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611B1 -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611B1
KR100194611B1 KR1019960056555A KR19960056555A KR100194611B1 KR 100194611 B1 KR100194611 B1 KR 100194611B1 KR 1019960056555 A KR1019960056555 A KR 1019960056555A KR 19960056555 A KR19960056555 A KR 19960056555A KR 100194611 B1 KR100194611 B1 KR 10019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less
congestion
virtual channel
server
connectionles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755A (ko
Inventor
박천관
전병천
김영선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5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61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611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이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채널 또는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상에서 폭주되었을 때에 폭주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목적은 비연결형 서버와 비연결형 가입자 사이 또는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링크단위의 ABR 궤환루프와 폭주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비연결형 서버에서 두 가지의 폭주를 모두 해결하여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 채널의 큐의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채널의 큐의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폭주상태 테이블에서 입력 가상채널 번호들이 해당하는 엔트리에 대하여 폭주상태 표시를 없앤다. 비연결형 서버의 제어 가상채널의 큐의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큐에 입력되는 CLNAP-PDU의 입력 가상채널 번호를 폭주상태 테이블에 저장한다. 폭주가 일어난 출력 가상채널로 입력되는 입력 가상채널 번호들에 해당하는 위치에 폭주상태를 표시한다. 폭주상태 테이블에 특정 출력 가상채널 번호가 하나라도 씌여지면 이에 해당하는 입력 가상채널로 입력되는 셀을 폭주상태로 표시하여 궤환시킨다. 폭주가 해제되면, 폭주가 해제된 것을 폭주상태 테이블에 표시함으로써 폭주를 제어한다.

Description

ABR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제어 방법
본 발명은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이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채널 또는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 상에서의 폭주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 포럼과 ITU-T에는 ABR(Available Bit Rate) 서비스와 UBR(Unspecified Bit Rate) 서비스가 정의되어 있다. LAN 트래픽(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과 같이 버스트성이 크고 가변적인 특성을 갖는 트래픽에 대하여 ABR 서비스와 UBR서비스를 적용하여 망에 존재하는 여분의 대역폭을 최대한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ATM 망에 폭주가 발생하면 다수의 패킷을 재전송하여야 하기 때문에, ABR 서비스는 망의 폭주에 의한 셀 손실을 방지하고 최소한의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궤환을 통한 반응적인 폭주제어 방식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제1도는 ATM 망에서의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일반적인 망의 구성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ATM 망에서의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일반적인 망의 구성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망(100)은 ATM 교환기능(11O)과 비연결형 서버(Connectionless Server)(120)를 가지는데, ATM 교환기능(110)은 ATM 교환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연동장치(InterWorking Unit)(211,221,231)는 사용자 망 인터폐이스(User Network Interface, 이하 UNI라고 약칭함)를 통하여 ATM 망(100)과 접속되고, ATM 망(100)의 가상연결을 통하여 비연결형 서버(120)와 일대일로 접속된다. 망(212,222,232)은 다수의 LAN(Local Area Network)들로 구성되는태, 각각의 LAN은 연동장치(211,221,231)에 접속된다.
LAN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은 연동장치(211,221,231)와 비연결형 서버(120) 사이에 설정된 가상연결을 통하여 다른 LAN으로 전달된다. 즉, 연동장치(211,221,231)가 LAN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연동장치(211,221,231)와 비연결형 서버(120) 사이에 설정된 가상연결을 통하여 비연결형 서버(120)로 전달하는 것이다. 비연결형 서버(120)는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비연결형 태이터 트래픽의 목적지 주소값에 따라 라우팅을 수행한다. 이때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가입자는 데이터를 비연결형 망접근 프로토콜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ConnectionLess Network Access Protocol- Protocol Data Unit, 이하 CLNAP-PDU로 약칭함)로 캡슐화(capsulization)하여 비연결형 서버(120)로 전달하며, 비연결형 서버(120)에서는 CLNAP-PDU에 있는 목적지 주소값에 따라 라우팅을 수행한다.
