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285B1 - Portable device to insert character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to insert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285B1
KR100191285B1 KR1019960003340A KR19960003340A KR100191285B1 KR 100191285 B1 KR100191285 B1 KR 100191285B1 KR 1019960003340 A KR1019960003340 A KR 1019960003340A KR 19960003340 A KR19960003340 A KR 19960003340A KR 100191285 B1 KR100191285 B1 KR 10019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output
input
ly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63030A (en
Inventor
제리최
Original Assignee
제리최
나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리최, 나스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리최
Priority to KR101996000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285B1/en
Publication of KR97006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0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2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 G10H2210/011Fill-in added to normal accompaniment patter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음악 연주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선곡된 가사를 액정표시기에 표시하는 동시에 가사를 포함한 배경화면을 무선으로 송출하여 별도의 영상기기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자막기에 관한 것으로, 곡 선택에 따른 데이터는 입력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 읽기/쓰기 신호, 데이터 신호, 인에이블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선택된 곡의 가사에 해당하는 자막의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액정 판넬로 세그먼트 신호를 출력하여 가사를 문자 표시하도록 하는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가사에 해당하는 자막데이타와 배경이 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색신호 처리를 하여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신호와 동기를 일치시켜 자막이 포함된 배경화면을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송출하여 외부 영상기기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가사의 내용 및 외부 비디오신호, 내부영상신호의 배경화면을 선택적으로 볼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ubtitle device for displaying a selected lyrics on a liquid crystal display while using a portable music play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background screen including the lyrics to be viewed through a separate video device. According to the data, the address signal, the read / write signal, the data signal, and the enable signal are respectively input from the input microprocessor, and the segment signal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by the subtitle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yrics of the selected song.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text, the subtitle data corresponding to the lyrics and the image data of the background are input from the microprocessor, and the color signal is processed to synchronize with the video inpu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External video transmitter by wireless transmission By outputting through the device, you can selectively view the contents of the lyrics and the background image of the external video signal and the internal video signal.

Description

휴대용 자막기Portable subtitler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 및 액정표시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비디오신호 출력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signal outpu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마이크로 프로세서 7,8 : 액정 구동부1: microprocessor 7,8: liquid crystal drive unit

10 : RGB 구동기 17 : 동기 신호 분리기10: RGB driver 17: sync signal separator

20 : RGB 엔코더 23 : 비디오 모듈레이터20: RGB Encoder 23: Video Modulator

본 발명은 휴대용 자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기기인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선곡된 가사를 액정표시기에 표시하는 동시에 배경 화면과 가사에 해당하는 영상신호의 합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별도의 영상기기를 통하여 배경화면과 가사 및 음성을 시청할 수 있도록한 휴대용 자막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ubtitle device. In particular, in using a portable music player, which is a separate device, the selected lyrics are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by wirelessly transmitting a composite signal of a background image and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yrics. It relates to a portable subtitler that allows you to watch the wallpaper, lyrics and voice through the video device of.

주지된 바와같이 음악 연주 장치는 일명 가라오케(Kraoke)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면 해당 음악의 반주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마이크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면 상기의 반주음과 노래의 가사를 혼합하여 출력하도록함으로써 사용자가 흥겨웁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is well known, the music player is also called karaoke,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music, the accompaniment of the music is output. When the user sings using a microphone, the accompaniment sound and the lyrics of the song are recorded. By mixing the output, the user can enjoy it.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8476호 및 제 93-27504호에 상기 음악 연주 장치를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이는 내장된 롬에 많은 곡의 반주음을 수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곡의 번호를 선택하면 롬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해당 곡의 반주에 해당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무선으로 출력하여 일반 음향기기의 안테나로 입력되어 스피커를 통하여 반주음을 들을수 있도록한 것이다.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93-8476 and 93-27504, a portable music player is proposed, which allows the music player to be carried and used, which includes accompaniment of many songs in a built-in ROM. If the user selects the number of the desired song from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OM,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is output wirelessly to be input to the antenna of the general audio device to listen to the accompaniment sound through the speak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음악 연주장치는 롬에 수록된 많은 곡의 가사를 별도의 책자에 기록하여 이용하도록 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곡의 가사를 모를 경우에는 곡이 기록된 책자를 지니고 있지 않으면 노래를 부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music player as described above is to use the lyrics of a lot of songs contained in the ROM to use a separate booklet,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lyrics of the song if the song does not have a booklet is recorded There was a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sing.

