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642B1 -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642B1
KR100197642B1 KR1019900008944A KR900008944A KR100197642B1 KR 100197642 B1 KR100197642 B1 KR 100197642B1 KR 1019900008944 A KR1019900008944 A KR 1019900008944A KR 900008944 A KR900008944 A KR 900008944A KR 100197642 B1 KR100197642 B1 KR 100197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pair
flashlight
spherical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570A (ko
Inventor
안토니마글리카
아미스엘.루이스
프레드시니어맥알리스터
Original Assignee
안토니 매글리카
매그 인스트루먼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 매글리카, 매그 인스트루먼트, 인크. filed Critical 안토니 매글리카
Priority to KR101990000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642B1/ko
Publication of KR92000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본 출원은 1988년 12월 16일에 제출된 출원일련번호 제285, 734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핸들대, 등짐 프레임 등과 같은 관형상 부재에 홀더를 구비한 회중전등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파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합중국특허번호 제4,577,263호, 제4,658,336호, 제4,899,265호, 제4,656,565호, 또는 제4,851,974호에 개시된 타입의 소형 회중전등에 주로 사용된다. 다양한 크기형상 및 다양한 특징을 지닌 회중전등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자전거를 야간 주행중에 사용하기 위하여 회중전등이 설치된 자전거는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회중전등의 자전거의 핸들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은 더욱 요구되었다. 이러한 클램프 조립체는 경제적으로 제조되고 쉽게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관형상 지지구조의 축선이 가령 라이플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과 같이 회중전등의 몸퉁축선에 평행한 다른지지 구조에 사용하기 위하여 회중전등에 대한 조정장착부를 갖고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지지구조와 회중전등 모두에 대하여 클램프의 각도 그 자체를 조정할 수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요구되었다.
이러한 조립체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다. 자전거의 통로 전방을 밝게 하기 위하여 자전거의 적절한 위치에 있는 회중전등을 한쪽 끝에서 확실하게 유지하고 죄며 또한 건전지 회중전등을 다른 끝에서 유지하고 방향조정하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중전등 홀더끝이 방향조정가능하여 회중전등이 관형상 부재의 방향이나 관형상 부재에 수직인 방향으로 비추도록 한끝에서 관형상 물체가 죄여지며 다른 끝에서 회중전등을 유지하는 휴대용 회중전등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도를 변화시켜 회중전등으로부터의 광빔이 미리 정해진 기준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 가능한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중전등이 클램프내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조정할 수 있고 클램프 자체가 클램프를 부착한 지지구조의 축선에 대하여 회전 및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 설명에 의하여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고 한 끝에 회중전등을 유지하고 다른 끝에 자전거 핸들대와 같은 구조부재위에서 죄여지는 조정 가능한 휴대용 수단을 제공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는 몸통일부분 둘레에서 회중전등을 끼우도록 된 절단 구형그립부재, 절단 구형그립부재 둘레에 끼워지고 조립체가 체결되는 핸들대 또는 다른 지지부재위에서 죄어지도록된 장착브래킷, 그립부재 및 지지부재 둘레에서 장착 브래킷을 단단하게 죄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체결부재를 죔에 따라 조립체는 예를 들면 자전거 핸들대와 같은 지지부재에 체결되고, 그립부재는 제위치에 있는 회중전등을 지지부재에 대해 원하는 각도 방향으로 체결시키기 위하여 회중전등 몸통 둘레에서 죄어진다. 