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177B1 - Impact switch in airbag system - Google Patents

Impact switch in airba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177B1
KR0180177B1 KR1019960049006A KR19960049006A KR0180177B1 KR 0180177 B1 KR0180177 B1 KR 0180177B1 KR 1019960049006 A KR1019960049006 A KR 1019960049006A KR 19960049006 A KR19960049006 A KR 19960049006A KR 0180177 B1 KR0180177 B1 KR 018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impact
slider
airba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9686A (en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49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177B1/en
Publication of KR1998002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6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17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장치에서 자동차 충돌시 다방향의 충격에 따라 신속하게 작동되는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operated impact switch that is rapidly operated in a multi-directional impact upon an automobile collision in an airbag device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외부의 충격량이 소정치이상이면 에어백장치에 작동 전원을 연결시키는 기계식 충격스위치에 있어서: 밀폐형 상자 구조로 된 절연성 재질의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서 로터축(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치차부(11a)가 형성되는 로터(11); 상기 로터(11)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는 편심추(12); 상기 로터(11)의 양측면에서 각각 가이드레일(16)상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내측면에서 로터(11)의 치차부(11a)와 맞물리는 치차부(15a)가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15);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충격량을 결정하고, 슬라이더(15)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는 충격감응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impact switch for connecting an operating power source to an airbag device when an external impact quantit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mechanical impact switch comprising: a casing (10)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closed box structure; A rotor 11 rotatably mounted on the rotor shaft 14 inside the casing 10 and having a toothed portion 11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eccentric weight 12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or 11; As long as a gear portion 15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or 11 so as to be slidable on the guide rail 16 and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11a of the rotor 11 on each inner side surface A pair of sliders 15; And an impacting means for determining an amount of impact for moving the slider 15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15.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승객보호 수단중의 하나인 에어백장치에서 자동차 충돌시 다방향의 충격에 따라 신속하게 작동되는 기계식 충격스위치를 적용함으로써, 에어백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airbag operation by applying the mechanical impact switch which is quick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ulti-directional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airbag device which is one of the passenger protection means of the automobile.

Description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Airbag actuating shock switch

본 발명은 충격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승객보호 수단중의 하나인 에어백장치에서 자동차 충돌시 다방향의 충격에 따라 신속하게 작동되는 기계식 충격스위치를 적용하여 에어백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bag device, which is one of passenger protection means of an automobile,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irbag operation by applying a mechanical impact switch, Air bag operating shock switch.

통상적으로, 차량의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핸들 또는 조수석 전면에 화약식 에어백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장치는 가속도센서에 의해 소정치 이상의 충격량이 감지된 때 밧데리 전원으로 작약을 점화시켜 고압의 가스가 발생되도록 하고 이 가스압으로 에어백을 전개시킨다. 이러한 에어백장치는 비교적 고가이고 사용빈도가 극히 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그 작동에 있어서 극히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Conventional airbag devices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steering wheel or passenger seat to protect the driv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In the airbag device, when an amount of impac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the battery power is ignited to generate high-pressure gas, and the airbag is deployed with the gas pressure. Since such an airbag apparatus is a relatively expensive and infrequent apparatus, extremely high reliability is required in its operation.

이를 위해 대용량의 컨덴서로 구성되는 백업(backup) 전원, 에어백 시스템 전체의 이상유무를 항상 감시하고 경고하는 다이어그노시스(diagnosis)회로 등을 설치하기도 한다.To this end, a backup power source comprising a large-capacity condenser, and a diagnosis circuit for monitoring and warning the abnormality of the entire airbag system may be installed.

그러나, 상기의 수단에 의해서도 이상 유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예컨대 가속도센서가 오동작 또는 동작 불능시 충돌사고를 당하면 운전자가 사전에 이를 정비 또는 교체할 기회도 가지지 못하고 점화장치의 작약이 폭발되지 않아 에어백 장치는 무용지물이 되므로 기계식 충격검출센서를 병용시키기도 한다.However, if the abnormality is not detected by the mean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is malfunctioned or inoperable, the driver does not have a chance to repair or replace it beforehand and the ignition of the ignition device does not explode, Since the device becomes obsolete, a mechanical impact detection sens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일반적으로, 충격량의 기계적인 검출에는 소정의 질량을 지닌 질량체 및 소정의 탄력성을 지닌 스프링을 조합한 스프링-질량 센서가 사용되고 있는데, 외부의 충격량이 센서에 전달되면 스프링의 전방에 설치되는 질량체가 감속도 운동을 시작하여 그 상대적 위치의 변화가 발생된다. 이러한 상대 위치의 변화는 충격에 따른 감속도의 크기에 비례하는 소정의 전기적 물리량(예컨대 저항치)으로 변환되어 각종 기계장치의 제어회로에 보내지거나, 임계 충격에서 입력측 및 출력측의 회로를 연결시킨다.Generally, a spring-mass sensor, which is a combination of a mass having a predetermined mass and a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is used for mechanical detection of an impact quantity. When an external impact quantity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And the relative position is changed. The change of the relative position i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electric physical quantity (for example, a resistance valu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deceleration depending on the impact, and is sent to the control circuit of various mechanical devices or connects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circuit in critical shock.