또한 노래방 등에서 사용되는 음악 연주기에 일반 영상 재생기기를 연결하여 배경 화면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도록하고, 음악 연주기에 내장된 롬 등의 메모리에 곡의 반주음에 해당하는 정보와 함께 가사에 해당하는 정보도 저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하여 영상 및 음성신호가 출력 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it connects a general video player to a music player used in karaoke, so as to receive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and corresponds to the lyrics along wi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in memory such as a ROM built into the music player. The video and audio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monitor and speak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악 연주 장치는 곡의 반주에 해당하는 정보와 가사에 해당하는 문자의 정보는 물론 화면의 배경이 되는 영상 신호의 정보를 모두 저장한 상태에서 모니터를 통하여 화면의 배경과 가사를 포함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동시에 스피커를 통하여 곡의 반주 및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고 모니터와 스피커로 인해 장비의 부피가 커져서 휴대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usic player includes the background and lyrics of the screen through the monitor while storing both the information of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and th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lyrics, as well as the information of the video signal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video signal and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and the user's voice through the speaker,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is complicated, and due to the large volume of equipment due to the monitor and the speaker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carry.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음악 연주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 사양에 따라 롬에 저장된 반주음을 출력하는 별도의 기기인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은 본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선곡된 가사를 액정 표시기에 표시하는 동시에 배경화면과 함께 무선으로 송출하여 별도의 영상기기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한 휴대용 자막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usic player is selected by the microprocessor of the main body receiving the data of the portable music player is a separate device for outputting the accompaniment sound stored in the ROM according to the user's op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subtitler which displays the lyrics on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text together with a background screen for viewing through a separate video device.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별도의 기기인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의 메인 콘트롤러로부터 시스템 데이터 신호를 시스템 클럭과 함께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자막의 표시를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 메모리 요청 신호, 입/출력 스트로브 신호 및 읽기/쓰기 신호에 의해 읽기/쓰기, 롬 선택 신호 및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읽기/쓰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버퍼와, 상기의 버퍼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와 읽기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를 직접 입력받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순서 및 방법에 관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상기의 버퍼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와 읽기/쓰기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직접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출력하는 SRAM과, 상기의 버퍼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와 읽기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를 직접 입력받으면 저장된 가사에 해당하는 자막이나 배경이 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롬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의 롬에서 출력된 곡의 가사에 해당하는 자막의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으면 액정 판낼을 통하여 가사를 표시하는 다수의 액정구동부와,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배경이 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버퍼를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쓰기/읽기 신호를 입력받으면 R, G, B의 색신호를 처리하는 RGB 구동기와, 상기의 RGB 구동기로 부터 쓰기 신호와 및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으면 저장하고 있던 화면의 상태에 따른 정보의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RGB 구동기로 출력하는 다수의 비디오 램과, 상기의 RGB 구동기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재트리거 가능한 원 쇼트 IC를 통하여 입력받으면 영상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작 전원을 콘트롤하여 상기의 RGB 구동기의 발진 주파수로 출력하는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와, 저항, 콘덴서, 다이오드 및 가변 저항에 의한 기준 주파수와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VCO의 기준 신호인 수평 동기 신호, RGB 구동기의 비디오 램 선택 신호인 수직 동기 신호 및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비디오 입력 신호인 동기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동기 신호 분리기와, 상기의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의 출력과 상기의 RGB 구동기로 부터의 휘도 신호를 논리 곱하여 외부 영상기기의 비디오 입력 신호와 롬에 저장된 내부 영상신호를 절환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와, 상기의 스위칭 신호와 함께 상기의 RGB 구동기로 부터의 R, G, B의 색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외부의 영상 재생기기 등으로 부터 비디오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동기가 일치하는 자막이 포함된 배경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RGB 엔코더와, 상기의 RGB 구동기에서 출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에 대해 동기 신호로 RGB 엔코더에 입력시키며 직렬 접속된 두개의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와, 상기의 RGB 엔코더로 부터 비디오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톱니파 필터로 부터 발생되는 66.75~67.75㎑의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에 실어주는 비디오 모듈레이터와, 상기의 비디오 모듈레이터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의 저주파 신호를 발진 트랜스를 통하여 입력받아 트랜지스터와 발진 코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진 증폭기를 경유하도록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들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기기인 휴대용 음악 연주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본 발명의 휴대용 자막기를 작동시키면 액정표시장치를 통하여 가사를 표시하는 동시에 가사를 포함한 배경 화면을 TV와 같은 별도의 영상기기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subtitle by analyzing the system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of the portable music player as a separate device with the system clock, A buff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read / write, a ROM selection signal and a video data processing read / write signal by an address signal, a memory request signal, an input / output strobe signal, and a read / writ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Program memory which outputs data signal about control order and method of microprocessor when ROM input signal and read signal are received through buffer and directly receive address signal from microprocessor, ROM selection through buffer Signal and read / write An SRAM that receives a call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n address signal and a data signal from the microprocessor, or outputs a stored data signal to the microprocessor; and a ROM selection signal and a read signal through the buffer. When the address signal is directly input from the microprocessor, a