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096B1 - 척추자세 교정기 - Google Patents

척추자세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096B1
KR0180096B1 KR1019960030559A KR19960030559A KR0180096B1 KR 0180096 B1 KR0180096 B1 KR 0180096B1 KR 1019960030559 A KR1019960030559 A KR 1019960030559A KR 19960030559 A KR19960030559 A KR 19960030559A KR 0180096 B1 KR0180096 B1 KR 0180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spine
mercury switch
posture correcto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183A (ko
Inventor
문재호
박용재
Original Assignee
문재호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호, 박용재 filed Critical 문재호
Priority to KR101996003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096B1/ko
Publication of KR98000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81Patients' garments with incorporated means for medical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1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angles, e.g. using goni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2Motor vehicles operators, e.g. drivers, pilots, capt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hys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척추자세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수은스위치와 멜로디 IC 및 사운드셀을 전기적으로 조합하여 교정기본체내에 내장토록 하되, 척추측만증환자, 운전자, 학생등에 착용시켜 신체가 어느각도이상 좌, 우로 기우러지면 멜로디음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바른자세로의 척추교정을 착용자 스스로 교정케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멜로디음발생대신에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또는 바이브레이터의 떨림에 의해 척추의 기우러짐을 알아낼 수 있도록 할수도 있다.

