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692B1 - Fend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 Google Patents

Fend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692B1
KR0181692B1 KR1019980022981A KR19980022981A KR0181692B1 KR 0181692 B1 KR0181692 B1 KR 0181692B1 KR 1019980022981 A KR1019980022981 A KR 1019980022981A KR 19980022981 A KR19980022981 A KR 19980022981A KR 0181692 B1 KR0181692 B1 KR 018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impact
shock
outer panel
f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키토 사카이
마사노부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츠지 요시후미
닛산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78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272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060789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2065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06078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12065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0607892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20658B2/en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50009110A external-priority patent/KR0162164B1/en
Application filed by 츠지 요시후미, 닛산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지 요시후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6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펜더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 돌출부(1110)에서 굽어 있으며, 용이하게 파괴되도록 단차부(FA)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벽(1101)이 형성된 펜더판넬(1100)과, 변형시에 펜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펜더의 수직벽에 배치된 보강층과, 변형된 상기 보강층을 정지시키기 위한 후드릿지 보강부재(1200)를 가지며, 상기 보강층의 충격에너지 흡수율은 상기 펜더판넬의 가장 짧은 스트로크에서 머리 충격기준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충돌시에 발생된 충격에너지가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따라서 흡수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에 자동차의 펜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의 펜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der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which is bent at an upper protrusion 1110, and has a fender panel 1100 having a vertical wall 1101 on which a step FA is formed so as to be easily broken. It has a reinforcement layer disposed on the vertical wall of the fend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fender, and a hood ridge reinforcement member 1200 for stopping the deformed reinforcement layer,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reinforcement layer is the shortest of the fender panel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head impact criterion in the stroke,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is determined to be absorbed according to the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It relates to a fender structure.

Description

자동차의 펜더구조물Fender Structur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상측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하는 경우에 보행자의 머리(충격시험의 경우는 머리충격체)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방 상측체에 가해진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방 상측(예를 들면, 후드 및 펜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upper structure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 pedestrian,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front upper body of the vehicle can be effectively absorbed by the head of the pedestrian (in the case of an impact test). It relates to a front upper side (eg hood and fender)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이런 종류의 후드구조물의 일례가 일본국 공개 특허출원 번호 제61-26682호에 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is kind of hood structure is shown in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61-26682.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런 종래의 후드구조물에 있어서 내측판넬(7)은 후드(1)의 후드 외측판넬(3)의 내측면(엔진룸(5)의 측면)에 부착된다. 내측판넬(7)은 프레임체(9)와 프레임체(9)를 보강하기 위해 프레임체(9)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리브(11)로 구성된다. 프레임체(9)는 프레임체(9)의 양 후방측면에 부착된 두개의 후드 힌지(13)를 통해 차체에 피봇상태로 지지된다.As shown in FIG. 1A, in this conventional hood structure, the inner panel 7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side of the engine room 5) of the hood outer panel 3 of the hood 1. The inner panel 7 is composed of a frame 9 and an inner rib 1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9 to reinforce the frame 9. The frame body 9 is pivotally supported on the vehicle body via two hood hinges 13 attached to both rear sides of the frame body 9.

또한,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5)위에 위치하는 두개의 내측리브(11)사이에는 평판부(17)가 형성되며, 평판부(17)에는 다수의 펀치가공된 돌출편(19)(평판부(17)를 펀치로 절제하여 굴곡편(19)이 하방 엔진쪽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형성)이 형성된다. 제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펀치가공 돌출편(19)의 단면형상은 대략 원형의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부는 평판부(17)에 연결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1B, a flat plate portion 17 is formed between two inner ribs 11 positioned on the engine 15, and the flat plate portion 17 has a plurality of punched protrusions 19. ) (Formed so that the flat plate 17 is cut out with a punch so that the curved piece 19 can protrude toward the lower engine side). As shown in FIG. 1C,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punching protruding piece 19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flat plate portion 17.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은 후드구조물에 있어서,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 외측판넬(3)의 외측면과 충돌하는 경우에 후드 외측판넬(3)과 내측리브(11)는 엔진룸(5)속으로 변형되며, 펀치가공 돌출편(19)도 엔진(15)과 충돌하여 압착변형된다. 따라서, 펀치가공 돌출편(19)의 변형때문에 아울러 후드(1)의 이동거리(앞으로 '스트로크'라고 칭한다)를 줄임으로서 엔진(15)위의 후드(1)에 가해진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In the hoo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d of the pedestrian collide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3, the hood outer panel 3 and the inner rib 11 are deformed into the engine room 5, The punch machining protrusion 19 also collides with the engine 15 and is deformed by compression. Therefore,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hood 1 on the engine 15 can be absorbed by reducing the moving dist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oke') of the hood 1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punching protrusion 19. .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에너지가 후드(1)에 의해 흡수되더라도 보행자의 머리에 가해진 충격에너지는 실제로 반드시 안전하게 줄어들 수 없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impact energy is absorbed by the hood 1,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head of the pedestrian may not necessarily be safely reduced in practice.

머리충격특성에 대한 실험 데이타로서, 제2도에 도시한 WSTC(Wayne State Tolerance Curve)가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1983년 9월 30일 일본 자동차기술협회에서 발행된 [New Automotive Vehicle Engineering Manual제3판]의 2-30페이지와 1980년 3월 20일 Sankaido Inc.에서 발행된 [Automotive Vehicle Engineering Encyclopedia제16권]의 201-203페이지에 제시되어 있다.As experimental data on the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head, the WSTC (Wayne State Tolerance Curve) shown in FIG. 2 is well known so far, which is produced by the New Automotive Vehicle Engineering Manual issued by the Japan Automotive Technology Association on September 30, 1983. 3rd edition], pages 2-30 and 201-203 of [Automotive Vehicle Engineering Encyclopedia, Vol. 16] published by Sankaido Inc. on March 20, 1980.

이런 WSTC에 있어서, 변수로서 유효가속도(G)가 사용된다. 이 유효가속도(G)는 가속도의 적분치를 시간(ms)으로 나누어 얻어진 평균 가속도이다. 그러므로, 유효가속도는 충돌의 경우에 보행자의 머리에 의해 받아들여진 평균작용력에 해당한다.In this WSTC, effective acceleration (G) is used as a variable. This effective acceleration G is the average acceleration obtained by divi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acceleration by the time (ms). Therefore, the effective acceleration corresponds to the average effort taken by the head of the pedestria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제2도에 도시한 WSTC는 머리 충격체(층돌의 경우에는 보행자의 머리)에 의해 받아들여진 평균작용력이 어느 정도 작고(예를 들면, 유효가속도=G1), 시간이 긴 경우(예를 들면, 시간T1)라도 머리 충격체에 가해진 충격에너지가 위험영역에 도달한다. 한편, 머리 충격체(보행자의 머리)에 의하여 받아들여진 평균작용력이 어느 정도 크고(예를 들면, 유효가속도=G2), 시간이 극히 짧은 경우(예를 들면, 시간T2)라도 충격에너지는 위험영역에 도달하지 않고 안전영역으로 유지된다.The WSTC shown in FIG. 2 has a small average action force (e.g. effective acceleration = G1) received by the head impactor (the head of a pedestrian in the case of a stratification) and a long time (e.g., Even at time T1), the impact energy applied to the head bombardment reaches the danger zone.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average working force received by the head impactor (pedestrian's head) is somewhat large (e.g. effective acceleration = G2) and the time is extremely short (e.g., time T2), the impact energy is in the dangerous area It is kept in the safe area without reaching.

다시 말해서, 머리충격특성은 가속도와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머리충격특성은 큰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더라도 반드시 감소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비교적 긴 시간동안에 비교적 작은 작용력을 유지하지 않고도 소정의 짧은 시간 내에 보행자의 머리에 가해진 초기 작용력을 어느 정도 증대시킴으로써 머리 충격특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is determined based on acceleration and time,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is not necessarily reduced even when a large impact energy is absorbed. In other words,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initial acting force applied to the head of the pedestrian to some extent within a predetermined short time without maintaining a relatively small acting force for a relatively long time.

또한, WSTC는 가해진 가속도가 선형이라 가정할 때 얻어진 실험 데이터이다.In addition, WSTC is experimental data obtained assuming that the applied acceleration is linear.

그러나, 실제로는 후드와의 충격시에 머리 충격체에 의해 받아들여진 실제의 충격에너지는 선형이 아니라 오히려 복잡한 가속도 파형을 갖기 때문에 WSTC를 보행자 머리에 대한 실제충격에 직접 적용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충격체를 사용하여 WSTC와 여러 가지 충격 시험결과에 기초하여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HIC(Head Injury Criterion)값을 채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In practice, however, the WSTC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actual impact on the pedestrian head because the actual impact energy received by the head impactor upon impact with the hood is not linear but rather has a complex acceleration waveform. Therefore, a method of employing a HIC (Head Injury Criterion) value is well known as a method of evaluating safety based on WSTC and various impact test results using an impact body.

여기서 HIC값은 다음의 식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The HIC value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서, t1 및 t2는 가속도가 가해지는 소정 시간(0t1t2)을 나타내며, a(t)는 머리의 중력 중심에서의 가속도를 나타낸다. HIC값이 작을수록 안전성이 높아질 것이며, 그 안전한계는 일반적으로 HIC=1000으로서 결정된다.Here, t1 and t2 represent a predetermined time (0t1t2) when the acceleration is applied, and a (t) represents the acceleration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ead. The smaller the HIC value, the higher the safety will be. The safety limit is generally determined as HIC = 1000.

상기 식에 따르면 HIC값은 (1)먼저, 시간 t1과 t2 사이의 평균가속도를 얻고, (2)얻어진 평균가속도 a12를 2.5승까지 증대시키고, (3)증대된 가속도에 시간(t2-t1)을 곱함으로써 얻어진 것의 최대치로서 계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충격행동(가속도 파형)이 다를 때 HIC값이 원칙적으로 다르므로 HIC값은 평균가속도 a12와 시간(t2-t1)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평균 가속도 a12와 시간 (t2-t1)사이의 관계는 후드 작용력과 후드 스트로크(이동거리)사이의 관계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후드의 작용력과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HIC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the HIC value (1) first obtains an average acceleration between the times t1 and t2, (2) increases the obtained average acceleration a 12 to 2.5 powers, and (3) increases the time (t2-t1) to the increased acceleration. Can be calculated as the maximum of what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refore, since the HIC value differs in principle when the impact behavior (acceleration waveform) is different, the HIC valu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acceleration a 12 and the time t 2 -t 1. Further,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acceleration a 12 and the time t2-t1 can be repla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od action force and the hood stroke (movement distance), the HIC valu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action force and the stroke of the hood.

상술한 바와 같이, 큰 충격에너지량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HIC값은 반드시 균일하게 감소되지 않으며, 즉 흡수된 충격에너지량이 같다고 하더라도 HIC값이 서로 다른 경우가 생긴다. 또한, HIC값이 후드상의 단일 점에서만 작더라도 후드상의 다른 점에서는 HIC값이 큰 경우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a large amount of impact energy can be absorbed, the HIC value does not necessarily decrease uniformly, that is, even if the amount of absorbed impact energy is the same, the HIC valu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even if the HIC value is small only at a single point on the hood, the HIC value may be large at other points on the hood.

따라서,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후드구조물에 있어서, 단면이 원형의 원호형으로 변형된 펀치가공 돌출편(19)을 붕괴하기 위한 작용력은 갑자기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긴 시간동안 비교적 큰 작용력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머리충격특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펀치가공 돌출편(19)의 붕괴 작용력을 감소시키고 후드의 스트로브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제1a도와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후드구조물에 있어서, 후드의 스트로크를 증대시키기 위해 엔진으로부터 수직하게 비교적 높은 위치에 후드를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자동차의 전방 시야각이 좁아지는 다른 문제점이 생긴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hood structure as shown in FIG. 1A, the force for collapsing the punching protrusion 19 whose cross section is deformed into a circular arc is not increased suddenly, so that it is relatively large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orking force is maintain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llapse force of the punching protrusion 19 and to increase the strobe of the hood. 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hood structure as shown in Figs. 1A and 1B,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hoo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vertically from the engine to increase the stroke of the hood, so that the front view angle of the vehicle is narrowed. Problems arise.

그러므로, 상기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 또는 펜더의 비교적 짧은 스트로크에도 불구하고 충격에너지를 충분하고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는, 즉 머리충격특성을 줄이기 위해 HIC(Head Injury Criterion)값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전방 상측(예를 들면, 후드, 펜더 등)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HIC (Head Injury Criterion) value effectively to absorb shock energy sufficiently and safely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stroke of the hood or fender, that is, to reduce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s. To provide a front upper side of the vehicle (eg, hood, fender, etc.).

제1a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od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hicle.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한 후드의 요부만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FIG. 1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main parts of the hood shown in FIG. 1A. FIG.

제1c도는 제1b도에 도시한 선1C-1C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C-1C shown in FIG. 1B.

제2도는 여러 가지 유효가속도와 시간사이의 관계에 근거하여 안전영역과 위험영역을 나타내는 도표.2 is a diagram showing the safe area and the dangerous area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ffective accelerations and time.

제3도는 제4도에 도시한 선3-3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의 제1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pecific example of the ho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3-3 shown in FIG.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후드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hood shown in FIG.

제5도는 충격흡수체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shock absorber.

제6도는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을 나타내는 도표.6 is a diagram showing an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제7a도 내지 제7c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1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 개의 기본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7A to 7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ree basic structures for explaining the first specific example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a도 내지 제8c도는 후드 작용력(F)과 후드 스트로크(S)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로서, 제8a도는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과 함께 제7a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물에 해당하는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1)을 나타내며, 제8b도는 제7b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물에 해당하는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2)을 나타내며, 제8c도는 제7c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물에 해당하는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3)을 나타낸다.8a to 8c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od action force F and the hood stroke S. FIG. 8a corresponds to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7a with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1 is shown, and FIG. 8b shows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2 corresponding to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7b, and FIG. 8c is the impact energy corresponding to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7c. The absorption waveform (C3) is shown.

제9도는 갭(후드 외측판넬과 엔진사이의 갭)과 HIC값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9 is a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p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and the engine) and the HIC value.

제10a도 및 제l0b도는 다른 기본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10A and 1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basic structures.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실제의 충격흡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1A to 11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ctual shock absorber.

제12도는 후드구조물의 제1구체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specific example of the hood structure.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한 충격흡수체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FIG. 1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12; FIG.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실제의 충격흡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4A to 14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ctual shock absorber.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의 제2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후드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hood shown in FIG.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한 선17-17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7-17 shown in FIG.

제18도는 흡음재가 제공된 충격흡수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act absorber provided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의 제3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한 선20-20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0-20 shown in FIG. 19. FIG.

제21a도 내지 제21e도는 충격시험에서 기본 구조물의 변형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21A to 21E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deformation order of the basic structure in the impact test.

제22a도 내지 제22e도는 충격시험에서 제3구체예의 후드의 변형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22A to 22E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deformation procedure of the hood of the third embodiment in the impact test.

제23도는 제3구체예의 기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4)과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을 나타내는 도표.23 is a chart showing the basic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4) and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of the third embodiment.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4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5도는 제24도에 도시한 선25-25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5-25 shown in FIG.

제26도는 제24도에 도시한 후드구조물의 제4구체예의 요부만을 나타내는 평면도.FIG. 26 is a plan view showing only main parts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shown in FIG. 24; FIG.

제27도는 제26도에 도시한 선27-27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27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7-27 shown in FIG.

제28도는 제26도에 도시한 선28-28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28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8-28 shown in FIG.

제29도는 제4구체예의 기본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2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fourth embodiment.

제30도는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1)을 나타내는 도표.FIG. 30 is a plot showing the basic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1) along with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제31도는 제4구체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3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fourth concrete example.

제32도는 후드구조물의 제4구체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32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concrete example of the hood structure.

제33도는 제32도에 도시한 선33-33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33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33 shown in FIG.

제3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5구체예의 요부만을 나타내는 단면도.3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only main parts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5도는 제34도에 도시한 제5구체예를 나타내는 사시도.3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34;

제3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의 제6구체예의 요부만을 나타내는 사시도.3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main parts of a sixth embodiment of a ho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7도는 제36도의 선37-37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37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7-37 of FIG. 36;

제38도는 제6구체예의 기본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3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sixth embodiment.

제39도는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21) 및 (C22)을 나타내는 도표.FIG. 39 is a chart showing the basic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s C21 and C22 together with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제4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의 제7구체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seventh specific example of a ho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1도는 제40도의 선41-41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4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1-41 of FIG. 40. FIG.

제42도는 제7구체예의 기본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4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seventh embodiment.

제43도는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에너지 파형(C23)을 나타내는 도표.FIG. 43 is a chart showing a basic impact energy waveform (C23) with an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제4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의 제8구체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ighth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5도는 제44도의 선45-45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45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5-45 of FIG.

제46도는 제44도의 선46-46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FIG. 46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6-46 of FIG. 44;

제47도는 제8구체예의 기본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4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eighth embodiment.

제48도는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에너지 파형(C24)을 나타내는 도표.FIG. 48 is a plot showing the basic impact energy waveform (C24) along with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제49도는 제8구체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49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제50a도는 사다리형 단면의 다른 내측리브를 나타내는 단면도.50A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inner rib of a ladder cross section;

제50b도는 삼각형 단면의 다른 내측리브를 나타내는 단면도.50B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inner rib of a triangular cross section;

제51도는 후드 외측판넬과 엔진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5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d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and the engine is not constant.

제52도 자동차의 전방 상측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5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upper structure of a vehicle.

제53도는 제52도의 선53-53을 따라서 취한 비교 펜더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5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comparison fender structure taken along line 53-53 of FIG. 52;

제54도는 제52도의 선53-53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제9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5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53-53 of FIG. 52;

제55도는 제53도에 도시한 펜더구조물을 나타내는 반 평면도.FIG. 55 is a half plan view showing the fender structure shown in FIG. 53;

제56도는 제9구체예의 펜더구조물의 기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b)과 개량된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a)(Cm)을 나타내는 도표.FIG. 56 is a chart showing basic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s (Cb) and improved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s (Ca) (Cm) of the fender structure of Embodiment 9;

제57a도는 기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을 얻기 위한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충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57A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mpact stage of a fender structure in an impact test for obtaining a basic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제57b도는 동일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57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tate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same impact test.

제58a도는 기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을 얻기 위한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충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58A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impact step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impact test for obtaining the basic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제58b도는 동일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58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deformation state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same impact test.

제59a도는 기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을 얻기 위한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충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59A is a cross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impact step of a fender structure in an impact test for obtaining a basic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제59b도는 동일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59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deformation state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same impact test.

제60a도는 개량된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을 얻기 위한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충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60A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mpact stage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impact test for obtaining the improved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제60b도는 동일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60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eformation state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same impact test.

제61a도는 개량된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을 얻기 위한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충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61A is a cross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impact step of a fender structure in an impact test for obtaining an improved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제61b도는 동일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61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deformation state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same impact test.

제62a도는 개량된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을 얻기 위한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충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62A is a cross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impact step of a fender structure in an impact test for obtaining an improved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제62b도는 동일 충격시험에서 펜더구조물의 다른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62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deformation state of the fender structure in the same impact test.

제63도는 제52도의 선53-53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펜더구조물의 제9구체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6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ninth embodiment of the fend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aken along line 53-53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131,231 : 후드 33,133,233 : 후드 외측판넬31,131,231: Hood 33,133,233: Hood outer panel

35,135,235 : 엔진룸 37,253 : 엔진35,135,235: engine room 37,253: engine

39 : 내측판넬 41,239 : 내측리브39: inner panel 41,239: inner rib

43,83,171 : 충격흡수체 45 : 지지브라켓43,83,171: shock absorber 45: support bracket

47 : 충격 흡수부재 고정부 49 : 아암부47: shock absorbing member fixing portion 49: arm portion

53 : 커버 55,161,255 : 충격체53: cover 55,161,255: impactor

57 : 하측판 59 : 측판57: lower side plate 59: side plate

65 : 하측판 67 : 수직벽65: lower plate 67: vertical wall

77 : 돌출부 89,151 : 받침탑77: protrusion 89,151: tower

91 : 흡음재 95 : 후드91: sound absorbing material 95: hood

137,237 : 후드 내측판넬 141 : 평판부137,237: hood inner panel 141: plate part

147,167 : 범퍼 고무 149 : 후드릿지147,167 Bumper Rubber 149: Hood Ridge

155,157,159,165 : 충격 흡수부재 160 : 범퍼고무 부착부재155,157,159,165: shock absorbing member 160: bumper rubber attachment member

171 : 충격흡수체 251 : 보강판부재171: shock absorber 251: reinforcing plate member

267 : 경질 취성부재 1100 : 펜더267: hard brittle member 1100: fender

1200 : 후드릿지 보강부 1400 : 후드1200: hood ridge reinforcement 1400: hood

1500 : 범퍼1500: Bump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 상측 외측판넬과, 변형시에 전방 상측 외측판넬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전방 상측 외측판넬 아래에 배치된 충격흡수수단과, 변형된 충격흡수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충격흡수수단아래에 배치된 충격간섭체를 가지며, 충격흡수수단의 충격에너지 흡수율과 전방 상측 외측판넬과 충격간섭체 사이에 형성된 총 중공갭은, 전방 상측 판넬의 가장 짧은 스트로크에서 머리충격기준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충돌시에 발생된 충격에너지가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따라서 흡수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충돌시에 자동차의 전방 상측체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전방 상측 구조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stops the front upper outer panel, the shock absorbing means disposed below the front upper outer panel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front upper outer panel during deformation, and the modified shock absorbing means. A shock interfering body disposed below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total hollow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upper outer panel and the impact interfering body are based on the head impact criterion at the shortest stroke of the front upper panel.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imp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ont upper structure for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front upper body of the vehicle during the collision,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is determined to be absorbed in accordance with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여기서,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은 작용력과 변형된 전방 상측 패널의 스트로크사이의 관계이며, 충돌시에 흡수될 충격에너지량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다음의 머리충격기준 유추식에 따라서 계산하여 얻어진다.Here,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force and the stroke of the deformed front upper panel, and is obtained based 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at the time of collision, an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head impact criteria analogy.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2][Equation 2]

여기서, HIC는 머리충격기준을 나타내며, a(t)는 시험 충격체의 중력 중심에서의 가속도를 나타내며, t1 및 t2는 가속도가 가해지는 소정 시간(0t1t2)을 나타내며, (t1,t2)로부터 (max)까지의 aiL은 [a12 2.5(t2-t1)]으로부터 선택된 최대치를 나타낸다. 또한, 충격흡수수단은 충돌시에 비교적 적절한 에너지 흡수율로 변형되어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필요한 이차적인 반응력을 발생시킨다.Where HIC represents the head impact criterion, a (t) represents the acceleration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est impact body, t1 and t2 represent the predetermined time (0t1t2) the acceleration is applied, and (t1, t2) aiL up to max) represents the maximum selected from [a 12 2.5 (t2-t1)].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deformed at a relatively appropriate energy absorption rate in the collision to generate the secondary reaction force required for the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또한, 본 발명은 엔진룸을 폐쇄하기 위한 후드 외측판넬과, 변형시에 후드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후드 외측판넬 아래에 배치된 충격흡수수단과, 변형된 충격흡수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충격흡수수단 아래에 배치된 충격간섭체를 가지며, 충격흡수수단의 충격에너지 흡수율과 후드 외측판넬과 충격간섭체 사이에 형성된 총 중공갭은, 전방 상측 판넬의 가장 짧은 스트로크에서 머리충격기준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충돌시에 발생된 충격에너지가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 파형에 따라서 흡수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충돌시에 자동차의 후드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후드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ood outer panel for closing the engine compartment, shock absorbing means disposed under the hood outer panel to absorb shocks applied to the hood during deformation, and shock absorbing to stop the modified shock absorbing means. An impact interfering body disposed below the means,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the total hollow gap form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and the impact interfering body collide to effectively reduce the head impact criterion at the shortest stroke of the front upper panel. Provided is a hood structure for absorbing a shock applied to a hood of a vehicle at the time of a collision, wherein the impact energy generated at the time is determined to be absorbed in accordance with an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여기서,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은 작용력과 변형된 후드 외측판넬의 스트로크 사이의 관계이며, 충격시에 흡수될 충격에너지량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두개의 머리충격기준 유추식에 따라서 계산함으로써 얻어지며, 충격흡수수단은 충돌시에 비교적 적절한 에너지 흡수율로 변형되어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필요한 이차적인 작용력을 발생한다. 또한, 소정의 총 중공갭은 약20mm이다.Here,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force and the stroke of the deformed hood outer panel, which is obtained based 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at the time of the impact and by calculating according to the two head impact criteria analogies,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deformed at a relatively appropriate energy absorption rate at the time of collision to generate the secondary force required for the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total hollow gap is about 20 mm.

