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011B1 -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with joystick - Google Patents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with joy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011B1
KR100208011B1 KR1019970010418A KR19970010418A KR100208011B1 KR 100208011 B1 KR100208011 B1 KR 100208011B1 KR 1019970010418 A KR1019970010418 A KR 1019970010418A KR 19970010418 A KR19970010418 A KR 19970010418A KR 100208011 B1 KR100208011 B1 KR 10020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ata
data
joystick
remote controller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74543A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011B1/en
Publication of KR1998007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0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것의 데이터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에서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장착된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대상기기의 각종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능키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기기에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본체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임의의 변위량과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량과 조작방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기능키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와 조작부의 조작량 및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검출하며, 상기 복수개의 기능키 중 사용자의 기능키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데이터송출규격에 따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송출수단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asily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target device using the joystick mounted on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 sending means for sending control data to the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are provided. A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n operation unit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operate in an arbitrary displacement amount and direction;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an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stor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amount an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detecting the stored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microcomputer which detects the stored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a user's function key operation among the function keys, converts the detected binarization control data into a control data format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standard, and outputs the control data format to the transmission means;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presen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펄스의 라이징타임이 가변되고,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방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펄스의 라이징타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를 복수개의 시간간격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한 제어데이터를 설정하는 제어데이터 설정단계;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서로 상이한 라이징타임을 갖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상기 펄스신호의 라이징타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검출하는 제어데이터 검출단계; 및 상기 제어데이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제어데이터를 데이터전송규정에 따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한 후 최종출력하는 제어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을 제시하였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transfer method of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n which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is distinguished. A control data setting step of dividing the minimum to maximum values of the rising time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nd setting different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vided ranges; A control data detection step of receiving pulse signals having different rising times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and detecting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rising time of the input pulse signal; And a control data output step of converting the control data detected in the control data detection step into a control data format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rule and finally outputting the control data.

Description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것의 데이터전송방법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its data transmission method

본 발명은 조이스틱(Joystick)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및 그것의 데이터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포인트설정용 조이스틱을 일체화하여 장착하고,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송출되는 제어데이터를 설정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을 향상시킨 조이스틱이 장착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것의 데이터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ler integrated with a joystick for setting points, and to which control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equipped with a joystick that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y setting a,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는 텔레비젼,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오디오 컴퍼넌트 등과 같은 가전기기를 근거리에서 원격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각각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기능키가 배열되어 있고, 이 기능키를 조작함에 따라 해당기능키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remote controller is a devic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home appliances such as a television, a video cassette recorder, an audio component, etc.,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for selecting respective functions are arranged. Accordingly,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key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최근, 가전제품의 기능이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가전제품의 복잡한 해당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의 수도 증가되었다. 따라서, 해당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에 장착된 복수개의 기능키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functions of home appliances have become more complicated, the number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mplicated functions of home appliances has increased in the remote controller. Therefore, in order to select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check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mounted on the remote controller occurs one by one.

한편, 최근 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복합적인 기능의 텔레비젼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 복합기능의 텔레비젼 중 가장 진보된 것으로 고선명 텔레비젼(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을 제시할 수 있다. ITU-RS(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S)에 의해 정의된 고선명 텔레비젼은 '현행 텔레비젼보다 2배 이상의 수직, 수평해상도를 가지며, 크로스 컬러(Cross Color) 등과 같은 현행 텔레비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재 텔레비젼보다 넓은 16:9의 화면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지며, 컴팩트 디스크(CD)의 음질수준의 디지털 오디오성능을 갖는다'라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행 텔레비젼보다 선명한 영상과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는 진보된 방식의 텔레비젼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텔레비젼의 진보에 따라 사용자와 텔레비젼이 상호 대화하면서 해당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화기능이 고선명 텔레비젼에 도입되었는데, 대화기능이 있는 텔레비젼의 원격제어방식은 통상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지만, 이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별도로 마우스를 관리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널리 보급되지는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 TV having a complex function has emerged, and the most advanced TV of the compound function can present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High-definition television,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S (ITU-RS), has "vertical and horizontal resolutions more than twice that of current televisions, improves the problems of current televisions such as cross color, and It has a wide 16: 9 aspect ratio and has the digital audio performance of the sound quality of a compact disc (CD). Thus, it can be said to be an advanced television that provides clearer images and clearer sound quality than current televisions. As a result of the advances in television, a conversation function is introduced in high-definition television that enables users and television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s. Inconvenient to manage the mouse separately was not widely spread.

결국,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대화형 텔레비젼에도 적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기기를 편리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는 통합형 리모트 컨트롤러가 요구된다.As a result,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that can be applied to an interactive television using one remote controller and that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correspond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에 부응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화형 텔레비젼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포인트설정용 조이스틱이 일체화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eets the above-described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n which a joystick for point setting is integrated so as to easily cope with an interactive television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장착되어 있는 조이스틱을 조작함에 따라 해당조작방향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어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transmitting variou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operation direction by operating a joystick mounted on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배면도,3A and 3B are plan and back view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개략적 내부블럭도,4 i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른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파형도,5A and 5B are input waveform diagrams of a microcomputer according to a manipulation amount of a joystick,

도 5c 및 도 5d는 도 5a 및 도 5b에 대응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의사펄스파형도,5C and 5D are pseudo pulse waveform diagrams output from a microcomputer corresponding to FIGS. 5A and 5B;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각종 기능키의 조작상태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control data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various function keys in the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이스틱의 조작방향 중 상측방향과 좌측방향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data according to an upper direction and a left direction of an operation direction of a joystick in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이스틱의 조작방향 중 하측방향과 우측방향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control data according to a lower direction and a right direction among operation directions of a joystick in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d는 도 6에 도시된 제어데이터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송출될 때의 제어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면,9A to 9D are diagrams showing a control data format when control data shown in FIG. 6 is transmitted through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도 10a 내지 도 10f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어데이터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송출될 때의 제어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면,10A to 10F are diagrams showing a control data format when control data shown in FIGS. 7 and 8 is transmitted through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joy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배면도,12A and 12B are a plan view and a rear view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hown in FIG. 11;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조이스틱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13 is a view showing control data according to an operation direction and an operation amount of a joystick in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및 도 14f는 도 13에 도시된 제어데이터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송출되는 제어데이터포맷을 나타내는 도면,14A and 14F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trol data format transmitted through a light emitting diode by the control data shown in FIG. 13;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joy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배면도,16A and 16B are a plan view and a rear view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hown in FIG. 15;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개략적 내부블럭도이다.17 i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2: 기능키1: Remote controller main unit 2: Function keys

3: 조이스틱4: 인쇄회로기판3: joystick 4: printed circuit board

5: 돌기6: 조작손잡이5: turning 6: operation handle

7: 접촉부8a, 8c: 박막도체7: contacts 8a, 8c: thin film conductor

9, 9a, 9b, 9c: 전도성박막10, 10a, 10b, 10c: 저항9, 9a, 9b, 9c: conductive thin film 10, 10a, 10b, 10c: resistance

11, 11a, 11b, 11c, 11d: 접속단자12: 전도성박막11, 11a, 11b, 11c, 11d: Connection terminal 12: conductive thin film

13: 메인전원공급단자14: 마이크로 컴퓨터13: main power supply terminal 14: microcomputer

15: 수정발진기16: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5: crystal oscillator 16: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7: 전도성박막17: conductive thin film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개의 기능키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기기에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본체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임의의 변위량과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량과 조작방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기능키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와 조작부의 조작량 및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검출하며, 상기 복수개의 기능키 중 사용자의 기능키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데이터송출규격에 따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송출수단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s a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 sending means for sending control data to a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An operation unit attached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n any displacement amount and direction;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an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stor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amount an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detecting the stored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microcomputer which detects the stored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a user's function key operation among the function keys, converts the detected binarization control data into a control data format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standard, and outputs the control data format to the transmission means; It is located on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대략 중앙부위에 관통홈을 갖는 기판; 상기 관통홈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휘어짐이 가능하며, 초기상태로의 복원력을 갖는 돌기; 상기 돌기에 일체화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단으로 연장된 조작손잡이; 및 상기 돌기와 상기 조작손잡이를 동시에 지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함에 따라 그 하단부가 상기 기판상에 접촉되도록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ortion, the substrate having a through groove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 projec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groove so as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through groove, and capable of bending,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to an initial state; An operation handle integrated with the protrusion and extended to an upper en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protrusion; And a contact portion which simultaneously supports the projection and the operation knob and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contacts the substrate as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knob.

