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488B1 -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엠피이쥐 오디오복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엠피이쥐 오디오복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488B1
KR0181488B1 KR1019960031303A KR19960031303A KR0181488B1 KR 0181488 B1 KR0181488 B1 KR 0181488B1 KR 1019960031303 A KR1019960031303 A KR 1019960031303A KR 19960031303 A KR19960031303 A KR 19960031303A KR 0181488 B1 KR0181488 B1 KR 018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allocation
allocation table
bit
reading
sub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2957A (ko
Inventor
부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1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488B1/ko
Publication of KR98001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2019/0001Codebooks
    • G10L2019/0002Codebook adap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MPEG-오디오의 계층Ⅱ에 있어서, 복호기는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중복되는 데이터를 감소시킴으로써 비트 할당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줄이고,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비트열을 복호한다. 이에 따라, 비트 할당에 필요한 4개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내장하고 있어야 함에 따라 많은 메모리를 비트 할당 테이블을 할애해야하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것은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부호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복호기에서 독립적으로 변형·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실재 응용에 편리성이 제공되며, 하드웨어적인 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MPEG-오디오(Moving Picture Experts Group-Audio)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PEG-오디오의 계층Ⅱ(layer Ⅱ)에 있어서, 복호기는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중복되는 데이터를 감소시킴으로써 비트 할당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줄일 수 있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EG-오디오는 ISO/IEC JTC1/SC29/WG11 MPEG-오디오 그룹에서 1992년에 국제 표준화 규격으로 제정된 오디오 부호화 방식으로써 고품질·고압축율을 실현하는 스테레오 대응의 오디오 부호화 방식이다.MPEG-오디오는 통칭이고, 정식 표준 번호는 ISO/IEC IS11172-3이며, MPEG-비디오와 조합하여 오디오-비디오 부호화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독으로 디지털 음악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이나 종합 정보 디지털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에 의한 고품질 스테레오 오디오 전송 등의 응용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MPEG 오디오는 서브밴드 부호화(subband coding)에 입각한 MUSICAM (Masking-pattern Universal Subband Integrated Coding And Multiplexing) 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데,상기 MUSICAM 시스템은 서브밴드 부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16비트 균일 PCM 데이터(Pulse Code Modulation data)를 입력받아 채널 당 64 kbps에서 196 kbps까지 가변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으며 인간의 청각 특성인 임계 대역(critical band)과 마스킹 현상(masking effect)을 이용하여 성능과 복잡도에 따라 3 종류의 계층(layer)을 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MUSICAM 시스템의 기본 원리는 인간의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중에서 청각이 감지하지 못하는 신호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데이타 압축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써, 변환 부호화(transform coding)의 경우에는 계수들을 사용하여 직접 마스킹 임계값(masking threshold)을 구할 수도 있으나, 분할 밴드 부호화의 경우에는 마스킹 임계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세밀한 주파수 해석이 필요하므로 부가적인 고속 프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각 서브밴드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찾는다.
여기서, 마스킹 임계값이란 잡음이 원음에 의해 마스킹되거나 가청 한계보다 낮아서 들리지 않게 되는 한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마스킹 임계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선형적인 주파수 영역을 비선형적인 임계 대역(critical band)에 맞게 변환해야 하며, 바크(Bark) 단위로 바뀌어진 주파수 스펙트럼을 이용해서 마스킹 임계값을 구한다.
이와 같이 마스킹 임계값을 구하는 과정을 심리 음향 모델링 과정이라 하는데, 양자화 잡음의 크기가 상기 마스킹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에 귀에서 잡음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가정 하에서 정해진 비트율에서 최적이 되도록 각 서브밴드에 비트를 할당하며, 각각의 서브밴드 신호들은 APCM(Advanced Pulse Code Modulation)을 사용하여 부호화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MPEG-오디오는 성능과 복잡도에 따라 표 1에 나타낸 3 종류의 계층(layer)을 규정하고 있음에 따라 각 응용 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계층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유도를 허락한다.
