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293B1 - 회로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293B1
KR0182293B1 KR1019910001159A KR910001159A KR0182293B1 KR 0182293 B1 KR0182293 B1 KR 0182293B1 KR 1019910001159 A KR1019910001159 A KR 1019910001159A KR 910001159 A KR910001159 A KR 910001159A KR 0182293 B1 KR0182293 B1 KR 0182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ion
circuit
lamp
high frequency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199A (ko
Inventor
카스테레인 루카스
Original Assignee
프레데릭 얀 스미트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9000202A external-priority patent/NL9000202A/nl
Application filed by 프레데릭 얀 스미트,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filed Critical 프레데릭 얀 스미트
Publication of KR91001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5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frequency vari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7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 H05B41/392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ulse width modulation for high-pressure lamps, e.g.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2High frequency starting operation for fluorescent 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7Starting and control circuits for gas discharge lamp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맥동 전류로 저압력 수은 방전램프(IV)를 동작시키기에 적합한 회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회로장치는 - 공급 전압으로부터 고주파 맥동 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I)와, - 변조 주파수 f 및 변조심도 M을 갖는 고주파 맥동 전류의 거의 사인곡선적인 진폭 변조를 위한 변조기(II)와, 그리고 - 거의 사인곡선적으로 변조된 고주파 맥동 전류의 변조 주기에 걸쳐 평균화된 진폭 A를 조정하는 회로(III)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회로장치에 또한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조를 일으키는 회로(V)가 제공되어 있다.
이 회로(V)로 말미암아, 램프가 어두운 상태에 있는 동안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컬러 포인트에서의 시프트를 큰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램프의 소정 휘도 플럭스로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컬러 포인트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회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장치 및 이 회로장치로 동작되는 램프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선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장치로 동작되는 램프의 램프 전류 형상을 보인 도면.
제3도는 및 제4도는 제1도의 회로장치로 동작되는 램프에서, 여러 휘도 플럭스 값에 대한 컬러 포인트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 전류원 II : 변조기
III : 회로장치 IV : 저압력 수은 방전램프
V : 변조 심도 M 조정 회로장치 VI : 변조 주파수 f 조정 회로장치
본 발명은 고주파 전류로 저압력 수은 방전램프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한 회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회로장치는 - 전원으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와, - 변조 주파수 f 및 변조 심도 M을 갖는 고주파 전류에 대한 거의 사인곡선적인 진폭 변조를 행하는 변조기와, - 거의 사인곡선적으로 변조된 고주파 전류의 변조 주기전반에 걸쳐서 진폭 A를 평균적으로 조정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서두에 밝힌 회로장치는 일반인들에 공개하기 위해 공개 공보에 수록된 독일특허 제 2,335,589호에 기술되어 있다.
변조 심도 M은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의 진폭 A' 대 고주파 전류의 변조 주기에 걸쳐 평균화된 진폭 A의 비를 나타낸다.
공지된 스위칭 장치에서, 램프의 휘도 플럭스는 거의 사인곡선적으로 변조된 고주파 전류 A를 조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휘도 플럭스가 비교적 작을 때, 동작되는 램프에서 광조(striation)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러나 진폭 A의 변화는 휘도 플럭스뿐만 아니라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컬러 포인트를 변화시키는 바, 이는 여러 응용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컬러 포인트가 램프의 휘도 플럭스에 큰 정도로 독립적이게 되는 회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서두에 밝힌 본 발명의 회로장치는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 변화를 일으키는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컬러 포인트의 위치는 진폭 A의 조정과 더불어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인가로 말미암아 램프의 휘도 플럭스 값에 큰 정도로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장점으로써, 소정 휘도 플럭스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컬러 포인트가 진폭 A의 조정 및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인가를 통해서 광범위한 범위로 조정될 수 있다.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로 변조 주파수 f가 변화된다. 또한,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로 변조 심도 M이 변화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변화들은 각각 실시가 용이하다. 만일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로 변조주파수 f 및 변조심도 M이 변화하면, 소정의 휘도 플럭스 값으로 컬러 포인트가 조정될 수 있는 범위는 더욱 증대하게 된다.
