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602B1 - Drink holder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Drink holder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602B1
KR100199602B1 KR1019960056212A KR19960056212A KR100199602B1 KR 100199602 B1 KR100199602 B1 KR 100199602B1 KR 1019960056212 A KR1019960056212 A KR 1019960056212A KR 19960056212 A KR19960056212 A KR 19960056212A KR 100199602 B1 KR100199602 B1 KR 100199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 holder
cup
plate
cen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37462A (en
Inventor
임성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6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602B1/en
Publication of KR1998003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6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에 형성된 세로로 긴 직사각형 홈에 하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필요에 의해서만 회전시켜 사용하는 드링크 홀더를 센터 페시아에 장착시킴으로써, 센터 페시아의 면적이 부족하여 가로로 드링크 홀더를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센터 페시아를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holder for an automobile, in which a lower end portion is hinged to a vertically elongated rectangular groove formed in a center fascia of an automobile, and a drink holder is rotated and used only if necessary,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center pacecia when the drink holder can not be mounted horizontally.

Description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Car Drink Hold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내 센터 페시아에 장착되는 드링크 홀더의 구조를 세로로 설치하여 센터 페시아의 면적 부족 등으로 가로로 설치하기 힘든 경우에 효율적으로 센터 페시아를 이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holde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nk holder for a car, which is effectively installed when the structure of a drink holder mounted on a center pace in a crash pad of a car is vertically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drink holder capable of using a center fascia.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의 편의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운전자나 승객이 음료를 마실때 사용하게 되는 드링크 홀더는 사용자가 편리하도록 대부분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에 설치되고 특히, 크래쉬 패드 내 센터 페시아에 장착되던 종래의 드링크 홀더는 컵이나 기타 음료수를 올려 놓기에 편하도록 가로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다.Generally, the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convenience devices, and in particular, the drink holder, which is used when the driver or the passenger drinks the beverage, is installed on the crash pad of the automobile mostl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Especially, Conventional drink holders are often installed horizontally for easy placement of cups and other drinks.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드링크 홀더는 재떨이나 카 스테레오 등의 장치로 인해 센터 페시아에 면적이 부족하여 가로로 위치하기 힘든 점을 갖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어 왔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rink hold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e positioned horizontally due to insufficient space in the center fascia due to an apparatus such as an ashtray or a car stereo, and therefore, a supplement has been deman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에 형성된 세로로 긴 직사각형 홈에 하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필요에 의해서만 회전시켜 사용하는 드링크 홀더를 센터 페시아에 장착시킴으로써, 센터 페시아의 면적이 부족하여 가로로 드링크 홀더를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센터 페시아를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nter fascia which has a longitudinally long rectangular groove formed in a center fascia of an automobile and has a lower end hing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drink holder for an automobile which can efficiently use a center pace when the drink holder can not be mounted horizont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의 장착 상태도,Fig. 1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drin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rin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drin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드링크 홀더 11: 컵받침판10: Drink holder 11: Cup tray

12: 리브13: 마감부재12: rib 13: closing member

14: 스프링 15: 마감판14: Spring 15: Finishing plate

16: 인출홈17: 힌지고정단16: lead-out groove 17: hinge fixing end

20:센터 페시아 21: 센터 페시아 홈20: Center Fesia 21: Center Fesia Ho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중간의 센터 페시아에 장착되는 드링크 홀더에 있어서, 컵이 삽입되는 원형홀이 형성된 판(11)과 이 판의 중앙부 상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리브(12)의 끝단에 마감부재(13)가 판(11)과 수평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컵받침판(11)은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어 스프링(14)로 힌지결합되고, 양가장자리에 위치한 판은 스프링(14) 결합이 되는 일측의 반대측으로 수직의 마감판(15)이 형성된 드링크 홀더(10)와, 상기 드링크 홀더(10)가 삽입되는 세로의 홈(21)이 센터 페시아(20)에 형성되고 상기 컵받침판(11)의 후단부가 센터 페시아(20)에 힌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holder mounted on a center fascia in the middle of a crash pad of an automobile. The drink holder comprises a plate (11) having a circular hole into which a cup is inserted, and a rib (12) The cup 13 is hinged to the cup 11 by the spring 14. The cup 14 is hinged to the cup 14 by the spring 14. The cup 14 is hinge- And a longitudinal groove 21 into which the drink holder 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fascia 20 and the cup support plate 1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fascia 20, (11) is hingedly fixed to the center fascia (20).

