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607B1 -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 Google Patents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607B1
KR100199607B1 KR1019960064882A KR19960064882A KR100199607B1 KR 100199607 B1 KR100199607 B1 KR 100199607B1 KR 1019960064882 A KR1019960064882 A KR 1019960064882A KR 19960064882 A KR19960064882 A KR 19960064882A KR 100199607 B1 KR100199607 B1 KR 10019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jaw
base plate
center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523A (ko
Inventor
조세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6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35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tor-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2013/0807Arrangements of fasteners or clip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INSULATOR)의 마운팅 지그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작동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T형 구멍이 형성된 조우 및 베이스판을 구성하고, 이 조우와 베이스판 사이에는 상단에 조절브라켓이 구비된 컬럼이 T형 구멍을 따라 슬라이드 유동되면서 작동구멍의 크기를 인슐레이터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판의 상단에 중앙으로 향하는 T형 구멍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조우 및 베이스판과, 그 상단에 조절브라켓이 구비되어 이것들 사이에 끼움설치되는 컬럼으로 구성하여, 이 조절브라켓 및 컬럼의 하부가 각 T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유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우의 중심 직경을 조절할 수 있게 인슐레이터의 크기에 따라 조우의 중심 직경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우의 상부에 인슐레이터를 필요로 하는 마운팅브라켓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인슐레이터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산업에 이용되는 산업기계에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및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곳에는 여기서부터 발생된 소음이 자동차나 산업기계의 몸체 바깥쪽으로 발산되지 않도록 인슐레이터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의 엔진인 경우 엔진의 마운팅브라켓과 내부에 인슐레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그 일측이 차체와 일체로 고정된 몰딩 브라켓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켜서 엔진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마운팅브라켓의 내부에 끼워진 인슐레이터는 장시간 주행에 따라 마모가 발생하면서 찢어지게 되어, 이를 교환하여 이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자동차의 엔진과 같은 운동부에 설치된 인슐레이터의 교환에 따른 적절한 공구가 없었기 때문에 보조공구를 이용하여 인슐레이터의 탈부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운팅브라켓이 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앙에 작동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T형 구멍이 형성된 조우 및 베이판을 구성하고, 이 조우와 베이스판 사이에는 상단에 조절브라켓이 구비된 컬럼이 T형 구멍을 따라 슬라이드 유동되면서 작동구멍의 크기를 인슐레이터의 직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우11, 21 - 작동구멍
12, 22 - T형 구멍13, 23 - 설치구멍
20 - 베이스판30 - 컬럼
31 - 조절브라켓32 - 절개면
33 - 고정구멍100 - 마운팅브라켓
110 - 인슐레이터200 - 펀치
300 - 테이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중앙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작동구멍(11), (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체 테두리에는 등간격으로 중심을 향하여 T형 구멍(12), (22)이 각각 형성된 조우(10) 및 베이스판(20)과, 하부가 상기 T형 구멍(22)에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동시에 그 상부에는 조절브라켓(31)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컬럼(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조절브라켓(31)은 일측면이 동일한 곡률로 절개되어 절개면(32)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조우(10) 및 베이스판(20)의 T홈 구멍(12), (22) 사이에에는 설치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시도로서, 도면부호 100은 마운팅브라켓을, 110은 인슐레이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그 중앙에는 작동구멍(11), (21)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선단에는 T형 구멍(12), (22)이 각각 형성된 조우(10) 및 베이스판(20)과, 상기 조우(10)와 베이스판(2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상단에는 조절브라켓(31)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컬럼(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조우를 나타낸다.
상기 조우(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10)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작동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우(10)의 상단에는 이것(10)의 원주상에서 등간격으로 분리된 위치에서부터 그 중심을 향하여 T형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3개의 T형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T형 구멍(12)은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크기가 커서 이것(110)을 탈부착 하는 경우 큰 외력을 필요로 할 때에는 그 갯수가 많은 것을 이용하여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조우(10)가 받는 충격을 후술하는 컬럼(30)을 통하여 분산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우(10)의 상단에는 상기 각 T형 구멍(12) 사이에 단차 형상으로 이루어진 설치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구멍(13)에는 첨부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조우(10)의 선단보다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끼움부재(미도시됨)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끼움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바닥면이 상기 조우(10)의 상단과 나란하지 않은 경우 그 높이에 맞도록 상기 설치구멍(13)에 끼워져 이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조우(10)는 후술하는 조절브라켓(31)의 선단에 이것(31)이 상기 T형 구멍(11)에 끼워지게 하여 사용하거나, 반대로 상기 조우(10)의 하단이 상기 조절브라켓(31)의 상단에 놓여진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도면부호 20은 베이스판을 나타낸다.
상기 베이스판(20)은 상기 조우(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이것(10)의 아랫쪽에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20)은 상기 조우(1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서 그 중앙에는 작동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하여 T형 구멍(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0)의 선단에는 상기 T형 구멍(22) 사이에 그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설치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30은 컬럼을 나타낸다.
