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236B1 -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236B1
KR0182236B1 KR1019960006884A KR19960006884A KR0182236B1 KR 0182236 B1 KR0182236 B1 KR 0182236B1 KR 1019960006884 A KR1019960006884 A KR 1019960006884A KR 19960006884 A KR19960006884 A KR 19960006884A KR 0182236 B1 KR0182236 B1 KR 018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gsm
cdma
subscrib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259A (ko
Inventor
한성수
신정금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6000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236B1/ko
Publication of KR97006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 등과 같이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에 연결되되, GSM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과 CDMA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CDMA 가입자가 상기 GSM 망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과 CDMA 인증 센터사이에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CDMA 방문지 인증 센터;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에 연결되되, GSM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과 CDMA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GSM 가입자가 상기 CDMA 망으로 이동시 상기 GSM 시스템에서 취득해 온 인증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있으면서 CDMA 방문지 위치 등록기에 대하여 GSM 가입자의 인증 센터로 동작하여 GSM가입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GSM 방문지 인증 센터를 구비하여, CDMA 망과 GSM 망간의 상호 인증이 빠른 시간내에 가능하고, 수입상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지 인증 센터의 연결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지 인증 센터의 상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가입자가 GSM 망으로 이동시 인증 방법의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가입자가 GSM 망으로 이동시 인증 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CDMA 망 102 : 방문지 인증 센터
103 : GSM 망 201 : 데이터베이스
202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203 : 응용 서비스부
204 : 신호 처리부 205 : 운용관리/유지보수부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 등과 같이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증이란 해당 가입자가 적법한 가입자임을 확인해 주는 과정으로서, 부정 사용 방지 및 원활한 과금을 위하여 가입자 단말기와 사업자의 인증 센터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절차이다.
GSM 망과 GDMA 망은 인증을 위하여 각자 독자적으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시켜 왔다. 때문에 GSM 가입자가 IS-95 기반의 CDMA 망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CDMA 가입자가 GSM망으로 이동하였을 때와 같이, 가입자가 홈시스템과 다른 인증 절차를 갖는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두가지 인증 절차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별도의 인증 절차가 요구된다.
GSM 인증 절차는 가입자 인증 데이터 생성 및 취득 단계와 가입자 인증 단계의 2단계로 분류된다.
첫번째의 가입자 인증 데이터 생성 및 취득 단계란 현재 가입자를 서비스하고 있는 영역의 방문지 위치 등록기(VLR : Visiting Location Register)가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나 인증 센터(AUC : Authentication Center)로부터 난수와 그 난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생성된 인증자의 쌍을 취득해오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되는 난수는 인증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서 임의로 선택되며, 일반적으로 가입자 위치 등록시 또는 방문지 위치 등록기(VLR)가 저장하고 있던 인증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 이러한 절차를 수행한다.
두번째의 가입자 인증 단계는 방문지 위치 등록기가 가입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실제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로, 가입자 발호나 착호, 위치 등록시 등에 수행된다. 이때, 방문지 위치 등록기는 이전 가입자 인증 데이터 생성 및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난수를 입력값으로 지정하고, 가입자 단말기는 지정된 난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생성된 인증자를 반송하여 반송된 값과 방문지 위치 등록기가 저장하고 있는 인증자의 값을 비교하므로써 가입자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증 절차의 특징은 실제 가입자 인증 수행시에는 모든 절차가 방문지 위치 등록기에서 수행되므로 가입자 인증을 위해 소요되는 신호 트래픽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가입자가 타망으로 이동하더라도 호설정시 인증으로 인한 지연 시간이 거의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DMA 망은 GSM 인증 절차와 상이한 형태의 인증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GSM 인증절차와 비교되는 CDMA 인증 절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GSM 인증 절차에서 처럼 인증 데이터가 미리 생성되어 현재 가입자를 서비스하고 있는 방문지 위치 등록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인증이 요구된 시점 즉, 가입자가 서비스를 요구한 시점에 생성된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인증 수행시 가입자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입력값은 시스템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입자 단말기가 임의로 인증 요구 당시의 활용 가능한 값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값을 가지고 인증을 수행했는지를 시스템에 알려주기 위하여 해당 난수값을 생성된 인증자와 함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 데이터가 다시 인증 센터로 전송되어 인증 센터가 전송된 난수를 입력값으로 하여 생성한 인증자와 전송된 인증자를 비교함으로써 인증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CDMA 인증 절차에서는 매 호마다 인증을 위해서 인증 센터 또는 인증 기능을 수행가능한 타 시스템으로 처리 절차가 확장되어야 한다. 즉, 방문지 위치 등록기에서 인증 센터로의 추가 메세지 교신이 요구된다.