plurality of ROMs output data signals of the subtitles or backgrounds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yrics, and the lyrics of the songs output from the ROM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When the dat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ubtitle is inputted,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driver for displaying lyrics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data signal of the background image from the microprocessor are received, and the video data processing write / write through the buffer. Receive read signal An RGB driver for processing color signals of planes R, G, and B, and a plurality of outputting video data signal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ored screen when the write signal and the address signal are received from the RGB driver. VCO outputs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GB driver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power for synchronizing the video when the video RAM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output from the RGB driver are input through the one short IC capable of retriggering. Controlled Oscillator) and the reference frequency by the resistor, capacitor, diode and variable resistor and the phase of the video inpu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is the reference signal of the VCO, the vertical signal which is the video RAM selection signal of the RGB driver. Through a sync signal and a retriggerable one-short IC A synchronous signal separator for outputting a synchronous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retriggerable one-short IC and the luminance signal from the RGB driver are logically multiplied to switch the video input signal of an external video device and the internal video signal stored in the ROM. A NAND gate for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and a color signal of R, G, B from the RGB driver together with the switching signal are input, and a video input signal is input from an external image reproducing device. An RGB encoder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of a background including matching subtitles, two retriggerable one-shot ICs connected in series as input signals to the RGB encoder as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the composit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RGB driver, It receives the video output signal from the above RGB encoder and uses the frequency of 66.75 ~ 67.75㎑ generated from the sawtooth filter It is a video modulator that carries a carrier and a low frequency signal of the video output from the video modulator through the oscillating transformer to be output through the antenna through a plurality of oscillation amplifier consisting of a transistor and an oscillation coil.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rtable subtit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using the portable music player, which is a separate device, the user can display the lyrics through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simultaneously view the background screen including the lyrics through a separate video device such as a TV. To be.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수단 및 액정표시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기기인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의 메인 콘트롤러로 부터 시스템 데이터 신호(SDATA)를 시스템 클럭(SCLK)과 함께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하여 자막 표시를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A2,A18,A19), 메모리 요청 신호(MREQ), 입/출력 스트로브 신호(IOSTB) 및 읽기/쓰기 신호(RD/WR)에 의해 읽기 신호(RD), 쓰기 신호(WR)와 롬 선택 신호(ROM1),(ROM2),(ROM3),(ROM4)와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쓰기 신호(VDPW)/읽기신호(VDPR)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버퍼(2)와, 상기의 버퍼(2)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ROM1)와 읽기 신호(RD)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A0)~(A14)를 직접 입력받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제어순서 및 방법에 관한 데이터 신호(D0)~(D7)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3)와, 상기의 버퍼(2)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ROM2)와 읽기 신호(RD) 및 쓰기 신호(WR)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A0)~(A12)와 데이터 신호(D0)~(D7)를 직접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 신호(D0)~(D7)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출력하는 SRAM (4)과, 상기의 버퍼(2)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ROM3),(ROM4)와 읽기 신호(RD)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A0)~(A18)를 직접 입력받으면 저장된 가사에 해당하는 자막이나 배경이 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D0)~(D7)를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롬(5),(6)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의 롬(5),(6)에서 출력된 곡의 가사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DB0)~(DB7)를 입력받아 액정 판낼(9)을 통하여 가사를 표시하는 다수의 액정구동부(7),(8)들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lock signal is converted from the main controller of a portable music player, which is a separate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received with the SCLK, the microprocessor 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subtitles, the address signals A2, A18, and A19 outputted from the microprocessor 1, and the memory request signal. Read signal (RD), write signal (WR) and ROM select signal (ROM1), (ROM2), (ROM3), by MREQ), input / output strobe signal (IOSTB), and read / write signal (RD / WR). A ROM 2 and a buffer 2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video data processing write signal VDPW / read signal VDPR, and a ROM select signal ROM1 and a read signal RD through the buffer 2. Input from the microprocessor (1) A program memory 3 for outputting data signals D0 to D7 relating to the control sequence and method of the microprocessor 1 when the dress signals A0 to A14 are directly input, and the buffer 2 described above. The ROM selection signal ROM2, the read signal RD and the write signal WR are input through the address signal A0 to A12 and the data signal D0 to the microprocessor 1. SRAM (4) directly receiving and storing D7) or outputting the stored data signals (D0) to (D7) to the microprocessor (1), and the ROM selection signal (ROM3) (ROM4) through the buffer (2). ) And the read signal RD, and simultaneously receive the address signals A0 to A18 from the microprocessor 1, the data signal D0 of the video that is the subtitle or background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yrics. A plurality of ROMs 5 and 6 which respectively output ˜ (D7) and the ROMs 5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1, Comprising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 drive unit (7), (8) for receiving the data signal (DB0) ~ (DB7) corresponding to the lyrics of the song output from (6) to display the lyrics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9) .