본 발명의 제1특징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37)이고, 충격흡수수단은 엔진을 덮기 위해 후드 외측판넬 아래에서 후드 외측판넬(33)에 고정된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충격흡수체(43)이다.In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mpact interceptor is an engine 37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a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supported by a support bracket fixed to the hood outer panel 33 under the hood outer panel to cover the engine. (43).

여기서, 각각의 충격흡수체(43)는 대략 사각형 단면의 판재료(56)를 코일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된 충격흡수부재(43a)이다. 각각의 충격흡수체(43)는 상측 및 하측판(57)과 두개의 측판(59)으로 구성되어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된 충격흡수부재(43b)이며, 상측 및 하측판(57)에는 다수의 대공(61)이 형성되고, 두개의 측판(59)에는 다수의 소공(63)이 형성되어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조정한다. 각각의 충격흡수체(43)는 상측 및 하측판(65)과 상측 및 하측판(65)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벽(67)으로 구성된 충격흡수부재(43c)이다. 충격흡수체(43)는 알루미늄이나 수지로 만들어진다.Here, each of the shock absorbers 43 is a shock absorbing member 43a formed by winding a plate material 56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a coil shape. Each shock absorber 43 is composed of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plate 57 and two side plates 59 and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The upper side and lower side plate 57 has a plurality of large holes. 61 is formed, and a number of small holes 63 are formed in the two side plates 59 to adjust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Each shock absorber 43 is a shock absorbing member 43c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walls 67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65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65. The shock absorber 43 is made of aluminum or resin.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37)이고 충격흡수수단은 후드 외측판넬을 덮기 위하여 후드 외측판넬 아래에서 후드 외측판넬(33)에 고정된 지지브라켓(45)에 의해 지지된 하나의 충격흡수체(69)이다. 충격흡수체(69)는 융기편(75)으로서 판재료(75)에 대략 직각으로 다수의 절제부(73)를 펀치가공하여 형성된 충격흡수부재(69a)이다. 충격흡수체(69)는 각각의 돌출부(77)의 바닥부(77b)가 두개의 경사부(77a)에 연결되도록 판재료(71)에 다수의 사각형 돌출부(77)를 펀치 가공하여 형성된 충격흡수부재(69b)이다. 충격흡수체(69)는 경사부(77a)가 수직부(77b)에 연결되도록 판재료(71)에 다수의 직각 삼각형 돌출부(77)를 펀치가공하여 형성된 충격흡수부재(69c)이다.Further, in a vari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interceptor is an engine 37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supported by a support bracket 45 fixed to the hood outer panel 33 under the hood outer panel to cover the hood outer panel. One shock absorber (69). The shock absorber 69 is a shock absorbing member 69a formed by punching a plurality of cutouts 73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to the plate material 75 as the raised piece 75. The shock absorber 69 is formed by punch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protrusions 77 on the plate material 71 such that the bottom 77b of each protrusion 77 is connected to two inclined portions 77a. (69b). The shock absorber 69 is a shock absorbing member 69c formed by punching a plurality of right-angled triangular protrusions 77 on the plate material 71 such that the inclined portion 77a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77b.

본 발명의 제2특징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37)이고, 충격흡수수단은 엔진을 덮기 위해 후드 외측판넬(33) 아래에 제공된 충격흡수체(83)인데, 충격흡수체(83)는 그 가운데에서 폐쇄단면(N)을 형성하도록 상측판부재(83a)와 하측판부재(83b)로 구성되어 엔진룸의 양측에 제공된 두개의 받침탑(89)에 고정된다. 여기서, 충격흡수체(83)의 상측 및 하측판부재(83a,83b)에는 각각 충격흡수체(83)의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조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멍(93)이 형성된다. 하측판부재(83b)에는 엔진에 연결된 와이어 부재(85)를 통과시키기 위한 오목부(86)가 형성되어 있다.In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mpact interceptor is an engine 37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a shock absorber 83 provided under the hood outer panel 33 to cover the engine, with the shock absorber 83 in the center thereof. The upper plate member (83a) and the lower plate member (83b) is formed so as to form a closed cross section (N) is fixed to two support towers (89)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gine room. Here, a plurality of holes 93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late members 83a and 83b of the shock absorber 83 to adjust the shock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shock absorber 83, respectively. The lower plate member 83b is formed with a recess 86 for passing the wire member 85 connected to the engine.

충격흡수체(83)의 폐쇄단면(N)은 엔진소음을 줄이기 위해 흡음재(91)로 채워져 있다. 또한 흡음재는 그라스울이다.The closed end surface N of the shock absorber 83 is filled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91 to reduce engine nois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glass wool.

또한 본 발명의 제3특징에서, 후드구조물은 후드 내측리브(41)가 형성되어 후드 외측판넬(33)의 내측면에 접합된 후드 내측판넬(39)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d structure includes a hood inner panel 39 formed with a hood inner rib 41 and bond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33.

또한, 본 발명의 제4특징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룸(135)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받침탑(151)이며, 충격흡수수단은 받침판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과 후드 외측판넬(133)과 후드 내측판넬(137a)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충격흡수부재(157,155,159)이다. 여기서, 다수의 충격흡수부재는 후드의 각 측에 배치되어 각각 단면이 모자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드 외측판넬(133)과 받침판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의 사이에서 받침탑(151)의 볼트(152) 및 너트(153)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외측 충격흡수부재(159)와, 두개의 중간 충격흡수부재(155)와, 내측 충격흡수부재(157)이다. 또한 충격흡수부재는 받침판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을 외측 충격흡수부재(159)에서 하방으로 모자형상으로 펀치가공하여 형성된 범퍼고무 장착부재(160)로 구성되는데, 범퍼고무(147)는 각 받침탑(151)의 상측면 위의 범퍼고무 장착부재(160)에 부착된다. 두개의 중간 충격 흡수부재(165)는 받침판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을 각각 모자형상 돌출부로 펀치가공하여 형성되어 후드 외측판넬(133)에 접합된다. 다수의 충격흡수부재(159,155,157)는 검 유향 수지(gum mastic resin)를 사용하여 후드 외측판넬(133)과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사이에 접합된다.In addition, in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interfering body is a pair of support towers 15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gine room 135,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ncludes a support plate upper hood inner panel 137a and a hood outer panel ( 133 and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157, 155, 159 disposed between the hood inner panel 137a. Here,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are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hood so that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hat shape, respectively, and the bolt 152 of the support tower 151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133 and the base plate upper hood inner panel 137a. ) And an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coupl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ut 153, two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s 155, and an inner shock absorbing member 157.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mposed of a bumper rubber mounting member 160 formed by punching the support plate upper hood inner panel 137a downwardly from th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in the shape of a hat, and the bumper rubber 147 is formed on each bearing. It is attached to the bumper rubber mounting member 160 on the upper side of the tower 151. The two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s 165 are formed by punching the base plate upper hood inner panel 137a into hat-shaped protrusions, respectively, and are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133.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159, 155, and 157 are bond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133 and the base top hood inner panel 137a using gum mastic resin.

또한, 본 발명의 제5특징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룸(135)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받침탑(151)이며, 충격흡수수단은 받침탑을 덮기 위해 받침탑(151)의 상측면(151a)에 각각 부착된 두개의 충격흡수체(171)인데, 이 충격흡수체(171)에는 상측판부(181)와, 볼트(152)와 너트(153)로 받침탑에 고정되도록 각각 내측으로 굽어진 다수의 곧은 다리부(173,175,17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판부(181)에는 충격흡수체의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171)이 형성되어 있다. 충격흡수체(171)는 또한 탄성수지로 형성되어 충격흡수체(171)의 상측판부(181)에 부착된 범퍼고무(167)로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interceptor is a pair of support towers 15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gine room 135,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tower 151 to cover the support tower. Two shock absorbers 171 attached to 151a, respectively, which are each bent inward to be fixed to the support tower with an upper plate portion 181, bolts 152 and nuts 153, respectively. A number of straight legs 173, 175, 177 are formed. Here, the upper plate portion 18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171 for adjusting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shock absorber. The shock absorber 171 is also composed of a bumper rubber 167 formed of elastic resin and attach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181 of the shock absorber 171.

또한, 본 발명의 제6특징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253)이며, 충격흡수수단은 외측 플랜지부(245)를 갖는 기다란 채널형 내측리브(239L)와, 각각 외측 플랜지부(245)를 가지며 사이에 소정거리를 두고 기다란 채널형 내측리브(239L)와 교차하며 엔진을 덮기 위해 다수의 다른 지점에서 후드 외측판넬(233)에 접합되는 두개의 짧은 채널형 내측리브(239S)가 형성된 내측판넬(237)인데, 길고 짧은 채널형 리브의 각 교차부는 각각 그 양측의 굴곡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두개의 교차부사이의 두개의 평행 직선부(249)는 각각 보강판부재(251)세 의하여 보강된다. 여기서, 내측판넬(237)은 검 유향 수지를 사용하여 플랜지부(245)의 전체 표면에서 외측판넬(233)에 접합된다.Further, in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interfering body is an engine 253,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ncludes an elongated channel type inner rib 239L having an outer flange portion 245, and an outer flange portion 245, respectively. An inner panel having two short channel-shaped inner ribs 239S intersecting the elongated channel inner ribs 239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at a plurality of different points to cover the engine. 237, wherein each intersection of the long and short channel ribs is connected through bends on both sides thereof, and two parallel straight portions 249 between the two intersections are each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Here, the inner panel 237 is bonded to the outer panel 233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45 by using gum directed resin.

또한, 본 발명의 제7특징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253)이고, 충격흡수수단은 외측 플랜지부(245)를 갖는 기다란 채널형 내측리브(239L)와, 각각 외측 플랜지부(245)를 가지며 사이에 소정거리를 두고 기다란 채널형 내측리브(239L)와 교차하며 엔진을 덮기 위해 리브(239L,239S)의 플랜지부(245)의 전체표면에 걸쳐 후드 외측판넬(233)에 접합되는 두개의 짧은 채널형 내측리브(239S)가 형성된 내측판넬(233)인데, 길고 짧은 채널형 리브의 각 교차부는 각각 그 양측의 굴곡부를 통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내측판넬(237)은 검 유향 수지를 사용하여 플랜지부(245)의 전체 표면에서 외측판넬(233)에 접합된다.In addition, in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interferer is an engine 253,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ncludes an elongated channel type inner rib 239L having an outer flange portion 245 and an outer flange portion 245, respectively. And intersect the long channel-shaped inner ribs 239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45 of the ribs 239L and 239S to cover the engine. An inner panel 233 having a short channel-shaped inner rib 239S is formed, and each intersection of the long and short channel-shaped ribs is connected through curved portions on both sides thereof. Here, the inner panel 237 is bonded to the outer panel 233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45 by using a gum direct resin.

또한, 본 발명의 제8특징에서, 충격간섭체는 엔진(253)이며, 충격흡수수단은 엔진을 덮기 위해 내측판넬(239)에 형성되어 경질의 취성부재(267)로 덮여진 직선형 내측리브(239A)인데, 경질의 취성부재로 덮인 내측리브는 엔진과 층돌하게 된다. 여기서, 내측리브(239A)에는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조정하기 위해 그 양측에 다수의 슬릿(269)이 형성된다. 리브(239A)의 단면형상은 사각형, 사다리형 또는 삼각형이다.In addition, in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act interfering body is an engine 253,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formed in the inner panel 239 to cover the engine, and is formed with a straight inner rib 267 covered with a hard brittle member 267. 239A), wherein the inner ribs covered with the hard brittle member will stratify the engine. Here, the inner ribs 239A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269 on both sides thereof to adjust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ibs 239A is rectangular, ladder-shaped or triangular.

또한, 본 발명은 상측 돌출부(1110)에서 굽어지고 용이하게 파괴되도록 단차부(FA)가 형성된 수직벽(1101)이 형성된 펜더판넬(1100)과, 변형시에 펜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펜더의 수직벽에 배치된 충격흡수수단과, 변형된 충격흡수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후드릿지 보강부재(1200)를 가지며, 충격흡수수단의 충격에너지 흡수율은, 펜더판넬의 가장 짧은 스트로크에서 머리 충격기준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충돌시에 발생된 충격에너지가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따라서 흡수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충돌시에 자동차의 펜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펜더구조물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nder panel 1100 having a vertical wall 1101 having a stepped portion FA formed thereon so as to be bent and easily broken in the upper protrusion 1110, and a fend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fender during deformation. A shock absorbing means disposed on a vertical wall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and a hood ridge reinforcing member 1200 for stopping the deformed shock absorbing means.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based on a head impact criterion at the shortest stroke of the fender panel. Provided is a fender structure for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a fender of a vehicle in a collision, which is determined so that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a collision can be absorbed according to an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to effectively reduce the impact.

여기서,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은 작용력과 변형된 펜더의 스트로크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로서,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하는 충격에너지량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두개의 머리충격기준 유추식에 따라서 계산하여 얻어지며, 충격흡수수단은 충돌시에 비교적 적절한 에너지 흡수율로 변형되어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 파형에 필요한 이차적인 작용력을 발생한다.Here,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is an ide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force and the deformed fender's stroke, which is obtained based 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hat must be absorbed in the collision an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wo head impact criterion inference equations,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deformed at a relatively appropriate energy absorption rate at the time of collision to generate the secondary force required for the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또한, 충격흡수수단은 수직벽(1101)의 단차부(FA)의 내측면상에 부착된 합성수지층(1002)이다. 합성수지층(1002)은 수직벽(1101)의 단차부(FA)의 대략 절반을 덮거나 전체면을 덮는다. 또한, 합성수지층(1002)의 두께는 자동차의 전방측에서는 얇고 후방측에서는 두껍다. 또한 파괴된 합성수지층(1002)을 수용하기 위해 후드릿지 보강부재(1200)에는 오목부(1003)가 형성된다.The shock absorbing means is a synthetic resin layer 1002 attach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tep FA of the vertical wall 1101.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covers approximately half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p FA of the vertical wall 1101.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is thin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ick on the rear side. In addition, a recess 1003 is formed in the hood ridge reinforcing member 1200 to accommodate the broken synthetic resin layer 100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상측(후드 또는 펜더)구조물에서, 보강층의 충격에너지 흡수율과 전방상측 외측판넬(후드 외측판넬 또는 펜더판넬)과 충격간섭체(엔진 또는 받침탑)사이의 총 중공갭은, 전방 상측 판넬이 가장 짧은 스트로크에서 머리충격기준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충돌시에 발생된 충격에너지가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따라서 흡수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전방 상측 외측판넬이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이동하였을 때 보강층이 충격간섭체와 간섭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충격흡수수단이 파괴변형되므로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필요한 원하는 이차적인 작용력이 발생될 수 있다. 그 결과, 이상적인 흡수조건하에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후드의 작은 스트로크에서도 HIC값이 줄어들 수 있으며, 즉 머리충격특성을 착실하게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ront upper side (hood or fend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energy between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reinforcing layer and the front upper side outer panel (hood outer panel or fender panel) and the impact interference body (engine or support tower). The hollow gap is determined so that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can be absorbed according to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so that the front upper panel can effectively reduce the head impact criterion in the shortest stroke. Therefore, since the shock absorbing means is deformed and deformed since the reinforcing layer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impact interfering body when the front upper outer panel moves by a predetermined stroke, the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required for the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can be genera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bsorb impact energy under ideal absorption conditions, and as a result, the HIC value can be reduced even in a small stroke of the hood, that is,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steadily reduc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의 구체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또는 펜더의 특징은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한편 심한 조건하에서 자동차의 후드 또는 펜더의 스트로크를 줄임으로써 머리충격특성을 줄이는 것이다.Hereinafter, a specific example of a ho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eature of the hood or fend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o effectively reduce the HIC value while reducing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s by reducing the stroke of the hood or fender of the vehicle under severe conditions.

상술한 특징을 얻기 위해서, 실제로(변형 스트로크와 HICT값을 모두 줄이기 위하여)후드 또는 펜더 작용력과 후드 또는 펜더 스트로크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이하, 이상적 충격파형(Cm)이라고 칭한다)은 먼저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에 기초하여 그리고 HIC유추식(1)과 (2)에 따라서 계산된다. 두 번째로 실제의(비 개량)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이하, 기본 충격파형이라고 칭한다)은 소정의 후드 또는 펜더 위치에서 실시된 충격시험에서 얻어진다. 세번째로 후드 또는 펜더구조물은 기본 충격파형이 이상적 충격파형에 도달하고 그 결과 후드 또는 펜더의 짧은 스트로크에서도 HIC값이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줄어들 수 있도록 결정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in practice (in order to reduce both the deformation stroke and the HICT value),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deal shock waveform (Cm), which represents an ide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od or fender force and the hood or fender stroke) Is first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at the time of collision and according to HIC inferences (1) and (2). Secondly, the actual (non-improved)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sic shock waveform) is obtained from an impact test conducted at a predetermined hood or fender position. Thirdly, the hood or fender structure is determined so that the basic shock waveform reaches the ideal shock waveform so that the HIC value can be effectively and reliably reduced even with short strokes of the hood or fender.

여기서, 기본(비 개량)충격파형을 이상적 충격파형에 접근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후드 또는 펜더구조물은 충격시험의 기본 후드구조, 허용 후드 스트로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조건하의 여러 구체예의 각각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후드 또는 펜더구조만을 설명할 것이다.Here, the effective hood or fender structure for approaching the basic (non-improved) shock waveform to the ideal shock waveform is not constant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basic hood structure of the impact test, permissible hood stroke, etc. Only the most effective hood or fende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for each.

이상적 충격파형(Cm)은 후드 또는 펜더의 작은 스트로크에서라도 머리충격특성을 줄이기 위해 후드 또는 펜더의 기본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는가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체예의 후드 또는 펜더 구조는 상술한 설계개념을 기초로 하여 구성된다.The ideal shock waveform (Cm) represents how the basic structure of the hood or fender is designed to reduce head impact properties, even with small strokes of the hood or fender. Therefore, the hood or fender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ased on the design concep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제1구체예를 앞으로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제4도의 선AB-AB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4도는 후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충격흡수체의 확대도이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B-AB of FIG. 4,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hood,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31)는 후드 외측판넬(33), 내측판넬(39) 및 후드 커버(53)로 구성된다. 후드 외측판넬(33)은 엔진룸(35)의 상측면을 닫기 위해 사용된다. 엔진(37)(간섭체로서 작용)은 엔진룸(35)의 중간부에 배열된다. 엔진룸(35)의 측방에서 후드 외측판넬(33)의 하측(내측)면(33a)에는 내측판넬(39)이 접합된다. 내측판넬(39)에는 엔진(37)위에 위치하는 후드 외측판넬(3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방으로 엔진룸(35)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모자형상 단면의 내측리브(41)가 형성된다. 또한,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에는 충격흡수체(43)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hood 31 is comprised from the hood outer panel 33, the inner panel 39, and the hood cover 53. As shown in FIG. The hood outer panel 33 is used to close the upper side of the engine compartment 35. The engine 37 (acting as an interference body) is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engine room 35. The inner panel 39 is joined to the lower (inner) surface 33a of the hood outer panel 33 from the side of the engine room 35. The inner panel 39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ap-shaped inner ribs 41 protruding downward into the engine room 35 so as to surround the hood outer panel 33 positioned on the engine 37. In addition, the shock absorber 43 is dispos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체(43)는 각 충격 부재의 양단이 두 개의 지지브라켓(45)사이에 연결되도록 자동차의 폭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후드 외측판넬(33)의 측면에 배열된 두개의 충격흡수부재(43a,43b 또는 43c)로 구성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브라켓(45)에는 충격흡수부재(43a,43b 또는 43c)를 장착 및 고정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 장착부(47)와 각각 충격흡수부재의 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아암부(49)가 형성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45)의 각 아암부(49)의 단부(49a)는 내측리브(41)에 연결된다. 또한, 각 아암부(49)에는 충격흡수체(43)가 자동차의 하방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용이 변형부(51)가 형성된다.4 and 5, the shock absorber 43 has a hood outer panel 33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both ends of each impact member are connected between the two support brackets 45.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two shock absorbing members (43a, 43b or 43c) arranged on the side. 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support brackets 45 extends radially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mounting portion 47 for mounting and fix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s 43a, 43b or 43c and the ends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s, respectively. Two arm portions 49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the end portion 49a of each arm portion 49 of the support bracket 45 is connected to the inner rib 41. Further, each arm portion 49 is provided with an easy deformation portion 51 so that the shock absorber 43 can be deformed below the vehicle.

