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710B1 -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 Google Patents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710B1
KR100195710B1 KR1019950045869A KR19950045869A KR100195710B1 KR 100195710 B1 KR100195710 B1 KR 100195710B1 KR 1019950045869 A KR1019950045869 A KR 1019950045869A KR 19950045869 A KR19950045869 A KR 19950045869A KR 100195710 B1 KR100195710 B1 KR 10019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lter
frequency
ph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946A (ko
Inventor
이창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5004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710B1/ko
Publication of KR97003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1/0018Matched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6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066Carrier recover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83Signalling arrangements
    • H04L2027/0085Signalling arrangements with no special signals for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인 NTSC신호와 디지탈 방식인 VSB-PAM 및 QAM신호를 단일의 복조기로 복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복조기는 A/D 변환기(30)와; 입력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주파수를 하향시켜서 동위상과 직각 위상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 심볼 크럭 복원부(34); 주파수 혼합부(36); 반송파 복원부(38); 멀티플렉서(40); 필터부(42); 및 데이타 감속부(44)로 구성되어 NTSC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와 VSB-PAM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 그리고 QAM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모드신호에 따라 단일의 복조기로 복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간략화시켜 소비 전력과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NTSC, VSV 및 QAM신호 복조기
제1도는 NTSC, VSB 및 QAM신호 복조기가 조합된 NTSC, VSB 및 QAM신호 복조기의 구성도.
제2도는 디지탈 복조기의 기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VSB, QAM, NTSC신호 복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유한 충격 응답 적응 디지탈 필터의 구성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A/D 변환부 32 :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
34 : 심볼 클럭 복원부 36 : 주파수 혼합부
38 : 반송파 복원부 40 : 멀티플렉서
42 : 필터부 44 : 데이타 감속부
본 발명은 NTSC(VSB-AM), VSB-PAM 및 QAM신호 복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날로그 방식인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tittee:이하, NTSC라 한다.)신호와 디지탈 방식인 VSB-PAM(Vestigial Side Band:이하 VSB라 한다.) 및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이하, QAM이라 한다.)신호를 단일의 복조기로 복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고화질 텔레비젼(HDTV:High Definiton Television)방송이 지상 방송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전송에 따른 신호의 열화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디지탈 방송의 가장 큰 장점은 신호의 왜곡이 디지탈신호를 잘못 판정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일어난다면 화질을 완벽하게 복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현재의 아날로그 텔레비젼 방식인 NTSC방식이 갖고 있는 열악한 화질 및 음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디지탈 텔레비젼 방송이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보급율을 고려하면 현재의 아날로그 텔레비젼 방식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다. 즉,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탈 방식이 공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HDTV방송은 물론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도 함께 수신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가 필요하다.
한편, 미국은 지상 방송의 전송 방식으로서 VSB-PAM 변조를 표준으로 정하였으나, CATV 방송의 경우에는 QAM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차후의 텔레비젼 수상기는 기존의 NTSC신호 뿐만 아니라 VSB 및 QAM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복조할 수 있어야 한다.
제1도는 NTSC, VSB 및 QAM신호 복조기가 조합된 NTSC, VSB 및 QAM신호 복조기가 조합된 NTSC, VSB 및 QAM신호 복조기는 디멀티플렉서(10)와; NTSC 복조기(12); VSB 복조기(14); QAM 복조기(16); 및 멀티플렉서(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조기에서 복조하고자 하는 입력신호가 디멀티플렉서(10)에 입력되면, 입력신호가 NTSC, VSB 또는 QAM신호중 어느 신호인가에 따라 발생되는 선택신호에 의해 NTSC 복조기(12), VSB 복조기(14) 또는 QAM 복조기(16) 중에서 하나의 복조기가 선택되어 복조가 이루어지고, 복조된 신호는 선택신호에 의해 멀티플렉서(18)로부터 출력된다.
