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270B1 - Implementing method for hangul(korean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 Google Patents

Implementing method for hangul(korean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270B1
KR100198270B1 KR1019960012133A KR19960012133A KR100198270B1 KR 100198270 B1 KR100198270 B1 KR 100198270B1 KR 1019960012133 A KR1019960012133 A KR 1019960012133A KR 19960012133 A KR19960012133 A KR 19960012133A KR 100198270 B1 KR100198270 B1 KR 100198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put
consonant
vowel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72848A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1996001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270B1/en
Publication of KR97007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2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전화기버튼을 이용한 한글문자의 구현방법에 관한 분야.Field of Implementation of Hangul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2.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종래에는 전화기버튼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시 시간이 과다소요되고, 번호를 누를 때 어떤 문자를 입력하였는지 확인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마침기능이 없어 송신자의 의도대로 문자가 전송되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In the related art, when a character is input using a telephone button, time is excessively required, and when a number is pressed,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ich character is input, and there is no finish function, which is very difficult to transmit a character as the sender intended.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12개의 전화기버튼(즉 0∼9버튼과 *버튼 및 #버튼)의 조합적 입력에 의해 한글자모출현의 규칙성과 한글제자원리를 이용하여 한글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10개의 숫자버튼에 한글자모를 적절히 배치하고, 나머지 2개의 기능버튼으로 한글입력작업을 가능케 하며 입력된 글자를 액정화면 표시부를 나타낼 수 있게 하려는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lementing Hangul by using the regularity of Hangul alphabet appearance and Hangul resources by combining input of twelve telephone buttons (that is, 0-9 buttons and * button and #button). Hangul alphabet is appropriately placed on the number buttons, and the remaining two function buttons enable Hangul input operation and display the input characters on the LCD screen.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무선호출기 문자서비스분야와 각종정보자동 안내분야에 사용됨.Used in the field of wireless pager text service and automatic information field.

Description

전화기 버튼을 이용한 한글문자의 구현방법How to Implement Hangul Characters Using Phone Buttons

제1도는 본 발명의 전화기 버튼에 대한 예시도로서, 12개의 전화기버튼에 한글자모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elephone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Hangul alphabet is arranged on twelve telephone buttons.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문자를 구현하는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2 and 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order of implementing the characters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12개의 전화기버튼(즉, 0∼9번 버튼과 *버튼 및 #버튼)의 조합적 입력에 의해 한글자모출현의 규칙성과 한글제자원리를 이용하여 한글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10개의 숫자버튼에 한글자모를 적절히 배치하고, 나머지 두 개의 기능버튼(*, #)으로 한글입력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입력된 글자를 액정화면 표시부에 나타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lementing Hangul using the regularity of Hangul character appearance and Hangul resources by combining input of twelve telephone buttons (that is, buttons 0-9 and * button and #button). Hangul alphabet is appropriately placed on the 10 number buttons, and the remaining two function buttons (*, #) enable Korean input operation, and the input characters can be displayed on the LCD screen.

또한 이와같은 방법으로 한글을 입력시키게 되면 송신자가 전하려는 문자를 수신자가 바로 호출기 등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게 되어 정확한 문자전달과 더불어 신속한 전달이 이루어져 신뢰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f you input Hangul in this way, the receiver is able to confirm the character you want to convey through the pager, etc., so that accurate reliability and rapid delivery can be achieved.

주지된 바와 같이 전화기버튼을 이용한 한글문자입력방식에 따른 필요성은 무선호출문자 서비스분야를 비롯하여 각종 정보자동안내분야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져 왔는데, 특히 무선호출기 문자 서비스의 경우는 정형문 입력방식, 컴퓨터통신을 이용한 직접전송방식, 수동식으로 타자수가 내용을 중계해주는 오퍼레이터방식등 3가지가 마련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the necessity of the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telephone button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in various information automatic guidance fields including the wireless call character service fiel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wireless pager character service, the regular text input method and the computer communication are used. There are three types: direct transmission method and operator method that relays contents by manual type.

그러나 이와 같은 3가지 서비스방식은 모두 다음과 같은 불편 때문에 이용에 어려움이 따른다.However, these three service methods are difficult to use because of the following inconvenience.

즉, 정형문 방식은 정형문 코드들을 알고 있어야 하고, 이름과 지명과 같은 고유명사는 표현을 하지 못하며, 컴퓨터전송방식은 컴퓨터와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오퍼레이터 입력방식은 수동식이기 때문에 입력실수가 발생될 수 있고 통신자동화에 걸맞지 않으며, 특히 오퍼레이터 즉 제3자에 의해 통신당사자의 통신내용이 누설되어진다는 점이다.In other words, the formal sentence method must know the formal sentence codes, and proper names such as names and place names cannot be expressed. Computer transfer methods must be equipped with computers and programs, and operator input methods are manual. It is not suitable for communication automa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party are leaked by the operator, or a third party.

또한, 다른 차원으로 볼수 있는 음성정보 안내장치는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여러단계의 접근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떠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어 이용에 불편이 따르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oice information guide apparatus that can be viewed in another dimension has to go through several steps of access procedures in order to access desired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may have to take a lot of time to obtain some information,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한편,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화기에 한글자모를 표기하여 한차원 높은 문자서비스를 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발명특허 공고번호 92-5581호와 91-375호 및 실용신안공개번호 94-13887호등이 있는데, 발명특허 공고번호 92-5581호는 한글자모각각에 2개의 숫자버튼으로 구성되어지는 특성값을 부여한 것이어서 문자입력시 버튼입력횟수가 많아 입력시 시간이 과다 소요되고, 상기 92-5581호 이외의 고안들은 번호를 누를 때 어떤문자를 지정하였는지 확인이 이루어지지 못하며(즉, 문자구현방식이 아님) 따라서 중계국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목록대로 입력하는 것에 불과하기에 송신자와 수신자이외에 중계국의 담당자도 입력내용을 알수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과 더불어 전화기 버튼의 조작을 통해 이미 기억장치에 입력되어져 있는 한글문자의 입력만이 가능하고, 또한 입력되어지는 내용을 버튼의 조작으로 액정화면 표시부에 한글로 나타낼 수 없는 것들이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Korean alphabet was developed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text service by displaying the Hangul alphabet on the phone, and there are Patent Publication Nos. 92-5581 and 91-375 an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s. 94-13887. Publication No. 92-5581 assigns a characteristic value consisting of two numeric buttons to each Korean alphabet letter, so the number of button inputs is large when inputting characters, and the time required for input is excessive. When you press, it is not possible to check which character is specified (that is, it is not a character implementation method). Therefore, it is only inputted in the database list of the relay station, so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elay station can know the input contents. In addition to the problems such as the operation of the phone button, only the input of the Korean characters already entered into the storage device by 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button Possible, and is also unable to indicate that the input information in Hangul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by the operation of those buttons.

