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inertia rotation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ground side and stopped in the motor brake state.

그 때, 상기 가속페달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전원부(300)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모터정회전전정지스위치(158)의 스위치부재(169)와 상시폐쇄접점(NC)을 통해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로 인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원은 그 제1릴레이소자(701)의 공통접점(703a)과 제1상시폐쇄접점(NC1)을 통해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상시폐쇄접점(NC)과 공통접점(25a)의 경로로 흘러서 상기 제3릴레이소자(707)를 통해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의 릴레이코일(711)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70)는 계속해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accelerator pedal is not operated,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passes through the switch member 169 of the motor forward rotation stop switch 158 and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701 is applied, and thus the power is normally closed by the accelerator pedal switch 25 through the common contact 703a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and the first normally closed contact NC1. NC and the common contact 25a flows to continuously activate the relay coil 711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through the third relay element 707, and thus the electric motor 170 ) Will remain stationary.

상기한 작용하에서는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릴레이코일(705)과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의 제2상시개방접점(NO2)에 전기적으로 결선된 상기 핸드스위치(10b)가 ON조작되거나 해당하는 차량의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동신호입력단(400)을 통해 인가되는 제동신호(BS)가 인가되는 경우(단계 906), 전동모터(170) 정회전 과정이 진행되는데(단계 908), 즉,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를 통하는 전원이 상기 핸드스위치(10b)를 통해 상기 제4릴레이소자(707)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그 제3릴레이소자(707)의 릴레이코일(708)이 활성화되어 그 제3릴레이소자(707)의 공통접점(709)이 상시개방접점(NO)측으로 절환된다. 그 스위칭절환에 의거하여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1 및 제2공통접점(712a, 712b)이 제1 및 제2상시폐쇄접점(NC1, NC2)측으로 복귀된다.Under the above operation, the hand switch 10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lay coil 705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and the second normally open contact NO2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1 is turned on. Or when the braking signal BS applied through the braking signal input terminal 400 is applied by operating the brake pedal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step 906), the forward rotation process of the electric motor 170 is performed (step 908). ), That is, power through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applied to the fourth relay element 707 through the hand switch 10b, and thus the relay coil 708 of the third relay element 707. ) Is activated to switch the common contact 709 of the third relay element 707 to the normally open contact NO side. Based on the switching switching, the first and second common contacts 712a and 712b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are returned to the first and second normally closed contacts NC1 and NC2.

그와 더불어, 상기 제2스위치(10b)에서 상기 제1릴레이소자(704)의 릴레이 코일(705)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그 공통접점(706a, 706b)이 상시개방접점(NO1, NO2)측으로 접속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전원부(300)로부터의 전원은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의 스위치부재(169)와 상시폐쇄접점(NC)으로부터 상기 제1릴레이소자(704)의 제1상시개방접점(NO1)가 제1공통접점(706a)을 경유하여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측으로 인가된다.In addition, as the power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705 of the first relay element 704 in the second switch 10b, the common contacts 706a and 706b move toward the normally open contacts NO1 and NO2. Connected, and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is always supplied from the switch member 169 of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and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An open contact NO1 is applied to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via the first common contact 706a.

