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925B1 -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 Google Patents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925B1
KR100194925B1 KR1019960051905A KR19960051905A KR100194925B1 KR 100194925 B1 KR100194925 B1 KR 100194925B1 KR 1019960051905 A KR1019960051905 A KR 1019960051905A KR 19960051905 A KR19960051905 A KR 19960051905A KR 100194925 B1 KR100194925 B1 KR 10019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data
point
map
tot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002A (ko
Inventor
나성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9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925B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지도관리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최소 축적의 수치지도로부터 원하는 축적의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한 형상 데이터 합성시 데이터를 자동으로 간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지도관리시스템에서 하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상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한 형상 데이터 합성시 데이터를 간소화하는 본 방법은 임의 레벨의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파일을 열고 형상 데이터 헤더를 읽는 제1과정과, 상기 형상 데이터 헤더에 의거 임의의 형상 데이터에 대하여, 형상좌표 총 수가 세개 이상인지 체크하는 제1단계, 해당 형상 데이터의 형상좌표 총 수가 세개 이상이면 비교할 형상좌표를 소정의 처음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셋 입력하는 제2단계, 상기 세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직교하는 선들중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 상기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상기 세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교차하는 교차점을 구하는 제4단계, 상기 중간점과 상기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수평 및 수직 허용 오차를 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어느 한 허용 오차를 넘거나 상기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간점을 삭제하고 상기 처음점을 저장한 후 상기 끝점을 새로운 처음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며, 허용 오차를 넘지 않으면 상기 처음점을 저장한 후 상기 중간점을 새로운 처음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를 상기 형상좌표 총 수가 두개 이하일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특정 레벨의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다중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어내는 데 사용한다.

Description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본 발명은 지도관리시스템(GIS)에 있어서 수치지도 데이터에서 형상 데이터 명칭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레벨의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다중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어낼 때 형상 데이터 명칭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도관리시스템은 이동체의 항법장치에 쓰인다. 선박, 항공기, 자동차 등 각종 이동체의 항법장치는 전세계 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이하 GPS라 함.)용 측위장치를 탑재하고 그 이동체의 현재 위치와 이동 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 상기 GPS 측위장치는 6개의 중궤도에 위치하는 상기 GPS 시스템에 속하는 3개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연산한 후 이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지도정보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를 위해 통상적인 네비게이션장치는 보조기억장치(예:CD-ROM)로부터 읽어내어 표시화면에 나타낸 지도 위에 상기 위성들로부터 수신된 항행정보에서 계산된 자기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각종 수치지도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데이터 관리의 효율적인 측면을 생각하여 작은 축적의 수치지도를 여러 면 합쳐서 큰 축적의 수치지도를 획득하도록 하고 있다.
소축적의 수치지도로써 대축적의 수치지도를 만들어낼 때 도로 및 지형지물 데이터 등 형상 데이터를 처리(합성)하는 데 기준이 없고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오류 발생 빈도가 높고 물적 및 인적 낭비 요소가 크다. 뿐만 아니라 단순 합성을 하게 되면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축적의 수치지도로부터 원하는 축적의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한 형상 데이터 합성 시 자동으로 데이터를 간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도관리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현존 도로 및 지형지물의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가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3도에서 임의의 레벨에 대한 형상 데이터 간소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제4a도 및 제4b도에서 임의의 형상 데이터에 대한 간소화 작업 순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의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데이터 간소화에 필요한 제1체크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데이터 간소화에 필요한 제2체크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도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연산처리부 10은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가공 및 그 명칭 처리를 위한 연산을 처리를 한다. 지도데이터 메모리 20은 수치지도를 저장한다. 키입력부 30은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가공 및 그 명칭 처리를 위한 각종 명령 및 데이터의 입력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표시부 40은 수치지도 및 그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 처리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임시 메모리 50은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가공 및 그 명칭 처리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메모리 60은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가공 및 그 명칭 처리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연산처리부 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수행된다. 비디오 메모리 70은 상기 연산처리부 1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 40에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현존 도로 및 지형지물의 예시도이다. B1-B5은 도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참조부호 B1은 고속도로, B2는 국도, B3은 지방도, B4는 기타 도로, B5는 연결로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로는 상기 B1-B4의 도로는 아니고 단지 그들을 연결하는 연결로이다. 참조부호 B6-B11은 지형지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B6은 면 지형지물, B7은 선 지형지물, B11은 점지형지물, B8은 선수계, B10은 행정계를 나타낸다.