거의 사인곡선적으로 변조된 고주파 전류는 유니폴라이거나 또는 바이폴라이다. 유니폴라의 경우에, 램프를 흐르는 전류를 저주파수로 전환하는 것이 종종 필요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장치는 예컨대 컴팩트한 저압력 수은 방전 램프, 통상의 관형 저압력 수은 방전 램프 및 무전극 저압력 수은 방전 램프와 같은 각종 저압력 수은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는데 적합하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보인 본 발명에 따른 회로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P 및 Q는 전원을 연결하는데 적합한 연결단자이다. I는 공급 전압으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원을 나타낸다. 전류원 I의 출력은 변조기 II의 입력에 연결되는데, 이 변조기는 고주파 전류의 진폭을 변조 주파수 f 및 변조 심도 M을 갖는 거의 사인곡선적인 형상으로 변조한다. 변조기 II의 출력은 회로장치 III의 입력에 연결되어, 이 회로장치에 의해 거의 사인곡선으로 변조된 전류의 변조 주기에 걸쳐 평균화된 진폭 A가 조정될 수 있다. 저압력 수은 방전램프 IV는 회로장치 III의 출력과 접지 단자사이에 결합된다.
V와 VI는 각각 변조심도 M을 조정하는 회로장치와 변조 주파수 F를 조정하는 회로장치이다. 변조심도 M을 조정하는 회로장치 V의 출력은 변조기 II의 한입력에 연결되고, 변조 주파수 f를 조정하는 회로장치 VI의 출력은 변조기 II의 또 하나의 입력에 연결된다.
램프 IV를 통해 흐르는 램프 전류가 시간 함수로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수평축은 시간을 그리고 수직 축은 전류를 나타낸다. S는 거의 사인곡선적으로 변조된 고주파 전류이다. A는 고주파 전류 S의 변조 주기에 걸쳐 평균화된 진폭이고, A'는 고주파 전류 S'의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의 진폭이다. 변조심도 M은 A'/A로 정해진다. C는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의 주기이다. 주기 C는 C=1/f로써 변조 주파수 f와 상관관계를 갖는다.
제3도는 여러 휘도 플럭스 값 및 여러 변조 주파수 f에 대한 여러 컬러 포인트들을 보인 것이다.
제3도에 컬러 트라이앵글 일부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4개의 곡선 R1, S1, T1 및 V1은 램프(이 경우에서는 컴팩트한 저압력 수은 램프이다)의 휘도 플럭스가 변화되지만은 변조 주파수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때 램프의 컬러 포인트의 시프트를 표시한다.
이용되는 변조 주파수는 곡선 R1, S1, T1 및 V1에 대해 각각 0, 8, 18 및 36㎑이다. 램프의 휘도 플럭스는 각 곡선의 포인트 1 내지 8에서 각각 600, 540, 480, 420, 360, 300, 240 및 180 루우멘이다.
변조심도 M은 50%이고, 고주파 전류 펄스의 반복 주파수는 50㎑이다.
제3도의 곡선 위치로부터 볼 때, 컬러 포인트의 위치는 만일 진폭 A뿐만 아니라 고주파 전류 펄스의 변조주파수 f(이것으로 램프가 동작됨)가 램프의 휘도 플럭스가 변화됨에 따라 조정되는 경우 휘도 플럭스의 값에 높은 정도로 독립적이게 됨이 분명하다.
예컨대, 만일 램프의 휘도 플럭스가 제3도 곡선 V1의 포인트 1로 나타내지는 램프 동작으로부터 시작하여 진폭 A의 조정을 통해 600 루우멘에서 420 루우멘으로 감소되면, 컬러 포인트는 곡선 V1의 포인트 4로 시프트 된다.
그러나, 만일 진폭 A가 조정되고 그리고 변조 주파수 f가 36㎑에서 18㎑로 변화되는 경우, 컬러 포인트는 곡선 T1의 포인트 4로 시프트된다. 제3도에서, 컬러 포인트의 시프트는 일정한 변조 주파수 f로 나타나는 곡선 V1의 포인트 4로의 시프트에 1/3이 된다.
추가로, 제3도에서 도일 휘도 플럭스를 갖는 포인트의 분포 위치는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컬러 포인트가 변조 주파수 f 및 진폭 A의 조정을 통해 소정의 휘도 플럭스로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조정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컬러 트라이앵글의 일부가 또한 제4도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4개의 곡선은 R2, S2, T2, 및 V2는 램프(여기서는 컴팩트한 저압력 수은 램프임)의 휘도 플럭스가 변화되고 반면에 변조 주파수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램프 컬러 포인트의 시프트를 나타낸다.