이 구형그립부재는 회중전등 둘레에서 구형그립부재의 균일한 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내부끝을 따라 중심원통형 채널과 연통하고 균일하게 간격이진 복수의 길이방향 슬롯을 형성하고 있다. 구형그립부재는 상부 전방부분과 상부후방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장착브래킷의 상부 영역내에 수용되는데 여기서 인접부의 내주는 그립부재의 구형부의 외주와 원활하게 결합하도록 곡률을 형성하여 그립부재 둘레에서 2개의 부분 즉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을 서로 죔에 따라 그립부재는 회중전등 몸통 둘레에서 조여진다. 또한 장착브래킷의 인접 상부전방 및 상부후방 부분에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일직선 정렬된 2쌍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2쌍의 구멍중 한 쌍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하고 있으며 나머지 쌍은 측방향으로 향하여 있다. 2쌍의 구멍중 선택된 하나는 구형그립부재로부터 돌출한 회중전등 몸통의 부분을 수용하여 회중전등이 장착브래킷내의 그립부재에 의하여 지지부재에 대하여 선택된 방향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장착브래킷의 전방 및 후방부분의 중간 영역에는 예컨대 암/수나사와 같은 부착 및 조임수단이 제공된다. 장착브래킷의 전방 및 후방부분의 하부끝은 암/수나사를 조임에 따라 장착브래킷의 전방 및 후방위치가 서로 접근하여 그 상단부에 구형그립부재를 그 상부 부분에서 조이는 한편 브래킷의 하부끝이 지지부재 둘레에서 밀접하게 접근하여 지지부재위의 제 위치에 회중전등을 체결하도록 핸들대에 끼워지게 형성되어 있다. 나사체결구를 조이기전에 회중전등이 돌출된 그립부재는 장착브래킷의 상부 영역에서 회전되어 회중전등이 지지부재에 대해 원하는 각도 방향에 오도록 한다. 나사체결구를 조이면 회중전등은 제위치에서 체결된다. 장착브래킷의 상부 전방 및 상부 후방부분내의 전방 및 후방 구멍은 그립부재와 회중전등의 방향조정을 허용하여 광 빔이 자전거 핸들대와 같은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방향에 수직으로 향하도록 한다. 장착브래킷 내에서 허용가능한 그립부재의 회전운동은 그립부재가 방향조정되도록 하여 광빔이 핸들대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부터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부 전방 및 상부 후방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측방향 구멍은 볼의 방향조정을 위하여 제공되어 회중전등이 관형상 부재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장착브래킷에는 회중전등 몸통을 수용하기 위하여 단지 전방 및 후방을 향한 한 쌍의 정렬구멍과 지지구조 위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측방으로 향한 한 쌍의 정렬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주로 자전거에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조정 가능한 장착 클램프의 하부부분 뿐만 아니라 상부부분은 구형그립부재를 구비하여 클램프에 대한 회중전등의 수직 및 수평조정, 지지구조에 대한 클램프의 방사조정 및 다른 조정의 소정 범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를 향한 한 쌍의 정렬구멍은 서로에 대해 90°로 향하여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로에 대해 90°로 향한 2쌍의 상부 정렬구멍과 서로에 대해 90°로 향한 2쌍의 하부 정렬구멍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형그립부재는 상부분과 하부부분 모두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는 지지구조에 대한 회중전등의 빔의 방향의 조정의 큰 융통성 및 정도를 제공한다.
