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789B1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789B1
KR100205789B1 KR1019960044095A KR19960044095A KR100205789B1 KR 100205789 B1 KR100205789 B1 KR 100205789B1 KR 1019960044095 A KR1019960044095 A KR 1019960044095A KR 19960044095 A KR19960044095 A KR 19960044095A KR 100205789 B1 KR100205789 B1 KR 100205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
column address
signal
dat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5809A (en
Inventor
권석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789B1/en
Publication of KR1998002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7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인 데이터 독출 동작시 입력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제한을 없앰으로서 독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다수의 워드 라인들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들과 접속된 다수의 비트라인들을 통하여 일시에 독출하기 위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비트라인들중 미리 예정된 수의 제 1 그룹의 비트라인들과 나머지의 제 2 그룹의 비트라인들과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 1및 제 2 그룹의 비트라인들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및 제 2 그룹 페이지 버퍼와; 데이터 독출 기간중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인에이블 신호와 소정의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입력 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카운트엎하는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의 카운트엎된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감지하여 다음 페이지 독출의 활성화를 위한 컬럼 어드레스 감지신호와 컬럼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카운트엎되는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및 제 2 그룹 페이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버퍼로 전송하기 위한 소정 신호들을 출력하는 컬럼 디코더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로부터 출력된 컬럼 어드레스 감지신호및 컬럼 종료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시작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 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컬럼 시작 신호및 페이지 독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독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순차적 독출 제어회로와; 상기 순차적 독출 제어회로로부터 출력된 독출 인에이블 신호와 소정 독출 종료 신호 그리고 페이지 독출을 활성화시키는 어드레스 래치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하위 버퍼 제어신호및 독출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독출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독출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하위 버퍼 제어신호및 독출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라인의 프리챠지 동작과 데이터의 저장동작및 상기 입출력 버로의 데이터 전송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및 상기 독출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독출클럭회로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와 독출클럭 제어회로로부터 각각 출력된 독출 동작 제어신호와 컬럼 종료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00h - 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제 2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며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및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로 전달하는 동안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페이지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는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로 이루어졌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read performance by removing a limitation of a column address input during a continuous data rea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rality of word lines and a plurality of word lines, respectively.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ading data stored in a plurality of memory cells at a time through a plurality of bit lines connected to the memory cells,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first predetermined number of bit lines of the plurality of bit lines; First and second group page buff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and second group of bit lines and for storing read data on the first and second group of bit lines; A column address counter which receives a read enable signal and predetermined column address signals applied from outside during a data read period, and counts the column address signals in response thereto; A column address sensing circuit for sensing the counted column address signals from the column address counter and outputting a column address sensing signal and a column ending signal for activating next page reading; A column decoder which receives column address signals counted from the column address counter and outputs predetermined signals f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group page buffers to a data input / output buffer in response thereto; A sequence of receiving a column address detection signal and a column end signal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detection circuit and a start address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read enable signal for activating the column start signal and the page read in response thereto A read control circuit; A read clock control signal for receiving a read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a predetermined read end signal, and an address latch enable signal for activating page read, and in response to outputting upper and lower buffer control signals and read operation signals; A generating circuit; For receiving the upper and lower buffer control signal and the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in response to the precharge operation of the bit line, the data storage ope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peration to the input and output burr A read clock circuit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s and the read end signal; A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a column end signal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sensing circuit and the read clock control circuit are respectively input, and in response thereto, when the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00h-FFh', a state output signal of a second level is output. R / If the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100h-1FFh', data of the page corresponding to the start column address and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are continuously transferred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corresponding page buffer. Status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to prevent the page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from being output to the outside It consists of a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outputting the.

Description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a non volatile semiconductor device)A non 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속적인 데이터 독출 동작시 입력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제한을 없앰으로서 독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read performance by removing a limitation of a column address input during a continuous data read operation.

EEPROM은 고밀도로 집적되는 추세에 있고, 동시에 그 성능및 동작 속도 또한 향상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EEPROM은 플로팅 게이트, 제어게이트, 소오스및 드레인을 가지는 플로팅 게이트 트랜지스터를 메모리 셀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 셀들은 행과 열의 매트릭스 형으로 배열되고 동일행들에 배열된 메모리 셀들의 제어게이트들은 다수의 워드라인과 접속되어 있고 동일열들에 배열된 셀들의 드레인들은 다수의 비트라인들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 셀들, 다수의 워드라인들및 다수의 비트라인들은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한다. 이러한 EEPROM에서, 동작 속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다수의 워드라인들중 하나의 선택된 워드라인과 접속된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비트라인들을 통하여 일시에 독출을 한다. 이러한 독출 동작을 페이지 독출 동작이라 부른다. 상기 다수의 비트라인들상의 독출 데이터는 페이지 버퍼라 불리우는 데이터 래치들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EEPROMs tend to be densely integrated, while at the same time their performance and operating speeds are improving. In general, EEPROM uses a floating gate transistor having a floating gate, a control gate, a source, and a drain as a memory cell. The memory cells are arranged in a matrix of rows and columns, control gates of memory cells arranged in the same rows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ord lines, and drains of cells arranged in the same columns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it lines. have. The memory cells, the plurality of word lines and the plurality of bit lines constitute a memory cell array. In such an EEPROM, data stored in memory cells connected to one selected word line of a plurality of word lines is read out temporarily through the plurality of bit lines in order to improve an operation speed. This read operation is called a page read operation. Read data on the plurality of bit lines is temporarily stored in data latches called page buffers.

EEPROM은 메모리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낸드구조로된 메모리 셀들(이하 "스트링"이라 칭함)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스트링을 선택하는 스트링 선택트랜지스터와 그라운드를 선택하는 그라운드 선택 트랜지스터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을 가진다. 복수개의 상기 스트링을 가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의 독출 동작시 어드레스의 입력후 입력된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페이지 독출시간이 수 μs가 걸리기 때문에 메모리 셀 어레이중 하나의 로우 데이터(이하 "페이지"라 칭함)를 동시에 판독(이하 "페이지 독출"이라 칭함)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저장수단에 의해 래치부에 저장한다. 이후, 외부의 연속적인 출력신호인 외부 독출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순차적으로 읽어내야 한다.In the EEPROM, memory cells having a NAND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ings") have been developed to increase memory capacity. It has a plurality of memory cell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string select transistor for selecting such a string and a ground select transistor for selecting a ground. In a read operation in a memory cell array having a plurality of the above strings, since a page read time for reading data of a memory cell selected by an input address after inputting an address takes several μs, the raw data of one of the memory cell arrays (hereinafter, The " page " is simultaneously re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age read ") and stored in the latch portion by storage means existing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ereafter, it should be sequentially read by an external read enable signal which is an external continuous output signal.