한편, 충격의 기계적인 검출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질량 방식의 센서는 실리콘 기판상에 피에조 저항·앰프·필터 등을 하나의 회로로 집적시킨 반도체식 센서에 비해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ring-mass type sensor used as a mechanical detection means of impac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affected by noise as compared with a semiconductor type sensor in which a piezo resistor, an amplifier, a filter, have.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질량 방식의 기계적인 센서는 코일스프링에 의한 직선운동을 이용함으로, 운동방향과 직각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정확한 신호 발생이 곤란하다는 점 등 충격의 방향에 따른 신뢰도에 차이를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 코일스프링은 진동이 유발되기 쉬우므로 그다지 높은 정밀도를 보장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댐핑 오일을 사용하여 진동을 댐핑하는 별도의 장치구성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 코일스프링은 충격스위치의 생산과정으로부터 사용과정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약한 충격에도 항상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고, 스프링특성 변형이 용이하여 불량발생이 높은 결점이 있다.However, such a spring-mass type mechanical sensor uses a linear motion by a coil spring, so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n accurate signal if an impact is applied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motion, . In addition, since the coil spring tends to generate vibration, it is difficult to ensure high accuracy, and a separate device structure for damping vibration using damping oil is required. In addition, the coil spring is always affected by vibration even in a relatively weak impact from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impact switch to the use process, and it is easy to deform the spring characteristic, thereby causing a defect to be high.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승객보호 수단중의 하나인 에어백장치에서 자동차 충돌시 다방향의 충격에 따라 신속하게 작동되는 기계식 충격스위치를 적용하여 에어백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백 작동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bag operation switch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irbag operation by applying a mechanical impact switch that is quick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multi-directional impact in the event of an automobile collision in an airbag device, For that purpose.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The drawings show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충격스위치의 내부를 드러내어 나타내는 구성도.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mpact switch. FIG.

제2도는 제1도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케이싱 11 : 로터10: casing 11: rotor

11a, 15a : 치차부 12 : 편심추11a, 15a: Toothed portion 12: Eccentric weight

13 : 마이크로스위치 14 : 로터축13: microswitch 14: rotor shaft

14a : 단부 15 : 슬라이더14a: end portion 15: slider

16 : 가이드레일 17 : 탄성부재16: guide rail 17: elastic member

L : 리드선L: Lead wir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외부의 충격량이 소정치이상이면 에어백장치에 작동 전원을 연결시키는 기계식 충격스위치에 있어서: 밀폐형 상자 구조로 된 절연성 재질의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서 로터축(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치차부(11a)가 형성되는 로터(11); 상기 로터(11)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는 편심추(12); 상기 로터(11)의 양측면에서 각각 가이드레일(16)상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내측면에서 로터(11)의 치차부(11a)와 맞물리는 치차부(15a)가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15);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충격량을 결정하고, 슬라이더(15)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는 충격감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chanical impact switch for connecting an operating power source to an airbag device when an external impact amoun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 mechanical impact switch comprising: a casing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closed box structure; A rotor 11 rotatably mounted on the rotor shaft 14 inside the casing 10 and having a toothed portion 11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eccentric weight 12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or 11; As long as a gear portion 15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or 11 so as to be slidable on the guide rail 16 and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11a of the rotor 11 on each inner side surface A pair of sliders 15; And an impact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n impact amount for moving the slider (15)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15).

이때, 상기 로터(11)는 알루미늄 등 밀도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고, 상기 편심추(12)는 이보다 밀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rotor 11 uses a metal having a low density such as aluminum, and the eccentric weight 12 uses a metal having a higher density.

