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470B1 -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 - Google Patents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470B1
KR100204470B1 KR1019950028323A KR19950028323A KR100204470B1 KR 100204470 B1 KR100204470 B1 KR 100204470B1 KR 1019950028323 A KR1019950028323 A KR 1019950028323A KR 19950028323 A KR19950028323 A KR 19950028323A KR 100204470 B1 KR100204470 B1 KR 10020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quantizer
scalar
output
p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376A (ko
Inventor
윤성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470B1/ko
Publication of KR97001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4Vector 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여현변환수단(42); 상기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입력벡터로서 입력받아 PTS VQ양자화하는 PTS VQ양자화기(44); 상기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스칼라 양자화하는 스칼라 양자화기(43); 상기 PTS VQ양자화기의 왜곡치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왜곡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스칼라 양자화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판단부(46); 상기 판단부(46)의 출력에 따라 PTS VQ양자화기(44)의 출력이나 스칼라 양자화기(43)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선택수단(45)으로 구성되어 입력영상을 효율적으로 압축 부호화한다.

Description

탈출 PTS 벡터 양자화기
제1도는 일반적인 트리구조의(TS) 벡터 양자화기의 코드북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제2도는 일반적인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의 코드북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일반적인 피티에서 벡터양자화 부호기의 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본발명에 따른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 부호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메모리 10 : 피티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
11 : 램억세스부 12 : 입력벡터 버퍼
13 : 계산부 14 : 코드발생부
15 : 코드북램 16 : 프리패치부
17 : 우측 벡터버퍼 18 : 좌측 벡터버퍼
41 : 감산기 42 : 이산여현 변환기
43 : 스칼라 양자화기 48 : 역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
45, 49 : 멀티플랙서 44 :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
47 : 역 스칼라 양자화기 46 : 판단부
50 : 프레임메모리 51 : 움직임보상부
본 발명은 영상데이타를 압축하기 위한 잘려진 나무 구조의 벡터양자화(Pruned Tree Structured VQ : 이하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라 한다)를 수행하는 부호기 (Enco d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벡터에 해당되는 적당한 코드벡터가 코드북에 없으면 스칼라 양자화하는 탈출 피티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벡터양자화(VQ)는 K공간의 벡터를 유한개의 코드북(codebook)에 매핑(mapping)시키는 방식으로서, 영상신호의 압축에 효율적인 방법중의 하나로 HDTV, MPEG등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함께 많이 연구되고 있고, 특히 복호기(Decoder)의 구조가 간단하고 1 bpp(bit per pixel)이하의 낮은 비트율에서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벡터양자화(VQ)는 벡터의 차원이 커질수록 그 성능이 향상되나, 실제 부호화 과정상에서 계산량이 차원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고, 코드북의 설계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벡터의 차원은 적정 수준으로 제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벡터양자화(VQ)는 K공간의 벡터를 유한개의 코드북으로 매핑시키는 것이므로, 다음식1과 같이 표현된다.
Q(X) = min-1d(X,Xk) ---식1
상기 식1에서 k =1...N이고, min-1은 왜곡치를 최소화하는 코드북(codebook)상의 Xk를나타내며, d는 왜곡계수(distortion measure)를 나타낸다.
벡터 양자화부호기는 상기 식1과 같이 입력벡터 X에 대해 코드북으로부터 왜곡치가 최소인 부호벡터 Xk를 찾아(search)입력벡터 X나 부호벡터 Xk대신에 부호벡터 Xk를 표시하는 지표(INDEX)를 송신하여 고도의 압축을 이룩하게 되고, 수신측의 벡터양자화 복호기에서는 수신된 지표(INDEX)로부터 룩업테이블을 사용하여 송신측과 동일한 코드북으로부터 해당 부호벡터 Xk를 찾아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게 된다.