그 제4릴레이소자(710)측으로 인가된 전원은 그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1상시폐쇄접점(NC1)과 제1공통접점(712a)에서 상기 전동모터(170)를 통해 그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2공통접점(712b)과 제2상시폐쇄접점(NC2)을 통해 상기 제1릴레이소자(704)로 인가되어 그 제1릴레이소자(704)의 제2공통접점(702b)과 제2상시개방접점(NO2)을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70)는 정회전하게 된다.The power applied to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is supplied through the electric motor 170 at the first normally closed contact NC1 and the first common contact 712a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The second common contact point 702b of the relay element 710 is applied to the first relay element 704 through the second normally closed contact point NC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elay element 704. ) And the second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2) to the ground, and accordingly the electric motor 170 is rotated forward.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170)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워엄(171)과 워엄기어(173)가 정회동하게 되고, 그 워엄기어(173)에 축결합된 워엄기어샤프트(174)도 정회전하면서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을 정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그 체인권취드럼(142)의 주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41a)의 안내에 의해 상기 체인부(53c)가 권취되고, 그러한 체인부(53c)의 권취작용의 수행시에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의 돌출부(143)에 형성된 기어치열에 치합된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클러치페달(51)을 당기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은 상기 모터역회전 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를 통과하여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의 스위치부재(169)를 접속시키는 위치까지 계속되게 된다.Accordingly, the worm 171 and the worm gear 173 are rotated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and the worm gear shaft 174 axially coupled to the worm gear 173 is also rotated forward while winding the chain. The drum 142 is rotated forward. Therefore, the chain portion 53c is wound around the chain winding drum 142 by the guide of the guide member 141a, and the chain winding drum `` when performing the winding action of the chain portion 53c ''.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engaged with the gear teeth formed on the protrusion 143 of the 142 is moved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clutch pedal 51,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is Passing through the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ment / stop switch 146 continues until the position for connecting the switch member 169 of the motor forward rotation stop switch 158.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스위치부재(156)를 접속시키는 위치까지 수평이동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페달(51)은 제7도에서 설명한 'B'의 위치로 후퇴된 상태로 되고,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의 스위치부재(169)를 접속시키는 위치까지 수평이동하게 되면 상기 모터역회전 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공통접점(156)은 상시개방접점(NO)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의 공통접점(168)도 상기개방단자(NO)측으로 절환접속되지만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상시개방접점(NO)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전원은 차단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페달(51)은 당겨진상태(즉, 제8(c)도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단계 910).When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is moved horizontally to a position for connecting the switch member 156 of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ment / stop switch 146, the clutch pedal 51 is the 'B' described in FIG. Retracted to the position of ', and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is moved horizontally to the position to connect the switch member 169 of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ment / The common contact 156 of the stop switch 146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open contact NO, and the common contact 168 of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is also switched to the open terminal NO, but the motor Since the normally open contact point NO of the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is open, power to the electric motor 170 is cut off, and thus the clutch pedal 51 is pulled (ie , The state shown in Fig. 8 (c) is maintained. 910).