위와 같이 서로 상이한 구조의 인증 절차를 갖는 두 시스템간의 상호 로밍시 인증을 수행하였을 때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CDMA 가입자가 GSM 망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이 CDMA 인증 센터로 인증 데이터를 요구했을 때, CDMA 인증 절차에는 이러한 절차가 없기 때문에 CDMA 시스템이 이에 대한 응답을 해 줄 수 없다.
둘째, GSM 가입자가 CDMA 망으로 이동시 CDMA 시스템은 매호마다 GSM 시스템으로 인증 요구를 보내야 하기 때문에 호설정 시간상의 심각한 지연을 초래한다.
세째, CDMA 시스템이 GSM 시스템으로 인증 요구를 보내더라도 GSM 인증 절차에서는 이와 같이 인증 센터나 홈 위치 등록기(HLR)로 직접 인증을 요구하는 절차가 없기 때문에 GSM 시스템이 이에 대한 응답을 해 줄 수 없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 등과 같이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하여 GSM 인증 절차와 CDMA 인증 절차 등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에 연결되되, GSM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과 CDMA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CDMA 가입자가 상기 GSM 망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과 CDMA 인증 센터사이에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중게하기 위한 CDMA 방문지 인증 센터 ;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에 연결되되, GSM 인즐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과 CDMA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GSM 가입자가 상기 CDMA 망으로 이동시 상기 GSM 시스템에서 취득해 온 인증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있으면서 CDMA 방문지 위치 등록기에 대하여 GSM 가입자의 인증 센터로 동작하여 GSM 가입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GSM 방문지 인증 센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CDMA 가입자가 GSM 망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이 CDMA 가입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DMA 가입자가 상기 GSM 망으로 이동시 상기 GSM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요구하면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가 방문지 인증 센터를 통하여 CDMA 인증 센터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는 제1단계; 상기CDMA 인증 센터는 가입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를 통하여 상기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는 GSM 인증 절차로 CDMA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GSM 가입자가 CDMA 망으로 이동시 CDMA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요구하면 CDMA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는 인증 요구 메세지를 방문지 인증 센터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가 GSM 시스템으로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면 상기 GSM 시스템은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는 상기 GSM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일 시도 절차로 GSM 가입자를 인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지 인증 센터의 연결 구성도로써, 101은 CDMA 망, 102는 방문지 인증 센터, 103은 GSM 망을 각각 나타낸다.
방문지 인증 센터(102)란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되는 시스템으로 GSM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과 CDMA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방문지 인증 센터(102)가 수행하는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로 다른 인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GSM 인증 절차와 CDMA 인증 절차사이에서 일종의 프로토콜 변환기 역할을 수행하여 CDMA 가입자가 GSM 망(103)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과 CDMA 인증 센터사이에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중계한다.
둘째, GSM 가입자가 CDMA 망(101)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에서 취득해 온 인증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있으면서, CDMA 방문지 위치 등록기에 대하여 GSM 가입자의 인증센터로 동작하면서 GSM 가입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처럼 방문지 인증 센터(102)가 CDMA 망(101)과 GSM 망(103)사이에서 일종의 중재기능을 하므로써, GSM 시스템과 CDMA 시스템은 서로간에 인증 절차상의 상이성을 느끼지 못하고 자체 인증 절차로 이동 가입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GSM 가입자가 CDMA 망(101)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GSM 가입자가 CDMA 인증 절차에 의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고, 반대로 CDMA 가입자가 GSM 망(103)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CDMA 가입자가 GSM 인증 절차에 의하여 인증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CDMA 망(101)에서 GSM 가입자 인증시 매번 GSM 시스템으로 인증 요구를 보내는 대신 방문지 인증 센터(102)를 사용하므로써, 빠른 시간내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지 인증 센터의 상세 구성도로써, 201은 데이터베이스, 202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203은 응용 서비스부, 204는 신호 처리부, 205는 운용관리/유지보수부를 각각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DataBase)(201)는 GSM 가입자가 CDMA 망에 이동하였을 때, GSM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해 온 가입자 인증 데이터 및 GSM 망에서 활동하고 있는 CDMA 가입자의 인증 데이터 등의 가입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블럭으로, 시스템 성격상 주기억 장치에 상주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DataBase Management System)(202)는 응용 서비스부(203)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01)에 접근하기 위한 통로를 열어 주는 부분으로 실시간 시스템이다.