ATM 망은 다양한 응용을 수용하기 때문에 비연결형 서버간의 물리링크상에는 CBR, VBR, ABR 트래픽이 혼합되어 있다. 이 트래픽중 ABR서비스 부류에 속하는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은 MCR(Minimum Cell Rate)를 통하여 망으로부터 최소 대역폭만 보장받고 CBR과 rt-VBR(real time-VBR)이 사용하지 않는 여분의 대역폭을 이용한다. 그 때문에, CBR과 rt-VBR트래픽이 증가하면 비연결형 링크상에 여분의 대역폭이 줄어들어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에 할당되는 대역폭 감소로 인하여 비연결형 링크상에서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이 폭주된다. 그리고 비연결형 계층 폭주는 비연결형 테이터 트레픽이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로 집중되어 링크의 대역폭보다 많은 트래픽이 입력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종래의 폭주제어 방법들과 그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만 소개한다.
첫째로, 주로 LAN간 연동을 위한 비연결형 데이터그램을 지원하는 종래의 SMDS(Switched Multimegabit Data Service)는 망에서 폭주를 피하기 위하여 SIR(Sustained Information Rate)이라 하는 개루프 흐름제어(Open Loop Control)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 메커니즘은 일종의 속도시행 방법(Rate Enforcement Method)인 크레딧 매니저(Credit manager, or leaky bucket)를 이용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이다. 이는 SIR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도착하는 데이터를 송신측(originating) SMDS 스위치에서 폐기하는 메커니즘이다. 그러나 이것은 망입구에서 입력 트래픽에 대한 흐름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망 입구에서 흐름제어를 통과한 입력 트래픽이 망 내에서 특정 출력채널로 집중되어 폭주가 발생하면 손실없이 그 폭주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로, ITU-T에서 정의된 종래의 CBDS(Connectionless Broadband Data Service)도 망에서 폭주를 피하기 위하여 SMDS와 같이 입력 트래픽을 제한하는 개루프 흐름제어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것도 SMDS와 마찬가지로 망 입구에서 입력 트래픽에 대한 흐롬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망 입구에서 흐름 제어를 통과한 입력 트래픽이 망 내에서 특정 출력 가상채널로 집중되어 폭주가 발생하면 개루프 흐름제어로 손실없이 그 폭주를 해결할 수 없으며 최악의 경우에 망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 ATM 망에서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연결형 서버를 사용한 구조에서 비연결형 트래픽의 폭주를 피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ATM 포럼에서 채택된 PRCA(Propotional Rate Control Algorithm)을 적용한 방법이다. 이는 중간에 있는 비연결형 서버에 폭주가 발생하면 비연결형 서버가 폭주제어에 관여하지 않고 단지 폭주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RM(Resource Management)셀에 표시하여 목적지로 전달하는 것이다. 목적지에서는 수신되는 RM 셀에 폭주상태가 표시되어 있으면 RM 셀을 궤환시켜 송신측으로 폭주상태를 알린다. 이것은 폭주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종단에 있는 목적지에서 RM 셀을 송신원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폭주에 반응하는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연결형 서버와 비연결형 가입자 사이 또는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링크단위의 ABR 궤환루프와 폭주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비연결형 서버에서 두 가지의 폭주를 모두 해결하여 비연결형 테이터 트래픽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ATM 망 내에 다수의 비연결형 서버가 존재하고 비연결형 서버와 비연결형 서버 사이 또는 비연결형 서버와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가입자 사이가 ATM 망의 가상연결로 연결되어 있고 비연결형 서버가 다수의 출력 가상채널로 구성된 비연결형 망에서의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제어 방법에 있어서,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채널의 큐의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상기 출력 가상채널의 상기 큐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폭주상태 태이블에서 입력 가상채널 번호들에 해당하는 엔트리에 대하여 폭주상태 표시를 없애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상기 출력가상채널의 상기 큐의 길이가 상기 입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큐에 