제2도는 일반적인 디지탈 복조기의 기본 블럭도로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해주는 A/D 변환부(20)와; 상기 A/D 변환부(20)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로 주파수를 하향시키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22:Digital Down Converter); 상기 A/D 변환부(20)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입력받아 심볼 클럭을 추출하는 심볼 클럭 복원부(24);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22)로부터 주파수 하향 신호를 입력받아 정확한 반송파를 찾아내기 위해 반송파를 복원하는 반송파 복원부(26); 및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22)로부터의 주파수 하향신호를 입력받아 최대의 신호대 잡음비(SNR)를 제공하는 정합 필터부(28)로 구성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디지탈 복조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D 변환부(20)로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는 반송파 주파수가 중간 주파수(IF:44MHz)보다 낮은 통과 대역신호로서, 이러한 신호는 A/D 변환부(20)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A/D 변환부(20)로부터의 디지탈신호가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22)로 입력되면 믹싱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통과 대역신호의 주파수를 하향시켜 기저 대역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A/D 변환부(20)로부터의 디지탈신호가 심볼 클럭 복원부(24)로 입력되면 심볼 클럭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22)로부터의 주파수 하향신호가 반송파 복원부(26)로 입력되면 정확한 반송파를 찾아내기 위해 반송파를 복원하게 된다. 그리고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22)로부터의 주파수 하향신호가 정합 필터부(28)로 입력되면 정합 필터링에 의해 신호대 잡음비(SNR)가 개선된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구현된 종래의 복조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적어도 3개 정도 필요로 하므로, 하드웨어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NTSC 복조기, VSB 복조기와 QAM 복조기의 공통 블록을 통합하여 하드웨어를 간단하게 구성한 단일 구조의 복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NTSC, VSB 및 QAM신호 복조기는, NTSC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와 VSB-PAM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 그리고 QAM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모드신호에 따라 단일의 복조기로 복조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해주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로 주파수를 하향시켜서 동위상(I) 채널의 신호와 직각위상(Q)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 상기 디지탈 주파수 햐향부로부터의 동위상 채널과 직각위상 채널의 기저 대역신호를 입력받아 심볼 클럭을 추출하는 심볼클럭 복원부;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를 반송파신호와 혼합시키는 주파수 혼합부; 상기 주파수 혼합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국부 발진된 방송파를 수신된 방송파에 동기시키는 반송파 복원부;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와 직각 위상 채널의 신호 및 상기 주파수 혼합부로부터의 주파수 혼합신호를 입력받아 모드신호에 따라 출력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소정의 필터 계수로 필터링하여 신호 대 잡음비 특성을 개선하는 필터부; 및 데시메이션에 의해 1 심볼율로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데이타 감속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NTSC(VSB-AM), VSB-PAM 및 QAM신호 복조기의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복조기는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해주는
A/D 변환부(30)와; 상기 A/D 변환부(30)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로 주파수를 햐향시켜서 동위상 채널(I:In-Phase)의 신호와 직각 위상 채널(Q:Quadrature)의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I)과 직각 위상 채널(Q)의 기저 대역신호를 입력받아 심볼 클럭을 추출하는 심볼 클럭 복원부(34);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I)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혼합시키는 주파수 혼합부(36); 상기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주파수 혼합신호를 입력받아 정확한 반송파를 복원하는 반송파 복원부(38);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I)와 직각 위상 채널의 신호(Q) 및 상기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주파수 혼합신호를 입력받아 모드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내보내는 멀티플렉서(40); 상기 멀티플렉서(40)로부터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정합 필터링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시키는 필터부(42); 및 데시메이션에 의해 심볼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데이타 감속부(44)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드신호'는 하나의 복조기로 3개의 신호를 복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NTSC방송을 수신하기 위하면 'NTSC모드'가 되고, HDTV방송을 수신하기 원하면 'VSB모드'가 되며, CATV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QAM모드'가 된다.
그리고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는 여현신호와 정현신호를 출력하는 수치 제어 발진기(32-1:Numerical Control Oscillator)와; A/D 변환부(30)로부터의 변환신호와 상기 수치 제어 발진기(32-1)로 부터의 여현신호(cosine)의 주파수를 혼합하는 제1믹서(32-2); A/D 변환부(30)로 부터의 변환신호와 수치 제어 발진기(32-1)로 부터의 정현신호(sine)의 주파수를 혼합하는 제2믹서(32-3); 제1믹서(32-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저역 통과 필터(32-4); 제2믹서(32-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저역 통과 필터(32-5); 및 제1저역 통과 필터(32-4)와 제2저역 통과 필터(32-5)의 계수를 저장하고 있다가 모드신호에 따라 해당 계수를 제공하는 계수 저장부(32-6)로 구성된다.
심볼 클럭 복원부(34)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의 동위상 채널(1)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는 제1프리 필터(34-1)와;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의 직각 위상 채널(Q)의 신호를 입력 받아 타이밍 지터(timing jitter)를 감소시키는 제2프리 필터(34-2); 제1프리 필터(34-1)와 제2프리 필터(34-2)로부터의 필터링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차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34-3); 위상 검출기(34-3)의 출력를 저주파 필터링하여 직류신호로 변환하는 루프 필터(34-4); 및 루프필터(34-4)의 출력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수치 제어 발진기(34-5)로 구성된다.