한편, 충격흡수체(43)와 엔진(37)사이에는 충격흡수체(43)의 하측면을 덮기 위하여 커버(53)가 배치된다. 또한, 후드 외측판넬(33)이 차체의 하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변형될 때 충격흡수체(43)가 엔진(37)과 간섭하기 시작하도록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에는 소정거리의 갭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소정거리는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43)사이의 갭(D1)과, 충격흡수체(43)와 커버(53)사이의 갭(D2)과, 커버(53)와 엔진(37)사이의 갭(D3)의 총합으로서, 이는 제1구체예에서 약 20mm이다.Meanwhile, a cover 53 is disposed between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engine 37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er 43. In additio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so that the shock absorber 43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engine 37 when the hood outer panel 33 is deformed below the vehicl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gap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distance includes the gap D1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shock absorber 43, the gap D2 between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cover 53, and the cover 53. The sum of the gaps D3 between the engines 37, which is about 20 mm in the first embodiment.

제11a도 내지 제11c도를 참고하여, 제1구체예에서 사용된 충격흡수부재(43a)내지 (43c)의 실제형상을 상세히 설명한다.11A to 11C, the actual shap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s 43a to 43c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1a도에 도시한 충격흡수부재(43a)는 대략 사각형 단면의 판재료(56)를 코일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된다. 제11b도에 도시한 충격흡수부재(43b)는 상하측 판(57)과 두개의 측판(59)으로 구성되어 대략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하측 판(57)에는 다수의 사각 대공(61)이 형성되며, 두개의 측판(59)에는 다수의 작은 슬릿(63)이 형성된다. 또한 제11c도에 도시한 충격흡수부재(43c)는 상하측 판(65)과 상하측 판(65)사이에 연결된 다수의 수직벽(67)으로 구성된다. 이들 충격흡수부재(43a) 내지 (43c)는 금속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또는 수지로 만들어진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43a shown in FIG. 11A is formed by winding a plate material 56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into a coil shape. The shock absorbing member 43b shown in FIG. 11B is composed of an upper and lower side plate 57 and two side plates 59,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er shape. In addition, a plurality of rectangular large holes 61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lates 57, and a plurality of small slits 63 are formed in the two side plates 59.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43c shown in FIG. 11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walls 67 conn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65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65. These shock absorbing members 43a to 43c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luminum) or resin.

이하, 후드구조물의 기능을 제6도 내지 제10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hoo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본 구체예의 후드는 엔진(37)위에 위치하는 후드(31)에 충격이 가해져 후드 외측판넬(33)이 엔진(37)과 간섭할 때 상술한 위치에서의 HIC값이 줄어들어 후드 외측판넬(33)의 최단 스트로크에서 후드(31)의 머리충격특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이 구조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도록 결정된다. 여기서, 이상적 충격파형(Cm)은 후드변형에 의한 후드 작용력(F)과 후드 스트로크(5)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를 의미하며 이는 충격 시험에서의 짧은 스트로크에도 불구하고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상적 충격파형(Cm)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에 기초하여, 그리고 식 (1) 및 (2)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In the hood of this embodiment,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hood 31 positioned on the engine 37, and the hood outer panel 33 interferes with the engine 37, the HIC value at the above-described position decreases, so that the hood outer panel 33 It is configured to alleviate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hood 31 in the shortest stroke of. For this reason, this structure is determined to obtain a shock waveform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Here, the ideal shock waveform (Cm) means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od action force (F) and the hood stroke (5) by the hood deformation,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HIC value despite the short stroke in the impact test. Further,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in the collision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equations (1) and (2).

제6도는 이상적 충격파형(Cm)을 나타내고,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충격시험의 기본구조모델을 나타내며, 제8a도 내지 제8c도는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기본 구조모델을 사용하여 얻어진 기본 충격파형(C1), (C2) 및 (C3)을 나타낸다.FIG. 6 shows the ideal shock waveform (Cm), FIGS. 7A-7C show the basic structural model of the impact test, and FIGS. 8A-8C are obtained using the basic structural model together with the ideal shock waveform (Cm). Basic shock waveforms (C1), (C2) and (C3) are shown.

이상적 충격파형(Cm)을 제6도(이상적 충격파형 Cm), 제7a도 내지 제7c도(기본 구조모델), 제8a도 내지 제8c도(기본 충격파형 C1, C2, C3)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n FIG. 6 (ideal shock waveform Cm), FIGS. 7a to 7c (basic structural model), and FIGS. 8a to 8c (basic shock waveforms C1, C2, C3)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6도는 작용력(F)과 후드 스트로크(S)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이상적 충격파형(Cm)을 나타내는데 이는 기본구조가 사용될 때 후드(59)의 스트로크(이동거리)와 HIC값을 줄일 수 있다. 제6도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과 스트로크(S)(횡 좌표)에 의해 막혀진 내측영역(A)은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내측영역은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과 같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은 여러 가지 충격시험과 계산에 기초하여 얻어질 수 있다.FIG. 6 shows the ideal shock waveform Cm which represents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force F and the hood stroke S, which can reduce the stroke (travel distance) and HIC value of the hood 59 when the basic structure is used. . In Fig. 6, the inner region A blocked by the ideal shock waveform Cm and the stroke S (lateral coordinate) represents the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Therefore, this inner region should be determined to be equal to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In additi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in a collision can be obtained based on various impact tests and calculations.

제6도에 도시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있어서, 후드 외측판넬(33)의 초기변형에 의한 초기 작용력(F)은 비교적 작은 스트로크(S)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스트로크(S1)에서 최대 작용력(F1)(Pm)에 도달한다. 그후, 작용력(F)은 스트로크(S2)에서 (F2)까지 급격히 강하한다. 스트로크(S2)이후의 후반 변형부에서는 이차 작용력(후술함)이 발생되기 때문에 작용력(F)의 감소율(구배)이 낮아져 어깨부(qm)가 나타난다. 또한, 스트로크가(S3)에 도달하였을 때 작용력(F)이 급격히 감소하여 스트로크(S0)에서 대략 0에 도달하는데, 여기서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된다.In the ideal shock waveform Cm shown in FIG. 6, the initial action force F due to the initial deformation of the hood outer panel 33 rapidly increases at a relatively small stroke S, so that the maximum action force at the stroke S1. (F1) (Pm) is reached. Thereafter, the action force F drops rapidly from the stroke S2 to the F2. In the second deformation part after the stroke S2, since the secondary action force (described later) is generated, the reduction rate (gradient) of the action force F is lowered, and the shoulder portion qm appears. In addition, when the stroke reaches S3, the action force F rapidly decreases and reaches approximately zero in the stroke S0, where the impact energy is completely absorbed.

충격시험의 기본 구조를 제7a도 내지 제7c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impact te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제7a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에 있어서,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에 충격흡수체(43)가 제공된다. 충격흡수체(43)는 엔진(37)의 상측면(37a)에 장착되며,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43)의 상측면사이에 소정의 갭(d)이 형성된다. 충격시험에 있어서, 충격체(55)는 충격흡수체(43)위의 후드 외측판넬(33)과 충돌하게 되고 충격체(55)의 가속도와 스트로크(이동거리)가 측정된다. 충격체(55)의 측정된 가속도와 스트로크는 후드 변형에 의한 후드 외측판넬(33)의 작용력(F)(종좌표)과 스트로크(S)(횡좌표)에 대응하는데, 이 두 가지는 제8a도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7A, the shock absorber 43 is provid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As shown in FIG. The shock absorber 43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37a of the engine 37, and a predetermined gap d is form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upp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43. In the impact test, the impactor 55 collides with the hood outer panel 33 on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acceleration and stroke (moving distance) of the impactor 55 are measured. The measured acceleration and stroke of the impactor 55 correspond to the action force F (vertical coordinate) and stroke S (abscissa) of the hood outer panel 33 due to hood deformation, both of which are shown in FIG. 8A. It is.

따라서 제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적 충격파형에 근사한 기본 충격파형(C1)이 얻어질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 8A, the basic shock waveform C1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an be obtained.

한편, 제7b도는 충격흡수체(43)가 제공되지 않은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8b도에 도시한 충격파형(C2)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제7c도는 후드 외측판넬(33)을 제공함이 없이 충격흡수체(43)만이 제공된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제8c도에 도시한 충격파형(C3)이 얻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7b shows a basic structure in which the shock absorber 43 is not provided. In this case, the shock waveform C2 shown in FIG. 8B can be obtained. 7C also shows a basic structure in which only the shock absorber 43 is provided without providing the hood outer panel 33. In this case, the shock waveform C3 shown in FIG. 8C can be obtained.

그러므로, 제8a도에 도시한 충격파형(C1)은 제8b도 및 제8c도에 도시한 충격파형(C2) 및 (C3)의 조합에 의해 개념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mpact waveform C1 shown in FIG. 8A can be conceptually obta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impact waveforms C2 and C3 shown in FIGS. 8B and 8C.

구체적으로,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체(43)를 제공하지 않고 후드 외측판넬(33)만을 제공한 충격시험의 경우에는 제8b도에 도시한 충격파형(C2)이 얻어질 수 있다. 충격 직후의 초기변형에 있어서 후드 외측판넬(33)은 충격체(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F)이 후드 외측판넬(33)의 장력에 의해 갑자기 증가하여 스트로크(S1)에서 최대 작용력(F1)(P1)에 도달한다. 최대 작용력 후에는 후드 외측판넬(33)이 충격체(55)의 관성력때문에 넓은 영역에서 그 표면으로부터 깊이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작용력(F)은 스트로크(S)의 증가에 따라서 0의 작용력까지 갑자기 감소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이 단계까지 흡수된 충분한 충격에너지량(제8a도의 영역 A1)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33)이 더욱 변형한 후 엔진(37)의 상측면(37a)과 간섭한 후에 정지한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impact test in which only the hood outer panel 33 is provided without providing the shock absorber 43 as shown in FIG. 7B, the shock waveform C2 shown in FIG. 8B can be obtained. . In the initial de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impact, the hood outer panel 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impactor 55, so that the initial action force F suddenly increases due to the tension of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us the stroke S1. ) The maximum working force (F1) (P1). After the maximum action force, the force force F suddenly decreases to zero action force with the increase of the stroke S since the hood outer panel 33 starts to deform from the surface in a large area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55. do. In this case, since a sufficient amount of impact energy absorbed up to this stage (area A1 in FIG. 8A) cannot be obtained, the hood outer panel 33 is further deformed and then interferes with the upper surface 37a of the engine 37. Stops later.

이렇게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이 간섭할 때 다른 충격에너지량(제8a도에서 영역A2)이 흡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변형 스트로크(S)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충격에너지량(영역 A2)이 충격흡수체(43)에 의해 흡수되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Thus, wh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interfere with each other, another amount of impact energy (area A2 in FIG. 8A) must be absorbed.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mpact energy amount (region A2) must be absorbed by the shock absorber 43 in order to reduce the deformation stroke S. FIG.

제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외측판넬(33)을 제공하지 않고 충격흡수체(43)만을 제공한 충격시험의 경우, 제8c도에 도시한 충격파형(C3)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후드 외측판넬(33)은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43)의 상측면사이의 갭 때문에 지체되는 충격흡수체(43)와 간섭하기 때문에 충격흡수체(43)는 나중에 변형하기 시작하며 흡수된 충격에너지량은 영역(A2)에 대응한다.As shown in FIG. 7C, in the case of an impact test in which only the shock absorber 43 is provided without providing the hood outer panel 33, the shock waveform C3 shown in FIG. 8C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since the hood outer panel 33 interferes with the shock absorber 43 which is delayed due to the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upp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43, the shock absorber 43 starts to deform later. The amount of impact energy absorbed corresponds to the area A2.

따라서,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43)사이의 갭(d)이 소정의 갭으로 결정되었을 때 제8a도에 도시한 충격파형(C1) 및 (C2)의 조합에 의해 충격파형(C1)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접근한다. 또한, 제8a도에서 파형(C1)과 횡좌표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A)은 영역(A1)과 (A2)의 합이며 이는 흡수된 충격에너지량에 대응한다. 또한, 제8a도는 후드 외측판넬(33)이 엔진(37)과 간섭하기 전에 충격에너지가 충격흡수체(43)에 의해 거의 완전히 흡수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또한 제8a도는 충격흡수체(43)가 스트로크(S)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감소율(작은 음구배)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이차 작용력을 발생하여 충격파형(C1)에서 어깨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Therefore, when the gap 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shock absorber 43 is determined to be a predetermined gap, the shock waveform (C1) is combined with the shock waveforms C1 and C2 shown in FIG. 8A. C1) can be obtained, which approaches the ideal shock waveform (Cm). Further, in FIG. 8A, the area A surrounded by the waveform C1 and the abscissa is the sum of the areas A1 and A2, which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impact energy absorbed. 8A also shows that the impact energy must be absorbed almost completely by the shock absorber 43 before the hood outer panel 33 interferes with the engine 37. In addition, FIG. 8A shows that the shock absorber 43 can absorb the impact energy at a relatively small reduction rate (small negative gradient) with respect to the stroke S, thereby generating a secondary action force to form the shoulder portion at the impact waveform C1. Indicates.

제9도는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43)의 상측면사이의 갭(d)이 제7a도에서처럼 변화된 여러 가지 충격시험에 의해 얻어진 HIC값을 나타낸다. 제9도는 갭(d)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서 HIC값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HIC값은 갭(d)이 약 20mm까지 증가할 때까지 비교적 급격히 감소하지만 갭(d)이 20mm이상으로 증가한 후에는 비교적 완만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의 전방시야(가시 범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43)사이의 갭이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HIC값과 후드 스트로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갭(d)이 약 20mm로 결정되어야 한다.FIG. 9 shows the HIC values obtained by various impact tests in which the gap 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upp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43 is changed as in FIG. 7A. 9 shows that the HIC value decreases as the gap d increases or decreases.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HIC value decreases relatively rapidly until the gap d increases to about 20 mm, but is relatively gentle after the gap d increases to 20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sure the driver's forward field of view (visible range), the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shock absorber 43 is preferably as small as possible. Therefore, to reduce the HIC value and hood stroke, the gap d should be determined to be about 20 mm.

또한, 제10a도는 후드 외측판넬(33)의 내측면에 충격흡수체(43)가 제공되어 충격흡수체(43)의 하측면과 엔진(37)사이에 갭(d)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제10b도는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의 중간에 충격흡수체(43)가 제공되어 갭(d)이 충격흡수체(43)위의 갭(d1)과 충격흡수체(43)아래의 갭(d2)의 합인 경우를 나타낸다.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한 두 경우에 있어서, 제7a도에 도시한 경우(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43)의 상측면사이에 갭(d)이 제공됨)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요약하면,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에 개재된 모든 요소 중의 두개의 인접한 요소사이에 형성된 갭들의 총 갭은 d = 20mm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0A also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shock absorber 43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33 so that a gap 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43 and the engine 37. 10b shows that the shock absorber 43 is provided in the middle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so that the gap d is below the gap d1 and the shock absorber 43 above the shock absorber 43. The case where it is the sum of gap d2 is shown. In both case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same result as shown in FIG. 7A (a gap d is provid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upp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43). Can be obtained. In summary, the total gap of the gap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elements among all the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is preferably determined to be d = 20 m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에 있어서 후드(31)(제3도 참조)는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의 갭이 (D1+D2+D3=20mm)가 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충격시험을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이 이상적 충격파형(Cm)(제6도에 도시)에 근사한 충격파형(C1)(제8도에 도시)을 얻을 수 있다. 즉, 초기변형에 있어서, 후드 외측판넬(33)은 충격체(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F)은 스트로크(대략 S2)에서 최대 작용력(대략 F1)까지 급격히 증가한다. 최대 작용력(F1)후에 후드 외측판넬(33)은 충격체(55)의 관성력때문에 넓은 영역에서 그 표면으로부터 깊이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작용력(F)은 스트로크(S2)에서 대략(F2)까지 급격히 감소한다. 그후, 후드 외측판넬(33)이 충격흡수체(43)와 간섭하기 때문에 충격흡수체에 의하여 바람직한 이차 작용력이 발생하므로 충격파형(C1)에서 명백한 어깨부(qm)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충격에너지를 완전히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흡수체(43)가 충분하게 파괴되었을 때 작용력(F)은 다시 대략 0까지 급격히 감소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hood 31 (see FIG. 3) is provided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is (D1 + D2 + D3 = 20mm). When applying the impact test, a shock waveform C1 (shown in FIG. 8)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 (Cm) (shown in FIG. 6) can be obtained as follows. That is, in the initial deformation, since the hood outer panel 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impactor 55, the initial action force F increases rapidly from the stroke (approximately S2) to the maximum action force (approximately F1). . After the maximum force F1, the hood outer panel 33 begins to deform from the surface in a wide area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55, so the force F rapidly decreases from stroke S2 to approximately F2. do. After that, since the hood outer panel 33 interferes with the shock absorber 43, a preferable secondary a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shock absorber, so that an obvious shoulder qm can be obtained in the shock waveform C1. In addition, when the shock absorber 43 is sufficiently destroyed to completely absorb the impact energy, the action force F decreases rapidly to approximately zero again.

그러므로, 본 구체예에 있어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1)이 얻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후드 외측판넬(33)의 비교적 짧은 스트로크에도 불구하고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즉 충돌시에 보행자에 대한 머리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hock wave C1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 Cm can be obtained, so that the HIC value can be effectively reduced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stroke of the hood outer panel 33. Head impacts on pedestrians can be mitigated in a crash.

또한, 엔진룸(35)측에 충격흡수체(43)를 제공하지 않고 후드측에 충격흡수체(43)가 제공되기 때문에 엔진룸(35)이 간단하게 되고,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부가의 효과가 생긴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43 is provided on the hood side without providing the shock absorber 43 on the engine room 35 side, the engine room 35 is simplified, and thus the additional effect of improving the freedom of design is improved. Occurs.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1구체예의 변형예를 제12도 내지 제14c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제11a도 내지 제1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두개의 충격 흡수부재(43a,43b 또는 43c)의 대신에 엔진(37)의 상측면(37a)을 덮기 위하여 판형 충격흡수체(69)가 제공된다. 이 충격흡수체(69)도 충격흡수체(43)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브라켓(45)에 의해 지지된다.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c. In this modification, instead of the two shock absorbing members 43a, 43b or 43c as shown in FIGS. 11A to 11C, the plate-shaped shock absorber 69 is cove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37a of the engine 37. ) Is provided. This shock absorber 69 is also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45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shock absorber 43.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각기 충격흡수부재(69a) 내지 (69c)의 실제형상을 나타낸다. 제14a에 도시한 경우에 있어서, 충격흡수부재(69a)는 판재료(71)에 다수의 절제부(73)를 절단함에 의해 형성되며, 절제부(73)는 펀치가공 수직편(75)속으로 굽어진다. 제14b도에 도시한 경우에 있어서, 충격흡수부재(69b)는 판재료(71)상에 다수의 사다리형 돌출부(77)를 펀치가공함에 있어서 각 돌출부(77)의 바닥부(77b)가 두개의 경사부(77a)사이에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형성된다. 제14c도에 도시한 경우에 있어서, 충격흡수부재(69c)는 경사부(77a)가 수직부(77b)에 연결되도록 판재료(71)상에 다수의 직각 삼각형 돌출부(77)를 펀치가공하여 형성된다.14A to 14C show the actual shapes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s 69a to 69c, respectively. In the case shown in 14a, the impact absorbing member 69a is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cutouts 73 in the plate material 71, and the cutouts 73 are in the punching vertical piece 75. Is bent. In the case shown in Fig. 14B, the impact absorbing member 69b has two bottoms 77b of each protrusion 77 in punching a plurality of ladder-shaped protrusions 77 on the plate material 71. It is formed by processing to be formed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77a) of. In the case shown in FIG. 14C, the impact absorbing member 69c punches a plurality of right-angled triangular protrusions 77 on the plate material 71 such that the inclined portion 77a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77b. Is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37)의 상측면(37a)을 덮기 위해 충격흡수체(69)가 제공될 때, 엔진(37)위에 위치하는 후드 외측판넬(33)의 거의 전체범위에 걸쳐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1)을 얻을 수 있으므로, 후드 외측판넬(33)의 비교적 짧은 스트로크에도 불구하고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여, 즉 충돌시에 보행자의 머리에 대한 머리충격특성을 완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ock absorber 69 is provided to cover the upper side 37a of the engine 37, the ideal shock waveform over almost the entire range of the hood outer panel 33 located above the engine 37 Since the impact waveform C1 approximating the Cm can be obtained, the HIC value can be effectively reduced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stroke of the hood outer panel 33, that is,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on the head of the pedestrian can be alleviat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ha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2구체예를 제15도 내지 제18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2구체예에 있어서 엔진룸(35)측에 충격흡수체(83)가 제공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8.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hock absorber 83 is provided on the engine room 35 side.

제15도 내지 제18도에서 제1구체예의 경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유사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유지시켰다.In Figs. 15 to 1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maintained for similar par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15도는 차체의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선17-17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ood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FIG. 16 is a plan view of FIG. 15, and FIG. 1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7-17 of FIG.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81)의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에는 충격흡수체(83)가 제공된다.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의 갭은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83)의 상측면(83a)사이의 갭(D4)과 충격흡수체(83)의 하측면(83b)과 엔진(37)사이의 갭(D5)의 합으로서, 제1구체예의 경우에서처럼 약20mm로 결정된다.As shown, a shock absorber 83 is provid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of the hood 81 and the engine 37. The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is the gap D4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upper side 83a of the shock absorber 83 and the lower side 83b of the shock absorber 83. The sum of the gaps D5 between the engine and the engine 37 is determined to be about 20 mm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차체의 폭방향으로 엔진룸(35)의 양측에는 두개의 받침탑(89)이 후드(81)의 후드릿지부(87)로부터 차량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제공된다. 받침탑(89)의 각 상측면(89a)에든 원통부(89b)가 형성되며, 원통부(89b)의 원주 주위에는 세 개의 볼트 및 너트(90)가 배열된다.Two support towers 89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ngine room 35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inclined from the hood ridge portion 87 of the hood 81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 cylindrical portion 89b is formed on each upper side 89a of the base tower 89, and three bolts and nuts 90 are arrang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89b.