또, 상기 충격감응수단은 일측의 슬라이더(15) 양단으로 설치되는 마이크로스위치(13)와, 타측의 슬라이더(15) 양단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17)를 포함한다.The shock sensing means includes a micro switch 13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slider 15 and an elastic member 17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15. [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충격스위치의 내부를 드러내어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mpact switch.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외부에 충격량이 소정치이상이면 에어백장치에 작동 전원을 연결시키는 기계식 충격스위치에 적용하는 바, 케이싱(10)·편심추(12)·로터축(14)·가이드레일(16) 등의 고정부와, 로터(11)·슬라이더(15) 등의 가동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echanical impact switch that connects an operating power source to an airbag device when an impact amount to the outsid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 casing 10, the eccentric weight 12, the rotor shaft 14, 16, and a movable portion such as a rotor 11 and a slider 15, as shown in Fig.

상기 케이싱(10)은 밀폐형 상자 구조이고, 절연성 재질을 이용한다. 외부로부터 수분, 이물질 등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의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casing 10 has a closed box structure, and an insulating material is used. So that moisture, foreign matter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and a malfunction is not caused from external electric shock.

또, 본 발명의 로터(11)는 케이싱(10) 내부에 로터축(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치차부(11a)가 형성된다. 로터(11)는 진원으로 가공된 판재를 이용하고, 양 측면에서 대칭되는 위치 또는 전외주면에 걸쳐 치차부(11a)를 형성한다.The roto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otor shaft 14 inside the casing 10 and a gear portion 11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he rotor 11 uses a plate material processed with a full circle and forms a tooth portion 11a over a position symmetrical on both sides or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 본 발명의 편심추(12)는 상기 로터(11)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된다.The eccentric weigh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or 11.

편심추(12)는 외부의 충격으로 로터(1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로터축(14)으로부터 최대한 이격시키는 것이 회전토크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시에는 없으나, 편심추(12)는 나사식으로 형성하여 로터(11)에 장착하거나 용접하는 방식으로 장착할 수도 있는데, 로터(11)와 편심추(12)의 재질이 용접이 곤란한 경우에 전자의 방식을 적용한다.Since the eccentric weight 12 serves to rotate the rotor 11 by an external impact, it is preferable that the eccentric weight 12 is spaced from the rotor shaft 14 as much as possible in terms of the rotation torque. The eccentric weight 12 may be screwed and mounted on the rotor 11 or welded to the rotor 11. When the material of the rotor 11 and the eccentric weight 12 is difficult to weld, .

이때, 상기 로터(11)는 알루미늄 등 밀도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고, 상기 편심추(12)는 이보다 밀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한다. 로터(11)는 알루미늄 대신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편심추(12)의 충격하중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강도를 요한다.At this time, the rotor 11 uses a metal having a low density such as aluminum, and the eccentric weight 12 uses a metal having a higher density. The rotor 11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stead of aluminum. In this case, the rotor 11 needs to have strength that is not broken by the impact load of the eccentric weight 12. [

또,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슬라이더(15)는 상기 로터(11)의 양측면에서 각각 가이드레일(16) 상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내측면에서 로터(11)의 치차부(11a)와 맞물리는 치차부(15a)가 형성된다. 슬라이더(15)는 일종의 래크기어인 치차부(15a)를 통하여 로터(1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데, 로터(11)의 회전토크로 신속히 위치이동할 수 있도록 밀도가 작은 재질을 이용하여 그 관성력을 최소화한다.The pair of sliders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otor 11 so as to be slidable on the guide rails 16, A gear portion 15a engaging with the gear portion 11a is formed. The slider 15 converts a rotational motion of the rotor 11 into a linear motion through a tooth portion 15a of a certain size and uses a material having a small density so tha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or 11 can be quickly moved by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rotor 11 Minimize its inertial force.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충격스위치는 스프링-질량 방식의 기계적인 센서로서 코일스프링에 의한 직선운동을 이용하므로 운동방향과 직각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작동의 신뢰도가 저하되나, 본 발명에서는 편심추(12)에 의해 언밸런스되는 로터(11)의 회전운동을 이용하므로 그러한 문제점이 해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impact switch is a spring-mass type mechanical sensor and uses linear motion by the coil spring. Therefore, when impact is applied at a right angle to the direction of motion, reliability of operation is re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balance of the rotor 11 is used to solve such a problem.

