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936B1 -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936B1
KR100193936B1 KR1019960037424A KR19960037424A KR100193936B1 KR 100193936 B1 KR100193936 B1 KR 100193936B1 KR 1019960037424 A KR1019960037424 A KR 1019960037424A KR 19960037424 A KR19960037424 A KR 19960037424A KR 100193936 B1 KR100193936 B1 KR 10019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ushing
rotor
motor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631A (ko
Inventor
이기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9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936B1/ko

Links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블레이드를 가지는 부싱을 샤프트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기류를 이상적으로 형성하여 장시간의 운전으로 인한 전동기의 열화를 방지한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자, 이 회전자의 주위에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하여 샤프트 상에 설최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는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그 일측에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회전자는, 그 일측에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공기를 전동기 내부로 흡입할 때에 전동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하여 장시간 운전할 경우에도 전동기의 열화가 없는 우수한 냉각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본 발명은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레이드를 가지는 부싱을 샤프트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기류를 이상적으로 형성하여 장시간의 운전으로 인한 전동기의 열화를 방지한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의 부싱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전동기의 회전자(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회전자(10)의 양측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블레이드(12)는 상기 회전자(10)의 성형 시에 함께 성형된다.
제2도는 종래의 회전자 블레이드에 의한 전동기의 냉각기류 흐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부호 50은 부싱이다. 이 부싱(50)은 전동기 커버(40)와 상기 회전자(10) 사이에 설치되어 이 회전자(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회전자(10)의 블레이드(12)에 의한 전동기 내부의 공기 흐름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블레이드(12)가 회전하고 이 블레이드(12)가 일으키는 바람은, 전동기(100) 양측의 개방부를 통하여 외기를 흡입하여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기(100)의 상하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전동기(100) 내부의 열 상승을 억제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구조의 전동기(100)에서는, 회전자(10) 양측에 형성된 블레이드(12)에 의하여 외기가 전동기(100) 내부로 동시에 흡입될 때에, 그 흡입량은 양측부에서 동일하게 되고, 따라서 도입된 공기는 서로 밀어내어 상기 회전자(10)와 고정자(20)부분에는 냉각공기의 흐름이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효율이 저하하게 되고, 또 단순히 블레이드(12) 만에 의한 외기의 흡입-배출 과정을 거치는 것이므로 그 냉각효율은 기대치 이하로 저하되어, 대형 전동기의 경우, 장시간 운전을 하는 때에는 내부가 과열되어 상기 회전자(10)와 고정가(20)가 눌러 붙거나 심한 경우 타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동기에 장착되는 부싱에 블레이드를 일체성형하여 적극적으로 외기를 도입하여 냉각효율을 높임으로서 장시간 운전에 의한 전동기의 열화에 견딜 수 있는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전동기 회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회전자 블레이드에 의한 전동기의 냉각기류 흐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부싱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에 적용되는 회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의 냉각기류 흐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자 12,52 : 블레이드
20 : 고정자 30 : 샤프트
40 : 전동기 커버 50 : 부싱
54 : 연결관 56 : 보스부
100 : 전동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자, 이 회전자의 주위에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하여 샤프트 상에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는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그 일측에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회전자는, 그 일측에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이루는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는 원판 형상의 연결판에 의하여 각각의 블레이드가 연결성형 되는 구조인 것이 좋고, 상기 부싱은, 그 길이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된 보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는, 종래의 단순기능의 부싱이 아닌, 블레이드를 가지는 부싱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외부공기를 전동기 내부로 흡입할 때에 전동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전동기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기의 블레이드 부착형 부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설명과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부싱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불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에 적용되는 회전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52는 상기 부싱(50)과 일체 형성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나타낸다. 이 블레이드(52)는 각 블레이드(52)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원판 형상의 연결판(54)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부싱(50)의 보스부(56)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부싱(50) 자체의 강도를 향상하고 있다.
또, 상기 회전자(10)의 블레이드(12)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부싱(50)의 블레이드(5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의 냉각기류 흐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기의 블레이드 부착형 부싱은, 그 공기의 흐름이 일측으로(도면상에서는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즉, 상기 부싱(50)이 설치된 쪽에는 블레이드(52)에 의하여,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를 전동기(100) 내로 강하게 흡입하게 된다. 즉, 도면에서 좌측의 개방부를 통하여 들어온 외기는 상기 블레이드(52)에 의하여 강하게 우측으로 끌리어 흡입되면서 상기 회전자(10) 및 고정자(20) 사이를 통과할 때에 열교환되어 이들을 냉각시키고 우측의 상하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은 상기 회전자(10) 및 고정자(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에 의하여 그 냉각효율은 우수하다.
상술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동기의 블레이드 부착형 부싱에 의하면, 단순기능의 부싱이 아니고 블레이드를 가지는 부싱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외부공기를 전동기 내부로 흡입할 때에 전동기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전동기의 회전자 및 고정자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운전할 경우에도 전동기의 열화가 없는 우수한 냉각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블레이드가 형성된 회전자, 이 회전자의 주위에 설치되는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하여 샤프트 상에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는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그 일측에 다수 개의 블레이드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회전자는, 그 일측에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원판 형상의 연결판에 의하여 각각의 블레이드가 연결성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그 길이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된 보스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KR1019960037424A 1996-08-31 1996-08-31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KR10019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424A KR100193936B1 (ko) 1996-08-31 1996-08-31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424A KR100193936B1 (ko) 1996-08-31 1996-08-31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631A KR19980017631A (ko) 1998-06-05
KR100193936B1 true KR100193936B1 (ko) 1999-06-15

Family

ID=6632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424A KR100193936B1 (ko) 1996-08-31 1996-08-31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9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00B1 (ko) 2012-12-13 2014-06-19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모터발열 냉각장치
KR101407999B1 (ko) 2012-11-14 2014-06-19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모터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638B1 (ko) * 2012-09-27 2012-12-12 우현범 냉각 기능을 갖는 전기 자동차용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99B1 (ko) 2012-11-14 2014-06-19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모터 냉각장치
KR101408000B1 (ko) 2012-12-13 2014-06-19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모터발열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63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305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ntilating electric machines
US7345386B2 (en) Electric drive unit
EP0823554B1 (en) Ceiling fan motor
EP0488961B1 (en) A fan,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JP4099458B2 (ja) 静翼を含む遠心ファン
JP3968084B2 (ja) 放熱装置およびそのモーター構造
JP2006033932A (ja) 車両用電動送風ファン装置
KR100193936B1 (ko) 블레이드 부싱형 전동기
KR100378034B1 (ko) 전동송풍기
US20200036262A1 (en) Electric motor having improved motor cooling for driving a fan
KR100664296B1 (ko) 방열장치를 구비한 청소기용 모터
KR200205488Y1 (ko) 모터용 냉각 팬
KR100912524B1 (ko) 브러시리스 모터 조립체
JP2008503198A (ja) アウターロータと内蔵された空冷式の電子回路とを有する電動機
JP2650384B2 (ja) 電動機
KR102630125B1 (ko) 쿨링팬 조립체
CN213817504U (zh) 一种放置ptc元件的电机端盖和风扇冷却结构
KR100573342B1 (ko) 전동기의 블레이드 분리식 냉각팬
KR200167172Y1 (ko) 전동기의 냉각구조
SU1115169A1 (ru) Индукторный генератор
KR100273365B1 (ko) 냉각팬 내장형 유도전동기
NO20211451A1 (en) Electric motor with integrated cooling
JPH10136611A (ja) 電動工具
KR100411139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
JP2515001B2 (ja) 電動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