즉, 아라비아 숫자버튼을 누를 경우 2개 또는 3개의 자모중에서 어느 것의 입력을 지시하는지 전혀 알수 없다.In other words, if you press the Arabic numerals button, you do not know at all which of the two or three letters is input.

다시 말하면 기능키를 이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마침기능이 있을수 없고, 따라서 송신자가 갈자를 입력시켰을 때 가라로 입력되어버리는 등 송신자의 의도대로 문자전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잦아 많은 혼동 및 혼란이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unction keys are not used so that there is no finish function. Therefore, when the sender enters Chinese characters, the sender enters Gara. This is accompanied by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한글제자원리에 기초하여 10개의 숫자버튼에 한글자모를 적절히 배치하고, 나머지 두 개의 기능버튼(#, *)으로 한글입력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입력된 글자를 무선호출기 등의 액정화면표시부에 나타낼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general problems, and in particular, the Hangul alphabet is appropriately arranged on the ten numeric buttons based on the Hangul Jericho, and the Hangul input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remaining two function buttons (#, *). It is possible to, and at the same time to be able to display the input characters on the LCD display, such as a pager, the purpose is to.

다시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전화기의 *(1K)버튼이 한 개의 글자입력마침의 기능키로 사용되고, #(1L)버튼은 복모음 합성기능키과 전화기 버튼상의 두 개의 자음중 윗부분에 표기된 자음입력 예비키로 사용되어지며, 이와 같이 두 개의 기능키를 정의하고 한글을 그 풀어쓰기 한 순서대로 전화기의 한글자모버튼을 입력하면 액정화면표시부에 입력된 한글을 표시하고 전화선을 이용한 한글문자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1K) button of the telephone is used as a function key for finishing one letter input, and the # (1L) button is used as a compound consonant function key and a consonant input spare key indicated on the upper part of two consonants on the telephone button. If you define two function keys and input the Hangul alphabet buttons of the phone in the order of deciphering Hangul, you can display the Hangul input on the LCD screen and send and receive Hangul characters using the telephone lin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징과 여기에 사용된 한글제자원리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ngulje resources us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자모 자판부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Hangul alphabet keyboard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는 1에서 9까지의 9개 버튼에 자음 2개씩을 배치하고 0번 버튼에 자음1개를 배치하여 19개의 한글초성자음을 나타내었다. 또 통상적인 자음순서를 고려하여 1에서 9번버튼까지 자음 기역에서 자음 지읒까지를 표기하고 0번 버튼에는 나머지 10개의 자음들중 자주 쓰이는 히읗을 표기하였다. 그리고 쌍자음을 가지는 5개의 자음버튼에 쌍자음을 병기하였으며 나머지 4개의 자음을 전화기버튼 번호순서대로 표기하였다.Here, two consonants are arranged on nine buttons from 1 to 9, and one consonant is arranged on button 0 to display nineteen Korean initial consonant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normal consonant order, buttons 1 to 9 were written from the consonant range to the consonant consonant, and button 0 was marked with the most commonly used hyssop among the remaining 10 consonants. In addition, the five consonants with twin consonants are paired with consonants and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are listed in the order of telephone button numbers.

또한 10개의 한글기본모음을 3번 버튼에서부터 통상적인 모음순서대로 전화기 자판부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10 Korean basic vowels are displayed on the keyboard of the phone in the normal vowel order starting from the 3 button.

따라서 이와 같은 배치형태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Therefore, the arrangement of such arrangem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참고로 버튼 0번의 상측이 비어있는 이유를 설명하면 아래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For reference, explain why the top of button 0 is empty, as shown in the table below.

즉, #모음 다음 0의 버튼을 누르면 어느경우든지 복모음 합성기능으로 되게 하였기에 0번 버튼에는 상측자음의 입력이 가능하지않게 되어 충돌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if you press the 0 button after the # vowel, the double vowel synthesis function is enabled in any case, so the upper consonant cannot be input to the 0 button to prevent collision.

상기와 같이 한글자모를 배치하고, 나머지 2개의 기능키(*, #)중 *버튼은 한 개의 글자입력마침 구분기능, #버튼은 윗부분 자음군 입력예비키와 복모음 합성키의 기능으로 사용하면 제3도와 제4도의 한글입력순서도 흐름에 따라 한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Hangul alphabet is arranged as above, the * button of the remaining two function keys (*, #) is used to separate one character input and the # button is used as a function of the upper consonant group input spare key and the compound vowel combination key. Hangul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sequence of FIG.

예를 들면 꽃동네라는 글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ㄲ ㅗ ㅊ ㄷ ㅗ ㅇ ㄴ ㅓ ㅣ의 순서대로 전화기 버튼상의 한글자모를 2개의 기능키(*, #)를 이용해 입력하면 된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the word 'flower garden', you can enter the Hangul alphabet on the phone buttons using the two function keys (*, #) in the order of 꽃 ㅊ ㄷ ㅗ ㅇ ㅓ ㅣ ㅣ.

그러므로, 꽃동네라는 글자를 상기 자모배치의 전화기버튼으로 입력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나타내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etter "flower garden" is inputted to the phone button of the letter-shape arrangement, it is represented in the following order.

상기의 예에서 첫 번째 #버튼의 입력은 윗부분의 자음군 9개(ㄲ∼ㅉ)중의 한 개의 입력을 예비하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input of the first # button has a function of preparing one of the nine consonant groups in the upper part.

그러므로 두 번째 입력에서 1번버튼이 눌러지면 1번 버튼에 표기된 3개의 자모중에서 ㄲ의 입력을 지시함을 알 수 있다. 한글제자원리에서 모음이 먼저나오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 번째인 5번 버튼의 입력은 모음 ㅗ의 입력을 지시한다.Therefore, when Button 1 is pressed on the second input, it indicates that the input of ㄲ is indicated from the three letters of Button 1. This is because vowels do not appear first in Hangeje Jeori. And the third, button 5 input indicates the input of the vowel ㅗ.

초성자음글자 다음에는 반드시 중성모음글자가 따라오기 때문이다. 즉, 5번 버튼에 표기된 3개의 자모중에서 모음글자는 ㅗ뿐이므로 이미 입력되어진 쌍기역에 모음 글자 ㅗ를 조합한다.This is because the vowel letters are followed by the vowel letters. In other words, the vowel is only ㅗ out of the three letters written on button 5, so the vowel character 에 is combined with the already inputted pair.