입력되는 CLNAP-PDU의 입력 가상채널 번호를 폭주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폭주가 일어난 출력 가상채널로 입력되는 입력 가상채널 번호들에 해당하는 위치에 폭주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폭주상태 테이블에 특정 출력 가상채널 번호가 하나라도 씌여지면 이에 해당하는 입력 가상채널로 입력되는 셀을 폭주상태로 표시하여 궤환시키는 단계와 및 폭주가 해제되면, 폭주가 해제된 것을 폭주상태 테이블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폐루프 폭주제어(Closed-Loop Congestion Control)는 망의 상태를 송신원으로 궤환시켜 송신원이 궤환된 정보에 따라 자신의 전송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일다. 그래서, ABR 서비스가 지향하는 셀 손실의 최소화라는 목표는 폐루프 폭주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폐루프 폭주제어 메커니즘을 ABR 서비스에 속하는 비연결형 테이터 트래픽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M망에서 CBDS를 제공하기 위한 비연결형 망은 데이터그램을 적당한 가상링크로 라우팅해 주는 비연결형 서버들, 그리고 비연결형 가입자와 비연결형 서버 사이 또는 비연결형 서버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가상링크들로 구성된다. CBDS는 비실시간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적당하기 때문에 비연결형 중첩망의 가상링크는 ATM 망의ABR 접속을 이용할 것이다. 이때에 비연결형 가입자와 비연결형 서버는 ABR 연결의 종단점이 된다. 이런 구성하에서 비연결형 트래픽이 폭주가 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비연결형 서버간 연결된 비연결형 중첩망의 링크 상에서 ABR 트래픽은 CBR, VBR 트래픽이 사용하지 않는 여분의 대역폭을 이용하는 경우로서, ABR트래픽에 할당된 대역폭이 감소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이 비연결형 서버 내의 하나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로 집중되는 경우이다.
위와 같은 두 가지 폭주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연결형 서버가 항상 ABR연결의 종단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ABR 궤환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가입자와 비연결형 서버간 또는 비연결형 서버간 궤환루프를 형성시킨다. 이 루프상에서 송신측에서는 RM 셀을 수신측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해당 RM 셀에 망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실어 송신측으로 되돌려 보낸다. 그와 같은 궤환루프와 RM 셀을 이용하여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상 폭주와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채널의 폭주를 다음과 같이 해결할 수 있다.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 폭주인 경우에는 폭주 지점에서 순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셀의 EFCI(Explicit Forward Congestion Indication) 비트를 폭주상태로 세트하여 전송하므로, 비연결형 서버로 입력되는 데이터 셀의 EFCI 비트가 폭주상태로 셋트된 경우에 해당 데이터 셀의 송신원으로 ABR 궤한 루프를 통하여 궤환되는 RM 셀에 폭주상태를 표시하여 송신원인 자신의 전송속도를 조절하도륵 하여 해결한다. 그리고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이 폭주가 된 경우에는 비연결형 서버에서의 라우팅은 CLNAP-PDU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에 따라 수행되기 때문에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에 폭주를 유발한 CLNAP-PDU의 송신원 주소로 궤환되는 RM 셀 내의 폭주상태를 표시하여 되돌려 보냄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BR궤환루프와 그에 따른 폭주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의 폭주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궤환루프가 펄요없으며, ABR 궤환루프만으로 두 가지 폭주를 비연결형 서버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제1도는 ATM 망에서의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일반적인 망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연결형 서버가 연결된 ATM스위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연결형 중첩 망에서의 궤환루프의 구성도.
제4도는 송신측 비연결형 가입자와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구성도.
제5도는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상태 테이블의 구성도.
제6도는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와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구성도.