한편, 충격흡수체(89)는 상하측 판체(83a)와 (83b)사이에 폐쇄단면(N)이 형성되도록 상측판체(83a)와 하측판체(83b)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충격흡수체(83)는 상부로부터 엔진(37)을 덮도록 그 양단부에서 받침탑(89)의 상측면(89a)에 접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격흡수체(83)에는 그 양측부(84)에서 두개의 받침탑(89)의 상측면(89a)의 원통부(89b)에 결합된 두개의 구멍(84a)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충격흡수체(83)의 양단부(84)가 차량 폭방향으로의 양측에서 두개의 받침탑(89)의 원통부(89b)에 결합된 후에 충격흡수체(83)가 각각 볼트 및 너트(90)로 받침탑(89)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충격흡수체(83)가 받침탑(89)에 의해 고정 지지되었을 때 받침탑(89)이 내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즉 충격흡수체(83)는 받침탑 보강부재로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hock absorber 89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plate body 83a and the lower plate body 83b so that the closed end surface 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 bodies 83a and 83b. The shock absorber 83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89a of the base tower 89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cover the engine 37 from the top. More specifically, the shock absorber 83 has two holes 84a coupl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89b of the upper surface 89a of the two support towers 89 at both side portions 84 thereof. Therefore, after both ends 84 of the shock absorber 83 are coupled to the cylindrical portions 89b of the two support towers 89 on both sid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shock absorbers 83 are respectively bolts and nuts 90. It is fixed to the support tower (89). Therefore, when the shock absorber 83 is fixedly supported by the support tower 89, the support tower 89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ward, that is, the shock absorber 83 is used as the support tower reinforcing member.

또한, 엔진(37)위에는 일반적으로 엔진(37)에 연결된 와이어 부재(예를 들면, 가속 와이어)(85)가 제공되기 때문에 충격흡수체(83)의 하측 판체(83b)에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오목부(86)가 형성되므로 와이어 부재(85)로부터 떨어져 소정공간이 유지될 수 있어, 즉 충격흡수체(83)가 와이어 부재(85)와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member (for example, acceleration wire) 85 connected to the engine 37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engine 37, the lower plate body 83b of the shock absorber 83 is shown in FIG. As the curved concave portion 86 is formed, a predetermined space can be maintained away from the wire member 85, that is, the shock absorber 83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wire member 85.

상술한 제2구체예에 있어서,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의 총 갭(D4+D5)은 제1구체예의 경우와 같이 약 20mm로 정해지기 때문에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으므로 후드 외측판넬(33)의 비교적 짧은 스트로크에도 불구하고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즉 충돌시의 보행자 머리에 대한 머리충격특성을 완화할 수 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e total gap D4 + D5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is determined to be about 20 mm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ideal shock waveform Cm Since an approximate shock waveform can be obtained,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stroke of the hood outer panel 33, the HIC value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at is,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on the pedestrian hea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can be alleviated.

또한, 엔진룸(35)내에 충격흡수체(83)가 제공되기 때문에 후드(35)의 중량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후드(81)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83 is provided in the engine room 35, the weight of the hood 35 can be reduced, and thus the hood 81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또한, 충격흡수체(83)가 받침탑(89)에 결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추가의 부품(예를 들면, 받침탑 막대)을 제공하지 않고도 받침탑(89)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한편 받침탑(89)의 견고성을 증대시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83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tower 89, the support tower 89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without providing additional parts (eg, support tower rods). 89) improves the robustness of the vehicle to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또한, 엔진(37)을 덮기 위해 충격흡수체(83)가 제공되기 때문에 제1구체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엔진(37)위에 위치하는 후드 외측판넬(33)의 전체 표면의 머리 충격특성을 완화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hock absorber 83 is provided to cover the engine 37,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33 located on the engine 37 can be allevi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

또한, 충격흡수체(83)의 폐쇄단면(N)은 흡음재료(91)(예를 들면, 그라스울)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엔진(37)이 흡음재(91)로 덮일 수 있기 때문에 엔진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측 판체(83a)와 하측 판체(83b)에 다수의 구멍(93)이 형성되었을 때 충격흡수체(83)의 붕괴 작용력 또는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흡음재료(91)에 의해 흡음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sed end surface N of the shock absorber 83 is preferably filled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91 (for example, glass wool). In this case, the engine noise can be reduced because the engine 37 can be covered wit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91.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holes 93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83a and the lower plate 83b, the collapse force or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shock absorber 83 can be reliably adjusted,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91 Sound absorption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3구체예를 제19도 및 제20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겠는데, 여기서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83)사이에 내측리브(41)가 추가로 제공된다. 제19도는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선20-20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wherein the inner rib 41 is additionally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shock absorber 83. Is provided. FIG. 1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ood structure, and FIG. 2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0-20 of FIG.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후드(95)는 후드 외측판넬(33)과 다수의 후드 내측리브(41)가 형성된 후드 내측판넬(39)로 구성된다. 후드 내측판넬(39)은 후드 외측판넬(33)에 접합된다.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의 총 갭은 후드 내측리브(41)와 충격흡수체(83)의 상측면(83a)사이의 갭(D6)과 충격흡수체(83)의 하측면(83b)과 엔진(37)사이의 갭(D7)의 합으로서, 제1 및 제2구체예의 경우에서처럼 약 20mm로 결정된다. 또한 갭(G6)(충격흡수체(83)와 후드 외측판넬(33)사이의 갭)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드 외측판넬(33)이 하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변형되어 후드 작용력이 최대값에 도달했을 때 내측리브(41)가 충격흡수체(83)와 간섭하기 시작하도록 소정치로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9 and FIG. 20, the hood 95 of this embodiment consists of the hood inner panel 39 in which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several hood inner ribs 41 were formed. The hood inner panel 39 is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33. The total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is the gap D6 between the hood inner rib 41 and the upper side 83a of the shock absorber 83 and the lower side of the shock absorber 83. As the sum of the gap D7 between 83b) and the engine 37, it is determined to be about 20 mm as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addition, when the gap G6 (gap between the shock absorber 83 and the hood outer panel 33) is deform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the hood outer panel 33 is described later, the hood action force reaches a maximum value. The inner rib 41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so as to start interfering with the shock absorber 83.

또한, 제2구체예의 경우에서처럼, 상부로부터 엔진(37)을 덮기 위해 충격흡수체(83)가 제공되며, 그 양단부(84)는 받침탑(89)의 상측면(89a)에 접합된다. 따라서, 충격흡수체(83)가 두개의 받침탑(89)에 연결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받침탑(89)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37)위에는 보통 와이어 부재(85)가 배치되기 때문에 충격흡수체(83)의 하측 판체(83b)에는 와이어 부재(85)로부터 멀리 소정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굴곡 오목부(86)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a shock absorber 83 is provided to cover the engine 37 from above, and both ends 84 are joined to the upper side 89a of the base tower 89. Therefore, since the shock absorber 83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two support towers 89, the support tower 89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since the wire member 85 is usually disposed on the engine 37, the lower plate body 83b of the shock absorber 83 provides a predetermined space away from the wire member 85. As shown in FIG. A bending recess 86 is formed for this purpose.

이하, 제3구체예의 기능을 제21a도 내지 제23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A to 23.

제1구체예의 경우에서처럼 후드(95)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이 충격시험에서 얻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hood 95 is formed such that a shock waveform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in the impact test.

제21a도 내지 제21e도는 충격시험에서 기본(비 개량)구조(충격흡수체(83)를 갖지 않음)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며, 제22a도 내지 제22e도는 충격시험에서 본 구체예의 후드(95)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며, 제23도는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기본(비 개량)구조의 충격파형(C4)을 나타낸다. 제23도에는 충격시험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접근하기 때문에 본 구체예의 후드(95)에 의해 얻어진 충격파형이 생략되어 있다.21A to 21E show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basic (non-improved) structure (without the shock absorber 83) in the impact test, and FIGS. 22A to 22E show the deformation of the hood 95 of this embodiment in the impact test. The deformed state is shown, and FIG. 23 shows the shock wave C4 of the basic (non-improved) structure together with the ideal shock wave Cm. In FIG. 23, the shock waveform obtained by the hood 95 of this embodiment is omitted because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s approached in the impact test.

제21a도 내지 제21e도에 도시한 기본적인 후드 구조는 충격흡수체(83)가 제공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3구체예의 구조와 기본적으로 같다. 충격시험에서 충격흡수체(83)를 갖지 않는 기본 구조의 변형상태와 작용력(F)과 후드 변형 스트로크(S)사이의 관계를 제21a도 내지 제21e도 및 제23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basic hood structure shown in FIGS. 21A to 21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shock absorber 83 is not provid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basic structure without the shock absorber 83 and the action force F and the hood deformation stroke S in the impact te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A to 21E and 23.

제2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체(55)(그 초기속도 V00)가 초기 정지 상태(그 초기속도 V0=0)에서 후드 외측판넬(33)과 간섭하기 시작할 때, 충격체(55)로 부터 후드 외측판넬(33)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33)이 제2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된다. 이 동안 충격체(55)의 속도(V1)가 내측리브(41)의 속도(V1)보다 크기 때문에(V1V1) 후드 외측판넬(33)이 충격체(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제23도의 범위 I로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작용력은 지점(P4)에서 최대 작용력(F1)까기 상승한다. 그후, 후드 외측판넬(33)이 충격체(55)의 관성력때문에 하방으로 깊이 변형하기 시작하여 작용력(F)이 갑자기 감소하기 시작한다.As shown in FIG. 21A, when the impact body 55 (its initial speed V00)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hood outer panel 33 in the initial stop state (its initial speed V0 = 0), the impact body 55 Since a force is applied to the hood outer panel 33 from the hood, the hood outer panel 33 is accelerated as shown in Fig. 21B. During this time, since the speed V1 of the impactor 55 is larger than the speed V1 of the inner rib 41 (V1V1), the hood outer panel 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impactor 55. Therefore, as shown by the range I of FIG. 23, the initial action force rises from the point P4 to the maximum action force F1. Thereafter, the hood outer panel 33 starts to deform downward because of the inertial force of the impactor 55, and the action force F suddenly begins to decrease.

제23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외측판넬(33)이 충분히 가속되어 충격체(55)의 속도(V2)가 내측리브(41)의 속도(v2)보다 작을 때(V2v2), 후드 작용력(F)은 제23도에서 범위 II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S2)에서 0에 도달한다.As shown in FIG. 23C, when the hood outer panel 33 is sufficiently accelerated such that the speed V 2 of the impactor 55 is smaller than the speed v 2 of the inner rib 41 (V 2 v 2). ), The hood action force F reaches zero in stroke S2 as indicated by range II in FIG.

제21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외측판넬(33)이 더욱 이동하여 내측리브(41)가 엔진(37)과 간섭하기 시작할 때 충격체(55)의 속도(V3)는 0이 아니고 내측리브(41)의 속도(v3)만이 0에 도달하기 때문에(V30, v3=0), 내측리브(41)가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변형파괴된다. 그러므로, 제23도에서 범위 III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은 작용력(F)이 발생한다.As shown in FIG. 21D, when the hood outer panel 33 is further moved so that the inner rib 41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engine 37, the speed V 3 of the impact body 55 is not zero but is inward. Since only the velocity v 3 of the rib 41 reaches zero (V 3 0, v 3 = 0), the inner rib 41 absorbs the impact energy and is deformed and destroyed. Therefore, a high action force F occurs as indicated by range III in FIG.

제21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리브(41)가 충분히 변형되어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되었을 때, 후드(95)가 정지하기 때문에 제23도에서 위치 IV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력(F)이 0에 도달한다.As shown in FIG. 21E, when the inner ribs 41 are sufficiently deformed and the impact energy is fully absorbed, the hood 95 stops, so that the action force F is zero at the position IV in FIG. To reach.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비 개량)구조의 충격파형(C4)은 후드 외측판넬(33)의 초기 작용력(F)이 초기변형에서 갑자기 변형할 때로부터 최대 작용력(P4)에 도달할 때까지만 이상적 충격파형(Cm)에 접근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hock wave C4 of the basic (non-improved) structure is ideal only until the initial action force F of the hood outer panel 33 suddenly deforms from the initial deformation until the maximum action force P4 is reached. Approach the shock waveform (Cm).

그러나, 기본(비 개량)구조의 충격파형(C4)에서 작용력(F)은 이상적 충격파형(Cm)보다 최대 작용력(F1)후에 더 갑자기 감소하고 또한 작용력(F)이 (F2)에 도달한 후에 0까지 직접 감소하기 때문에 작용력(F)은 (F2)후에 완화되지 않고 따라서 어깨부(qm)가 형성되지 않으며(왜냐하면, 충격흡수체(83)에 의해 이차 작용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 충격파형(C4)은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크게 다르다. 다시 말해, 내측리브(41)가 엔진(37)과 간섭하기 전에 얻어진 충격에너지(제23도에서 영역(A3))에 의해서만 흡수되어야 할 충분한 충격에너지량을 얻을 수 없다.However, in the shock wave C4 of the basic (non-improved) structure, the action force F decreases more abruptly after the maximum action force F1 than the ideal shock wave Cm and also after the action force F reaches F2. Since the force decreases directly to zero, the action force F does not relieve after (F2) and thus no shoulder qm is formed (because no secondary a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shock absorber 83), and consequently the impact Waveform C4 differs significantly from ideal shock waveform Cm. In other words,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only by the impact energy (area A3 in FIG. 23) obtained before the inner ribs 41 interfere with the engine 37. FIG.

또한 내측리브(41)가 엔진(37)과 간섭할 때 큰 충격에너지량(제23도에서 영역(A4))이 흡수되기 때문에 충격이 시작된 후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 큰 작용력(F)이 작용하며(제23도에서 r4로 나타냄), 그 결과 머리충격특성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In addition, since the large amount of impact energy (area A4 in FIG. 23) is absorbed when the inner rib 41 interferes with the engine 37, a large working force F after a relatively lo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impact is started. (Referred to as r4 in FIG. 23), resulting in a detrimental effect on the head impact properties.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2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체(83)를 갖는 제3구체예에 있어서, 충격체(55)(그 초기속도 V20)가 초기 정지 상태(그 초기속도 v2=0)에서 후드 외측판넬(33)과 간섭할 때 충격체(55)로부터 후드 외측판넬(33)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33)이 제2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된다.In contrast, in the third embodiment having the shock absorber 83 as shown in FIG. 22A, the impact body 55 (its initial speed V 2 0) is in an initial stop state (its initial speed v 2 =). Since the force is applied to the hood outer panel 33 from the impactor 55 when it interferes with the hood outer panel 33 at 0), the hood outer panel 33 is accelerated as shown in FIG. 22B.

이 동안 충격체(55)의 속도(V1)는 내측리브(41)의 속도 v1보다 크기 때문에(V1v1), 기본구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드 외측판넬(33)이 충격체(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하여 제23도에 도시한 범위 Im에서의 지점(Pm)에서 초기 작용력(F)이 최대 작용력(F1)까지 상승한다.In the meantime, since the speed V 1 of the impact body 55 is larger than the speed v 1 of the inner rib 41 (V 1 v 1 ), the hood outer panel 33 is the impact body 55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basic structure. The local deformation along the contour of the N) increases the initial action force F to the maximum action force F1 at the point Pm in the range Im shown in FIG.

최대 작용력후에 후드 외측판넬(33)이 넓은 면에서 충격체(55)의 관성력때문에 하방으로 깊이 변형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2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리브(41)가 충격흡수체(83)와 간섭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내측리브(41)와 충격흡수체(83)사이의 간섭에 의해 작용력이 발생하여 작용력(F)이 갑자기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용력(F)이 제23도의 범위 IIm에서의 이상적 충격파형(Cm)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감소한다.After the maximum action force, the hood outer panel 33 starts to deform downwards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55 on the wide side.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rib 41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shock absorber 83, as shown in FIG. 22B, an act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inner rib 41 and the shock absorber 83, and thus the action force F is obtained. This can be prevented from suddenly decreasing. As a result, the action force F decreases almost as in the case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n the range IIm in FIG.

후드 스트로크(S)가 제2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거리에 도달할 때, 충격흡수체(83)가 엔진(37)과 간섭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내측리브(41)가 충격흡수체(83)를 통하여 엔진(37)과 간섭한다. 이때, 충격체(55)의 속도(V3)가 0이 아니고 내측리브(41)의 속도(v3)만이 0에 도달하기 때문에(V30, v3=0), 내측리브(41)와 충격흡수체(83)가 모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변형파괴된다. 그러므로, 충격흡수체(83)에 의해 바람직한 이차 작용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작용력(F)의 총 감소율이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제23도의 범위 III에서의 이상적인 파형(Cm)에서와 마찬가지로 어깨부(qm)를 얻을 수 있다. 제22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리브(41)가 충분히 변형하고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된 후 후드(95)가 정지하기 때문에 제23도에서 위치 IV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용력(F)이 스트로크(S0)에서 0에 도달한다.When the hood stroke S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22d, the inner rib 41 passes through the shock absorber 83 because the shock absorber 83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engine 37. As shown in FIG. Interference with engine 37. At this time, since the velocity V 3 of the impactor 55 is not zero and only the velocity v 3 of the inner rib 41 reaches zero (V 3 0, v 3 = 0), the inner rib 41 is formed. And the shock absorber 83 both absorb shock energy and deform and destroy. Therefore, the preferred secondary action force can be generated by the shock absorber 83. That is, since the total reduction rate of the action force F can be alleviated, the shoulder portion qm can be obtained as in the ideal waveform Cm in the range III in FIG. As shown in FIG. 22E, the hood 95 stops after the inner ribs 41 are sufficiently deformed and the shock energy is completely absorbed, so that the acting force F is shown in FIG. ) To zer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95)의 충격시험에 있어서, 초기변형시에 후드 외측판넬(33)이 충격체(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이 급격히 증가한다. 그러므로, 스트로크(S1)에서 최대 작용력(F1)이 얻어질 수 있다. 그 후, 후드 외측판넬(33)이 충격체(55)의 관성력에 의하여 넓은 영역에서 깊이 변형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내측리브(41)가 충격흡수체(83)와 간섭하기 때문에 작용력(F)이 적절한 감소율로 감소한다. 스트로크(S)가 (S2)에 도달할 때 작용력은 (F2)까지 감소한다. 그 후, 내측리브(41)와 충격흡수체(83)가 모두 엔진(37)과 간섭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이차 작용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격파형에서 어깨부(qm)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내측리브(41)와 충격흡수체(83)가 충분히 파괴된 후, 작용력이 다시 0까지 감소하기 때문에 후드(95)가 정지한다. 따라서, 본 구체예에서는 제1구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pact test of the hood 9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action force rapidly increases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impactor 55 during the initial deformation. . Therefore, the maximum working force F1 at the stroke S1 can be obtained. Thereafter, the hood outer panel 33 starts to deform in a wide area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impactor 55. In this case, since the inner rib 41 interferes with the shock absorber 83, the action force F decreases at an appropriate reduction rate. When the stroke S reaches S2, the action force decreases to F2. After that, since both the inner rib 41 and the shock absorber 83 are deformed by interfering with the engine 37, a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may occur, so that the shoulder portion qm can be obtained in the shock waveform. In addition, after the inner rib 41 and the shock absorber 83 are sufficiently destroyed, the hood 95 stops because the action force decreases to zero agai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shock waveform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제3구체예에 있어서 후드 외측판넬(33)과 엔진(37)사이의 갭(D6 및 D7)이 제1구체예에서처럼 약 20mm로 결정되기 때문에 또한 후드 외측판넬(33)과 충격흡수체(83)사이의 갭(D6)이 소정치로 결정되기 때문에 작용력을 최대치 이후에 적절한 감소율로 줄일 수 있고 자동차의 후드구조물에서 이차 작용력을 확실하게 증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이 얻어질 수 있으며 HIC값이 짧은 스트로크에서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므로 머리충격특성을 완화시킨다.Further, since the gaps D6 and D7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engine 37 in the third embodiment are determined to be about 20 mm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ood outer panel 33 and the shock absorber ( Since the gap D6 between 83 is determined to be a predetermined value, the action force can be reduced to an appropriate reduction rate after the maximum value, and the secondary action force can be reliably increased in the hood structure of the vehicle. Therefore, a shock waveform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and the HIC value can be effectively reduced in a short stroke, thereby alleviating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s.

또한 제3구체예에 있어서 엔진룸 측에 충격흡수체가 제공되기 때문에 후드(81)의 중량이 줄어들며 따라서 후드(81)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체(83)가 받침탑(89)에 고정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37)의 전체 상측면을 덮기 위하여 충격흡수체(83)가 제공되기 때문에 엔진(37)위의 후드 외측판넬(33)의 거의 전표면에서 머리충격특성을 완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shock absorber is provided on the engine room side, the weight of the hood 81 is reduced, so that the hood 81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83 is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tower 89, vehicle driving st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83 is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upper side of the engine 37, the head shock characteristic can be alleviated at almost the entire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33 on the engine 37.

또한, 충격흡수체(83)의 폐쇄 단면 속에 흡음재료를 제공하였을 때는 제2구체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엔진소음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e closed end face of the shock absorber 83, the engine noise can be reduce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드구조의 제4구체예를 제24도 내지 제28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4구체예의 특징은 받침탑(151)위의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이다.Hereinafter, a fourth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28. A feature of the fourth embodiment is to effectively reduce the HIC value on the pedestal 151.

제24도는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5도는 제24도의 선25-25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26도는 후드 내측판넬(137a)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선27-27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28도는 제26도의 선28-28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d structure, FIG. 2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5-25 of FIG. 24, FIG. 26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hood inner panel 137a, and FIG. 27 is a line 27-27 of FIG. 28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8-28 of FIG.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131)의 후드 외측판넬(133)은 엔진룸(135)의 상측면을 막고, 후드 내측판넬(137)은 엔진룸(135)상의 후드 외측판넬(133)의 내측판넬에 부착된다. 후드 내측판넬(137)에는 후드 내측판넬(137)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후드 외측판넬(133)의 원주부 내측을 따라서 모자형상의 내측리브(139)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hood outer panel 133 of the hood 131 blocks the upper side of the engine compartment 135, and the hood inner panel 137 is a hood on the engine compartment 135. It is attached to the inner panel of the outer panel 133. The hood inner panel 137 is formed with a hat-shaped inner rib 139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od outer panel 133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hood inner panel 137.

엔진룸(135)의 양측에는 후드릿지(149)로부터 엔진룸(135)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받침탑(151)이 제공된다. 각 받침탑(151)의 상측면(151a)에는 세계의 볼트가 수직하게 제공되며 각 볼트(152)에는 너트(153)가 결합된다.On both sides of the engine room 135, a support tower 151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hood ridge 149 into the engine room 135. The bolts of the world are vertical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51a of each support tower 151, and a nut 153 is coupled to each bolt 152.