상기의 설명에서 보여지듯이 버튼 입력의 차례에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의도가 자음인지 모음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네 번째 입력차례에서 #기능키가 입력되면 윗부분 자음군 입력예비기능과 복모음 글자합성 예비키로서의 기능중 하나를 지시하는데 이 2가지 기능중의 어느 기능을 수행해야 할지는 다음의 다섯 번째 입력버튼이 받아들여지면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a user input intention is a consonant or a vowel according to the order of button input. In the fourth input sequence, when the # function key is input, it indicates one of the upper consonant group input preliminary function and the function as a double vowel character synthesis spare key. If accepted, it is known.

다섯 번째 입력이 2번 버튼의 입력이므로 받침자음글자 ㅊ의 입력이거나 세 번째 입력된 모음 ㅗ와 2번 버튼의 모음 ㅕ와의 복모음 글자합성을 지시하는데 한글복모음 결합형태중에서 ㅗㅕ의 형태는 없으므로 받침글자 ㅊ의 입력을 지시함을 알수 있다.Since the fifth input is the input of button 2, it indicates the input of the consonant letter or the vowel vowel composition of the third input vowel ㅗ and the button vowel 버튼 of the second button. You can see that it directs the input.

그다음에 여섯 번째 입력버튼이 1개의 글자입력 마침버튼 *이므로 다음버튼의 입력은 2번째 글자 즉 동의 입력을 예비하기 위해 초기모드로 돌아간다.After that, the sixth input button is the one character input finish button *, so the input of the next button returns to the initial mode to reserve the second character, the input of motion.

그러므로 일곱 번째 버튼입력 작업이자 두 번째 글자 동의 첫 번째 입력인 3번 버튼의 입력은 3번 버튼에 표기된 3개의 자모중에서 ㄷ의 입력을 지시하는 것임을 확인한다. 그후에 들어오는 입력버튼도 상기의 한글입력 확인규칙에 따라 한 개의 전화기 버튼에 표기된 3개 또는 2개의 자모중 어떠한 것의 입력을 지시하는지 구분할 수 있다.Therefore, we confirm that the input of button 3, which is the seventh button input operation and the first input of the second letter, indicates the input of c from the three letters shown in button 3. Thereafter, the incoming input button can also be distinguished to indicate the input of any of the three or two letters written on one telephone button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confirmation rule.

또한, 전화기 숫자버튼 10개에 표기된 한글자모 29개의 배치와 2개의 기능키(*, #)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설명하면 한글에서 초성자음글자로 쓰이는 19개의 자음이 본 발명에 의해 2개의 자음군으로 구분되어 입력되어진다는 것이다.In addition, if you describe the features represented by the combination of 29 Hangul alphabet and two function keys (*, #) written on the 10 number buttons of the phone, 19 consonants used as initial consonant letters in Hangul 2 conson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is separated by.

즉, 통상적인 자음글자 순서와 사용빈도를 감안하여 10개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은 #버튼의 입력이 없을시에 나타나는 자음군으로 설정하고 5개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글자와 나머지 4개의 자음(ㅊ, ㅋ, ㅌ , ㅍ)글자인 9개의 자음은 윗부분 자음글자 입력예비키(#)의 입력을 선행한 후 해당자음글자 버튼을 입력하는 자음군으로 구분한 것이다.That is, considering the normal consonant order and frequency of use, 10 consonants (a, b, c, d, ㅁ, ㅂ, ㅅ, ㅇ, ㅈ, ㅎ) are set to the consonant group that appears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 button. And nine consonants with five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and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 ,, ㅌ,)) precede the input of the upper consonant input key (#). After that, the consonants are divided into consonant groups by entering the button.

예를 들면 기존의 컴퓨터 자판에서 사용되어지는 shift키의 기능을 #버튼에 설정한 것이다. 다만 컴퓨터 자판의 shift키는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버튼과 shift키를 같이 눌러야하지만 본 발명에서 윗부분의 자음글자 지정키로 설정되어지는 #버튼은 입력하고자하는 자음글자 버튼과 같이 누르지 않고 먼저 눌러진다는 차이점이 있다.For example, the shift key function used in the existing computer keyboard is set to the # button. However, the shift key of the computer keyboard has to press the letter button and the shift key to be input togeth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button set as the upper consonant letter designation key is pressed first without pressing the same as the consonant letter button to input. have.

이렇게 한글에서 초성자음글자로 사용되어지는 19개의 자음글자를 2개의 자음군으로 구분해놓으면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상황에서 첫 번째 입력은 0에서 9의 숫자버튼 또는 윗부분의 자음글자 입력예비키인 #버튼만이 오게 된다. 즉, 0에서 9의 숫자버튼이 입력되면 기역에서 지읒 그리고 히읗을 구현하고 #버튼이 입력되면 두 번째 입력되어지는 1에서 9까지의 윗부분 자음군의 입력을 예비하게 되는 것이다.Thus, if the 19 consonant letters used as initial consonant letters in Korean are divided into two consonant groups, the first input in the Korean input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umber button of 0 to 9 or a consonant letter input preliminary key of # Only the button comes. In other words, if the number button of 0 to 9 is inputted, it implements Jiwa and hyssop in the air space, and if the # button is input, it prepares the input of the upper consonant group of 1 to 9 to be input second.

그리고 제1도에서 나타낸 한글자모 자판부의 모음글자 10개의 배치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ㅏ모음과 ㅓ모음, ㅣ모음글자 배치의 특이성이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wels of the Hangul alphabet keyboard part shown in FIG. 1 are the specificity of the vowel collection, the vowel collection, and the vowel font placement.

한글에서 기본 모음글자 10개는 다음과 같다.The 10 basic vowel characters in Korean are as follows.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ㅏ ㅑ ㅓ ㅕ ㅗ ㅛ ㅠ ㅡ ㅣ

한글제자원리에서는 상기 10개 외의 복모음 글자 11개의 제자를 기본모음글자간들의 결합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래서 복모음글자 11개는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모음글자의 결합으로 본다.In Hangeul Jejeori, 11 disciples other than the above 10 vowel vowels ar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basic vowel letters. Thus, the eleven vowels are usually regarded as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vowels.