Description

척추자세 교정기
제1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정기본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본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수은스위치.
제4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은스위치의 연결구성도.
제5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예시도.
제6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한 예시도.
제7도는 본발명에 있어 교정기본체의 부착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a)는 매직테이프, (b)는 클립, (c)는 핀, (d)는 밴드에 사용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교정기본체 2 : 수은스위치
3 : 멜로디IC 4 : 사운드셀
6 : 발광다이오드 7 : 바이브레이터
8 : 매직테이프
본발명은 척추자세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은스위치와 멜로디IC 및 사운드셀을 전기적으로 조합하여 교정기본체내에 설치하되 척추측만증환자, 운전자, 학생등 일반인의 의류 또는 신체에 상기 교정기본체를 착용시켜 신체가 어느각도이상 좌 또는 우로 기우러져 교정기본체를 기우러지면 그에 따른 멜로디음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즉시 스스로 척추를 교정케 하여 학생등 일반인들에게는 척추측만증 예방효과를, 척추측만증환자에게는 척추교정효과를 기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요즈음 대부분의 학생 및 일반인들은 신체에 맞지 않는 낮은 책걸상 사용과 나쁜자세의 운전습관, 장시간의 컴퓨터사용 및 장시간공부등으로 인해 척추에 변형을 가져 오는 나쁜 자세가 많이 발생하여 척추자세교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실제로 본출원인이 1994년 서울소재의 C여고생 548명을 대상으로 척추조사를 실시한 결과 척추후만 60%, 요추전만30%, 흉요추측만 17%이었다), 이러한 나쁜자세로 인해 척추에 이상이 오게되면 수술, 입원치료, 복대착용등의 치료를 하지 않으면 않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척추측만증을 가진 환자인 경우에는 외관상문제뿐아니라 통증, 기능상의 결함, 심리적문제, 심폐기능장애 및 하반신마비등을 가져올 수 있어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중요성이 대두 되고 있는바, 종래 병원등에 있어서는 척추측만증환자에게 운동요법 또는 견인요법을 시행케하여 척추를 교정케 하였으나, 이들 요법만으로서는 척추측만증의 진전을 막거나 교정의 효과를 볼수 없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발명은 미용상, 건강유지상, 스스로 척추자세를 교정케 하는 것으로, 특히 자세유지 및 유연성을 증진시키고 근육과 인대의 긴장성을 유지시켜 심리적 효과를 가져오게 하여 척추를 교정케 하는 것으로, 교정기본체가 정수직 방향으로 놓이면 멜로디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임의각도 이상으로 기우러지면 멜로디음이 발생되어 일반인 또는 환자가 스스로 척추를 교정케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밧데리(1) 일측에 수은스위치(2)를 연결하고, 이의 타측에 멜로디IC(3) 및 사운드셀(Sound cell)(4)를 연결하며, 상기 밧데리(1) 타측에 온, 오프스위치(5)를 연결 구성하여 교정기본체(A)내에 내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교정기본체(A) 전면에는 구멍(A')을 뚫어 사운드셀(4)로 부터 발생되는 음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하며, 온, 오프스위치(5)는 교정기본체(A) 상방에 노출되도록 한다.
제3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은스위치(2)의 설치각도를 조절시키거나, 임의각도(예, 1.5°, 3°....30°등)로 셋팅시킬 수 있게 한다.
제4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수은스위치(2)를 양방향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척추가 좌 또는 우로 기우러질때 수은스위치(2)가 온되도록 한다.
제5도는 역시 다른실시예로서, 멜로디IC대신에 발광다이오드(6)를 연결하여 발광에 의해 척추가 기우러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제6도는 또 다른실시예로서, 멜로디IC대신에 바이브레이터(7)를 연결하여 떨림에 의해 척추가 기우러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7도는 본발명을 사용자의 의류 또는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보여준 것으로, (a)는 매직테이프(8)를 교정기본체(A)이면에 설치한 것이고, (b)는 클립(9)을 설치한 것이며, (c)는 핀(10)을 설치한 것이고, (d)는 밴드(11)에 교정기본체(A)를 설치하여 사용자 신체에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포켓용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온, 오프스위치(5)를 온상태로 한 교정기본체(A)를 일반인 또는 환자의 의류 또는 신체 정중앙에 수직으로 착용케 한다음 일반인이나 환자가 정상활동 또는 운동 및 견인요법을 통한 척추교정시에 사용토록 한다.
이와같은 상태 즉, 교정기본체(A)가 정수직방향으로 놓여져 있게 될 경우에는 수은스위치(2)내의 수은이 접점과 떨어져 있게 되어 회로가 개회로상태로 되므로 멜로디IC(3) 및 사운드셀(4)이 동작을 하지 않게되고, 따라서 멜리디음이 발생되지 않게되며, 만일 착용자의 척추가 일측으로 기우러질 경우에는 교정기본체(A)도 기우러져 수은스위치(2)내의 수은이 접점을 쇼트시키게 되어 회로가 폐회로 상태로 되므로 멜로디IC(3)의 전기적신호가 사운드셀(4)에서 음으로 바뀌어 멜로디IC(3)내의 멜로디음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멜로디음의 경고에 의해 착용자 스스로 즉시 자세를 바로잡게 되는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는 수은스위치(2)가 단방향으로 기우러질때 동작 되도록 하고 있으나, 수은스위치(2)를 제4도와 같이 양측으로 설치하여 착용자의 몸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우러지면 상기한바대로 멜로디음이 발생되어 스스로가 자세를 바로 잡게 할수 있다.
또한 제3도시와 같이 수은스위치(2)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시키거나 또는 임의각도로 셋팅하게 되면 척추교정대상자의 척추상태에 따라 교정을 행할 수 있어 교정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교정기본체(A)를 부착한 착용자의 척추자세를 멜로디음발생여부에 따라 자기 스스로 정확히 알아내어 자가훈련의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운동의 자가적 조절로 인해 셀프이미지(Self image)가 향상되어 기존의 보존치료의 어려움을 보완하여 지속적이고도 장기적인 척추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제 본출원인이 척추교정이 필요한 87명에게 본발명을 착용케 하여 실험한 바에 의하면 총87명 중 79명의 환자에서 평균 4.6°의 교정효과를 보았다.
한편, 본발명에 있어서는 멜로디IC(3)대신에 발광다이오드(6) 또는 바이브레이터(7)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자세가 기우러지게 되면 발광다이오드(6)의 발광 또는 바이브레이터(7)의 떨림에 의한 경고에 의해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여러사람이 모인 장소등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매직테이프(8), 클립(9), 핀(10)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의류등에 손쉽게 착용케 할 수 있고 본발명의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포켓용으로 적합한 잇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수은스위치, 멜로디IC, 밧데리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으로, 교정기본체를 착용한 착용자의 자세 즉, 척추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우러지면 멜로디음이 발생되어 자세를 즉시 스스로 교정케 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으로 제작가능하므로 척추측만증환자, 운전자, 학생등 일반인 모두에게 손쉽게 착용하게 할 수 있고, 착용자의 척추가 좌, 우 각도로 기우러짐을 정확히 알아내어 척추교정에 필요한 자가훈련을 행할 수 있으므로 바쁜산업사회에서 잘못된 자세로 생기는 척추통증, 피로도를 줄이고 더욱 노후에 발생하는 관절염, 디스크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국민건강보호측면 및 건강증진에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Claims (7)