MPEG-오디오의 계층 특성
계층 비트율 부호화 방식 하드 웨어 규모
계층 Ⅰ(layer Ⅰ) ·128Kbps(모노럴)·256Kbps(스테레오) ·32 서브 밴드·스케일 팩터·비트 할당·384 sample/frame
계층 Ⅱ(layer Ⅱ) ·96Kbps(모노럴)·192Kbps(스테레오) ·32 서브 밴드·스케일 팩터·비트 할당·3개조 1152 sample/frame
계층 Ⅲ(layer Ⅲ) ·64Kbps(모노럴)·128Kbps(스테레오) ·32 서브 밴드+MDCT·스케일 팩터·비트 할당·1152 sample/frame·허프만 부호화
표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높은 계층(layer)일수록 고품질과 고압축율이 실현되지만, 반면, 하드웨어 규모가 커진다.
우선, MPEG-오디오의 계층 Ⅰ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호화 방식을 기준삼아 각 계층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임계 밴드 등의 청각 심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나누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대역을 32개로 세분한 32 밴드의 서브밴드 부호화를 행한다. MPEG-오디오의 계층 Ⅰ에서는 전 대역을 32개의 등간격 주파수 폭으로 분할해서, 각각의 신호를 원 샘플링 주파수의로 샘플링하는 32 서브밴드 부호화를 채택하고 있다.
통상의 필터로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경우, 이상적인 필터가 아니면, 서브샘플링 시점에서 엘리어싱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엘리어싱을 줄일 수 있는 다상 필터 뱅크(poli-phase filter bank)를 이용하여 32 밴드의 반복 잡음을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필터에 의한 열화를 최소화하며, 32의 배수이고 동시에 시간 마스킹 효과(temporal masking effect)의 범위에서 가장 부호화 효율이 높은 샘플수인 384 샘플을 1 프레임으로 하여, 즉, 각 서브밴드 당 12 샘플씩을 할당하여 총 32 밴드로 변환하여 서브밴드 부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MPEG-오디오의 계층 Ⅰ에서는 스케일 팩터(scale factor)와 비트 할당(bit allocation) 방식을 부호화에 이용한다.
이에 따라, 한 밴드내의 12 샘플 데이터는 파형과 배율로 나뉘어 분리되는데, 파형은 최대 진폭이 1.0이 되도록 정규화되어 그 배율이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로써 부호화된다. 이러한 부호화 방식은 양자화 잡음의 발생을 제한하기 때문에 청각 심리의 효과가 작용해 잡음을 감지하기 어렵게 한다.
또한, 각 프레임, 각 서브밴드 마다 비트 할당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상기 스케일 팩터와 조합함에 따라 임계 대역을 고려한 마스킹 레벨(masking level) 한도까지 양자화 정밀도를 지정함으로써 마스킹 효과를 한층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MPEG-오디오의 계층 Ⅰ은 두 개의 채널을 합쳐서 부호화 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스테레오 부호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것은 청각의 위상 검출 능력은 높은 주파수에서 저하한다는 것을 이용해 높은 주파수에서는 파형을 모노럴(monaural)로 전송하고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진폭 정보만을 스테레오 전송함으로써 스테레오 부호화시 부호화 효율을 증대시키는 부호화 방식이다.
한편, MPEG-오디오의 계층 Ⅱ는 상술한 계층 Ⅰ에 이하의 2가지 방식이 부가적으로 채택된다.
즉, 하나는 각 비트율에 따라 준비된 비트 할당 테이블(bit allocation table)들을 이용해서 비트 할당 정보를 효율적으로 나타내며, 또 다른 하나는 같은 밴드 내의 샘플을 3 샘플씩 모아서 부호화하는 모드를 채택함으로써 파형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MPEG-오디오의 계층 Ⅲ에서는 MS 스테레오(Middle Side stereo) 방식과,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과, 허프만 부호화(Huffman coding) 등을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MS 스테레오 방식은 2 채널의 스테레오 신호, 즉, 좌측 신호(Left; L)와 우측 신호(Right; R)를 각각 부호화하는 대신에 상기 두 신호의 합신호(L+R)와 차신호(L-R)를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스테레오 신호에서는 합신호가 더 중요하게 취급되기 때문에, 이 방식은 합신호(L+R)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트를 할당함으로써 낮은 비트율에서 부호화 효율을 높이는데 효율적이다. 즉, 차신호(L-R)의 성분이 작은 신호에 있어 효과가 좋다.