또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접촉부의 하단에 복수개가 부착된 박막도체; 상기 박막도체와 접촉가능한 범위내에서 상기 기판상에 인쇄되고, 원형으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절개되어 분할되며, 상기 각각의 분할된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분할되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연결된 전도성박막군; 상기 박막도체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기판의 최내주에 원형으로 인쇄되고, 메인전원이 인가되는 전도성박막; 상기 전도성박막군에 분할된 각층에 접속된 저항체; 및 상기 저항체에 연계되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인가되는 펄스의 라이징타임을 제어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a plurality of thin film conducto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A group of conductive thin films printed on the substrate within a range in contact with the thin film conductors, cut into at least two regions from a circle, divided into at least two layers, and each divided region divided into at least two layers and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 A conductive thin film printed circularly on the innermost circumference of the substrate to be in contact with the thin film conductor and to which a main power source is applied; A resistor connected to each layer divided into the conductive thin film group; And a capacitor controlling the rising time of a pulse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in connection with the resistor.

또한, 상기 박막도체는 사방으로 4개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도성박막군은 원형으로부터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n film conductor is preferably attached to four in all directions, the conductive thin film group is preferably divided into four areas from the circle.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분할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가 설정되고, 상기 저항체와 상기 커패시터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펄스의 라이징타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를 복수개의 시간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 저항체와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인가된 펄스의 라이징타임의 범위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라이징타임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제어데이터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송출수단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computer is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time interval, and divides the resistor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of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changed by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nd estimating a range of rising time of a pulse applied through the capacitor, detecting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range of rising time, converting the detected control data into a control data format, and It is desirable to transmit.

또한, 상기 제어데이터포맷은, 제어데이터의 송출개시시점을 나타내는 리더와, 제어되는 대상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비트수의 고유데이터와, 상기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나타내는 소정비트수의 제어데이터가 연속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control data format further includes a reader indicating a start point of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unique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for identifying a controlled target device,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amount for moving a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ontrol data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indicated to be continuous.

이와 별도로, 상기 제어데이터포맷은, 제어데이터의 송출개시시점을 나타내는 리더와, 제어되는 대상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비트수의 고유데이터와, 상기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과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비트수의 제어데이터가 연속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Separately, the control data format includes a reader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unique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for identifying a controlled target device, and a moving direction and control for moving a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ontrol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indicating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continuous.

또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1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상기 포인트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 중 어느 하나의 이동방향에 대한 증감을 나타내는 1비트의 제1 방향데이터와, 조작량을 나타내는 6비트의 조작량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 및 입력이 무시되는 1비트의 데이터와, 상기 포인트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 중 다른 하나의 이동방향에 대한 증감을 나타내는 1비트의 제2 방향데이터와, 조작량을 나타내는 6비트의 조작량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가 연속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Further, the control data is a one-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the increase or decreas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point. 8-bit first control data composed of 1-bit first direction data indicating a and 6-bit manipulated variable data indicating an amount of manipulation; And 8-bit data comprising 1-bit data whose input is ignored, 1-bit second direction data indicating increase or decrease in the other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point, and 6-bit manipulated value data indicating the amount of manipula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second control data of the bit to be continuous.

이와 별도로,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대상기기의 제1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제1 제어정보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대상기기의 제2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제2 제어정보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가 연속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Separately, the control data includes 6-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2-bit first control information indicating first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8-bit first control data composed of data; And eight bits of six-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two bits of second control information data representing seco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2 Control data can be set to be continuous.

이때, 상기 제어데이터는, 상기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 중 2비트의 데이터와 2비트의 제1 및 제2 제어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기기의 제어정보를 판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 data,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by using the two-bit data and the two-bit first and second control information data of the six-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펄스의 라이징타임이 가변되고,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방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펄스의 라이징타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를 복수개의 시간간격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한 제어데이터를 설정하는 제어데이터 설정단계;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서로 상이한 라이징타임을 갖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상기 펄스신호의 라이징타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검출하는 제어데이터 검출단계; 및 상기 제어데이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제어데이터를 데이터전송규정에 따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한 후 최종출력하는 제어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에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transfer method of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n which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can be distinguished: a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A control data setting step of dividing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ising time of the pulses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nd setting different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vided ranges; A control data detection step of receiving pulse signals having different rising times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and detecting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rising time of the input pulse signal; And a control data output step of converting the control data detected in the control data detection step into a control data format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rule and finally outputting the control data.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것의 데이터전송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의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and Figure 3b in Figure 2 The top and back view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shown.

먼저, 도 1을 보면,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1)는 복수개의 기능키(2)가 배열·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1)를 취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조이스틱(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이스틱(3)의 하측에는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을 검출하는 인쇄회로기판(4)이 장착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 ha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2 arranged and mounted, and the joystick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 in a stat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main body 1 is mounted. (3) is mounted. Then, below the joystick 3, a printed circuit board 4 for detect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3 is mounted.

또한, 전술한 조이스틱(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돌기(5)와, 사용자가 조이스틱(3)을 용이하게 취부·조작할 수 있도록 조이스틱(3)의 상단에 형성된 조작손잡이(6)와, 조이스틱(3)의 조작량에 따라 인쇄회로기판(4)의 접촉부위를 가변할 수 있도록 돌기(5) 및 조작손잡이(6)의 사이에 형성된 대략 반호형상의 접촉부(7)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접촉부(7)의 하단 즉, 돌기(5)와 접촉부(7)가 맞닿는 부위로부터 반호형상의 끝까지에는 박막도체(8a, 8c)가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상, 하, 좌, 우)인 네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joystick 3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2,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projection (5)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upper end of the joystick (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ttach and operate the joystick (3) A substantially half arc-shaped contact portion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 5 and the operation knob 6 so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knob 6 formed on the control knob and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It includes (7). The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7, that is, from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5 and the contact portion 7 abut to the end of the half arc shape,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move the joystick 3 in the operation directions (up, down, left). It is attached long in four directions.

여기서, 조이스틱(3)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위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조이스틱(3)을 조작한 후 초기상태로 자동 복원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조이스틱(3)을 조작한 경우 접촉부(7)의 하측에 부착된 박막도체(8a, 8c)와 인쇄회로기판(4)의 접촉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탄발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하였다.Here, the joystick (3) allows the user to easily perform the displacement operation, to be automatically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after operating the joystick (3),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joystick (3) the contact portion ( 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ct efficiency of the thin film conductors (8a, 8c)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4)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7) was composed of a rubber material with elasticity.

한편, 인쇄회로기판(4)의 상단 즉, 조이스틱(3)의 접촉부(7)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고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복수층의 전도성박막(9, 9a, 9b. 9c)이 인쇄회로기판(4)상에 인쇄되어 있고, 인쇄된 전도성박막(9, 9a, 9b, 9c)의 각 영역별 대략 중앙부위에는 각 층이 저항(10, 10a, 10b, 10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upper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that is, th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7 of the joystick 3, as shown in FIG. 3A, a plurality of layers of conductive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divided into four regions. The thin films 9, 9a, 9b. 9c are pri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 and each lay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region of the printed conductive thin films 9, 9a, 9b, 9c. Connected by 10a, 10b, 10c).

