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770B1 - Hydrolic elevater - Google Patents

Hydrolic elev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770B1
KR100205770B1 KR1019910009258A KR910009258A KR100205770B1 KR 100205770 B1 KR100205770 B1 KR 100205770B1 KR 1019910009258 A KR1019910009258 A KR 1019910009258A KR 910009258 A KR910009258 A KR 910009258A KR 100205770 B1 KR100205770 B1 KR 10020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detecting
fluid
cylind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00598A (en
Inventor
이찌로 나까무라
하루오 와다나베
가쓰하루 슈도
에이이찌 사사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2000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7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유체압 엘리베이터는 케이지의 변위와 가속도를 검출하여,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실린더는 케이지의 변위와 가속도의 귀환신호에 의해 제어된다.The hydraulic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of the cage, and the cylinder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ge of the hydraulic elevator is controlled by the feedback signal of the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of the cage.

Description

유체압 엘리베이터Hydraulic elevator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fluid pressur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는 승차시에 있어서의 제 1도의 엘리베이터의 특성도.FIG. 2A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elevator of FIG. 1 at the time of boarding. FIG.

제2b도는 하차시에 있어서의 제 1도의 엘리베이터의 특성도.FIG. 2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elevator of FIG. 1 at the time of getting off.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치보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sition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a도는 승차시에 있어서의 변위귀환제어에 의한 위치보정을 이용하는 제3도의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특성도.Fig. 4A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fluid pressure elevator in Fig. 3 using position correction by displacement feedback control at the time of boarding.

제4b도는 하차시에 있어서의 변위귀환제어에 의한 위치보정을 이용하는 제3도의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특성도.4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fluid pressure elevator in FIG. 3 using position correction by displacement feedback control at the time of getting off.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circuit of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a도는 본원 발명의 보정이 없는 경우의 제어특성도.6A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when there is no correction of this invention.

제6b도는 본원 발명의 제어특성도6b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위치보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position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a도, 제8b도, 제8c도는 각각 위치보정장치의 배치를 설명하는 블록도.8A, 8B, and 8C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respectively.

제9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위치보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position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0a도는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에 사용되는 오버랩밸브(over lap valve)의 제어특성도.Figure 10a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overlap valve (over lap valve) used 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b도는 제10a도에 도시된 특성에서의 제어지령과 유량간의 특성도.FIG. 10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betwee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flow rate in the characteristic shown in FIG. 10A. FIG.

제11a도는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에 사용되는 오버랩밸브가 오버랩양에 있어서 불균일 상태일 때의 오버랩밸브의 제어특성도.Fig. 11A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of an overlap valve when the overlap valve used 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even in the amount of overlap.

제11b도는 제11a도에 도시된 특성에서의 제어지령과 유량간의 특성도.FIG. 11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betwee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flow rate in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11A. FIG.

제12a도는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에 사용되는 오버랩밸브가 오버랩양에 있어서 심한 불균일 상태일 때의 오버랩밸브의 제어특성도.Fig. 12A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of an overlap valve when the overlap valve used 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verely uneven in the amount of overlap.

제12b도는 제12a도에 도시된 특성에서의 제어지령과 유량간의 특성도.FIG. 12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between a control command and a flow rate in the characteristic shown in FIG. 12A. FIG.

제13a도는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에 사용되는 오버랩밸브의 불균일에 의한 불안정영역이 작게될 때의 오버랩밸브의 제어특성도.13A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of an overlap valve when the unstable region due to non-uniformity of the overlap valve used 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제13b도는 제13a도에 도시된특성에서의 제어지령과 유량간의 특성도.FIG. 13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betwee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flow rate in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FIG. 13A. FIG.

제14a도는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에 사용되는 오버랩밸브의 불균일에 의한 불안정영역이 디서(dither)신호에 의해 보정될 때의 오버랩밸브의 제어특성도.Fig. 14A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of an overlap valve when the unstable region due to non-uniformity of the overlap valve used 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rrected by a dither signal.

제14b도는 제14a도에 도시된 특성에서의 제어지령과 유량간의 특성도.14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between a control command and a flow rate in the characteristic shown in FIG. 14A.

제15a도는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에 사용되는 오버랩밸브의 불균일에 의한 불안정영역이 디서신호를 이용하여 작게될 때의 오버랩밸브의 제어특성도.Fig. 15A is a control characteristic diagram of an overlap valve when the unstable region due to non-uniformity of the overlap valve used 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by using a dither signal.

제15b도는 제15a도에 도시된 특성에서의 제어지령과 유량간의 특성도.FIG. 15B is a characteristic diagram betwee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flow rate in the characteristic shown in FIG. 15A. FIG.

제16a도, 제16b도, 제16c도는 각각 본원 발명의 다른 위치보정방법을 설명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다른 특성도.16A, 16B, and 16C are different characteristic diagrams of a fluid pressure elevator, each illustrating another position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유체압실린더 2 : 제어밸브1: fluid pressure cylinder 2: control valve

3 : 위치보정장치 10 : 케이지3: position correction device 10: cage

30a, 30b : 제어밸브 31a : 펌프30a, 30b: control valve 31a: pump

31b : 모터 35 : 어큐뮬레이터31b: motor 35: accumulator

36 : 압력스위치 60 : 주유체압유니트36: pressure switch 60: main fluid pressure unit

본원 발명은 정지시에 있어서의 케이지의 부상(浮上) 및 침하(沈下)의 보정수단을 구비한 유체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pressure elevator including a means for correcting the rise and fall of a cage at rest.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정지시에 승객의 승강에 의해서 케이지가 침하 또는 부상한다.When the hydraulic elevator stops, the cage sinks or floats due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ssengers.

이 케이지의 부상 또는 침하를 보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케이지가 일정량이상 부상 또는 침하했을 때,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 주유체압유니트를 저속으로 동작시켜서 보정하든가, ON-OFF 밸브를 동작시켜서 압유를 공급 또는 배출하든가, 또는 기계적으로 케이지의 위치를 검출하여 피드백하여 기계-유압적으로 서보를 구성하여 보정하든가 하고 있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juries or settlements of the cages, when the cages are injured or settled for a certain amount,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that drives the elevator is operated at low speed, or the ON-OFF valve is operated to supply or discharge the pressurized oil.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age was mechanically detected and fed back to configure and correct the servo mechanically and hydraulically.

또한, 이 종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보정수단에 관한 제안으로서는 다음과 같다.Moreover, as a proposal regarding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of this kind of elevator, it is as follows.

1973년 8월 25일자의 일본국 특공소 48(1973)-27816호 공보의 "유체압 엘리베이터용 레벨유지장치"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오버랩(overlap)밸브를 사용하는 제 1도의 레벨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밸브 자체의 응답성이 불충분하므로, 이 특허의 장치는 케이지의 부상 및 침하의 보상에 대한 응답성에 결점이 있다.Level control device of FIG. 1 using an overlap valve equipped with a solenoid valve is included in the "Level maintenance device for fluid pressure elevators" of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48 (1973) -27816 of August 25, 1973. Is disclosed. However, since the responsiveness of the solenoid valve itself is insufficient, the device of this patent has a drawback in the responsiveness to compensation of the injury and settlement of the cage.

1975년 3월 19일자의 일본국 특공소 50(1975)-6944호 공보의 "유압압축 보정장치를 구비한 유체압 엘리베이터"에는 압유를 실린더에 공급 및 배출하는 피봇밸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피봇밸브는 압유를 실린더로 공급하여 유체압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neumatic Elevator with Hydraulic Compression Compensation Device"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50 (1975) -6944 of March 19, 1975 discloses a pivot valve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hydraulic oil to a cylinder. The valve is to supply the hydraulic oil to the cylinder to drive the hydraulic elevator.

