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6030B1 - Trunk interface circuit - Google Patents

Trunk interface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6030B1
KR0186030B1 KR1019920009183A KR920009183A KR0186030B1 KR 0186030 B1 KR0186030 B1 KR 0186030B1 KR 1019920009183 A KR1019920009183 A KR 1019920009183A KR 920009183 A KR920009183 A KR 920009183A KR 0186030 B1 KR0186030 B1 KR 018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unit
signal
cept
impedanc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24376A (en
Inventor
서철수
Original Assignee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용문
Priority to KR101992000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6030B1/en
Publication of KR93002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60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교환기의 트렁크 회로에서 트렁크의 종류에 따라 동일 트렁크를 일부 변경하여 해당 방식으로 서비스한다. 이를 위하여 TX 및 RX트랜스를 이용하여 NAT방식과 CEPT방식에 적합한 임피던스 매칭수단을 각각 구비시키고, 클럭재생부도 해당 방식에 따라 상이한 클럭을 추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단을 구비시킨다. 따라서 CEPT방식일 경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등화기를 CEPT방식의 회로를 구성하고 CEPT방식의 임피던스 매칭수단과 클럭재생부를 선택하면 되며, NAT방식일 경우 NAT방식의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등화기를 연결하고, NAT방식의 임피던스 매칭수단과 클럭재생부를 선택하면 된다.In the trunk circuit of the exchange, the same trunk is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runk to serve in the corresponding manner. To this end, an impedance matching means suitable for the NAT method and the CEPT method is provided by using the TX and RX transformers, respectively, and the clock reproducing unit is provided with each means to extract different clock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metho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EPT method, the trunk interface unit and the equalizer are composed of the CEPT method circuit, and the impedance matching means and the clock reproducing unit of the CEPT method are selected. The impedance matching means and the clock reproducing unit may be selected.

Description

교환기의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Trunk interface circuit of exchange

제1도는 교환기의 트렁크회로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trunk circuit block configuration of an exchange.

제2도는 제1도의 로컬 프로세스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al process section in FIG.

제3도는 제1도의 라인전송부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lock configuration of the line transmission unit of FIG.

제4도는 제3도의 트렁크 인터페이스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details of the trunk interface configuration of FIG.

본 발명은 교환기의 트렁크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CEPT 트렁크와 NA트렁크에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는 트렁크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interface circuit of an exch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unk interface circuit that can be commonly connected to CEPT trunks and NA trunks.

일반적으로 교환기의 트렁크회로(Trunk Line Interface Circuit)는 트렁크와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및 등화기능(equalizing)을 수행하고, 수신데이타로부터 클럭재생(clock recovery)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트렁크 회로는 NA트렁크(T1구조)와 CEPT트렁크(E1구조)가 있다. 현재 국내의 교환기 및 전송장비들은 NA트렁크 위주로 설치되어 있는데, 향후 종합정보통신망(ISDN) 구현, 그리고 전송 효율 및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CEPT트렁크 구조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즉, 상기 NA트렁크는 1회선 당 24채널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며, 신호전송 방식, 채널당 1신호의 평균신호를 1/8이상 유지하는 방식, 경보전송 방식 등의 한계성에 의해 각 채널당 56Kbps이하의 전송속도로 서비스 된다. 즉, 상기와 같이 NA트렁크에서는 완전 채널의 구현이 어려운 관계로 CEPT트렁크로 전환하는 추세이다.In general, a trunk line interface circuit of an exchange performs impedance matching and equalizing with the trunk, and performs clock recovery from received data. Trunk circuits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include NA trunks (T1 structures) and CEPT trunks (E1 structures). Currently, exchange and transmission equipments in Korea are installed mainly on NA trunks, and are moving to CEPT trunk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mplementation of ISDN, transmission efficiency and management. That is, the NA trunk has a structure having 24 channels per line, and transmits 56 Kbps or less per channel due to the limitations of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 method of maintaining an average signal of 1 signal per channel of 1/8 or more, and an alarm transmission method. Served at a speed. That is, in the NA trunk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ull channel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trend is to switch to the CEPT trunk.