또한, 인쇄회로기판(4)의 배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박막(9, 9a, 9b, 9c)의 각 영역별 최외곽에 위치한 전도성박막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되지 않았음)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11, 11a, 11b, 1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도성박막(9, 9a, 9b, 9c)의 최내주연에는 분할되지 않은 전도성박막(12)이 원형으로 인쇄되어 있으며, 이 전도성박막(12)은 메인전원이 공급되도록 메인전원공급단자(13)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includes a microcomputer (not shown) located at the outermost conductive thin film of each of the conductive thin films 9, 9a, 9b, and 9c. Connection terminals 11, 11a, 11b and 11c for connecting are formed. In addition, at the innermost periphery of the conductive thin films 9, 9a, 9b, and 9c, an undivided conductive thin film 12 is print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conductive thin film 12 has a main power supply terminal 13 to supply the main power. )

여기서, 박막도체(8a, 8c)는 대략 50오옴(Ω) 이하의 낮은 저항값을 가지며, 전도성박막(9, 9a, 9b, 9c)에 연결된 저항(10, 10a, 10b, 10c)의 전체저항값은 최대 50킬로오옴(㏀) 정도의 높은 저항값을 갖는다.Here,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have low resistance values of about 50 ohms or less, and the total resistances of the resistors 10, 10a, 10b, and 10c connected to the conductive thin films 9, 9a, 9b, and 9c. The value has a high resistance value of up to 50 kilo ohms.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개략적 내부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접속단자(11, 11a, 11b, 11c)와 메인전원공급단자(13)는 각각 마이크로 컴퓨터(14)와 메인전원(Vcc)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접속단자(11, 11a, 11b, 11c)와 마이크로 컴퓨터(14) 사이에는 각각의 접속단자(11, 11a, 11b, 11c)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커패시터(C1∼C4)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4)에는 수정발진기(15)가 장착되어 32㎑의 발진주파수를 갖는 펄스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송출하고자 하는 제어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4)에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IR LED)(16)가 접속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 공급되는 제어데이터펄스에 의해 소정주기로 점멸동작을 반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기기에 적외선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기타, 전술한 구성 이외에는 통상적인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구성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4,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terminals 11, 11a, 11b, 11c and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1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4 and the main power supply Vcc, respectively. A plurality of capacitors C1 to C4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s 11, 11a, 11b and 11c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11, 11a, 11b, 11c) and the microcomputer 14.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4 is equipped with a crystal oscillator 15 to generate a pulse signal having an oscillation frequency of 32 kHz, and finally generates control data to be transmitted by using the pulse signal. In addition, an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IR LED) 16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4, and the infrared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target device to repeatedly control the flash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eriod by a control data pulse su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14. Will print In addition, it is the same as the internal structure of a normal remote controller except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사용자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장착된 조이스틱(3)을 소정변위만큼 조작하면, 조이스틱(3)의 박막도체(8a, 8c)가 인쇄회로기판(4)에 인쇄된 전도성박막(12와 9, 9a, 9b, 9c 중의 어느 하나)의 최내주로부터 조이스틱(3)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소정범위까지 접촉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joystick 3 mounted on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the thin film conductors 8a, 8c of the joystick 3 are pri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 the conductive thin films 12, 9, 9a. , 9b, or 9c) from the innermost circumference to a predetermined rang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이에 따라, 메인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구동전압(Vcc)은 메인전원접속단자(13)를 통하여 전도성박막(12)에 공급되고, 이후 박막도체(8a, 8c)와 인쇄회로기판(4)의 전도성박막(9, 9a, 9b, 9c 중 어느 하나)이 접촉된 지점까지는 저항값이 낮은 박막도체(8a, 8c)를 통하여 구동전류가 흐르며, 전술한 접촉지점 이후에는 저항값이 높은 전도성박막(9, 9a, 9b, 9c 중 어느 하나)을 통하여 구동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이스틱(3)을 많이 조작한 경우에는 조이스틱(3) 전체의 총저항값은 낮은 저항값을 갖게 되고, 조이스틱(3)을 적게 조작한 경우에는 높은 저항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조이스틱(3)의 조작량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4)에 흐르는 전류량이 서로 상이하게 변화하며, 이 전류는 커패시터(C1∼C4)에 공급된다. 여기서, 조이스틱(3)에 의한 저항(10, 10a, 10b, 10c)과 커패시터(C1∼C4)는 RC 시정수회로의 구성을 가지므로, 결국, 마이크로 컴퓨터(14)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펄스파형이 입력된다.Accordingly, the driving voltage Vcc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conductive thin film 12 through the main power connection terminal 13, and then the conductive thin film of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4 is supplied. The driv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having low resistance to the point where the contact point (any one of 9, 9a, 9b and 9c) contacts, and after the contact point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thin film 9 having high resistance value The driving current flows through any one of 9a, 9b, and 9c). That is,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joystick 3 a lot, the total resistance value of the joystick 3 as a whole has a low resistance value, and when the joystick 3 is operated less, the total resistance value has a high resistance value. Therefore,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icrocomputer 14 chang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and this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pacitors C1 to C4. Here, the resistors 10, 10a, 10b, and 10c and the capacitors C1 to C4 by the joystick 3 have a configuration of RC time constant circuits, so that the microcomputer 14 i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pulse waveform as shown is input.

여기서, 마이크로 컴퓨터(14)가 로직 '로우'상태와 로직 '하이'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전압경계값(문턱전압값)을 0.7배의 구동전압값(0.7Vcc)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한 조이스틱(3)의 조작량에 따라 논리상태(로직 '하이' 또는 '로우'상태)의 변환시점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예컨대, 조이스틱(3)의 조작량이 적은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4)에 입력되는 펄스파형이 전압경계값(0.7Vcc)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고, 조이스틱(3)의 조작량이 많은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4)에 입력되는 펄스파형이 전압경계값(0.7Vcc)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게 된다.Here, when the microcomputer 14 sets the voltage threshold value (threshold voltage value) for recognizing the logic 'low' state and the logic 'high' state to a driving voltage value (0.7 Vcc) of 0.7 tim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anipulation of the joystick 3 operated by the controller, the time of conversion of the logic state (logic 'high' or 'low' stat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is small, as shown in FIG. 5A, the time for which the pulse waveform input to the microcomputer 14 reaches the voltage boundary value (0.7 Vcc) is long, and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is long. In many cases, as shown in FIG. 5B, the time for the pulse waveform input to the microcomputer 14 to reach the voltage boundary value (0.7 Vcc) is shortened.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수정발진기(15)로부터 발진된 펄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펄스파형이 로직 '로우'상태로부터 로직 '하이'상태로 전환되는 시기에 대응하는 의사펄스(도 5c, 도 5d 참조)를 강제로 발생하고, 의사펄스의 듀티(Duty)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듀티값에 대응하는 2진화 제어데이터를 발생하며, 발생된 제어데이터를 소정펄스신호로 변환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는 인가된 소정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기기에 적외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The microcomputer 14 uses a pulse oscillated from the crystal oscillator 15 to generate a pseudo pulse corresponding to the timing at which the pulse waveform input from the logic 'low' state to the logic 'high' state (see FIGS. 5C and 5D). ), The duty value of the pseudo pulse is calculated, binary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duty valu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trol data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to convert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 16) to transmit. Accordingly,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transmits the infrared signal to the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by using the applied predetermined pulse signal.

여기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상태에 따른 2진화 제어데이터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의사펄스의 듀티값과 그에 따른 2진화 제어데이터는 도 7 및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Here, the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shown in Figs. 6 to 8, in particular, the duty value of the pseudo pulse and the corresponding binarization control data are well shown in Figs. have.