또, 발명은 상기 슬라이더(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충격량을 결정하고, 슬라이더(15)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는 충격감응수단을 구비한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an impact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impact for moving the slider 15 and for forming a predetermine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15. [

이러한 충격감응수단은 일측의 슬라이더(15) 양단으로 설치되는 마이크로스위치(13)와, 타측의 슬라이더(15) 양단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17)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스위치(13)는 접촉자의 가압에 의해 내부의 접점 상태가 반전되는 스위치로서, 본 발명은 노멀 상태에서 오픈되는(로우 출력) a접점을 사용한다. 탄성부재(17)는 슬라이더(15)의 양단에 탄성력을 작용시켜 로터(11)가 소정치 이상의 충격량을 받기 전까지는 회전되지 않게 하는 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사용하는데, 외부의 비교적 약한 충격에 의한 영향을 받아 스프링력이 열화되는 경향이 적은 후자가 바람직하다.The shock sensitive means includes a micro switch 13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slider 15 and an elastic member 17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15. [ The micro switch 13 is a switch whose internal contact state is invert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act, a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ow output) a contact open in the normal state. The elastic member 17 uses a coil spring or a leaf spring as means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both ends of the slider 15 to prevent the rotor 11 from rotating until the rotor 11 receives an impact of at least a predetermined value,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ter is less susceptible to deterioration of the spring forc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mpact.

제2도는 제1도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로터(11)를 지지하는 로터축(14)에는 단부(14a)가 형성되는데, 이 단부(14a)는 로터(11)에 대한 슬라이딩베어링 역할을 하여 로터(11)가 원활히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부(14a) 대신에 로터축(14) 상에 롤링베어링(도시 생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러스트 방식만을 적용할 수도 있고, 레이디얼 방식 및 스러스트 방식을 병용할 수도 있다.An end portion 14a is formed in the rotor shaft 14 supporting the rotor 11. The end portion 14a serves as a sliding bearing for the rotor 11 to rotate the rotor 11 smoothl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olling bearing (not shown) on the rotor shaft 14 instead of the end portion 14a. In this case, only the thrust method may be used, or the radial method and the thrust method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이외에도, 로터(11)의 회전시 불필요한 토크를 받지 않도록 치차부(11a)(15a), 슬라이더(15) 및 가이드레일(16)의 접촉부 등의 표면조도를 양호하게 유지한다.In addition,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ontact portions of the gears 11a, 15a, the slider 15, and the guide rail 16 is kept good so as not to receive unnecessary torque when the rotor 11 rotates.

제1도 및 제2도를 이용하여 작동을 살펴볼 때, 탄성부재(17)의 변형력 이상의 충격력에 의해 로터(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측의 마이크로스위치(13)에서 신호가 발생되고, 이와 반대로 로터(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측의 마이크로스위치(13)에서 신호가 발생된다. 이러한 충격스위치에서 로터축(14) 및 편심추(12)의 중심을 있는 선상으로 충격이 작용하면 로터(11)가 회전하지 않을 것처럼 여겨지나, 자동차 주행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편심추(12)는 미소한 각도 범위 내에서 진동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는 없다.1 and 2, when the rotor 1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impact force exceeding the deformatio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7, a signal is generated at the upper micro switch 13, On the contrary, when the rotor 1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signal is generated at the lower micro switch 13.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rotor shaft 14 and the eccentric weight 12 on the line, the rotor 11 is not supposed to rotate. However, when the eccentric weight 12 is impacted by the impact from the ground, There is no such case because it vibrates within a minute angular range.

이때, 탄성부재(17)의 스프링력 및 편심추(12)의 질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스위치의 작동조건을 달리할 수 있고, 사용용도에 맞는 다방향 감지 충격스위치가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에어백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을 작동하는 감속도치를 17g(g는 중력 가속도)이라 하면, 이 값에 이를 때 로터(11)가 일방향 회전을 계속하면서 어느 한 쪽의 마이크로스위치(13)와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력-질량을 선정한다.At this tim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p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7 and the mass of the eccentric weight 12,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witch can be changed, and a multi-directional sensing shock switch suitable for the use can be realized. For example, when the airbag apparatus is used in an automobile airbag apparatus, when the deceleration threshold for operating the airbag is 17 g (g is gravitational acceleration), the rotor 11 continues to rotate in one direction, 13) to select a spring force-mass that will generate a signal.