그러나 현재 대량으로 설치되어 있는 NA트렁크를 제거하고 CEPT트렁크로 대치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야기되므로, 현재 NA 방식과 향후에 CEPT 방식에 100% 호환되는 NA/CEPT 겸용 장치 및 변환 장치들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eliminating NA trunks installed in large quantities and replacing them with CEPT trunks requires a lot of time and expense. Converters are emerg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에서 NA트렁크를 이용하여 NA트렁크 및 CEPT트렁크 구조를 공유할 수 있는 트렁크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unk interface circuit that can share NA trunk and CEPT trunk structures using NA trunks in an exchan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A 방식 및 CEPT 방식을 사용하는 교환기의 트렁크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실장되는 방식의 트렁크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 및 등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트렁크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unk interface circuit capable of performing impedance matching and equaliz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 trunk interface method of a method mounted in a trunk interface circuit of an exchange using a NA method and a CEPT method.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트렁크모듈(trunk interface module)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S-버스인터페이스부(30), T-버스인터페이스부(30), NAS/CEPT 트렁크와 연결되는 라인전송부(Line Transmission)(40), 그리고 로컬제어부(10), CCS신호처리부(50), CAS신호처리부(60)등으로 구성되는 프로세스부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unk interface modul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an S-bus interface unit 30, a T-bus interface unit 30, and a NAS / CEPT trunk. Line transmission unit 40, and a local control unit 10, CCS signal processing unit 50, CAS signal processing unit 60 and the like.

제2도는 상기 제1도중 로컬제어부(10), CCS신호처리부(50) 및 CAS신호처리부(60)등으로 구성되는 프로세스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3도는 상기 제1도중 라인전송부(4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라인 전송부(40)에 대한 상세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block structure of the process unit including the local control unit 10, the CCS signal processing unit 50, the CAS signal processing unit 60, and the like.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the section 40,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line transfer section 40 of FIG.

상술한 제1-제4도의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의 트렁크 인터페이스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trunk interface operation of the ex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FIGS.

먼저 상기 S-버스인터페이스부(20)는 마스터측(시스템 제어부)에서 제1도와 같은 트렁크 모듈과 통신시 이를 인터페이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5MHz 클럭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측에서 상기 트렁크를 억세스할시, 먼저 카드ID를 읽은 후 상기 S-버스인터페이스부(20)의 내부에 위치된 DPM(Dual Port RAM)에 데이터를 라이트 한다. 그러면 상기 트렁크 모듈의 로컬제어부(10)는 상기 마스터 측에서 요구한 제어 기능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S-버스인터페이스부(20)에 라이트 하며 이를 마스터 측에서 읽어간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마스터 측에서 트렁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S-버스인터페이스부(20)에 라이트하면 상기 로컬 제어부(10)가 이를 읽어 해당하는 기능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다시 상기 S-버스인터페이스부(20)에 라이트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마스터 측과 로컬제어부(10) 간의 통신 기능을 인터페이스 한다.First, the S-bus interface unit 20 performs a function of interfacing the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trunk module as shown in FIG. 1 at the master side (system control unit) and uses a 5 MHz clock. At this time, when the trunk accesses the trunk, the card ID is first read and then data is written to the DPM (Dual Port RAM) located in the S-bus interface unit 20. Then, the local controller 10 of the trunk module processes the control function requested by the master side, writes the result to the S-bus interface unit 20, and reads it from the master si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ster side writes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unk module to the S-bus interface unit 20, the local control unit 10 reads it and process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then the result is again displayed. The operation of writing to the S-bus interface unit 20 is performed to interface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master side and the local controller 10.