후드 외측판넬(133)과 받침탑(151)위에 위치하는 후드 내측판넬(137a)(앞으로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라고 칭함)사이에는 중공부(H)가 형성된다.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로부터 내측리브(139)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드 내측판넬(137)에는 평판부(141)가 일체로 형성된다.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은 받침탑(151)의 상부에 배치된 볼트(152) 및 너트(153)의 근처에 형성된다. 평판부(141)로부터 연장되는 내측리브(139a)의 내측면(145a)(제25도 참조)은 탄성 수지(146)(예를 들면, 검 유향 수지)로 후드 외측판넬(133)에 접합되며, 평판부(141)로부터 연장되는 내측리브(139b)의 외측면(145b)(제25도 참조)은 후드 외측판넬(133)의 외주(133a)를 따라서 형성된 굴곡부속으로 가압 결합된다.A hollow portion H is formed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133 and the hood inner panel 137a (forwardly referred to as the upper hood inner panel 137a) positioned on the base tower 151. The flat plate portion 14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hood inner panel 137 extending from the base tower upper hood inner panel 137a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rib 139. The base top hood inner panel 137a is formed near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disposed on the top of the base 151. The inner surface 145a (see FIG. 25) of the inner rib 139a extending from the flat plate portion 141 is bonded to the hood outer panel 133 with an elastic resin 146 (for example, gum directed resin). The outer surface 145b (see FIG. 25) of the inner rib 139b extending from the flat plate portion 141 is press-coupled to the bent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133a of the hood outer panel 133.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과 볼트(152) 및 너트(153)근처의 후드 외측판넬(133)사이에 형성된 중공부(H)에는 다수의(본 구체예에서는 네게) 충격흡수부재(155,1157 및 159)가 충격흡수체로서 배열된다.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과 충격흡수부재(155,157 및 159)는 충격흡수체를 구성한다. 이들 충격흡수부재(155,157 및 159)는 두개의 중간 충격흡수부재(155)가 평판부(141)의 중간부에 배열되고 하나의 내측 충격흡수부재(157)와 하나의 외측 충격흡수부재(159)가 차량 폭방향으로 평판부(141)의 내측 및 외측에 하나씩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또한, 두개의 중간 충격흡수부재(155)는 각각 두개의 볼트(152)와 너트(153)위에 위치하며, 내측 충격 부재(157)는 받침탑(151)의 볼트(152) 및 너트(153)의 하나 위에 위치한다.The hollow portion H formed between the inner top panel 137a of the support tower and the hood outer panel 133 near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includes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155 in this embodiment. 1157 and 159 are arranged as shock absorbers. The base panel upper hood inner panel 137a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s 155, 157, and 159 constitute a shock absorber. These shock absorbing members 155, 157, and 159 have two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s 155 arranged in the middle of the flat plate portion 141, and one inner shock absorbing member 157 and on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arranged one inside and one outside of the flat plate portion 141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wo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s 155 are positioned on two bolts 152 and nuts 153, respectively, and the inner shock member 157 is a bolt 152 and a nut 153 of the base 151. Is located above one.

제26도의 선27-27을 따라서 취한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충격흡수부재(159)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형(모자형상)단면으로 형성되며, 후드 외측판넬(133)에 접합된 상측 연결부(159a)와, 상측 연결부(159a)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두개의 직선 다리부(159b)(각각 외측 지지부로서 작용한다)와, 직선다리부(159b)의 양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굽어져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에 용접된 두개의 하측 연결부(159c)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7 taken along line 27-27 of FIG. 26, th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is formed in a quadrangular or ladder-shaped (hat shape) cross section, and is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133. The connecting portion 159a, two straight leg portions 159b (each serving as an outer support portion)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159a, and outwardly from both lower ends of the straight leg portion 159b. It is composed of two lower connection portions 159c that are bent and welded to the inner top panel 137a of the base tower.

또한,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에는 외측 충격흡수부재(159)의 아래에 충격흡수체를 구성하기 위한 범퍼고무 부착부재(160)가 형성된다. 범퍼고무 부착부재(160)는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을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사각형 또는 사다리형(모자 형상)단면으로 펀치가공하여 형성된다. 범퍼고무 부착부재(160)는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로부터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두개의 다리부(160b)(각박 외측지지부로서 작용)와 두개의 다리부(160b)사이에 형성된 범퍼고무 결합부(160a)로 구성된다. 범퍼고무 결합부(160a)에는 구멍(1606)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 속으로 탄성수지로 만들어진 범퍼고무(147)가 끼워져 받침탑(151)의 상측면(151a)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범퍼고무(147)가 받침탑(151)의 상측면(151a)과 접촉할 때 후드 외측판넬(133)이 닫혀져 후드 외측판넬(133)의 양 외측단부가 각각 범퍼 고무(147)를 통하여 받침탑(1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bumper rubber attachment member 160 for forming a shock absorber under th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is formed in the inner top panel 137a of the support tower. The bumper rubber attachment member 160 is formed by punching the support top upper hood inner panel 137a in a rectangular or ladder-shaped (hat shape) end face obliquely downward. The bumper rubber attachment member 160 is a bumper formed between two leg portions 160b (acting as an outer foil supporting portion) and two leg portions 160b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inner top panel 137a of the support top. It consists of the rubber coupling part 160a. A hole 1606 is formed in the bumper rubber coupling part 160a, and a bumper rubber 147 made of an elastic resin is inserted into the hol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151a of the support tower 151. Therefore, when the bumper rubber 147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51a of the base 151, the hood outer panel 133 is closed so that both outer ends of the hood outer panel 133 are respectively bumped through the bumper rubber 147. It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tower 151.

제26도의 선28-28을 따라서 취한 제28도에서 두개의 중간 충격흡수부재(155)는 받침탑(151)의 상측면(151a)로부터 돌출하는 두개의 볼트(152) 및 너트(15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외측 충격흡수부재(15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간 충격흡수부재(155)는 상측 연결부(155a)와, 두개의 직선 다리부(155b)와, 하측 연결부(155c)로 구성된다. 또한, 내측 충격흡수부재(157)는 형상에 있어서 증간 충격흡수부재(155)와 대략 동일하다.In FIG. 28 taken along line 28-28 of FIG. 26, the two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s 155 are formed of two bolts 152 and nuts 15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151a of the support tower 151. It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As in the case of th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the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 155 is composed of an upper connecting portion 155a, two straight leg portions 155b, and a lower connecting portion 155c. In addition, the inner shock absorbing member 157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 155 in shape.

중간 충격흡수부재(155)의 직선 다리부(155b) 및 (157b)와 내측 충격흡수부재(157)는 모두 그 양단부에서 수지(예를 들면, 검 유향 수지)를 사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후드 외측판넬(133)과 받침탑 상부 내측판넬(137a)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받침압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은 충격간섭부재로서 작용하는 받침탑(151)의 볼트(152) 및 너트(153)의 근처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받침탑(151)과 후드 외측판넬(133)사이의 수직갭은 받침탑(151)에서 중간 및 내측 충격흡수부재(155)와 (157)의 직선 다리부(155b) 및 (157b)와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The straight leg portions 155b and 157b of the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 155 and the inner shock absorbing member 157 both use resin (for example, gum directed resin) at their both ends or are welded to the hood outer panel. It is connected between the 133 and the base tower upper inner panel (137a). In addition, the supporting pressure upper hood inner panel 137a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of the supporting tower 151 serving as the impact interference member. Therefore,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support tower 151 and the hood outer panel 133 is the straight legs 155b and 157b of the middle and inner shock absorbing members 155 and 157 in the support tower 151. It can be reduced by the support tower upper hood inner panel (137a).

또한, 외측 충격흡수부재(156)의 직선 다리부(159b)는 그 양단부가 수지(146)(예를 들면, 검 유향 수지)를 사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후드 외측판넬(133)과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범퍼고무(147)를 갖는 범퍼고무 장착부(160)의 다리부(160b)는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받침탑(151)과 후드 외측판넬(133)사이의 수직갭은 받침탑(151)에서 외측 충격흡수부재(159)의 직선 다리부(159b)와,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과, 외측 충격흡수부재(159)의 다리부(160b)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aight leg portion 159b of th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6 has both ends thereof with a resin 146 (for example, gum directed resin) or by welding, the hood outer panel 133 and the base top upper hood. It is connected between the inner panel 137a. In addition, the leg portion 160b of the bumper rubber mounting portion 160 having the bumper rubber 147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ase top hood inner panel 137a. Therefore,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support tower 151 and the hood outer panel 133 is a straight leg portion 159b of th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and the support tower upper hood inner panel 137a at the support tower 151. And, it can be reduced by the leg portion 160b of the outer shock absorbing member 159.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후드구조물의 기능을 제29도 및 제30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hoo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9 and 30.

본 구체예의 후드(131)는 후드(131)에 충격이 가해질 때 비교적 짧은 스트로크로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hood 131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obtain an impact waveform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HIC value with a relatively short strok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ood 131.

제29도는 충격시험에서의 기본(비 개량)구조물(충격흡수체를 갖지 않음)을 나타내며, 제30도는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파형(C11)을 나타낸다.FIG. 29 shows the basic (non-improved) structure (without the shock absorber) in the impact test, and FIG. 30 shows the basic shock wave (C11) with the ideal shock wave (Cm).

여기서, 제29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물의 후드(163)는 충격흡수체(즉, 충격흡수부재(155,157 및 159))가 제공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24도에 도시한 것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후드 외측판넬(133)에 대향하도록 볼트(152)와 너트(153)가 제공된다.Here, the hood 163 of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29 is almost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24 except that the shock absorbers (ie, the shock absorbing members 155, 157 and 159) are not provided. In addition, a bolt 152 and a nut 153 are provided to face the hood outer panel 133.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본 구조물을 사용하는 충격시험에 있어서, 충격체(161)는 볼트(152)와 너트(153)가 배열된 위치에서 후드 외측판넬(133)의 상측면과 충돌하게 되며, 또한 충격체(161)의 가속도와 스트로크가 측정된다. 충격체(161)의 가속도는 제30도의 종좌표상의 후드(163)의 작용력(F)에 대응하며, 충격체(161)의 스트로크는 제30도의 횡좌표상의 스트로크(S)(후드 외측판넬(133)의 이동거리)에 대응한다. 제29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물을 사용하는 충격시험에 근거하여 제30도에 도시한 기본 충격파형(C11)이 얻어질 수 있다.In the impact test using the basic structure as shown in FIG. 29, the impact body 161 collid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133 at the position where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are arranged.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and the stroke of the impact body 161 are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the impact body 161 corresponds to the action force F of the hood 163 on the longitudinal coordinates of FIG. 30, and the stroke of the impact body 161 is the stroke S on the horizontal coordinates of FIG. 30 (hood outer panel 133). Of moving distance). Based on the impact test using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29, the basic shock waveform C11 shown in FIG. 30 can be obtained.

이상적 파형(Cm)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에 기초하여, 그리고 HIC유추식(1) 및 (2)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제30도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횡좌표상의 스트로크(S)에 의해 둘러 싸여진 내측영역은 흡수되는 충격에너지량을 나타내며, 이 내측영역은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과 같도록 정해진다. 또한,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은 충격시험과 계산에 근거하여 얻어질 수 있다.The ideal waveform Cm can b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in the collision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the HIC inference equations (1) and (2). In FIG. 30, the inner region surrounded by the ideal shock waveform Cm and the stroke S on the abscissa represents the amount of impact energy absorbed, which is defined to be equal to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at the time of impact. All. In additi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in a collision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impact test and calculation.

제30도에 도시한 이상적 파형(Cm)에 있어서, 작은 스트로크(S)에서 초기변형에 의한 초기 작용력은 급격히 증가하고 스트로크(S11)에서 최대 작용력(F11)(Pm)에 도달한다. 작용력은 스트로크(S12)에서 (F12)까지 급격히 하강한다. 스트로크(S12)후의 후반변형에 있어서, 이차 작용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용력의 감소율이 완화되어 어깨부(qm)가 나타난다. 또한 스트로크가(S13)에 도달할 때 작용력(F)이 급격히 감소하며, 스트로크(S0)에서 대략 0에 도달하며 여기서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In the ideal waveform Cm shown in FIG. 30, the initial action force due to the initial deformation in the small stroke S increases rapidly and reaches the maximum action force F11 (Pm) in the stroke S11. The action force drops sharply from stroke S12 to F12. In the second half deformation after the stroke S12, since the secondary action force is generated, the reduction rate of the action force is alleviated, and the shoulder portion qm appears. Also, when the stroke reaches S13, the action force F decreases sharply, reaching approximately zero in the stroke S0, where the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제30도에서 기본 충격파형(C11)의 경우에 충돌직후의 초기 변형은 후드 외측판넬(133)이 충격체(161)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하므로 초기 작용력이 주로 후드 외측판넬(133)의 장력에 근거하여 증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후드 외측판넬(133)의 양단부에서 후드 외측판넬(133)이 변형 또는 파괴되려고 하기때문에 충분한 장력이 즉시 얻어질 수 없다. 따라서, 기본 충격파형(C11)의 초기 작용력의 증가율은 이상적 충격파형(Cm)보다 작으므로 얻을 수 있는 최대 작용력(F13)(P1)이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최대 작용력(F11)보다 작다 최대 작용력후에 후드 외측판넬(133)은 충격체(161)의 관성력때문에 넓은 영역에서 깊이 변형하기 시작하므로 스트로크(S)의 증가에 따라서 작용력(F)이 갑자기 감소하고 작용력은 (F12)보다 낮게 감소한다. 또한, 내측리브(139)는 볼트(152) 및 너트(153)와 간섭할 때 작용력이 다시 (F14)까지 증가하여 후드(163)가 정지한다.In FIG. 30, in the case of the basic shock wave C11, the initial de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impact is that the hood outer panel 133 locally deforms along the contour of the impact body 161, so that the initial action is mainly performed by the hood outer panel 133. It is made to increase based on tension. However, sufficient tension cannot be obtained immediately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133 is about to deform or break at both ends of the hood outer panel 133. Therefore, the rate of increase of the initial action force of the basic shock wave C11 is smaller than the ideal shock wave Cm, so the maximum action force F13 (P1) that can be obtained is smaller than the maximum action force F11 of the ideal shock wave Cm. After the action force, the hood outer panel 133 starts to deform in a wide area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 body 161, so as the stroke S increases, the action force F suddenly decreases and the action force decreases below F12. . In addition, when the inner rib 139 interferes with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the action force increases to F14 again and the hood 163 stops.

상술한 바와 같이, 후드(163)의 기본 구조의 경우에는 초기 작용력이 작고, 스트로크가 더욱 증가한 후에 작용력이 다시 증가한다. 그 결과,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어깨부(qm)가 얻어질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충격이 시작된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작용력(F)이 다시 증가하기 때문에 이는 머리충격특성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후드 외측판넬(133)이 볼트(152) 및 너트(153)와 간섭하여 정지할 때는 충격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basic structure of the hood 163, the initial action force is small, and the action force increases again after the stroke is further increased. As a result, the shoulder portion qm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not be obtained. In other words, this is undesirable for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because the action force F increases agai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impact is started. In addition, when the hood outer panel 133 stops interfering with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the impact energy may not be sufficiently absorbed.

이와는 반대로, 본 구체예의 후드(131)의 경우에는 초기 변형시에 후드 외측판넬(133)이 충격체(161)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이 갑자기 상승한다. 이 경우 후드 외측판넬(133)과 볼트(152) 및 너트(153)사이의 수직갭이 중간 충격흡수부재(155)의 직선 다리부(155b)에 의해 감소되기 때문에 변형된 후드 외측판넬(133)이 즉시 직선 다리부(155b)에 의해 지지되므로 후드 외측판넬(133)의 변형이 즉시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은 스트로크에서 충분한 초기 작용력이 얻어질 수 있으며, 즉 스트로크(S11)에서 최대 작용력(F11)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범퍼고무(146)는 후드 외측판넬(133)의 외측단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을 확실히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hood 13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itial action force suddenly rises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1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impact body 161 at the time of initial deformation. In this case, the hood outer panel 133 deformed because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133 and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is reduced by the straight leg portion 155b of the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 155. Since it is immediately supported by the straight leg portion 155b, deformation of the hood outer panel 133 can be suppressed immediately. Therefore, a sufficient initial action force can be obtained in a small stroke, that is, a maximum action force F11 can be obtained in the stroke S11. In addition, since the bumper rubber 146 can prevent the outer end of the hood outer panel 133 from being destroyed, the initial action force can be surely increased.

초기 작용력이 얻어진 후에는 후드 외측판넬(133)이 충격체(161)의 관성때문에 넓은 부위에서 깊이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작용력이 갑자기 감소한다. 그러나, 이 경우는 후드 외측판넬(133)이 여전히 중간 충격흡수부재(155)의 직선 다리부(155b)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후드 외측판넬(133)에 대한 충격력이 직선 다리부(155b)에 의해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73a)로 분산되기 때문에 작용력(F)이 극도로 감소되지 않으므로 작용력(F)의 감소율이 원하는 값으로 유지된다. 또한, 스트로크(S)가 (S12)에 도달할 때 작용력(F)은 (F12)까지 강하한다. 그후, 직선 다리부(155b)가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발생하여 어깨부(qm)가 생긴다. 직선 다리부(155b)가 충분히 파괴된 후, 후드 외측판넬(133)이 볼트(152) 및 너트(133)와 직접 간섭하기 전에 충분한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용력(F)이 다시 0까지 갑자기 감소하여 후드(163)가 정지한다.After the initial action force is obtained, the action force suddenly decreases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133 starts to deform in a wide area due to the inertia of the impactor 161. In this case, however, the hood outer panel 133 is still supported by the straight leg portion 155b of the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 155 and the impact force on the hood outer panel 133 is caused by the straight leg portion 155b. Since the working force F is not extremely reduced because it is distributed to the base top hood inner panel 173a, the reduction rate of the working force F is maintained at a desired value. In addition, when the stroke S reaches (S12), the action force F drops to (F12). Then, since the straight leg part 155b starts to deform | transform, a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arises and a shoulder part qm arises. After the straight leg portion 155b is sufficiently destroyed, the force F is again zero because sufficient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before the hood outer panel 133 directly interferes with the bolt 152 and the nut 133. Suddenly decreases until the hood 163 stops.

또한, 동일한 기능과 효과가 내외측 충격흡수부재(157) 및 (159)위의 후드 외측판넬(133)에서 얻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can be obtained in the hood outer panel 133 on the inner and outer shock absorbing members 157 and 159.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133)의 짧은 스르로크에도 불구하고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머리충격특성이 완화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ck waveform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alleviated because the HIC value can be effectively reduced in spite of the short thrust of the hood outer panel 133.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4구체예의 변형예를 제32도 및 제33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32도는 후드구조물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3도는 제32도의 선33-33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specific example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2 and 33. FIG. 3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hood structure, and FIG. 3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33-33 of FIG.

본 변형예에 있어서, 두개의 중간 충격흡수부재(165)는 받침탑 상부 후드 외측판넬(137a)을 펀치가공하여 형성되므로 받칩탑 상부 후드 외측판넬(137a)과 일체로 형성된다 중간 충격흡수부재(15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중간 충격흡수부재(165)는 상측 연결부(165a)와, 두개의 직선 다리부(165b)와, 두개의 하측 연결부(165c)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로부터 굽어져 있다.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two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s 165 are formed by punching the base top outer hood outer panel 137a, and thu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chip top hood outer panel 137a. As in the case of 155, each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member 165 is composed of an upper connection portion 165a, two straight leg portions 165b, and two lower connection portions 165c, all of which are top of the pedestal upper hood. It is bent from the inner panel 137a.

본 변형예에서는 충격흡수부재(165)가 받침탑 상부 후드 내측판넬(137a)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조립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since the shock absorbing member 16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hood inner panel 137a of the base tower, the number of parts may be reduced and assembly workability may b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5구체예를 제34도 및 제35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구체예의 특징은 각 받침탑(151)의 상측면(151a)에 추가로 충격흡수체(171)를 제공하는 것이다.Hereinafter, a fifth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4 and 35. A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o provide a shock absorber 171 in addition to the upper side (151a) of each base tower (151).

충격흡수체(171)는 상측판부(181)와 다수의 직선 다리(지지)부 (173,175 및 177)로 구성된다. 상측판부(181)는 후드 외측판넬(133)의 근처에 배치된다. 각각의 직선 다리부(173,175 및 177)는 후드 외측판넬(133)측으로부터 받침탑(151)쪽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상측판부(181)의 에지부로부터 하강 및 내측으로 굽어진다.The shock absorber 171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portion 181 and a plurality of straight leg (support) portions 173, 175 and 177. The upper plate portion 181 is disposed near the hood outer panel 133. Each of the straight leg portions 173, 175, and 177 is bent downward and inward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181 so as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hood outer panel 133 side toward the support tower 151.

또한, 상측판부(181)는 세 개의 볼트(152) 및 너트(153)를 덮기 위해 받침탑(151)에 고정된다. 상측판부(181)에는 충격흡수체(171)의 붕괴 작용력을 소정의 소망치로 조정하기 위해 세 개의 구멍(179)이 형성된다. 이들 구멍(179)은 충격흡수체(171)가 볼트(152) 및 너트(153)의 사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152) 및 너트(153)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개의 직선 다리부(173) 및 (175)의 하단부(182) 및 (183)은 볼트(172) 및 너트(153)쪽으로 굽어지며 이들 하단부(182) 및 (183)은 충격흡수체(171)를 고정하기 위해 받침탑(151)의 상측면(151a)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portion 181 is fixed to the support tower 151 to cover the three bolts 152 and nuts 153. Three holes 179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181 to adjust the collapse force of the shock absorber 171 to a predetermined desired value. These holes 179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bolts 152 and the nuts 153 so that the shock absorber 171 can be fixed by the use of the bolts 152 and the nuts 153. In addition, the lower ends 182 and 183 of the two straight legs 173 and 175 are bent toward the bolt 172 and the nut 153, and the lower ends 182 and 183 are the shock absorbers 171. It is fixed to the upper side (151a) of the base tower 151 to fix the).

또한, 상측판부(181)의 외측에는 폐쇄된 후드 외측판넬(133)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탄성수지로 만들어진 범퍼고무(167)가 부착된다.In addition, a bumper rubber 167 made of an elastic resin is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late 181 to support the outer end of the closed hood outer panel 133.