ㅐ(ㅏ모음글자와 ㅣ모음글자), ㅒ(ㅑ와ㅣ), ㅔ(ㅓ와ㅣ), ㅖ(ㅕ와ㅣ), ㅘ(ㅗ와ㅏ), ㅚ(ㅗ와ㅣ), ㅝ(ㅜ와ㅓ, ㅟ(ㅜ와ㅣ), ㅙ(ㅗ와ㅏ와ㅣ), ㅞ(ㅜ와ㅓ와ㅣ)ㅐ (ㅏ) and ㅣ (,), ㅒ (ㅑ 와 ㅣ), ㅔ (ㅓ 와 ㅣ), ㅖ (ㅕ 와 ㅣ), ㅘ (ㅗ 와 ㅏ), ㅚ (ㅗ 와 ㅣ), ㅝ (ㅜ 와 ㅓ, ㅟ (ㅜ 와 ㅣ ㅣ), ㅙ (ㅗ 와 ㅏ 와 ㅣ), ㅞ (ㅜ 와 ㅓ 와 ㅣ)

이상과 같은 구조에서 파악되는 것은 3개의 기본모음글자(ㅏ, ㅓ, ㅣ)들만이 복모음 글자 결합의 형태에서 뒷부분에 출현한다는 것이다.It is understood from the above structure that only three basic vowel letters (ㅏ, ㅓ, ㅣ) appear later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double vowel letters.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윗부분 자음글자 입력예비키와 복모음 글자 합성키로 설정한 #버튼과 10개의 기본모음글자가 표기된 숫자버튼의 결합형태로 상기의 복모음 글자 결합형식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 button and the number button marked with 10 basic vowel letters set as the upper consonant letters input spare key and compound vowel character combination key is shown as follows.

ㅐ(3번 버튼 # 0번 버튼), ㅒ(6 # 0), ㅔ(9 # 0), ㅖ(2 # 0), ㅘ(5 # 3), ㅚ(5 # 0), ㅝ(1 # 9), ㅟ(1 # 0), ㅢ(7 # 0), ㅙ(5 # 30), ㅞ(1 # 90)ㅐ (button 3 # 0), ㅒ (6 # 0), ㅔ (9 # 0), ㅖ (2 # 0), ㅘ (5 # 3), ㅚ (5 # 0), ㅝ (1 # 9), ㅟ (1 # 0), ㅢ (7 # 0), ㅙ (5 # 30), ㅞ (1 # 90)

이러한 모음글자 결합의 형태로 인해, 상기 기술한 3개의 모음(ㅏ, ㅓ, ㅣ)글자 배치의 효과를 설명하자면 ㅏ모음과 ㅓ모음을 3번 버튼과 9번 버튼에 배치 함으로써 ㅘ모음글자와 ㅝ모음글자의 입력시에 들어가는 # 버튼의 두가지 중복기능, 즉 복모음 합성키와 윗부분 자음글자 입력예비키의 기능중 복모음 합성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분할 수 있다.Due to the form of the vowel combination, the effect of the three vowel (ㅏ, ㅓ, ㅣ) placement described above is explained by placing the vowel and vowel on the 3 and 9 buttons. Two overlapping functions of the # button that is input when the vowel character is input, that is, the compound vowel combination key and the upper consonant alphabet input spare key, can be distinguished to perform the double vowel synthesis key function.

한글제자원리에서 보면 초성자음글자 19개중에서 3개의 자음글자(ㄸ, ㅃ, ㅉ)는 받침글자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ㄸ과 ㅉ이 표기된 3번, 9번 숫자버튼에 ㅏ와 ㅓ모음글자를 병기함으로써 #버튼의 두가지 기능중 한가지를 지시할 수 있었다.In Hangeje Jeori, three out of 19 consonant letters (ㄸ, ㅃ, ㅉ) are not used as a back letter. Thus, by using the ㅏ and 음 vowels on the number 3 and 9 buttons marked with ㄸ and ㅉ, one of the two functions of the # button could be indicated.

예를 들면 과라는 글자의 입력에서 그 전화기 버튼의 입력은 15 # 3이 되는데 여기서 첫 번째 입력인 1번 버튼은 자음ㄱ의 입력을 지시하고 두 번째 입력인 5번 버튼은 모음 ㅗ의 입력을 지시함을 알수 있다. 그리고 세 번째 입력에서 #버튼이 눌러지면 윗부분 자음글자 입력 예비기능과 복모음 글자 결합 예비기능을 하는데 네 번째 입력에서 3번 버튼이 입력되어지면 3번 버튼의 윗부분 자음글자는 받침자음글자로 쓰이지 않는 ㄸ이므로 두 번째 입력되어진 ㅗ모음글자와 3번 버튼의 ㅏ모음글자의 결합을 추진하는 복모음 합성키로만 사용됨을 구분한다.For example, in the input of the word Guar, the telephone button input is 15 # 3, where the first input button 1 indicates consonant a and the second input button 5 inputs vowel ㅗ. I can see. And if the # button is pressed in the third input, the upper consonant letter preliminary function and the double vowel consonant function are preliminary. If the third button is input from the fourth input, the upper consonant letter of the third button is not used as the consonant letter. Therefore, it is distinguished that it is used only as a composite vowel key to promote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vowel vowel and the vowel vowel of button 3.

또한 복모음 결합 형태에서 자주 사용되는 ㅣ모음글자의 경우에는 윗부분 자음 글자가 없는 0번 버튼에 배치함으로써 #버튼의 두가지 기능중 복모음 결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vowel letter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the combination of vowel vowels, the vowel combination function of the # button is performed by arranging on the 0 button without the upper consonant letter.

즉, #버튼에 2가지 중복 기능이 부여되었지만 이 두가지 기능이 서로 충골함이 없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ㅣ모음글자가 0번 버튼에 있지 않고 7번 버튼에 2개의 자음 ㅅ, ㅆ과 같이 표기될 경우에는 두 개의 글자 었, 에가 같은 버튼 순서, 즉 8, 9 # 7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That is, two overlapping functions are given to the #button, but these two functions can perform the function without mutually complaining. For example, if the vowel is not on button 0, and the button 7 is marked with two consonants ㅅ and ㅆ, the two letters will have the same button sequence, 8, 9 # 7. .

그러므로 제1도의 전화기 자모배치에서 # 버튼이 복모음 결합기능키로 사용되는 경우는 일정한 경우로 한정이 된다.Therefore, the case where the # button is used as a double vowel combination function key in the phone letter arrangement of FIG. 1 is limited to a certain case.

첫 번째 입력이 #버튼이 아니고 0에서 9까지의 숫자버튼일 경우에 세 번째 입력 차례에서 #버튼이 입력되고 네 번째 입력차례에서 3개의 숫자 버튼(3번, 9번, 0번 버튼)이 입력될 경우에만 복모음 결합기능키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외의 경우에 #버튼이 입력되면 윗부분 자음글자 입력예비키로서 사용이 된다.If the first input is not a # button but a numeric button from 0 to 9, the # button is entered in the third input turn and the three numeric buttons (buttons 3, 9 and 0) are entered in the fourth input sequence. It is used only as a double vowel combination function key. In other cases, when the # button is input, it is used as a spare consonant input key for the upper part.

그리고 첫 번째 입력이 #버튼이 될 경우에는 네 번째 입력차례에서 #버튼이 입력되고 다섯 번째 입력에서 3개의 숫자 버튼(3번, 9번, 0번 버튼)이 입력될 경우에만 복모음 결합기능키로서 사용이 된다.If the first input is the # button, the combination button is used only when the # button is input in the fourth input sequence and three numeric buttons (buttons 3, 9, and 0) are input in the fifth input. It is used.