그리고나서, 상기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9)의 발진주기가 경과되면,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상시폐쇄접점(NC)과 공통접점(25a)을 매개하여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가속감지부(500)의 저항(515, 516)을 통해 상기 제3쉬미트트리거소자(517)에 인가되어 파형정형되고 나서 저항(517)과 캐패시터(519)를 통해 제4쉬미트트리거소자(520)에서 재차 파형정형되고, 그 파형정형된 신호가 저항(522)과 캐패시터(523)를 통해 상기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24)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24)에서는 저항(525)과 캐패시터(526)에 의해 설정된 시정수의 발진신호가 발진되어 그 출력단(Q')에서 반전출력되고, 그 발진신호가 저항(530)을 매개하여 상기 제2스위칭트랜지스터(532)의 베이스에 인가됨에 따라 그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532)가 도통되어 상기 모드설정스위치(10a)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부(300)의 전원이 그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532)의 컬렉터측에서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와 제4릴레이소자(707)에 인가된다.Then, when the oscillation cycle of the first single-stable multivibrator 509 elapses,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normally closed contact NC and the common contact 25a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is the sense of acceleration. The waveform is applied to the third schmitt trigger element 517 through the resistors 515 and 516 of the branch 500, and then waveform-shaped, and then the fourth schmitt trigger element 520 through the resistor 517 and the capacitor 519. The waveform is again waveform-modulated, and the waveform-modified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524 through a resistor 522 and a capacitor 523. Accordingly, in the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524, an oscillation signal having a time constant set by the resistor 525 and the capacitor 526 is oscillated and inverted and output at its output terminal Q ', and the oscillation signal is converted into a resistor ( As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through 530,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00 applied through the mode setting switch 10a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The second relay device 704 and the fourth relay device 707 are applied to the collector side of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따라서,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릴레이코일(705)에 의해 그 제1 및 제2공통접점(707a, 706b)이 대응하는 상시 개방접점(NO1, NO2)측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4릴레이소자(707)의 공통접점이 상시개방단자(NO)측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정회전정지스위치(158)의 공통접점(169)을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전원부(300)의 전원이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제1공통접점(706a)과 제1상시개방접점(NO1)과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1 상시폐쇄접점(NC1)과 그 공통접점(712a)을 통해 상기 전동모터(170)에 인가되고, 그 전동모터(170)에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제4릴레이소자(710)의 제2상시폐쇄접점(NC2)와 공통접점(712b)을 통해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제2공통접점(706b)과 제2상시개방접점(NO2)을 통해 흐르게 되어 상기 전동모터(170)는 역회전하게 된다(단계 914). 따라서, 그 전동모터(17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워엄(171) 및 워엄기어(173)가 역회전하게 되고, 그 워엄기어(173)의 역회전력이 상기 워엄기어샤프트(174)를 통해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에 전달되고, 그 체인권취드럼(142)의 역회전에 의해 그 돌출부(143)의 기어치열에 치합된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클러치페달(51)의 해제방향으로 상기 모터역회전 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스위치부재(156)가 접속되는 위치까지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페달(51)은 어느정도 당김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제8(b)도참조)된다. 즉,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클러치페달(51)은 제7도에 도시된 위치'C'로부터 'D'의 위치까지 이동되게 된다(단계 916).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ommon contacts 707a and 706b are connected to corresponding normally open contacts NO1 and NO2 by the relay coil 705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and the fourth relay is connected. The common contact of the element 707 is connected to the normally open terminal NO side. Therefore,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00 applied through the common contact 169 of the motor forward stop switch 158 is first open normally with the first common contact 706a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The contact point NO1 is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170 through the first normally closed contact NC1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and the common contact 712a, and is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170.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on contact point 706b and the second normally open contact point of the second relay element 704 through the common contact point 712b with the second normally closed contact point NC2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10. NO2) and the electric motor 170 is rotated in reverse (step 914). Accordingly, the worm 171 and the worm gear 173 are reversely rotate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and the reverse rotational power of the worm gear 173 is transferred through the worm gear shaft 174.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transmitted to the chain winding drum 142 and engaged with the gear teeth of the protrusion 143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hain winding drum 142 is released in the clutch pedal 51. As a result, the motor reverse rotation speed adjusting / stopping switch 146 quickly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switch member 156 is connected, and accordingly, the clutch pedal 51 is kept in a state where the pulling is somewhat released. See also (b). That is, the clutch pedal 51 is moved from the position 'C' shown in FIG. 7 to the position of the 'D' by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step 916).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스위치부재(156)를 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역회전속도조정/정지스위치(146)의 공통접점(156)이 상시개방접점(NO)측으로 스위칭접속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전원경로가 차단되어 상기 전동모터(170)의 역회전이 정지되게 된다(단계 918).When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contacts the switch member 156 of the motor reverse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the common contact point of the motor reverse speed adjusting / stop switch 146 ( 156 is switched to the normally open contact (NO) side, and thus the power path to the electric motor 170 is blocked so that the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is stopped (step 918).

이어, 시스템은 신호대기상태에 있다가(단계 920), 운전자가 제동페달을 조작하거나 상기 변속레버(10)에 설치된 핸드스위치(10b)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전동모터(170)에 정회전의 전원이 인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170)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클러치페달(51)이 제7도의 'C'의 지점까지 재차 이동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system is in the signal standby state (step 920), and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or the hand switch 10b installed in the shift lever 10, the power of the forward rotation to the electric motor 170 is rotated. The clutch pedal 51 is moved again to the point of 'C' of FIG. 7 by forward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그 상태에서 운전자가 출발위치로의 변속 또는 후진위치로의 변속이 이루어지고 나서 제동페달이나 핸드스위치(10b)의 조작을 종료하게 되면(단계 922) 상기 클러치페달(51)은 재차 'D'지점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하는 차량은 상기 제1조정노브(152)에 의해 조정된 정도에 따라 가속페달(21)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부드럽게 움직이기 위한 토오크가 발생하게 된다(단계 924).If the driver terminates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or the hand switch 10b after the shift to the starting position or the shift to the reverse position is performed (step 922), the clutch pedal 51 is again at the 'D' poi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degree adjusted by the first adjustment knob 152, the corresponding vehicle generates a torque for smoothly moving even without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21 (step 924). .