도 6에서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장착된 각종 기능키를 조작한 경우, 해당 기능키에 대응하는 각종 제어데이터가 할당된 상태를 나타낸다.FIG. 6 shows a state in which variou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are allocated when the various function keys mounted on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re operated.

또한, 도 7에는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이 포지티브(+)방향일 때, 예컨대, 대상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포인트를 상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일 때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 발생된 의사펄스에 대응하는 2진화 제어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7, whe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3 is in the positive (+)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poi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rget device is to be moved upward or leftward, the microcomputer 14 is moved from the microcomputer 14. The binarization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seudo pulses is shown.

또한, 도 8에는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이 네가티브(-)방향일 때, 예컨대, 대상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포인트를 하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일 때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 발생된 의사펄스에 대응하는 2진화 제어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8, whe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3 is negative (-)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poi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rget device is to be moved downward or rightward, The binarization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pseudo pulses is shown.

한편,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로부터 송출되는 제어데이터포맷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Meanwhile, the control data format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is as shown in FIGS. 9 and 10.

먼저,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펄스파형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각종 기능키를 조작한 경우, 제어데이터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를 통하여 송출되는 펄스신호를 나타낸 것이다.First, the pulse waveforms shown in FIGS. 9A to 9D show the control data and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when various function keys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re operated.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종 기능키를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진화 제어데이터의 분류에 따라 해당 2진화 제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이 펄스신호는 총 108밀리초(㎳)를 주기로 하여 계속 반복되어 출력된다. 또한, 펄스신호를 세분화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신호가 전송됨을 나타내는 9밀리초(㎳)의 리더(Leader)와, 해당제품을 제조한 제조회사의 고유코드를 나타내는 8비트씩 한쌍의 고유데이터(Custom)와, 대상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8비트의 제어데이터(Data)와, 해당 제어데이터(Data)를 반전한 8비트의 반전제어데이터(

Figure kpo00001
)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8A, as the user operates various function keys, the microcomputer 14 generates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binarization control data as shown in FIG. Occurs. This pulse signal is repeatedly output at a total of 108 milliseconds. Further, when subdividing the pulse signal, as shown in FIG. 9B, a pair of 9 milliseconds leader indicating that the pulse signal is transmitted and a pair of 8 bits each representing a unique code of the manufacturer who manufactures the product Unique data (Custom), 8-bit control data (Data) for controlling the target device, and 8-bit inversion control data (inverting the control data (Data)
Figure kpo00001
) Are output sequentially.

여기서, 9밀리초(㎳)동안 송출되는 리더는 4.5밀리초(㎳)동안 로직 '하이'상태를 나타내고, 4.5밀리초(㎳)동안 로직 '로우'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고유데이터에 있어서, 2진화 제어데이터가 '1'이면 0.56밀리초(㎳)동안 로직 '하이'상태와 1.69밀리초(㎳)동안 로직 '로우'상태가 연속적으로 발생되고, 2진화 제어데이터가 '0'이면 0.56밀리초(㎳)동안 로직 '하이'상태와 0.56밀리초(㎳)동안 로직 '로우'상태가 연속적으로 발생된다.Here, the leader sent for 9 milliseconds represents a logic 'high' state for 4.5 milliseconds and a logic 'low' state for 4.5 milliseconds. In the unique data, when the binarization control data is '1', the logic 'high' state is continuously generated for 0.56 milliseconds and the logic 'low' state for 1.69 milliseconds, and the binarization control is performed. If the data is '0', a logic 'high' state is generated for 0.56 milliseconds and a logic 'low' state for 0.56 milliseconds.

예컨대, 고유데이터(Custom)가 '10100100'이고, 해당기기의 메인전원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어데이터(Data)는 도 6에 의해 '00000001'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00100'의 고유데이터(Custom)가 연속적으로 반복 출력된 후, '00000001'의 제어데이터(Data)와 '11111110'의 반전제어데이터(

Figure kpo00002
)가 연속적으로 발생됨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unique data (Custom) is '10100100' and the main power supply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s to be controlled, the control data (Data) is '00000001' as shown in FIG. Therefore, as shown in FIG. 9D, after the unique data Custom of '10100100' is repeatedly outputted continuously, the control data Data of '00000001' and the inversion control data of '11111110' (
Figure kpo00002
It can be seen that is generated continuously.

다음으로, 도 10a 내지 도 10f에 도시된 펄스파형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이스틱(3)을 조작한 경우, 제어데이터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를 통하여 송출되는 펄스신호를 나타낸 것이다.Next, the pulse waveforms shown in Figs. 10A to 10F show the control data and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when the joystick 3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s operated.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종 기능키를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진화 제어데이터의 분류에 따라 해당 2진화 제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이 펄스신호는 108밀리초(㎳)의 전송시간(Trans)과 100밀리초(㎳)의 대기시간(Wait)를 한 주기로 하여 반복적으로 출력된다. 이때, 전술한 100밀리초(㎳)의 대기시간(Wait)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기기에서 수신한 제어데이터가 조이스틱(3)의 조작에 의한 제어데이터임을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며, 이 시간은 해당기기의 정밀도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데이터 송출능력에 따라 임의로 가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A, as the user operates various function keys, the microcomputer 14 generates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binarization control data as shown in FIG. Occurs. This pulse signal is repeatedly outputted with a period of 108 milliseconds of transmission time Trans and 100 milliseconds of waiting time Wait.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wait time of 100 milliseconds (Wait) is a time required to recognize that the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target device is control data by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3, as shown in FIG. This time is set so that it can be arbitrarily changed according to the precis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 control data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또한, 펄스신호를 세분화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신호가 전송됨을 나타내는 9밀리초(㎳)의 리더(Leader)와, 해당제품을 제조한 제조회사의 고유코드를 나타내는 8비트씩 한쌍의 고유데이터(Custom Data)와, 조이스틱(3)을 상하측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X Data)와, 조이스틱(3)을 좌우측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Y Data)가 순차적으로 발생된다.Further, when the pulse signal is subdivided, as shown in FIG. 10C, a pair of 9 milliseconds of a leader indicating that a pulse signal is transmitted and a pair of 8 bits each representing a unique code of a manufacturer who manufactures the product are provided. Custom data, 8-bit first control data (X Data)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when the joystick 3 is operate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joystick 3 The second control data (Y Data) of 8 bits that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when the oper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sequentially generated.

여기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X Data) 중 첫 번째 비트는 조이스틱(3)을 조작함에 의해 발생된 제어데이터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조이스틱(3)을 조작한 경우 항상 '1'이 발생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두 번째 비트는 포지티브방향과 네가티브방향을 나타낸다. 즉, 두 번째 비트가 '0'이면 조이스틱(3)을 상측방향으로 조작한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는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만약, 두 번째 비트가 '1'이면 조이스틱(3)은 하측방향으로 조작한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Here, as shown in FIG. 10D, when the joystick 3 is operated to indicate that the first bit of the 8-bit first control data X data is control data generated by manipulating the joystick 3. '1' is always set to occur, with the second bit represen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That is, when the second bit is '0', it indicates that the joystick 3 is operat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refore,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is moved upward. If the second bit is '1', the joystick 3 indicates the opera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refore,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is moved downward.