상기 변환 이산 코사인 변환은 32 밴드보다 세밀하게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방식으로, 더욱 세밀하게 주파수 대역을 분할함으로써 청각 심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허프만 부호화는 변환 이산 코사인 변환에 의해서 얻어진 이산 코사인 변환 계수를 엔트로피 부호화(entropy coding)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에 내재한 통계학적인 중복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MPEG-오디오의 계층 Ⅰ, 계층 Ⅱ, 계층 Ⅲ은 공통적으로 오디오 복호의 기본 단위로써 AAU(Audio Access Unit)를 갖고 있다.
여기서, AAU는 MPEG-오디오 비트열의 1 프레임을 말하는 것으로, 단독으로 오디오 신호를 복호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이며, 항상 일정 샘플수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1은 MPEG-오디오의 AAU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AU의 내용은 32 비트의 헤더(header),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며, 16 비트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code)가 헤더와 오디오 데이터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동기 패턴으로 모두 1인 12비트의 동기워드(syncword)와, 항상 1을 갖는 1비트의 ID(identification)와, 계층(layer)을 지정하는 2비트의 계층 비트(layer bit)와, 오류 점검(error check)의 유무(0일 경우, 오류 점검)를 밝히는 1비트의 프로텍션 비트(protection bit)와, 비트율을 나타내는 2비트의 비트율 색인 비트(bit rate index bit)와,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내는 2비트의 샘플링 주파수 비트(sampling frequency bit)와, 패딩(padding)의 유무(1일 경우, 패딩 프레임)를 나타내는 1비트의 패딩 비트(padding bit)와, 1비트의 개별 이용 비트(private bit)와, 2비트의 모드 비트(mode bit)와, 2비트의 모드 확장 비트(mode extension bit)와, 저작권 유무(1일 경우, 저작권 있음)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저작권 비트(copywriter bit)와, 원본 또는 복사본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오리지날/카피 비트(original/copy bit)와, 엠퍼시스(emphasis) 특성을 나타내는 2비트의 엔퍼시스 비트(emphasis bit)의 순서로 하여 총 32 비트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서, 2비트의 계층 비트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비트의 조합에 의해 계층을 지정하고, 2비트의 샘플링 주파수 비트는 표 3에서와 같이 2비트의 조합에 의해 샘플링 주파수를 나타내며,4비트의 비트율 색인 비트는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4비트의 조합에 의해 각 계층에서의 비트율을 지정하게 된다.
AAU 헤더의 계층 비트의 구성
계층 비트 지정 계층
1 1 계층 Ⅰ
1 0 계층 Ⅱ
0 1 계층 Ⅲ
0 0 예약(reserved)
AAU 헤더의 샘플링 주파수 비트의 구성
샘플링 주파수 비트 지정 샘플링 주파수
1 1 예약(reserved)
1 0 32KHz
0 1 48KHz
0 0 44.1KHz
AAU 헤더의 비트율 색인 비트의 구성
비트율 색인 비트(bitrate_index bit) 비트율(bitrate)
계층Ⅰ 계층 Ⅱ 계층Ⅲ
0 free format free format free format
1 32 Kbps 32 Kbps 32 Kbps
10 64 Kbps 48 Kbps 40 Kbps
11 96 Kbps 56 Kbps 48 Kbps
100 128 Kbps 64 Kbps 56 Kbps
101 160 Kbps 80 Kbps 64 Kbps
110 192 Kbps 96 Kbps 80 Kbps
111 224 Kbps 112 Kbps 96 Kbps
1000 256 Kbps 128 Kbps 112 Kbps
1001 288 Kbps 160 Kbps 128 Kbps
1010 320 Kbps 192 Kbps 160 Kbps
1011 352 Kbps 224 Kbps 192 Kbps
1100 384 Kbps 256 Kbps 224 Kbps
1101 416 Kbps 320 Kbps 256 Kbps
1110 448 Kbps 384 Kbps 320 Kbps
1111 forbidden(금지) forbidden(금지) forbidden(금지)
또한, 오디오 데이터는 비트 할당 영역과 스케일 팩터 영역 및 샘플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데이터량은 헤더나 비트 할당 영역의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앞서,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특성을 설명함에 있어, 계층 Ⅱ의 특성 중에 하나는 각 비트율에 따라 준비된 비트 할당 테이블 등을 이용해서 비트 할당 정보를 효율적으로 나타낸다는 사실을 설명한 바 있다.