한편, 한 페이지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동작이 완료되면, 다음 페이지의 어드레스 입력이 없더라도 칩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다음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독출 동작으로 데이터를 래치시킨후 또 다시 외부의 연속적인 외부 독출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연속적인 데이터를 출력(이하 "순차적 독출"이라 칭함)함으로서 각 페이지의 어드레스 입력 동작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순차적 독출시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직접적인 독출 동작과 다음 페이지에 대한 직접적인 독출사이에는 다음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독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페이지 독출시간동안 외부의 출력신호가 대기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데이터 출력시간 개선효과는 한계를 나타내며, 전체적인 시스템 수행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어드레스는 항상 '00h - FFh' 사이의 어드레스가 입력되어 순차적이고 연속적인 데이터 출력이 이루어진다. 이에 관한 동작 설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독출 방법및 장치, 출원 번호:P95-32483'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rect access operation for one page is completed, the data is latched automatically by the page read operation for the next page even if there is no address input of the next page, and then again applied to the external continuous read enable signal. By outputting continuous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quential read"), the address input operation of each page can be eliminat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sequential reading, a page reading time for the next page is required between the direct reading operation for one page and the direct reading for the next page. During this page read time, the external output signal should be kept in the standby state. As a result, the overall data output time improvement effect is limited, and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is degraded.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a conventional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improving this i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1, an input address always receives an address between '00h-FFh' to sequentially and sequentially output data.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detail i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 No. P95-32483", and thus will be omitted here.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연속적인 데이터 출력시 입력할 수 있는 컬럼 어드레스가 '00h - FFh' 사이로 제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독출하고자 하는 컬럼 어드레스가 선택된 페이지중 최상위 컬럼 어드레스(MSB column address)에 근접할 경우 상기한 제한 요인으로인해 최하위 컬럼 어드레스(MLB column address)에 대한 불필요한 독출 동작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로서, 실질적인 독출 성능(read performance) 향상의 저하 요인이 되며 정상 독출과는 다른 명령 세팅에 의해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어해야하는 문제점도 생긴다.However, the column address that can be input during continuous data output of the conventional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limited to between '00h and FFh'. For this reason, when the column address to be read is close to the MSB column address among the selected pages, an unnecessary read operation on the least significant column address (MLB column address) must be preceded by the above limitation factor. As a result, there is a deterioration factor of substantial read performance improvement, an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ust be controlled by a command setting different from the normal read perform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연속적인 독출 동작시 입력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제한을 없애기 위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removes the limitation of a column address input during a continuous read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순차적인 독출 모드시 외부 타이밍도;1 is an external timing diagram in a sequential read mode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적인 독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주변회로의 개략적인 블럭도;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eripheral circuit for performing a sequential rea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페이지버퍼, 컬럼선택회로및 데이터 입출력버퍼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cell array, a page buffer, a column selection circuit, and a data input / output buffer used in FIG. 2;

도 4는 도 2에서 사용되는 트라이스테이트 인버터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showing a tristate inverter used in FIG.

도 5는 도 2에서 사용되는 여러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독출클럭제어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5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read clock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used in FIG.

도 6은 도 2에서 사용되는 여러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독출클럭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FIG. 6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read clock circuit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used in FIG. 2; FIG.

도 7은 도 2에서 사용되는 여러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순차적 독출제어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7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used in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신호 타이밍도;8 is an external signal timing diagram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9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메모리 셀 어레이 2 : 독출클럭 제어회로1: memory cell array 2: read clock control circuit

3 : 독출 클럭회로 4 : 순차적 독출제어회로3: read clock circuit 4: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5 : 로우 어드레스 카운터 6 : 로우 프리디코더5: row address counter 6: row predecoder

7 : 로우 디코더 8 :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7: row decoder 8: column address counter

9 : 컬럼 디코더 10 : 데이터 입출력 버퍼9: column decoder 10: data input / output buffer

11 :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 12 : 페이지 버퍼11: column address sensing circuit 12: page buffer

13 : 컬럼 선택회로 14 : 전류공급회로13 column selection circuit 14 current supply circuit

15 : 입출력 패스부 16 : 독출동작 제어신호 발생회로15: I / O path section 16: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17 : 독출종료신호 발생회로 18 : 버퍼제어신호 발생회로17: read end signal generator circuit 18: buffer control signal generator circuit

40 : 제어신호 발생회로 41 : 감지및 래치제어신호 발생회로40: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1: detection and latch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2 : 독출제어신호 발생회로 99 : 카운트엎및 페이지 독출신호 발생회로42: rea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99: count over and page read signal generation circuit

100 : 컬럼 어드레스 리셋신호 발생회로100: column address reset signal generating circuit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특징에 의하면, 다수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다수의 워드 라인들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메모리 셀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들과 접속된 다수의 비트라인들을 통하여 일시에 독출하기 위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비트라인들중 미리 예정된 수의 제 1 그룹의 비트라인들과 나머지의 제 2 그룹의 비트라인들과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 1및 제 2 그룹의 비트라인들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및 제 2 그룹 페이지 버퍼와; 데이터 독출 기간중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인에이블 신호와 소정의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입력 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카운트엎하는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의 카운트엎된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감지하여 다음 페이지 독출의 활성화를 위한 컬럼 어드레스 감지신호와 컬럼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카운트엎되는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을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및 제 2 그룹 페이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버퍼로 전송하기 위한 소정 신호들을 출력하는 컬럼 디코더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로부터 출력된 컬럼 어드레스 감지신호및 컬럼 종료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시작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 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컬럼 시작 신호및 페이지 독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독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순차적 독출 제어회로와; 상기 순차적 독출 제어회로로부터 출력된 독출 인에이블 신호와 소정 독출 종료 신호 그리고 페이지 독출을 활성화시키는 어드레스 래치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하위 버퍼 제어신호및 독출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독출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와; 상기 독출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하위 버퍼 제어신호및 독출 동작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라인의 프리챠지 동작과 데이터의 저장동작및 상기 입출력 버로의 데이터 전송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및 상기 독출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독출클럭회로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와 독출클럭 제어회로로부터 각각 출력된 독출 동작 제어신호와 컬럼 종료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00h - 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제 2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며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및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로 전달하는 동안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페이지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는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bits connected to the memory cells and the data stored in a plurality of word lines and a plurality of memory cell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ord lines, respectively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ading out temporarily through lines,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first predetermined number of bit lines of the plurality of bit lines and a second group of bit line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group page buffers for storing read data on the first and second group of bit lines; A column address counter which receives a read enable signal and predetermined column address signals applied from outside during a data read period, and counts the column address signals in response thereto; A column address sensing circuit for sensing the counted column address signals from the column address counter and outputting a column address sensing signal and a column ending signal for activating next page reading; A column decoder which receives column address signals counted from the column address counter and outputs predetermined signals for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group page buffers to a data input / output buffer in response thereto; A sequence of receiving a column address detection signal and a column end signal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detection circuit and a start address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read enable signal for activating the column start signal and the page read in response thereto A read control circuit; A read clock control signal for receiving a read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a predetermined read end signal, and an address latch enable signal for activating page read, and in response to outputting upper and lower buffer control signals and read operation signals; A generating circuit; For receiving the upper and lower buffer control signal and the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in response to the precharge operation of the bit line, the data storage ope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peration to the input and output burr A read clock circuit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s and the read end signal; A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a column end signal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sensing circuit and the read clock control circuit are respectively input, and in response thereto, when the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00h-FFh', a state output signal of a second level is output. R / If the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100h-1FFh', data of the page corresponding to the start column address and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are continuously transferred from the memory cell array to the corresponding page buffer. Status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to prevent the page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from being output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outputting.