일본국 특공소 50(1975)-6944호 공보의 유체압 엘리베이터는 유체압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급유시스템이 복잡하다는 결점이 있다. 1976년 10월 20일 일본국 특공소 51(1976)-38136호 공보의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하중보정장치"에는 제 2도의 유체압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의 압유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압유시스템도 역시 구조가 복잡하다는 결점이 있다.The hydraulic elevator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50 (1975) -6944 has a drawback that the oil supply system for driving the hydraulic elevator is complicated. A cylinder oil pressure system for driving a fluid pressure elevator of FIG. 2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1 (1976) -38136 of October 20, 1976. However, this hydraulic oil system also has the drawback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1976년 11월 18일자의 일본국 특공소 51(1976)-42826호 공보의 "유압장치에서의 정지위치보정장치"에는 제 1 도의 유체압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의 압유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도 시스템구조가 복잡하다는 결점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51 (1976) -42826, filed November 18, 1976, discloses a hydraulic pressure system of a cylinder for driving the hydraulic elevator of FIG. However, this device also has the drawback that the system structure is complicated.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응답성 및 구조상의 결점이 있다.Conventional elevators have responsiveness and structural drawbacks as described above.

본원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케이지의 위치를 응답성이 양호하고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의 유체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ituation,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fluid pressure elevator of the responsiveness and the correction of a high precision, and a simple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케이지의 정지시에 케이지의 부상 및 침하에 따라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실린더에 공급 또는 이로부터 배출되는 압력유체의 양을 귀환제어하여 케이지의 부상 및 침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rrects the rise and fall of the cag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ressure fluid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based on the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the cage when the cage is stopped. Characterized in that.

또, 케이지의 부상 및 침하의 보정에 대한 제어신호로 이용되는 신호는 케이지의 변위, 케이지에 작용하는 가속도, 하중신호, 또는 케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유체압 실린더의 압력신호이다.The signal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correction of the rise and settle of the cage is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the acceleration acting on the cage, the load signal, or the pressure signal of the fluid pressure cylinder for driving the cage.

또한, 실린더에 가해지는 압력유체의 유량제어장치에 사용되는 제어밸브는 오버랩밸브(overlap valve)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valve used in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of the pressure fluid applied to the cylinder is an overlap valve.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를 주체로 하는 본원 발명의 제어장치의 유체압원과 제어밸브를 조합함으로써, 고응답이고 고정밀도의 제어가 가능한 유체압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어지령이 되는 신호로서, 케이지의 변위만이 아니라 케이지의 가속도, 실린더의 압력 또는 케이지의 하중의 변화를 각각 검출하여, 제어밸브를 동작하게 하는 신호로 함으로써,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의 응답성과 안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케이지의 위치의 원활한 보정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by combining the fluid pressure source and the control valve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osed of the accumulator, a fluid pressure circuit capable of high response and high precision control can be formed. In addition, as a signal for the control command, not only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but also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or the change of the load of the cage are detected and used as a signal for operating the control valve. Responsiveness and stability are remarkably improved, and the position of the cage can be smoothly corrected.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drawing.

제1도는 본원 발명의 대상이 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일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유체압 실린더(1)에 공급 또는 이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유체의 유량을 제어밸브(2)의 개도 또는 유체압펌프(6)의 회전수에 의해 제어하고, 유체압 실린더(1)의 플런저(1a)의 속도 즉 케이지(10)의 상승 또는 하강속도(실린더(1)의 플런저(1a)와 케이지(10)는 풀리(1b), 로프(1c)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음)를 압력유체의 유량에 의해 제어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fluid pressure elevator that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of the high pressure fluid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fluid pressure cylinder 1 is controlled by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trol valve 2 or the rotation speed of the fluid pressure pump 6, and the plunger 1a of the fluid pressure cylinder 1 is controlled. ), That is, the rate of rise or fall of the cage 10 (the plunger 1a and the cage 10 of the cylinder 1 are coupled through the pulley 1b and the rope 1c) to the flow rate of the pressure fluid. Controlled by us.

제어밸브(2)는 메인밸브(20), 파일롯밸브(21a), (21b)로 구성되며, 파일롯밸브(21a)는 메인밸브(20)를 여는데 사용되고, 파일롯밸브(21b)는 메인밸브(20)를 닫는데 사용된다. 제어밸브(2)는 케이지 (10)의 상승시에는 체크밸브의 작용을 하고, 하강시에는 유량제어밸브의 작용을 하여, 케이지(10)의 위치 유지와 원활한 상승 및 하강의 가속을 행한다.The control valve 2 is composed of a main valve 20, pilot valves 21a, 21b, the pilot valve 21a is used to open the main valve 20, the pilot valve 21b is the main valve ( 20) is used to close. The control valve 2 acts as a check valve when the cage 10 is raised, and acts as a flow control valve when descending, thereby accelerating the position maintenance of the cage 10 and the smooth rise and fall of the cage.

펌프(6)는 모터(7)로 구동되고, 케이지(10)의 상승시에는 정회전, 하강시에는 역회전의 회전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유량제어를 행한다. 릴리프밸브(4)와 흡입밸브(5)는 유체압회로의 안전장치이다. 즉 릴리프밸브(4)는 메인벨브(40), 파일롯릴리프밸브(41), 파일롯전환밸브(42)로 구성되고, 파일롯릴리프밸브(41)로 릴리프압을 설정하고, 기계적 스토퍼(40d)와 파일롯전환밸브(42)로 언로드압을 설정한다. 여기서, 유체온도가 저하하여 유체의 점도가 높아지면 속도특성이 저하하여 승차감이 악화되므로, 상기한 결점을 방지하려면 유체온도를 소정치로 되지 않도록 유지할 필요가 있다. 흡입밸브(5)는 제어밸브(2)와 펌프(6)의 사이의 유로가 진공이 되면 탱크(9)로부터 펌프(6)로 유체를 보충하기 위해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이 유로가 진공이 되어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발생하고, 캐비테이션의 발생에 따라 기기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pump 6 is driven by the motor 7, and the flow rat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forward rotation when the cage 10 rises and reverse rotation when the cage 10 rises. The relief valve 4 and the suction valve 5 are safety devices of the fluid pressure circuit. That is, the relief valve 4 is composed of the main valve 40, the pilot relief valve 41, the pilot switching valve 42, the relief pressure is set by the pilot relief valve 41, the mechanical stopper 40d and the pilot The unloading pressure is set by the selector valve 42. In this case, when the fluid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viscosity of the fluid is increased, the speed characteristic is lowered and the riding comfort is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fluid temperature at a predetermined value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defect. The intake valve 5 is arranged to replenish the fluid from the tank 9 to the pump 6 when the flow path between the control valve 2 and the pump 6 becomes a vacuum. As a result, the flow path becomes a vacuum to generate cavitat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device due to the cavitation.

제어장치(12)는 케이지(10)나 홀(hall)로부터의 호출 또는 기타의 지령에 응답하고, 각종 센서류로부터의 정보도 입력하며, 상기 센서는 케이지위치검출장치(13)에 연결된 로타리엔코더(13d), 펌프(6)의 출구파이프(101)에 연결된 압력센서(15d), 실린더(1)로의 유로(100)에 연결된 압력센서(15e)로 구성된다. 케이지위치검출장치(13)는 풀리(13a), (13b)와 로프(13c)로 구성된다. 제어장치(12)는 인버터(11)를 통해서 모터(7)를 구동하는 동시에, 밸브(21a), (21b) 및 파일롯전환밸브(42)를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12 responds to the call from the cage 10 or the hall or other commands, inputs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the sensor is connected to a rotary encoder 13 connected to the cage position detecting device 13. 13d), a pressure sensor 15d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101 of the pump 6, and a pressure sensor 15e connected to the flow path 100 to the cylinder 1. The cage position detecting device 13 is composed of pulleys 13a and 13b and a rope 13c. The controller 12 drives the motor 7 through the inverter 11 and controls the valves 21a, 21b and the pilot switching valve 42.