이때, 운전자가 가속페달(21)을 조작하게 되면(단계 926), 그 가속페달에 따른 토오크가 발생되는데(단계 928),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의 공통접점(25a)이 상기 개방접점(NO)측으로 접속되고, 그에 따라 그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며, 그 경우 상기 제4릴레이소자(704)의 공통접점(706a, 706b)이 상시폐쇄접점(NC1, NC2)측으로 절환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역전압조정부(800)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802, 803)에 대해 가변저항(806)의 조정에 의해 역전압조정된 전원이 상기 제4릴레이소자(704)와 전동모터(170)에 인가되어 그 전동모터(170)가 역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클러치페달(51)이 부드럽게 'C'지점으로부터 'A'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accelerator pedal 21 (step 926), a torqu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ccelerator pedal (step 928), and the common contact 25a of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is the open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NO) side, whereby the power applied to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is cut off, in which case the common contacts 706a and 706b of the fourth relay element 704 are normally closed contacts NC1, It is switched to NC2) side. In this state, a power source having a reverse voltage adjusted by adjusting the variable resistor 806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802 and 803 of the reverse voltage adjusting unit 800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relay element 704. The electric motor 170 is reversely rotated by being applied to the motor 170. Accordingly, the clutch pedal 51 smoothly moves from the 'C' point to the 'A' point, thereby enabling the vehicle to operate.

따라서, 차량이 저속(예컨대 30Km/h)운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가속페달의 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페달(51)은 'B'지점으로부터 'C'지점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D' 지점까지 이동하여 정지되는 상태를 반복하게 되고, 운전자가 다시 가속페달(21)을 조작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예컨대 30Km)이상으로 가속되면 차속감지부(600)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1릴레이소자(701)가 자동해제 되어 제동페달이나 가속페달(21)의 작동에 관계없이 단지 핸드스위치(10b)의 조작에 의존하여 작동되게 되므로, 자동차의 고속주행시에도 고속으로 클러치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releases the accelerator pedal operation while the vehicle maintains a low speed (eg, 30 km / h) driving state, the clutch pedal 51 is moved again from the 'B' point to the 'C' point, and then 'D' When the vehicle is accelerated to a certain speed (for example, 30 km) by the driver's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21 again, the driver may operate the accelerator pedal 21 again. 1 The relay element 701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is opera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hand switch 10b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or the accelerator pedal 21, so that the clutch operation is performed at high speed even when the vehicle is driven at high speed. do.

따라서, 운행중에 다시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여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경우 일정속도 이상에서는 엔진브레이크의 효과와 더불어 브레이크작용이 이루어지다가 일정속도 이하에서는 다시 가속페달(21)과 제동페달의 조작에 연동하여 기어변속의 어느 상태로 유지되어도 엔진의 시동상태는 정지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by operating the brake pedal again while driving, the brake action is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effect of the engine brake at a certain speed or more, but at a predetermined speed or less, the gear shift is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21 and the brake pedal again. The engine starting state is not stopped even in any state of.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가 단지 체인권드럼(142)의 돌출부(143)에 형성된 기어치열에 치합된 상태에서만 작동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제9도에 도시된 수평이동래크부재(142)는 그 일단에 연결부재(53')가 직접 결합되어 상기 체인권취드럼(142)의 회전에 의해 직접 클러치페달(51)을 당기거나 해제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고, 그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한 클러치 작동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is just a protrusion 143 of the chain winding drum 142 Although it is configured to operate only in a state of being engaged to the gear teeth formed in the),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2 shown in FIG. 9 has a connecting member 53 'directly coupled to one end thereof so that the chain winding drum The clutch pedal 51 can be directly pulled or released by the rotation of 142, and the above-described clutch operation control is also made by such a configu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변속차량의 자동클러치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일정한 속도이하의 차속에서는 클러치페달을 적절하게 자동제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정지/운행이 반복되는 상황에서도 운전자는 클러치페달을 반복조작해야하는 일이 배제되므로, 운전자의 클러치페달에 관한 부담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vehicle speed below a certain speed, the clutch pedal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s appropriate, whereby stopping / driving of the vehicle is repeated. In the situation, the driver is not required to repeatedly operate the clutch pedal, so that the burden on the clutch pedal of the driver can be eliminated.