본 제5구체예에서도 제4구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기능과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In this fifth embodiment, the same functions and effects can be obtain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구체적으로, 초기변형시에 후드 외측판넬(133)이 충격체(161)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이 갑자기 상승한다. 이 경우 후드 외측판넬(133)이 즉시 직선 다리부(173,175 및 177)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133)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작은 스트로크에서 충분한 초기 작용력이 얻어질 수 있으며, 즉 최대 작용력(F11)이 스트로크(S11)에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범퍼고무(167)는 후드 외측판넬(133)의 외측단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을 확실히 증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hood outer panel 1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impact body 161 during the initial deformation, the initial action force suddenly rises. In this case, since the deformation of the hood outer panel 133 is suppressed since the hood outer panel 133 is immediately supported by the straight legs 173, 175 and 177, sufficient initial acting force can be obtained at a small stroke, i.e., the maximum acting force ( F11) can be obtained at stroke S11. In addition, since the bumper rubber 167 can prevent the outer end of the hood outer panel 133 from being destroyed, the initial action force can be surely increased.

초기 작용력이 얻어진 후, 후드 외측판넬(133)이 충격체(161)의 관성력때문에 넓은 부위에서 깊게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작용력이 갑자기 감소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후드 외측판넬(133)에 대한 충격력이 여전히 충격흡수체(171)의 직선 다리부(173,175 및 177)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작용력(F)이 갑자기 감소하지 않아 작용력(F)의 감소율이 원하는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S)가 (S12)에 도달할 때 작용력(F)이 (F12)까지 강하한다. 그후, 직선 다리부(173,175 및 177)가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어깨부(qm)가 생긴다. 직선 다리부(173,175 및 177)가 충분히 파괴된 후에는 후드 외측판넬(133)이 볼트(152) 및 (153)과 직접 간섭하기 전에 충분한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용력(F)이 다시 0까지 갑자기 감소하므로 후드(131)가 정지한다.After the initial action force is obtained, the action force suddenly decreases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133 starts to deform deep in a wide area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161.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impact force on the hood outer panel 133 is still supported by the straight legs 173, 175 and 177 of the shock absorber 171, the action force F does not suddenly decrease and the reduction rate of the action force F is reduced. This can be kept at the desired value. In addition, when the stroke S reaches (S12), the action force F drops to (F12). Thereafter, since the straight legs 173, 175 and 177 start to deform, a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can occur, resulting in a shoulder qm. After the straight legs 173, 175 and 177 have been sufficiently destroyed, the action force F is again restored because sufficient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before the hood outer panel 133 directly interferes with the bolts 152 and 153. The hood 131 stops because it suddenly decreases to zero.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피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133)의 작은 스트로크에도 불구하고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머리 충격특성이 완화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ck waveform approximating the superfici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the HIC value can be effectively reduced despite the small stroke of the hood outer panel 133, so that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alleviated.

또한, 받침탑(151)상에는 충격흡수체(171)가 제공되기 때문에, 후드(170)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후드(170)가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171 is provided on the support tower 151, the weight of the hood 170 may be reduced, so that the hood 170 may be easily opened and closed.

또한, 충격흡수체(172)는 이미 제공한 볼트(152) 및 너트(153)를 사용하여 받침탑(151)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172 may be fixed to the support tower 151 using the bolt 152 and the nut 153 already provided, the configuration may be simplifi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6구체예를 제36도 내지 제38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36도는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7도는 제36도의 선37-37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38도는 본 구체예의 기본(비 개량)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Hereinafter, a sixth specific example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6 to 38. FIG. 3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d structure, FIG. 3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37-37 of FIG. 36, and FIG. 3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non-improved) hood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제36도에서, 후드(231)의 후드 외측판넬(233)은 엔진룸(235)의 상측면을 폐쇄한다. 후드 외측판넬(233)의 엔진룸(235)측의 하측면(233)에는 후드 내측판넬(237)이 접합된다. 후드 내측판넬(237)에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채널형 단면의 다수의 내측리브(239)가 형성된다. 내측리브(239)는 하나의 기다란 내측리브(239L)와 내측리브(239L)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두개의 짧은 내측리브(239S)로 구성된다.In FIG. 36, the hood outer panel 233 of the hood 231 closes the upper side of the engine room 235. The hood inner panel 237 is joined to the lower side 233 of the hood outer panel 233 on the engine room 235 side. The hood inner panel 237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ner ribs 239 having a channel-shaped cross section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The inner rib 239 is composed of one elongated inner rib 239L and two short inner ribs 239S perpendicularly intersecting with the inner rib 239L.

각각의 내측리브(239)는 후드 외측판넬(233)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변형된다. 각각의 내측리브(239)에는 후드 외측판넬(233)에 평행한 바닥판(241)과, 바닥판(241)의 양측으로부터 굽어진 두개의 양측벽(243)과, 두개의 측벽(243)사이에 형성된 개구부(244)와, 후드 외측판넬(233)에 평행한 양측방향으로 두개의 측벽(243)의 양단부로부터 굽어진 두개의 플랜지부(245)로 구성된다. 내측리브(239)의 각 교차부(247)에서는 인접 바닥판(241)과 인접 플랜지부(245s)는 서로 동일면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측벽(243a)은 각 교차점(247)에서 굴곡형상으로 형성되지만 후드 외측판넬(233)의 하측면(233a)으로부터 보았을 때 교차점(247)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는 직선형으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각 내측리브(239)의 측벽(243b)에는 각각 위에서 보아 두개의 양측 직선부(249)가 형성된다.Each inner rib 239 is deformed to absorb shocks appli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Each inner rib 239 includes a bottom plate 241 parallel to the hood outer panel 233, two side walls 243 bent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241, and two side walls 243. And an opening 244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two flange portions 245 bent from both ends of the two side walls 243 in both directions parallel to the hood outer panel 233. At each intersection portion 247 of the inner rib 239, the adjacent bottom plate 241 and the adjacent flange portion 245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ame plane with each other. The side wall 243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t each intersection point 247 but is deformed linearly at a position away from the intersection point 247 when viewed from the lower side 233a of the hood outer panel 233. In other words, two side straight portions 249 are formed on the side walls 243b of the respective inner ribs 239, respectively, as viewed from above.

내측리브(239)의 각 직선부(249)에는 플랜지부(245)의 상측면에 보강판부재(251)가 고정되어 보강판부재(251)와 내측리브(237)사이의 폐쇄된 단면공간(N)을 형성한다. 플랜지부(245)와 보강판부재(251)의 상측면(245a)과 (251a)는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칙적인 간격의 여러 위치에서 수지(예를 들면, 검 유향 수지)에 의해 후드 외측판넬(233)의 하측면(233a)에 접합되므로 내측리브(239)가 후드 외측판넬(233)과 결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245 on each straight portion 249 of the inner rib 239 so that the closed cross-sectional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and the inner rib 237 ( Form N). The upper surface 245a and 251a of the flange part 245 and the reinforcement board member 251 are made of resin (for example, gum directed resin) at various positions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Since the bottom outer surface 233a of the hood outer panel 233 is bonded, the inner rib 239 may be coupl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또한,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간섭체로서의 엔진(253)이 엔진룸(235)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내측리브(239)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변형한 후 엔진(253)과 간섭하지 않도록 엔진(253)의 상측면(253a)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다시 말해, 엔진(253)의 상측면(253a)과 내측리브(239)의 하측면(239a)사이의 거리(L1)는 제39도에 도시한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스트로크(S0)보다 크게 결정된다.As shown in FIG. 37, the engine 253 as the impact interfering body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engine room 235. As shown in FIG. The inner ribs 239 are positioned away from the upper side 253a of the engine 253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ngine 253 after being deformed to absorb shocks. In other words, the distance L1 between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engine 253 and the lower surface 239a of the inner rib 239 is smaller than the stroke S0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shown in FIG. Largely determined.

이하, 본 구체예의 기능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구체예에 있어서, 내측리브(239)위의 후드의 머리충격특성이 내측리브(239)와 엔진(253)의 간섭없이 완화될 수 있는데, 즉 내측리브(239)위의 후드(231)에서 HIC값이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해, 후드(231)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이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hood on the inner rib 239 can be mitigated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inner rib 239 and the engine 253, ie in the hood 231 on the inner rib 239. The HIC value can be reduced. In other words, the hood 231 is configured such that a shock waveform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제38도는 충격 시험용의 기본(비 개량)후드구조물을 나타내고, 제39도는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파형(C21) 및 (C22)를 나타낸다.FIG. 38 shows the basic (non-improved) hood structure for impact testing, and FIG. 39 shows the basic shock waveforms C21 and C22 along with the ideal shock waveform Cm.

제38도에 도시한 기본 후드구조물은 보강판부재(251)가 배치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36도 및 제37도에 도시한 구체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내측리브(239)의 플랜지부(245)의 상측면(245a)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후드 외측판넬(233)의 하측면(233a)에 접합된다.The basic hood structure shown in FIG. 38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6 and 37 except that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is not disposed. Therefore, the upper surface 245a of the flange portion 245 of the inner rib 239 is joined to the lower surface 233a of the hood outer panel 233 at regular intervals.

제38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물을 사용하는 충격시험에서, 충격체(255)는 각각 내측리브(239)의 교차점(247)위의 위치(P)와 내측리브(239)의 직선부(249)위의 위치(Q)에서 후드 외측판넬(233)의 상측면과 충돌하게 되며 또한 충격체(255)의 가속도와 스트로크가 측정된다. 충격체(255)의 가속도는 제39도의 종좌표상의 후드(259)의 작용력에 대응하며, 충격체(255)의 스트로크는 제39도의 횡좌표상의 스트로크(S)(후드 외측판넬(233)의 이동거리)에 대응한다. 제38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물을 사용하는 충격시험에 근거하여 제39도에 도시한 기본 충격파형(C21) 및 (C22)가 얻어질 수 있다. 충격위치(P)에서의 기본 충격파형(C2l)은 제39도에서 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으며, 충격 위치(Q)에서의 기본 충격파형(C22)은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In the impact test using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38, the impact body 255 has a position P above the intersection point 247 of the inner rib 239 and a straight portion 249 of the inner rib 239, respectively. In the above position Q, the upper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collides, and the acceleration and the stroke of the impact body 255 are measured. The acceleration of the impactor 255 corresponds to the action force of the hood 259 on the longitudinal coordinates of FIG. 39, and the stroke of the impactor 255 is the stroke S on the horizontal coordinates of FIG. 39 (moving distanc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 Based on the impact test using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38, the basic shock waveforms C21 and C22 shown in FIG. 39 can be obtained. The basic shock waveform C2l at the impact position P i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39, and the basic shock waveform C22 at the impact position Q is shown by the dotted line.

이상적 충격파형(Cm)은 작용력과 후드구조물의 후드 외측판넬(233)의 스트로크(이동거리)사이의 관계로서, 후드 스트로크와 HIC값을 줄일 수 있다. 이상적 충격파형(Cm)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충격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에 근거하여 그리고 HIC유추식(1) 및 (2)에 따라서 얻어질 수 있다. 제39도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횡좌표상의 스트로크(S)에 의해 둘러싸여진 내측영역(A2l)은 흡수된 충격에너지량을 나타내며, 이 내측 영역(A2l)은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과 같도록 정해진다. 또한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할 충격에너지량은 충격시험 및 계산에 근거하여 얻어질 수 있다.The ideal shock waveform Cm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force and the stroke (moving distanc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of the hood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hood stroke and the HIC value.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at the time of impact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the HIC inference equations (1) and (2). In FIG. 39, the inner region A2l surrounded by the ideal shock waveform Cm and the stroke S on the abscissa represents the amount of impact energy absorbed, and this inner region A2l is the impact to be absorbed in the collision. It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the amount of energy. In additi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o be absorbed in a collision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impact test and calculation.

제30도에 도시한 이상적 충격파형(Cm)에서, 초기변형에 의한 초기 작용력은 작은 스트로크(S)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스트로크(S21)에서 최대 작용력(F21)(pm)에 도달한다. 그러나, 작용력은 스트로크(S22)에서 (F22)까지 급격히 강하한다. 스트로크(S22)후의 후반 변형에 있어서, 이차 작용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용력의 감소율이 완화되어 어깨부(qm)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가(S23)에 도달할 때 작용력(F)이 갑자기 감소하여 스트로크(S0)에서 대략 0에 도달하며 이때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다.In the ideal shock waveform Cm shown in FIG. 30, the initial action force due to the initial deformation rapidly increases in the small stroke S to reach the maximum action force F21 (pm) in the stroke S21. However, the action force drops sharply from stroke S22 to F22. In the second half deformation after the stroke S22, since the secondary action force is generated, the reduction rate of the action force is alleviated and a shoulder portion qm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when the stroke reaches S23, the action force F suddenly decreases to reach approximately zero in the stroke S0 at which time the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제38도를 참고로 하여 위치(P)에서의 기본 충격파형을 설명한다. 충돌직후의 초기변형에서 후드 외측판넬(233)이 충격체(2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조 변형되기 때문에 추가 작용력이 후드 외측판넬(233)의 장력에 근거하여 급격히 증가하여 최대 작용력(F2l)(P2l)에 도달한다. 최대 작용력(F2l)후에는 후드 외측판넬(233)이 충격체(255)의 관성력에 의해 넓은 부위에서 깊게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작용력(F)이 스트로크(S)의 증가에 따라서 갑자기 감소하므로 작용력이 스트로크(S22)에서 (F22)까지 감소한다. 또한, 스트로크(S22)후에는 내측리브(239)가 크게 변형하여 파괴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이차 작용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어깨부(q21)(여기서 작용력(F)의 감소율이 완화된다)가 생긴다. 또한, 내측리브(239)가 완전히 파괴되었을 때 내측리브(239)가 엔진(253)과 간섭하기 전에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용력(F)이 다시 0까지 갑자기 감소되어 후드가 정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P)에서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the basic shock waveform at position P will be described. Since the hood outer panel 2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impact body 255 at the initial deformation immediately after the impact, the additional working force increases rapidly based on the tension of the hood outer panel 233 so that the maximum working force (F2l) ( P2l). After the maximum working force F2l, the hood outer panel 233 starts to deform deeply in a wide area by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255, so the working force F suddenly decreases as the stroke S increases, so the working force Decrease from stroke S22 to F22. Further, since the inner rib 239 is greatly deformed and broken after the stroke S22, a preferable secondary action force may occur, so that the shoulder portion q21 (here, the reduction rate of the action force F is alleviated) is produced. In addition, when the inner rib 239 is completely destroyed, since the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before the inner rib 239 interferes with the engine 253, the working force F is suddenly reduced to zero again and the hood stops. . As described above, at the position P, a shock waveform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한편, 위치(Q)에서의 기본 충격파형(C22)의 경우에서는 기본 충격파형(C21)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작용력(F)이 최대 작용력(F21)후에 갑자기 감소하지만 작용력(F)이 (F22)에 도달한 후에는 작용력(F)이 (F22)아래의 (F23)까지 감소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basic shock waveform C22 at the position Q, as in the case of the basic shock waveform C21, the acting force F suddenly decreases after the maximum acting force F21, but the acting force F is reduced to (F22). After reaching the force (F) decreases to (F23) below (F22).

그러므로, 작용력의 감소율은 이상적 충격파형(Cm)의 감소율과는 크게 다르다. 다시 말해 기본 충격파형(C22)의 어깨부(q22)는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어깨부보다 낮다.Therefore, the reduction rate of the working force differs greatly from the reduction rate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n other words, the shoulder portion q22 of the basic shock waveform C22 is lower tha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두 위치(P)와 (Q)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각 내측리브(239)의 측벽(243)의 변형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내측리브(237)의 교차측벽(243)은 위치(P)에서 굽어지기 때문에 충돌시에 측벽(243)이 외측으로 쉽게 변형하여 각 내측리브(239)가 확실하게 변형되므로 높은 이차 작용력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각 내측리브(237)의 측벽(243)은 위치(Q)에서 곧게 형성되기 때문에 충돌시에 측벽(243)이 외측으로 쉽게 변형하므로 높은 이차 작용력이 발생할 수 없다.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sitions P and Q is that the strains of the side walls 243 of the respective inner ribs 239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since the intersecting side walls 243 of the respective inner ribs 237 are bent at the position P, the side walls 243 easily deform outward at the time of a collision, so that the inner ribs 239 reliably deform. Therefore, high secondary force may occu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ide wall 243 of each inner rib 237 is formed straight at the position (Q), the high side action force cannot be generated because the side wall 243 is easily deformed outward during the collision.

상술한 바와 같이, 이차 작용력이 불충분하고 어깨부가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이차 작용력보다 작을 때 기본 충격파형(C22)의 내측 영역이 감소되기 때문에 충분한 흡수 충격에너지량이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내측리브(239)의 하측면(239a)이 엔진(253)의 상측면(253a)과 충돌하므로 내측리브(239)가 변형 파괴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제39도에서 r2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충격 후에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작용력이 다시 증가한다.As described above, a sufficient amount of absorbed impact energy can be obtained because the inner region of the basic shock waveform C22 is reduced when the secondary working force is insufficient and the should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secondary working force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As a result, since the lower side 239a of the inner side rib 239 collides with the upper side 253a of the engine 253, the inner side rib 239 is deformed and broken to absorb impact energy. Therefore, as shown by r22 in FIG. 39, the action force increases again after a relatively long time after the impact.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리브(239)의 직선부(249)에 보강판부재(251)가 제공되기 때문에 각 교차부에 폐쇄 단면(N)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리브(239)의 측벽(243b)이 내측리브(239)의 직선부(249)에서의 후드(231)의 변형때문에 외측으로 쉽게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내측리브(239)가 확실히 변형될 수 있어 바람직한 이차 작용력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한 어깨부(qm)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측리브(239)가 완전히 파괴되어 엔진(253)과 간섭하기 전에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으므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2l)을 얻을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is provided at the straight portion 249 of the inner rib 239 as shown, a closed end surface N is formed at each intersection. Therefore, the inner rib 239 can be deformed certainly because the side wall 243b of the inner rib 239 is not easily deformed outwar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hood 231 at the straight portion 249 of the inner rib 239. Since the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is generated, the desired shoulder portion (qm) may occur. As a result, since the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before the inner rib 239 is completely destroyed and interferes with the engine 253, the impact waveform C2l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즉, 후드(231)의 직선부(249)(위치Q)에 충격이 가해질 때 후드 외측판넬(233)이 초기 변형시에 충격체(2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스트로크(S22)에서 초기 작용력이 최대 작용력(F1)까지 갑자기 증가한다. 최대 작용력(F1)후에는 후드 외측판넬(233)이 충격체(255)의 관성력때문에 넓은 부위에서 깊이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스트로크(S22)에서 작용력(F)이 (F22)까지 갑자기 감소한다. 그후, 후드 내측리브(239)의 보강판부재(251)가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확실하게 발생하므로 어깨부(qm)가 생길 수 있다. 내측리브(239)가 충분히 파괴되었을 때 내측리브(239)가 엔진(253)과 간섭하기 전에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용력(F)은 다시 0까지 급격히 감소한다.That is,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traight portion 249 (position Q) of the hood 231, the hood outer panel 2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impact body 255 at the initial deformation, and thus the stroke S22. The initial action force suddenly increases to the maximum action force (F1) at. After the maximum action force F1, the force force F suddenly decreases to F22 in the stroke S22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233 starts to deform in a wide area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255. Thereafter, since the reinforcement plate member 251 of the hood inner rib 239 starts to deform, a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is reliably generated, so that a shoulder portion qm may occur. When the inner rib 239 is sufficiently destroyed, the action force F decreases back to zero again because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before the inner rib 239 interferes with the engine 253.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21)을 얻을 수 있으므로 짧은 스트로크에서라도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임에 의해 머리충격특성이 완화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ck waveform C21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alleviated by effectively reducing the HIC value even in a short stroke.

한편, 교차부(247)(위치P)에 충격이 가해질 때는 보강판부재(251)가 제공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충격파형(C22)은 이상적 충격파형(Cm)과 대체로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intersection portion 247 (position P), the shock wave C22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ideal shock wave Cm even though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is not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6구체예에서는 내측리브(239)의 두개의 인접 측벽(243a)이 굴곡형상을 따라서 서로 연결되어 강하게 되기 때문에 내측리브(239)의 교차부(247)(위치P)위의 후드 외측판넬(23)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2l)이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보강판부재(251)가 제공되어 강화되기 때문에 내측리브(239)의 직선부(249)(위치Q)위의 후드 외측판넬(233)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도 얻을 수 있다. 요약하자면, 내측리브(239), 즉 후드 외측판넬(233)의 어떤 위치(P)와 (Q)에서도 이상적 충격파형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ixth embodiment, since two adjacent sidewalls 243a of the inner rib 23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curved shape and become stronger, on the intersection portion 247 (position P) of the inner rib 239. In the hood outer panel 23, a shock wave C2l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 Cm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is provided and strengthened, a shock waveform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s also obtained at the hood outer panel 233 on the straight portion 249 (position Q) of the inner rib 239. Can be. In summary, at any position (P) or (Q) of the inner rib 239, that is, the hood outer panel 233, an impact waveform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an be obtain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의 제7구체예를 제40도 내지 제42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40도는 본 구체예의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1도는 제40도의 선41-41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42도는 본 구체예의 기본(비 개량)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Hereinafter, a seventh specific example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0 to 42.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d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FIG. 4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1-41 of FIG. 40, and FIG. 4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non-improved) hood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본 구체예의 특징은 제6구체예의 보강판부재(251)를 제공함이 없이 내측리브(239)내의 폐쇄 단면을 형성함에 의해 이차 작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A feature of this embodiment is to increase the secondary action by forming a closed cross section in the inner rib 239 without providing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of the sixth embodimen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40도 및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리브(239)가 후드 외측판넬(233)에 접합되어 그 사이에 폐쇄 공단(N)이 형성된다. 즉, (규칙적인 간격의 여러 위치에 접합되지 않고) 내측리브(239)의 플랜지부(245)의 상측면 전체가 후드 외측판넬(233)의 하측면(233a)에 접합된다. 사용한 접합제는 예를 들면 탄성 검 유향 수지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0 and 41, the inner ribs 239 are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to form a closed satin N therebetween. That is, the entire upp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245 of the inner rib 239 is joined to the lower side 233a of the hood outer panel 233 (without joining at various positions at regular intervals). The used binder is, for example, an elastic gum frankincense resin.