제7도는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와 수신측 비연결형 가입자 사이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ATM 망 110 : ATM 교환기능
120 : 비연결형 서버 121 :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
122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 130 : ATM 스위치
131 : 출력포트 141,142,143 : ABR 폭주제어 루프
211,221,231 : 연동장치 212,222,232 : LAN
310 : 송신 비연결형 가입자 330 :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
410,470 : 속도제어 기능 420 :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RM 셀 궤환기능
430 :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EFCI 비트 및 RM 셀 검색기능
440 :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라우팅 기능
450 :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입력 가상채널 검색기능
460 : 출력 가상채널 461 :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제어 가상채널
462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채널
480 :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상태 테이블
481 : 출력 가상채널 번호 482 : 입력 가상채널 번호
490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상태 테이블
510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RM 셀 궤환기능
520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RM 셀 검색기능
530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라우팅 기능
540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송신주소 검색기능
550 :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속도제어 기능
610 :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의 EFCI 비트 검색 및 RM 셀 검색기능
620 :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의 RM 셀 궤환기능
630 :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의 출력포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를 상세히 설명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연결형 서버가 연결된 ATM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연결형 서버가 연결된 ATM 스위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연결형 서버(120)는 다수의 ATM 스위치(130)로 구성된 ATM 망(100)에서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장치이다. 이는 연동장치(211)을 통하여 입력된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의 목적지 주소값에 따라 목적지 연동장치(211,311,411) 또는 다른 비연결형 서버(120)로 전달하는 어드레싱 및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주로 공유매체를 사용하는 LAN에서 발생되는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은 연동장치(211,311,411)에서 CLNAP-PDU 포맷으로 변환된다. 그런 후,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은 ATM 셀화되어 비연결형 서버(120)로 전달된다. 비연결형 서버(120)는 다수의 출력 가상채널과 그에 따른 큐를 가지고 있다. 또한, CLNAP-PDU의 E.164 형태의 목적지 주소간에 따라 비연결형 서버(120)는 가상연결을 통하여 트래픽을 목적지로 전달한다. 셀 단위로 처리하는 비연결형 서버(120)는 목적지 주소값에 따라 셀이 출력될 가상채널 번호(VPI/VCI) 값과 해당 가상연결에서 사용할 수 있는 MID(Multiplexing Identifier) 값을 결정한다. 그 후에 비연결형 서버(120)는 가상채널 번호 값과 MID 값으로 해당 CLNAP-PDU를 구성하는 셀들의 VPI/VCI/MID 값을 변환시킨다. 목적지 주소값은 CLNAP-PDU의 첫 번째 셀인 BOM(Beginning Of Message) 또는 SSM(Single Segment Message) 셀에 포함되어 있다. 즉,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은 비연결형 서버(120)에서 어드레싱과 라우팅 기능에 의하여 비연결형 서버(120)의 출력 가상채널을 거친 후에 ATM 스위치(130)의 출력포트를 통하여 해당 목적지로 향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연결형 중첩 망에서의 궤환루프의 구성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연결형 중첩 망에서 폭주제어를 위한 링크-바이-링크 루프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연결형 서버(121,122)는 항상 ATM 계층 가상연결의 종단이 된다. 그래서, 이웃한 비연결형 서버(121)와 비연결형 서버(121) 사이 또는 비연결형 가입자(310,320)와 비연결형 서버(121,122) 사이에 비연결형 서버(121,122)의 출력 가상채널의 폭주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ATM 계층의 ABR 궤환루프가 이용된다. 송수신 비연결형 가입자(310,320) 사이에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 전달경로 상에 3종류의 궤환루프로 형성되는 것을 보여 준다. 첫 번째로는 비연결형 접근 인터페이스(Connectionless Access Interface)를 통하여 송신 비연결형 가입자(310)와 송신측(Originating) 비연결형 서버(121) 사이에 형성되는 ABR 폭주제어 루프(141)가 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비연결형 망 인터페이스(Connectionlesss Network Interface)를 통하여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와 수신측(Terminating) 비연결형 서버(122) 사이에 형성되는 ABR 폭주제어 루프(142)가 있다. 끝으로, 세 번째로는 비연결형 접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와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320) 사이에 형성되는 ABR 폭주제어 루프(143)가 있다. 