여기서, 위상 검출기(34-3)는 모드신호에 따라 VSB, QAM 및 NTSC신호의 심볼 클럭의 위상 오차 검출 알고리즘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이어서, 반송파 복원부(38)는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동위상 채널(I)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는 프리 필터(38-1)와; 프리 필터(38-1)로부터의 필터링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차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38-2); 위상 검출기(38-2)의 출력을 로우패스 필터링하여 직류화하는 루프 필터(38-3); 및 루프 필터(38-3)의 출력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수치 제어 발진기(38-4)로 구성된다.
이때, 위상 검출기(38-2)는 모드신호에 따라 VSB 및 NTSC신호의 반송파 위상 오차 검출 알고리즘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이어서, 필터부(42)는 멀티플렉서(40)에서 선택된 동위상 채널(I)의 신호를 입력받아 최대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갖도록 정합 필터링하는 제1정합 필터(42-1); 멀티플렉서(40)에서 선택된 직각 위상 채널(Q)의 신호를 입력받아 최대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갖도록 정합 필터링하는 제2정합 필터(42-2);및 제1정합 필터(42-1)와 제2정합 필터(42-2)의 계수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모드신호에 따라 해당 계수를 제공하는 계수 저장부(4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정합 필터(42-1)의 상기 제2정합 필터(42-2)는 유한 충격 응답 적응 디지탈 필터(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FIR Filte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감속부(44)는 필터부(4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I)를 데시메이션하여 1 심볼율로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제1데시메이터(44-1); 및 필터부(42)로부터의 직각 위상 채널의 신호(Q)를 데시메이션하여 1 심볼율로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제2데시메이터(44-2)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조기는 단일의 복조기로 NTSC신호와 HDTV를 위한 VSB신호 및 CATV를 위한 QAM신호를 복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하나의 복조방식을 선택한다. 예컨대, 기존의 NTSC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면 NTSC모드가 되어 본 발명의 복조기는 NTSC신호를 복조하고, HDTV방송을 수신하고자 하면 VSB모드가 되어 VSB-PAM신호를 복조하며, CATV방송을 수신하고자 하면 QAM모드가 되어 QAM신호를 복조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는 반송파 주파수가 중간주파수(IF:44MHz)보다 낮은 통과 대역신호로서, 이러한 신호는 A/D 변환부(30)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에서 상기 A/D 변환부(30)부터의 변환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로 주파수를 하향시켜서 동위상 채널(I)의 신호와 직각 위상 채널(Q)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치 제어 발진기(32-1)에서는 여현신호와 정현신호를 출력하고, 제1믹서(32-2)에서는 상기 A/D 변환부(30)로부터의 변환신호와 상기 수치 제어 발진기(32-1)로부터의 여현신호(cosine)의 주파수를 혼합하며, 제2믹서(32-3)에서는 상기 A/D 변환부(30)로부터의 변환신호와 상기 수치 제어 발진기(32-1)로부터의 정현신호(sine)의 주파수를 혼합한다. 그리고 제1저역 통과 필터(32-4)와 제2저역 통과 필터(32-5)에서는 상기 제1믹서(32-2)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제2믹서(32-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만을 통과시키며, 계수 저장부(32-6)에서는 모드신호에 따라 적당한 필터 탭 계수를 상기 제1저역 통과(32-4)와 제2저역 통과 필터(32-5)에 제공한다.
심볼 클럭 복원부(34)에서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I)과 직각 위상 채널(Q)의 기저 대역신호를 입력받아 심볼 클럭을 추출한다. 즉, VSB, QAM, NTSC신호 각각의 심볼 클럭을 추출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프리 필터(34-1)와 제2프리 필터(34-2)에서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I)의 신호와 직각 위상 채널(Q)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고, 위상 검출기(34-3)에서는 제1프리 필터(34-1)와 제2프리 필터(34-2)로 부터의 필터링신호를 위상차를 검출하며, 루프 필터(34-4)에서는 상기 위상 검출기(34-3)의 출력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수치 제어 발진기(34-5)는 상기 루프 필터(34-4)의 출력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이때, 심볼 클럭 복원부(34)의 제1프리 필터(34-1), 제2프리 필터(34-2), 루프 필터(34-4) 및 수치 제어 발진기(34-5)는 VSB, QAM, NTSC신호 모두에 사용될 수 있으나, 신호에 따라 위상 오차 검출 알고리즘이 다르기 때문에 위상 검출기(34-3)는 세 신호의 위상 오차 검출 알고리즘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현한다. 그리고 모드신호에 따라 해당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주파수 혼합부(36)에서는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I)의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혼합시킨다.