다음 표 1은 각 레벨의 지도 축적, 크기, 개수와 데이터 특성 등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 따르면, 레벨 7의 지도 축적은 대한 민국 전부를 포함하는 크기의 1:2,400,000으로 이미지 데이터의 형식으로 존재한다. 레벨 6의 지도 축적은 상기 레벨 7을 4등분한 크기의 1:1,200,000으로 수치 벡터 데이터 형식으로 4개가 존재한다. 레벨 5의 지도 축적은 상기 레벨 6을 6등분한 크기의 1:200,000으로 수치 백터 데이터 형식으로 24개가 존재한다. 이하의 레벨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위 레벨과의 관계로써 분석되어질 수 있다. 단, 레벨 1부터 레벨 5까지 각 레벨의 수치 벡터 데이터가 모두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이렇게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여백부분)도 개수에 포함되어 있다.
임의의 한 레벨의 수치지도는 다음 표 2 및 표 3과 같은 형식(format)을 갖는 각종 형상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다음 표 2는 형상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의 형식을 나타낸 것이다. N1은 도로 총 수가 1, …, N1개 까지임을 나타내는 변수이고, 나머지도 마찬가지이다. 표 2에 따르면, 도로 총 수를 2바이트로 나타내는 바 그 범위 즉 개수는 십진수로 65535까지 될 수 있다. 도엽번호는 ASCⅡ 코드 형태로 첫 번째 자리 문자는 레벨 7중 레벨 6을 나타내는 값으로 1∼4중 하나의 값을 갖고, 두 번째 자리 문자는 레벨 6중 레벨 5를 나타내는 값으로 1∼6중 하나의 값을 가지며, 세 번째 자리 문자는 레벨 5중 레벨 4를 나타내는 값으로 1∼4중 하나의 값을 갖고, 네번째 자리 문자는 레벨 4중 레벨 3을 나타내는 값으로 1∼4중 하나의 값을 가지며, 다섯 번째 자리 문자는 레벨 3중 레벨 2를 나타내는 값으로 1∼4중 하나의 값을 갖고, 여섯 번째 자리와 일곱 번째 자리 문자는 레벨 2중 레벨 1을 나타내는 값으로 1∼25중 하나의 값을 갖는다.
다음 표 2는 실제 형상 데이터중 도로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에 따르면, 도로 총 수가 N1까지로 되어 있으므로 지도 데이터 메모리 20에는 다음 표 3과 같은 형식을 가지는 도로 데이터 1, …, 도로 데이터 N1이 존재한다.
이밖에 면 지형지물의 데이터, 선 지형지물 데이터, 면수계 데이터, 선수계 데이터 및 행정계 데이터의 형식도 상기 도로 데이터와 동일하다.
다음 표 4는 표시부 40의 해상도의 종류와 그 표시부 40에서 각 레벨별 명칭 1문자가 갖는 크기(X, Y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한 허용 오차를 예시한 것이다. 이 표 10도 지도 데이터 메모리 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가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1단계에서는 최하위 레벨 즉 레벨 1의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이를 저장한다. 상기 수치지도의 제작은 항공 측량, 위성 촬영 및 실자 측량을 통해 이루어진다. f2단계에서는 변수 n을 '1'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 변수 n은 상기 레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최하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저장한 다음에는 f3단계에서 레벨 2영역의 하위 레벨 데이터 25개를 합친다. 다시 말해서, 레벨 1 데이터 25개를 합쳐 레벨 2영역을 형성한다. 이어서 f4단계에서 레벨 2입력 데이터 항목에 맞지 않는 데이터들을 버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f5단계에서 레벨 2 명칭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동작과정을 거쳐 간소화 한다. f6단계는 상기 변수 n이 6이 되었는지 체크하기 위한 단계로서, 6이 되지 않았으면 다음 레벨의 입력데이터를 형성하고 그 명칭데이터를 정리하기 위해 상기 f2단계로 되돌아간다. 단, 각 레벨마다 합쳐지는 그 영역의 하위 레벨 데이터의 개수가 다른데, 레벨 3은 레벨 2를 4개, 레벨 4는 레벨 3을 4개, 레벨 5는 레벨 4를 4개 그리고 레벨 6은 레벨 5를 6개 합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제3도에서 임의의 레벨에 대한 형상 데이터 간소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g1단계에서 연산처리부 10은 간소화하기 위한 레벨의 형상 데이터 파일을 연다. 그리고 g2단계에서 상기 형상 데이터 파일중 형상 데이터 헤더 부분을 임시 메모리 50에 저장한다. g3단계에서 상기 연산처리부 10은 도로 총 수가 0인지 체크한다. 상기 도로 총 수가 0이 아니면 g4단계에서 후술하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상기 도로 데이터를 간소화 한다. 