이와같은 장치에 의해서, 연속적인 독출 동작시 입력되는 컬럼 어드레스의 제한을 없앰으로서 불필요한 컬럼 어드레스에 대한 독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독출하고자 하는 컬럼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Such an apparatus can read out data of a column address to be read without performing a read operation on an unnecessary column address by removing a restriction on a column address input during a continuous read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름 참조도면 도 2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신규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로우 어드레스 카운터 회로(5)는 순차적인 독출 동작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드레스 버퍼(address buffer)로부터의 로우 어드레스 신호와 클럭발생회로로부터의 카운트 엎신호 XCNTup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신호를 카운트 엎한다. 로우 프리디코더(6)는 상기 로우 어드레스 카운터 회로(5)의 출력에 응답하여 로우 디코더(7)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8)및 순차적 독출 제어회로(4)는 외부의 독출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순차적인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독출클럭회로(3)및 독출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2)는 페이지 독출 동작을 수행하며, 데이터 입출력 버퍼(10)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11)는 상기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6)의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페이지 독출의 활성화를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1)는 행과 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로우 디코더(7)및 페이지버퍼(12) 그리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를 제어하며 컬럼선택회로(13)는 컬럼 선택을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20)는 상기 독출 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20)로부터 출력된 독출 동작 신호 Rop와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11)로부터 출력된 컬럼 종료 신호 Fsay를 입력 받아, 이에 응답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어떤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한다.In the novel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row address counter circuit 5 is a row address signal from an address buff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a sequential read operation. And the address signal is counted in response to the count stop signal XCNTup from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The row predecoder 6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w decoder 7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row address counter circuit 5. The column address counter 8 and the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4 have an external read enable signal. Output sequential data by The read clock circuit 3 and the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 perform a page read operation, and the data input / output buffer 10 outputs data. The column address detecting circuit 11 detects an output signal of the column address counter 6 and generates a signal for activating page reading. The memory cell array 1 is arranged in a matrix of rows and columns, and controls the row decoder 7 and the page buffer 12 and the memory cell array 1, and the column selection circuit 13 for column selection. Output the signal. The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0 receives the read operation signal Rop output from the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0 and the column end signal Fsay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detection circuit 11. In response, the status output signal R / indicating that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operating. Outputs

여기서, 상기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20)는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11)와 독출클럭 제어회로(2)로부터 각각 출력된 독출 동작 제어신호 Rop와 컬럼 종료 신호 Fsay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두 입력 신호 Rop, Fsay에 응답하여 입력된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00h - FFh'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인 독출 동작및 데이터 출력이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입력된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와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12)로 전달한다. 즉,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다음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페이지 버퍼(12)로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비해 충분하든 불충분한 것에 관계없이 상기 연속적인 데이터 전달 기간동안 도 2에 도시된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20)를 통해 외부로의 데이터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한다.Here, the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0 receives the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Rop and the column end signal Fsay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detection circuit 11 and the read clock control circuit 2, respectively. When the start column addresses input in response to the two input signals Rop and Fsay exist between '00h and FFh', continuous read operation and data output ar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100h-1FFh',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rt column address and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are successively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page buffer 12. That is, during the continuous data transfer period regardless of whether the time required to output the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is sufficient or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time required to transfer the data of the next start column address to the page buffer 12. The state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for limiting data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0 shown in FIG. Outpu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독출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면중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는 두개의 상하위 서브 메인 셀 어레이(1A, 1B)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512바이트를 한 페이지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1024바이트를 한 페이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은 이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상하위 페이지 버퍼(12A, 12B)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1)내의 비트라인들 BL0 - BL511과 각각 접속되어 데이터를 판독하는 센스앰프기능과 판독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전류공급회로(14)는 상기 상하위 페이지 버퍼(12A, 12B)로 구성된 페이지 버퍼(12)의 일측에 접속되어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판독할 때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전류미러로 구비되어 있다. 상하위 입출력 패스부(15A, 15B)는 상기 페이지 버퍼(1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데이터의 입출력시 외부의 제어신호들 SPB, 1oReadL,, 1oReadH,를 인가받아 데이터 패스를 결정한다. 컬럼선택회로(13)는 상기 비트라인들 BL0 -BL511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입출력 패스부(15A, 15B)의 출력단자와 접속된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들 T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버퍼(10)는 상기 컬럼 패스 트랜지스터들 T9과 각각 접속되어 데이터 입출력단자들 I/O을 통하여 입력하는 외부 데이터를 씨모오스(CMOS) 레벨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래치한다. 이후, 래치 인에이블 신호 또는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래치된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및 데이터 입출력단자들 I/O에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3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for performing a data rea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memory cell array 1 is composed of two upper and lower sub main cell arrays 1A and 1B. In the present invention, 512 bytes are configured as one page. However, it would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1024 bytes could be composed of one page. The upper and lower page buffers 12A and 12B are connected to the bit lines BL0 to BL511 in the memory cell array 1, respectively, and have a sense amplifier function for reading data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ad data. In addition, the current supply circuit 14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ge buffer 12 composed of the upper and lower page buffers 12A and 12B to read the data of the memory cell and to supply the bit lines BL0 to BL511. It is equipped with a current mirror that controls the amount. Upper and lower input / output path units 15A and 15B are connected to output terminals of the page buffer 12 to control external control signals SPB, 1oReadL, , 1oReadH, To determine the data path. The column select circuit 13 is composed of column select transistors T9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input / output pass sections 15A and 15B to select the bit lines BL0 to BL511. The data input / output buffer 10 is connected to the column pass transistors T9, respectively, and converts and latches external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 output terminals I / O into data having a CMOS level. Thereafter, the latched data is provided to the data bus and the data input / output terminals I / O in response to the latch enable signal or the data output enable signal.