이때, 벡터양자화 부호기는 입력벡터 X로부터 왜곡치가 최소인 부호벡터 Xk를 찾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나 벡터양자화 복호기는 지표(INDEX)로부터 해당부호를 꺼내기만 하므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1로 주어지는 벡터양자화의 코드북(codebook)을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LBG(Linde, Buzo 및 Gray : 인명임)알고리즘이 널리 사용되는데, LB G알고리즘의 개요는 부호벡터는 입력벡터에 가장 가까운(distortion 측면에서)부호벡터이어야 한다는 조건(nearest neighbor condition)과 같은 부호벡터로 부호화되는 벡터들의 중심점(distortion 측면에서)이 부호벡터이어야 한다는 조건(centroid condition)의 두가지 제한 조건에 따라 반복적으로 코드북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이와같이 코드북이 완성된후, 벡터양자화 부호기는 입력벡터와 코드북의 부호벡터를 비교하여 왜곡치를 최소로 하는 부호벡터를 찾아 지표(INDEX)를 구해야 한다. 그런데 코드북의 크기가 상당히 크고, 벡터의 차원이 증감함게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코드북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입력벡터와 코드북의 모든 벡터를 비교하여 왜곡치를 계산하는 FVQ(Full search VQ)는 비효율적이서 실용성이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나무구조의 벡터양자화(TSVQ : Tree search VQ)가 제안된 바, 상기 나무구조의 벡터양자화(TSVQ)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호벡터를 이진 나무 구조(binary tree structure)로 배열하여 계산량을 로그 수준으로 떨어뜨린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입력벡터는 각 트리구조로 배열된 부호벡터들과 계산되어 왜곡치를 최소로 하는 부호벡터를 좌측가지 혹은 우측가지로 찾아가는바, 단자노드(terminal node)에 이르면 이때의 부호벡터를 입력벡터에 대한 가장 근사한 벡터로서 매핑(mapping)하고, 상기 단자 노드에 이르기까지의 경로(path)를 인덱스로 전송한다. 따라서, 균형된 나무 구조의 각 단자노드는 루트(root)로부터 동일한 경로의 길이(L)(이하, 깊이라고 한다)를 가지므로 전송되는 인덱스는 항등비트율(CBR : Constant Bit Rate)의 특성을 갖는다.
한편, 계층 부호화(Layered cod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벡터양자화의 CBR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PVQ가 등장하였고, 이를 TSVQ에 적용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티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 구조가 제안되었다.
제2도에 있어서, 잘리워진 비균형적인 나무 구조와 제1도의 정상 구조의 나무 구조와의 차잇점은 잘리워진 부분의 깊이는 원래의 나무구조의 깊이 L보다 하나가 적어진 'L-1'인 점이다. 따라서, 이부분에 종전의 원 나무(orginal tree) 구조에서 단순한 노드였던 것이 단자 노드(terminal node)가 되고, 부호화과정시 입력벡터가 이 새로운 단자 노드에 도달하게 되면, 부호화 경로의 길이는 원래의 나무구조에서 주어진 항상 일정한 경로길이 L이 아니라 L-1이 된다.
따라서, 잘리워진 비균형적인 나무구조(PTS)의 부호기는 결국 원나무 구조의 비트율보다 적은 평균 비트율(R)로서 가변 비트율(VBR : Variable Bit Rate)의 부호화를 시행하게 된다.
반면에, 평균 왜곡치(D)는 잘리워진 가지에 의해 낮추어질 수 있는 왜곡을, 그 가지를 제거했으므로 해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지를 제거함으로해서 평균 비트율(R)은 감소하였으나, 평균 왜곡치(D)는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를 구현하는 종래의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 부호기(1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1)로부터 영상데이타를 읽어와 입력벡터(Vin)를 형성하는 램억세스부(11)와; 코드북 램(15)으로부터 부호벡터를 미리 읽어와 좌측 부호벡터(VL)와 우측 부호베터(VR)를 출력하고, 결과신호에 따라 선택된 가지(branch)의 노드를 중심으로 다시 우측 부호벡터와 좌측 부호벡터를 읽어오고, 단자 노드(terminal node)에 도달하면 완료신호 (COMPLETE)를 발생하는 프리패치부(16); 입력벡터(Vin)를 프리패치된 좌측 부호벡터(VL)및 우측 부호벡터(VR)와 왜곡치를 계산하여 왜곡치가 적은 쪽의 가지를 선택하도록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계산부(13); 및 계산부(13)의 결과신호에 따라 해당 부호벡터의 인덱스 코드를 생성하여 완료신호(COMPLETE)에 따라 출력하는 코드발생부(14)를 구비하여 프레임메모리(1)에 저장된 영상 데이타를 읽어와 피티에스 벡터양자화에 따른 코드북램(15)으로부터 부호벡터를 읽어와 인덱스 코드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 부호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유한개의 부호벡터를 잘리워진 바이너리 트리구조(PTS)로 저장하고 있는 코드북(codebook)의 각 노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각 노드는 자신의 부호벡터를 가지고 있고, 좌측 가지(branch)로 이어지는 노드의 어드레스인 좌측 촤일드 어드레스와 우측가지로 이어지는 노드의 어드레스인 우측 촤일드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입력벡터가 입력되면 루트(root)에 기록된 좌측 촤일드 어드레스가 지시하는 노드의 부호벡터와 우측 촤일드 어드레스가 지시하는 노드의 부호벡터를 읽어와 입력벡터와 각각 왜곡치를 계산하여 어느쪽의 왜곡치가 더 작은지를 판단하여 작은 쪽을 선택한다. 이때, 우측노드의 부호벡터로부터 계산한 왜곡치가 더 작으면 우측을 선택하여 계산결과로 1을 출력하고, 반대로 좌측 노드이 부호벡터로부터 계산한 왜곡치가 더 작으면 좌측을 선택하여 계산결과로 0을 출력한다.