변조심도는 곡선 R2, S2, T2, 및 V2에 대해 각각 0, 20, 50 및 100%로 사용된다. 램프의 휘도 플럭스는 각 곡선의 포인트 1 내지 8에 대해 각각 600, 540, 480, 420, 360, 300, 240 및 180 루우멘이다. 고주파 전류 펄스의 반복 주파수는 50㎑이고 변조 주파수 f는 8㎑이다.
제4도의 위치로부터 볼 때, 컬러 포인트의 위치는 만일 진폭 A뿐만 아니라 거의 사인곡선적으로 변조된 고주파 전류 펄스의 변조 주파수 f(이것으로 램프가 동작됨)가 램프의 휘도 플럭스가 변화됨에 따라 조정되는 경우 휘도 플럭스의 값에 높은 정도로 독립적이게 됨이 분명하다.
예컨대, 만일 램프의 휘도 플럭스가 곡선 R2의 포인트 1로 나타내지는 램프 동작으로부터 시작하여, 일정한 변조심도에서 진폭 A의 조정을 통해 600 루우멘에서 360 루우멘으로 감소되는 경우, 컬러 포인트는 곡선 R2의 포인트 5로 크게 시프트된다.
그러나, 만일 진폭 A가 조정되는 그리고 변조심도 M이 0%에서 100%로 변화되는 경우 컬러 포인트에서 어떠한 시프트도 발생되지 않으며, 곡선 R2의 포인트 1은 곡선 V2의 포인트 5와 일치하게 된다.
추가로, 제4도에서 동일 휘도 플럭스를 갖는 포인트의 분포 위치는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컬러 포인트가 변조심도 M 및 진폭 A의 조정을 통해 소정의 휘도 플럭스로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조정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컴팩트한 저압력 수은 램프의 전력비는 9W로 사용된다. 램프관은 관형으로서 내부직경이 대략 10㎜이다. 충진 압력이 4 Mbar(300K에서)인 아르곤과 적정량의 수은이 램프관에 채워져 있다. Eu(3+)로 활성화되는 적색 발광 리트륨 산화물과 Tb(3+)로 활성화되는 녹색 발광 세륨-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의 혼합물로 구성된 발광층이 램프관의 벽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램프로 표 1 및 표 2에 보인 결과가 나타난다.
표 1은 램프가 어두운 상태에 있는 동안 진폭 A 및 변조 주파수 f가 조정되고 그리고 변조심도 M이 조정되는 경우 램프 컬러 포인트의 시프트를 보인 것이다. 유효 램프 전류가 진폭 A에 대한 측정치로써 표 1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식으로 해서, 램프에 의해 방사된 광의 컬러 포인트가 휘도 플럭스에 높은 정도로 독립적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 2는 3개의 서로 다른 휘도 플럭스 값을 예시한 것으로서, 진폭 A, 변조 주파수 f 및 변조심도 M을 조정함으로써 소정값의 휘도 플럭스로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서 램프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컬러 포인트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효 램프 전류가 전폭 A에 대한 측정치로써 표 2에 다시 나타나있다. 고주파 전류 S의 반복 주파수는 50㎑이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Claims (4)

  1. 고주파 전류로 저압력 수은 방전램프를 동작시키기에 적합한 회로장치로서 - 공급 전압으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회로와, - 변조 주파수 f 및 변조심도 M을 갖는 고주파 전류의 거의 사인곡선적인 진폭 변조를 위한 변조기와, 그리고 - 거의 사인곡선적으로 변조된 고주파 전류의 변조 주기에 걸쳐 평균화된 진폭 A를 조정하는 회로를 구비하며, 또한 이 회로장치에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를 일으키는 회로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로 변조 주파수 f에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도 변화 변조심도 M에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거의 사인곡선적인 변조에서의 변화도 변조심도 M 및 변조 주파수 f에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장치.
KR1019910001159A 1990-01-29 1991-01-24 회로장치 KR0182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000202A NL9000202A (nl) 1990-01-29 1990-01-29 Schakelinrichting.