또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비트의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6개의 비트는 조이스틱(3)의 조작량을 나타낸다. 이 조작량은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의 이동속도와 관계된다.In addition, the remaining six bits except th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bits represent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3. This manipulated value is related to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한편,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Y Data) 중 첫 번째 비트는 조이스틱(3)을 조작함에 의해 발생된 제어데이터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조이스틱(3)을 조작한 경우 항상 '1'이 발생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두 번째 비트는 포지티브방향과 네가티브방향을 나타낸다. 즉, 두 번째 비트가 '0'이면 조이스틱(3)을 좌측방향으로 조작한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는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만약, 두 번째 비트가 '1'이면 조이스틱(3)은 우측방향으로 조작한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E, when the joystick 3 is manipulated to indicate that the first bit of the 8-bit second control data Y Data is control data generated by manipulating the joystick 3. '1' is always set to occur, with the second bit represen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That is, when the second bit is '0', it indicates that the joystick 3 is operat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refore,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If the second bit is '1', the joystick 3 indicates an operation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refore,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또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비트의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6개의 비트는 제1 제어데이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이스틱(3)의 조작량을 나타낸다. 이 조작량은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의 이동속도와 관계된다.In addition, the remaining six bits except the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bits represent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3 as in the case of the first control data. This manipulated value is related to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결국, 제1 제어데이터(X Data)는 조이스틱(3)의 이동방향이 상측방향과 하측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가를 판별함과 동시에 포인트의 이동속도를 판별하고, 제2 제어데이터(Y Data)는 조이스틱(3)의 이동방향이 좌측방향과 우측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가를 판별함과 동시에 포인트의 이동속도를 판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 제어데이터와 제2 제어데이터가 판별하는 대상은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As a result, the first control data (X Data)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joystick 3 ha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or the lower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determines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 and the second control data (Y Data). Is determined to determine which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joystick 3 ha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determines the moving speed of the point. 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control data and the second control data may be changed for convenience.

예컨대, 고유코드가 '10100100'이고, 제1 제어데이터(X Data)가 '10111110'이며, 제2 제어데이터(Y Data)가 '11110001'인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에 전송되는 제어데이터포맷은 도 10f와 같다. 여기서, 조이스틱(3)이 상, 하, 좌,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변위만으로 조작되는 것이 아니라,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하나의 변위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변위가 동시에 조작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제어데이터(X Data, Y Data)는 서로 상이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상기기는 제1 및 제2 제어데이터(X Data, Y Data)를 각각 분할하여 검출하고, 각각 분할된 제1 및 제2 제어데이터(X Data, Y Data)로부터 각각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조작방향과 조작량을 합성하면, 합성된 데이터에 따라 포인트는 임의의 방향과 속도로 이동된다. 따라서, 조이스틱(3)을 이용하여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nique code is '10100100', the first control data (X Data) is '10111110', and the second control data (Y Data) is '11110001',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from the microcomputer 14 is used. The control data format that is transmitted in the following) is shown in FIG. 10F. Here, the joystick 3 is not operated only by the displacement of any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but the displacement of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displacement of any of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ata (X Data, Y Data) may occur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target device divides and detect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ata (X Data, Y Data), respectively, and each operation direction and the manipulation amount from the divided first and second control data (X Data, Y Data), respectively. After calculating, and combining the calculated operation direction and the manipulated variable, the point is moved in an arbitrary direction and speed according to the synthesized data. Therefore, the joystick 3 can be used to easi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같은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In FIGS. 11 to 1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FIGS. 1 to 10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과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설명하면, 인쇄회로기판(4)의 상단 즉, 조이스틱(3)의 접촉부(7)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지고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전도성박막(9d, 9e, 9f, 9g)이 인쇄회로기판(4)상에 인쇄되어 있다. 여기서, 각 영역별 전도성박막(9d, 9e, 9f, 9g)은 한쌍이 서로 이격되어 인쇄되어 있으며, 인쇄된 전도성박막(9d, 9e, 9f, 9g)의 각 영역별 대략 중앙부위에는 인쇄된 한 쌍의 전도성박막(9d, 9e, 9f, 9g)을 연결하는 저항(10d, 10e, 10f, 10g)이 도포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1 and 12, a structure of a joystick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upper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that is, the contact portion 7 of the joystick 3 will be described. 12A, conductive thin films 9d, 9e, 9f, and 9g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divided into four regions are pri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 Here, a pair of conductive thin films 9d, 9e, 9f, and 9g are prin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air pri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area of the printed conductive thin films 9d, 9e, 9f, and 9g. Resistors 10d, 10e, 10f, and 10g for connecting the conductive thin films 9d, 9e, 9f, and 9g are coated.

한편, 인쇄회로기판(4)의 배면구조는 전술한 도 3b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struc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is the same as in Fig. 3b described abov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도 4와 도 5 및 도 7을 인용하여 설명함을 미리 밝혀둔다.An operation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Fig. 4 and 5 and 7.

사용자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장착된 조이스틱(3)을 소정변위만큼 조작하면, 조이스틱(3)의 박막도체(8a, 8c)가 인쇄회로기판(4)에 인쇄된 전도성박막(12)과 사방으로 분할된 한쌍의 전도성박막(9d, 9e, 9f, 9g) 중 조이스틱(3)의 조작량에 대응하는 소정범위까지 접촉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joystick 3 mounted on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of the joystick 3 are in all directions with the conductive thin film 12 pri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 Among the divided pairs of conductive thin films 9d, 9e, 9f, and 9g, contact is made to a predetermined range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이에 따라, 메인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구동전압(Vcc)은 메인전원접속단자(13)를 통하여 전도성박막(12)에 공급되고, 이후 박막도체(8a, 8c)와 인쇄회로기판(4)의 전도성박막(9d, 9e, 9f, 9g)이 접촉된 지점까지는 저항값이 낮은 박막도체(8a, 8c)를 통하여 구동전류가 흐르며, 전술한 접촉지점 이후에는 저항값이 높은 전도성박막(9d, 9e, 9f, 9g)을 통하여 구동전류가 흐르게 된다.Accordingly, the driving voltage Vcc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conductive thin film 12 through the main power connection terminal 13, and then the conductive thin film of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4 is supplied. The driv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having low resistance to the point where (9d, 9e, 9f, 9g) is in contact, and the conductive thin films 9d, 9e and 9f having high resistance after the contact point described above. , 9g) flows the driving current.

예컨대, 사용자가 조이스틱(3)을 많이 조작한 경우에는 조이스틱(3)의 박막도체(8a, 8c)가 인쇄회로기판(4)의 전도성박막(12)과 내주연에 인쇄된 전도성박막(9d, 9e, 9f, 9g) 및 외주연에 인쇄된 전도성박막(9d, 9e, 9f, 9g)을 동시에 접촉하게 되므로, 조이스틱(3)의 총저항값은 낮은 저항값(대략, 50Ω)을 갖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joystick 3 a lot,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of the joystick 3 are printed on the conductive thin film 12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and the conductive thin film 9d and the inner periphery. 9e, 9f, 9g) and the conductive thin films 9d, 9e, 9f, 9g printed on the outer periphery are brought into contact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total resistance of the joystick 3 has a low resistance value (about 50 kV).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조이스틱(3)을 적게 조작한 경우에는 조이스틱(3)의 박막도체(8a, 8c)가 인쇄회로기판(4)의 전도성박막(12)과 내주연에 인쇄된 전도성박막(9d, 9e, 9f, 9g)만을 접촉하게 되므로, 조이스틱(3)의 총저항값은 높은 저항값(대략, 50㏀)을 갖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joystick 3 less,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of the joystick 3 are printed on the conductive thin film 12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and the conductive thin film 9d. , 9e, 9f, and 9g only, the total resistance value of the joystick 3 has a high resistance value (approximately 50 mA).