제2도는 본 발명의 비디오 신호 출력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배경이 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D0)~(D7) 및 어드레스 신호(A0),(A1)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버퍼(2)를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쓰기 신호(VDPW) 및 읽기 신호(VDPR)를 입력받으면 R, G, B의 색신호(R),(G),(B)를 처리하는 RGB 구동기(10)와,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 쓰기 신호(WR)와 RAS 신호(RAS)와 CAS 신호(CAS0), (CAS1) 및 어드레스 신호(VA0)~(VA7)를 입력받으면 저장하고 있던 화면의 상태에 따른 정보의 비디오 데이타 신호(VA0)~(VA7)를 출력하는 다수의 비디오 램(11),(12),(13),(14)과,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재트리거 가능한 원 쇼트 IC(15)를 통하여 입력받으면 영상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작 전원을 콘트롤하여 상기의 RGB 구동기(10)의 발진 주파수로 출력하는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16)와, 저항(R1),(R2)과 콘덴서(C1),(C2)와 다이오드(D) 및 가변 저항(VR)에 의한 15.784 ㎑의 기준 주파수와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VCO(16)의 기준 신호인 수평 동기 신호(H-SYNC), RGB 구동기(10)의 비디오 램 선택신호(VDS)인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18)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인 동기 신호(SYNC)를 각각 출력하는 동기 신호 분리기(17)와, 상기의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18)의 출력과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의 휘도 신호(YS)를 논리곱하여 외부의 비디오 입력 신호(VIDEO IN)와 내부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스위칭 신호(YSP-IN)를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19)와, 상기의 스위칭 신호(YSP-IN)와 함께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의 R, G, B의 색신호(R),(G),(B)를 입력받는 동시에 도면에 도시 않은 외부의 영상 재생기기 등으로 부터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를 입력받아 동기가 일치하는 자막이 포함된 배경의 비디오 출력 신호(VIDEO-OUT)를 출력하는 RGB 엔코더(20)와, 상기의 RGB 구동기(10)에서 RGB 엔코더(20)로 출력되는 복합 동기신호(C-SYNC)를 외부의 비디오 입력신호(VIDEO-IN)에 대해 동기 신호로 RGB 엔코더(20)에 입력시키며 직렬 접속된 두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21),(22)와, 상기의 RGB 엔코더(20)로 부터 비디오 출력 신호(VIDEO-OUT)를 입력받아 톱니파 필터(24)로 부터 발생되는 66.75~67.75㎑의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에 실어주는 비디오 모듈레이터(23)와, 상기의 비디오 모듈레이터(23)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의 저주파 신호를 발진 트랜스(25)를 통하여 입력받아 트랜지스터(Q1),(Q2),(Q3)와 발진 코일(CO1),(CO2),(CO3)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진 증폭기(26),(27),(28)를 경유하도록하여 안테나(29)를 통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들로 구성한 것이다.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signal outpu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ignal D0 to D7 and the address signals A0 and A1 of the background image from the microprocessor 1 are shown. When receiving the video data processing write signal (VDPW) and read signal (VDPR) through the buffer (2) at the same time, RGB for processing the color signals (R), (G), (B) of R, G, and B When the write signal WR, the RAS signal RAS, the CAS signal CAS0, the CAS1, and the address signals VA0 to VA7 are received from the driver 10 and the RGB driver 10, the stored signal is stored. A plurality of video RAMs 11, 12, 13, and 14 which output video data signals VA0 to VA7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creen, and the RGB driver 10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outputted from the inpu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re-triggerable one short IC 15, the operation power for synchronizing the image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RG.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16 output at oscillation frequency of B driver 10, resistors R1, R2, capacitors C1, C2, diode D, and variable resistor VR The reference frequency of 15.784 kHz and the phase of the video input signal (VIDEO-IN) input from the outside are compared to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which is the reference signal of the VCO 16, of the RGB driver 10.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which is a video RAM selection signal VDS,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SYNC, which is a video input signal VIDEO-IN of the microprocessor 1, are retriggered through the one-shot IC 18 that can be retriggered. An external video input signal (VIDEO) is obtained by logically multiplying each of the synchronous signal separators 17 to be output, the output of the retriggerable one-shot IC 18 and the luminance signal YS from the RGB driver 10. A NAND gate 19 for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YSP-IN for selectively switching IN and an internal video signal, and the switching signal Y SP-IN) and the R, G, and B color signals R, G, and B from the RGB driver 10 together with the external image reproducing apparatus not shown in the drawing. An RGB encoder 20 that receives a video input signal VIDEO-IN and outputs a video output signal VIDEO-OUT of a background including a subtitle having a synchronization, and the RGB encoder 10 of the RGB driver 10. 20) The two retriggerable one-shot ICs 21 connected in series are inputted to the RGB encoder 20 as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respect to an external video input signal VIDEO-IN. (22) and a video modulator that receives a video output signal (VIDEO-OUT) from the RGB encoder 20 and carries it on a carrier having a frequency of 66.75 to 67.75 kHz generated from the sawtooth filter 24 ( 23 and a low frequency signal of the video output from the video modulator 23 through the oscillation transformer 25. The antenna is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oscillation amplifiers 26, 27, 28 consisting of transistors Q1, Q2, Q3 and oscillation coils CO1, CO2, and CO3. It consists of amplifying units output through (29).