이하, 본 발명은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비트 할당 테이블들을 효율적인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바, 전술한 AAU 헤더 정보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비트 할당 테이블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ISO/IEC IS11172-3에 정의된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비트 할당 테이블들은 헤더 상에 기록된 비트율(bit rate)과 샘플링 주파수(sampling frequency; Fs)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테이블 3-B.2a(Table 3-B.2a)와, 도3에 나타낸 테이블 3-B.2b(Table 3-B.2b)와, 도 4에 나타낸 테이블 3-B.2c(Table 3-B.2c)와, 도 5에 나타낸 테이블 3-B.2d(Table 3-B.2d)로 구성된다.
각 비트 할당 테이블에 있어서, sb는 서브밴드 번호를 나타내고, sblimit는 32 서브밴드 중 유효 비트를 할당하는 서브밴드의 수이며, SB0∼SB31은 0에서 부터 31까지의 서브밴드 번호를 갖는 각각의 서브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nbal(the number of bit allocation)은 비트 할당수를 나타내고, Sum of nbal은 총 비트 할당수이며, index는 상기 할당된 비트의 2진값에 대응되는 각 서브밴드에서의 스텝값(step value)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는 샘플링 주파수(Fs)가 48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bitrates per channel)이 56Kbps, 64Kbps, 80Kbps, 96Kbps, 112Kbps, 128Kbps, 160Kbps, 192Kbps, free format일 경우와, 샘플링 주파수(Fs)가 44.1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이 56Kbps, 64Kbps, 80Kbps일 경우와, 샘플링 주파수(Fs)가 32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이 56Kbps, 64Kbps, 80Kbps일 경우에 이용하며, 32개의 서브밴드들에 총 88비트를 할당하고, 32 서브밴드 중 27개의 서브밴드에 유효 비트를 할당한다.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는 샘플링 주파수(Fs)가 44.1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이 96Kbps, 112Kbps, 128Kbps, 160Kbps, 192Kbps, free format일 경우와, 샘플링 주파수(Fs)가 32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이 96Kbps, 112Kbps, 128Kbps, 160Kbps, 192Kbps, free format일 경우에 이용하고, 32개의 서브밴드들에 총 94비트를 할당하며, 32 서브밴드 중 30개의 서브밴드에 유효 비트를 할당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는 샘플링 주파수(Fs)가 샘플링 주파수(Fs)가 48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이 32Kbps, 48Kbps일 경우와, 샘플링 주파수(Fs)가 44.1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이 32Kbps, 48Kbps일 경우에 이용하고, 32개의 서브밴드들에 총 26비트를 할당하며, 32 서브밴드 중 8개의 서브밴드에 유효 비트를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는 샘플링 주파수(Fs)가 32KHz에서 채널 당 전송율이 32Kbps, 48Kbps일 경우에 이용하고, 32개의 서브밴드들에 총 38비트를 할당하며, 32 서브밴드 중 최대 12개의 서브밴드에 유효 비트를 할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비트 할당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브밴드 번호를 참조하여 헤더 영역의 비트율과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관련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여 양자화를 위한 레벨수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복호기(decoder)는 MPEG-오디오의 계층Ⅱ에 의해 부호화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면, 상기 4개의 비트 할당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에 따라 각 서브밴드에 대한 비트 할당수에 따른 할당 비트를 취한 후, 그 값을 인댁스(index)로 하여 관련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해당 스텝값을 찾는다.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복호기는 비트 할당에 필요한 4개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내장하고 있어야 함에 따라 많은 메모리를 비트 할당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복호기에 있어서,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중복되는 데이터를 감소시킴으로써 비트 할당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줄이고,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비트열을 복호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MPEG-오디오의 AAU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도 5는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방법에 대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헤더 판독 단계 110 : 헤더 복호 단계
120 :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 200 :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
210 : 서브밴드 번호 판독 단계
220 :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
230 :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
240 :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
250 :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 300 : 스텝값 판독 단계로 구성된다.