그리고 g5단계에서 현재의 도로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으로 도로 총 수를 새롭게 갱신한 다음 상기 g3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g3단계에서 도로 총 수가 0이면 즉 도로가 없으면, g6단계로 진행하여 면 지형지물 총 수가 0인지 체크한다. 상기 면 지형지물 총 수가 -0이면 g7단계에서 후술하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상기 면 지형지물 데이터를 간소화 한다. 그리고 g8단계에서 현재의 면 지형지물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으로 면 지형지물 총 수를 새롭게 갱신한 다음 상기 g6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g6단계에서 면 지형지물 총 수가 0이면 g9단계로 진행하여 선 지형지물 총 수가 0인지 체크한다. 상기 선 지형지물 총 수가 0이 아니면 g10단계에서 후술하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상기 선 지형지물 명칭 데이터를 간소화 한다. 그리고 g11단계에서 현재의 선 지형지물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으로 선 지형지물 총 수를 새롭게 갱신한 다음 상기 g9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g9단계에서 선 지형지물 총 수가 0이면 제4b도의 g12단계로 진행하여 면수계 총 수가 0인지 체크한다. 상기 면수계 총 수가 0이 아니면 g20단계에서 후술하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상기 면수계 데이터를 간소화 한다. 그리고 g14단계에서 현재의 면수계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으로 면수계 총 수를 새롭게 갱신한 다음 상기 g14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g12단계에서 면수계 총 수가 0이면 g15단계로 진행하여 선수계 총 수가 0인지 체크한다. 상기 선수계 총 수가 0이 아니면 g16단계에서 후술하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상기 선수계 데이터를 간소화 한다. 그리고 g17단계에서 현재의 선수계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으로 선수계 총 수를 새롭게 갱신한 다음 상기 g15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g15단계에서 선수계 총 수가 0이면 g18단계로 진행하여 행정계 총 수가 1인지 체크한다. 상기 행정계 총 수가 0이 아니면 g19단계에서 후술하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상기 행정계 데이터를 간소화한다. 그리고 g20단계에서 현재의 행정계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으로 행정계 총 수를 새롭게 갱신한 다음 상기 g18단계로 되돌아간다. 다른 한편 상기 g18단계에서 행정계 총 수가 0이면 행정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제4a도 및 제4b도에서 임의의 형상 데이터에 대한 간소화 작업순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5a도의 h1단계에서 연산처리부 10은 지도 데이터 메모리 20의 소정 형상 데이터(예:도로 데이터)영역을 액세스하여 형상좌표 총 수가 2보다 큰지 체크한다. 만일 2보다 크지 않으면 작업을 종료한다. 반면에 상기 체크결과 상기 형상좌표 총 수가 2보다 크면 h2단계에서 형상좌표 체크 카운트 값(i)과 선택되어 저장하는 좌표수값(j)를 초기화 한다. 그리고 h3단계에서 비교할 3개의 형상좌표(Xi,Yi), (Xi+1,Yi+1), (Xi+2,Yi+2)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를 예시한 제6도에 따르면, 초기에는 상기 3개의 형상좌표로 (X0,Y0), (X1,Y1), (X2,Y2)가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이후에는 후술하는 이유로 중간에 한 좌표가 빠지지 않는 한 (X1,Y1), (X2,Y2), (X3,Y3)이 입력된다.
h4단계에서 Xi와 Yi+2가 일치하는지 체크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데이터 간소화에 필요한 제1체크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일치 여부 체크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Xi와 Yi+2가 일치하면,h6단계에서 상기 비교할 3개의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 'X=Yi'을 구하고, 이 선과 직선으로 교차하는 직선들 중 비교할 3개의 점이 지나는 직선을 선택하여 X가 0인 점 a1(=Y), a2(=Yi+1), a3(=Yi+2)를 구한다.