(9)는 탱크를 나타내며, 필터(8)가 탱크(9)와 펌프(6) 사이에 배치된다.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tank, and a filter 8 is disposed between the tank 9 and the pump 6.

다음에, 제 1도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1 will be described.

(1) 상승 :(1) Rise:

지령에 대응하여 제어장치(12)는 인버터 (11)를 통해서 모터(7), 즉 펌프 (6)를 구동한다. 펌프 (6)의 회전수가 서서히 증가하면, 펌프(6)로부터 제어밸브(2)에의 유량이 증대하고, 제어밸브(2)를 밀어 열고, 고압유체는 실린더(1)에 공급된다.In response to the command, the control device 12 drives the motor 7, that is, the pump 6, through the inverter 11.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pump 6 gradually increases, the flow volume from the pump 6 to the control valve 2 increases, the control valve 2 is pushed open, and the high pressure fluid is supplied to the cylinder 1.

이로 인해 케이지(10)는 상승가속된다. 케이지(10)가 상승하여 목표층에 접근하면, 감속지령에 의해 펌프(6)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신린더(1)에의 유량을 감소시킨다.As a result, the cage 10 is accelerated up. When the cage 10 rises and approaches the target floor, the rotation speed of the pump 6 is reduced by the deceleration command to reduce the flow rate to the shutter 1.

이로써 케이지(10)는 감속되고, 펌프정지에 의해 케이지(10)도 정지한다. 유량의 감소에 비례하여 제어밸브(2)의 개도도 감소하고, 펌프가 정지할 때 닫힌다. 이 때의 케이지(10)의 위치는 케이지위치검출장치(13)에 의해 감시된다.As a result, the cage 10 is decelerated, and the cage 10 is also stopped by the pump stop. The opening degree of the control valve 2 also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in flow rate, and closes when the pump stops. The position of the cage 10 at this time is monitored by the cage position detection device 13.

(2) 하강 :(2) descent:

지령에 대응하여 제어장치(12)는 제어밸브(2)를 서서히 열어 제어밸브(2)와 펌프(6)의 사이의 유체압을 실린더압과 평 형시키고, 그 후 인버터(11)를 통해서 모터(7), 펌프(6)를 구동하고 , 실린더(1)의 고압유체를 배출하여, 케이지(10)를 하강가속한다. 이로 인해 기동시에 케이지(10)에 발생하는 가속도의 충격(기동쇼크)을 완화할 수 있다. 케이지(10)가 목표층에 접근하면, 감속지령에 의해 펌프(6)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실린더(1)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을 감소시킨다.In response to the command, the control device 12 gradually opens the control valve 2 to balance the fluid pressure between the control valve 2 and the pump 6 with the cylinder pressure, and then the motor through the inverter 11. (7) The pump 6 is driven to discharge the high pressure fluid of the cylinder 1, and the cage 10 is accelerated downward. This can alleviate the shock (starting shock) of the acceleration generated in the cage 10 at the start. When the cage 10 approaches the target floor, the rotation speed of the pump 6 is reduced by the deceleration instruction, and the flow volume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1 is reduced.

이로써 케이지(10)는 감속되고, 펌프 (6)의 정지에 의해 케이지(10)도 정지한다.As a result, the cage 10 is decelerated, and the cage 10 is also stopped by the stop of the pump 6.

그 후 제어밸브(2)를 폐쇄한다. 상승시와 마찬가지로 케이지(10)의 위치는 케이지 위치검출장치(13)에 의해서 감시된다. 기동시의 가속도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펌프(6)를 저속도로 정회전하여 펌프(6)와 제어밸브(2)의 사이의 유체압을 실린더압에 평형시키고, 그 후 제어밸브를 개방하는 방법도 있다. 그 후의 가속, 주행 등은 펌프회전수의 제어로 행한다.After that, the control valve 2 is closed. As with the rise, the position of the cage 10 is monitored by the cage position detection device 13. In order to alleviate the acceleration shock at the start, the pump 6 may be rotated forward at a low speed to balance the fluid pressure between the pump 6 and the control valve 2 to the cylinder pressure, and then open the control valve. . Acceleration, running, etc. after that are performed by control of a pump speed.

엘리베이터가 목표증에 정지하고 있을 때, 승객의 승강이 있으면 부하가 변동하여, 시스템의 강성이 저하됨으로써 케이지(10)의 침하 또는 부상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가속도의 변화로서 승객에게 느껴지는 동시에, 케이지의 바닥과 층의 바닥 사이의 단차(段差)로 된다. 이것을 승차감을 저하시키며, 또 안전성을 저하시키기도 하므로 좋지 않다.When the elevator stops at the target level, the load fluctuates when the passengers are raised and lowered, and the rigidity of the system is lowered, causing the cage 10 to sink or float. This is felt by the passenger as a change in acceleration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a step between the bottom of the cage and the bottom of the floor. This is not good because it lowers the riding comfort and also lowers the safety.

제2a도 및 제2b도는 이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케이지(10)의 하중변화와 그 변위를 나타내고 있다. 제2a도는 하중이 증가한 경우이고, 유체압실린더(1)의 압력이 증대하여 유체가 압축되고, 로프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신장도 가해져서 케이지(10)는 침하한다. 제2b도는 역으로 하중이 감소한 경우이며, 유체의 팽창, 로프와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케이지(10)는 부상한다. 케이지의 침하 및 부상량은 하중의 변화량에 비례한다. 이때 케이지(10)는 시스템의 고유치 1∼3Hz 로 응답하고, 이것을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고 싶은 주파수에 매우 가깝다. 따라서, 케이지의 침하 및 부상량의 보정은 제1도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으로는 곤란하다.2A and 2B illustrate this, and show the load change and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10. 2A shows the case where the load is increased, the pressure of the fluid pressure cylinder 1 increases, the fluid is compressed, and the extension of the rope and the spring (not shown) is applied, so that the cage 10 sinks. 2b is a case where the load decreases inversely, and the cage 10 ris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fluid and the compression of the rope and the spring. The settlement and flotation of the cage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load. At this time, the cage 10 responds with an intrinsic value of 1 to 3 Hz of the system, which is very close to the frequency at which the elevator is to be controlled. Therefore, the settlement of the cage and the correction of the floating amount are difficult with the elevator control method shown in FIG.

제3도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위치보정장치(3)를 제1도에 도시한 실린더(1), 플런저(1a), 풀리(1b), 로프(1c) 및 케이지(10)를 제외한 장치에 해당하는 주유체압유니트(60)와는 별개로 배설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와 동일한 기호는 동일한 부품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품을 표시한다. 위치보정장치(3)는 펌프(31a), 모터(31b), 필터(31c), 탱크(31d), 릴리프밸브(34), 체크밸브(33), 어큐뮬레이터(35), 압력스위치(36)로 이루어지는 유체압원, 실린더(1)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는 제어밸브(30a), 실린더(1)에서 압력유체를 배출하는 제어밸브(30b)로 구성되고, 주유체압유니트(60)와 병렬로 배치된다.FIG. 3 corresponds to a device other than the cylinder 1, the plunger 1a, the pulley 1b, the rope 1c and the cage 10 shown in FIG. 1 to solve this proble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separately from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The same symbols as in FIG. 1 indicate the same parts or parts with the same functions.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 is a pump 31a, a motor 31b, a filter 31c, a tank 31d, a relief valve 34, a check valve 33, an accumulator 35, and a pressure switch 36. And a control valve 30a for supplying a pressure fluid to the cylinder 1, and a control valve 30b for discharging the pressure fluid from the cylinder 1,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