Claims (16)

클러치페달(51)의 조작하에서 수동식 변속레버(10)에 의해 설정되는 변속기어에 의존하여 차속이 결정되는 수동식 변속차량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10)에 설치되어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스위치수단(10a)과 상기 자동제어모드의 설정하에서 차속의 변속을 위해 조작되면서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자동제어전원을 단속하는 핸드스위치수단(10b), 상기 차량의 가속페달(21)에 대한 조작을 스위치신호로서 검출하는 가속페달 감지스위치수단(25), 상기 자동제어모드하에서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수단(25)에 의해 감지되는 가속상태신호와 상기 핸드스위치수단(10b)의 조작하에 실행되는 변속상태 및 제동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자동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유니트(30), 상기 제어유니트(30)의 제어하에 상기 클러치페달에 대한 위치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클러치제어유니트(40), 상기 클러치제어유니트(40)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자동제어토오크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위치를 자동으로 작동제어하는 클러치작동유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In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speed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gear set by the manual shift lever 10 under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51, the shift lever 10 is installed on the shift lever 10 to the clutch pedal 51. A mode setting switch means 10a for setting the automatic control mode and a hand switch means 10b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control power supply to the clutch pedal 51 while being operated for shifting the vehicle speed under the setting of the automatic control mode; Acceleration pedal detection switch means 25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21 of the vehicle as a switch signal, acceleration state signal detected by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means 25 and the hand switch under the automatic control mode. Control unit 30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to execute automatic control of the clutch pedal 51 based on the shift state and the braking signal executed under the operation of the means 10b. The clutch pedal 51 on the basis of an automatic control torque for the clutch pedal 51 transmitted by the clutch control unit 40 and the clutch control unit 40 for executing position control with respect to the clutch pedal.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utch operating unit 5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수단(25)은 상기 가속페달(21)에 그 스위치부재(25a)가 페달와이어(23)를 매개하여 접속되어 상시적으로 페쇄위치를 유지하는 스위치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switch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means (25) is connected to the accelerator pedal (21) via a pedal wire (23) so that the switch element is always kept in the closed position.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30)는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자동제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와,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가속페달(21)의 조작상태에서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위치조정을 위한 가속상태를 감지하는 가속감지부(500), 상기 차량의 실제 차속을 감지하여 상기 클러치페달(51)에 의한 자동제어모드의 실행조건을 차속신호 및 제동신호를 기초로 상기 클러치페달(51)에 대한 위치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전동모터제어부(70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30 is based on the power supply unit 300 for supplying power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clutch pedal 51 and the switch signal applied from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Acceleration detection unit 500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state for position adjustment of the clutch pedal 51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21, the automatic control mode by detecting the actual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by the clutch pedal 51 Clutch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for setting a power path for executing the position control for the clutch pedal 51 based on the vehicle speed signal and the braking signal based on the execution condition of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조작에 대한 역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역전압조정부(8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reverse voltage adjusting unit (800) for adjusting a reverse voltage for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5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제어유니트(40)는 상기 제어유니트(30)의 전동모터제어부(700)의 제어하에 정/역회전하는 전동모터(170)를 구비한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b)와, 그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b)에서 발생된 클러치조정토크에 의해 상기 클러치페달(51)을 자동제어하는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clutch control unit (4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motor (170) which rotates forward and reverse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of the control unit (30). Clutch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rive adjustment portion 40b and a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lutch pedal 51 by the clutch adjustment torque generated by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drive portion 40b. Automatic control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구동부(40b)는 상기 전동모터(170)의 축단에 형성된 워엄(171)과 그 워엄(171)에 치합되는 워엄기어(173), 그 워엄기어(173)의 중앙부에 결합된 워엄기어샤프트(17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워엄(171)과 워엄기어(173) 및 워엄기어샤프트(174)는 워엄기어하우징(172)에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worm gear (173) and worm gear (173) of the clutch adjusting mechanism driving portion (40b) are engaged with the worm (171) formed at the shaft end of the electric motor (170) and the worm (17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orm gear shaft 174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worm 171, the worm gear 173 and the worm gear shaft 174 is a manual type, characterized in that housed in the worm gear housing 172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for variable speed vehicl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b)은 상기 클러치조정메카니즘(40a)의 워엄기어샤프트(174)에 축결합되어 정/역회전하여 상기 클러치페달(51)에 연결된 연결부재(53)를 권취/해제하는 원통형상의 권취부재(142)와, 그 권취부재(142)의 일단 중앙에서 돌출된 돌출부(143)의 주변에 형성된 기어치열에 치합되는 기어치열이 하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부재(142)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수평이동래크부재(144), 그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170)의 역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제1스위치소자(145)와,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170)의 역회전의 속도조정 및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제2스위치소자(146) 및 모터정회전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제3스위치소자(15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coupling member (53) of claim 5, wherein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b) is axially coupled to the worm gear shaft (174) of the clutch adjustment mechanism (40a) to be forward / reversely connected to the clutch pedal (51). Cylindrical winding member 142 for winding up / releasing the gears, and gear teeth engaged with gear teeth formed around the protrusion 143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winding member 14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Horizontal shifting rack member 144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142) to a linear movement, the switching signal for stopp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The first switch device 145 for generating a second and the second switch device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to generate the speed adjustment and stop signal of the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146 and a third generating motor forward stop signal Location device 158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소자(146)는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의 수평이동경로상에서 상기 제3스위칭소자(158)와 위치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clutch of the manual shifting vehic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econd switch element 146 is disposed to be displaced from the third switching element 158 on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horizontal movement rack member 144. Automatic control system.