상기 하위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1A)는 256개의 낸드 셀 유닛으로 구성된다. 각 낸드 셀 유닛은 제 1 선택트랜지스터 ST1의 소오스와 제 2 선택트랜지스터 ST2의 드레인 사이에 채널들이 직렬로 접속된 16개의 메모리 셀들 M0 - M15로 구성되어 있다. 각 낸드 셀 유닛의 상기 제 1 선택트랜지스터 ST1의 드레인은 저항접속을 통하여 대응 비트라인 BL에 접속된다. 상기 각 낸드 셀 유닛의 상기 제 2 선택트랜지스터 ST2의 소오스는 공통 소오스 라인 CSL에 접속된다. 동일행들에 배열된 제 1 선택트랜지스터들 ST1의 제어게이트들, 메모리 셀들 M0 - M15의 제어게이트들및 제 2 선택트랜지스터들 ST2의 제어게이트들은 제 1 선택라인 SSL, 워드라인들 WL0 - WL15및 제 2 선택라인 GSL과 각각 접속된다. 상기 하위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1A)에는 제 1 선택라인들 SSL, 제 2 선택라인들 GSL, 워드라인들 WL0 - WL15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로우 디코더(7)와 접속된다.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과 접속되는 상기 페이지 버퍼(12)는 도면중 비트라인 BL상의 고전압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D형 트랜지스터 T1의 게이트로 비트라인 제어신호 BLct1가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T1의 소오스는 독출동작중 상기 비트라인 BL상의 프리챠지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N형 트랜지스터 T2의 드레인과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T2의 게이트로 전원전압 Vcc가 인가된다.The lower sub memory cell array 1A includes 256 NAND cell units. Each NAND cell unit is comprised of 16 memory cells M0-M15 with channel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ource of the first select transistor ST1 and the drain of the second select transistor ST2. The drain of the first select transistor ST1 of each NAND cell uni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it line BL through a resistance connection. The source of the second select transistor ST2 of each NAND cell unit is connected to a common source line CSL. The control gates of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s ST1 arranged in the same row, the control gates of the memory cells M0-M15 and the control gates of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s ST2 are the first selection line SSL, the word lines WL0-WL15 and It is connected with the 2nd selection line GSL, respectively. First select lines SSL, second select lines GSL, and word lines WL0 to WL15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w decoder 7 illustrated in FIG. 2 in the lower sub memory cell array 1A. In the page buffer 12 connected to the bit lines BL0 to BL511, a bit line control signal BLct1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D-type transistor T1 for preventing high voltage transmission on the bit line BL in the figure.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T1 is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N-type transistor T2 for setting the precharge level on the bit line BL during a read operation, and a power supply voltage Vcc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transistor T2.

상기 N형 트랜지스터 T2는 상기 트랜지스터 T1의 일단자와 노드 N1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채널이 연결되며, P형 트랜지스터 T3는 전원 전압과 데이터 감지라인 S0 사이에 소오스-드레인 채널이 연결되며, 전류공급회로(14)의 출력단에 게이트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N형 트랜지스터들 T4, T5은 각각 초기화 제어신호 1oDCB및 하위분리 제어신호 1oSBLL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노드 N1과 접지 전원 Vss 및 상기 노드 N1과 노드 N2 사이에 각각 소오스-드레인 채널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노드 N2와 노드 N3 사이에 래치로 구성된 인버터들 G1, G2, G3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감지라인 S0과 하위버퍼 래치신호 1oLatchL에 각각 게이트가 연결된 N형 트랜지스터들 T6, T7은 상기 노드 N3과 상기 접지 전압 Vss 사이에 직렬로 소오스-드레인 채널이 연결되어 있다. N형 트랜지스터 T5의 게이트는 하위 분리 제어신호 1oSBLL에 응답하여 노오드들 N1, N3 사이를 분리하는 작용을 한다. N형 트랜지스터들 T4, T5은 상기 제어신호들 1oDCB, 1oSBLL에 응답하여 노오드 N3를 하이 레벨로 초기화하는 작용을 한다.The N-type transistor T2 has a source-drain channel connected between one terminal of the transistor T1 and a node N1, and the P-type transistor T3 has a source-drain channel connected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data sensing line S0, and a current supply circuit. A gat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14). The N-type transistors T4 and T5 have a gate connected to an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1oDCB and a lower isolation control signal 1oSBLL, respectively, and a source-drain channel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1 and the ground power supply Vss and the node N1 and the node N2, respectively. have. Inverters G1, G2, and G3 configured as latches are configured between the node N2 and the node N3. In addition, a source-drain channel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node N3 and the ground voltage Vss of the N-type transistors T6 and T7 having gat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ata sensing line S0 and the lower buffer latch signal 1oLatchL. The gate of the N-type transistor T5 functions to separate the nodes N1 and N3 in response to the lower isolation control signal 1oSBLL. The N-type transistors T4 and T5 function to initialize the node N3 to a high leve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s 1oDCB and 1oSBLL.

상기 전류미러형의 전류 공급회로(14)는 상기 P형 트랜지스터 T3와 접속되고 상기 비트라인 BL및 상기 데이터 감지라인 S0을 프리챠지하는 프리챠지 전류와 상기 비트라인들과 접속된 메모리 트랜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전류를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전류공급회로(14)는 전원공급전압 Vcc와 접지전압 Vss 사이에 P형 트랜지스터 T10의 소오스 드레인 통로와 병렬 접속된 P형 트랜지스터들 T11와 T12의 소오스 드레인 통로와 N형 트랜지스터들 T13, T14의 드레인 소오스 통로들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P형 트랜지스터들 T3, T12의 게이트들은 라인 Z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라인 Z0과 접지전원 Vss 사이에는 N형 트랜지스터 T15의 드레인 소오스통로가 접속되어 있다. N형 트랜지스터 T15와 P형 트랜지스터 T10의 게이트들은 프리챠지 제어신호 1oPRE와 접속된다. P형 트랜지스터 T12의 게이트와 드레인은 공통으로 접속되며 N형 트랜지스터 T13의 게이트는 기준전압 Vref이 접속된다. N형 트랜지스터 T14의 게이트는 센스앰프 활성화신호 1oSAE가 인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T14는 프리챠지 제어신호 1oPRE에 응답하여 라인 Z0를 접지전압 Vss로 풀다운시키고 이에 의해 P형 트랜지스터 T3는 온상태에 있기 때문에 비트라인 BL은 신속하게 프리챠지된다.The current mirror type current supply circuit 14 is connected to the P-type transistor T3 and precharges the precharge currents of the bit line BL and the data sensing line S0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bit lines. It serves to provide a sense current to sense. The current supply circuit 14 includes the source drain paths of the P-type transistors T11 and T1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ource drain path of the P-type transistor T10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the ground voltage Vss, and the N-type transistors T13 and T14. Drain source passages are connected in series. Gates of the P-type transistors T3 and T12 are connected through a line Z0, and a drain source passage of the N-type transistor T15 is connected between the line Z0 and the ground power supply Vss. Gates of the N-type transistor T15 and the P-type transistor T10 are connected to the precharge control signal 1oPRE. The gate and the drain of the P-type transistor T12 are commonly connected,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N-type transistor T13. The sense amplifier activation signal 1oSAE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N-type transistor T14. The transistor T14 pulls down the line Z0 to the ground voltage Vss in response to the precharge control signal 1oPRE, whereby the bit line BL is quickly precharged because the P-type transistor T3 is in the on state.