구형그립은 바람직하게 시중 구입되는 많은 나일론의 주 재료중의 하나와 같은 좋은 강도, 탄성 및 성형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장착브래킷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체결구는 종래의 암/수나사 체결구 일수 있거나 엄지나사, 윙너트 또는 앨린소켓형 나사등과 같은 다수의 종래 체결수단중 하나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사의 편평한 머리부분은 동전이 드라이버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미합중국 쿼터(25 센트)또는 관심 있는 나라의 흔한 동전등과 같은 동전을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 1 ~ 1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측 단면도 및 측면도이며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는 참조번호 10으로 나타내었다.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절단구형그립부재(11) 및 제1부재(13)와 제2부재(14)를 갖는 장착브래킷(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립부재(11)는 바람직하게는 시중 구입되는 많은 나일론의 주재료 중 하나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절단구형 그립부재는 장착브래킷(12)을 조임에 따라 회중전등 몸통을 밀접 및 죄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허용하는 그립부재를 위한 구성을 이루는 어떤 다른 재료도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수용가능하다. 구형그립부재(11)내에 위치된 회중전등은 제1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다. 구형그립부재(11)는 제1부재(13)의 전방부분(15) 및 장착브래킷(12)의 제2부재(14)의 후방부분(16)의 상부 영역에 수용되어 있다. 장착브래킷(12)은 기술된 바와 같이 그립부재(11)와 자전거 핸들대 둘레에 장착브래킷(12)의 전방 및 후방부분(19)을 서로 끌어당기기 위한 수나사부분(18)과 암나사부분(19)으로 나타낸 암/수나사 체결구와 같은 체결구를 수용하기 위한 중간영역(17)을 가지고 있다. 장착브래킷(12)은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핸들대(20) 또는 다른 관형상 부재의 둘레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된 하부전방 및 후방부분을 갖고 있다. 보강 리브(21, 22)는 장착브래킷(12)의 제1 및 제2부재(13 및 14)의 상부 및 하부 영역 사이에 추가의 지지수단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관형상부재(20)는 핸들대가 길이방향으로 자전거의 정면 직선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는 영역을 따르는 자전거의 종래 핸들대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형그립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된다. 그립부재는 회중전등 몸통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직경으로 되어 있고 그립부재를 통하여 뻗어있고 중앙에 배치되는 원통형채널을 갖는다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 회중전등몸통을 수용하기위해 예를 들면 AA 또는 AAA크기로된 회중전등 몸통을 수용하기 위해서 그립부재(11)는 장착브래킷(12)내에 헐겁게 끼우기 위하여 단면 직경이 다양하나 동일한 외경을 갖는 다른 채널(23)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형그립부재(11)는 큰 채널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같은 또는 대등한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삽입부는 삽입부가 채널(23)에 끼워지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삽입부의 내경은 선택된 회중전등 몸통의 사이즈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되어있다. 또한, 구형그립부재(11)는 균일한 조임, 즉 회중전등 몸통을 암/수 나사부(18, 19)로 조임에 따라 고정 또는 유지력의 균일한 분포를 제공하기 위해 구형그립부재(11)의 몸체체에서 절단되고 균일하게 간격이진 복수의 길이방향 슬롯(24)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회중전등 장착브래킷, 특히 구형그립부재(11)의 슬롯(24)은 미학적으로 많은 호감을 주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라는 명칭의 공동계류중의 의장등록출원(변리사 정리번호 180/237)에 나타나 있다.