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휴대용 자막기는 사용자가 별도의 기기인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중에 가사와 배경이 되는 화면을 보기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악 연주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원하는 곡의 번호를 선택하면 그 내부의 메인 콘트롤러에서 선택된 곡의 반주음 또는 반주음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동시에 시스템 데이터 신호(SDATA)와 시스템 클럭(SCLK)를 본 발명 휴대용 자막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함께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분석하여 자막의 표시를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액정 판넬(9)로 가사를 표시하는 동시에 안테나(29)를 통하여 무선 송출하여 모니터등 별도의 영상기기로 가사와 배경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The portable subtit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view a screen that is lyrics and a background while a user sings using a portable music player, which is a separate device. When the number of is selected, the mai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sound or the accompaniment sound of the selected so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and the system data signal SDATA and the system clock SCL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rocessor 1 outputs the same, and analyzes it in the input microprocessor 1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subtitles to display the lyrics on the liquid crystal panel 9 and wirelessly through the antenna 29. It outputs the lyrics and the background image to a separate video device such as a monitor by sending it out.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A2,A18,A19), 메모리 요청 신호(MREQ), 입/출력 스트로브 신호(IOSTB) 및 읽기/쓰기 신호(RD/WR)를 입력받는 버퍼(2)에서는 읽기 신호(RD)와 쓰기 신호(WR)와 롬 선택 신호(ROM1),(ROM2),(ROM3),(ROM4)와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쓰기 신호(VDPW)/읽기신호(VDPR)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프로그램 메모리(3), SRAM(4), 롬(5),(6)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A buffer 2 receiving an address signal A2, A18, A19, a memory request signal MREQ, an input / output strobe signal IOSTB, and a read / write signal RD / WR from the microprocessor 1. Selectively outputs read signal (RD), write signal (WR), ROM select signals (ROM1), (ROM2), (ROM3), (ROM4) and video data processing write signal (VDPW) and read signal (VDPR)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rogram memory 3, the SRAM 4, the ROM 5, and 6;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버퍼(2)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ROM1)와 읽기 신호(RD)를 입력받는 동시에 직접 어드레스 신호(A0)~(A14)를 입력받는 프로그램 메모리(3)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제어 순서 및 방법에 관한 데이터 신호(D0)~(D7)를 출력한다.In the program memory 3 which receives the ROM selection signal ROM1 and the read signal RD from the microprocessor 1 through the buffer 2 and directly receives the address signals A0 to A14, the microprocessor Data signals D0 to D7 relating to the control procedure and method of (1) are output.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버퍼(2)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ROM2)와 읽기 신호(RD) 및 쓰기 신호(WR)를 입력받는 동시에 어드레스 신호(A0)~(A12)와 데이터 신호(D0)~(D7)를 직접 입력받는 SRAM(4)에서는 동작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데이터 신호(D0)~(D7)로 출력한다.The microprocessor 1 receives the ROM selection signal ROM2, the read signal RD and the write signal WR through the buffer 2, and at the same time, the address signals A0 to A12 and the data signal D0. In the SRAM 4 which directly receives ˜ (D7), informa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is stored or the stored information is output as the data signals D0 to D7.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버퍼(2)를 통하여 롬 선택 신호(ROM3),(ROM4)와 읽기 신호(RD)를 입력받는 동시에 직접 어드레스 신호(A0)~(A18)를 입력받는 다수의 롬(5),(6)에서는 저장된 가사에 해당하는 자막이나 배경이 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D0)~(D7)를 각각 선택적으로 출력한다.The microprocessor 1 receives the ROM selection signals ROM3 and ROM4 and the read signal RD through the buffer 2 and simultaneously receives a plurality of ROMs directly receiving the address signals A0 to A18. 5) and (6) selectively output data signals D0 to D7 of the cap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yrics or the video as the background, respectively.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어드레스 신호(A0), 읽기/쓰기 신호(RD/WR), 데이터 신호(DB0)~(DB7), 인에이블 신호(E1),(E2)를 각각 입력받는 다수의 액정구동부(7),(8)에서는 상기의 롬(5),(6)에서 출력된 곡의 가사에 해당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D0)~(D7)에 의하여 액정 판넬(9)로 세그먼트 신호(SEG0)~(SEG60)를 출력하여 이를 통하여 가사를 표시한다.The microprocessor 1 receives a plurality of address signals A0, read / write signals RD / WR, data signals DB0 to DB7, enable signals E1, and E2, respectively. In the liquid crystal drive unit 7 or 8, the segm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9 by the data signals D0 to D7 of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lyrics of the song output from the ROMs 5 and 6. It displays (SEG0) ~ (SEG60) and displays lyrics.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부터 자막이나 배경이 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D0)~(D7) 및 어드레스 신호(A0),(A1)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의 버퍼(2)를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 프로세싱 쓰기 신호(VDPW)/읽기 신호(VDPR)를 입력받는 RGB 구동기(10)에서는 R, G, B의 색신호(R),(G),(B)를 처리하여 쓰기 신호(WR)와 RAS 신호(RAS)와 CAS 신호(CAS0), (CAS1) 및 어드레스 신호(VA0)~(VA7)를 비디오 램(11),(12),(13),(14)으로 출력하여 저장하고 있던 화면의 상태에 따른 정보의 비디오 데이터 신호(VA0)~(VA7)를 입력받는다.Video data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the buffer 2 while receiving data signals D0 to D7 and address signals A0 and A1 of an image which is a subtitle or a background from the microprocessor 1. The RGB driver 10 receiving the write signal VDPW / read signal VDPR processes the color signals R, G, and B of the R, G, and B signals, thereby writing the write signal WR and the RAS signal ( RAS), CAS signals CAS0, CAS1, and address signals VA0 through VA7 are output to the video RAMs 11, 12, 13, and 14, and stored in the state of the screen. Video data signals VA0 to VA7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re received.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재트리거 가능한 원 쇼트 IC(15)를 통하여 입력받는 VCO(16)에서는 영상 신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작 전원을 콘트롤하여 상기 RGB 구동기(10)의 발진 주파수로 출력한다.The VCO 16 receiving the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outputted from the RGB driver 10 through the one-shot IC 15 capable of retriggering controls the operating power for synchronizing the video signal.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RGB driver 10 is output.