그후 라인 Z0는 센스앰프 활성화 신호 1oSAE에 응답하여 미리 예정된 전압 레벨로 되고 이에 의해 상기 P형 트린지스터 T3는 작게 온 상태로 되고 미소전류 Isense를 데이터 감지라인 S0상에 공급한다. 인버터들 G1, G2로 구성된 데이터 래치회로 G3에 저장된 데이터는 독출 제어신호 1oReadL에 응답하는 트라이스테이트 인버터 G4를 통하여 상기 컬럼선택회로(13)내의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 T9의 드레인으로 인가된다. 상기 트라이스테이트 인버터 G4의 입출력단자 사이에 N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소오스통로가 직렬로 접속되고 이의 게이트는 제어신호 SPB와 접속된다. 도면의 설명중 상기 하나의 비트라인 BL0에 접속된 페이지 버퍼(12)와, 입출력 패스부(15)와, 컬럼선택회로(13)가 설명되었는데 나머지 비트라인들 BL1 - BL511도 동일한 회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위 페이지버퍼(12B)와 상위 입출력 패스부(15B)는 상위 분리제어신호 1oSBLH에 응답하는 N형 트랜지스터 T5와, 상위버퍼래치신호 1oLatchH에 응답하는 N형 트랜지스터 T7와, 상위독출제어신호 1oReadH에 응답하는 트라이스테이트 인버터 G4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e Z0 is then at a predetermined voltage level in response to the sense amplifier activation signal 1oSAE, whereby the P-type transistor T3 is turned on small and supplies a small current Isense on the data sense line S0. Data stored in the data latch circuit G3 composed of inverters G1 and G2 is applied to the drain of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T9 in the column select circuit 13 through the tristate inverter G4 in response to the read control signal 1oReadL. A drain source passage of the N-type transistor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tristate inverter G4, and a gat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SPB.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age buffer 12, the input / output path unit 15, and the column selection circuit 13 connected to the one bit line BL0 have been described, but the remaining bit lines BL1 to BL511 are constituted by the same circuit. . The upper page buffer 12B and the upper input / output path unit 15B include an N-type transistor T5 in response to the upper isolation control signal 1oSBLH, an N-type transistor T7 in response to the upper buffer latch signal 1oLatchH, and upper read control. And a tristate inverter G4 responsive to the signal 1oReadH.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트라이스테이트 인버터의 상세회로도이다. 상기 트라이스테이트 인버터 G4는 P형 트랜지스터들 T16, 17과 N형 트랜지스터들 T18, T19로 구성되며, 상기 P형 트랜지스터 T17의 게이트와 상기 N형 트랜지스터 T18의 게이트를 통하여 상보 독출 제어신호와 독출 제어 신호 1oRead가 각각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출 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2), 독출 클럭회로(3) 그리고 순차적 독출제어회로(4)에 관한 상세 회로도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다. 상기 독출 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2)는 페이지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독출동작 제어신호 발생회로(16)와, 페이지 독출의 종료를 나타내는 독출종료신호 발생회로(17)와, 상기 접속된 페이지 버퍼(1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하는 버퍼제어신호 발생회로(1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독출클럭회로(3)는 제어신호 발생회로(40)와 감지및 래치 제어신호 발생회로(41)와 독출 제어신호 발생회로(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순차적 독출제어회로(4)는 카운트엎및 페이지 독출신호 발생회로(99)와 컬럼 어드레스 리셋신호 발생회로(1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 신호 타이밍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다.FIG.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tristate inverter shown in FIG. 3. The tri-state inverter G4 is composed of P-type transistors T16 and 17 and N-type transistors T18 and T19, and complementary read control signals through the gate of the P-type transistor T17 and the gate of the N-type transistor T18. And read control signal 1oRead are connected respectively.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the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 the read clock circuit 3, and the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shown in Figs. The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 includes a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16 indicating that the page is in operation, a read end signal generation circuit 17 indicating the end of page reading, and the connected page buffer 12. Is composed of a buffer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18 for generating signals for controlling < RTI ID = 0.0 > The read clock circuit 3 includes a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0, a sensing and latch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1, and a read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2. The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4 is composed of a count-down and page read signal generation circuit 99 and a column address reset signal generation circuit 100. 8 is an external signal timing diagram of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참조도면 도 2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작 컬럼 어드레스(start column address)가 '00h - FFh'로부터 입력될 경우 종래와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로부터 입력될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임의로 선택된 시작 컬럼 어드레스를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도 2에 도시된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20)를 통해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한다. 즉,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12)로 독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무관하게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여 외부로의 데이터 출력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및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12)로 연속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연속적으로 상기 두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안 상기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에 의해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데이터는 외부로 출력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8, when a start column address is input from '00h-FFh', it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but when the start column address is input from '100h-1FFh' as follows: It will work. Regardless of the time taken to output the arbitrarily selected start column address, the state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0 shown in FIG. Outputs That is, the time required for outputting the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to the outside is independent of the time required for read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to the corresponding page buffer 12. Status output signal R / of first level when present between '100h-1FFh' To limit the data output to the outside.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rt column address and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are successively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page buffer 12. At this time, the state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while continuously transfer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two addresses. As a result,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is not output to the outside.

도 9에 도시된 동작 타이밍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timing diagram shown in FIG.