상기 로컬제어부(10), CCS신호처리부(50), CCS신호처리부(60)로 이루어지는 로컬 프로세서부(Local Processor)에서 로컬제어부(10)는 CPU(200), 클럭발생기(201) 및 메모리인 롬(202), 램(203), DP램(204)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럭발생기(201)는 16MHz의 클럭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CCS처리부(206)는 CCS신호(CCS Signalling)를 위한 HDLC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SAB82525N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CAS처리부(207,208)는 CAS신호(CAS Signalling) 및 라인 관리를 위한 ST-버스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MT892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SART(209)는 CRT모니터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Intel 8251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상태부(210)는 트렁크 콘트롤, 트렁크 상태 리드, LED 제어 등을 수행하기 위한 I/O 버퍼이다.In the local processor including the local controller 10, the CCS signal processor 50, and the CCS signal processor 60, the local controller 10 is a CPU 200, a clock generator 201, and a memory. 202, RAM 203, and DP RAM 204. The clock generator 201 generates a clock of 16 MHz. In addition, the CCS processor 206 performs an HDLC control function for CCS signaling and may use SAB82525N. The first and second CAS processing units 207 and 208 perform an ST-bus interface function for CAS signaling and line management, and may use MT8920. The USART 209 may interface with a CRT monitor and use an Intel 8251N. The control / status 210 is an I / O buffer for performing trunk control, trunk status reads, LED control, and the like.

상기 T-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트렁크 모듈에 연결된 하이웨이(highway)와 연결되며, 상기 하이웨이를 선택하여 NAT/CEPT 라인 전송부(40)와의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트렁크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CCS신호 채널을 사용하는 모드이면 상기 라인전송부(40)로 출력하기 전에 선택된 하이웨이 상에 CCS신호 데이터를 삽입하기도 하며, 상기 라인전송부(40)에서 수신되는 하이웨이에서 CCS신호 데이터를 추출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추출(Insert/Drop)되는 CCS신호데이타는 CCS신호처리부(50)에서 처리한다. 상기 하이웨이의 선택 및 T-버스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은 로컬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된다.The T-interface unit 30 is connected to a highway connected to the trunk module, and selects the highway to form a passage with the NAT / CEPT line transmitter 40 to connect user data to the trunk. To perform. At this time, in the mode using the CCS signal channel, the CCS signal data may be inserted on the selected highway before outputting to the line transmitter 40, and the CCS signal data may be extracted from the highway received by the line transmitter 40. do. In this case, the CCS signal data to be inserted / extracted is processed by the CCS signal processor 50. The selection of the highway and the enable / disable of the T-bus are controlled by the local controller 10.

상기 라인전송부(40)는 제3도와 같이 구성되며,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와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를 D3/D4(NAT) 혹은 ESF(CEPT) 전송하며, A, B 비트 삽입/CCS신호의 선택을 한다. 또한 상기 D3/D4인 경우에는 제로 바이트 억압시(Zero Code Suppression) 1/8덴시티(density)을 유지하기 위하여 NBZS 방식을 사용한다.The line transmitter 4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and transmits user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D3 / D4 (NAT) or ESF (CEPT), and inserts A and B bits / CCS. Select the signal. In the case of D3 / D4, an NBZS scheme is used to maintain 1/8 density during zero byte suppression.

먼저 NAT 방식인 경우를 살펴본다. 여기서 100Ω 입력/출력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등화부(304)는 MH89761(등화기)를 사용할 수 있다. 고주파수(high frequency)는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즉, L,C성분의 차이) 감쇄(attenuate)가 달라지므로, 상기 등화기(304)는 L,C 성분을 조정하여 주파수 응답을 미리 등화(pre-equalize)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311)는 3단계로 상기 등화부(304)를 세팅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CEPT방식인 경우, 70Ω/120Ω 입력/출력의 임피던스 매칭을 가지며, 동축 케이블(coaxal cable) 혹은 트위스트 케이블을 사용한다.First, let's look at NAT. Here, the equalizer 304 for impedance matching of 100Ω input / output may use MH89761 (equalizer). Since the high frequency has attenuat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cable (i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 and C components), the equalizer 304 adjusts the L and C components to pre-equalize the frequency response. -equalize). The trunk interface units 301 and 311 may set the equalization unit 304 in three steps. Secondly, in case of CEPT method, it has impedance matching of 70Ω / 120Ω input / output and uses coaxal cable or twisted cable.