또한, 엔진(253)은 충격간섭체로서 엔진룸(235)의 중간부에 배치되지만 충격흡수 후에 엔진(253)과 간섭하지 않도록 엔진(253)의 상측면(253a)으로부터의 위치(L1)에 내측리브(239)가 제공된다. 내측리브(239)의 하측면(239b)과 엔진(253)의 상측면(253a)사이의 거리(L1)는 제6구체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스트로크(S0)보다 크게 결정된다.In addition, the engine 253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engine room 235 as an impact interfering body, but at a position L1 from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engine 253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engine 253 after the shock absorption. Inner rib 239 is provided. The distance L1 between the lower side 239b of the inner rib 239 and the upper side 253a of the engine 253 is determined to be larger than the stroke S0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as in the sixth embodiment. do.

이하, 제7구체예의 기능을 설명한다.The function of the seventh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제42도는 충격시험용의 기본 후드구조물(점 접합)을 나타내며, 제43도는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파형(C23)을 나타낸다.FIG. 42 shows the basic hood structure (point junction) for impact testing, and FIG. 43 shows the basic shock waveform (C23) together with the ideal shock waveform (Cm).

여기서 제42도에 도시한 기본 후드구조물은 제38도에 도시한 제6구체예의 것과 동일하지만 후드 외측판넬(233), 후드 내측판넬(237) 및 내측리브(239)의 구조와 재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6구체예의 경우와 같은 충격시험을 실시하더라도 충격 시험 결과는 서로 다르다. 본 제7구체예에 의해 얻어진 충격파형(C23)은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제43도에 쇄선으로 나타내어진다.Here, the basic hood structure shown in FIG. 42 is the same as that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38, but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hood outer panel 233, hood inner panel 237 and inner rib 239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impact test results are different even if the same impact test is performed as in the sixth embodiment. The shock waveform C23 obtained by the seventh embodiment i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43 together with the ideal shock waveform Cm.

기본 충격파형(C23)에서 작용력(F)은 이상적 충격파형(Cm)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로 최대 작용력(F2l)후에 갑자기 감소하지만, 작용력(F)이 (F22)에 도달한 후에는 작용력(F)이 완화되지 않고 (q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0까지 직선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므로 작용력의 감소율은 이상적 충격파형(Cm)과는 크게 다르다. 다시 말해서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어깨부(qm)가 생기지 않는다.In the basic shock waveform (C23), the action force (F) suddenly decreases after the maximum action force (F2l), almost as in the case of the ideal shock wave (Cm), but after the action force (F) reaches (F22), the action force (F) This is not relaxed and decreases linearly to zero as indicated by q23. Therefore, the reduction rate of the force is greatly different from the ideal shock wave (Cm). In other words, the shoulder portion qm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does not occur.

상술한 바와 같이, 어깨부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 충격파형(C23)의 내측 영역이 작으므로 충분한 량의 흡수 충격에너지를 얻을 수 없다. 그 결과, 내측리브(239)가 엔진(253)의 상측면(253a)과 충돌하게 되므로 내측리브(239)가 변형 파괴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제43도에서 (r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 후에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작용력이 다시 증가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ner portion of the basic shock waveform C23 is small because no shoulder portion is generated, a sufficient amount of absorbed impact energy cannot be obtained. As a result, the inner rib 239 collides with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engine 253, so the inner rib 239 is deformed and broken to absorb impact energy. Therefore, as shown by (r23) in FIG. 43, after a relatively long time elapses after the collision, the action force increases again.

충분한 흡수 충격에너지가 얻어질 수 없는 이유는 제42도에 도시한 기본 구조의 경우에서 후드 외측판넬(233)과 후드 내측판넬(235) (내측리브(239))사이의 공간이 개방되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233)이 크게 변형하더라도 내측리브(239)가 변형된 후드 외측판넬(233)과 함께 변형되지 않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sufficient absorbed impact energy cannot be obtained is because in the case of the basic structure shown in FIG. 42, the hood is opened because the space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233 and the hood inner panel 235 (inner rib 239) is opened. This is because the inner rib 239 is not deformed together with the deformed hood outer panel 233 even if the outer panel 233 is greatly deformed.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구체예에서는 내측리브(239)가 내측리브(239)의 플랜지부(245)의 전체 표면에 걸쳐 후드 외측판넬(233)에 접합되어 그 사이에 폐쇄 공간(N)을 형성하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233)이 크게 변형되었을 때 내측리브(239)의 측벽(243b)이 외측으로 개방되지 않으므로 내측리브(239)가 후드 외측판넬(233)과 함께 확실히 변형된다. 그러므로,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발생되고 따라서 바람직한 어깨부(qm)가 생길 수 있다. 그 결과, 내측리브(239)가 완전히 파괴되어 엔진(253)과 간섭하기 전에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으므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다.In contrast,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rib 239 is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45 of the inner rib 239 to form a closed space N therebetween. Therefore, when the hood outer panel 233 is greatly deformed, the side wall 243b of the inner rib 239 does not open outward, so the inner rib 239 is deformed with the hood outer panel 233. Therefore, the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is generated and thus a desirable shoulder qm can be produced. As a result, the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before the inner rib 239 is completely destroyed and interferes with the engine 253, so that an impact waveform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즉, 충격이 후드(261)에 가해질 때 후드 외측판넬(233)이 초기 변형시에 충격체(2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스트로크(S21)에서 초기 작용력이 최대 작용력(F2l)까지 갑자기 증가한다. 최대 작용력(F2l)후에는 후드 외측판넬(233)이 충격체(255)의 관성력때문에 넓은 부위에서 깊이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스트로크(S22)에서 작용력(F)이 (F22)까지 갑자기 감소한다. 그후, 후드 내측리브(239)가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확실하게 발생될 수 있고, 따라서 어깨부(qm)가 생길 수 있다. 내측리브(239)가 충분히 파괴되었을 때 내측리브(239)가 엔진(253)과 간섭하기 전에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용력(F)이 다시 0까지 급격히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으므로 짧은 스트로크에서라도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임에 의해 머리충격특성이 완화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hood 261, the hood outer panel 2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impact body 255 at the initial deformation, so that the initial acting force in the stroke S21 is up to the maximum working force F2l. Suddenly increases After the maximum action force F2l, the action force F suddenly decreases from stroke S22 to F22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233 starts to deform in a wide area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255. Thereafter, since the hood inner rib 239 starts to deform, the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can be reliably generated, and thus a shoulder qm can occur. When the inner rib 239 is sufficiently broken, the working force F is rapidly reduced to zero again because the impact energy can be completely absorbed before the inner rib 239 interferes with the engine 253.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ck waveform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alleviated by effectively reducing the HIC value even in a short stroke.

상술한 바와 같이, 제7구체예에서는 내측리브(239)가 내측리브(239)의 전체 표면에 걸쳐 후드 외측판넬(233)에 접합되기 때문에 이차 작용력을 확실하게 증가시켜 충격파형이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venth embodiment, since the inner ribs 239 are bond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ribs 239, the secondary action force is reliably increased, so that the shock waveform is the ideal shock waveform ( Approximate to Cm).

또한, 내측리브(239)의 직선부(249)에서의 이차 작용력이 내측리브(239)의 교차부(247)에서의 이차 작용력에 비하여 충분하지 않을 때도 직선부(247)에서만 이차 작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직선부(247)에 보강판부재(251)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econdary action force at the straight portion 249 of the inner rib 239 is not sufficient as the secondary action force at the intersection portion 247 of the inner rib 239, the secondary action force is increased only at the straight portion 247. In order to provide the reinforcing plate member 251 to the straight portion 247.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구조의 제8구체예를 제44도 내지 제46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44도는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45도는 제44도의 선45-45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46도는 제44도의 선46-46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an eighth embodiment of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4 to 46. FIG. 44 is a plan view showing the hood structure, FIG. 4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5-45 of FIG. 44, and FIG. 4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46-46 of FIG.

본 구체예의 후드구조물(265)의 특징은 이차 작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경질의 취성부재(267)로 덮여진 내측리브(239A)를 엔진(253)과 간섭시키는 것이다.A feature of the hood structure 265 of this embodiment is to interfere with the engine 253 the inner ribs 239A covered with the hard brittle member 267 to increase secondary action.

제44도 내지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판넬(37)에는 다수의 내측리브(239)가 형성된다. 엔진(253)위로 연장되는 직선 내측리브(239A) (다수의 내측리브(239)중의 하나)의 외측면은 초기 변형시에 내측리브(239A)의 작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경질의 귀성부재(267)로 덮인다. 경질의 취성부재(267)는 경질 수지 또는 급속박막으로 덮인 경질 수지로 만들어져 채널형 단면의 내측리브(239A)의 외측면에 접합된다. 또한, 경질의 취성부재(267)의 양단부(267a)는 후드 외측판넬(233)의 내측 표면에 접합된다. 내측리브(239A)의 양측벽(243)에는 내측리브(239A)가 쉽게 변형 파괴되도록 하기 위해, 즉 측벽(243)의 붕괴 작용력을 줄이기 위하여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슬롯(269)이 형성된다. 또한, 측벽(243)의 붕괴 작용력은 수직 슬롯(269)의 갯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44 to 46, a plurality of inner ribs 239 are formed in the inner panel 37.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ight inner rib 239A (one of the plurality of inner ribs 239) extending over the engine 253 is a hard home member 267 to increase the action of the inner rib 239A upon initial deformation. Covered with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s made of hard resin or hard resin covered with a rapid thin film and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rib 239A of the channel-shaped cross section. In addition, both ends 267a of the hard brittle member 267 ar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Both side walls 243 of the inner ribs 239A have a plurality of vertically extending vertically as shown in FIG. 46 to make the inner ribs 239A easily deform and break, i.e., to reduce the collapse force of the side walls 243. Slot 269 is formed. In addition, the collapse force of the side wall 243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shape, and size of the vertical slots 269.

경질의 취성부재(267)의 두개의 플랜지부(245)의 상측면(245a)의 전체는 수지(263)(예를 들면, 탄성 검 유향 수지)에 의해 후드 외측판넬(233)의 하측면(233a)에 접합되어 그 사이에 폐쇄공간을 형성한다.The entire upper surface 245a of the two flange portions 245 of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s formed by the resin 263 (for example, an elastic gum directed resi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 233a) to form a closed space therebetween.

경질의 취성부재(267)의 하측면(267b)의 높이 위치는 충돌시에 후드 외측판넬(233)의 변형종료시에 엔진(253)의 상측면(253a)과 간섭하도록 결정된다. 다시말해서 엔진(253)의 상측면(253a)과 경질의 취성부재(267)의 하측면(267b)사이의 갭 거리(L2)는 제48도에 도시한 이상적 충격파형(Cm)의 스트로크(S0)보다 작게 결정된다.The height position of the lower side 267b of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s determined to interfere with the upper side 253a of the engine 253 at the end of the deformation of the hood outer panel 233 at the time of impact. In other words, the gap distance L2 between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engine 253 and the lower surface 267b of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s the stroke S0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shown in FIG. Is determined to be smaller than

엔진(253)의 상측면(253a)과 간섭할 때 경질의 취성부재(267)는 소정의 작용력을 발생한 후에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괴된다. 또한, 경질의 취성부재(267)가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괴된 후에는 내측리브(239A)가 엔진(253)과의 간섭에 의해 크게 변형된다.When interfering with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engine 253, the hard brittle member 267 breaks down as shown in FIG. 49 after generating a predetermined action force. In addition, after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s broken down as shown in FIG. 49, the inner rib 239A is greatly deformed by interference with the engine 253. FIG.

이하 제8구체예의 기능을 설명한다.The func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제47도는 충격 시험용의 경질의 취성부재(267)를 갖지않는 기본 후드구조물을 나타내며, 제48도는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기본 충격파형(C24)을 나타낸다.FIG. 47 shows the basic hood structure without the hard brittle member 267 for impact testing, and FIG. 48 shows the basic shock waveform C24 along with the ideal shock waveform Cm.

여기서 제47도에 도시한 제8구체예의 기본 후드구조물은 제38도에 도시한 제6구체예의 구조물과 거의 동일하지만, 후드 외측판넬(233)과 내측판넬(237)의 재료에서, 내측리브(239A)의 치수와 재료에서 그리고 내측리브(239A)의 하측면(239a)과 엔진(253)의 상측면(253a)사이의 갭거리(L3L2)에서 양자의 기본 후드구조물사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6구체예의 경우와 동일한 충격시험을 실시한다 하더라도 충격 시험결과는 서로 다르다. 제7구체예에 의해 얻어진 충격파형(C24)은 제48도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과 함께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Here, the basic hood structure of the eighth embodiment shown in FIG. 47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sixth embodiment shown in FIG. 38, but the inner ribs (in the material of the hood outer panel 233 and the inner panel 237)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ic hood structure of both in the dimensions and material of 239A and in the gap distance L3L2 between the lower surface 239a of the inner rib 239A and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engine 253. Even if the same impact test is carried out as in the sixth embodiment, the impact test results are different. The shock waveform C24 obtained by the seventh embodiment is shown in dashed lines along with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n FIG.

이상적 충격파형(Cm)과 비교하여, 기본 충격파형(C24)의 경우에는, 후드 외측판넬(233)의 초기 작용력이 약간 작고, 또한 최대 작용력(F23)(P24)과 최대 작용력후의 작용력(F24)도 모두 작다. 또한, 후드 외측판넬(233)의 후반 변형에서는 내측리브(239A)가 서서히 변형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작용력이 약간 증가하며, 또한 내측리브(239A)가 엔진(253)과 간섭할 때는 내측리브(239A)가 변형 파괴되기 때문에 작용력(F)이 급격히 증가한다(r24). 그러므로, 기본 충격파형(C24)은 이상적 충격파형(Cm)과는 크게 다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본 구조의 후드(262)에서는 초기 작용력이 약간 작고 초기 변형의 후반부에서 크게 강하하기 때문에 어깨부(qm)가 생기질 않는다. 또한, 엔진(253)과의 간섭이 늦게 시작되기 때문에 스트로크(S)가 (S0)(r24)를 초과한 후에 작용력(F)이 갑자기 증가한다. 그 결과 충격 후에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작용력(F)이 상승한다.Compared with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n the case of the basic shock waveform C24, the initial forc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is slightly smaller, and the maximum force F23 and P24 and the force after maximum force F24. Even all are small. In addition, in the latter deformation of the hood outer panel 233, since the inner ribs 239A gradually start to deform, the action force increases slightly, and when the inner ribs 239A interfere with the engine 253, the inner ribs 239A are affected. The force F rapidly increases due to strain breakage (r24). Therefore, the basic shock waveform C24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ideal shock waveform Cm.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In the hood 262 of the basic structure, the shoulder qm is not generated because the initial action force is slightly small and greatly drops in the second half of the initial de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interference with the engine 253 starts later, the action force F suddenly increases after the stroke S exceeds (S0) r24. As a result, the action force F rises after a relatively long time elapses after the impact.

이와는 대조적으로, 제45도와 제4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구체예의 후드(265)에서는 내측리브(239A)의 표면이 경질의 취성부재(267)로 덮이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233)이 초기 변형시에 깊이 변형하기 시작할 때 경질의 취성부재(267)가 후드 외측판넬(233)의 변형율을 억제시키므로 기본 구조물보다 높은 초기 작용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변형시에 내측리브(239A)의 전체표면이 후드 외측판넬(233)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 외측판넬(233)의 변형율이 확실히 감소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hood 265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5 and FIG. 46, the hood outer panel 233 is initially started because the surface of the inner rib 239A is covered with the hard brittle member 267. Since the hard brittle member 267 suppresses the deformation rat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when the depth starts to deform,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er initial action force than the basic structure. In this deformation, since the entire surface of the inner rib 239A is joined to the hood outer panel 233, the strain rate of the hood outer panel 233 can be surely reduced.

그 후, 경질의 취성부재(267)가 엔진(253)의 상측 표면과 간섭하기 시작할 때 이차 작용력이 먼저 발생되지만 그 후 경질의 취성부재(267)가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괴되기 때문에 내측리브(239A)가 크게 변형되어 파괴되므로 이차 작용력이 감소한다. 이 경우 내측리브(239A)와 엔진(253)사이의 갭은 소정의 거리(L2)로 정해지기 때문에 이상적 충격파형(Cm)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트로크(S22)로부터 이차 작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측리브(239A)자체의 붕괴 작용력은 슬릿(269)의 갯수와 크기에 따라서 원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차 작용력을 소정 감소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hard brittle member 267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ngine 253, a secondary action force is generated first, but then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s broken as shown in FIG. 49. Since the inner ribs 239A are largely deformed and broken, the secondary action force is reduced. In this case, since the gap between the inner rib 239A and the engine 253 is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2, the secondary action force can be obtained from the stroke S22 as in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n addition, since the collapse force of the inner rib 239A itself can be determined to a desired value according to the number and size of the slits 269, the secondary action force can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reduction rate.

그러므로, 본 구체예의 후드(265)의 충격시험에서 후드(265)에 충격이 가해질 때 후드 외측판넬(233)이 초기변형시에 충격체(255)의 외형을 따라서 국부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초기 작용력이 갑자기 증가한다. 이 경우 경질의 취성부재(267)에 의해 초기 작용력이 증가하므로 스트로크(S21)에서 초기 작용력이 최대 작용력(F2l)까지 갑자기 증가한다. 최대 작용력(F2l)후에는 후드 외측판넬(233)이 충격체(255)의 관성력때문에 넓은 영역에서 깊이 변형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스트로크(S22)에서 작용력(F)이 (F22)까지 갑자기 감소한다. 그 후, 경질의 취성부재(267)가 엔진(253)의 상측면(253a)과 간섭하기 때문에 이차 작용력이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hood 265 in the impact test of the hood 265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itial action force is reduced because the hood outer panel 233 is locally de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impact body 255 at the initial deformation. Suddenly increases In this case, since the initial action force is increased by the hard brittle member 267, the initial action force suddenly increases to the maximum action force F2l at the stroke S21. After the maximum working force F2l, since the hood outer panel 233 starts to deform in a wide area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impactor 255, the working force F suddenly decreases to F22 in the stroke S22. Thereafter, the secondary brittle force may occur because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nterferes with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engine 253.

또한, 경질의 취성부재(267)가 제4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괴되었을 때 내측리브(239A)가 크게 변형하기 때문에 이차 작용력이 감소하므로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발생하여 어깨부가 생길 수 있다. 그 후 내측리브(239A)가 충분히 파괴되었을 때 충격에너지가 충분히 흡수되므로 작용력이 다시 0까지 갑자기 감소한다. 따라서, 본 구체예에서는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을 얻을 수 있으므로 짧은 스트로크에서도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임에 의해 머리충격특성이 완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ner rib 239A greatly deforms when the hard brittle member 267 is broken as shown in FIG. 49, the secondary acting force is reduced, so that a desired secondary acting force may occur and a shoulder may be generated. After that, when the inner rib 239A is sufficiently destroyed, the impact energy is sufficiently absorbed, so the action force suddenly decreases to zero agai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hock waveform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can be obtained,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alleviated by effectively reducing the HIC value even in a short stroke.

상술한 바와 같이, 제8구체예에서는 내측리브(239A)가 경질의 취성부재(267)로 덮이기 때문에 이차 작용력을 확실히 증가시켜 충격파형을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ighth embodiment, since the inner ribs 239A are covered with the hard brittle member 267, the secondary action force can be reliably increased to approximate the shock waveform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또한, 제8구체예에서는 사각형 단면(채널형)의 내측리브를 설명하였지만 제50a도와 제5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형(모자형상)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경질의 취성부재(267)로 덮여진 내측리브(239a)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inner rib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channel type) has been described, but as shown in FIGS. 50a and 50b, it is formed in a ladder shape (hat shape) or a triangle and covered with a hard brittle member 267. The same effect as above can be obtained using the true inner rib 239a.

또한, 후드 외측판넬(233)과 엔진(253)사이의 거리가 제51도에 도시한 후드(27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정하지 않더라도 경질의 취성부재(267)의 하측면(267a)과 엔진(253)의 상측면(253a)사이의 거리(L4)가 소정치로 정해지도록 내측리브(239A)가 형성된다면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alth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hood outer panel 233 and the engine 253 is not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hood 273 shown in FIG. 51, the lower side 267a of the hard brittle member 267 and the engine ( If the inner rib 239A is formed so that the distance L4 between the upper surface 253a of the 253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제9구체예를 설명하겠는데 여기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자동차의 펜더구조물에 적용된다.Hereinafter,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re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ender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제52도와 제53도는 비교 펜더구조물을 도시하는데, 제53도는 제52도의 선53-53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52 and 53 show a comparison fender structure, with FIG. 53 being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3-53 of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 펜더구조물에서는 펜더(1100)의 상측 에지부에 상측 돌출부(1110)와 단차부(FA)를 갖는 수직벽(1101)이 형성된다. 또한, 수직벽(1101)의 하단부에 형성된 조인트 플랜지부(1102)는 차량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차량전방의 양측에 제공된 후드릿지 보강부(1200)에 결합된다. 또한, 제53도에서 도면부호(1201)는 폐쇄단면을 형성하기 위해 후드릿지 보강부(1200)에 결합된 후드릿지 상측부를 나타내며, (1300)은 폐쇄 단면구조물에 결합된 받침 하우징을 나타내며, (1400)은 엔진룸을 개폐하기 위한 후드를 나타낸다.As illustrated, in the comparison fender structure, a vertical wall 1101 having an upper protrusion 1110 and a step FA is formed on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fender 1100. In addition, the joint flange portion 110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wall 1101 is coupled to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portion 120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to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In addition, in FIG. 53, reference numeral 1201 denotes a hood ridge upper side coupled to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to form a closed cross section, and 1300 denotes a support housing coupled to the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1400 represents a hoo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gine compartment.

상술한 바와 같은 비교 펜더구조물에 있어서, 머리 충격체가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근처의 외측면과 충돌하는 경우에 수직벽(1101)이 초기 변형시에 단차부(FA)로부터 시작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상측 돌출부(1110)근처의 펜더(1100)가 전환되어 후드릿지 보강부(1200)쪽으로 돌출하도록 변형 파괴되며, 펜더(1100)의 전환된 부분이 후드릿지 보강부(1200)와 충돌하기 때문에 더욱 변형된다.In the comparative fend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d impactor collides with the outer surface near 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the vertical wall 1101 starts from the step FA at the initial deformation. Since the fender 1100 near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deformed and deform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the converted portion of the fender 1100 collides with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Because it is further de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 펜더구조물에서는 수직벽(1101)에 형성된 단차부(FA)에 기초하여 펜더(1100)의 적절한 파괴형태가 결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에너지가 흡수된다 하더라도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한 이유때문에 반드시 펜더(1100)의 머리 충격특성을 완화시키지는 않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mparison fender structure, an appropriate fracture shape of the fender 1100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ep FA formed in the vertical wall 1101. However, even if the impact energy is absorbed as described above,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of the fender 1100 is not necessarily alleviated due to the reas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따라서, 제9구체예는 머리 충격특성을 줄이기 위해 짧은 변형 스트로크에서라도 HIC값을 효과적으로 줄임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펜더구조물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ninth embodiment provides a fender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energy by effectively reducing the HIC value even in a short deformation stroke to reduce the head impact characteristic.