따라서, 조이스틱(3)의 조작량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4)에 흐르는 전류량이 서로 상이하게 변화하며, 이 전류는 도 4에 도시된 커패시터(C1∼C4)에 공급된다. 여기서, 조이스틱(3)에 의한 저항(10, 10a, 10b, 10c)과 커패시터(C1∼C4)는 RC 시정수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므로, 결국, 마이크로 컴퓨터(14)에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은 펄스파형이 입력된다.Therefore,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icrocomputer 14 chang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and this current is supplied to the capacitors C1 to C4 shown in FIG. Here, since the resistors 10, 10a, 10b, and 10c and the capacitors C1 to C4 by the joystick 3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RC time constant circuit, the microcomputer 14 is finally connected to FIGS. 5A and 5B. The same pulse waveform is input.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전압경계값(문턱전압값)을 전술한 바와 같이, 0.7Vcc로 설정하였으므로, 마이크로 컴퓨터(14)에서 출력되는 의사펄스는 도 5c 및 도 5d와 같이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microcomputer 14 set the voltage threshold value (threshold voltage value) to 0.7 Vcc as described above, the pseudo pulses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4 are as shown in Figs. 5C and 5D.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상태에 따른 제어데이터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Here, the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한 각종 기능키(2)와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과 조작량에 대응하여 제어데이터가 할당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각종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는 도 13의 규칙에 따르지 않고 제조회사별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규칙성을 갖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제어데이터가 '001101XX'이거나 '001110XX'인 경우(여기서, X는 '0' 또는 '1' 중 어느 하나)를 조이스틱(3)이 조작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하고, 나머지 부분은 기능키(2)가 조작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3, it shows a state in which control data is allocate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and the operation amount of the various function keys 2 and joystick 3 operable by the user. Here,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selected by the user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manufacturer without following the rules of FIG. 13, and may not have any regularity.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control data is set to '001101XX' or '001110XX' (where X is either '0' or '1') so as to recognize that the joystick 3 is operated. The remaining part is set to recognize that the function key 2 is operated.

또한, 조이스틱(3)의 조작량이 적은 경우, 도 4에 도시된 RC 시정수회로에 의해 펄스의 라이징타임은 대략 5.0∼25.0의 범위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4)는 복수개의 단자 중 어느 단자를 통하여 5.0∼25.0의 라이징타임을 갖는 펄스가 입력되는가에 따라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일예로,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상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도 13에 도시된 대비표에 따라 대상기기의 포인트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1000')을 발생하고,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a)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하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대상기기의 포인트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1001')를 발생하며,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b)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좌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대상기기의 포인트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1010')를 발생하고,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d)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우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대상기기의 포인트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1011')를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is small, the rising time of a pulse exists in the range of about 5.0-25.0 by the RC time constant circuit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icrocomputer 14 can easily know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3 according to whi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 pulse having a rising time of 5.0 to 25.0 is input. For example, when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1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the microcomputer 14 determines that the joystick 3 is operated upward. According to the contrast table shown in 13, control data ('00111000') for moving the point of the target device upward is generated, and the microcomputer 1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When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the microcomputer 14 determines that the joystick 3 has been oper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generates control data ('00111001') for moving the point of the target device downward. When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1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b of the circuit board 4, the microcomputer 14 determines that the joystick 3 has been operated in the left direction and determines the point of the target device. Left room After generating control data '00111010' for moving to a predetermined terminal and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1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the microcomputer 14 uses a joystick ( 3) is determined to be operat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generates control data ('00111011') for moving the point of the target device in the right direction.

또한, 조이스틱(3)의 조작량이 많은 경우, RC 시정수회로에 의해 펄스의 라이징타임은 대략 0.0∼5.0의 범위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4)는 복수개의 단자 중 어느 단자를 통하여 0.0∼5.0의 라이징타임을 갖는 펄스가 입력되는가에 따라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일예로,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상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대상기기의 채널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0100')를 발생하고,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a)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4)는 조이스틱(3)이 하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대상기기의 채널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0101')를 발생하며,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b)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좌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대상기기의 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0110')를 발생하고, 인쇄회로기판(4)의 접속단자(11c)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소정단자에 펄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우측방향으로 조작된 것으로 판정하여 대상기기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00110111')를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is large, the rising time of a pulse exists by the RC time constant circuit in the range of about 0.0-5.0. In this case, the microcomputer 14 can easily know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3 according to whi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 pulse having a rising time of 0.0 to 5.0 is input. For example, when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1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the microcomputer 14 determines that the joystick 3 has been operated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the control data ('00110100') for increasing the channel of the device is generated and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1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the microcomputer 4 Determines that the joystick 3 has been oper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generate control data ('00110101') for reducing the channel of the target device, and the microcompute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b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 When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f 14), the microcomputer 14 determines that the joystick 3 has been operated in the left direction, and generates control data ('00110110')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target device. Connection of the board 4 When a pulse is input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14 connected to the terminal 11c, the microcomputer 14 determines that the joystick 3 has been operated in the right direction so that the control data for reducing the volume of the target device (' 00110111 ').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1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제어데이터 중 해당되는 제어데이터를 검출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를 통하여 송출하게 된다. 또한, 수신측인 대상기기에서도 도 13과 동일한 복호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에서 송출된 제어데이터를 수신하여 복호데이터와 비교하면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14 detects the corresponding control data among the allocated control data as shown in FIG. 13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rol data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In addition, since the same decoding data as that of FIG. 13 is set in the target device on the receiving sid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controlled by receiving th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and comparing it with the decoded data.

한편,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로부터 송출되는 제어데이터포맷은 전술한 도 7과 도 14와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각종 기능키(2)를 조작한 경우, 제어데이터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를 통하여 송출되는 펄스신호는 전술한 도 7과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ata format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is the same as in Figs. Here, when the various function keys 2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the control data and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16 are the same as in FIG.

다음으로, 도 14a 내지 도 14f에 도시된 데이터포맷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이스틱(3)을 조작한 경우, 제어데이터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통하여 송출되는 펄스신호를 나타낸 것이다.Next, the data format shown in FIGS. 14A to 14F shows the control data and the puls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when the joystick 3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will be.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종 기능키(2)를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데이터의 분류에 따라 해당 제어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이 펄스신호의 포맷은 전술한 도 10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4A, as the user operates various function keys 2, the microcomputer 14 generates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trol data as shown in FIG. do. Since the format of this pulse signal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X Data) 중 제1∼제6 비트는 조이스틱(3)을 조작함에 의해 발생된 제어데이터임을 나타낵 위하여 조이스틱(3)을 조작한 경우 '001101' 또는 '001110'이 발생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제7 및 제8 비트는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의 이동방향 및 채널과 음량의 증감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1∼제6 비트가 '001101'로 설정되면 채널 및 음량의 증감상태이며, 제1∼제6 비트가 '001110'으로 설정되면 포인트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4D, the first to sixth bits of the eight bits of first control data (X Data) are used to indicate that the joystick 3 is control data generated by manipulating the joystick 3. In case of the operation, '001101' or '001110' is set to be generated, and the seventh and eighth bits indicat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and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channel and the volume. That is, when the first to sixth bits are set to '001101', the channel and volume are increased or decreased, and when the first to sixth bits are set to '001110',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oint is indicated.

또한, 채널 및 음량의 증감상태에서 제7 및 제8 비트가 '00'이면 채널증가이고, '01'이면 채널감소이며, '10'이면 음량증가이고, '11'이면 음량감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channel and volume increase and decrease state, the seventh and eighth bits are '00', the channel is increased, '01' is the channel decrease, '10' is the volume increase, and '11' is the volume decrease.

또한, 포인트의 이동방향제어상태에서 제7 및 제8 비트가 '00'이면 포인트를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01'이면 포인트를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며, '10'이면 포인트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11'이면 포인트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movement direction control state of the point, if the seventh and eighth bits are '00', the point moves upward. If '01', the point moves downward. Indicated to move leftward, '11' indicates to move the point to the right.

한편,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Y Data)는 전술한 제1 제어데이터(X Dat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4E, the 8-bit second control data (Y Data)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control data (X Data).