응용 서비스부(ASE : Application Service Element)(203)는 인증 요구(Authemtication Request), 인증 방향 요구(Authentication Directive Request), 비밀 상태 보고(Security Status Report) 등의 CDMA 맵(MAP)과 맵 인증 정보 요구(MAP-Athentication-info-Request) 등의 GSM 맵(MAP)을 처리하기 위한 블럭이며, 신호 처리부(204)는 맵(MAP)을 전달하기 위한 블럭이다.
마지막으로 운용관리/유지보수부(205)는 시스템 운용을 위한 운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타 시스템 관리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블럭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가입자가 GSM 망으로 이동시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CDMA 가입자는 GSM 망 영역으로 이동시(301) 먼저 GSM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요구한다(302). 이때, GSM 시스템은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에 앞서서 인증을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해당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가 해당 가입자의 인증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방문지 인증 센터(102)를 통하여 CDMA 인증 센터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요구한다(303).
가입자 인증 데이터 요구 메세지를 받은 CDMA 인증 센터는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304) 생성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다시 방문지 인증 센터(102)를 통하여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로 전송한다(305).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획득한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는 타 GSM 가입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CDMA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에(306) 인증이 성공인지를 판단하여(307) 해당 인증 절차가 성공하였을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종료하며(308), 해당 인증 절차가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거부하고 종료한다(309).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GSM 가입자가 CDMA 망으로 이동시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GSM 가입자가 CDMA 망 영역으로 이동시(401) GSM 가입자는 먼저 CDMA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요구한다(402). 이때, GSM 가입자는 타 CDMA 가입자 처럼 임의의 난수 하나를 선택하여 인증자를 생성하여 위치 등록 요구 메세지에 함께 실어 보낸다. 위치 등록 요구를 수신한 CDMA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는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에 앞서서 위치 등록 메세지에 함께 실려온 난수와 인증자를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 요구 메세지를 방문지 인증 센터(102)로 전송한다(403).
인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방문지 인증 센터(102)는 해당 가입자가 GSM 가입자임을 확인하고, GSM 시스템으로 인증 데이터를 요구한다(404). 인증 데이터 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GSM 시스템은 임의의 난수를 선택하여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405) 생성된 인증 데이터를 다시 방문지 인증 센터(102)로 전송한다(406).
이러한 방식으로 방문지 인증 센터(102)는 GSM 가입자의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는 성공하나 해당 GSM 가입자를 타 CDMA 가입자 처럼 인증 요구 메세지에 실려온 난수 및 인증자로 바로 인증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이유는 방문지 인증 센터(102)가 전송한 인증 요구 메시지에 실려온 난수와 GSM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난수가 서로 다르므로 해당 난수를 입력 파라미터로 하여 생성된 인증자 역시 같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방문지 인증 센터(102)는 인증 요구 메세지에 실려온 인증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GSM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일 시도 절차로 GSM 가입자를 인증한다(407). 유일 시도란 CDMA 인증 절차중 인증 센터에서 지정한 값을 입력 파라미터로 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방문지 인증 센터(102)는 GSM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난수를 유일 시도의 입력 파라미터로 지정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인증이 성공인지를 판단하여(408) 해당 인증 절차가 성공하였을 경우에 CDMA시스템은 비로소 GSM가입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종료하며(409), 해당 인증 절차가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거부하고 종료한다(41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방문지 인증 센터를 사용함으로써 CDMA 망과 GSM 망간의 상호 인증이 빠른 시간내에 가능하고, 가입자 인증을 통하여 부정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수입상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에 연결되되, GSM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과 CDMA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CDMA 가입자가 상기 GSM 망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과 CDMA 인증 센터사이에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CDMA 방문지 인증 센터;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GSM(Group Special Mobile) 망에 연결되되, GSM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과 CDMA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여 GSM 가입자가 상기 CDMA 망으로 이동시 상기 GSM 시스템에서 취득해 온 인증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있으면서 CDMA 인증 방문지 위치 등록기에 대하여GSM 가입자의 인증 센터로 동작하여 GSM 가입자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GSM 방문지 인증 센터를 포함하는 방문지 인증 센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는, 상기 GSM 가입자가 상기 CDMA 망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GSM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인증 데이터 및 GSM 망에서 활동하고 있는 CDMA 가입자의 인증 데이터 등의 가입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실시간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 인증 요구(Authemtication Request), 인증 방향 요구(Authentication Directive Request), 비밀 상태 보고(Security Status Report)등의 CDMA 맵(MAP)과 맵 인증 정보 요구(MAP-Athentication-Info-Request) 등의 GSM 맵(MAP)을 처리하기 위한 응용 서비스 처리 수단; 상기 GSM 맵(MAP)을 전달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및 시스템 운용을 위한 운용자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 관리에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운용관리/유지보수 수단을 포함하는 방문지 인증 센터.