310 : 비트 할당수 판독 단계 320 : 최대값 판단 단계
330 : 최대 스텝값 할당 단계 340 : 정상 스텝값 판독 단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장치 및 방법은 MPEG-오디오의 계층Ⅱ에 의해 부호화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여 서브밴드 번호와 샘플링 주파수, 비트율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규칙에 입각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및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의 각각 0번 서브밴드(SB0)에서 2번 서브밴드(SB2)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및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의 각각 3번 서브밴드(SB3)에서 10번 서브밴드(SB10)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및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의 각각 0번 서브밴드(SB0)와 1번 서브밴드(SB1)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각 서브밴드에 대한 비트 할당수에 따른 할당 비트를 취한 후, 그 값을 인댁스(index)로 하여 관련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해당 스텝값을 찾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복호 방법에 있어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여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판독하는 헤더 판독 단계(100)와, 상기 헤더 판독 단계(100)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설정한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소정의 규칙에 입각하여 선택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00)와,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00)에서 선택한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해당 비트 할당수에 따른 스텝값을 판독하는 스텝값 판독 단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 판독 단계(100)는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는 헤더 복호 단계(110)와, 상기 헤더 복호 단계(110)에서 복호한 헤더 정보로부터 판독한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이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인지 아니면,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120)로 구성된다.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00)는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120)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면,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50)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120)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면, 서브밴드 번호를 판독하는 서브밴드 번호 판독 단계(210)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트 할당 테이블을 결정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220)와,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220)의 판단 결과,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30)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텝값 판독 단계(300)는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30) 또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40)를 수행한 후,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비트 할당수를 판독하는 비트 할당수 판독 단계(310)와,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 조합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는 최대값 판단 단계(320)와, 상기 최대값 판단 단계(320)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면, 스텝값으로 65535값을 할당하는 최대 스텝값 할당 단계(330)와,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50)를 수행한 다음이거나, 또는 상기 최대값 판단 단계(320)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 아니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에 따라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는 정상 스텝값 판독 단계(34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방법의 절차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MPEG-오디오의 계층Ⅱ에 의해 부호화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헤더 판독 단계(100)에서는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여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판독하는데, 즉, 상기 헤더 복호 단계(110)에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면,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120)에서는 상기 헤더 복호 단계(110)에서 복호한 헤더 정보로부터 비트율과 샘플링 주파수를 판독하여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이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인지 아니면,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인지를 판단한다.
이후,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00)에서는 상기 헤더 판독 단계(100)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의 규칙성에 이용하여 설정한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소정의 규칙에 입각하여 선택한다.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00)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120)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면,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50)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120)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면, 서브밴드 번호를 판독하는 서브밴드 번호 판독 단계(210)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220)에서는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트 할당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30)에서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220)의 판단 결과,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며,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40)를 수행한다.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30) 또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40)를 수행한 후,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비트 할당수를 판독하는 비트 할당수 판독 단계(310)를 수행하면, 상기 최대값 판단 단계(320)에서는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 조합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여 최대값이면, 스텝값으로 65535값을 할당하는 최대 스텝값 할당 단계(33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250)를 수행한 다음이거나, 또는 상기 최대값 판단 단계(320)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 아니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에 따라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는 정상 스텝값 판독 단계(340)를 수행하여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방법의 절차를 종료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는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복호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여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판독하는 헤더 판독 수단과, 상기 헤더 판독 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소정의 규칙에 입각하여 선택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수단과,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비트 할당 테이블으로부터 해당 비트 할당수에 따른 스텝값을 판독하는 스텝값 판독 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 판독 수단은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는 헤더 복호부와, 상기 헤더 복호부에서 복호한 헤더 정보로부터 판독한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이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인지 아니면,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로 구성된다.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면,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면, 서브밴드 번호를 판독하는 서브밴드 번호 판독부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트 할당 테이블을 결정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와,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으면,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텝값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 또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비트 할당수를 판독하는 비트 할당수 판독부와,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 조합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는 최대값 판단부와, 상기 최대값 판단부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면, 스텝값으로 65535값을 할당하는 최대 스텝값 할당부와,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최대값 판단부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 아니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는 정상 스텝값 판독부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MPEG-오디오의 계층Ⅱ에 의해 부호화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헤더 복호부는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고,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는 상기 헤더 복호부로부터 헤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헤더 정보로부터 비트율과 샘플링 주파수를 판독하여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이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인지 아니면,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면,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면, 서브밴드 번호 판독부는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서브밴드 번호를 판독한다.
이에,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는 상기 서브밴드 번호 판독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트 할당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고,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한다.