상기 h4단계에서 Xi와 Yi+2가 일치하지 않으면 Yi와 Yi+2가 일치하는지 체크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데이터 간소화에 필요한 제2체크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일치 여부 체크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체크결과 Yi와 Yi+2가 일치하면 h7단계에서 상기 비교할 3개의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 'Y=Yi'을 구하고, 이 선과 직선으로 교차하는 직선들 중 비교할 3개의 점이 지나는 직선을 선택하여 Y가 0인 점 a1(=X), a2(=Xi+1), a3(=Xi+2)를 구한다.
상기 h5단계에서 Yi와 Yi+2가 일치하지 않으면 h8단계에서 상기 비교할 3개의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 'X=(Xi+2-Xi)/(Yi+2-Yi)*(Y-Yi)+Xi'를 구하고, 이 선과 직선으로 교차하는 직선들 중 비교할 3개의 점이 지나는 직선을 선택하여 Y가 0인 점 a1[=Xi+(Xi+2-Xi)/(Yi+2-Yi)*Yi], a2[=Xi+1+(Xi+2-Xi)/(Yi+2-Yi)*Yi+1] 및 a3[=Xi+2+(Xi+2-Xi)/(Yi+2-Yi)*Yi+2]를 구한다. 이후 제5b도의 h9단계에서 상기 h6∼h8단계에서 구한 a1, a2 및 a3의 상호 관계를 체크하여 'a1a2a3' 혹은 'a1a2a3'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둘중 어느 한 관계가 성립하면 h10단계에서 비교할 3개의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직교하는 선중 Xi+1,Yi+1을 지나는 직선이 교차하는 점(XC,XC)를 구한다. h11단계에서 '│Xi+1,YC│△X' 그리고 '│Yi+1,+YC│△Y'를 만족하면 h12단계에서 상기 Xi+1과 Yi+1를 삭제하고 변수 i를 2만큼 증가시킨다. 이때 △X 및 △Y는 각각 X, Y방향 허용 오차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h11단계에서 '│Xi+1,XC│△X' 그리고 '│Yi+1,YC│△Y'를 만족하지 않으면 h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수 i를 1만큼 증가시킨다. 상기 h12 및 h13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h14단계에서 Xi와 Yi를 저장한다. 그리고Xj를 Xi로, Yj를 Yi로 갱신하고 상기 변수 j는 1증가시킨다. 상기 h14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h15단계에서 상기 변수 i가 형상좌표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과 같은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상기 변수 i가 형상좌표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과 같으면 h18단계에서 Xi와 Yi를 저장한다. 그리고 Xj를 Xi로, Yj를 Yi로 갱신하고 상기 변수 j는 1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변수 i가 형상좌표 총 수를 1감소시킨 값과 같다는 것은 남은 형상좌표가 2개인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h15단계에서 상기 변수 i가 형상좌표 총 수를 1 감소시킨 값과 같지 않으면 h16단계에서 상기 변수 i가 형상좌표 총 수를 2 감소시킨 값과 같은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상기 변수 i가 형상좌표 총 수를 2 감소시킨 값과 같지 않으면 h17단계에서 Xi와 Yi를 저장한다. 그리고 Xj를 Xi로, Yj를 Yi로, Xj+1을 Xi+1로, Yj+1을 Yi+1로 갱신하고 상기 변수 j는 2증가시킨다. 상기 h17단계는 마지막 형상좌표에 대한 저장을 의미한다. 상기 h17 및 h18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h19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형상좌표 총 수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변경된 형상좌표 총 수는 상기 변수 j이다.