장착브래킷(12)의 상부부분은 축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원형구멍(25 및 26)을 갖추고 있는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멍(25)은 전방몸체부(27)에 배치되고 구멍(26)은 후방몸체부(28)에 배치된다. 전방몸체부(27)와 후방몸체부(28)의 각각의 좌우측은 조립시 축방향으로 정렬된 2개의 측 구멍(29 및 30)이 전방 및 후방 몸체부(27 및 28)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구멍(29 및 30)의 중심 공통축이 구멍(25 및 26)의 중심공통축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한 구멍(25 및 26)은 수직으로 배치된 구멍(29 및 30)과 동일한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브래킷(12)내에서 회중전등을 부착한 그립부재(11)의 피봇회전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각 구멍(25, 26, 29 및 30)의 직경은 그립부재(11)내의 채널(23)의 단면직경보다 더 크다. 이 구조를 통해, 제1도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회중전등은 절단구형그립부재(11)내에서 채널(23)을 통해 뻗어있으며 핸들대(20)에 대하여 회중전등의 원하는 방향조정에 따라 배열된 구멍(25 및 26 또는 29 및 30)을 통해 클램프 조립체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사용시 조립체에 의해 지지되는 회중전등은 원통형의 채널(23)을 통해 그립부재(11)내에 삽입된다. 그 다음 장착브래킷(12)은 핸들대(20)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조정을 좌우하는 정렬된 구멍(25 및 26 또는 29 및 30)중의 어느 하나에 정렬되어 뻗어있는 회중전등 몸통을 구비한 그립부재(11)와 핸들대(20) 둘레에 위치된다. 자전거 핸들대상에서 회중전등은 보통 구멍(25)을 통해 전방을 가리키게 된다. 제1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회중전등 및 그립부재(11)는 수직방향으로 직각으로 위치되어 있다. 다음에 암수나사부(19 및 18)가 조여지면 회중전등 몸통둘레에서 구형그립부재(11)를 조이고 장착브래킷(12)의 상부부분(27 및 28) 사이에 그립부재를 제위치에 체결시키고 핸들대(20) 둘레에서 장착브래킷(12)의 하부부분(31 및 32)를 고정시킨다. 회중전등 빔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단지 암수나사부(19, 18)는 장착브래킷(12)에 의해서 그립부재(11)에 퍼져있는 압력을 경감시키는 암수나사부(19, 18)를 헐겁게하여 회중전등 및 그립부재를 장착브래킷내에서 회전시키고 장착브래킷에 대해 원하는 방향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암수나사부(19, 18)의 조임은 그립부재(11)와 회중전등을 원하는 방향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조립체에 의해 제공된 조정은 장착브래킷내의 정렬구멍의 직영에 의해 배열된 구멍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회중전등의 허용 가능한 최대 편향까지 제한되며, 따라서 회중전등 몸통은 회중전등이 뻗어있는 구멍의 벽가장자리에 맞닿는다. 그러나 이러한 편향은 회중전등의 충분한 조정을 허용하여 수평방향 보다 낮은 각도로 회전될 수 있고 따라서 자전거의 전방직선로를 따르는 지점에 집중시킬 수 있다. 구형그립부재는 또한 채널(23) 및 회중전등이 핸들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리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에 있어서, 회중전등은 전방을 가리키는 고정을 위해 구멍(25 및 26)에 대향된 장착브래킷내의 측구멍(29 및 30)을 통해 뻗어 있도록 조립체내에 장착될 수 있다.
적, 황 또는 녹색 필터와 같은 필터가 회중전등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회중전등 클램프 조립체에 놓인 회중전등이 조명기능 뿐 아니라 안전 또는 경고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회중전등 장착 조립체는 밤중에 자전거로를 조명하기 위하여 자전거 핸들대에 주로 사용되며 많은 다른 용도들도 본 발명의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등짐프레임에 사용될 수 있고 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어떤 다른 장치 부재 또는 표면과 결합하여 조명 또는 경고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시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의 실시예에서 장착브래킷재료는 플라스틱이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제 1 ~ 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품들은 같은 참고숫자 및 안내선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원통형의 채널(23)과 슬롯(24)을 구비한 동일 절단구형그립부재(11)가 도시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다른 구성부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구성부를 갖는 같은 부품은 숫자열에 프라임부호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예컨대 전방 하우징장치는 27'로 표시하고 후방 하우징 장치는 28'로 표시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영역(17')에는 암/수나사 체결구의 수나사부(18)가 암나사부(19)를 수용하는 크기로된 홈이 형성되어있다. 나사의 머리는 또한 원하는 국가의 일반적인 동전, 예를 들면 미국의 25센트짜리 동전을 수용하는 치수로된 슬롯을 갖는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21', 22')는 클램프 조립체의 상부와 하부영역사이의 추가의 지지수단을 제공한다. 하우징부재(27' 및 28')의 두께는 중요하지는 않으나, 단 장착브래킷과 수용된 그립부재(11)를 위한 충분한 강도를 제공 및 지지하는 두께이어야 한다. 제2도와 제8도를 비교한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제8도의 하우징부재(27' 및 2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으로 제조된 부재(27)보다 더 두껍다. 