여기서 상기 라인전송부(40)가 2개의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311)은, 상기 T-버스인터페이스부(30)가 16개의 하이웨이 중 2개의 서브 하이웨이를 선택하여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 상기 라인전송부(40)에서 트렁크와 상기 2개의 하이웨이간에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2개의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311)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line transmission unit 40 can serve two trunk interface units 301 and 311, the T-bus interface unit 30 can select and serve two sub highways among the 16 highways. In FIG. 40, two trunk interface units 301 and 311 are provided to perform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trunk and the two highways.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311)에 연결되는 클럭재생부(302,312)는 상대 시스템에서 출력되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재생하며, 이렇게 재생된 클럭은 상기 로컬제어부(10)에 인가되어 시스템 클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A/RO 및 A/R1(308,318)은 각 라인 별로 액티브/리던던시(Active/Redundancy), 루프(loop)를 제어하고, 하나의 전송라인(transmission line)에 쌍으로 액티브/리던던시를 둘 수 있다. 상기 전송 라인에서 수신되는 데이터가 모두 제로(all zero = no data)인 경우에는 라인제어 및 클럭재생이 불가능하다. 제로검출부(307,317)은 상기 수신 데이터가 없는 상태(NO Signal : All Zeros 및 T1 line off)를 검출하며, 상기 제로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로컬 제어부(10)에 이를 통보하고 사용자측으로(cell 1)의 데이터를 전송한다.Clock regeneration units 302 and 312 connected to the trunk interface units 301 and 311 regenerate a clock from data received and output from a counterpart system, and the regenerated clock is applied to the local controller 10 and used as a system clock. . The A / RO and A / R1 308 and 318 may control active / redundancy and loop for each line, and may have active / redundancy in pairs on one transmission line. . When all data received in the transmission line is all zero = no data, line control and clock regeneration are impossible. The zero detectors 307 and 317 detect the state in which there is no received data (NO Signals: All Zeros and T1 line off). When the zero detection unit detects the zero state, the zero detection unit 307 or 317 notifies the local control unit 10 to the user side (cell 1). To transmit the data.

상기 제3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라인전송부(40)에서 1개의 트렁크 라인에 대한 구체회로는 제4도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4도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에 대한 구체회로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4도에서 상기 DS1급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갖는 NA/CEPT 트렁크는 원거리 전송을 위해 단일 극성을 갖는 데이터(unipolar data)를 복극성을 갖는 데이터(bipolar data)로 변환하는 기능, 전송효율의 증대를 위한 임피던스 매칭 및 통화기능,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재생 클럭(recovery clock)을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 모듈은 교환시스템에서 모든 호(call : Data, Voice)가 발신/착신(outgoing/incoming)되는 곳으로 이에 수반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트렁크 모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NAT 방식과 CEPT 방식이 있다. 그리고 상기 CEPT 방식은 전송로가 유럽 방식인 CEPT기능(CEPT facility)를 가지며, 3가지 모드(CTI모드, CTP모드, Transparent모드)로 사용 가능한데, 각 모드는 소프트웨어의 세팅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line transmission unit 4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a concrete circuit for one trunk line may be represented as shown in FIG.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In FIG. 4, the NA / CEPT trunk having the DS1-class interface structure converts unipolar data into bipolar data for long distance transmission and increases transmission efficiency. Impedance matching and call function, and a recovery clock (recovery clock) from the received data (recovery clock). In addition, the trunk module is a place where all calls (Data, Voice) are outgoing / incoming in the switching system and perform all functions accompanying it. As described above, the trunk module includes a NAT method and a CEPT method. In addition, the CEPT method has a CEPT function (CEPT facility), which is a European transmission path, and can be used in three modes (CTI mode, CTP mode, and transparent mode), and each mode can be changed by setting of software.

여기서는 상기 트렁크 모듈에서 트렁크 라인과 접속되는 라인전송부(40)에서 NAT 방식 또는 CEPT 방식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트렁크 방식으로 인터페이싱 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Here, the trunk module in the trunk module provides a circuit that can be interfaced in the corresponding trunk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NAT method or CEPT method connected to the trunk line 40.