예컨대, 고유데이터(Custom)가 '10100100'이고, 제1 제어데이터(X Data)가 '00111000'이며, 제2 제어데이터(Y Data)가 '00111010'인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6)에 전송되는 제어데이터포맷은 도 14f와 같다. 여기서, 조이스틱(3)은 상, 하, 좌,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변위만으로 조작되는 것이 아니라,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하나의 변위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하나의 변위가 동시에 조작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제어데이터(X Data, Y Data)는 서로 상이하게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상기기는 제1 및 제2 제어데이터(X Data, Y Data)를 각각 분할하여 검출하고, 각각 분할된 제1 및 제2 제어데이터(X Data, Y Data)로부터 각각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조작방향와 조작량을 합성하면, 합성된 데이터에 따라 포인트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채널과 음량이 증가 또는 감소된다. 따라서, 조이스틱(3)을 이용하여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의 위치와 채널 및 음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nique data (Custom) is '10100100', the first control data (X Data) is '00111000', and the second control data (Y Data) is '00111010', infrared light is emitted from the microcomputer 14. The control data format transmitted to the diode 16 is shown in Fig. 14F. Here, the joystick 3 is not operated only by the displacement of any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but the displacement of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displacement of any of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ata (X Data, Y Data) may occur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target device divides and detect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ata (X Data, Y Data), respectively, and each operation direction and the manipulation amount from the divided first and second control data (X Data, Y Data), respectively. After calculating, and combining the calculated operation direction and the manipulated variable, the point is moved in an arbitrary direction and the channel and the volume ar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ynthesized data. Therefore, the joystick 3 can be used to easily control the position, channel, and volume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Another embodiment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이스틱(3)을 조작함에 따라 RC 시정수회로에 의해 입력되는 펄스로 인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4)가 동작개시(Wake-up)되도록 설정하였으나,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3)을 조작함에 따라 RC 시정수회로에 의해 입력되는 펄스의 라이징타임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도성박막(12)과 전도성박막(9, 9a, 9b, 9c) 사이에 동작개시를 판단할 수 있는 전도성박막(1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6b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4)의 배면에는 전도성박막(17)과 마이크로 컴퓨터(14)를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11d)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s the user operates the joystick 3, the microcomputer 14 is started up due to the pulse input by the RC time constant circuit. 15 to 17, the conductive thin film 12 and the conductive film 12 can be more accurately detecte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input by the RC time constant circuit as the joystick 3 is operated. A conductive thin film 17 capable of determining the start of oper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hin films 9, 9a, 9b, and 9c.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11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 shown in FIG. 16B so as to connect the conductive thin film 17 and the microcomputer 14.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조이스틱(3)을 조작하면, 조이스틱(3)의 박막도체(8a, 8c)는 메인전원공급단자(13)와 전도성박막(17)에 동시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메인전원공급단자(13)로부터 인가된 구동전압(Vcc)은 전도성박막(17)을 통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4)의 동작개시인식단자(WK-UP)(도 17 참조)에 공급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조이스틱(3)이 조작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RC 시정수회로로부터 인가되는 펄스의 라이징타임을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operates the joystick 3, the thin film conductors 8a and 8c of the joystick 3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terminal 13 and the conductive thin film 17, thereby supplying the main power supply. The driving voltage Vcc applied from the terminal 13 is supplied to the operation start recognition terminal WK-UP (see FIG. 17) of the microcomputer 14 through the conductive thin film 17. Thus, the microcomputer 14 can recognize that the joystick 3 has been manipulated, thereby enabling the microcomputer 14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applied from the RC time constant circuit.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이스틱(3)과 복수개의 기능키(2) 중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동시에 조작한 경우에는, 조이스틱(3)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과 선택된 기능키(2)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제어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입력조건을 무시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joystick 3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direction and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3 and the selected function key 2 Since there is no control data capable of simultaneously indicating, it is preferable to set such an input condition to be ignored.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전송방법에 따르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과 조이스틱 기능을 동시에 수용하는 통합형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텔레비젼 뿐만 아니라 대화기능을 갖는 모든 해당기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and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by providing an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for accommodating the function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joystick function at the same time, not only a general television but also a convers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sponded to all the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에 장착되어 있는 조이스틱을 조작함에 따라 해당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어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대상기기의 표시된 포인트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과, 채널 및 음량, 기타 각종 기능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variety of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direction and the oper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mounted on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amount of the displayed point of the target device, the channel and volume, and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trol various functions.

Claims (29)