이 때, 어큐뮬레이터(35)는 펌프(31a)에 대해 보조유체압원으로서 작용하고, 펌프(31a)로부터의 고압유체를 축적해 두고, 순간적으로 대유량을 공급한다. 따라서, 소전원으로 실린더(1)에 대유량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장치(37)는 압력스위치(36)로부터의 신호로 어큐뮬레이터(35)에 항상 일정압이상의 압력유체를 축적하여, 케이지(10)의 위치 X와 가속도 α를 검출하고, 케이지(10)의 침하량 또는 부상량에 비례하여, 제어밸브(30a)로 압력유체를 실린더(1)에 공급 또는 제어밸브(30b)로 실린더(1)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하여, 케이지(10)의 위치를 각 층에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accumulator 35 acts as an auxiliary fluid pressure source to the pump 31a, accumulates the high pressure fluid from the pump 31a, and instantaneously supplies a large flow rate. Therefore, a large flow rate can be supplied to the cylinder 1 with a small power supply. The control device 37 always accumulates a pressure fluid of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n the accumulator 35 with a signal from the pressure switch 36, detects the position X and the acceleration α of the cage 10, and sets the amount of settlement of the cage 10. Alternatively, in proportion to the floatation amount, the pressure fluid is supplied to the cylinder 1 by the control valve 30a or the pressur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1 by the control valve 30b, thereby positioning the position of the cage 10 in each floor. Keep it constant at all times.

케이지로부터 검출된 가속도α대신 실린더의 압력이나 케이지에 가해지는 하중과 같은 물리량을 이용할 수도 있다.Instead of the acceleration α detected from the cage, a physical quantity such as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or the load applied to the cage may be used.

제4a도 및 제4b도는 케이지의 변위를 귀환하여 서보계를 구성하고, 케이지의 위치를 보정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4a도 및 제4b도는 각각 케이지(10)에 승객이 승차했을 때와, 하차했을 때의 제어밸브(30a), (30b)의 동작 및 케이지위치를 표시한다. 파선은 보정이 없는 경우, 실선 및 2점쇄선은 보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시에 케이지(10)는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침하 또는 부상하며, 이 때의 케이지(10)의 변동은 극히 단시간에 발생하고, 1∼3Hz의 고유치와 일치한다. 이것은 통상의 귀환제어를 곤란하게 한다. 즉, 그 고유치가 낮기 때문에 케이지(10)의 변위만의 귀환으로는 고응답제어와 안정된 제어의 양립이 곤란하다.4A and 4B show the state when the servo system is configured by returning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the position of the cage is corrected. 4A and 4B show the operation and cage positions of the control valves 30a and 30b when the passengers board and get off the cage 10, respectively. The broken line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no correction, and the solid line and the two-dot chain line show the case where it corrects. The cage 10 sinks or floats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at the time of getting on or off the passenger, and the variation of the cage 10 at this time occurs in a very short time and coincides with the intrinsic value of 1 to 3 Hz. This makes normal feedback control difficult. That is, since the intrinsic value is low, it is difficult to attain both high response control and stable control by returning only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10.

고응답성을 실현하려고 루프게인을 높이면 불안정해서 2점쇄선과 같이 발진(發振)이 생기고, 안정된 제어로 하면 루프게인이 작아서 응답성이 부족하며,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침하 또는 부상한 후에 서서히 보정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제어계에서 통상 행해지고 있는 속도귀환에 의한 안정성의 향상 및 루프게인의 증대로는 이 문제를 약간 개선하는 정도이고, 케이지의 침하 또는 부상의 보정은 불충분하며, 케이지의 변위는 크다.In order to realize high response, increasing loop gain is unstable, and oscillation occurs like a two-dot chain line, and stable control results in small loop gain, resulting in lack of responsiveness. There is a characteristic to correct. The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and the increase of the loop gain which are usually performed in such a control system improve the problem slightly, and the settlement of the cage is not enough to compensate for the settlement or the injury, and the cage displacement is large.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치보정장치의 제어회로를 나타낸 것이며, 제어밸브(30a), (30b), 실린더(1), 케이지(10)로 이루어지는 유체압계에 대해 비교기(37a), 증폭기(37b), 제어장치(12)로 구동되는 스위치(37c)로 구성한다. 스위치(37c)는 제어장치(12)로부터 출력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지신호"에 의해 닫고, "엘리베이터의 기동신호"에 의해 열어서, 위치보정장치(3)에 대해 케이지 (10)가 정지하고 있을 때만 동작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지의 변위를 귀환하는 폐루프를 구성하는 동시에, 가속도도 귀환한다. 이로써 응답성과 안정성을 양립시킨다.5 shows a control circuit of a position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or 37a for a fluid pressure gauge including a control valve 30a, 30b, a cylinder 1, and a cage 10. And a switch 37c driven by the amplifier 37b and the control device 12. The switch 37c is closed by the " elevator stop signal "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12 and opened by the " elevator start signal " so that the cage 10 is stopp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 only. Operate. In this embodiment, the closed loop for returning the cage displacement is configured and the acceleration is also returned. This ensures both responsiveness and stability.

또, 가속도 대신에 케이지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실린더압력의 신호를 하이패스필터(37d)를 통한 귀한신호로 해도 된다.Instead of the acceleration, a signal of the load or the cylinder pressure applied to the cage may be a valuable signal through the high pass filter 37d.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며, 케이지변위, 케이지가속도, 하중, 실린더압을 보정이 없는 경우(제6a도)와 보정이 있는 경우 (제6b도)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하중은 극히 단시간에 변화하고, 케이지 등의 관성에 의해 케이지는 하중의 변동발생보다 늦게 변위한다. 실린더압은 변위와 마찬가지로 변화하나, 가속도는 변위의 개시 및 종료시에 큰 값이 된다. 하중이나 실린더압을 하이패스필터를 통한 값을 파선으로 표시하며, 가속도와 같은 파형이다. 따라서, 가속도의 귀환에 따라 케이지의 위치를 보정하는 초기에 비교기(37a)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케이지의 실제의 변위보다 큰 제어신호로 되고, 제어계의 루프게인은 전과 동일하고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으며, 더욱이 가속도의 귀환제어는 케이지 변위를 귀환하는 것보다 빠른 보정이 가능하다. 다른 견지에서 보면, 적절한 제어계의 루프게인을 유지하면서, 귀환하는 과도변위보다 큰 보정을 예측하여 실시하고, 응답성을 향상시켜 최대변위량을 작게 하고 있다.6a and 6b show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comparing cage displacement, cage acceleration, load, and cylinder pressure without correction (Fig. 6a) and with correction (Fig. 6b). Indicates. The load changes in a very short time, and the cage displaces later than the occurrence of the load fluctuation due to the inertia of the cage or the like. The cylinder pressure changes similarly to the displacement, but the acceleration becomes a large value at the start and end of the displacement. The load or cylinder pressure is displayed as a broken line through the high pass filter. It is a waveform like acceleration. Therefore,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37a at the beginning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cage according to the return of the acceleration becomes a control signal larger than the actual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the loop gain of the control system is the same as before and does not impair stability. In addition, the feedback control of the acceleration is faster than the cage displacement. In other respects, while maintaining the loop gain of an appropriate control system, a correction larger than the return transient is predicted and performed, and the response is improved to reduce the maximum displacement.

가속도 대신에 하중 또는 실린더압의 하이패스필터를 통한 신호를 귀환하는 경우에도 앞의 이유로 동일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위치보정장치로 적절한 제어를 실현하면 제 6B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침하 또는 부상하기 시작한 케이지는 목표층에서 즉시 정지위치로 복귀한다.The same effect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returning a signal through a high-pass filter of load or cylinder pressure instead of acceleration. Therefore, when proper control is realized by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6B, the cage which starts to settle or float is immediately returned to the stop position on the target floor.