반송파 복원부(38)에서는 상기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주파수 혼합신호를 입력받아 정확한 반송파를 복원하는데, 상기 반송파 복원부(38)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기 심볼 클럭 복원부(34)와 같으며, 동작도 유사하나 차이점은 심볼 클럭의 위상이 아닌 반송파의 위상을 동기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나머지 블럭은 공통으로 사용되나, 입력신호(VSB 또는 NTSC)에 따라 반송파 위상 오차 알고리즘만 다르므로 위상 검출기(38-2)만 약간 복잡해진다. QAM신호의 경우에는 반송파 동기에 기준이 될 수 있는 주파수 톤(frequency tone)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파 복원이 수행될 수 없으므로 상기 반송파 복원부(38)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멀티플렉서(40)에서는 QAM, VSB 및 NTSC신호에 따라 다음 단으로 적절한 입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QAM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I)와 직각 위상 채널의 신호(Q)가 선택되고, VSB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I)가 선택되며, NTSC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I)가 선택된다.
필터부(42)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40)로부터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정합 필터링하여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정합 필터(42-1)와 제2정합 필터(42-2)에서는 멀티플렉서(40)에서 선택된 동위상 채널(I)의 신호와 직각 위상 채널(Q)의 신호를 입력 받아 최대의 신호 대 잡음비를 제공하며, 계수 저장부(42-3)는 모드신호에 따라 제1정합 필터(42-1)와 제2정합 필터(42-2)에 해당 필터 탭 계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1정합 필터(42-1)와 상기 제2정합 필터(42-2)는 유한 충력 응답 적응 디지탈 필터로 구현할 수 있으며, 그 동작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유한 충격 응답 적응 디지탈 필터의 구성도로서, 유한 충격 응답 적응 디지탈 필터부(50)에서는 입력되는 탭계수신호 및 탭어드레스신호에 의해 갱신된 탭계수를 가지고 필터링신호를 출력하고, 감산기(52)에서는 상기 필터링신호와 요구신호간의 차이인 오차신호를 출력하며, 탭계수 갱신값 연산부(54)에서는 상기 오차신호를 입력받아 탭계수 갱신값을 연산하고, 탭 어드레스 생성부(56)에서는 상기 유한 충격 응답 적응 디지탈 필터부(50)의 각 탭에 해당하는 탭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탭 계수 버퍼부(58)에서는 상기 탭 계수 갱신값 연산부(54)의 연산 결과인 n+1개의 탭 계수 값을 저장하고, 입력되는 상기 탭 어드레스신호에 해당하는 탭 계수 값을 상기 유한 충격 응답 적응 디지탈 필터부(50)에 인가한다.
이어서, 제3도의 데이타 감속부(44)에서는 제1대시메이터(44-1)와 제2데시메이터(44-2)의 데시메이션에 의해 1 심볼율로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데이타 레이트가 높을수록 하드웨어 구현시 비용이 증가하므로 데이타 레이트를 낮추어야 한다.
즉, 상기 필터부(42)를 거친 데이타는 심볼율의 2배 이상이 되므로 1 심볼율로 낮추어서 출력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NTSC 복조기, VSB 복조기와 QAM 복조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용하여 단일 구조의 복조기로 구현함으로써, 각각의 신호에 대한 복조기를 별개로 구현하여 조합시킬 때보다 하드웨어 사이즈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도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NTSC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와 VSB-PAM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 그리고 QAM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모드신호에 따라 단일의 복조기로 복조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해주는 A/D 변환부(30)와; 상기 A/D 변환부(30)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로 주파수를 하향시켜서 동위상(I) 채널의 신호와 직각위상(Q) 채널의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과 직각위상 채널의 기저 대역신호를 입력받아 심볼 클럭을 추출하는 심볼클럭 복원부(34);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를 반송파신호와 혼합시키는 주파수 혼합부(36); 상기 주파수 혼합부(36)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국부 발진된 반송파를 수신된 반송파에 동기시키는 반송파 복원부(38);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와 직각 위상 채널의 신호 및 상기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주파수 혼합신호를 입력받아 모드신호에 따라 출력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40); 상기 멀티플렉서(40)의 출력을 입력받아 소정의 필터 계수로 필터링하여 신호 대 잡음비 특성을 개선하는 필터부(42); 및 데시메이션에 의해 1 심볼율로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데이타 감속부(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는, 여현신호와 정현신호를 출력하는 수치 제어 발진기(32-1)와; 상기 A/D 변환부(30)의 출력을 상기 수치 제어 발진기(32-1)의 여현신호와 혼합하여 동위상 채널신호를 출력하는 제1믹서(32-2); 상기 A/D 변환부(30)의 출력신호와 상기 수치 제어 발진기(32-1)의 정현신호를 혼합하여 직각 위상 채널신호를 출력하는 제2믹서(32-3); 상기 제1믹서(32-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저역 통과 필터(32-4); 상기 제2믹서(32-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기저 대역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저역 통과 필터(32-5); 및 모드신호에 따라 해당 필터 탭 계수를 상기 제1저역 통과 필터(32-4)와 상기 제2저역 통과 필터(32-5)에 제공하는 계수 저장부(3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클럭 