만일, 우측 노드의 왜곡치가 작아 1을 선택하였다면, 프리패치부(16)는 우측 촤일드 어드레스가 가리키는 노드의 어드레스를 억세스하여 표1과 같은 자료구조를 읽어와 좌측 촤일드 어드레스가 가리키는 노드의 벡터와 우측 촤일드 어드레스가 가리키는 노드의 부호벡터를 읽어와 다시 입력벡터와 왜곡치를 계산하여 왜곡치가 작은 쪽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입력벡터에 대해 프리패치된 좌측 부호벡터 및 우측 부호벡터와 각각 왜곡치를 계산하여 보다 왜곡치가 작은쪽의 가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단자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고, 단자 노드에 이르게 되면 이때의 경로의 인덱스를 전송할 코드로서 생성하게 된다. 이때, 단자 노드의 좌측 촤일드 어드레스 및 우측 촤일드 어드레스는 0이므로 단자노드에 도달한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검출하면 완료신호(COMPLETE)를 발생하여 단자노드에 이르기까지의 인덱스를 출력하고, 다음 입력벡터를 입력하여 다른 영상데이타에 대해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를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에서는 코드북에 없는 입력벡터에 대해서는 왜곡이 증가하여 화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코드북을 설계함에 있어서 트레이닝 시퀀스에 없는 데이타가 입력되면, 입력벡터와 코드벡터의 차가 커져 왜곡치가 기준이 이상이 되므로 입력벡터에 맞는 코드북의 설계가 요구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입력벡터에 따라 코드북을 달리하는 분류벡터양자화(CVQ)나 입력벡터를 코드벡터로 치환하는 적응 벡터양자화(AVQ)는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력벡터에 맞는 코드값이 없어 왜곡치가 증가할 경우에는 벡터양자화를 벗어나 스칼라 양자화하므로써 화질을 개선하도록 된 탈출 피티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이산여현 변환수단; 상기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입력벡터로서 입력받아 피티에스 벡터양자화하는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 상기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스칼라 양자화하는 스칼라 양자화기; 상기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의 왜곡치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왜곡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스칼라 양자화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출력에 따라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의 출력이나 스칼라 양자화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선택수단으로 구성되어 영상데이타를 입축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영상입력을 이산여현 변환한 후에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를 수행함과 동시에 스칼라 양자화를 수행하고, 상기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를 수행한 결과 왜곡치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된 출력을 선택하고, 소중의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스칼라 양자화된 결과를 선택하여 다양한 입력영상에 대해서도 화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출 티피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여현 변환수단(42 : DCT);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입력벡터로서 입력받아 피티에스 벡터양자화하는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 : PTS VQ);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스칼라 양자화하는 스칼라 양자화기(43 : SQ);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의 왜곡치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왜곡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스칼라 양자화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판단부(46); 판단부(46)의 출력에 따라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의 출력이나 스칼라 양자화기(43)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선택수단 (45 : MUX)으로 구성되어 정지 입력영상을 압축 부호화한다.
또한, 탈출 피티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는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된 인덱스코드를 다시 역피티에스 벡터양자화하는 역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8 : IPTS VQ); 스칼라 양자화된 데이타를 역 스칼라 양자화하는 역스칼라 양자화기(47 : ISQ); 판단부(46)의 출력에 따라 역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나 역 스칼라 양자화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선택수단(49:MUX); 제2선택수단(49)의 출력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50: FM); 프레임 메모리(50)로부터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의 입력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부(51 : MC); 및 현재 영상과 움직임 보상된 이전 영상과의 차를 출력하는 감산기(41)를 더 구비하여 동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프레임간의 리던던시를 제거하여 압축부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선택수단 및 제2선택수단은 멀티플랙서로 구현되며, 상기 움직임 보상부(51)는 이전 영상과 현 영상과를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움직임벡터에 의해 이전영상을 보상한 후 상기 감산기(41)로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정지영상 입력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에는 프레임간의 리던던시를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4도와 같은 구성에서 이산여현 변환기(42),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 스칼라 양자화기(43), 선택수단(45), 및 판단부(46)를 이용한다.
영상데이타는 소정의 DCT블럭(예컨대, 8x8)으로 나누어져 이산여현 변환기(42)에서 이산여현 변환되고, 상기 이산여현 변환기(42)의 출력은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에서 벡터 양자화됨과 동시에 스칼라 양자화기(43)에서 스칼라 양자화되어 그 결과가 각각 멀티플랙서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벡터를 코드벡터와 비교하여 최소의 왜곡치를 갖는 코드벡터의 인덱스정보를 산출하는데, 판단부(46)는 상기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로 부터 왜곡치를 입력받아 임의의 입력벡터에 대해서 상기 산출된 왜곡치가 허용 가능한 기준치를 벗어나면 스칼라 양자화기(43)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왜곡치가 허용범위안에 들면 상기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멀티플랙서(45)는 상기 판단부(46)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칼라 양자화기(43)의 출력이나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한다.