즉, 케이지가 침하한 경우, 제어밸브(30a)에 의해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고압유체를 순간적으로 실린더(1)에 보충하고, 승객이 하차하여 케이지(10)가 부상했을 때도 마찬가지로 제어밸브(30b)로 실린더의 고압유체를 배출하므로 신속하게 정지위치로 복귀한다.That is, when the cage is settled, the control valve 30a instantly replenishes the cylinder 1 with the high pressure fluid, and when the passenger gets off and the cage 10 rises, the cylinder with the control valve 30b similarly. It discharges high pressure fluid of and returns to stop position quickly.

제어밸브(30a),(30b)는 보정에 필요한 충분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과, 고응답이라는 것이 중요하며, 제어장치(37)는 제어장치(12)에 그 기능을 부여해도 된다.It is important that the control valves 30a and 30b can control a sufficient flow rate necessary for correction, and that it is a high response, and the control device 37 may impart the function to the control device 12.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 제3도와 동일한 기호는 동일한 부품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품을 표시한다. 제3도와 상이한 것은(3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위치보정장치가 주유니트의 동작에 의해서 고압유체를 어큐물레이터(35)에 축적하는 증압형 위치보정장치(3A)로 되어 있는 점이다. 즉, 증압기(32)는 펌프(6)의 출구압을 설정된 배율로 증압하여 어큐뮬레이터(35)에 공급한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ame symbols as in FIGS. 1 and 3 indicate the same parts or parts with the same functions. The difference from FIG. 3 is that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is a pressure-increasing typ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A that accumulates high pressure fluid in the accumulator 35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unit as indicated by 3A. That is, the pressure intensifier 32 boosts the outlet pressure of the pump 6 to a set magnification and supplies it to the accumulator 35.

펌프(6)가 휴지(休止)하고 있을 때 스프링(32a)에 의해서 체크밸브(32b)를 통해 증압기(32)의 피스톤을 원래 위치에 복귀시켜서, 유체를 증압기의 출구에 공급한다. 따라서, 펌프(6)의 동작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어큐뮬레이터(35)에 고압유체가 공급된다.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고, 위치보정장치(3A)의 작동이 요구될 때는 어큐뮬레이터(35)는 항상 대기상태로 되어 있다.When the pump 6 is at rest, the piston of the booster 3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32a via the check valve 32b to supply the fluid to the outlet of the booster. Therefore, the high pressure fluid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accumulator 35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6. When the elevator stops and operation of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A is required, the accumulator 35 is always in the standby state.

어큐뮬레이터(35)의 압력이 규정치를 유지하고 있으면, 증압기(32)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압력스위치나 릴리프밸브가 없어도 어큐뮬레이터의 압력은 규정치 이상이 되는 일은 없으며, 안정성은 유지된다.If the pressure of the accumulator 35 maintains a prescribed value, the pressure intensifier 32 does not operate.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pressure switch or a relief valve, the accumulator pressure does not become beyond a prescribed value, and stability is maintained.

제7도의 (2), (4), (6), (7), (9) 및 (11)은 제3도에 도시된 주유체압유니트(60)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6)의 동작에 의해서 증압기(32)로 자동적으로 압력을 증압하여 어큐뮬레이터(35)에 축적할 수 있으므로 압력스위치 등이 필요없게 된다.(2), (4), (6), (7), (9) and (11) in FIG. 7 correspond to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ressure is increased by the pressure intensifier 32 automatically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6 and accumulates in the accumulator 35, a pressure switch or the like is unnecessary.

제8a도, 제8b도, 제8c도는 주유체압유니트(60)와, 유체압실린더(1), 케이지(10)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며, 주유체압유니트(60)는 기계실(70)에, 유체압실린더(1)는 승강로(71)에 배치된다.8A, 8B, and 8C show the arrangement of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the fluid pressure cylinder 1, and the cage 10, and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is placed in the machine room 70, The fluid pressure cylinder 1 is disposed in the hoistway 71.

제8a도는 위치보정장치(3)를 주유체압유니트(60)와 병렬로 기계실에 배치하고, 유로(15a)로 주유로(15)에 합류하여, 승강로내의 실린더(1)와 결합한 경우를 나타낸다.FIG. 8A shows a case where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 is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in parallel with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joined to the main flow path 15 by the flow path 15a, and joined with the cylinder 1 in the hoistway.

그러나, 통상 유니트(60)와 실린더(1)를 결합하는 주유로(15)는 길기 때문에 압력의 전달지연이 발생하여 제어상 응답성이 저하한다.However, since the oil supply passage 15 which normally couples the unit 60 and the cylinder 1 is long, a delay in pressure transfer occurs and the responsiveness in control decreases.

제8b도는 위치보정장치(3)를 펌프, 모터, 증압기, 압력스위치, 필터, 릴리프밸브, 체크밸브의 유체압원부(3B)와 어큐뮬레이터, 제어밸브의 제어부(3C)로 분할하여, 유체압원부(3B)는 기계실(70)에, 제어부(3C)는 승강로(71)에 배치하고, 양자를 유로(15b)로 결합시키고, 제어부(3C)를 유로(15a)로 주유로(15)에 합류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위치보정장치(3)를 분할하면, 기계실(70)과 승강로(71)의 사이에 유로(15b)를 배설할 필요가 있으나, 제어부(3C)와 실린더(1)의 사이의 유로길이가 단축되어, 응답성이 향상되고, 위치보정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제8c도는 위치보정장치(3)를 승강로(71)에 설치하고, 유로(15a)로 주유로(15)에 결합한 실시예이며, 제 8B도와 마찬가지로 응답성과 위치보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8B divides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 into a pump, a motor, a booster, a pressure switch, a filter, a relief valve, a fluid pressure source part 3B of a check valve, an accumulator, and a control part 3C of a control valve, The base part 3B is arranged in the machine room 70, the control part 3C is provided in the hoistway 71, the both are couple | bonded with the flow path 15b, and the control part 3C is connected to the oil path 15 by the flow path 15a. To join. By dividing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flow path 15b between the machine room 70 and the hoistway 71, but the flow path length between the controller 3C and the cylinder 1 is increased. It is shortened, the response is improved, and the positional correction performance is drastically improved. FIG. 8C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71 and coupled to the oil passage 15 by the flow path 15a. As in FIG. 8B, responsiveness and position corre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제9도에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와 동일한 기호는 동일한 부품 또는 동일기능의 부품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3도의 실시예와 같으며, 위치보정장치로서의 구성, 동작, 효과는 제3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이한 점은 실린더(1)의 패킹에서 누출된 유체를 회수하기 위한 필터(62) 및 유로(62a)와, 액면계(63)와, 펌프(31a)의 토출측에 전환밸브(61) 및 유로(64)를 배설하여, 토출유체를 어큐뮬레이터(35) 또는 주유체압유니트(60)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점이다. 즉, 통상으로도 제3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9도에 도시된 위치 보정장치(3)로서 작용한다. 실린더(1)의 패킹으로부터의 누출유체를 축적하여 탱크(31d)의 액면이 상승했다는 것을 액면계(63)에서 검출하면, 전환밸브(61)를 전환하여 유로(64)를 거쳐 주유체압유니트(60)에 유체를 보낸다. 이로 인해 종래 사용되 또한, 장치는 저가격으로 하기 위해 서보밸브와 같은 고정밀도제어밸브는 아니며, 비례전자밸브와 같은 저가격인 반면, 정밀도가 낮은 제어밸브로 하면 제어밸브 개개의 오버랩양의 불균일이 커진다.Another embodiment is shown in FIG. The same symbol as in FIG. 3 indicates the same component or the same functional component. This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3, and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as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The difference is that the filter 62 and the flow path 62a for recovering the fluid leaked from the packing of the cylinder 1, the level gauge 63, and the switching valve 61 and the flow path 64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pump 31a. ) And the discharge fluid is switched to either the accumulator 35 or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That is, normally, it functions as the position correcting apparatus 3 shown in FIG. 9 similarly to the embodiment of FIG. When the liquid level meter 63 detects that the liquid level of the tank 31d has risen by accumulating the leakage fluid from the packing of the cylinder 1, the switching valve 61 is switched to switch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via the flow path 64. To the fluid. Due to this, the conventionally used device is not a high-precision control valve such as a servo valve for low cost, but a low-cost control valve such as a proportional solenoid valve, while a low-precision control valve increases the nonuniformity of the overlap amount of each control valve. .