그리고 그외의 경우는 윗부분 자음글자 입력 예비키로 사용된다.Otherwise, it is used as a spare key for consonant input.

그러므로 상기에서 기술한 발명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글 문자를 그 풀어쓰기한 순서대로 전화기버튼을 통해 입력할 수 있고 한글문자 각각에 최소 2개에서 최대 8개까지의 중복되지 않는 숫자코드값을 할당할 수 있다.Therefor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Korean characters can be input through the telephone buttons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decoded, and at least two to eight non-overlapping numeric code values can be assigned to each Korean character. Can be.

즉, 가라는 글자는 13의 입력코드값을 가지고 쐤이라는 글자는 # 75 # 30 # 7의 고유한 입력코드값을 가지는 것이다.That is, the thin letter has an input code value of 13 and the letter 쐤 has a unique input code value of # 75 # 30 # 7.

한글문자 각각이 이렇게 0에서 9의 숫자버튼과 #버튼의 고유한 결합순서 코드값을 가지는 것은 한글제자원리와 자모출현 규칙성에 바탕을 둔 본발명의 구성에 기인한다.Each Korean character has a unique combination sequence code value of 0 to 9 buttons and # button due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Hangulje resources and regularity of Jamo.

여기에서 한글제자원리라 함은 한글은 그 자모 출현의 규칙성으로 인해 글자형식이 두가지 형태의 범주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Here, Hangeul resources mean that Hangeul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ue to its regularity.

즉, 초성 자음글자 + 중성 모음글자 또는 초성자음글자 + 중성 모음글자 + 받침 자음글자로 나누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initial consonant + neutral vowel or the initial consonant + neutral vowel + the consonant is divided into.

이 2가지 형식에서 중성 모음글자에는 21개의 모음글자(ㅏㅑㅓㅕ ㅗ ㅛ ㅜ ㅠ ㅡ ㅣ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가 포함되는데 이중에서 11개의 복모음은 10개의 기본모음들간의 결합으로 표시되므로 상기의 2가지 한글문자 형태에서 중성 모음글자를 10개의 기본모음글자로 세분하면 한글문자는 다음과 같은 6가지의 결합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se two forms, the neutral vowel contains 21 vowels (ㅏㅑㅓㅕ ㅗ ㅛ ㅜ ㅠ ㅡ ㅐ ㅒ ㅔ ㅖ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Since the neutral vowel characters are subdivided into 10 basic vowel characters in the two Korean character forms, the Korean characters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combinations.

(1) 초성자음글자 + 기본모음글자(형태예; 가)(1) initial consonant + basic vowel (form example; a)

(2) 초성자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받침자음글자(각)(2) initial consonant + basic vowel + base consonant (each)

(3) 초성자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기본모음글자(개)(3) initial consonant + basic vowel + basic vowel

(4) 초성자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받침자음글자(객)(4) initial consonant + basic vowel + basic vowel + + consonant

(5) 초성자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기본모음글자(괘)(5) initial consonant + basic vowel + basic vowel + basic vowel

(6) 초성자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기본모음글자 + 받침자음글자(괜)(6) initial consonant + basic vowel + basic vowel + basic vowel + + consonant

상기의 6가지 분류 방식에서 초성 자음글자 19개와 받침 자음글자 27개(초성자음글자 중 ㄸ, ㅃ, ㅉ을 제외한 16개와 복자음 11개)를 본 발명에서 구분한 2개의 자음군으로 세분하고 기본모음글자와 기본모음글자의 중간에 복모음 합성키 #표시와 윗부분 자음군 입력예비키 #표시를 나타내어 현재 국가표준으로 채택되어있는 KS C-5607의 완성형 한글 2350자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은 22가지의 결합형태로 나누어진다.In the above six classification methods, 19 consonant consonants and 27 consonant consonants (16 of the consonant consonants except ㄸ, ㅃ, 와 and 11 consonants) are subdivided into two consonant groups class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ic vowel letters In the middle of the main vowel letters, the composite vowel composite key # and the upper consonant group input spare key # are displayed and the complete Korean alphabet of KS C-5607, which is currently adopted as the national standard, is divided into 22 combinations as follows. Lose.

아래에서 모음이라고 표시된 것은 기본모음글자를 지시하고 자음이라고 표시된 것은 제1도의 전화기 자모표시부에서 아랫부분에 배치된 10개의 자음글자(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를 지시하고 자음이라고 표시앞에 #표시가 있는 자음은 9개의 자음글자(ㄲ ㄸ ㅃ ㅆ ㅉ ㅊ ㅋ ㅌㅍ)를 지시한다.The vowels below indicate the basic vowel letters, and the consonants indicate the ten consonant letters arranged below the phone consonant display in Fig. 1 and indicate consonants. A consonant with a # in front of it indicates nine consonant letters (ㄲ ㄸ ㅆ ㅉ ㅉ ㅌ).

그리고 괄호안에 있는 글자는 그러한 결합형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And the letters in parentheses show examples of such combinations.

(1) 자음 모음 (가)(1) consonant vowels (a)

(2) 자음 모음 자음 (각)(2) consonant vowel consonants (each)

(3) 자음 모음 # 모음 (개)(3) Consonant Vowels # Vowels

(4) 자음 모음 # 자음 (었)(4) consonant vowels # consonants

(5) 자음 모음 자음 자음 (값)(5) consonant vowel consonant consonant (value)

(6) 자음 모음 자음 # 자음 (읊)(6) consonant vowel consonant # consonant (읊)

(7) 자음 모음 # 모음 자음 (객)(7) consonant vowel # vowel consonant (guest)

(8) 자음 모음 # 모음 자음 자음 (괆)(8) consonant vowel # vowel consonant consonant (괆)

(9) 자음 모음 # 모음 # 자음 (왔)(9) consonant vowel # vowel # consonant (come)

(10) 자음 모음 # 모음 모음 (왜)10 consonant vowels # vowel vowels (why)

(11) 자음 모음 # 모음 모음 자음 (왠)(11) consonant vowel # vowel vowel consonant (WAN)

(12) 자음 모음 # 모음 모음 # 자음 (괬)(12) consonant vowel # vowel vowel # consonant (괬)

(13) # 자음 모음 (꼬)13 # consonant vowels (tail)

(14) # 자음 모음 자음 (꼭)14 # consonant vowel consonants (not sure)

(15) # 자음 모음 자음 자음 (끊)15 # consonant vowel consonant consonant (hang)

(16) # 자음 모음 # 자음 (꽃)16 # consonant vowel # consonant (flower)

(17) # 자음 모음 # 모음 (케)17 # consonant vowels # vowels (Ke)