제1도 ~ 제4도 및 제7도와 제8도에서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가장자리는 예리하거나 거친 가장자리를 갖는 것을 막기 위해 둥글게 되어있으며 대응 의장등록출원(변리사 정리번호 380/2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미학적으로 호감가는 방법으로 둥글게 또는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제9도 ~ 제11도를 참조하여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또 다른 조립체를 일반적으로 33으로 나타내며 절단구형그립부재(34)와 장착브래킷(35)을 포함하고 있다. 그립부재(34)는 제1도 ~ 제8도에 관하여 앞서 기술된 것과 같다. 장착브래킷(35)에는 한 쌍의 상부 정렬구멍(36 및 37)이 제공하며, 구멍(36)은 장착브래킷(35)의 몸체부(35A)에 배치되고 구멍(37)은 몸체부(35B)에 배치된다. 장착브래킷(35)에는 또한 한 쌍의 하부 정렬구멍(38 및 39)이 제공되며 각각의 구멍의 일부분은 몸체부분(35A)과 몸체부분(35B)에 의해서 형성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40)은 몸체부분(35A)내에 형성되고 일부분(41)은 몸체부분(35B)내에 형성된다. 한 쌍의 하부 정렬구멍은 제9도 ~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 정렬구멍에 대하여 90°로 위치된다. 이 실시예는 구성의 간편성을 특징으로 하며 광빔이 지지부재의 축선방향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향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되어있다. 종래의 끼워맞춤부(42, 43, 44)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재료는 이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9도 ~ 제11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능은 다양한 설계, 형상 및 스타일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제12도 ~ 제14도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제3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대안 조립체는 45로 나타내었으며 장착브래킷(48)에 위치된 2개의 절단구형그립부재(46, 4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립부재(46, 47)는 제1도 ~ 제11도에 관하여 앞서 기술된 것과 같다. 장착브래킷(48)에는 한 쌍의 상부 정렬구멍(49, 50)이 제공되며, 이 구멍(49)은 장착브래킷(48)의 몸체부분(48A)내에 배치되며 구멍(59)은 몸체부분(48B)에 배치된다. 장착브래킷은 또한, 상부 그립부재(47)와 같거나 다른 크기로 되어있는 하부 그립부재(46)를 위하여 제공되며 및 한 쌍의 하부 정렬구멍(51, 52)을 구비하고 있다. 제9도 ~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멍 각각은 몸체부분(48A, 48B)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구성을 이루는 재료 및 끼워맞춤부 또는 체결수단(53, 54, 55)은 제1도 내지 제11도에 관한 상기 기재와 같다. 제12도 내지 제14도의 실시예는 지지부재의 축선에 대해 조립체가 쉽게 회전조정되고 및/또는 기타 조정될 수 있게 하는 추가적인 기능의 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은 하부 구형부재(46)와 하부 정렬구멍(51 및 52)의 설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15도 내지 제17도를 참고하여 바람직한 제4실시예는 설명된다. 이 대안 조립체는 상부 및 하부 절단구형그립부재(56, 57)를 갖고 있고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대해 상기 설명된 바와 같다. 바람직한 제4실시예는 지지 구조의 축선에 대한 회중전등의 빔방향을 최대로 조정하기 위해 2쌍의 하부 정렬 구멍을 또한 제공한다.
상부 정렬 구멍은 58, 59, 60, 61로 표시되어 있고 서로 수직으로 되어있다. 하부 정렬구멍은 62, 63, 64, 65로 표시되어 있고 역시 서로 수직으로 되어있다. 체결구는 66, 67, 68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설명한 타입의 것이다. 구성을 이루는 재료도 역시 상술한 것과 같다. 슬롯(69)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앵글, 헥스알렌렌치와 같은 안전렌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플라스틱 슬리이브가 안전렌치를 지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슬롯(69)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5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프 조립체는 하부 정렬구멍중의 어느 한 쌍의 지지구조에 고정될 수 있고, 하부 구형 그립부재의 특징적 형상으로 인해 지지부재의 축선에 대해 회전적으로 및/또는 다른 각도로 조정될 수도 있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관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중전등은 상부 정렬구멍 중의 어느 한 쌍을 통해 뻗어있도록 부착될 수도 있고 클램프 조립체 장착 브래킷에 대해 방사상 방향 및/또는 측방향으로 피봇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사용된 지지구조의 축선에 대해 회중전등 빔방향이 최대로 조정될 수 있게 해준다.