이런 구성은 3개의 링크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 비연결형 가입자(310)와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320) 사이에 형성되는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 경로에 존재하는 비연결형 서버(121,122)의 수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다. 이처럼 링크 단위 궤환루프를 형성하고 각 릭크의 송신측에서는 RM 셀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얘서는 궤환루프를 통하여 해당 RM 셀을 송신측으로 되돌려 보낸다. 이때 수신측에서는 궤환되는 RM 셀에 망의 상태정보를 실어 보낸다. 그러므로 비연결형 서버(121,122)에서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링크상의 폭주와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의 폭주제어를 링크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제4도는 송신측 비연결형 가입자와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구성도이다. 제4도를 참조하여, 송신측 비연결형 가입자와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BR 폭주제어 루프(141)는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와 송신 비연결형 가입자(310)간의 루프이다.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는 CLNAP-PDU의 목적지 주소에 따른 라우팅 기능(440)에 의하여 출력 가상채널(461)을 통하여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을 다른 비연결형 서버(121) 또는 연동장치(211)로 전달해 준다. RM 셀 궤환기능(430)은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상에서 또는 비연결형 서버(121)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461)에서 폭주가 일어났을 때 RM 셀에 망의 상태를 실어 폭주를 유발시키고 있는 송신원으로 되돌려 전송한다.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 폭주 발생시에는 링크 상에서 데이터 셀의 EPCI 비트가 폭주상태로 표시되어 비연결형 서버(120)로 입력되는 데이터 셀을 말한다. EPCI 비트가 폭주상태로 표시된 비연결형 데이터 트래픽과 송신측에선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RM 셀은 EPCI 비트 및 RM 셀 검색기능(430)에 의하여 검출되며, RM 셀 궤환기능(420)을 통하여 해당 송신원으로 RM 셀에 폭주상태를 실어 전송한다. RM 셀을 궤환시키는 비연결형 서버(120)의 동작은 표준 ABR 수신단 동작에 준하며 두 가지 폭주상황에 통일하게 동작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폭주상태를 표시하는 RM 셀을 수신한 송신원(310)은 속도제어 기능(410)을 통하여 자신의 전송속도를 조절한다. 이 구성에서 송신원에 해당하는 비연결형 가입자(211) 또는 비연결형 서버(12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송신원의 전송속도(Allowed Cell Rate)는 망에서 보장해 주는 최소 전송속도(Minimum Cell Rate)와 해당 링크상의 최대 전송속도(Peak Cell Rate) 사이에 있다. 초기화를 수행할 때에 송신원의 전송속도는 초기 전송속도(Initial Cell Rate)로 셋트된다. 그리고 데이터 셀을 전송하기 전에 첫 RM 셀을 전송한다. RM 셀 전송 후 데이터 셀을 최소 Nrm(기본적으로 2임) 전송한 후, 또는 RM 셀간 최소 Trm시간(기본적으로 100ms임)이 경과된 후, 또는 RM 셀간 Nrm-1(기본적으로 31임)개의 데이터 셀을 전송한 후 RM 셀을 전송한다. 송신원이 속도제어 기능(410)을 통하여 자신의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경우는 첫 번째로 송신원이 아이들(idle)해져서 RM 셀 전송후 경과된 시간 T TOP x Nrm / [송신원읜 전송속도] (TOF는 기본적으로 2, Nrm은 기본적으로 32임)이다. 송신원의 전송속도가 초기 전송속도보다 큰 경우에는 송신원의전송속도를 감소시킨다. 두 번째는 목적지로부터 RM 셀이 궤환되지 않는 경우로서 송신원에서 목적지로 Xrm개의 순방향 RM 셀을 전송하여도 어떠한 역방향 RM 셀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송신원은 자신의 전송속도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세 번째로 목적지로 부터 역방향 RM 셀을 수신한 경우로서 RM 셀의 CI 비트가 1로 되어있는 경우에 이것은 동일 링크상의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포드(461)가 폭주된 것이기 메문에 자신의 전송속도를 감소시키고, 역방향 RM 셀의 CI 비트가 O이고 NI(No Increase) 비트가 0인 경우에 자신의 전송속도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동일 링크상의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포드(461)의 폭주상태가 해제된 것이다. 그리고 역방향 RM 셀의 CI 비트가 0이고 NI 비트가 1인 경우에 현재 전송속도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위와 같이 송신원이 자신의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일반적인 ABR송신원의 동작이며 두 가지 폭주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비연결형 서버(120) 폭주는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46l)이 폭주되는 경우로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461)의 큐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비연결형 서버로 CLNAP-PDU가 입력되는 입력 가상채널 번호는 입력 가상채널 검색기능(450)에 의하여 검색되어 폭주상태 테이블(480)에 저장된다. 출력 가상채널(461)의 큐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큐로 입력되는 CLNAP-PDU의 입력 가상채널 번호들에 해당하는 위치에 폭주상태를 표시하고 폭주가 해제되면 해당 위치에 폭주 없음을 표시한다. 이 동작을 통하여 폭주상태 태이블(480)상의 임의의 열에 폭주상태를 표시하는 엔트리가 하나라도 있으면 해당 입력 가상채널(482)로 입력되는 RM 셀의 CI 비트를 세트하여 RM 셀 궤환기능(420)을 통하여 궤환시키며 RM 셀 궤환기능(420)은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상의 폭주인 경우과 동일하다.