먼저 NAT방식의 인터페이스회로를 살펴본다.First, look at the interface circuit of NAT method.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는 마이텔(MITEL)사이에 제작 판매하는 MH89760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AT 방식으로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자 하는 경우, TX트랜스(303)의 S1스위치 및 S2스위치를 X단자측에 위치시키고, 저항R1 및 R2를 1.5KΩ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RX트랜스(306)의 S3스위치 및 S4스위치를 X단자측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NAT방식의 트렁크 사용시 100Ω 입력/출력을 위한 임피던스로 매칭된다.The trunk interface unit 301 may use MH89760D manufactured and sold between MITELs. When the impedance is to be matched by the NAT method, the S1 switch and the S2 switch of the TX transformer 303 are positioned on the X terminal side, and the resistors R1 and R2 are set to 1.5 KΩ. The S3 switch and the S4 switch of the RX transformer 306 are positioned on the X terminal side. If set as above, it is matched with impedance for 100Ω input / output when using NAT type trunk.

또한 NAT 방식의 선로에서 수신되는 클럭을 재생하기 위하여,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의 LA 및 LB단자에 접속되는 RIL코일은 43μH-48.5μH로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의 E20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제로검출부(307)를 통해 재생클럭(RCK-, RCK+)으로 출력되며, 상기 로컬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재생된 클럭이 시스템의 기준 클럭으로 사용되어, 두 시스템간의 동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reproduce the clock received on the NAT line, the RIL coils connected to the LA and LB terminals of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are set to 43 μH-48.5 μH. The reproduction clock from the zero detector 307, the signal outputted from E20 terminal of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is outputted as (RCK, RCK +), the clock under the control of the local control unit 10 of the reproducing Used as the reference clock for this system, synchronization between the two systems is achieved.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는 /RXB 및 /RXA단자로 TTL레벨의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는 약 1ms(8frame) 이상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RXA 및 /RXB단자로 각각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RXA 및 /RXB단자로 각각 하이 논리신호가 발생되면 게이트G1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인해 멀티 바이브레이터M1이 트리거되어 하이논리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버퍼B1이 디스에이블되므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NO Signal : All Zeros)임을 경보한다.The trunk interface unit 301 outputs TTL level data to the / RXB and / RXA terminals. When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does not receive a signal for more than about 1 ms (8 frames),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receives the / RXA and / RXB signals. Output high signal to each terminal. Accordingly, when a high logic signal is generated at each of the / RXA and / RXB terminals, the gate G1 outputs a low signal, thereby triggering the multivibrator M1 to output a high logic signal. Therefore, since the buffer B1 is disabled, it alerts that no signal is received (NO Signal: All Zeros).

그리고 NAT 방식의 트렁크와 연결될 시, 등화부(304)의 DIP스위치 및 EQ등화기를 이용하여 등화기능을 세트할 수 있다. 상기 EQ등화기는 마이텔 사에서 제작판매하는 MH89761을 사용하며, DIP스위치의 값을 조작하여 원하는 등화값을 세트한다. 이때 S11스위치는 온 시키고, S12-S14스위치는 모두 오프시킨다. 이때의 상기 DIP스위치 상태는 하기 표 1과 같다.And when connected to the trunk of the NAT method, the equalization function can be set using the DIP switch and EQ equalizer of the equalizer 304. The EQ equalizer uses MH89761 manufactured and sold by Mytel, and sets the desired equalization value by manipulating the value of the DIP switch. At this time, switch S11 is on and switch S12-S14 is off. At this time, the DIP switch state is shown in Table 1 below.