복수개의 기능키와,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기기에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A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sending means for sending control data to a target device to be controlled: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본체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임의의 변위량과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An operation unit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to allow a user to operate in an arbitrary displacement amount and direction; 상기 조작부의 조작량과 조작방향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amount an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상기 복수개의 기능키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와 조작부의 조작량 및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검출하며, 상기 복수개의 기능키 중 사용자의 기능키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2진화 제어데이터를 데이터송출규격에 따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송출수단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Stor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amount and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and detecting the stored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joystick including a microcomputer for detecting the stored binarization control data according to a user's function key operation among the keys, converting the detected binarization control data into a control data format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standard, and outputting the control data format to the transmission means. All-in-one remote con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unit, 대략 중앙부위에 관통홈을 갖는 기판;A substrate having a through groov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상기 관통홈에 억지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휘어짐이 가능하며, 초기상태로의 복원력을 갖는 돌기;A projec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groove so as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through groove, and capable of bending,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to an initial state; 상기 돌기에 일체화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단으로 연장된 조작손잡이; 및An operation handle integrated with the protrusion and extended to an upper en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protrusion; And 상기 돌기와 상기 조작손잡이를 동시에 지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조작손잡이를 조작함에 따라 그 하단부가 상기 기판상에 접촉되도록 대략 반원형상을 갖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And a contact portion which simultaneously supports the projection and the operation knob and has a contact portion having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such that a lower end thereof contacts the substrate as a user operates the operation kno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unit, 상기 접촉부의 하단에 복수개가 부착된 박막도체;A plurality of thin film conductors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contact portion; 상기 박막도체와 접촉가능한 범위내에서 상기 기판상에 인쇄되고, 원형으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절개되어 분할되며, 상기 각각의 분할된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층으로 분할되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연결된 전도성박막군;A group of conductive thin films printed on the substrate within a range in contact with the thin film conductors, cut into at least two regions from a circle, divided into at least two layers, and each divided region divided into at least two layers and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 상기 박막도체와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기판의 최내주에 원형으로 인쇄되고, 메인전원이 인가되는 전도성박막;A conductive thin film printed circularly on the innermost circumference of the substrate to be in contact with the thin film conductor and to which a main power source is applied; 상기 전도성박막군에 분할된 각층에 접속된 저항체; 및A resistor connected to each layer divided into the conductive thin film group; And 상기 저항체에 연계되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인가되는 펄스의 라이징타임을 제어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And a capacitor configured to control a rising time of a pulse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in connection with the resist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박막도체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in film conductor, 사방으로 4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four attached to all direction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박막군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ductive thin film group, 원형으로부터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four areas from the circl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sistor, 상기 전도성박막군에 분할된 상기 각층에 연속적으로 접속된 판형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shaped resistor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layers divided by the conductive thin film group.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icrocomputer, 상기 분할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가 설정되고, 상기 저항체와 상기 커패시터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펄스의 라이징타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를 복수개의 시간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 저항체와 상기 커패시터를 통하여 인가된 펄스의 라이징타임의 범위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라이징타임의 범위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어데이터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송출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time interval is set,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of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changed by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and applied through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Estimating the range of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detecting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range of the rising time, converting the detected control data into a control data format,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data to the transmitting means.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icrocomputer, 상기 복수개의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입력된 결과를 무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And an operation signal from at least one function key of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re set to ignore the input result at the same tim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포맷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data format, 제어데이터의 송출개시시점을 나타내는 리더와, 제어되는 대상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비트수의 고유데이터와, 상기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나타내는 소정비트수의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The reader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data, the unique data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for identifying the controlled target device, and the control data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indica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amount of movement for moving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포맷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data format, 제어데이터의 송출개시시점을 나타내는 리더와, 제어되는 대상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비트수의 고유데이터와, 상기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과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비트수의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A leader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unique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for identifying a controlled target device, a moving direction for moving a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controlled.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is continuous.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유데이터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unique data, 8비트씩 한쌍의 정보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information is continuous by 8 bits.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control data, 그 크기가 16비트인 2진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composed of binary data of 16 bit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data,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1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상기 포인트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 중 어느 하나의 이동방향에 대한 증감을 나타내는 1비트의 제1 방향데이터와, 조작량을 나타내는 6비트의 조작량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 및1-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a first bit of 1-bit indic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s of the point. 8-bit first control data composed of direction data and 6-bit manipulated variable data indicating the manipulated variable; And 입력이 무시되는 1비트의 데이터와, 상기 포인트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 중 다른 하나의 이동방향에 대한 증감을 나타내는 1비트의 제2 방향데이터와, 조작량을 나타내는 6비트의 조작량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8-bits consisting of 1-bit data whose input is ignored, 1-bit second direction data indicating increase or decrease in the other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point, and 6-bit manipulated value data indicating the manipulated variabl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rol data is continuou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data,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대상기기의 제1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제1 제어정보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 및An 8-bit first composed of 6-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2-bit first control information data representing first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Control data; And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대상기기의 제2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제2 제어정보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8-bit second comprising 6-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2-bit second control information data indicating seco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ata is continuou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기의 제1 제어정보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채널증감 또는 음량증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channel increase or decreas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기의 제2 제어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채널증감 또는 음량증감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channel increase or decreas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data, 상기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 중 2비트의 데이터와 2비트의 제1 및 제2 제어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기기의 제1 및 제2 제어정보를 판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is determined using two bits of data and two bits of first and second control information data of the six-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출수단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ding means,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펄스의 라이징타임이 가변되고,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방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된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에 있어서:In the data transfer method of the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in which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can be distinguished: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펄스의 라이징타임의 최소치로부터 최대치까지를 복수개의 시간간격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범위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한 제어데이터를 설정하는 제어데이터 설정단계;A control data setting step of dividing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rising time of the puls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into a plurality of time intervals, and setting different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vided ranges; 상기 조이스틱의 조작량에 따라 서로 상이한 라이징타임을 갖는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상기 펄스신호의 라이징타임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데이터를 검출하는 제어데이터 검출단계; 및A control data detection step of receiving pulse signals having different rising times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amount of the joystick and detecting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rising time of the input pulse signal; And 상기 제어데이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제어데이터를 데이터전송규정에 따라 제어데이터포맷으로 변환한 후 최종출력하는 제어데이터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And a control data output step of converting the control data detected in the control data detection step into a control data format according to a data transmission rule and finally outputting the control data.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포맷은,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ontrol data format, 상기 제어데이터의 송출개시시점을 나타내는 리더와, 제어되는 대상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비트수의 고유데이터와, 상기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나타내는 소정비트수의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A reader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transmission of the control data, unique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for identifying a controlled target device, control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amount for moving a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포맷은,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ontrol data format, 상기 제어데이터의 송출개시시점을 나타내는 리더와, 제어되는 대상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비트수의 고유데이터와, 상기 대상기기에 표시된 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과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기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비트수의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A reader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transmission of the control data, unique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for identifying a controlled target device, a moving direction for moving a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an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function to be controlled. A data transfer method for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 dat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s indicated is continuous.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고유데이터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r 20, wherein the unique data, 8비트씩 한쌍의 정보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A data transfer method of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information is consecutive for 8 bits.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r 20, wherein the control data, 그 크기가 16비트인 2진데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joystick-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binary data having a size of 16 bits.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control data,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1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상기 포인트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 중 어느 하나늬 이동방향에 대한 증감을 나타내는 1비트의 제1 방향데이터와, 조작량을 나타내는 6비트의 조작량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 및1-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a first bit of 1-bit indic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in either of the vertical movement o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oint. 8-bit first control data composed of direction data and 6-bit manipulated variable data indicating the manipulated variable; And 입력이 무시되는 1비트의 데이터와, 상기 포인트의 수직이동 또는 수평이동 중 다른 하나의 이동방향에 대한 증감을 나타내는 1비트의 제2 방향데이터와, 조작량을 나타내는 6비트의 조작량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8-bits consisting of 1-bit data whose input is ignored, 1-bit second direction data indicating increase or decrease in the other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point, and 6-bit manipulated value data indicating the manipulated variable The second control data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data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control data,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대상기기의 제1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제1 제어정보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1 제어데이터; 및An 8-bit first composed of 6-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2-bit first control information data representing first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Control data; And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신호와 상기 기능키로부터의 조작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와, 대상기기의 제2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제2 제어정보데이터로 구성된 8비트의 제2 제어데이터가 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8-bit second comprising 6-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for distinguish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and 2-bit second control information data indicating seco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ata is continuous.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기의 제1 제어정보는,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first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채널증감 또는 음량증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either the channel increase or decrease.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대상기기의 제2 제어정보는,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seco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채널증감 또는 음량증감 중 다른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data transmiss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of the channel increase or decrease.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control data, 상기 6비트의 신호구분데이터 중 2비트의 데이터와 2비트의 제1 및 제2 제어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기기의 제어정보를 판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And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target device is determined using two bits of the six-bit signal classification data and two bi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information data.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trol data, 대상기기에 표시되는 포인트의 이동방향과 음량의 증감 및 채널의 증감상태를 표시하는 각각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일체형 리모트 컨트롤러의 데이터전송방법.A data transfer method of a joystick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of each of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volume of the point displayed on the target device and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hannel are combined.
KR1019970010418A 1997-03-26 1997-03-26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with joystick KR1002080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418A KR100208011B1 (en) 1997-03-26 1997-03-26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with joy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418A KR100208011B1 (en) 1997-03-26 1997-03-26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with joy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543A KR19980074543A (en) 1998-11-05
KR100208011B1 true KR100208011B1 (en) 1999-07-15

Family

ID=1950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418A KR100208011B1 (en) 1997-03-26 1997-03-26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with joy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0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9051A1 (en) * 2001-12-14 2005-06-02 Seongho Ko Dual-functio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video gam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543A (en)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3889B2 (en) Pointe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US6005555A (e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pointing device
US6607442B2 (en) Operating apparatus and signal-output-modulating method for the same
CN101681231A (en) Button based color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in a lighting or visualization system
JP2014041655A (en) Digital equipment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ser contact base including visual input feedback
US20070035525A1 (en) Integrated touch screen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US744418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parameters, controlling device, lighting system
US20030210167A1 (en) Wireless remote-control light adjuster
KR100208011B1 (e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remote controller with joystick
JP2005045576A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and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005117161A (en) Remote control apparatus
WO1996003736A1 (en) Position sens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JPH06274137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connecting device used for the same
CN1185867C (en) Remote controller
JP3186458B2 (en) Control device
KR102493070B1 (en) A display device
JP2005094595A (en) Electronic device
JP2000184467A (en) Infrared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1251693A (en) Remote controller
JP2007047594A (en) Electronic equipment
JP3865441B2 (en) Pointing device
KR1002139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speed remote controller integrated joystick
US20070033304A1 (en) Wireless system providing unidirectional multi-channel communication for wireless input devices and method for the same
JP3052101U (en) Remote controller for electric appliances
JP2000125373A (en) Remote controller, controlled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