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소자(146)는 스위치브라켓(147)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브라켓(147)에는 최소한 2의 장공(148, 150)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브라켓(147)의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141)의 외부에 돌출되는 제1조정노브(152)에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second switch element 146 is fixed to the switch bracket 147, the switch bracket 147 is formed with at least two long holes (148, 150), One end of the switch bracket (147)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knob (152) protruding outside the housing (141) by bolts.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소자(158)는 제2스위치브라켓(159)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브라켓(159)에는 최소한 2의 장공(160, 162)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브라켓(160, 162)의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141)의 외부에 돌출되는 제2조정노브(164)에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third switch element 158 is fixed to the second switch bracket 159, the switch bracket 159 is formed with at least two long holes (160, 162) And one end of the switch bracket (160, 162) is coupled to the second adjustment knob (164) protruding outside the housing (141) by bolt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감지부(500)는 상기 자동제어모드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역회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09)와, 상기 소정의 펄스신호에 의해 스위칭구동되어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역회전 제어신호를 발행하는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513)와, 상기 가속페달(212)의 비조작시 상기 가속페달감지스위치(25)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역회전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24)와, 그 역회전펄스신호를 기초하여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역회전의 전원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53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multi-stage multivibrator 509 of claim 3, wherein the acceleration sensing unit 500 generates a reverse rotation control signal for the electric motor 170 by the power applied 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513 which is switched by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and issues a reverse rotati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 motor 170, and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switch 25 when the accelerator pedal 212 is not operated. Controlling the power path of the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motor 170 based on the second single-stable multivibrator 524 generating the reverse rotation pulse signal by the power applied through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532) f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감지부(500)는 상기 차량의 실제 차속에 대해 캐패시터(603)와 저항에 의한 시정수를 갖는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와, 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의 펄스신호에 대해 역전위를 갖는 신호를 형성하는 펄스변환수단(613, 614), 그 펄스변환수단(613, 614)에 의해 형성된 차속신호에 의해 스위칭작용하여 상기 전동모터(170)의 정지해제신호를 생성하는 제1 및 2 스위칭 트랜지스터(619, 6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4.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500 generates a pulse signal having a time constant by the capacitor 603 and a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actual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The electric motor may be switched by pulse switching means 613, 614 for forming a signal having a reverse potential with respect to the pulse signal of the multivibrator 602, and a vehicle speed signal formed by the pulse conversion means 613, 614. And a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619, 622) for generating a stop release signal of (17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의 시정수를 결정하는 저항은 제1- 제7의 고정저항(604-609)과 최소한 1의 가변저항(610)의 병렬접속에 의해 구성되고, 그 제1 - 제7의 고정사항(604-609)과 가변저항(610)에 대해서는 차종마다의 속도펄스신호에 대한 조정을 위해 외보적인 조정형태의 디프스위치(611)를 통해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02)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resistor for determining the time constant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602 is configured by the parallel connection of the first to seventh fixed resistors 604-609 and the at least one variable resistor 610. For the first to seventh fixed items 604 to 609 and the variable resistor 610, the monostable via the dip switch 611 in an external adjustment type for adjusting the speed pulse signal for each vehicle type.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a multivibrator (60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제어부(700)는 상기 차속감지부(600)의 전동모터 정지해제신호에 의해 활성화제어되어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전원의 경로를 스위칭하는 제1릴레이소자(701)와, 상기 가속감지부(500)의 가속페달의 조작감지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전동모터(170)에 대한 전원경로를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2릴레이소자(704), 상기 제2릴레이소자(704)의 전원경로 스위칭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동모터(170)에 인가되는 전원경로를 스위칭형성해서 상기 전동모터(170)의 정/역회전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3릴레이소자(707) 및, 상기 제3릴레이소자(707)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4릴레이소자(71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The first relay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electric motor control unit 700 is activated and controlled by an electric motor stop release signal of the vehicle speed detecting unit 600 to switch a path of power to the electric motor 170. 701 and a second relay element 704 for switching control of the power path for the electric motor 170, which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detection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of the acceleration detection unit 500, and the second relay. A third relay element 707 for switching the power path applied to the electric motor 170 to perform forward /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in response to the power path switching control of the device 704; And a fourth relay element (710)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third relay element (70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압조정부(800)는 상기 전동모터(170)의 역회전시에 적응되는 전원전위를 설정하는 외부적인 조정형태의 가변저항(806)과 그 가변저항(806)에 의해 설정되는 전위를 상기 전동모터(170)의 역회전 전위로 출력하는 다링톤접속된 제1 및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802, 803)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5. The variable voltage regulator 800 of claim 4, wherein the reverse voltage adjusting unit 800 is provided with an externally adjustable variable resistor 806 and a variable resistor 806 for setting a power supply potential adapted to reverse rotation of the electric motor 170. And a Darlington connected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802, 803) for outputting the electric potential set by the electric motor (170) to the reverse rotation potential of the electric motor (17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래크부재(144)에는 연결부재(55')를 매개하여 상기 클러치페달(51)이 직접 접속되어 상기 제어유니트(30)의 제어하에 상기 클러치페달(51)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제어시스템.8. The clutch pedal 51 of claim 7, wherein the clutch pedal 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able rack member 144 through a connecting member 55 'to control the clutch pedal 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A clutch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adjusted.
KR1019960031693A 1996-07-27 1996-07-27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KR1002094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693A KR100209496B1 (en) 1996-07-27 1996-07-27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693A KR100209496B1 (en) 1996-07-27 1996-07-27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999A KR980009999A (en) 1998-04-30
KR100209496B1 true KR100209496B1 (en) 1999-07-15