두번째로 CEPT 방식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살펴본다. 이 경우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는 마이텔사에서 제작 판매하는 MH89790을 사용한다. CEPT방식으로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자 하는 경우, 75Ω의 동축 케이블과 120Ω의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twist pair cable)에 따라 각각 달리한다. 먼저 동축 케이블의 경우에는 상기 TX트랜스(303)의 S1스위치 및 S2스위치를 Y단자측으로 위치시키고 저항R1 및 R2를 887Ω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RX트랜스(306)의 S3스위치 및 S4스위치를 Y단자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CEPT방식에서 75Ω의 동축 케이블을 사용할 시 75Ω 입력/출력을 위한 임피던스로 매칭된다. 두번째로 120Ω의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TX트랜스(303)의 S1스위치 및 S2스위치를 Y단자측에 위치시키고 저항R1 및 R2를 909Ω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RX트랜스(306)의 S3스위치 및 S4스위치를 Y단자에 위치시키고, CEPT방식에서 120Ω의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사용할시 120Ω 입력/출력을 위한 임피던스로 매칭된다.Second, we will look at the CEPT interface circuit. In this case,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uses MH89790 manufactured and sold by Mytel. When the impedance is to be matched by the CEPT method, i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75Ω coaxial cable and the 120Ω twisted pair cable. First, in the case of the coaxial cable, the S1 switch and the S2 switch of the TX transformer 303 are positioned to the Y terminal side, and the resistors R1 and R2 are set to 887 Ω. The S3 switch and the S4 switch of the RX transformer 306 are positioned at the Y terminal. If it is set as above, it is matched with impedance for 75Ω input / output when using 75Ω coaxial cable. Secondly, when using a twisted pair cable of 120Ω, the S1 switch and the S2 switch of the TX transformer 303 are positioned on the Y terminal side, and the resistors R1 and R2 are set to 909Ω. The S3 switch and the S4 switch of the RX transformer 306 are positioned at the Y terminal, and when the twisted pair cable of 120Ω is used in the CEPT method, the S3 switch and the S4 switch are matched with impedance for 120Ω input / output.

또한 CEPT트렁크로부터 수신되는 클럭을 재생하기 위하여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의 LA 및 LB단자에 접속되는 RIL코일은 32μH-39μH로 설정한다. 이로인해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301)의 E20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제로검출부(307)를 통해 재생클럭(RCK , RCK )으로 출력되며, 로컬제어부(10)에 의해 상기 재생된 클럭은 교환 시스템의 기준 클럭으로 사용되어 두 시스템 간의 동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RIL coils connected to the LA and LB terminals of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are set to 32 µH to 39 µH to reproduce the clock received from the CEPT trunk. As a result, a signal output from the E20 terminal of the trunk interface unit 301 is reproduced through the zero detection unit 307 (RCK). , RCK The clock reproduced by the local controller 10 is used as a reference clock of the switching system to achiev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two systems.

상기 제로검출부(307)의 동작은 상기 NAT방식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CEPT방식의 트렁크와 연결될시, 등화부(304)의 DIP스위치 및 EQ등화기를 이용하여 등화기능을 세트할 수 있다. 상기 EQ등화기는 마이텔사에서 제작 판매하는 MH89791을 사용할 수 있으며, DIP스위치의 값을 조작하여 원하는 등화값을 세트한다. 이때 상기 S11스위치는 온 시키고 S12-S14스위치는 모두 오프시킨다. 상기 DIP스위치의 상태는 하기 표 2와 같이 세트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zero detector 307 is the same as in the NAT method. When connected to the CEPT trunk, the equalization function can be set using the DIP switch and EQ equalizer of the equalizer 304. The EQ equalizer may use MH89791 manufactured and sold by Mytel, and set a desired equalization value by manipulating the value of the DIP switch. In this case, the S11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12-S14 switch is turned off. The state of the DIP switch is set as shown in Table 2 below.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렁크 모듈에서 NAT방식 또는 CEPT방식의 트렁크를 동시에 서비스 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현재 서비스중인 NAT방식의 트렁크를 용이하게 CEPT방식의 트렁크로 대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unk module can simultaneously service a NAT type or a CEPT type trunk,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unk of the NAT type currently in service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CEPT type trunk.

Claims (1)