제11a도에 불균일의 최소(1)(X0+)와, 최대(2)(X0+)를 도시하며, 이와 같은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불균일이 작은 (1)에 맞추어서 i0+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불균일이 큰 (2)에서는의 영역은 불감대(insensitiveregion)가 되나, 제11b도와 같이 불감대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유는 제1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균일이 큰 (2)에 맞추어서로 하면, 제1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지령 e와 유량Q 사이의 오버랩 특성은 선형으로 되어, 불균일이 작은 (1)에서는 e=0 에서도 Q=±로 되어 피스톤제어장치가 있는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의 +사이에서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Minimum (1) of nonuniformity in FIG. 11a (X 0 + ), And max (2) (X 0 + ), And in this case i 0 + in accordance with (1) where the nonuniformity is small Shall be. By doing this, in (2) where the nonuniformity is large The region of becomes an insensitive region, but the dead zone can be made sufficiently small as shown in Fig. 11B. The reason for this is as shown in Fig. 12A, in accordance with the large nonuniformity (2).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2B, the overlap characteristic between the control command e and the flow rate Q becomes linear, and in the case of (1) where the nonuniformity is small, Q = ± Elevator system with piston control system- Of + This is because it becomes unstable between them.

제11a도 및 제11b도에 나타낸 것보다 더욱 불감대를 작게 하는 제어방법을 제13a도 및 제13b도에 나타낸다. 지령 e와 그 제어잔류 i의 관계를 제13a도에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절선(折線)의 관계로 한다(O-F-G). 즉,에서는 구배를 크게, 그 이외에서는 작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불균일이 큰(2)에서는에 대응하는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지령 e와 유량 Q와의 관계는 제 13B 도에 O-D-E 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불감대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불균일이 작은 (1)에서는에 대응하는은 0과의 사이에 있고, 지령 e와 유량 Q의 관계도 제13b도에 절선 O-A-B-C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불감대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있던 누출유체회수장치가 필요없게 되고, 또한 위치보정장치의 탱크액면이 이상저하되는 일도 없어진다. 필터(62)는 누출유체에 함유되는 이물(異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13A and 13B show a control method of making the dead band even smaller than those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 e and the control residual i is assumed to be a broken line as indicated by broken lines in Fig. 13A (OFG). In other words, The gradient is large in E and the smaller in others. In this way, if the nonuniformity is large (2)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 e and the flow rate Q can be reduced, as indicated by ODE in FIG. 13B. In addition, in (1) where the nonuniformity is small Corresponding to Is 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 e and the flow rate Q is also shown in FIG. 13b. No need for a leaking fluid recovery device,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ke it smaller, and the tank liquid level of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is not abnormally lowered. The filter 62 is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leaking fluid.

위치보정장치(3)는 동작의 순간에 대유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조유체압원으로서 어큐뮬레이터(35)를 사용하여, 유체압에너지를 축적해 둔다. 이 때, 제어밸브(30a), (30b)로부터의 누출이 있으면, 이제까지 축적한 에너지를 헛되게 하고, 또한 축압된 압력이 저하되어 있어서 필요할 때 에너지가 부족될 때도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오버랩밸브를 채용하고, 또한 누출을 작게 하기 위해 오버랩을 크게 취한다. 제9도에 있어서, (103)은 압력게이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어밸브(30a), (30b)의 오버랩이 크면 비선형(非線型)이 되어 제어는 곤란해지나, 제10a도에 나타낸 본 실시예로 이루어진 제어방법에서는 이것을 선형화할 수 있다. 제10a도에 있어서, 선(102)은 오버랩이 없는 선형 특성곡선을 나타내며, 또한 제10a도는 선형특성에 있어서 오버랩이 있는 오버랩밸브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밸브의 오버랩량을 X0로하고, 밸브변위 X와 유량 Q은 Q =β(X±Xo), 제어전류 i와 밸브변위 X는 비례 (X ∝ i)시킨다. 만일 제 5도에 도시된 증폭기(37b)의 게인이 선형이면, 지령 e 와 제어전류 i는 i(∝ X) = αe가 되고, e≥e0에서만 제어밸브는 유량 Q을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e 와 i의 관계를 제10a도와 같이 i=αe±i0가 되도록 증폭기의 게인을 비선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제어지령 e과 유량 Q은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비례하게 되고, 통상의 선형계의 제어로 되므로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Since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3 requires a large flow rate at the moment of operation, the accumulator 35 is used as an auxiliary fluid pressure source to store fluid pressure energy. At this time, if there is a leak from the control valves 30a and 30b, the energy accumulated so far is wasted, and the accumulated pressure is lowered, so that energy may be insufficient when necessary.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verlap valve is adopted, and the overlap is taken large to reduce the leakage. In Fig. 9, reference numeral 103 denotes a pressure gauge. In general, when the overlap between the control valves 30a and 30b is large, it becomes nonlinear and the control becomes difficult. However, in the control method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10A, this can be linearized. In FIG. 10A, the line 102 represents a linear characteristic curve without overlap, and FIG. 10A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 overlap valve with overlap in the linear characteristic. The overlap of the control valve is X 0 , the valve displacement X and the flow rate Q are Q = β (X ± Xo), and the control current i and the valve displacement X are proportional (X ∝ i). If the gain of the amplifier 37b shown in FIG. 5 is linear, the command e and the control current i become i (x X) = αe, and only when e ≧ e 0 , the control valve can control the flow rate Q.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gain of the amplifier is made nonlinear su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 and i is equal to i =? In this way, the control command e and the flow rate Q become proportional as shown in FIG. 10B, and control becomes easy since it becomes control of a normal linear system.

되고, 또한 e2e0에서는 유량게인이 낮다. 이것은 제어밸브로 제어할 때 편리하며, 안정성 및 응답성이 양호한 제어계를 구성할 수 있다.And, in addition, 0 e2e low flow rate gain. This is convenient when controlling with a control valve and can constitute a control system having good stability and responsiveness.

제15a도, 제15b도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어밸브의 불감대에 불균일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1), (2)에서 불균일의 하한() 및 상한()을 표시한다. 디서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 하면, 제어신호 e와 유량 Q는 제1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며, 불균일이 큰 경우에도 불감대는-로 감소한다. 따라서, 제어밸브의 불감대는 불균일이 작으면 이 때의 불감대는 (제15b도에 나타냄) 실용상 무시할 수 있다.15A and 15B show a case where there is a nonuniformity in the dead band of the control valve as described above, and in (1) and (2) the lower limit of the nonuniformity ( ) And cap ( ).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is ( ), The control signal e and the flow rate Q are as shown in Fig. 15b, and even when the nonuniformity is large, the deadband - Decreases. Therefore, when the dead zone of the control valve is small, the dead zone at this time (shown in Fig. 15B) can be ignored practically.