제5도는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상태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제5도를 참조하여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상태 테이블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폭주상태 테이블(480)은 비연결형 서버(120)의 각 출력 가상채널(460)의 폭주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테이블에서 Pn은 비연결형 서버의 출력 가상채널 번호(481)이고, Sn은 비연결형 서버로 CLNAP-PDU가 입력되는 입력 가상채널 번호(482)이다. 비연결형 서버의 어떠한 출력 가상채널도 폭주되지 않으면, 폭주상태 테이블의 출력 가상채널에 해당하는 모든 열의 엔트리는 폭주없음을 표시한다. 비연결형 서버(120)의 출력 가상채널(46)의 큐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폭주가 일어난 경우에는 CLNAP-PDU에 폭주가 일어난 출력 가상채널(460)을 통과할 때마다 그 출력 가상채널(460)을 통과하는 입력 가상채널 번호(482)에 해당하는 모든 위치에 폭주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해당 출력 가상채널(460)의 폭주가 해재되면 해당 출력 가상채널번호(481)에 해당하는 열(폭주를 유발할 수 있는 입력 가상채널 번호)의 모든 엔트리는 폭주없음을 나타낸다. 이 동작을 통하여 폭주상태 테이블(480)상의 임의의 열에 폭주상태를 표시한 것이 하나라도 있으면 해당 입력 가상채널(482)로 입력되는 RM 셀의 CI 비트를 세트하여 RM 셀 궤환기능(420)을 통하여 해당 송신원으로 전송한다.
제6도는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와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구성도이다. 제6도를 참조하여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와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 사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와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간에 형성된 폭주제어루프(142)를 보여 준다.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에서의 RM 셀 궤환기능(510)은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의 RM 셀 궤환기능(4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의 EFCI 비트 및 RM 셀 검색기능(520)는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의 EFCI 비트 및 RM 셀 검색기능(430)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의 라우팅 기능(530)은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의 라우팅 기능(440)과 동일하며,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의 송신주소 검색기능(540)은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외 송신주소 검색기능(450)과 동일하다.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와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 사이의 폭주제어 방법은 제4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 이외의 폭주제어를 위한 기능과 속도제어 기능(550)도 모두 제4도의 설명과 동일하다.
제7도는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와 수신측 비연결형 가입자 사이의 구성도이다. 제7도를 참고하여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와 수신측 비연결형 가입자 사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와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320) 사이에 형성되는 폭주제어 루프(143)를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의 전송기능은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와 동일하다.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320)는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와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320)간의 가상접속의 폭주상태를 궤환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인 ABR 수신단 동작과 같은 RM 셀 궤환기능(620)을 수행하며 송신측 비연결형 서버(121)와 수신축 비연결형 서버(122)에서의 RM 셀 궤환기능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수신측 비연결형 서버(122)과 수신 비연결형 가입자(320)간 형성된 폭주제어 루프(143)는 일반적인 ABR 폭주제어 루프를 형성한다. 이 루프를 통하여 EFCI 비트 검색 및 RM 셀 검색기능(610)과 RM 셀 궤환기능(620)을 통하여 비연결형 링크폭주와 수신 가입자의 출력포트(630)가 폭주된 경우를 수신측 비연결형 가입자(122)에서 처리한다.