  3. CDMA 가입자가 GSM 망으로 이동시 GSM 시스템이 CDMA 가입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DMA 가입자가 상기 GSM 망으로 이동시 상기 GSM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요구하면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가 방문지 인증 센터를 통하여 CDMA 인증 센터로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는 제1단계; 상기 CDMA 인증 센터는 가입자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를 통하여 상기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GSM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는 GSM 인증절차로 CDMA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DMA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에 인증이 성공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인증 절차가 성공하였을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 인증 절차가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거부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 방법.
  5. GSM 가입자가 CDMA 망으로 이동시 CDMA 시스템에 위치 등록을 요구하면 CDMA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는 인증 요구 메세지를 방문지 인증 센터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가 GSM 시스템으로 인증 데이터를 요구하면 상기 GSM 시스템은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는 상기 GSM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일 시도 절차로 GSM 가입자를 인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SM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에 인증이 성공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인증 절차가 성공하였을 경우에 상기 CDMA 시스템은 상기 GSM 가입자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 인증 절차가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거부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증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GSM 가입자가 상기 CDMA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GSM가입자는 타 CDMA 가입자 처럼 임의의 난수 하나를 선택하여 인증자를 생성하여 위치 등록 요구 메세지에 실어서 상기 CDMA 시스템에서 위치 등록을 요구하는 제5단계; 및 위치 등록 요구를 수신한 상기 CDMA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는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에 앞서서 위치 등록 메세지에 함께 실려온 난수와 인증자를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증 요구 메세지를 상기 방문지 인증 센터로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
KR1019960006884A 1996-03-14 1996-03-14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KR018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884A KR0182236B1 (ko) 1996-03-14 1996-03-14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884A KR0182236B1 (ko) 1996-03-14 1996-03-14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59A KR970068259A (ko) 1997-10-13
KR0182236B1 true KR0182236B1 (ko) 1999-05-15

Family

ID=1945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884A KR0182236B1 (ko) 1996-03-14 1996-03-14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68A (ko) * 1998-09-03 2000-04-06 구자홍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통신방법
KR20020006985A (ko) * 2000-07-14 2002-01-26 정재윤 인증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이 기종 인증시스템의 인증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59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6852B1 (en) Authentication failure trigger method and apparatus
US6711400B1 (en) Authentication method
US561321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henticating system
US8555345B2 (en) User authentication and authoris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949945B2 (en) Distributed network management hierarchy in a multi-st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57295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onymous data transf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65340B1 (en) Arranging authentication and ciphe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763112B1 (en) Security procedure in universal mobile telephone service
US9031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ing of roaming
US20060046710A1 (en) Test system for checking transmission processes in a mobile radio network,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mobile telephone using one such test system
TW200307441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user of data transfer device
JPH11127468A (ja) 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40010713A1 (en) EAP telecommunication protocol extension
EP1411475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including first and second access point
WO2006079953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0182236B1 (ko) 서로 상이한 인증 절차를 가지는 망간을 상호 인증하기 위한 방문지 인증 센터 및 그를 이용한 서로 상이한 망간의 상호 인증 방법
US20050102519A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 user for a service offered via a communication system
JPH0759154A (ja) 網間認証鍵生成方法
KR100683807B1 (ko) 인증센터와 교환기간 직접 연동을 통한 휴대용단말기의인증 시스템 및 방법
RU2282952C2 (ru) Способ запрос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гласия на определение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радиосвяз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еть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0930795A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 mobile subscriber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JPH04264864A (ja) パーソナル通信発信信号認証方式
KR100277687B1 (ko) 지능망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 페이징 서비스 방법
EP1580936A1 (en) Subscriber authentication
JPH04268848A (ja) パーソナル通信発信信号認証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