결론적으로, 상기한 간소화 과정을 수행하면 예를 들어 8개의 형상좌표를 6개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소축적의 수치지도로써 대축적의 수치지도를 만들어낼 때 도로 및 지형지물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정확한 기준이 생겨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효율적이며, 합성을 하더라도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거나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지도관리시스템에서 하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상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한 형상 데이터 합성시 데이터를 간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 레벨의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파일을 열고 형상 데이터 헤더를 읽는 제1과정과, 상기 형상 데이터 헤더에 의거 임의의 형상 데이터에 대하여, 형상좌표 총 수가 세개 이상인지 체크하는 제1단계, 해당 형상 데이터의 형상좌표 총 수가 세개 이상이면 비교할 형상좌표를 소정의 처음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셋 입력하는 제2단계, 상기 세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직교하는 선들중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단계, 상기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상기 세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교차하는 교차점을 구하는 제4단계, 상기 중간점과 상기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수평 및 수직 허용 오차를 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어느 한 허용 오차를 넘거나 상기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간점을 삭제하고 상기 처음점을 저장한 후 상기 끝점을 새로운 처음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며, 허용 오차를 넘지 않으면 상기 처음점을 저장한 후 상기 중간점을 새로운 처음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를 상기 형상좌표 총 수가 두개 이하일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지도 축적 레벨 정보, 표시부의 해상도와 그 표시부에서 각 레벨별 명칭 1문자가 갖는 크기(X, Y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설정한 허용 오차를 저장한 지도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로써 임의 축적의 수치지도를 표시하는 지도관리시스템에서 하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가공하여 상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기 위한 형상 데이터 합성시 데이터를 간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로 데이터, 면 혹은 선 지형지물 데이터, 면 혹은 선 수계 데이터, 행정계 데이터 등의 형상 데이터와 그 헤더로 이루어지는 하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만들어 상기 지도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지도 데이터 메모리에 상위 레벨의 수치지도를 이루는 형상 데이터 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위 레벨 수치지도의 데이터를 상기 두 레벨의 비에 따라 다수 개 합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형상 데이터 파일에서 형상좌표 총 수가 셋 이상인 임의의 형상 데이터를 읽고, 상기 읽은 형상 데이터에서 비교할 형상좌표를 소정의 처음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셋 입력하는 제1단계, 상기 세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직교하는 선들중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단계, 상기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상기 세 형상좌표중 처음과 끝점을 잇는 직선과 교차하는 교차점을 구하는 제3단계, 상기 중간점과 상기 교차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수평 및 수직 허용 오차를 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어느 한 허용 오차를 넘거나 상기 중간점을 지나는 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간점을 삭제하고 상기 처음점을 저장한 후 상기 끝점을 새로운 처음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단계로 진행하며, 허용 오차를 넘지 않으면 상기 처음점을 저장한 후 상기 중간점을 새로운 처음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를 상기 형상좌표 총 수가 두개 이하일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합에서 상기 상위 레벨의 입력 데이터 항목에 맞지 않는 데이터들을 버리는 작업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수행후 상기 형상 데이터 파일의 형상좌표 총 수를 상기 삭제된 중간점의 총 개수에 따라 갱신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수행후 상기 형상 데이터 파일의 형상좌표 총 수를 상기 삭제된 중간점의 총 개수에 따라 갱신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51905A 1996-11-04 1996-11-04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KR10019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905A KR100194925B1 (ko) 1996-11-04 1996-11-04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905A KR100194925B1 (ko) 1996-11-04 1996-11-04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002A KR19980034002A (ko) 1998-08-05
KR100194925B1 true KR100194925B1 (ko) 1999-06-15

Family

ID=6651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905A KR100194925B1 (ko) 1996-11-04 1996-11-04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9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002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5507B1 (en) Hierarchical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loading of data in a navigation system
US68859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3D visualization for mobile navigation units
US5041982A (en) Edit area algorithm for navigation display of an electronic flight instrument system
US6898523B2 (en) Motor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enhanced map selection
EP1840517B1 (en) Real-time spherical correction of map data
US5938719A (en) Navigation apparatus with enhanced positional display function
Baltsavias Digital ortho-images—a powerful tool for the extraction of spatial-and geo-information
USRE40466E1 (en) Method for organizing and compressing spatial data
US7599791B2 (en) Spot searching device, navigation apparatus, spot searching method, spot searching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spot searching program
EP1300821A2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map image
DE102012024171A1 (de) Minikartenabstimmung für Navigationssysteme
CA1219076A (en) Automotive navigation system
US20030154021A1 (en) Method for obtaining a map representation, and a navigation device
US58976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ng mobile body using bird's eye view on display screen
KR100195018B1 (ko) 수치지도 형상데이터 합성시 그 명칭 처리방법
CN112509453B (zh) 基于移动设备的景区实景导览图电子化导览方法及系统
KR100194925B1 (ko) 수치지도 형상 데이터 간소화 방법
JP2925358B2 (ja) 宅地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0183288B1 (ko) 타국언어 정보제공을 위한 네비게이션장치 및 그 방법
JPH073183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地図表示方法
KR100554881B1 (ko)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한 도보용 지도 데이터의 실시간업데이트 방법
KR100213758B1 (ko) 차량항법시스템의 지도화면표시방법
Bilker et al. GPS supported Aerial Triangulation using untargeted ground control
JP2005077569A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プログラム
JPH11353381A (ja) 旅行計画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