여기서, 상기 컵받침판(11)의 분리된 양가장자리의 판의 폭은 상기 리브(12)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스프링(14)은 외력을 가하지 않았을 때 그 양단이 수평을 이루고, 상기 센터 페시아(20)에 형성된 홈(21)의 폭은 컵받침판(11)의 중앙판이 삽입가능한 크기이며, 상기 컵받침판(11)의 상부에 위치한 마감부재(13)의 외측면에 드링클 홀더(10)의 인출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dth of the plate at both edges of the cup-receiving plate 11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rib 12,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pring 14, both ends of the plate are horizontal, The width of the groove 21 formed on the cup support plate 20 is such that the center plate of the cup support plate 11 can be inserted and the width of the wring holder 1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ure member 13, Out groove 16 is fo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10)가 센터 페시아(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장착 상태도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터 페시아의 홈(21)에 삽입된 드링크 홀더(10)는 컵받침판(11)에 연결된 상하의 마감부재(13)와 좌우의 마감판(15)으로 센터 페시아(20)와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1 is a moun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ink hol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enter fascia 20 and includes a drink holder 10 inserted into a groove 21 of a center fascia 10 ar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with the center fascia 20 by the upper and lower closure members 13 and the left and right closure plates 15 connected to the cup-

이때, 상부의 마감부재(13)에 형성된 인출홈(16)을 이용해 사용자가 드링크 홀더(10)를 앞으로 당기면 드링크 홀더(10)는 그 하부가 센터 페시아(20)에 힌지고정 되어 있으므로 힌지고정부(17)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센터 페시아(20)에서 이탈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ulls the drink holder 10 forward by using the draw-out groove 16 formed in the upper closing member 13, the lower portion of the drink holder 10 is hinged to the center fascia 20, (17) and released from the center fascia (20).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1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rink hol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어 있는 컵받침판(11)은 양단이 수평으로 놓이는 스프링(14)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스프링(14)은 상기 분리된 컵받침판(11)의 힌지와 같은 역할을 하여 스프링(14)을 중심으로 양가장자리의 판이 중심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up-shaped base plate 11 divided into three hal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by a spring 14 whose both ends are horizontally positioned. The spring 14 is connected to the separated cup- 11 so that the plates at both edges of the spring 14 can be folded toward the cent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10)를 센터 페시아의 홈(21)에 삽입장착시킬때는 컵받침판(11)의 분리된 세개의 판을 연결하는 스프링(14)을 중심으로 컵받침판(11)의 양가장자리의 판이 접혀지어 홈(21)에 삽입가능한 크기의 폭이 되어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nk hol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of the center fascia, the cup support plate 11 is rotated about the spring 14 connecting the three separated plates of the cup support plate 11, So that the inser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1 with a width of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1.

이때, 컵받침판(11)의 분리된 양가장자리의 판의 폭이 상기 컵받침판(11)의 중앙부 상하단에 형성된 리브(12)의 길이와 동일하고, 양가장자리의 판의 스프링(14) 연결부의 반대측으로 수직의 마감판(15)이 형성되어 있어, 컵받침판(11)의 양가장자리의 판이 수직으로 접혀지면 상기 마감판(15)과 마감부재(13)가 수평면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plates at both edges of the cup-receiving plate 11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ribs 12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er of the cup-receiving plate 11, The finish plate 15 and the closing member 13 form a horizontal plane when the plates on both edges of the cup-receiving plate 11 are vertically fold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10)를 센터 페시아의 홈(21)에 삽입시키면 상술했던 바와 같이, 센터 페시아(20)의 외부로는 마감판(15)과 마감부재(13)만이 노출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nk hol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of the center fascia, only the finishing plate 15 and the closing member 13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fascia 20 will be.

상기와 같이 센터 페시아(20)에 삽입된 드링크 홀더(10)는 상기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홈(21)의 양측벽면에 접혀진 컵받침판(11)의 양가장자리가 힘을 가하게 되어 드링크 홀더(10)가 센터 페시아의 홈(21)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drink holder 10 inserted into the center fascia 20 is urg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4 so that both edges of the cup support plate 11 fol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groove 21 exert a force on the drink holder 10, It is possible to firmly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base 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 of the center pace.