복원부(34)는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는 제1프리 필터(34-1)와; 상기 디지탈 주파수 하향부(32)로부터의 직각위상 채널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는 제2프리 필터(34-2); 상기 제1프리 필터(34-1)와 상기 제2프리 필터(34-2)의 필터링신호를 입력받아 모드신호에 따른 알고리즘을 위상차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34-3); 상기 위상 검출기(34-3)의 출력을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직류화하는 루프 필터(34-4); 및 상기 루프 필터(34-4)의 출력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수치 제어 발진기(3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복원부(38)는 상기 주파수 혼합부(36)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를 입력받아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는 프리 필터(38-1)와; 상기 프리 필터(38-1)의 필터링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차를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38-2); 상기 위상 검출기(38-2)의 출력을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직류화하는 루프 필터(38-3); 및 상기 루프 필터(38-3)의 출력신호에 의해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수치 제어 발진기(3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42)는 상기 멀티플렉서(40)에서 선택된 동위상 채널의 신호를 입력받아 정합 필터링하여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시키는 제1정합 필터(42-1)와; 상기 멀티플렉서(40)에서 선택된 직각 위상 채널을 신호를 입력받아 정합 필터링하여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시키는 제2정합 필터(42-2); 및 모드신호에 따라 해당 필터 탭 계수를 상기 제1정합 필터(42-1)와 상기 제2정합 필터(42-2)에 제공하는 계수 저장부(4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감속부(44)는 상기 필터부(42)로부터의 동위상 채널의 신호를 데시메이션하여 1 심볼율로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제1데시메이터(44-1); 및 상기 필터부(42)로부터의 직각위상 채널의 신호를 데시메이션하여 1 심볼율로 데이타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제2데시메이터(4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KR1019950045869A 1995-11-30 1995-11-30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KR10019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869A KR100195710B1 (ko) 1995-11-30 1995-11-30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869A KR100195710B1 (ko) 1995-11-30 1995-11-30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946A KR970031946A (ko) 1997-06-26
KR100195710B1 true KR100195710B1 (ko) 1999-06-15

Family

ID=1943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869A KR100195710B1 (ko) 1995-11-30 1995-11-30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591A (ko) * 2001-12-26 2003-07-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946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7713A (en)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multistandard television reception
KR100532002B1 (ko) 다중 변조 포맷 텔레비젼 신호 수신기 시스템
JP4974247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におけるタイミング再生装置
US7239357B2 (en) Digital IF demodulator with carrier recovery
KR100651050B1 (ko) 잔류 측파대 변조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635560A2 (en) World wide analog television signal receiver
CA2338411C (en) Vsb/qam receiver and method
JPH08125881A (ja) デジタル画像受信器
KR100296661B1 (ko) 직각진폭변조(qam)텔레비전신호용반송파복원프로세서
US6246444B1 (en) Digital and analog TV common-use receiver having single ghost canceler and ghost cancellation method
KR20020065745A (ko) 디지털 tv 수신기에서의 vsb 복조 장치
KR20010063060A (ko) 잔류측파대 수신기
JPH06510643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器用クロック信号発生器
JPH11331301A (ja) 個別的な変換機により供給されるvsb及びqam最終中間周波数信号を同期化するqam/vsb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195710B1 (ko) Vsb, qam 및 ntsc신호 복조기
EP1221262B1 (en) Parallel digitizing and processing of plural analogue television signals
CN100418366C (zh) 基于载波恢复的解调
KR20000060085A (ko)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클럭 복원장치
EP0793365A2 (en) Filter in a digital timing recovery system
KR19990060510A (ko) 디지털 잔류측파대 복조장치
KR100463507B1 (ko) 에이치디티브이의 타이밍 북구장치
KR101092440B1 (ko) 반송파 복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EP0793364A2 (en) Oscillation network in a digital timing recovery system
KR100269366B1 (ko) 디지털텔레비전의직류제거장치
KR0124595B1 (ko) 고선명 텔레비젼 수상기의 디지탈 반송파복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