(18) # 자음 모음 # 모음 자음 (팽)18 # Consonant Vowel # Consonant Vowel (Fan)

(19) # 자음 모음 # 모음 # 자음 (꽜)19 # consonant vowel # vowel # consonant

(20) # 자음 모음 # 모음 모음 (췌)20 # consonant vowel # vowel vowel (panel)

(21) # 자음 모음 # 모음 모음 자음 (꽹)21 # consonant vowel # vowel vowel consonant (꽹)

(22) # 자음 모음 # 모음 모음 # 자음 (뀄)22 # consonant vowel # vowel vowel # consonant (뀄)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성형 한글 2350자가 제1도의 전화기 한글자판부를 통해서 22가지의 입력형태로 구분이 되어지며 또한 22가지의 분류형태는 2가지의 범주로 구분된다.As shown above, the complete Hangul 2350 characters are divided into 22 input forms through the phone Hangul keyboard of FIG. 1, and the 22 classification form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즉, 첫 번째 입력이 자음버튼이 표기된 0에서 9까지의 숫자버튼으로 입력되는 경우와 윗부분자음 입력예비키인 #버튼이 입력되어지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input may be divided into a case in which a consonant button is marked with a number button from 0 to 9 and a case in which a # button, which is a spare consonant input spare key, is input.

제2도는 (1)에서 (12)의 분류형태로 나누어지는 한글문자의 구현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implementation of Hangul characters divided into the classification forms (1) to (12).

또한 제3도는 (13)에서 (22)의 분류형태로 나누어지는 한글문자의 구현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characters divided into the classification forms (13) to (22).

(1)에서 (12)의 형태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형식은 첫 번째 입력버튼이 자음을 지시하고 두 번째 입력이 모음글자를 지시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2도의 한글문자 구현순서도를 설명하면 문자입력모드인 초기 모드에서 첫 번째 입력이 0에서 9의 숫자버튼일 경우와 #버튼의 입력일 경우가 있는데 #버튼의 입력일 경우는 제3도의 문자구현 모드로 진행하게 된다.The common format in the form of (1) to (12) is that the first input button indicates consonant and the second input indicates vowel. Therefore, when explaining the Hangul character implementation flowchart of FIG. 2, in the initial mode, which is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first input may be a number button of 0 to 9 and the input of a # button. In the case of a # button input, the character implementation mode of FIG. Proceed to

첫 번째 입력이 0에서 9의 숫자버튼일 경우는 입력된 임의의 숫자버튼에 표기된 2개의 자음중에서 밑에 위치한 자음군(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의 입력이 실행되고 제4도의 전화기 액정화면 표시부에 입력된 자음이 표시된다. 그리고 두 번째 입력에서는 0에서 9의 숫자버튼만이 올수 있는데 이때 입력되어진 버튼은 10개의 숫자버튼에 각각 1개씩 표기되어 있는 모음글자의 입력을 지시하고 액정화면부에 이미 출력되어져 있는 자음글자와 조립하게 된다.When the first input is a numeric button of 0 to 9, the input of the lower consonant group (a ㄴ ㄹ ㅁ ㅂ ㅅ ㅇ ㅎ) among the two consonants indicated on the random numeric buttons entered is executed and the phone LCD of FIG. Consonants entered on the screen display are displayed. And in the second input, only 0 to 9 number buttons can come. In this case, the input button instructs the input of the vowels written on each of the 10 number buttons and assembled with the consonants already output on the LCD screen. Done.

그리고 세 번째 입력에서는 0에서 9의 10개의 숫자버튼과 #버튼, *버튼이 올수 있는데 *버튼이 입력될 경우는 문자입력 초기모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0에서 9의 숫자버튼이 입력되었을 경우는 해당입력 버튼 밑부분의 자음의 입력을 지시하고 액정화면 표시부에는 이미 출력되어 있는 글자의 받침글자로 조합이 되어진다.In the third input, there can be ten number buttons, # buttons, and * buttons from 0 to 9, and when the * button is entered, the character input returns to the initial mode. When a number button of 0 to 9 is inputted, the consonant is inputted at the bottom of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and the LCD is combined with the letters of the letters already output on the display unit.

세 번째 입력에서 0에서 9의 숫자버튼이 입력되어진 후 네 번째 입력에서는 또한 0에서 9의 숫자버튼과 #버튼, *버튼이 올수 있는데 *버튼이 입력될 경우는 한글자의 입력을 마치고 새로운 문자의 입력을 위해 초기모드로 돌아간다.In the third input, the number buttons 0 to 9 are entered, and in the fourth input, the number buttons from 0 to 9, the # button, and the * button can also come. When the * button is entered, the Korean characters are finished and new characters are entered. Return to initial mode for

0에서 9의 숫자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자음의 입력을 지정하고 액정화면 표시부에서는 세 번째 입력되어진 받침자음글자와 병서되어진다. 그리고 다섯 번째로 *이 입력되어지면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간다.When the number buttons of 0 to 9 are inputted,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put is designated, and the LCD displays the consonant letters with the third input consonant letters. And the fifth time * is entered, it returns to the initial input mode.

세 번째 입력이 0에서 9의 숫자버튼이고 네 번째 입력이 #버튼일 경우 다섯 번째 입력에는 1, 2, 4, 5, 7, 8의 숫자버튼이 올수 있다. 이 6개의 숫자버튼중 1개가 입력되면 해당 숫자버튼의 윗부분에 표시된 자음의 입력이 지정되며, 액정화면 표시부에는 이미 세 번째 입력에서 구현되어있는 받침글자 옆에 병서된다.If the third input is a number button from 0 to 9 and the fourth input is a # button, the fifth input can have 1, 2, 4, 5, 7, 8 number buttons. When one of the six numeric buttons is input, the consonant input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rresponding numeric button is designated, and the LCD screen displays the parallel letters next to the letters already implemented in the third input.

그리고 여섯 번째입력에서 *버튼이 입력되어지면 초기모드로 돌아간다.If the * button is pressed at the sixth input, it returns to the initial mode.

다시 세 번째 입력의 경우로 돌아가서 설명하자면 세 번째 입력이 #버튼일 경우 네 번째 입력에서는 6번 숫자 버튼을 제외한 9개의 숫자버튼이 올수 있는데 이때 입력되어지는 버튼이 1, 2, 4, 5, 7, 8의 숫자버튼이면 해당입력 버튼의 윗부분 자음입력을 지정하고 첫 번째 두 번째 입력에 의해 액정화면 표시부에 구현되어 있는 글자의 받침자음 글자로 조합이 된다.Going back to the third input case, if the third input is the # button, the fourth input may have nine numeric buttons except the sixth button, and the input buttons are 1, 2, 4, 5, 7 , If the number button is 8, the consonant input of the upper part of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is designated and the first consonant i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letters of the letters embodied in the LCD display unit.