먼저 시간 M0 - M1 사이의 기간은 독출동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기간이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명령 레지스터로부터의 독출동작 모드임을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 신호 SGSR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한다. 이어서, 시간 M1과 M2 사이의 기간은 컬럼 어드레스와 로우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구간이다. 마지막 어드레스가 입력되면 메모리 셀에 대한 페이지 독출동작의 활성화 신호인 어드레스 래치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짧은 기간동안 토글링되며, 이에 의해 페이지 독출동작중임을 나타내는 독출동작신호 Rop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하게 된다. 이때 입력된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이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 Srdh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한다. 페이지 독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신호 Rop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어떤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상태출력신호 R/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First, the time period between M0 and M1 is a period for inputting a command for a read operation, and the flag signal SGSR indicating the read operation mode from a command register existing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ransitions from low level to high level. do. Then, the period between the times M1 and M2 is a section for inputting the column address and the row address. When the last address is input, the address latch enable signal, which is an activation signal of the page read operation for the memory cell. Is toggled for a short period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whereby the read operation signal Rop indicating that the page read operation is in progress transitions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At this time, if the input column address is 100h-1FFh, the signal Srdh indicating this transitions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When the signal Rop, which indicates the page read operation, transitions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the status output signal R / indicating that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operating. Transitions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비트라인들 BL0 - BL511을 D형 트랜지스터 T1의 차단전압레벨 이하로 유지시키는 비트라인 제어신호 BLctl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을 방전및 도 3에 도시된 페이지 버퍼(12)를 설정하는 클럭신호들 1oSBLL, 1oSBLH, 1oDCB이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일정기간동안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도 3의 N형 트랜지스터 T4, T5를 통해 모든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이 그라운드 레벨로 방전되고, 상기 각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연결된 페이지 버퍼(12)가 모두 설정된다. 이때, 페이지 독출동작시 한 페이지를 구성하는 페이지 버퍼(12)중 상기 하위 메모리 셀 어레이(12A)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비트라인들 BL0 - BL255에 접속된 하위페이지 버퍼(12A)와 상기 상위 메모리 셀 어레이(1B)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비트라인들 BL256 - BL511에 접속된 상위페이지 버퍼(12B)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상위버퍼 제어신호와 하위버퍼 제어신호는 모두 하이 레벨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비트라인들의 방전및 상하위 페이지 버퍼들(12A, 12B)중 하나에 대한 설정이 종료되면, 프리챠지 제어신호 1oPRE및 센스앰프 활성화 신호 1oSAE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된다.Therefore, the bit line control signal BLctl for keeping the bit lines BL0-BL511 shown in FIG. 3 below the blocking voltage level of the D-type transistor T1 is transitioned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The clock signals 1oSBLL, 1oSBLH, and 1oDCB for discharging the bit lines BL0 to BL511 and setting the page buffer 12 shown in FIG. 3 are activated from a low level to a high level for a period of time. Accordingly, all of the bit lines BL0 to BL511 are discharged to the ground level through the N-type transistors T4 and T5 of FIG. 3, and the page buffer 12 connected to each of the bit lines BL0 to BL511 is set. At this time, the lower page buffer 12A connected to the bit lines BL0 to BL255 selected by the address for selecting the lower memory cell array 12A from among the page buffers 12 constituting one page during the page read operation. Upper buff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upper page buffer 12B connected to bit lines BL256 to BL511 selected by an address for selecting the upper memory cell array 1B. And lower buffer control signal All remain high level. When the discharge of the bit lines and the setting of one of the upper and lower page buffers 12A and 12B are finished, the precharge control signal 1oPRE and the sense amplifier activation signal 1oSAE transition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이로 인해,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연결된 P형 트랜지스터 T3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로우 레벨로 되어 다량의 전류가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각각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은 D형 트랜지스터 T1의 차단전압레벨로 프리챠지되고, 데이터 감지라인들 S0 - S511은 전원전압레벨로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의 프리챠지가 충분하게 수행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트라인 프리챠지신호 1oPRE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어 비활성화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모든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연결된 P형 트랜지스터 T3의 게이트전압이 로우 레벨에서 일정한 전압레벨로 상승하게되어 미소전류 Isense만을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전류공급회로(14)내의 N형 트랜지스터 T13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기준전압 Vref은 항상 일정한 레벨로 유지된다. 이로서, 상기 차단전압레벨로 프리챠지된 비트라인들 BL0 - BL511은 상기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각각 연결되고 도 2에 도시된 로우 디코더(7)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의해 그라운드 레벨로 빠져나가는 전류가 비트라인들 BL0 - BL511에 유입된 미소전류 Isense보다 클경우에는 그라운드 레벨로 되고, 작을 경우에는 차단전압레벨로 되어 각 데이터 감지라인 Si(i = 0 - 511)이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에 따라 전원전압 또는 그라운드 레벨이 된다.As a result,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of the P-type transistor T3 connected to the bit lines BL0 to BL511 becomes low, and a large amount of current is applied to the bit lines BL0 to BL511,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it lines BL0 to BL511 are precharged to the blocking voltage level of the D-type transistor T1, and the data sensing lines S0 to S511 are at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As described above, after sufficient precharging of the bit lines BL0 to BL511 is performed, as illustrated in FIG. 9, the bit line precharge signal 1oPRE transitions from a high level to a low level and becomes inactive. As a result, the gate voltage of the P-type transistor T3 connected to all of the bit lines BL0 to BL511 increases from a low level to a constant voltage level, thereby supplying only the microcurrent isense to the bit lines BL0 to BL511. At this time, the reference voltage Vref applied to the gate of the N-type transistor T13 in the current supply circuit 14 shown in FIG. 3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Thus, the bit lines BL0 to BL511 precharged to the blocking voltage level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it lines BL0 to BL511 and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memory cell selected by the row decoder 7 shown in FIG. 2. If the current drawn to the ground level by the cell is greater than the microcurrent isense introduced into the bit lines BL0-BL511, it is at ground level, and if it is small, it is at the cutoff voltage level and each data sensing line Si (i = 0-511). ) Becomes the power supply voltage or ground level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selected memory cell.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에 따라 각 데이터 감지라인 Si의 전압레벨이 결정되어지면, 판독된 데이터를 페이지 버퍼(12)로 저장시키는 하위및 상위버퍼 래치신호 1oLatchL, 1oLatchH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그러면,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에 의해 상기 데이터 감지라인 SOi이 전원전압 레벨(오프 셀의 독출일 경우)인 페이지 버퍼(12)는 상기 N형 트랜지스터들 T6, T7이 모두 턴-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페이지 버퍼(12)의 상태가 반전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감지라인 SOi이 그라운드 레벨(온 셀일 경우)인 상기 페이지 버퍼들(12)은, 상기 N형 트랜지스터 T7는 턴-온되었지만,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 T6가 턴-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페이지 버퍼(12)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판독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가 상기 페이지 버퍼(12)에 저장되면, 판독된 데이터를 페이지 버퍼(12)로 저장하기 위한 상기 하위및 상위버퍼 래치신호 1oLatchL, 1oLatchH와 센스앰프 활성화 신호 1oSAE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어 비활성화된다.When the voltage level of each data sensing line Si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selected memory cell, the lower and upper buffer latch signals 1oLatchL and 1oLatchH for storing the read data into the page buffer 12 are activated from low level to high level. do. Then, the page buffer 12 in which the data sensing line SOi is at the power supply voltage level (when the off-cell readout) is turned on by the data of the selected memory cell, since the N-type transistors T6 and T7 are all turned on. The state of the page buffer 12 is reversed. On the other hand, the page buffers 12 having the data sensing line SOi at the ground level (on the cell) have the page buffer 12 because the N-type transistor T7 is turned on, but the NMOS transistor T6 is turned off. The state of the buffer 12 is maintained as it is. When data of the memory cell read in this manner is stored in the page buffer 12, the lower and upper buffer latch signals 1oLatchL, 1oLatchH and sense amplifier activation signals 1oSAE for storing the read data into the page buffer 12. Transitions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and becomes inactive.