저항(R1),(R2)과 콘덴서(C1),(C2)와 다이오드(D) 및 가변 저항(VR)으로 구성되어 15.784 ㎑의 기준 주파수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분리기(17)에서는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와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VCO(16)의 기준 신호인 수평 동기 신호(H-SYNC), RGB 구동기(10)의 비디오 램 선택신호(VDS)인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18)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의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인 동기 신호(SYNC)를 각각 출력한다.In the sync signal separator 17 composed of resistors R1, R2, capacitor C1, C2, diode D, and variable resistor VR to generate a reference frequency of 15.784 kHz, an external input is performe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which is a reference signal of the VCO 16,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DS, which is a video RAM selection signal VDS of the RGB driver 10, may be compared with a video input signal VIDEO-IN. V-SYNC) and a retriggerable one-shot IC 18 respectively output a synchronization signal SYNC that is a video input signal VIDEO-IN of the microprocessor 1.

상기의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18)의 출력과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의 휘도 신호(YS)를 입력받는 낸드 게이트(19)에서는 논리곱하여 외부의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와 내부의 영상 신호를 선택 절환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YSP-IN)를 출력한다.In the NAND gate 19 which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triggerable one-shot IC 18 and the luminance signal YS from the RGB driver 10, the external video input signal VIDEO-IN And a switching signal (YSP-IN) for selecting and switching the internal video signal.