NL9000200 1990-01-29
NL9000200 1990-01-29
NL9000202 1990-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99A KR910015199A (ko) 1991-08-31
KR0182293B1 true KR0182293B1 (ko) 1999-05-15

Family

ID=2664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159A KR0182293B1 (ko) 1990-01-29 1991-01-24 회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0014A (ko)
EP (1) EP0439861A1 (ko)
JP (1) JP3092954B2 (ko)
KR (1) KR0182293B1 (ko)
HU (1) HU2055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262B1 (ko) * 2002-06-29 2004-11-18 (주)세광에너텍 램프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9279A (en) * 1992-08-01 1994-02-02 Coolite Ltd Fluorescent Tube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US5371440A (en) * 1993-12-28 1994-12-0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High frequency miniature electronic ballast with low RFI
US5404094A (en) * 1994-03-18 1995-04-04 Holophane Lighting, Inc. Wide input power supply and method of converting therefor
DE59510867D1 (de) * 1995-05-23 2004-04-08 Praezisa Ind Elektronik Verfahren bzw. Vorrichtung zum Betrieb einer Hochdruckentladungslampe
WO1997022232A1 (en) * 1995-12-08 1997-06-19 Philips Electronics N.V. Ballast system
JPH11500860A (ja) * 1995-12-08 1999-01-19 フィリップス、エレクトロニクス、ネ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バラスト・システム
US5684367A (en) * 1996-01-16 1997-11-04 Osram Sylvania Inc. Color control and arc stabilization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FR2745460B1 (fr) * 1996-02-28 1998-08-07 Vinel Paul Louis Procede et dispositifs d'alimentation de lampes a decharge en haute frequence par couplage resonant adapte
US6225754B1 (en) 1996-10-21 2001-05-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apparatus for a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TW348363B (en) * 1996-10-21 1998-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ng method and operating apparatus for a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US5907218A (en) * 1996-12-09 1999-05-25 The Whitaker Corporation Fluorescent lighting assembly with integral ballast
CH692375A5 (de) 1997-10-10 2002-05-15 Amteca Ag Versorgungsschaltung für eine Leuchtröhrenanlage.
US6229269B1 (en) 1999-05-21 2001-05-08 Osram Sylvania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charge lamp
US6184633B1 (en) * 1999-06-17 2001-02-0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Reduction of vertical segregation in a discharge lamp
US6680582B1 (en) * 2000-10-06 2004-0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employing pulse width modulation for reducing vertical segregation in a gas discharge lamp
GB2375444A (en) 2001-05-09 2002-11-13 Simsoarica Ltd Improved lamp colour control for dimmed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s
US6465972B1 (en) * 2001-06-05 2002-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elimination of striations in linear lamps
ATE434920T1 (de) * 2005-09-12 2009-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m betrieb einer hochintensitätsentladungslampe, lampentreiber und projektionssystem
WO2007085972A1 (en) * 2006-01-24 2007-08-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ssembly for generating ultraviolet radiation, and tanning device comprising such as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5589A1 (de) * 1972-07-14 1974-01-31 Thorn Electrical Ind Ltd Mit hoeheren frequenzen arbeitende entladungslampe
GB1575834A (en) * 1977-06-13 1980-10-01 Gen Electric High pressure sodium vapour lamp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4701671A (en) * 1982-05-27 1987-10-20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High-frequency oscillator-inverter ballast circuit for discharge lamps
US4498031A (en) * 1983-01-03 1985-02-0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Variable frequency current control device for discharge lamps
US4652797A (en) * 1985-01-22 1987-03-24 Nilssen Ole K Electronic ballast with high power factor
US4916362A (en) * 1988-04-05 1990-04-10 Neon Dynamics Corporation Excitation supply for gas discharge tub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262B1 (ko) * 2002-06-29 2004-11-18 (주)세광에너텍 램프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56682A (en) 1991-09-30
JPH04212296A (ja) 1992-08-03
US5150014A (en) 1992-09-22
JP3092954B2 (ja) 2000-09-25
KR910015199A (ko) 1991-08-31
HU910278D0 (en) 1991-08-28
EP0439861A1 (en) 1991-08-07
HU205516B (en)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293B1 (ko) 회로장치
KR100225723B1 (ko) 회로장치
KR0182295B1 (ko) 회로장치
US4926097A (en) Ballast circuit for a fluoroescent lamp
KR0182294B1 (ko) 회로장치
KR100228653B1 (ko) 희가스 방전램프를 사용하는 고주파 조명장치
US4128789A (en) Method of operating gaseous discharge lamps
JP2712531B2 (ja) 高圧放電灯の点灯装置
NL9000202A (nl) Schakelinrichting.
JPH0665176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