제16a도, 제16b도, 제16c도는 주유체압유니트(60)를 사용하여 상술 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지(10)의 위치보정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케이지(10)가 목표층에 도착하여 유체압 엘리베이터의 주행운전이 종료되면, 도어를 여는 지령이 나온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개방지령에 의해서 위치보정동작의 준비를 시작한다. 즉, 도어개방지령에 의해서 모터(7), 펌프(6)를 상승방향으로 기동하고, 유로(101)의 압력을 실린더압 보다 약간 낮은 값까지 승압한다. 이 동작은 도어가 열릴때까지 행하고, 도어가 열려서 승객이 승강하고, 케이지의 바닥이 제16a도의 점선과 같이 침하, 또는 제16b도의 점선과 같이 부상한 경우에 본원 발명의 위치보정장치는 제16a도 또는 제16b도의 실선과 같이 제어한다.16A, 16B, and 16C illustrate a method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cage 10 using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6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cage 10 reaches the target floor and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hydraulic elevator is finished, a command to open the door is issued. In this embodiment, preparation for the position correction operation is started by the door opening prevention instruction. That is, the door opening prevention command starts the motor 7 and the pump 6 in the upward direction, and increases the pressure of the flow path 101 to a value slightly lower than the cylinder pressure. This operation is carried out until the door is opened, the door is opened and the passengers are lifted and the bottom of the cage is settled like the dotted line in FIG. Control is performed as in the solid line of FIG. Or FIG. 16B.

즉, 케이지의 바닥이 침하한 경우, 케이지(10)의 변위 및 가속도 등의 귀환신호에 의해 모터(7)의 속도를 증대시켜서, 제어밸브(2)를 통해서 고압유체를 실린더(1)에 공급하여, 케이지(10)를 상승시킨다. 이 때의 제어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제어대상이 제어 밸브(30)는 동시에, B-C를 비례직선(3)에 근접시킬 수 있다. 즉, 불균일의 범위에서 불감대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지령e와 유량 Q를 선형에 근사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bottom of the cage subsides, the speed of the motor 7 is increased by the feedback signal such as the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of the cage 10, and the high pressure fluid is supplied to the cylinder 1 through the control valve 2. The cage 10 is raised. At this time, the control method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valve 30 can control the B-C close to the proportional straight line 3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dead zone can be made small within the range of nonuniformity, and the command e and the flow rate Q can be approximated to linear.

제14a도는 본원 발명으로 이루어진 불감대를 가진 제어밸브의 다른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 14a shows one embodiment of another control method for a control valve having a dead band mad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a도는 지령 e와 제어잔류 i 및 밸브변위 X와 유량 Q과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e와 i(∝ X)는 비례하고 (i=αe), X(∝i)와 Q는 불감대 X0(∝i0)를 갖는다(Q=β(X±X0)). 이 불감대 X0(∝i0)에 상당하는 지령신호 e0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제어지령 e에 진폭 e0, 주파수ω를 가진 디서신호를 중첩하여 제어밸브(30a), (30b)를 제어한다. 즉, 제어지령 e1=e+e0sinωt에 대해, 전류는 i1=i+i0sin ωt=αe1=α(e+e0sin ωt)가 된다. 따라서, 제어밸브변위는 X1=X+X0sin ωt (∝ i0)이 된다.FIG. 14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 e and the control residual i and the valve displacement X and the flow rate Q, where e and i (X) are proportional (i = αe) and X (Xi) and Q are deadbands. X 0 (Xi 0 ) (Q = β (X ± X 0 )). The command signal e 0 corresponds to this dead band X 0 (#i 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valves 30a and 30b are controlled by superimposing a dither signal having an amplitude e 0 and a frequency ω on the control command e. That is, for the control command e 1 = e + e 0 sinωt, the current becomes i 1 = i + i 0 sin ωt = αe 1 = α (e + e 0 sin ωt). Therefore, the control valve displacement is X 1 = X + X 0 sin ω t (∝ i 0 ).

e1은 도면중 (A), (B),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것에 대해 i1, X1은 (A'), (B'),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ω로 진동한다. 여기서, (A), (B), (C)는 e=0, e=0, e0, 2e0, 의 경우를 나타낸다. e = 0 일 때 변위 X1은 (A'),로 되고, 유량 Q 은 0이다. e=2e0에서는 X1≥X0로 되고, (C')로 표시한 바와 같이 X1은 항상 불감대의 범위밖에 있고, 그 평균치는 X1이며, 유량의 평균치는 Q1이 된다. 제어지령이 0e2e0의 범위에 있을 때는 제어밸브변위는 0XX1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유량도 0QQ1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e와 Q와의 관계는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치 불감대가 없는 것처럼e1 is represented by (A), (B) and (C) in the drawing, and i 1 and X 1 are represented by (A '), (B') and (C '). To vibrate. Here, (A), (B) and (C) represent the case of e = 0, e = 0, e 0 , 2e 0 ,. When e = 0, the displacement X 1 becomes (A '), and the flow rate Q is zero. At e = 2e 0 , X 1 ≥ X 0 , and as indicated by (C '), X 1 is always outside the dead zone, its average value is X 1 ,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flow rate is Q 1 . When the control command is in the range of 0e2e 0 , the control valve displacement continuously changes in the range of 0XX1. Therefore, the flow rate also changes continuously in the range of 0QQ 1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 and Q is as if there is no dead band as shown in Fig. 14B.

에서 모터(7)로 바뀌었을 뿐이다. 케이지(10)가 부상한 경우 제16a도 및 제16b도 경우와는 역으로 귀환신호가 어떤값을 초과했다는 것을 검지하여, 하강제어밸브(2)를 열고, 귀환신호에 비례하여 모터(7), 펌프(6)를 하강방향으로 구동하여, 실린더(1)의 압력유체를 배출한다. 이 경우, 모터, 펌프의 관성이 크기 때문에 위치 보정의 동작에 지연이 발생하고, 케이지의 변위량은 약간 커지나, 별체의 유니트로서 위치보정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저가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16c도는 승객의 승강이 끝난 후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어를 닫고 대기상태가 되는 경우를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객의 승강이 끝나면 통상 도어를 닫고, 즉시 상승 또는 하강운전에 들어간다.Just changed from the motor (7). In the case where the cage 10 is injured, inversely to the case of FIGS. 16A and 16B, the feedback signal is detected to exceed a certain value, the lowering control valve 2 is opened, and the motor 7 is proportional to the feedback signal. The pump 6 is driven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discharge the pressure fluid of the cylinder 1. In this case, since the inertia of the motor and the pump is large, a delay occurs in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correction, a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cage is slightly increased, but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as a separate unit, and it can be realized at low cost. FIG. 16C illustrates the state after the passengers are lifted and lifted, and the case where the door is closed and the standby state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However, in an elevator, when a passenger lifts and ends, the door is normally closed, and the lifter immediately starts to move up or down.

이와 같은 경우에 일단 펌프를 정지하고, 그후 재기동하면 유로(15a)의 압력이 대기압까지 저하하여 펌프의 출구와 입구의 압력차가 커진다.In such a case, once the pump is stopped and then restarted, the pressure in the flow path 15a drops to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of the pump increases.

이와 같은 경우, 상승운전에서는 기동지연이, 하강운전에서는 기동쇼크가 각각 커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보정동작이 완료되어도 계속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유로(15a)의 압력이 부하압보다 약간 낮은 값을 유지하도록 모터를 계속 운전해 둔다. 그리고, 기동지령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1점쇄선(상승), 또는 2점쇄선(하강)과 같이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술한 기동지연이나 기동쇼크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양호안 승차감의 유체압 엘리베이터를 실현할 수 있다.In such a case,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starting delay increases in the rising operation and the starting shock increases in the falling ope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levator continues to operate even after the position correc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motor is continuously operated so that the pressure in the flow path 15a is kept slightly lower than the load pressure. Then,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comm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ne-dot chain line (rising) or the two-dot chain line (falling). In this way, the above-described start delay and start shock can be reduced, so that a fluid pressure elevator with good riding comfort can be realized.