또한, 비트 할당수 판독 단계(310)는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의 출력 또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비트 할당수를 판독하며, 상기 최대값 판단부는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 조합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고, 최대 스텝값 할당부는 상기 최대값 판단부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면, 스텝값으로 65535값을 할당한다.
한편, 정상 스텝값 판독 단계(340)는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최대값 판단부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 아니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에 따라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 오디오 복호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MPEG-오디오의 계층Ⅱ에 있어서, 복호기는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중복되는 데이터를 감소시킴으로써 비트 할당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줄이고, 본 발명에 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비트열을 복호한다. 이에 따라, 비트 할당에 필요한 4개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내장하고 있어야 함에 따라 많은 메모리를 비트 할당 테이블을 할애해야하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것은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부호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복호기에서 독립적으로 변형·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실재 응용에 편리성이 제공되며, 하드웨어적인 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0)

  1.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복호 방법에 있어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여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판독하는 헤더 판독 단계와; 헤더 판독 단계의 판독 결과에 따라 테이블 3-B.2a(Table 3-B.2a) 및 테이블 3-B.2b(Table 3-B.2b)의 각각 0번 서브밴드(SB0)에서 2번 서브밴드(SB2)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과, 테이블 3-B.2a(Table 3-B.2a) 및 테이블 3-B.2b(Table 3-B.2b)의 각각 3번 서브밴드(SB3)에서 10번 서브밴드(SB10)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과, 테이블 3-B.2c(Table 3-B.2c) 및 테이블 3-B.2d(Table 3-B.2d)의 각각 0번 서브밴드(SB0)와 1번 서브밴드(SB1)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소정의 규칙에 입각하여 선택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와;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에서 선택한 비트 할당 테이블으로부터 해당 비트 할당수에 따른 스텝값을 판독하는 스텝값 판독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판독 단계는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는 헤더 복호 단계와, 상기 헤더 복호 단계에서 복호한 헤더 정보로부터 판독한 상기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이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테이블 3-B.2b(Table 3-B.2b)인지, 아니면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테이블 3-B.2d(Table 3-B.2d)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는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면,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면, 서브밴드 번호를 판독하는 서브밴드 번호 판독 단계(210)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트 할당 테이블을 결정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와;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로 구성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값 판독 단계는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 또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비트 할당수를 판독하는 비트 할당수 판독 단계와;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 조합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는 최대값 판단 단계와, 상기 최대값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면, 스텝값으로 65535값을 할당하는 최대 스텝값 할당 단계와;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단계를 수행한 후, 또는 상기 최대값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 아니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에 따라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는 정상 스텝값 판독 단계로 구성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방법.
  5. MPEG-오디오의 계층Ⅱ의 복호기에 있어서,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여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을 판독하는 헤더 판독 수단과; 테이블 3-B.2a(Table 3-B.2a) 및 테이블 3-B.2b(Table 3-B.2b)의 각각 0번 서브밴드(SB0)에서 2번 서브밴드(SB2)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과, 테이블 3-B.2a(Table 3-B.2a) 및 테이블 3-B.2b(Table 3-B.2b)의 각각 3번 서브밴드(SB3)에서 10번 서브밴드(SB10)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과, 테이블 3-B.2c(Table 3-B.2c) 및 테이블 3-B.2d(Table 3-B.2d)의 각각 0번 서브밴드(SB0)와 1번 서브밴드(SB1)에 공동으로 할당된 비트 할당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과,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헤더 판독 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중에서 하나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소정의 규칙에 입각하여 선택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수단과;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한 비트 할당 테이블으로부터 해당 비트 할당수에 따른 스텝값을 판독하는 스텝값 판독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판독 수단은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 영역을 복호하는 헤더 복호부와, 상기 헤더 복호부에서 복호한 헤더 정보로부터 판독한 ISO/IEC IS11172-3에서 정의한 비트 할당 테이블이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인지, 아니면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c(Table 3-B.2c) 또는 상기 테이블 3-B.2d(Table 3-B.2d)면,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테이블 3-B.2a(Table 3-B.2a) 또는 상기 테이블 3-B.2b(Table 3-B.2b)면, 서브밴드 번호를 판독하는 서브밴드 번호 판독부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트 할당 테이블을 결정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와,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으면,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와; 상기 서브밴드 번호가 3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하는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값 판독 수단은 상기 제 1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 또는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MPEG-오디오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비트 할당수를 판독하는 비트 할당수 판독부와;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 조합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는 최대값 판단부와; 상기 최대값 판단부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면, 스텝값으로 65535값을 할당하는 최대 스텝값 할당부와; 상기 제 3 비트 할당 테이블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최대값 판단부의 판단 결과, 최대값이 아니면, 상기 비트 할당수의 2진값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해당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스텝값을 판독하는 정상 스텝값 판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MPEG-오디오의 복호 장치.