그리고 다섯 번째 입력에서 *버튼이 입력되면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간다.And if * button is input at 5th input, it returns to initial input mode.

세 번째 입력이 #버튼이고 네 번째 입력이 0, 3, 9의 숫자버튼이 입력될 경우는 3번 버튼입력의 경우는 두 번째 입력버튼의 숫자가 5번이었는지를 확인하고 5번이었으면 이미 구현되어있는 ㅗ모음과 ㅏ모음글자의 조합을 지시하고 액정화면 표시부에는 두모음 글자가 조합되어 표시된다.If the third input is a # button and the fourth input is a number button of 0, 3, and 9, the number 3 button input checks whether the number of the second input button is 5, and if it is 5, it is already implemented. The combination of the vowels and the vowels is instructed, and the two vowels are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또한 9번 버튼의 경우에는 1번 버튼이 이미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0번 버튼의 경우에는 1, 2, 3, 5, 6, 7, 9번의 7개의 숫자버튼중의 하나가 두 번째 입력모드에서 입력되어졌는지를 확인한다. 확인이 되면 두모음글자간의 조합을 실시하고 액정화면 표시부에 나타낸다.Also, in case of button 9, check whether button 1 has already been entered, and in case of button 0, one of seven number buttons of 1, 2, 3, 5, 6, 7, and 9 Check if it is entered. When it is confirmed, the combination of the two vowel characters is performed and displayed on the LCD screen.

그리고 네 번째 입력이 0, 3, 9의 모음입력키 입력이면 다섯 번째 입력에서는 *버튼과 #버튼, 0에서 9의 숫자버튼의 입력이 가능하다. *버튼이 입력되면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가고 #버튼의 경우에는 그다음 여섯 번째 입력에서 1, 2, 4, 5, 7, 8,의 6개의 숫자버튼의 입력이 가능하고 숫자버튼이 입력되면 이미 네 번째까지의 입력과정에서 구현되어진 글자의 받침자음글자로 입력되어진 버튼의 윗부분 자음글자를 지정하고 액정화면 표시부에 받침글자로 조합된다.And if the fourth input is a vowel input key input of 0, 3, 9, the fifth input allows * button, # button, and 0 to 9 numeric buttons. * When the button is entered, it returns to the initial input mode.In the case of the # button, the 6th input of 1, 2, 4, 5, 7, 8, and 6 number buttons are available. The consonant letters of the upper part of the button inputted by the consonant letters of the letters embodied in the input process up to and specified are combined with the support letters on the LCD display.

네 번째 입력이 0, 3, 9의 모음입력키이고, 다섯 번째 입력이 1에서 9의 9개의 숫자버튼중의 하나가 입력되면 해당숫자버튼의 밑부분에 표시된 자음의 입력을 지시하고 이미 네 번째까지의 입력과정을 통해 구현되어있는 글자의 받침자음 글자로 조합된다. 그리고 다음의 여섯 번째 입력에서는 0에서 9의 숫자버튼과 *버튼이 올수 있는데 *버튼의 경우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가고 0에서 9의 숫자버튼의 경우 이미 다섯 번째에 입력되어진 자음받침글자와 병서가 규정되어있는 경우인지를 확인하고 확인되면 받침글자로 병서한다. 그리고 일곱 번째 입력에서 *버튼이 입력되면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간다.If the fourth input is a vowel input key of 0, 3, and 9, and the fifth input is one of nine numeric buttons of 1 to 9, it indicates the input of consonant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number button It i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letters of the letters embodied through the input process. In the next six inputs, the number buttons 0 and 9 and the * button can come. The * button returns to the initial input mode. In the case of the number buttons 0 to 9, the consonant letters and the letters already entered in the fifth are defined. Check if there is, and if it is confirmed, accompany it as a support letter. If the * button is pressed at the seventh input, it returns to the initial input mode.

그리고 네 번째 입력이 0, 3, 9의 모음입력기능키이고 다섯 번째 입력이 0번숫자버튼의 입력이면 네 번째 입력된 숫자버튼이 3번이나 9번숫자버튼이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되면 이미 구현되어있는 모음형태에 ㅣ모음글자를 결합한다. 그리고 여섯 번째 입력에서는 0에서 9의 숫자버튼과 #버튼, *버튼의 입력이 가능한데 *버튼이 입력되면 글자입력상태를 종료하고 초기모드로 돌아간다.If the fourth input is a vowel input function key of 0, 3, and 9 and the fifth input is an input of the number 0 number button, check whether the fourth input number button is a number 3 or 9 number button, and if it is confirmed, it is already implemented. Combine vowels into vowel form. In the sixth input, the number buttons from 0 to 9, the # button, and the * button are available. When the * button is input, the character input state is terminated and the mode returns to the initial mode.

0에서 9의 숫자버튼이 입력되면 입력된 숫자버튼에 표기된 밑부분의 자음글자를 지금까지 구현되어있는 글자의 받침자음글자로 지정하고 액정화면 표시부에는 받침글자로 조합이 된다.When the number buttons of 0 to 9 are inputted, the consonant letters of the lower part indicated on the input number buttons are designated as the consonant letters of the letters that have been implemented so far, and the display letters are combined as the support letters.

그리고 일곱 번째 입력에서 *버튼이 입력되면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간다.If the * button is pressed at the seventh input, it returns to the initial input mode.

여섯 번째 입력에서 #버튼이 입력되었으면 일곱 번째 입력에서는 1, 2, 4, 5, 7, 8,의 6개의 숫자버튼이 입력가능한데 입력되어진 숫자버튼의 윗부분에 표기된 자음글자를 지금까지 구현된 글자에 받침글자로 조합한다. 그리고 여덟 번째 입력에서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상황을 종료하고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간다.If the # button is entered in the sixth input, the seventh input allows 1, 2, 4, 5, 7, 8, 6 numeric buttons to be entered. Combine it with a back letter. And if the * button is input at the 8th input, it exits the input status and returns to the initial input mode.

상기의 경우를 제외한 입력모드가 들어오면 오입력 메시지를 나타내고 초기모드로 돌아가고 상기의 경우에 부합하는 버튼이 입력되어도 한글제자원리에 부합되지 않으면 또한 초기입력모드로 돌아간다.If an input mode other than the above is entered,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and the display returns to the initial mode. If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above case is input, the input mode is returned to the initial input mode.