제9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3개의 실시예의 기능은 여러 종류의 설계, 형상 및 전체적 구성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제9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특정형상, 스타일 및 전체적 구성은 본원과 함께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출원(Dock No. 191/67)의 주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자전거 핸들대(20)와 같은 관형상 부재상에서 고정되도록 장착브래킷(12)의 하우징 피스를 서로 유지하는 기능과 그립효과를 달성하도록 회중전등 배럴 둘레의 그립부재(11)를 채널(23)에서 조이는 기능을 달성하는 암수나사 체결구와 같은 단일 체결수단을 예시하고 있지만,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는 이들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착브래킷은 다른 체결수단이 이들 분리 기능의 각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장착브래킷은 자전거 핸들대와 같은 유지장치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의 체결 수단을 가질 수 있는 한편 그립부재(11)를 단단히 죄이기 위해서는 제2의 클램핑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다른 실시예는 비록 도면에 의해 특징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역시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당해 분야의 기술자라면 많은 변형, 변화, 대안실시예 및 대안재료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대안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체의 단면 측면도.
제3도는 제2도로부터 90°에서 본 제1도의 조립체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와 동일한 각도에서 본 제1도의 조립체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구형그립의 부분단면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구형그립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7도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본 발명의 조립체 측면도.
제8도는 제 위치에 구형그립이 부착된 제7도의 조립체의 단면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조립체의 부분 단면 정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조립체의 부분 단면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조립체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조립체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16도는 제15조 조립체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17도는 제15도 조립체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을 따라 취해진 제15도의 조립체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장착브래킷 15 : 전방부분
16 : 후방부분 23 : 채널
24 : 슬롯 25, 26, 29, 30 : 구멍

Claims (10)

  1. 회중전등을 지지부재에 조정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조립체안에 회중전등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있고 구형그립부재를 통하여 중앙으로 뻗어있는 원통형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고 균일하게 간격이진 복수의 길이방향 슬롯을 형성하고, 일반적으로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구형그립부재 전방부분이 후방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제1그립표면과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이 상기 구형그립부재와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이 상기 지지부재와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을 가진 장착브래킷 및 회중전등의 일부분 둘레에서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사이의 상기 구형그립부재를 조이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을 지지부재상에 고정시켜 회중전등이 지지부재에 대해 원하는 각도 방향으로 지지부재에 체결되도록 상기 장착브래킷의 전방 및 후방부분을 조이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은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이 상기 조이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조여짐에 따라 상기 구형그립부재가 상기 채널 둘레에서 균일하게 조여지도록 상기 구형그립부재의 외부표면의 일부분위에서 상기 구형그립부재를 균일하게 맞물리기 위하여 상기 구형그립부재의 구형의 수용면적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장착브래킷의 상기 전방 및 후방부분에는 한 쌍의 축방향 상부정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의 각 직경은 중앙에 배치된 상기 채널의 단면직경 더크며, 한 쌍의 축방향 하부 정렬구멍은 한 쌍이 축방향 상부정렬구멍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2. 회중전등을 지지부재에 조정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구형그립부재를 통하여 중앙으로 뻗어있는 원통형의 채널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고 균일하게 간격이진 복수의 길이방향 슬롯을 각각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2개의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구형그립부재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을 가지며 상기 전방부분이 상기 후방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제1그립표면과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이 상기 구형그립부재중의 하나에 맞물리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이 차례로 지지부재에 맞물리는 다른 그립부재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장착브래킷; 및 회중전등의 일부분 둘레에서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사이의 상기 구형그립부재중의 하나를 조이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을 다른 그립부재 둘레에서 조여서 회중전등이 지지부재에 대하여 원하는 각도 방향으로 지지부재에 체결되도록 상기 장착브래킷의 전방 및 후방부분을 조이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브래킷의 