  1. 밧데리(1)일측에 수은스위치(2)를 연결하고, 이의 타측에 멜로디IC(3) 및 사운드셀(4)를 연결하며, 상기 밧데리(1)타측에 온, 오프스위치(5)를 연결구성하여 교정기본체(A)내에 내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자세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수은스위치(2)의 설치각도를 조절 또는 임의각도로 셋팅하도록 하는 척추자세교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멜로디IC(3) 및 사운드셀(4) 대신에 발광다이오드(6)를 연결하여서 된 척추자세교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멜로디IC(3) 및 사운드셀(4) 대신에 바이브레이터(7)를 연결하여서 된 척추자세교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수은스위치(2)를 양방향에 설치하여서 된 척추자세교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교정기본체(A) 이면에 매직테이프(8) 또는 클립(9) 또는 핀(10)을 부착하여서 된 척주자세교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교정기본체(A)를 밴드(11)에 설치하거나 포켓용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자세교정기.
KR1019960030559A 1996-07-26 1996-07-26 척추자세 교정기 KR0180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59A KR0180096B1 (ko) 1996-07-26 1996-07-26 척추자세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59A KR0180096B1 (ko) 1996-07-26 1996-07-26 척추자세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83A KR980008183A (ko) 1998-04-30
KR0180096B1 true KR0180096B1 (ko) 1999-04-01

Family

ID=1946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559A KR0180096B1 (ko) 1996-07-26 1996-07-26 척추자세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4866A (zh) * 2015-04-28 2015-07-22 广西智通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坐姿矫正电子校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611B1 (ko) * 2005-08-11 2007-01-25 김성식 자세교정용 경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4866A (zh) * 2015-04-28 2015-07-22 广西智通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坐姿矫正电子校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83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0344B2 (en) Mobile balancing prosthesis
JP3323613B2 (ja) 受動的身体訓練用ポータブル・ベルト装置の電極を支持し位置を調節するための支持体
US7422564B2 (en) Tactile rhythm generator
US5643329A (en) System for maintaining a desired spinal curvature of a user suffering from improper alignment of the vertebrae of the spine
US20090143704A1 (en) Device for movement detection, movement correction and training
US114195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prioceptive stimulation to prevent unintentional falls
JP2008534157A (ja) 視力訓練時に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を用いて視覚刺激を与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U2014248335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ting proprioceptive skin and body sensors, vision, vestibular and somato-sensation acting in combination with brain function or neurosensory-motor system function
KR200476633Y1 (ko) 무동력 척추 지압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US5344323A (en) Teaching recognition of body movement errors in dancing
EP3760170A1 (en) Device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ctive postural autocorrection
EP0496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OSTURAL DISORDERS OF THE SPINE.
Celletti et al. The multifaceted and complex hypermobility syndrome (aka Ehlers-Danlos Syndrome Hypermobility Type): Evaluation and management through a rehabilitative approach
KR0180096B1 (ko) 척추자세 교정기
US20050237209A1 (en) Posture detector
US20030220591A1 (en) Posture training device
CN112120464A (zh) 一种健康座椅及其工作方法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US20170216666A1 (en) Laser guided feedback for rehabilitation and fitness exercises
RU13341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равильности осанки
WO2010014027A1 (ru) Индикатор само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CN112068113A (zh) 姿势矫正系统及其矫正方法
KR20110072840A (ko) 척추 교정 장치
JP2007014738A (ja) 猫背姿勢矯正警報器。
RU78663U1 (ru) Индикатор само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