  9. 비트 할당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소정 규칙에 의해 중복되는 데이터를 감소시켜 하나 이상의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 구성 단계와; 상기 비트 할당 테이블 구성 단계를 수행한 후, 샘플 데이터를 기록/판독하거나 또는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샘플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는 비트 할당 선택 정보를 검색하는 비트 할당 선택 정보 검색 단계와; 상기 비트 할당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상기 소정 규칙의 역순에 입각하여 상기 샘플 데이터에 대한 스텝값을 판독하는 샘플 데이터 스텝값 판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복호 방법.
  10. 비트 할당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비트 할당 테이블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규칙성을 이용하여 소정 규칙에 의해 중복되는 데이터를 감소시켜 하나 이상의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 구성 수단과;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 및 샘플 데이터를 기록/판독하거나 또는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과; 상기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샘플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각 비트 할당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는 비트 할당 선택 정보를 검색하는 비트 할당 선택 정보 검색 수단과, 상기 비트 할당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비트 할당 테이블로부터 상기 소정 규칙의 역순에 입각하여 상기 샘플 데이터에 대한 스텝값을 판독하는 샘플 데이터 스텝값 판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복호 장치.
KR1019960031303A 1996-07-29 1996-07-29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엠피이쥐 오디오복호 장치 및 방법 KR018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303A KR0181488B1 (ko) 1996-07-29 1996-07-29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엠피이쥐 오디오복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303A KR0181488B1 (ko) 1996-07-29 1996-07-29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엠피이쥐 오디오복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957A KR980012957A (ko) 1998-04-30
KR0181488B1 true KR0181488B1 (ko) 1999-04-15

Family

ID=1946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303A KR0181488B1 (ko) 1996-07-29 1996-07-29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엠피이쥐 오디오복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125B1 (ko) * 2004-05-28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125B1 (ko) * 2004-05-28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95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777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масштабируемого кодирования-декодирования стереофонического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варианты)
KR100261254B1 (ko) 비트율 조절이 가능한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Brandenburg et al. ISO/MPEG-1 audio: A generic standard for coding of high-quality digital audio
US5835030A (en)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elected predetermined code tables
US5664056A (en) Digital encoder with dynamic quantization bit allocation
JP3131542B2 (ja) 符号化復号化装置
JP3571068B2 (ja) 補助信号の両立性伝送および/または記憶ならびに復号方法
KR100310214B1 (ko) 신호인코딩또는디코딩장치와레코딩매체
JP3277692B2 (ja) 情報符号化方法、情報復号化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KR100419546B1 (ko) 신호부호화방법및장치,신호복호화방법및장치,및신호전송방법
EP0884850A2 (en) Scalable audio 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08117B1 (ko) 비트율 조절가능한 오디오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JP2012238034A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信号復号化方法
JPH07160292A (ja) 多層符号化装置
WO1995002925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 a haute efficacite, procede et dispositif de decodage a haute efficacite, systeme de codage/decodage et support d'enregistrement a haute efficacite
Sinha et al. The perceptual audio coder (PAC)
KR100528325B1 (ko) 비트율 조절이 가능한 스테레오 오디오 부호화 및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JPH07336234A (ja) 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信号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6661923B1 (en) Coding device, coding method, decoding device, decoding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data recording medium
KR0181488B1 (ko) 비트 할당 테이블의 규칙성을 이용한 엠피이쥐 오디오복호 장치 및 방법
KR100923301B1 (ko) 대역 확장 기법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방법,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908116B1 (ko) 비트율 조절가능한 오디오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Stoll et al. The ISO/MPEG-audio codec: a generic standard for coding of high quality digital audio
JP3528260B2 (ja) 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復号化装置及び方法
KR100224582B1 (ko) Mpeg-2 오디오의 에러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