또한 제3도의 한글문자 구현순서도의 경우에는 제2도의 순서도 흐름과 같은 논리흐름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angul character implementation flowchart of FIG. 3, the flow chart has the same logic flow as that of the flowchart of FI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화기의 1∼9까지의 9개 버튼에 자음 2개씩을 배치하고, 0번 버튼에 자음 1개를 배치하여 19개의 한글초성자음을 나타내며, 통상적인 자음순서를 고려하여, 1번∼9번까지는 자음 기역에서 자음 지읒까지를 표기하고 0번 버튼에는 나머지 10개의 자음들중 자주 쓰이는 히읗을 표기하되, 5개의 자음버튼(1번버튼, 3번버튼, 7번 버튼, 9번버틈)에 쌍자음을 병기하고, 나머지 4개의 자음을 나머지 버튼에 순서대로 표기하고, 모음배치(입력)의 경우에는 전화기 숫자 버튼에서 3, 6, 9, 2, 5, 8, 1, 4, 7, 0번 버튼의 순서대로 누를 경우 통상적인 모음순서 즉, ㅏㅑㅓ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순서대로 대응표기될 수 있도록 하여 송신자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직접 문자를 송신코자 할 때 보다 신속, 정확하면서도 비밀이 유지된채로 수신자에게 구현되도록할 수 있어 문자호출방식에 있어 신기원을 이룩할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wo consonants are arranged at nine buttons of 1 to 9 of the telephone, and one consonant is arranged at button 0 to display nineteen Korean initial consonants. No. 1 to No. 9 indicate the consonant range from the consonant range, and the 0 button displays the most commonly used hyssop among the remaining 10 consonants, but five consonant buttons (1 button, 3 button, 7 button, 9) Double consonants), and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in sequence on the remaining buttons, and in the case of vowel arrangement (input), 3, 6, 9, 2, 5, 8, 1, 4 If you press button 7, 7, 0, it will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normal vowel order, that is, 순서 ㅗ ㅛ ㅜ ㅡ ㅡ ㅣ. To the recipient with accuracy and secrecy It can be implemented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achieve a new era in the character call method.

Claims (3)

두 개의 기능키(*, #)와 전화기버튼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법에 있어서, 전화기의 1∼9까지의 9개 버튼에 자음 2개씩을 배치하며, 0번 버튼에 자음 1개를 배치하여 한글초성자음을 나타내고, 통상적인 자음순서를 고려하여, 1번∼9번까지는 자음 기역에서 자음 지읒까지를 표기하고, 0번 버튼에는 나머지 10개의 자음들중 자주 쓰이는 히읗을 표기하며, 전화기버튼에 1, 3, 6, 7, 9에 쌍자음을 병기하고, 나머지 4개의 자음을 전화기버튼 번호순서대로 표기하고 모음배치의 경우에는 전화기버튼의 오른쪽 상기 3번버튼에서부터 시작하여 직하방버튼의 세로방향으로 진행한 뒤, 다시 바로 왼쪽의 상위 2번 버튼에서 세로방향으로 진행(0번 버튼은 제외)토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모음순서대로 즉, 숫자버튼을 3, 6, 9, 2, 5, 8, 1, 4, 7, 0의 순서대로 표기하면 모음순서 역시 ㅏㅑㅓ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문자를 직접 수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버튼을 이용한 한글문자의 구현방법.In this method, Korean characters can be embodied using two function keys (*, #) and telephone buttons. Two consonants are arranged at nine buttons of 1-9, and consonants 1 at 0 buttons. Place the dogs to indicate the Korean consonant consonants, considering the normal consonant order, 1 ~ 9 to the consonant range from the consonant to the consonant, the button 0 to the most frequently used hyssop among the remaining 10 consonants , Put two consonants in 1, 3, 6, 7, 9 in the telephone button, and write the remaining four consonants in the order of telephone button number. After procee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tton, and then again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two buttons on the left (except the 0 button), the number buttons in the normal vowel order, that is, the number buttons 3, 6, 9, 2, 5, 8, 1, 4, 7, 0 If the collection order is also ㅠ ㅏㅑㅓㅕ ㅗ ㅛ TT method of Ao Hangul characters using a phone button that features the characters must be able to transfer it directly to the recipient to be placed in the order of l implementation represent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로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버튼을 이용한 한글문자의 구현방법.Hangul characters using the phone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s and vowel arrangem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상의 *버튼은 한 개의 글자입력마침 구분기능을, 통상의 #버튼은 윗부분 자음군 입력예비키와 복모음 합성키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버튼을 이용한 한글문자의 구현방법.The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normal * button can be used to separate one letter input finish, and the normal # button can be used as a function of an upper consonant group input spare key and a compound vowel combination key. How to implement Hangul characters using buttons.
KR1019960012133A 1996-04-17 1996-04-17 Implementing method for hangul(korean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KR100198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33A KR100198270B1 (en) 1996-04-17 1996-04-17 Implementing method for hangul(korean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33A KR100198270B1 (en) 1996-04-17 1996-04-17 Implementing method for hangul(korean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848A KR970072848A (en) 1997-11-07
KR100198270B1 true KR100198270B1 (en) 1999-06-15

Family

ID=1945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133A KR100198270B1 (en) 1996-04-17 1996-04-17 Implementing method for hangul(korean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27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09B1 (en) * 1998-12-28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KR100428691B1 (en) * 2002-02-26 2004-04-28 (주)넷피아닷컴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100532317B1 (en) * 1998-12-24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70B1 (en) * 1999-06-10 2002-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Hangul input using telephone keypad
KR20020071240A (en)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핸디정보시스템 Mouse for having keyboard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317B1 (en) * 1998-12-24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KR100397509B1 (en) * 1998-12-28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KR100428691B1 (en) * 2002-02-26 2004-04-28 (주)넷피아닷컴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848A (en)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2593B1 (en) Improved device interface
JPH04310048A (en) Telephone apparatus for identifying call line
KR100198270B1 (en) Implementing method for hangul(korean character) using telephone button
KR2002005858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ing vowel of the Hangul in the same
KR100446553B1 (en)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KR20000020929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of telephone and keypad the same
KR100332830B1 (en) Hangul input and searching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having Hangul memory function
KR20010076132A (en)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US20070279255A1 (en) Character entry and display method for use with a keypad
KR20020084905A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CN100464285C (en) Mobile phone code mobile phone input platform
KR19990065826A (en) Hangul Character Input System and Hangul Vowel Input Method
KR100795952B1 (en) Method for character inpu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0575771B1 (en) Special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128595A (en) Apparatus for writting out the text message and method for writting out the text message using the common words
KR1006635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a preface or a postface of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CN100533353C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into electronic device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equipment
JPH08116362A (en) Automatizing system for retrieval of address book information including telephone directory and others by inputting character
KR200100759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haracter code of a telephone for easily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KR20000042959A (en) Hangul input apparatus and method to which telephone keyboard is attached
KR100446552B1 (en)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KR10040927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100548356B1 (en) Display configuration method for search phonebook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198271B1 (en) Hangul making method using telephone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