본 발명은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의 폭주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궤환루프를 필요로하지 않고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 폭주제어를 위한 ABR 궤환루프를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현이 용이하며, ABR 궤환루프를 이용하여 비연결형 링크폭주와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가상 출력채널의 폭주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대에 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연결형 가입자와 비연결형 서버간의 또는 비연결형 서버간의 궤환루프를 이용하여 루프단위로 폭주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폭주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데에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폐루프 제어기능을 사용하여 망의 상태에 따라 송신원의 전송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븐 발명은 비연결형 서버의 특정 출력 가상채널의 폭주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폭주제어 루우프를 구성하지 않고 비연결형 서버간 링크상의 폭주제어를 위한 ABR 궤환루프와 그에 따른 트래픽 제어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두 가지 폭주를 비연결형 서버에서 모두 처리할 수 있다는 데에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ATM 망 내에 다수의 비연결형 서버가 존재하고 비연결형 서버와 비연결형 서버 사이 또는 비연결형 서버와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 가입자 사이가 ATM 망의 가상연결로 연결되어 있고 비연결형 서버가 다수의 출력 가상채널로 구성된 비연결형 망에서의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상기 출력 가상채널의 큐의 길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상기 출력 가상채널의 상기 큐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폭주상태 테이블에서 입력 가상채널 번호들에 해당하는 엔트리에 대하여 폭주상태 표시를 없애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상기 출력 가상채널의 상기 큐의 길이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큐에 입력되는 비연결형 망접근 프로토콜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의 상기 입력 가상채널 번호를 상기 폭주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폭주가 일어난 출력 가상채널로 입력되는 입력 가상채널 번호들에 해당하는 위치에 폭주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폭주상태 테이블에 특정 출력 가상채널 번호가 하나라도 씌여지면 이에 해당하는 입력 가상채널로 입력되는 셀을 폭주상태로 표시하여 궤환시키는 단계; 및 폭주가 해제되면, 폭주가 해제된 것을 상기 폭주상태 테이블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R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외 폭주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폭주상태 표시를 없애는 단계에서, 상기 폭주상태 테이블에서 상기 비연결형 서버의 어느 출력 가상채널도 폭주가 되지 않으면 상기 폭주상태 테이블에 있는 해당 출력 가상채널의 앤트리는 모두 폭주없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R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가상채널 번호를 상기 폭주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연결형 망접근 프로토를 -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가 폭주가 발생한 상기 출력 가상채널을 통과할 때마다 폭주에 관여한 상기 입력 가상채널 번호에 해당하는 엔트리를 폭주가 있음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제어 방법.
KR1019960056555A 1996-11-22 1996-11-22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 제어 방법 KR10019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55A KR100194611B1 (ko) 1996-11-22 1996-11-22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6555A KR100194611B1 (ko) 1996-11-22 1996-11-22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55A KR19980037755A (ko) 1998-08-05
KR100194611B1 true KR100194611B1 (ko) 1999-06-15

Family

ID=6632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6555A KR100194611B1 (ko) 1996-11-22 1996-11-22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6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55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3981A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network incorporating virtual channels exchange nodes and virtual paths exchange nodes
US6512745B1 (en) Packet switching network, packet switching equipment, and network management equipment
AU752671B2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system
US6009097A (en) System for routing packet switched traffic
US6587437B1 (en) ER information acceleration in ABR traffic
US6967927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flows over an ATM network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2239133C (en) Multicast methodology and apparatus for backpressure - based switching fabric
WO1997035407A1 (en) Atm traffic management device
JPH09205441A (ja) パケット交換機およびセル転送制御方法
Muddu et al. Max-min rate control algorithm for available bit rate service in atm networks
JPH10322367A (ja) Mbeaを利用したatmネットワークのユーザトラフィック制御装置
EP0884923B1 (en) Packet switching network, packet switching equipment, and network management equipment
EP0481447B1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network incorporating virtual channels exchange nodes and virtual paths exchange nodes, and the said communication network
KR100194611B1 (ko) Abr 루프를 이용한 비연결형 서버의 폭주 제어 방법
JP3214450B2 (ja) Atm加入者通信網における代理呼制御装置
Cisco ATM Commands for the LightStream 1010 ATM Switch
Cisco ATM Commands for the LightStream 1010 ATM Switch
Cisco ATM Commands for the LightStream 1010 ATM Switch
Cisco ATM Commands for the LightStream 1010 ATM Switch
Cisco ATM Commands for the LightStream 1010 ATM Switch
Cisco ATM Commands for the LightStream 1010 ATM Switch
Cisco ATM Commands for LightStream 1010 ATM Switch
KR100198443B1 (ko) Atm망에서 비연결형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폭주 제어방법
AU2211600A (en) Mechanis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atm connections between exchanges
JP3097549B2 (ja) Atm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