상기 센스앰프 활성화 신호 1oSAE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함에 따라 상기 트라이스테이트 인버터 G4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상하위 독출 제어신호들 1oReadL,, 1oReadH,을 활성화시키는 구동신호 1oRcyen가 로우 레벨에서 일정기간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이에 의해, 상기 상하위 독출 제어신호들 1oReadL,, 1oReadH,이 활성화되어, 외부의 출력신호에 의한 페이지버퍼(12)의 데이터 출력이 가능하게 되며 메모리 셀에 대한 페이지 독출 동작이 1회 이상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카운트신호 Gsrst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한다. 페이지 독출시 상위 컬럼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비트라인에 연결된 페이지버퍼(12)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상위버퍼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 그리고, 페이지 독출 동작의 종료를 나타내는 독출종료신호 1oSfin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짧은 기간동안 활성화된다. 페이지 독출 동작의 종료신호 1oSfin가 토글되면 페이지 독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독출동작신호 Rop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며, 비트라인 레벨을 디플리숀 트랜지스터 T1의 차단전압레벨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한 신호 BLctl이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된다.Upper and lower read control signals 1oReadL for activating the tristate inverter G4 as the sense amplifier activation signal 1oSAE transitions from a high level to a low level; , 1oReadH, The driving signal 1oRcyen that activates the signal is activated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for a certain period.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read control signals 1oReadL, , 1oReadH, Is activated, data output of the page buffer 12 is enabled by an external output signal, and the count signal Gsrst, which indicates that the page read operation to the memory cell has been performed one or more times, transitions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Upper buffer control signal that controls the activation of the page buffer 12 connected to the bit line selected by the upper column address signal when the page is read. Transitions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Then, the read end signal 1oSfin indicating the end of the page read operation is activated for a short period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When the end signal 1oSfin of the page read operation is toggled, the read operation signal Rop indicating the page read operation is transitioned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and the signal BLctl for maintaining the bit line level below the blocking voltage level of the depletion transistor T1. This transition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어떤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상태출력신호 R/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어 외부의 출력 신호에 의한 데이터 출력이 가능해졌음을 표시한다. 또한 페이지 독출동작중임을 나타내는 독출동작신호 Rop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면 쇼트펄스신호 Ropdis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임을 나타내는 신호 Srdh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 한편, 로우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 신호 XCNTup이 로우 레벨에서 일정기간동안 하이 레벨로 1회 토글되어 로우 어드레스를 증가시켜 다음 페이지(n + 1)(여기서, n은 양의 정수)가 선택되도록 한다. 이후, 페이지 독출의 또다른 활성화 신호 1oRen이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토글되어 페이지 독출동작임을 나타내는 신호 Rop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다시 천이되며, (n + 1)번째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독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n + 1)번째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독출 동작을 수행시 상위 컬럼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비트라인에 연결된 페이지 버퍼(1/2)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신호가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상위 컬럼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비트라인에 연결된 페이지 버퍼(1/2 페이지)는 (n + 1)번째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독출 동작에 의해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하위 컬럼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되는 비트라인에 연결된 페이지 버퍼(나머지 1/2 페이지)에만 판독된 (n + 1)번째 페이지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상위및 하위 컬럼 어드레스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의 저장 동작은 '반도체 메모리의 독출 방법및 장치, 출원번호 P95-32483'에 기재되어 있는 동작 설명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Status output signal R / indicating that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operating Transitions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indicating that data output by an external output signal is enabled. In addition, when the read operation signal Rop indicating the page read operation is transitioned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the short pulse signal Ropdis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signal Srdh indicating that the start column address is 100h-1FFh is transitioned from the high level to the low level.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XCNTup, which increases the row address, is toggled once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increase the row address so that the next page n + 1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is selected. Thereafter, another activation signal 1oRen of the page read is toggled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so that the signal Rop transitions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again, and performs the page read operation for the (n + 1) th page. Perform. Signal for controlling the activation of the page buffer 1/2 connected to the bit line selected by the upper column address when performing a page read operation for the (n + 1) th page. Since is low level, the page buffer (1/2 page) connected to the bit line selected by the upper column address is not affected at all by the page read operation for the (n + 1) th page. The read data of the (n + 1) th page is stored only in the page buffer (the other half page) connected to the bit line selected by the lower column address. The operation of storing the data read by the upper and lower column addresses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described i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Semiconductor Memory, Application No. P95-32483', and thus will be omitted here.

이때,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어떤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상태출력신호 R/는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한편, (n + 1)번째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독출동작이 수행되는 것과 동시에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어떤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상태출력신호 R/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외부의 데이터 출력 신호에 의한 데이터 출력이 가능해졌음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데이터 출력 신호의 토글에 의해 컬럼 어드레스는 하나씩 증가되면서 연속적이며 순차적인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게된다. 그러나, 임의로 선택된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임의로 선택된 시작 컬럼 어드레스를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12)로 독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무관하게 도 2에 도시된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20)를 통해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여 외부로의 데이터 출력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및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12)로 연속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연속적으로 두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안 상기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에 의해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데이터는 외부로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제한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독출 동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tus output signal R / indicating that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operating.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On the other hand, while the page read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n + 1) th page, the status output signal R / indicating that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operating.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indicating that data output by an external data output signal is enabled. Accordingly, the external data output signal The column address is incremented by one to enable continuous and sequential data output. However, when a randomly selected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100h-1FFh',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time required to output the arbitrarily selected start column address, the time required to output the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to the outside i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to the page buffer 12 corresponding thereto. Regardless of the time required for reading, the state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is provided through the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0 shown in FIG. To limit the data output to the outside.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rt column address and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are successively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page buffer 12. At this time, the state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while transferring data corresponding to two addresses consecutively. As a result,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is not output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restriction of the start column address input by the above operation can be remov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ad operation can be improved.

상술한 바와같이, 연속적인 데이터 독출 동작 모드에서 다음 페이지에 대한 페이지 독출 동작시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통해 상태출력신호를 입력된 시작 컬럼 어드레스에 따라 제어함으로서 연속적인 데이터 독출 동작시 발생한 컬럼 어드레스의 입력 제한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입력된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연속적으로 시작 컬럼 어드레스와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페이지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페이지 버퍼로 전달하며 이 기간 동안 상기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통해 외부로의 데이터 출력을 방지한다. 이로서, 입력 어드레스의 제한 요인에 따른 불필요한 컬럼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 출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데이터 독출 동작시 독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속적인 데이터 독출 동작이 특별한 명령 세팅에 의해 수행되지 않고 독출 명령 세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오버헤드를 감소시켜 전체적인 메모리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lumn address generated during the continuous data read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status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tart column address through the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during the page read operation for the next page in the continuous data read operation mode. You can remove the input restriction of. That is, when the input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100h-1FFh', data corresponding to the start column address and the next page of the start column address are successively transferred to a page buffer, and the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during this period. To prevent data output to the outside. As a result, data output for unnecessary column addresses due to the limiting factor of the input address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read performance can be improved during the continuous data read operation. Further, the continuous data read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read command setting rather than by the special command setting, thereby reducing the overhead of the system controll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overall memory device.