상기 컬럼(30)은 폭이 다소 넓은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부는 일부는 상단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컬럼(30)의 하부는 양측 테두리부가 바깥쪽으로 돌출성형되어서, 상기 베이스판(20)의 T형 구멍(22)에 끼워져서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컬럼(30)의 상단에는 조절브라켓(31)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절브라켓(31)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사각면체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31)의 상단에는 아랫쪽으로 단차 형상의 고정구멍(3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조절브라켓(31)은 상기 고정구멍(33)을 통하여 상기 컬럼(30)의 상단에 360°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T형 구멍(12)에 끼워져서 슬라이드 유동을 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조절브라켓(31)의 전면, 즉 상기 조우(10)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각각 일정한 곡률을 갖는 절개면(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개면(32)은 일정한 원주를 갖는 가상의 원주와 서로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컬럼(30)은 각각 상기 각 T형 구멍(12)에 끼움설치되어서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상기 조절브라켓(31)은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형태에 따라 상기 컬럼(30)의 위치를 슬라이드 유동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한 정면도로서, 도면부호 200은 펀치를, 300은 테이블을, 나머지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인슐레이터(110)를 탈거 또는 부착하기 위해서는 탈부착 장치를 상기 테이블(300)에 설치하게 된다.
먼저, 상기 테이블(200)의 상부에 상기 T형 구멍(22)이 윗쪽을 향하도록 베이스판(20)을 고정시키고, 이 T형 구멍(22)에는 상기 컬럼(30)의 하부를 끼워서 이것(30)이 슬라이드 유동할 수 있게 설치한다.
이어, 상기 컬럼(30)의 상부에 상기 설치구멍(33)을 이용하여 상기 조절브라켓(31)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이것(31)의 상단에 상기 조우(10)를 올려 놓게 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110)를 탈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T형 구멍(12)이 윗쪽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인슐레이터(110)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T형 구멍(12)이 윗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우(10)의 설치구멍(13)과 일치하도록 상기 마운팅브라켓(100)을 올려 놓게 되며,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내경보다 상기 조절브라켓(31)이 안쪽에 놓여진 경우에는 상기 컬럼(30)을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유동을 시켜서 상기 브라켓(100)의 기준면을 받쳐 주도록 이동시켜서 펀치(300)로 가압하여 장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110)의 탈착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나, 상기 조우(10)의 상하단면이 반대의 위치에 놓여지게 하여서 상기와 같이 펀치(200)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인슐레이터(110)가 작동구멍(13)의 안쪽으로 유입되면서 마운팅브라켓(100)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의 직경에 따라 컬럼의 상부에 설치된 조절브라켓을 이용하여 인슐레이터의 직경에 맞도록 조절하고, 마운팅브라켓으로부터 인슐레이터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인슐레이터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앙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작동구멍(11), (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체 테두리에는 등간격으로 중심을 향하여 T형 구멍(12), (22)이 각각 형성된 조우(10) 및 베이스판(20)과,
    하부가 상기 T형 구멍(22)에 슬라이드 유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동시에 그 상부에는 조절브라켓(31)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컬럼(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조절브라켓(31)은 일측면이 동일한 곡률로 절개되어 절개면(32)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우(10) 및 베이스판(20)의 T홈 구멍(12), (22) 사이에에는 설치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KR1019960064882A 1996-12-12 1996-12-12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KR10019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82A KR100199607B1 (ko) 1996-12-12 1996-12-12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882A KR100199607B1 (ko) 1996-12-12 1996-12-12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23A KR19980046523A (ko) 1998-09-15
KR100199607B1 true KR100199607B1 (ko) 1999-06-15

Family

ID=1948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82A KR100199607B1 (ko) 1996-12-12 1996-12-12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14B1 (ko) * 2001-10-15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슐레이터의 압착 및 추출용 지그
KR100922588B1 (ko) * 2003-03-11 2009-10-2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기계가공용 부품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523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8767A3 (en) Router
US20070117499A1 (en) Rotary protecting hood of a pneumatic grinder
WO2006086147A3 (en) Assembly for providing flexure to blade system
KR101025355B1 (ko) 절삭 인서트 고정장치
CA2248470A1 (en) Splitter and cutting member guard assembly
EP1273387B1 (en) Jig for positioning and fixing work
ZA200501284B (en) Ring slicer with easily removable knife and knife assembly
KR100199607B1 (ko) 인슐레이터의 마운팅 지그
DE50201335D1 (de) Vorrichtung zum Schneiden biegeweicher, flächiger Werkstücke
PL353958A1 (en) Improvements to ceramic cutters
US7331736B2 (en) Metal cutting tool
US5048237A (en) Attachment for a power tool
DE60014747D1 (de) Vorrichtung zur Vorpositionnierung der Messer für eine Rohrschneidemaschine
KR100783914B1 (ko) 인슐레이터의 압착 및 추출용 지그
US6568306B2 (en) Aperture punching unit
KR20160117873A (ko) 멀티커터 블레이드 탈부착 구조
JPH0426188Y2 (ko)
CA2330338A1 (fr) Procede et dispositif d'usinage en surface d'une structure telle qu'une structure alveolaire
KR200230183Y1 (ko) 프레스용 연결대 셋트
KR100249304B1 (ko) 자동차 도아의 탈장착이 용이하게한 지그
JP2516946Y2 (ja) ウエハー固定装置
KR20040090282A (ko) 차량 스티어링 휠의 오디오 스위치 취부 구조
KR200285341Y1 (ko)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공작물 고정용 지그
JPH06254807A (ja) 電動工具のテンプレットガイド取付装置
KR200146269Y1 (ko) 가공소재 위치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