그러므로 본 발명이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어느 방향에서나 자동차 충돌에 따른 속도변화에 감응하여 ECU에 입력하고, ECU는 그 입력을 이용하여 에어백을 전개하는 동작 플로우를 진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irbag system of an automobile, it is possible to input an input to the ECU in response to a speed change due to a vehicle collision in any direction, and the ECU can proceed to an operation flow of deploying the airbag using the inpu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는 자동차의 승객보호 수단중의 하나인 에어백장치에서 자동차 충돌시 다방향의 충격에 따라 신속하게 작동되는 기계식 충격스위치를 적용하여 에어백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bag operation impact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airbag operation by applying a mechanical impact switch that is quick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multi-directional impact when an automobile collides with an airbag device, .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know what is known in the art.

Claims (3)

자동차 충돌시 외부의 충격량이 소정치이상이면 에어백장치에 작동 전원을 연결시키는 기계식 충격스위치에 있어서: 밀폐형 상자 구조로 된 절연성 재질의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서 로터축(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치차부(11a)가 형성되는 로터(11); 상기 로터(11)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는 편심추(12); 상기 로터(11)의 양측면에서 각각 가이드레일(16) 상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내측면에서 로터(11)의 치차부(11a)와 맞물리는 치차부(15a)가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15);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충격량을 결정하고, 슬라이더(15)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형성하는 충격감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1. A mechanical impact switch for connecting an operating power source to an airbag device when an external impac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event of an automobile crash, comprising: a casing (10) of an insulating material with a closed box structure; A rotor 11 rotatably mounted on the rotor shaft 14 inside the casing 10 and having a toothed portion 11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eccentric weight 12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or 11; As long as a gear portion 15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or 11 so as to be slidable on the guide rail 16 and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11a of the rotor 11 on each inner side surface A pair of sliders 15; And an impact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n impact amount for moving the slider (15)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1)는 알루미늄 등 밀도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고, 상기 편심추(12)는 이보다 밀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The airbag-operated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or (11) uses a metal having a low density such as aluminum, and the eccentric weight (12) uses a metal having a higher dens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응수단은 일측의 슬라이더(15) 양단으로 설치되는 마이크로스위치(13)와, 타측의 슬라이더(15) 양단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작동 충격스위치.The imp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ck sensing means comprises a micro switch (13) installed at both ends of one slider (15) and an elastic member (17)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lider (15) Airbag actuation shock switch.
KR1019960049006A 1996-10-28 1996-10-28 Impact switch in airbag system KR01801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006A KR0180177B1 (en) 1996-10-28 1996-10-28 Impact switch in airba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006A KR0180177B1 (en) 1996-10-28 1996-10-28 Impact switch in airba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686A KR19980029686A (en) 1998-07-25
KR0180177B1 true KR0180177B1 (en) 1999-04-01

Family

ID=1947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006A KR0180177B1 (en) 1996-10-28 1996-10-28 Impact switch in airba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17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686A (en)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1459B2 (en) Control device for occupant safety device of motor vehicle
US3870894A (en) Electronic sensor for triggering safety devices during the crash of vehicles
US4950914A (en) Collision detection system for a vehicle
US5081587A (en) Control system for actuating vehicle safety devices
US6685218B1 (en) Side impact sensors and airbag system
US5192838A (en) Frontal impact crush zone crash sensors
US4164263A (en) Vibration rejecting impact sensor, particularly to trigger a vehicular collision safety system
JPS6350281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assenger protection device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JP4456756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and trigger control method for the occupant protection system
KR0180177B1 (en) Impact switch in airbag system
KR0180178B1 (en) Multi-direction sensing impact sensor for airbag
US6282942B1 (en) Crash sensor with magnetic field sensor
US5153393A (en) Crash sensor for a passive motor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4022997A (en) Collision detect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CA2083442C (en) Velocity change sensor with lateral shock absorber
USRE39868E1 (en) Self-contained airbag system
JPH08113108A (en) Sensor for occupant protecting device
CA2071057C (en) Mechanical crash sensor
JPH08332915A (en) Sensor for occupant crash protection
KR100456568B1 (en) Automobile collision sensor united with sensor for sensing the amount of collision
Bergfried et al. Electronic crash sensors for restraint systems
US6717078B2 (en) Collision detection apparatus designed to minimize contact chatter
KR100448813B1 (en) impact and impulsive load sensor of air bag
JP2522288Y2 (en) Airbag module
KR100198391B1 (en) Air bag impact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