상기 전방 및 후방부분에는 한 쌍의 축방향 상부정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축방향 정렬 구멍의 각각의 직경은 중앙에 배치된 상기 채널의 단면직경보다 더 크며 한 쌍의 축방향 하부정렬구멍은 한 쌍의 축방향 상부정렬구멍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은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이 상기 관형상 부재에 의하여 조여짐에 따라 상기 그립부재가 상기 채널 둘레에서 균일하게 조여지도록 상기 부재의 외부표면의 일부분상에 상기 그립부재를 균일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부재를 위한 구형의 수용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은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 아래에 배치되며 서로를 조이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과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의 중간의 상기 장착브래킷의 상기 전방부분 및 후방부분사이에 연장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조이기 위한 수단은 암/수나사 체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6. 회중전등을 지지부재에 조정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구형그립부재를 통하여 중앙으로 뻗어있는 원통형의 채널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채널과 연통하고 균일하게 간격이진 복수의 길이 방향 슬롯을 각각 형성하고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2개의 구형그립부재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을 가지며 상기 전방부분이 상기 후방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한 쌍의 제1그립표면과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이 상기 그립부재중의 하나에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이 차례로 지지부재에 맞물리는 다른 그립부재에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장착브래킷 및 회중전등의 일부분둘레의 상기 한 쌍의 제1그립표면사이에서 상기 그립부재중의 하나를 조이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그립표면을 다른 그립부재 둘레에서 조이기 위하여 상기 장착브래킷의 전방 및 후방부재를 조여서 회중전등이 지지부재에 대해 원하는 각도방향으로 지지부재를 체결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브래킷의 상기 전방 및 후방부분의 상부영역에는 2쌍의 축방향 정렬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각각의 직경은 중앙으로 배치된 상기 채널의 단면의 직경보다 더욱 크며 상기 장착브래킷의 전방 및 후방부분의 하부영역에는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2쌍의 축방향 정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시 채널중의 하나는 AA크기의 회중전등을 수용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8. 제2항에 이어서, 상기 채널중의 하나는 AAA크기의 회중전등을 수용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중의 하나는 AA크기의 회중전등을 수용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중의 하나는 AAA크기의 회중전등을 수용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KR1019900008944A 1990-06-18 1990-06-18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KR100197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944A KR100197642B1 (ko) 1990-06-18 1990-06-18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944A KR100197642B1 (ko) 1990-06-18 1990-06-18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70A KR920000570A (ko) 1992-01-29
KR100197642B1 true KR100197642B1 (ko) 1999-06-15

Family

ID=1930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944A KR100197642B1 (ko) 1990-06-18 1990-06-18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6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70A (ko)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0911A (en) Flashlight holder clamp assembly
EP0461318B1 (en) Flashlight holder clamp assembly
US5109321A (en) Flashlight holder clamp assembly
US5860728A (en) Holder clamp assembly
US5667185A (en) Holder clamp assembly
US5128841A (en) Flashlight holder clamp assembly
US5062026A (en) Flashlight holder clamp assembly
US5184884A (en) Flashlight holder clamp assembly
US5144546A (en) Flashlight holder
US7077302B2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attaching a first object to a second object in a desired orientation
EP2583885B1 (en) Bicycle accessory mounting structure
US5979978A (en) Adjustable seat post clamp assembly for human-powered vehicles
US8727556B2 (en) Integrated illumination device mount
US4697725A (en) Apparatus for mounting flashlights to bicycles
US4964603A (en) Mounting
CA2585627A1 (en) Mounting support with light
US7322645B2 (en) Bicycle seat rail clamping shafts and mounting systems
US5351980A (en) Joint assembly for a bicycle saddle
US5373757A (en) Adjustable handlebar mounting
US5297445A (en) Structure of handle of bicycle
US9120519B2 (en) Aero seat post mounting device
US5570614A (en) Adjustable bicycle handlebar mounting assembly
US20090174237A1 (en) Bicycle seat adjustable device
KR100197642B1 (ko) 회중전등 홀더 클램프 조립체
CN1035962C (zh) 手电筒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