제54도와 제55도는 본 구체예에 따른 펜더구조물을 도시한다. 제54도는 제52도의 선53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55도는 펜더(1100)와 후드(14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인데, 범퍼(1500)도 도시되어 있다.54 and 55 illustrate a fend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53 of FIG. 55 is a plan view showing the fender 1100 and the hood 1400, and the bumper 1500 is also shown.

제9구체예의 특징은 펜더(1100)의 수직벽(1101)의 단차부(FA)의 내측면에 합성수지층(1002)을 제공하는 것이며,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편평부(1200a)에는 오목부(1003)가 형성된다. 그 외의 구조는 제53도에 도시한 비교 구조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기능을 갖는 유사부분에는 동일번호가 유지된다.A feature of the ninth embodiment is to provide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on the inner side of the step FA of the vertical wall 1101 of the fender 1100, and to the flat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A recess 1003 is formed.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case of the comparison structure shown in FIG. 53, and therefore the same number is maintained for similar parts having the same function.

본 구체예의 펜더구조물(1001)에 있어서,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수직벽(1101)은 펜더(1100)의 상측 엣지부에 형성되며 상측 돌출부(1110)는 수직벽(1101)의 상측에 형성된다. 그러나, 펜더(1100)의 수직벽(1101)의 단차부(FA)에는 펜더(1100)의 전체길이를 전후방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합성수지층이 추가로 부착된다(용융상태에서 부착). 또한,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편평부(1200a)에는 합성수지층(1002)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1003)가 형성된다.In the fender structure 1001 of this embodiment, similar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e vertical wall 1101 is formed o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fender 1100 and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wall 1101. However,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further attached (attached in the molten state) to the step FA of the vertical wall 1101 of the fender 1100 in such a manner as to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fender 1100 back and forth. In addition, the flat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portion 1200 is formed with a recess portion 100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54도에서 합성수지층(1002)은 그 일단부(1002a)가 상측 돌출부(1110)의 상측 코너로부터 단차부(FA)의 상측 단차부(FA1)까지 연장되고 타단부(1002b)가 상측 돌출부(1110)의 동일 상측 코너로부터 펜더(1100)를 따라서 어느 정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부터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를 덮는 방식으로 펜더(1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오목부(1003)는 합성수지층(100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1003)는 변형되어 파괴될 때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가 수용될 수 있는 폭과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n FIG. 54,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has one end portion 1002a extending from an upper corner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to an upper step portion FA1 of the step portion FA and having the other end portion ( The inside of the fender 1100 in such a manner that 1002b extends downward along the fender 1100 from the same upper corner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to cover the flat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from above. It is attached to the side. Further, the concave portion 1003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planar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portion 1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In addition, the concave portion 1003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and a depth that can be accommodated when 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is deformed and broken.

본 구체예의 펜더구조물은 충격시험에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a)이 얻어져 작은 스트로크에서도 HIC값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ender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HIC value even at a small stroke by obtaining a shock waveform Ca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n the impact test.

제56도에서 본 구체예의 충격파형(Ca)(Cm)은 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기본(비 개량)충격파형(Cb)은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In FIG. 56, the shock wave Ca (Cm) of this embodiment is shown by the dashed line, and the basic (non-improved) shock wave (Cb) is shown by the solid line.

충격시험에서 충격체(FM)의 중력중심은 제57a도 내지 제5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 펜더구조물의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와 충돌하게 되며 충격체(FM)의 가속도와 스트로크(이동거리)가 측정된다. 충격체(FM)의 측정된 가속도와 스트로크는 제56도에 도시한 평균작용력(F)과 변형 스트로크(S)에 대응하므로 제56도에 도시한 기본 충격파형(Cb)이 충격 시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In the impact test, the gravity center of the impact body FM collides with the upper projection 1110 of the fender 1100 of the comparative fender structure as shown in FIGS. 57A to 59A. The stroke (traveling distance) is measured. The measured acceleration and the stroke of the impact body FM correspond to the average working force F and the deformation stroke S shown in FIG. 56, so that the basic shock waveform Cb shown in FIG. 56 is obtained by the impact test. Can lose.

이하, 기본 충격파형(Cb)을 제57a도 내지 제59b도를 참고하여 충격체(FM)의 충격단계와 펜더(1100)의 변형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sic shock waveform C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impact stage of the impact body FM and the deformation of the fender 1100 with reference to FIGS. 57A to 59B.

제57a도 및 제5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체(FM)가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와 접촉하는 상태하에서는 상측 돌출부(1110)가 아직 변형되지 않으므로 기본 파형(b)은 평균작용력(F)과 스트로크(S)가 모두 지점(b1)에서 0이 된다.As shown in FIGS. 57A and 57B, the upper waveform 1110 is not yet de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impact body FM contacts 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and thus the basic waveform b is The average working force F and the stroke S both become zero at the point b1.

그러나, 제58a도 및 제5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체(FM)가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와 충돌할 때 상측 돌출부(1110)는 전환 변형되도록(거꾸로), 즉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쪽으로 돌출하도록 변형되기 시작하므로, 전환된 부분(FB)이 평면부(1200a)에 도달한다. 이 초기 변형 단계는 제56도에서 (Sa)로 나타내어져 있다. 전환부(FB)의 단부가 평면부(1200a)에 도달할 때 기본파형(Cb)은 지점(b2)에 도달한다. 전반부의 초기 변형(Sa)중에 펜더(1100)는 단차부(FA)의 존재에 의해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평균작용력이 비교적 높다.However, as shown in FIGS. 58A and 57B, when the impactor FM collides with 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deformed (inverted), i.e., hooded. Since it starts to deform to protrude toward the plane portion 1200a of the ridge reinforcement portion 1200, the converted portion FB reaches the plane portion 1200a. This initial deformation step is represented by Sa in FIG. The fundamental waveform Cb reaches the point b2 when the end portion of the switching portion FB reaches the planar portion 1200a. During the initial deformation Sa of the first half, the fender 1100 is relatively deform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step FA, so that the average working force is relatively high.

제59a도 및 제5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가 더욱 변형될 때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가 펜더(1100)의 전환부(FB)의 단부에 의해 오목형상으로 변형된다. 이 후반부의 변형 단계는 제56도에 (Sb)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전환부(FB)의 단부가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를 변형시키기 시작하는 지점은 제56도에서 지점(b4)으로 나타내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59A and 59B, when 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is further deformed, the planar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portion 1200 is the switching portion FB of the fender 1100. Is deformed into a concave shape by an end portion. The deformation step of this latter part is shown by (Sb) in FIG. In addition, the point where the end of the switching portion FB starts to deform the planar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is indicated by the point b4 in FIG.

이 후반부의 변형 단계(Sb)에서 상부 돌출부(1110)는 변형된 바닥이 평면부(1200a)와 접촉함에 따라서 변형되기 때문에 펜더(1100)의 평균작용력(F)은 평면부(1200a)가 변형하기 시작하는 지점(b3)에서 최대치에 도달하지만 지점(b3)후에는 최종 변형점(b4)까지 갑자기 감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파형(Cb)이 얻어질 수 있다.Since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deformed as the deformed bottom is in contact with the plane portion 1200a in the deformation step Sb of the latter half, the average working force F of the fender 1100 is changed by the plane portion 1200a. The maximum is reached at the starting point b3 but after the point b3 abruptly decreases to the final strain point b4. As described above, the fundamental waveform Cb can be obtained.

기본 구조의 경우에 흡수된 충격에너지량은 기본 충격파형(Cb)과 스트로크(S)(횡좌표)에 의해 둘러 싸여진 영역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the basic structure, the amount of impact energy absorbed corresponds to the area surrounded by the basic shock waveform Cb and the stroke S (abscissa).

한편, HIC유추식(1) 및 (2)의 계산에 의해 얻어진 이상적 충격파형(Cm)에서는 흡수된 충격에너지량이 기본 구조의 것과 같지만 HIC값은 작다.On the other hand, in the ideal shock waveform Cm obtained by the calculations of the HIC inference equations (1) and (2), the amount of impact energy absorbed is the same as that of the basic structure, but the HIC value is small.

제56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충격파형(Ca)에서 펜더의 평균작용력(F)은 기본 충격파형(Cb)의 지점(b2)과 비교하여 초기 변형(Sa)의 피크(a1)에서는 높지만 변형(Sb)에서는 어깨부(a2)로 인해 낮다. 또한, 이상적 충격파형(Cm)의 펜더의 변형 스트로크는 기본 충격파형(b)의 변형 스트로크보다 (ds)만큼 길다.In the shock waveform Ca as shown by the dashed line in FIG. 56, the average force F of the fender is higher at the peak a1 of the initial strain Sa compared to the point b2 of the basic shock waveform Cb, but the strain In Sb, it is low due to the shoulder a2. Further, the deformation stroke of the fender of the ideal shock waveform Cm is longer than the deformation stroke of the basic shock waveform b by (ds).

이상적 충격파형(Cm)은 펜더의 작은 스트로크에서도 머리 충격특성을 줄이기 위해 펜더의 기본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는가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구체예의 펜더구조물은 이 설계 개념에 근거하여 구성된다.The ideal shock waveform (Cm) represents how the basic structure of the fender is designed to reduce head impact characteristics even at small strokes of the fender. Therefore, the fender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constructed based on this design concept.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 충격파형(Cb)을 이상적 충격파형(Cm)에 접근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변형(Sa)에서의 평균작용력(F)을 증가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층(1002)이 추가로 제공되며 또한 후속 변형(Sb)에서 평균작용력(F)을 감소시키고 후속 변형(Sb)에서 변형 스트로크(S)를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로 오목부(1003)가 형성된다.As already explained, in order to approach the basic shock waveform Cb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a synthetic resin layer 1002 is additionally provided to increase the average working force F at the initial deformation Sa and further follow-up. Further concave portions 1003 are formed to reduce the mean effort force F at strain Sb and to increase the deformation stroke S at the subsequent strain Sb.

이하 본 구체예의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a)을 제60a도 내지 제62b도를 참고하여 충격체(FM)의 충격단계와 펜더(1100)의 변형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ock waveform Ca approximating the ideal shock waveform Cm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impact stage of the impact body FM and the deformation of the fender 1100 with reference to FIGS. 60A to 62B.

제60a도 및 제6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체(FM)가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와 접촉하는 상태에서는 상측 돌출부(1110)가 아직 변형되지 않으므로 충격파형(Ca)은 평균작용력(F)과 스트로크(S)가 모두 지점(b1)에서 0이 된다.60A and 60B, in the state in which the impact body FM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not deformed yet, so the shock wave Ca may be The average working force F and the stroke S both become zero at the point b1.

그러나, 제61a도 및 제6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체(FM)가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와 충돌할 때 상측 돌출부(1110)는 전환 변형되도록(거꾸로), 즉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쪽으로 돌출하도록 변형되기 시작하므로 전환된 부분(FB)이 평면부(1200a)에 도달한다. 이 변형단계에서 합성수지층(1002)이 추가로 상측 돌출부(1110)의 단차부(FC)에 부착되기 때문에 기본 파괴 형태를 바꾸지 않고 기본 구조물에 비교하여 높은 평균작용력(F)이 얻어질 수 있으므로 이상적 충격파형(Cm)의 피크(a1)에 근사한 피크를 얻을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S. 61A and 61B, when the impact body FM collides with 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deformed (inverted), i.e., hooded. The deformed portion FB reaches the planar portion 1200a because it begins to deform to protrude toward the planar portion 1200a of the ridge reinforcement 1200. In this deformation step, since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is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stepped portion FC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a high average working force F can be obtained in comparison with the basic structure without changing the basic breakdown form. A peak close to the peak a1 of the impact waveform Cm can be obtained.

펜더(1100)의 상측 돌출부(1110)는 제62a도 및 제6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변형된다. 그러나, 이 경우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에 오목부(1003)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환부(FC)가 오목부(1200a)속으로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측 돌출부(1110)의 바닥이 후드릿지 보강부(1200)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기본 구조물에 비교하여 평균작용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변형 스트로크(S)가 기본 구조물과 비교하여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변형(Sb)에서 어깨부(a2)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변형 스트로크가 (dS)만큼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상적 충격파형(Cm)에 근사한 충격파형(Ca)을 얻을 수 있다.The upper protrusion 1110 of the fender 1100 is further modified as shown in FIGS. 62a and 62b.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oncave portion 1003 is formed in the planar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portion 1200, the switching portion FC is deformed into the concave portion 1200a. In this state, the bottom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not in contact with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portion 1200, so that the average working forc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basic structure. In addition, the deformation stroke S can b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basic structure. Accordingly, the shoulder portion a2 may occur in the subsequent deformation Sb and the deformation stroke may be increased by dS, thereby obtaining a shock wave Ca that is close to the ideal shock wave Cm.

이하, 본 발명의 제9구체예를 제63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54도에 도시한 제9구체예에 있어서, 합성수지층(1002)은 일단부(1002a)가 상측 돌출부(1110)의 상측 코너로부터 단차부(FA)의 상측 단차부(FA1)까지 연장되고 타단부(1002b)가 상측 돌출부(1110)의 동일 상측 코너로부터 펜더(1100)를 따라서 어느 정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부터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를 덮는 방식으로 펜더(1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본 변형예에서는 전체 단차부(FA)가 수지층(1002)으로 덮이도록 펜더(1100)의 내측면에 합성수지층(1002)이 부착된다.Hereinafter,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the ninth embodiment shown in FIG. 54,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has one end portion 1002a extending from the upper corner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to the upper step portion FA1 of the step portion FA. The fender 1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end portion 1002b extends somewhat downward along the fender 1100 from the same upper corner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to cover the flat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from above. It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wever, in this modification,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fender 1100 so that the entire step FA is covered with the resin layer 1002.

즉, 제6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층(1002)의 일단부(1002a)는 상측 돌출부(1110)의 상측 코너로부터 단차부(FA)의 하측 단차부(FA2)까지 연장되고 타단부(1002b)는 상측 돌출부(1110)의 동일 상측코너로부터 펜더(1100)를 따라서 어느 정도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부터 후드릿지 보강부(1200)의 평면부(1200a)를 덮는다. 그외의 펜더구조물은 제54도에 도시한 제9구체예와 동일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63, one end portion 1002a of the resin layer 1002 extends from the upper corner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to the lower step portion FA2 of the step portion FA and the other end portion 1002b. ) Extends somewhat downward along the fender 1100 from the same upper corner of the upper protrusion 1110 to cover the flat portion 1200a of the hood ridge reinforcement 1200 from above. Other fend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ninth embodiment shown in FIG.

본 구체예에서는 충격파형(Ca)이 이상적 충격파형(Cm)에 더욱 근사할 수 있도록 초기 변형시의 작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ction force at the time of initial deformation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shock waveform Ca can be more closely approximated to the ideal shock waveform Cm.

또한, 차체의 전방측에서는 얇게 후방측에서는 두껍게 합성수지층(1002)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보행자(예를 들면, 어린이)의 머리충격이 차량의 전방측에 가해질 때 충격력은 비교적 작다. 한편, 보행자(예를 들면, 어른)의 머리충격이 차량의 후방측에 가해질 때 충격력은 비교적 크다. 그러므로, 수지층(1002)의 두께가 점차 조정될 때 평균작용력은 펜더에 가해진 머리충격의 크기에 따라서 증가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o change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thinly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ickly on the rear side. In general, the impact force is relatively small when the head impact of a pedestrian (eg a child) is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force is relatively large when the head shock of a pedestrian (for example, an adult) is applied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1002 is gradually adjusted, the average working force can b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magnitude of the head impact applied to the fend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구조물에서는 후드가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이동할 때 충격흡수체가 충격간섭체(엔진 또는 받침탑)와 간섭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충격흡수체가 변형되어 파괴되므로 이상적 충격에너지 흡수파형(Cm)에 필요한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흡수 조건하에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후드의 작은 스트로크에서 HIC값(머리 충격특성)이 줄어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hoo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shock interfering body (engine or support tower) when the hood moves by a predetermined stroke, the shock absorber is deformed and destroyed, thus providing an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The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required for (Cm) can be generated. Therefore, the impact energy can be absorbed under ideal absorption conditions, and as a result, the HIC valu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reduced in a small stroke of the ho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펜더구조물에서는 펜더가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이동하였을 때 충격흡수체(수지층)가 변형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이상적 충격에너지 흡수 파형(Cm)에 필요한 원하는 이차 작용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흡수조건하에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최대한 작은 후드의 스트로크에서도 HIC값(머리 충격특성)이 줄어들 수 있다.Further, in the fend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ock absorber (resin layer) starts to deform when the fender moves by a predetermined stroke, a desired secondary action force necessary for the ideal shock energy absorption waveform Cm may be generated. Therefore, the impact energy can be absorbed under ideal absorption conditions, and as a result, the HIC value (head impact characteristic) can be reduced even in the stroke of the smallest hood.

Claims (6)

상측 돌출부(1110)에서 굽어있으며, 용이하게 파괴되도록 단차부(FA)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벽(1101)이 형성된 펜더판넬(1100)과, 변형시에 펜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펜더의 상부돌출부(1110)에 배치된 보강층(1002)과, 변형된 상기 보강층(1002)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003)를 구비하는, 변형된 상기 보강층을 정지시키기 위한 후드릿지 보강부재(1200)를 가지며, 상기 보강층의 충격에너지 흡수율은 상기 펜더판넬의 가장 짧은 스트로크에서 머리충격기준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충돌시에 발생된 충격에너지가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따라서 흡수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에 자동차의 펜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자동차의 펜더구조물.The fender panel 1100, which is bent from the upper protrusion 1110, is formed with a vertical wall 1101 on which a step FA is formed so as to be easily broken, and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fender during deformation. A hood ridge reinforcing member 1200 for stopping the deformed reinforcing layer having a reinforcing layer 1002 disposed on the upper protrusion 1110 and a concave portion 1003 for receiving the deformed reinforcing layer 1002.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rate of the reinforcing layer is determined so that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collision can be absorbed according to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head impact criterion at the shortest stroke of the fender panel. Fender structure of a vehicle for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fender of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제1항에 있어서,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은 작용력과 변형된 펜더의 스트로크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로서, 충돌시에 흡수되어야 하는 충격에너지량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이래의 머리충격기준 유추식에 따라서 계산하여 얻어지며, 상기 보강층은 충돌시에 비교적 적절한 에너지 흡수율로 변형되어 이상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파형에 필요한 이차적인 작용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is an ide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ng force and the stroke of the deformed fender, and is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impact energy that must be absorbed at the time of collision and according to the following head shock criteria analogy. And the reinforcement layer is deformed at a relatively appropriate energy absorption rate in the collision to generate the secondary force required for the ideal impact energy absorption waveform. 여기서, HIC는 머리충격기준, a(t)는 테스트 충격체의 중력중심에서의 가속도, t1 및 t2는 가속도가 가해지는 소정 시간(0t1t2),는[a12 2.5(t2-tl)]으로부터 선택한 최대값을 나타낸다.Where HIC is the head impact criterion, a (t) is the acceleration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est impact body, t1 and t2 are the predetermined time (0t1t2) the acceleration is applied, Represents the maximum value selected from [a 12 2.5 (t2-t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합성수지층(1002)이고, 이 합성수지층은 수직벽(1101)의 단차부(FA)의 내측면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구조물.The fender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layer is a synthetic resin layer (1002), and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ttach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FA of the vertical wall 1101. 제3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층(1002)은 수직력(1101)의 단차부(FA)의 대략 절반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구조물.The fender structure of claim 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covers approximately half of the step (FA) of the vertical force (1101). 제3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층(1002)은 수직벽(1101)의 단차부(FA)의 전체 표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구조물.4. The fender structure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step (FA) of the vertical wall (1101). 제3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층(1002)의 두께는 자동차의 전방측에서는 얇고 후방측에서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펜더구조물.4. The fender structure of claim 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1002) is thin a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ick at the rear side.
KR1019980022981A 1994-04-18 1998-06-18 Fend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KR01816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78924A JP3052727B2 (en) 1994-04-18 1994-04-18 Superstructure at the front of the vehicle
JP06078914A JP3120657B2 (en) 1994-04-18 1994-04-18 Car body superstructure
JP06078897A JP3120656B2 (en) 1994-04-18 1994-04-18 Car hood structure
JP94-78914 1994-04-18
JP94-78924 1994-04-18
JP94-78922 1994-04-18
JP06078922A JP3120658B2 (en) 1994-04-18 1994-04-18 Car hood structure
JP94-78897 1994-04-18
KR1019950009110A KR0162164B1 (en) 1994-04-18 1995-04-18 Front upp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110A Division KR0162164B1 (en) 1994-04-18 1995-04-18 Front upp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1692B1 true KR0181692B1 (en) 1999-04-01

Family

ID=2752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981A KR0181692B1 (en) 1994-04-18 1998-06-18 Fend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69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164B1 (en) Front upp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RU2660659C1 (en) Mounting structure with radar equipment
US6474709B2 (en) Device for the absorption of impact energy in motor veh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208005B2 (en)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s
JP5472223B2 (en)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JP3243783B2 (en) Vehicle side frame extension
KR101427921B1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2007523797A (en) Automotive bumper beam
JP2005502521A (en) Bumper beam and bumper assembly including bumper beam
JPS641336B2 (en)
JP2006168535A (en) Impact energy absorbing member
JP2005502522A (en) Energy absorbing member provided with a crash can
JP2005297726A (en) Automobile bumper
JP4601837B2 (en) Battery bracket structure
JPH07285466A (en) Hood structure for automobile
WO2012014297A1 (en) Structure for vehicle body front portion
KR0181692B1 (en) Fend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JP4457302B2 (en) Shock absorber for automobile
JP3979201B2 (en)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structure
JP2897623B2 (en) Vehicle hood reinforcement structure
JP3120657B2 (en) Car body superstructure
JP5027684B2 (en) Body front structure
KR101836515B1 (en) Cowl assembly of vehicles
JP3120658B2 (en) Car hood structure
JP2010158940A (en) Cowl top garn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