상기의 스위칭 신호(YSP-IN)와 함께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의 R, G, B의 색신호(R),(G),(B)를 입력받는 동시에 도면에 도시 않은 외부의 영상 재생기기 등으로 부터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를 입력받는 RGB 엔코더(20)에서는 신호의 동기가 일치하는 자막이 포함된 배경의 비디오 출력 신호(VIDEO-OUT)를 출력한다.The external image not shown in the figure while receiving the color signals R, G, and B of the R, G, and B signals from the RGB driver 10 together with the switching signal YSP-IN. The RGB encoder 20 which receives a video input signal VIDEO-IN from a playback device outputs a video output signal VIDEO-OUT of a background including subtitles whose signals are synchronized.

여기서 상기의 RGB 구동기(10)에서 출력되는 복합 동기신호(C-SYNC)를 입력받아 재트리거 가능한 원쇼트 IC(21),(22)에서는 2 동기 펄스 만큼 지연시켜 RGB 엔코더(20)에 외부의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에 대한 동기 신호를 입력시킨다.Here, the one-shot ICs 21 and 22 capable of receiving and retriggering the composite sync signal C-SYNC outputted from the RGB driver 10 may delay 2 sync pulses to external the RGB encoder 20. Input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the video input signal (VIDEO-IN).

상기의 스위칭 신호(YSP-IN)와 함께 상기의 RGB 구동기(10)로 부터의 R, G, B의 색신호(R),(G),(B)를 입력받는 동시에 도면에 도시 않은 외부의 영상 재생기기 등으로 부터 비디오 입력 신호(VIDEO-IN)를 입력받는 RGB 엔코더(20)에서는 신호의 동기가 일치하는 자막이 포함된 배경의 비디오 출력 신호(VIDEO-OUT)를 출력한다.The external image not shown in the figure while receiving the color signals R, G, and B of the R, G, and B signals from the RGB driver 10 together with the switching signal YSP-IN. The RGB encoder 20 which receives a video input signal VIDEO-IN from a playback device outputs a video output signal VIDEO-OUT of a background including subtitles whose signals are synchronized.

상기의 RGB 엔코더(20)로 부터 비디오 출력 신호(VIDEO-OUT)를 입력받는 비디오 모듈레이터(23)에서는 이를 톱니파 필터(24)로 부터 발생되는 66.75~67.75㎑의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에 실어주는 비디오 저주파 신호로 출력한다.In the video modulator 23 which receives the video output signal VIDEO-OUT from the RGB encoder 20, the video low frequency carries this on a carrier having a frequency of 66.75 to 67.75 kHz generated from the sawtooth filter 24. Output as a signal.

발진증폭기(26),(27),(28)는 발진 트랜스(25)를 통하여 상기의 비디오 모듈레이터(23)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의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트랜지스터(Q1),(Q2),(Q3)와 발진 코일(CO1),(CO2),(CO3)를 경유하도록하여 무선으로 송출되는 중에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여 안테나(29)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별도의 영상기기를 통하여 가사와 배경을 볼 수 있도록한 것이다.The oscillation amplifiers 26, 27, 28 receive the low frequency signals of the video output from the video modulator 23 through the oscillation transformer 25, and the transistors Q1, Q2, Q3. ) And through the oscillation coil (CO1), (CO2), (CO3) to compensate for the loss occurring dur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output through the antenna 29 to view the lyrics and background through a separate video device To be.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자막기는 별도의 기기인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의 메인 콘트롤러로 부터 시스템 데이터 신호를 시스템 클럭과 함께 입력받으면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자막의 표시를 위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사용자가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액정 표시 장치를 통하여는 가사를 표시하는 동시에 가사를 포함한 배경의 화면을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하여 별도의 영상기기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ortable subtit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ystem data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of the portable music player as a separate device together with the system clock, the user can play the portable music while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subtitles in the internal microprocessor. While the device is in use,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display lyrics and at the same time output the background screen including the lyrics through the antenna to be viewed through a separate video device.