Claims (1)

다수의 워드라인들(BL0 - BL511)과 상기 다수의 워드 라인들(BL0 - BL511)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메모리 셀들(M0 - M16)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셀들(M0 - M16)과 접속된 다수의 비트라인들(BL0 - BL511)을 통하여 일시에 독출하기 위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Data stored in the plurality of word lines BL0 to BL511 and the plurality of memory lines M0 to M16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ord lines BL0 to BL511 may be connected to the memory cells M0 to M16.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ading out at one time through a plurality of bit lines BL0 to BL511, 상기 다수의 비트라인들(BL0 - BL511)중 미리 예정된 수의 제 1 그룹의 비트라인들(BL0 - BL255)과 나머지의 제 2 그룹의 비트라인들(BL256 - BL511)과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 1및 제 2 그룹의 비트라인들(BL0 - BL255, BL256 - BL511)상의 독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및 제 2 그룹 페이지 버퍼(12A, 12B)와;A first predetermined number of bit lines BL0-BL255 of the plurality of bit lines BL0-BL511 and the remaining second group of bit lines BL256-BL511,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group page buffers 12A and 12B for storing read data on the second group of bit lines BL0 to BL255 and BL256 to BL511; 데이터 독출 기간중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독출 인에이블 신호()와 소정의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1oFsay)을 입력 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1oFsay)을 카운트엎하는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8)와;The read enable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the data read period ( A column address counter 8 which receives predetermined column address signals 1oFsay and counts the column address signals 1oFsay in response thereto; 상기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8)로부터의 카운트엎된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1oFsay)을 감지하여 다음 페이지 독출의 활성화를 위한 컬럼 어드레스 감지신호(Hsay)와 컬럼 종료 신호(Fsay)를 출력하는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11)와;A column address sensing circuit which senses the counted column address signals 1oFsay from the column address counter 8 and outputs a column address detection signal Hsay and a column end signal Fsay for activating next page reading. (11); 상기 컬럼 어드레스 카운터(11)로부터 카운트엎되는 컬럼 어드레스 신호들(1oFsay)을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및 제 2 그룹 페이지 버퍼(12A, 12B)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입출력 버퍼(10)로 전송하기 위한 소정 신호들을 출력하는 컬럼 디코더(9)와;In response to the column address signals 1oFsay counted down from the column address counter 11,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group page buffers 12A and 12B are transferred to the data input / output buffer 10. A column decoder 9 for outputting predetermined signals for transmission;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11)로부터 출력된 컬럼 어드레스 감지신호(Hsay)및 컬럼 종료 신호(Fsay)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시작 어드레스 신호(Srdh)를 입력 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컬럼 시작 신호(1oFsay)및 페이지 독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독출 인에이블 신호(1oRen)를 출력하는 순차적 독출 제어회로(4)와;The column address detection signal Hsay and the column end signal Fsay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detection circuit 11 and the start address signal Srdh applied from the outside are received and, in response, the column start signal 1oFsay. And a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4 for outputting a read enable signal 1oRen for activating page reads; 상기 순차적 독출 제어회로(4)로부터 출력된 독출 인에이블 신호(1oRen)와 소정 독출 종료 신호(1oSfin) 그리고 페이지 독출을 활성화시키는 어드레스 래치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하위 버퍼 제어신호(,)및 독출 동작 신호(Rop)를 출력하는 독출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2)와;The read enable signal 1oRen and the predetermined read end signal 1oSfin outputted from the sequential read control circuit 4 and the address latch enable signal for activating page read ( ), And in response to the upper and lower buffer control signal ( , And a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 for outputting a read operation signal Rop; 상기 독출클럭 제어신호 발생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상하위 버퍼 제어신호(,)및 독출 동작 제어신호(Rop)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라인의 프리챠지 동작과 데이터의 저장동작및 상기 입출력 버퍼(10)로의 데이터 전송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및 상기 독출 종료 신호(1oSfin)를 출력하는 독출클럭회로(3)와;Upper and lower buffer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read clock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2 ( , And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a precharge operation of the bit line, a data storage operation, and a data transfer operation to the input / output buffer 10 in response to the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Rop. A read clock circuit 3 for outputting a signal 1oSfin; 상기 컬럼 어드레스 감지회로(11)와 독출클럭 제어회로(2)로부터 각각 출력된 독출 동작 제어신호(Rop)와 컬럼 종료 신호(Fsay)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00h - 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제 2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며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가 '100h - 1FFh' 사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및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다음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메모리 셀 어레이(1)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페이지 버퍼(12)로 전달하는 동안 상기 시작 컬럼 어드레스의 페이지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레벨의 상태출력신호 R/를 출력하는 상태출력 제어신호 발생회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The read operation control signal Rop and the column end signal Fsay respectively output from the column address sensing circuit 11 and the read clock control circuit 2 are received, and in response thereto, the start column address is '00h-FFh'. 'Present in the second level status output signal R / If the start column address exists between '100h-1FFh', the page buffer corresponding to the start column address and the p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xt address of the start column address are sequentially stored in the memory cell array 1. Status output signal R / of the first level for preventing the page data of the start column address from being output to the outside during the transfer to (12). And a stat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ing circuit (20) for outputting the same.
KR1019960044095A 1996-10-05 1996-10-05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05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095A KR100205789B1 (en) 1996-10-05 1996-10-05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095A KR100205789B1 (en) 1996-10-05 1996-10-05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809A KR19980025809A (en) 1998-07-15
KR100205789B1 true KR100205789B1 (en) 1999-07-01

Family

ID=1947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095A KR100205789B1 (en) 1996-10-05 1996-10-05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78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809A (en)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419B1 (en) Reading method and device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US6717857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cache function and program, read, and page copy-back operations thereof
US6922359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lowing high speed data transfer
KR100553680B1 (en) Memory devices with page buffer having dual regiater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638326A (en) Parallel page buffer verify or read of cells on a word line using a signal from a reference cell in a flash memory device
EP0776012B1 (en) Data read circuit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865112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one page is set for a plurality of memory cell arrays
US7577059B2 (en) Decoding control with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in page erase function
KR101036720B1 (en) Method of operating a non volatile memory device
US7102928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7535775B2 (en) Page buffer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same i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US20070136513A1 (en) Multilevel storag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nabling high-speed data reading and high-speed data writing
US591490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8321195A (en) Data readout circuit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JP2006190444A (en) Nan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gramming same
KR100558482B1 (en) Read Only Memory Device
JPH10125083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enables simultaneous execution of single-bit cell and multi-bit cell operations
EP0913834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EP0448118A2 (en) Differential cell-type EPROM incorporating stress test circuit
KR940005694B1 (en) Program optimization circuit and method of eeprom
KR20170047152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8090998A (en) Flash memory element and its reading method
KR100205789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05788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9326199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