본원 발명에 의하면, 귀환신호로서 케이지변위만이 아니라, 가속도, 또는 바이패스필터를 통한 케이지에 작용하는 하중신호 또는 실린더의 압력신호도 귀환하므로, 고응답이고 안정성이 우수한 위치보정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불감대를 가진 오버랩밸브로 통상시의 유체누출을 없애어 에너지를 절약하는 동시에, 증폭기에 비선형 게인을 설정한다는 것 또는 지령에 불감대에 상당하는 디서신호를 중첩함으로써, 마치 불감대가 없는 제어밸브와 같이 제어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므로 양호한 위치보정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주유체압유니트에 대해 앞의 설명과 같은 제어를 하면 위치보정을 위한 전원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저가격으로 위치보정제어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age displacement as the feedback signal, but also the load signal or the pressure signal of the cylinder acting on the cage via the acceleration or bypass filter is fed back. have. The deadband overlap valve eliminates normal fluid leakage, saves energy, and sets nonlinear gain in the amplifier, or superimposes the deser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adband in order to control it without deadband. Like valve, controllability can be improved, so good position compensation control is 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main fluid pressure unit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for position correction can be made unnecessary, and the position correc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at low cost.

Claims (18)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지와, 압력유체를 실린더에 공급 및 이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케이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어밸브로 구성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한 모든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압력유체를 상기 실린더에 귀환시키는 위치보정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A fluid pressure elevator comprising a cage driven by a cylinder, and a control valv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ge by supplying and discharging pressure fluid to and from the cylinder, the means for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acceleration of the cage. Or based on an output signal from means for detecting all physical quantities corresponding to this acceleration, means for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means for detecting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or the physical quantity corresponding to this acceleration. And a position correction device for returning the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압력을 검cnf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fluid pressur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hysical quantity comprises means for checking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케이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fluid pressur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hysical quantity comprises means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c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장치는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축적하는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fluid pressure elevator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has an accumulator for accumulating pressure fluid supplied to the cylinder.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지와, 압력유체를 실린더에 공급 및 이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케이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어밸브로 구성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압력유체를 상기 실린더에 귀환시키는 오버랩밸브(overlap valve)를 가지는 위치보정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A fluid pressure elevator comprising a cage driven by a cylinder, and a control valv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ge by supplying and discharging pressure fluid to and from the cylinder, the means for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acceleration of the cage. Or the pressure fluid based on an output signal from means for detecting a physical quantity corresponding to this acceleration, means for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means for detecting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or the physical quantity corresponding to this acceleration. And a position correction device having an overlap valve for returning the cylin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압력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6. The fluid pressur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hysical quantity comprises means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케이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6. The fluid pressur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hysical quantity comprises means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c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장치는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축적하는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6. The fluid pressur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has an accumulator for accumulating pressure fluid supplied to the cylin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밸브는 상기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오버랩밸브에 DC 성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6. The overlap valv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verlap valve corresponds to means for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means for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through a control device that outputs a DC component signal to the overlap valve based on the output signal. And a means for detecting a physical quant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밸브는 상기 출력신호와 디서(dither)신호에 의해 중첩된 신호를 상기 오버랩밸브로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verlap valve is a means for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through a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signal superimposed by the output signal and the dither signal to the overlap valve,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Or means for detecting a physical quantity corresponding to this acceleration.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지와, 유체를 저장하는 제1탱크와, 제1제어신호에 의해 탱크내의 유체를 배출하는 제1펌프와, 압력유체를 펌프로부터 실린더에 공급 및 이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케이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제어밸브로 구성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유체를 저장하고, 상기 실린더로부터 누출된 유체를 수용하는 제2탱크와, 상기 제2탱크내의 유체를 배출하는 제2펌프와, 상기 제2탱크내의 유체가 선택된 소정의 레벨에 도달했을 때 배출된 상기 유체를 상기 제2펌프로부터 상기 제1탱크로 공급하는 전환밸브와, 상기 제2탱크내의 유체가 상기 선택된 소정의 레벨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제2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2펌프로부터 상기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제2제어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cage driven by the cylinder, the first tank for storing the fluid, the first pump for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tank by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cage by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pressure fluid from the pump to the cylinder And a first control valve for lowering, the fluid pressure elevator comprising: a second tank for storing fluid and receiving fluid leaked from the cylinder; a second pump for discharging fluid in the second tank; A switching valve for supplying the discharged fluid from the second pump to the first tank when the fluid in the second tank reaches the selected predetermined level; and the fluid in the second tank does not reach the selected predetermined level. And a second control valve for discharging the fluid supplied from the second pump to the cylinder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Bei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프는 케이지속도와 케이지 위치를 검출하는 로타리엔코더와, 상기 실린더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제1펌프로부터 배출된 유체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펌프를 운전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pump comprises a rotary encoder for detecting cage speed and cage position,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in the cylinder, and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fluid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first pump. And a control device for driving said first pump based on an output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밸브는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에 귀환시키는 오버랩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12. The fluid control system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control valve returns the fluid to the cylinder based on an output signal of a means for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a means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of the cage or a physical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acceleration. A fluid pressure elevator comprising an overlap valve to.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압력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fluid pressur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hysical quantity comprises means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은 상기 케이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fluid pressur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hysical quantity comprises means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ca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장치는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력유체를 축적하는 어큐뮬레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fluid pressure elevator of claim 13, wherein the position correction device has an accumulator for accumulating pressure fluid supplied to the cylind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밸브는 상기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오버랩밸브에 DC 성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3. The overlap valve includes means for detecting a displacement of the cage and means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of the cage or a physical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acceleration through a control device that outputs a DC component signal to the overlap valve based on the output signal. A hydraulic pressur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밸브는 상기 출력신호와 디서신호에 의해 중첩된 신호를 상기 오버랩밸브로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통하여, 상기 케이지의 변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케이지의 가속도 또는 이 가속도에 대응하는 물리량을 검출하는 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엘리베이터.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verlap valve is a means for dete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cage, through the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signal superimposed by the output signal and the dither signal to the overlap valve, the acceleration of the cage or the acceleration And means for detecting a physical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fluid pressure elevator.
KR1019910009258A 1990-06-06 1991-06-05 Hydrolic elevater KR1002057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46,261 1990-06-06
JP2146261A JP2892775B2 (en) 1990-06-06 1990-06-06 Hydraulic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98A KR920000598A (en) 1992-01-29
KR100205770B1 true KR100205770B1 (en) 1999-07-01

Family

ID=1540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258A KR100205770B1 (en) 1990-06-06 1991-06-05 Hydrolic eleva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92775B2 (en)
KR (1) KR10020577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41375A (en) 1992-02-12
JP2892775B2 (en) 1999-05-17
KR920000598A (en)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2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hydraulic lift
US6971481B2 (en) Hydraulic elevator with motor controlled hydraulic dri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elevator
US6505711B1 (en) Hydraulic elevator,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or which acts as a counterweigh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an elevator of this type
US7134528B2 (en) Hydraulic elevator with valve for preventing discharge of pressure accumul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459379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ydraulic elevator
KR100205770B1 (en) Hydrolic elevater
EP0460583A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ydraulic elevator during approach to a landing
JP3683066B2 (en) Hydraulic jack synchronous drive device
JP3987351B2 (en) Hydraulic elevator equipment
JP3319660B2 (en) Hydraulic elevator equipment
KR100336357B1 (en) Vibration control method in arriving in hydraulic elevator
KR940009409B1 (en) Oil pressure elevator driver
JPH0227263B2 (en)
JPH11343077A (en)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elevator
KR20190085990A (en) Forklift and fork control method
JPH0218053Y2 (en)
JP2872820B2 (en) Hydraulic elevator control device
JP2583699B2 (en) Hydraulic elevator control device
JP2922074B2 (en) Hydraulic elevator controller
KR100335982B1 (en) Vapor compensation method of hydraulic elevator
JPH06227763A (en)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elevator
JPH03120178A (en) Control device for hydraulic elevator
JPH10231067A (en) Fluid pressure elevator
JPH1121032A (en) Control device of hydraulic elevator
JPH058968A (en) Hydraulic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