Claims (1)

별도의 휴대용 음악 연주 장치의 메인 콘트롤러로 부터 시스템 데이터 신호를 시스템 클럭과 함께 입력받으면 자막의 표시를 위한 전제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SRAM에 데이터 신호를 일시 저장하면서 다수의 롬에 저장된 가사에 해당하는 자막이나 배경이 되는 영상의 데이터 신호를 읽어내어 가사를 액정 판넬에 표시하도록 한 휴대용 자막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으면서 R, G, B의 색신호를 처리하는 RGB 구동기, 상기의 RGB 구동기의 제어를 받으면서 저장하고 있던 화면의 상태에 따른 정보의 비디오 데이터 신호를 RGB 구동기로 출력하는 다수의 비디오 램, 상기의 RGB 구동기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작전원을 콘트롤하여 발진 주파수로 출력하는 VCO와, 설정된 기준주파수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동기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동기신호 분리기와, 스위칭 신호 및 R, G, B의 색신호와 비디오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동기가 일치하는 자막이 포함된 배경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RGB 엔코더와, 상기의 RGB 엔코더로 부터 비디오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주파수의 반송파에 실어주는 비디오 모듈레이터 및 상기의 비디오 모듈레이터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의 저주파 신호를 실어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들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막기.When the system data signal is input from the main controller of a separate portable music player together with the system clock, a microprocessor that controls the prerequisite operation for displaying subtitles, temporarily stores the data signal in SRAM, In a portable subtitle device for reading the data signal of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subtitle or background to display the lyrics on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RGB driver for processing the color signals of R, G, B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of the display means, Operation for synchronizing with a plurality of video RAMs outputting video data signal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creen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RGB driver to the RGB driver, and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output from the RGB driver. VCO to control the power and output at the oscillation frequency A synchronization signal separator for outputting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by comparing the reference frequency and the phase of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a switching signal, a color signal of R, G, and B, and a video input signal. An RGB encoder that outputs a video signal of a background including subtitles with synchronized synchronization, a video modulator that receives a video output signal from the RGB encoder and loads the video output signal on a carri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is output from the video modulator. A portable subtit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mplifiers that carry low-frequency signals of video and output them through an antenna.
KR1019960003340A 1996-02-12 1996-02-12 Portable device to insert character KR100191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340A KR100191285B1 (en) 1996-02-12 1996-02-12 Portable device to insert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340A KR100191285B1 (en) 1996-02-12 1996-02-12 Portable device to insert chara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30A KR970063030A (en) 1997-09-12
KR100191285B1 true KR100191285B1 (en) 1999-06-15

Family

ID=1945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340A KR100191285B1 (en) 1996-02-12 1996-02-12 Portable device to insert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28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30A (en)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600B1 (en) Microphone and receiver for automatic accompaniment
US5131311A (en) Music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mixes voice input from a microphone and music data
US5321200A (en) Data recording system with midi signal channels and reproduction apparatus therefore
JPH0772887A (en) Method for control of picture accompaniment of television with built-in picture accompaniment device
US20080075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ortable audio player to larger audio system
KR0121696Y1 (en) Music accompaniment system with video
KR100191285B1 (en) Portable device to insert character
US6653544B1 (en) Play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und generation of image display device
JPH0965230A (en) Superimposed dialogue display method and device therefor
JPH04170875A (en) Recording medium and picture/character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JP2001100683A (en) Image electronic pop device
KR0132854B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picking up a song title by sound recognition
KR0139918Y1 (en) Apparatus for multimedia in the television with a video-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0135827B1 (en) The song text selection & erase method of a video song accompaniment with television
JP2000148107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H10150609A (en) On-screen display
KR200170746Y1 (en) Automatic disploy apparatus for dance step of karaoke device
JP2605454B2 (en) Karaoke equipment
CN2305736Y (en) Portable type caption arrangement
KR0160644B1 (en) Multi-function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a television
KR950008119B1 (en) Accompaniment data receiving method & circuit in television
KR960010467B1 (en) Osd character and sound ex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KR0160652B1 (en) Television with video-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100279609B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playing television receivers
KR0132852B1 (en) Display method of congratulation message on television with a kara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