또한, 센터 페시아의 홈(21)에서 인출된 드링크 홀더(10)는 분리된 세개의 컵받침판(11)을 서로 결합시키고 있는 스프링(14)의 작용으로 중앙부의 판과 양가장자리의 판이 수평면을 이루게 되어 컵을 끼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rink holder 10 drawn out from the groove 21 of the center fascia is formed by the action of the spring 14 connecting the three separated cup-like plates 11 to each other, So that the cup can be inserted.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링크 홀더(10)가 힌지고정부(17)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센터 페시아의 홈(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컵받침판(11)의 하부에 형성된 마감부재(13)는 드링크 홀더(10)가 센터 페시아의 홈(21)에서 인출되었을 때 센터 페시아(20)의 외부면에 접하게 되어 드링크 홀더(10)를 센터 페시아(20)와 수직으로 놓이게 해주어 드링크 홀더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drink hol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from the groove 21 of the center fascia by being rotated around the hinge supporting part 17, The formed closing member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fascia 20 when the drink holder 10 is drawn out from the groove 21 of the center fascia to place the drink holder 10 perpendicular to the center fascia 20 This allows you to use the drink holder.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에 의하면 센터 페시아의 면적이 부족하여 가로로 드링크 홀더를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에 세로의 드링크 홀더를 센터 페시아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승객의 편의성과 동시에 센터 페시아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rink holder for a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enter fesia area is insufficient and the drink holder can not be mounted horizontally, the vertical drink holder can be mounted on the center fesia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and the area of the center fesia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used efficiently.

Claims (2)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중간의 센터 페시아에 장착되는 드링크 홀더에 있어서, 컵이 삽입되는 원형홀이 형성된 판(11)과 이 판의 중앙부 상하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리브(12)의 끝단에 마감부재(13)가 판(11)과 수평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컵받침판(11)은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어 스프링(14)로 힌지결합되고, 양가장자리에 위치한 판은 스프링(14) 결합이 되는 일측의 반대측으로 수직의 마감판(15)이 형성된 드링크 홀더(10)와, 상기 드링크 홀더(10)가 삽입되는 세로의 홈(21)이 센터 페시아(20)에 형성되고 상기 컵받침판(11)의 후단부가 센터 페시아(20)에 힌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A drink holder mounted on a center fascia in the middle of a crash pad of an automobile, comprising a plate (11) formed with a circular hole into which a cup is inserted and a closing member (13) at the end of a rib (12) The cup-supporting plate 11 is hinged to the cup 14 by the spring 14 and the plate located on both edges of the cup-receiving plate 11 is engaged with the spring 14 And a vertical groove 21 into which the drink holder 1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fascia 20 and the cup support plate 11 is formed in the center fascia 20, Is hinged to the center fascia (20). 상기 컵받침판(11)의 분리된 양가장자리의 판의 폭은 상기 리브(12)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스프링(14)은 외력을 가하지 않았을 때 그 양단이 수평을 이루고, 상기 센터 페시아(20)에 형성된 홈(21)의 폭은 컵받침판(11)의 중앙판이 삽입가능한 크기이며, 상기 컵받침판(11)의 상부에 위치한 마감부재(13)의 외측면에 드링클 홀더(10)의 인출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The width of the plate at both edges of the cup-receiving plate 11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rib 12 and the spring 14 is horizontal when both sides of the center fascia 20 The width of the groove 21 formed in the cup support plate 11 is such that the center plate of the cup support plate 11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width of the groove 2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ure member 13, And a groove (16) is formed in the groove (16).
KR1019960056212A 1996-11-21 1996-11-21 Drink holder for automobile KR100199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12A KR100199602B1 (en) 1996-11-21 1996-11-21 Drink holder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212A KR100199602B1 (en) 1996-11-21 1996-11-21 Drink holder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62A KR19980037462A (en) 1998-08-05
KR100199602B1 true KR100199602B1 (en) 1999-06-15

Family

ID=1948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212A KR100199602B1 (en) 1996-11-21 1996-11-21 Drink holder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60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462A (en)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602B1 (en) Drink holder for automobile
CA2000902A1 (en) Drink holder for automotive mini vans
KR20170037040A (en) A cup holder for vehicles
KR0135846Y1 (en) Cupholder for use in an automobile
KR0140689Y1 (en) Cup holder built into vehicle console box
JPH0331621Y2 (en)
KR0112759Y1 (en) A holder of a drinking water container for a car
KR200197395Y1 (en) Console bax for a car
KR19980012074U (en) Car Dual Cup Holder
KR0132249Y1 (en) Console box having a double base
KR0136415Y1 (en) Cupholder for a car
KR100191773B1 (en) Clip for mounting the trim of automobile
KR0140527Y1 (en) Device for containing a meal table of a railcar
KR970005317Y1 (en) Cup holder for a vehicle
KR19980011379U (en) Cup holder structure with reduced storage space
KR19990021363U (en) Cup holder of car
KR200141407Y1 (en) Tray for a car
KR19980044231U (en) Combined cup holder
KR200149811Y1 (en) Console box for a car
KR920005257Y1 (en) Cup holder
KR100916710B1 (en) Cup holder installed in the automobile
KR100427767B1 (en) Cup holder for a vehicle
JPH11286233A (en) Drink container holder
KR19980054403A (en) Car Cup Holder
KR19980041570U (en) Cup holder cover take-out device of car console box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