Family

ID=1946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693A KR100209496B1 (en) 1996-07-27 1996-07-27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49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278B1 (en) * 2000-05-04 2003-05-16 양영순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for cars with manual transmission
WO2013069882A1 (en) * 2011-11-11 2013-05-16 Cho Il Jin Semi-auto clutch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99182B1 (en) * 2013-02-19 2014-05-27 엄우중 Electric manual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0241B2 (en) * 2020-01-21 2023-11-15 株式会社デンソー Brake device for vehic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278B1 (en) * 2000-05-04 2003-05-16 양영순 Automatic clutch control system for cars with manual transmission
WO2013069882A1 (en) * 2011-11-11 2013-05-16 Cho Il Jin Semi-auto clutch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99182B1 (en) * 2013-02-19 2014-05-27 엄우중 Electric manual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999A (en)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2284A (en) Electronic cruise control
US598642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pop-up door of a vehicle
JPH0524339B2 (en)
US5417624A (en) Actuating means for a motor vehicle locking brake
US4656407A (en) Electric motor servo control system and method
ATE354823T1 (en) CONTROL SYSTEM FOR POSITIONABLE PEDAL UNIT
JPH01315629A (en) Load regulator
KR100209496B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manual transmission vehicle
US4766985A (en) Power clutch system
US20100204874A1 (en) Universal Motorcycle Cruise Control System
JP2005536672A (en)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a door mechanism
US4771847A (en) Speed control actuator
CN111469662B (en) Automobile cruise control system based on servo motor
KR200218636Y1 (en) Device for driving at a fixed speed
JPH03589A (en) Remote-control device for outboard motor
KR900009003B1 (en) Vehicles rear spolier usable for a back mirror
CN215097532U (en) Intelligent automobile line control brake system
KR950009141Y1 (en) Traction control system in vehicle
JP3657513B2 (en) Automatic sliding door drive control device
WO2006073289A2 (en) The manual mechanism for acceleration and its fixing of vehicle
JPH06108882A (en) Throttle actuator
KR950007227Y1 (en) Automatic stand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KR20020028739A (en) Device for driving at a fixed speed
JP2579819B2 (en) Mirror stay drive control device
KR19980052391U (en) Accelerator Cable Gap Reg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