교환기의 트렁크 회로에 있어서, 트렁크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며, 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상태 교환기와 인터페이싱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로컬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와 상기 로컬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와 로컬제어부 간의 제어명령 및 처리 결과를 인터페이스하는 S-버스인터페이스부와, 스위치회로의 하이웨이와 연결되며, 상기 로컬제어부의 제어하에 선택된 하이웨이와 트렁크회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T-버스인터페이스부와, 상기 T-버스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컬 제어부의 제어하에 신호를 삽입 및 추출하는 신호처리부와, CEPT 또는 NA 트렁크와 상기 T-버스인터페이스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로컬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트렁크와 자국 교환기간에 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라인전송부로 구성되며, 상기 라인전송부가, 상기 T-버스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로컬제어부의 제어하에 대응되는 방식의 음성 데이터와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NAT임피던스 매칭수단과 CEPT임피던스 매칭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컬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대응되는 임피던스 매칭수단에 스위칭 연결되어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음성 및 신호데이터를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TX트랜스부와, NAT 등화조정수단 및 CEPT 등화조정수단들을 구비하고 상기 TX트랜스부와 트렁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선택된 트렁크에 따른 등화조정수단이 선택되어 상기 트렁크에 송신되는 신호 및 음성의 이득을 조정하는 등화부와, NAT임피던스 매칭수단과 CEPT임피던스 매칭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트렁크에 연결되며, 상기 로컬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대응되는 임피던스매칭 수단에 스위칭연결되어 상기 트렁크에 수신되는 음성 및 신호 데이터를 임피던스 매칭시키는 RX트랜스부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대응되는 트렁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재생하여 시스템 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재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트렁크 회로.In the trunk circuit of an exchanger, a loc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unk circuit and interfacing a signal and voice data with a state exchanger is connected between a main control unit and the local control unit,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local control unit. An S-bus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a control command and a processing result, a T-bus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 highway of a switch circuit and performing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a selected highway and a trunk circuit under the control of the local control unit, and the T-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signals under control of the local control unit, connected between a CEPT or NA trunk and the T-bus interface unit, and exchanging the trunk with the local station under control of the local control unit; To a line transmitter for interfacing signal and voice data And a trunk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T-bus interface unit for processing voice data and signal data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local controller, NAT impedance matching means, and CEPT impedance matching means. And a TX transformer unit connected to the trunk interface unit, switched to an impedance matching unit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local control unit, to match impedance to voice and signal data output from the trunk interface unit, and NAT. An equalizing unit having equalizing means and CEPT equalizing means and connected between the TX transformer and the trunk, an equalizing mean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trunk to adjust the gain of the signal and the voice transmitted to the trunk; NAT impedance matching means and CEPT impedance matching means A RX transformer connected to a trunk and connected to an impedance ma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local controller, the RX transformer configured to impedance match voice and signal data received by the trunk; And a clock reproducing unit configured to reproduce a clock of data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trunk and output the clock of the data as a system clock.
KR1019920009183A 1992-05-28 1992-05-28 Trunk interface circuit KR0186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183A KR0186030B1 (en) 1992-05-28 1992-05-28 Trunk interface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183A KR0186030B1 (en) 1992-05-28 1992-05-28 Trunk interface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376A KR930024376A (en) 1993-12-22
KR0186030B1 true KR0186030B1 (en) 1999-05-15

Family

ID=1933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183A KR0186030B1 (en) 1992-05-28 1992-05-28 Trunk interface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60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026A (en) * 1998-12-03 2000-07-05 김영환 Device for cept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026A (en) * 1998-12-03 2000-07-05 김영환 Device for cept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376A (en)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2608C (en) Multichannel telephonic switching network with different signaling formats and cross connect/pbx treatment selectable for each channel
US4413337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for circuit mode and packet mode lines
CA1237188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EP0259119B1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distributed control switching system
EP0135342B1 (en) Exchange system
JPH07212878A (en) Digital crossing connection device,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EP0255290B1 (en) Time-slot assigner multiplexer
US4635255A (en) Digital subscriber controller
US4598404A (en) Data format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ipheral processors of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network
US4534023A (en) Plural communication channel protocol support systems
KR0186030B1 (en) Trunk interface circuit
EP0565687B1 (en) An arrangement for the control of an echo canceller
US4602363A (en) Expansion apparatus for use in communication systems
US5446731A (en) Signaling channel data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of a primary multiplexer
CA1200330A (en) Time slot assignment facilities
US5903567A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US5197068A (en) Intra channel bank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channels and the line interface unit of a telephone system
US57870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terminal equipments to the ISDN
JPH06121364A (en) Message information
US5533007A (en) ISDN line circuit monitor system
US6526290B1 (en) Automatic conditional cross-connection
DE69833769T2 (en) THIRD-STATE OUTPUT IN A PART OF A CROSS-LINKING DEVICE
KR1003348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 call of great capacity in remote system of full electronic telephone exchange
KR0124526Y1 (en) Isdn subscriber interfacing apparatus
JP2828417B2 (en) Unified switching system for analog line-related information signals and ISDN line-related information signals in telephone excha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