즉, 일반적으로 벡터양자화의 효율이 스칼라 양자화보다 양호하기 때문에 일단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의 출력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되, 임의의 입력벡터에 대해 적당한 코드 벡터가 없어 왜곡치가 커질 경우에는 차라리 스칼라 양자화기(43)의 출력을 선택하므로써 화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동화상이 입력될 경우에는 화면간의 리던던시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스칼라 양자화기(43)의 출력을 역스칼라 양자화기(47)에서 역스칼라 양자화하고,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의 출력을 역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8)에서 역피티에스 벡터양자화한후 상기 판단부(46)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플랙서(49)에 해당 역양자화기의 출력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역양자화기의 출력을 역이산여현 변환한후, 프레임 메모리(50)에 저장한다.
이어서, 다음 프레임의 영상데이타가 입력되면 움직임 보상부(51)에서 상기 현재의 영상 데이타와 프레임 메모리(50)에 저장된 이전 영상 데이타와를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움직임 벡터에 의해 상기 이전 프레임의 영상데이타를 보상한 후 감산기(41)로 출력하고, 감산기(41)에서는 현재 영상 데이타에서 움직임 보상된 이전 영상 데이타를 감산한 결과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영상에 따라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보다 스칼라 양자화가 효율적인 경우에는 스칼라 양자화방식을 선택하므로써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산여현변환수단(42); 상기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입력벡터로서 입력받아 피티에스 벡터양자화하는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 상기 이산여현 변환된 계수를 스칼라 양자화하는 스칼라 양자화기(43); 상기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의 왜곡치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왜곡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스칼라 양자화기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판단부(46); 및 상기 판단부(46)의 출력에 따라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4)의 출력이나 스칼라 양자화기(43)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선택수단 (45)으로 구성되는 탈출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는 피티에스 벡터양자화된 인덱스코드를 다시 역피티에스 벡터양자화하는 역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48); 상기 스칼라 양자화된 데이타를 역 스칼라 양자화하는 역스칼라 양자화기(47); 상기 판단부(46)의 출력에 따라 역 피티에스 벡터양자화기나 역 스칼라 양자화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선택수단(49); 상기 제2선택수단(49)의 출력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50); 상기프레임 메모리(50)로부터 이전 프레임의 영상과 현재의 입력 영상을 비교하여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부(51); 및 현재 영상과 움직임 보상된 이전 영상과의 차를 출력하는 감산기(4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 티피에스 벡터양자화기.
KR1019950028323A 1995-08-31 1995-08-31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 KR10020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323A KR100204470B1 (ko) 1995-08-31 1995-08-31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323A KR100204470B1 (ko) 1995-08-31 1995-08-31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76A KR970014376A (ko) 1997-03-29
KR100204470B1 true KR100204470B1 (ko) 1999-06-15

Family

ID=1942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323A KR100204470B1 (ko) 1995-08-31 1995-08-31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4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76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8069A (en) Adaptive multi-stage vector quantization
KR0162197B1 (ko) 영상데이타의 가변장부호와/복호화방법 및 장치
JP3716931B2 (ja) 連続画像の適応型復号装置
Fränti et al. Compression of digital images by block truncation coding: a survey
US4851906A (en) Data compression using orthogonal transform and vector quantization
US5767909A (en) Apparatus for encoding a digital video signal using an adaptive scanning technique
US48169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encoding and decoding image sequences
JP5073004B2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並びに画像復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方法
JPH01503509A (ja) 一連の画像を有効に通信するための階層的符号化方法と装置
JP2003032677A (ja) 動画像圧縮符号化装置
KR20200024154A (ko) 디지털 데이터 압축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H10126273A (ja) 信号符号化方法
JP5101818B2 (ja) 非標準化ビデオ量子化コーダを使用するビデオ規格に準拠した残差コーディング
KR100204470B1 (ko) 탈출 피티에스 벡터 양자화기
JPH06225153A (ja) 画像符号化装置
AU607636B2 (en) Method for encoding/transmitting images
JP2006191642A5 (ko)
KR0134342B1 (ko) 동작추정에 의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204468B1 (ko) 영상 부호기 및 복호기
KR100207378B1 (ko) 적응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0169666B1 (ko) 피티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의 왜곡치 계산장치
JP2856974B2 (ja) 画像符号化装置
KR0169659B1 (ko) 피티에스 백터양자화 부호기의 코드발생기
KR0169661B1 (ko) 계층부호화를 위한 피티에스 벡터양자화 부호기
KR0134358B1 (ko) 가변 스캔방법을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