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983B1 - Eyepiece lens using finder optical system - Google Patents

Eyepiece lens using finder optica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983B1
KR0177983B1 KR1019960010207A KR19960010207A KR0177983B1 KR 0177983 B1 KR0177983 B1 KR 0177983B1 KR 1019960010207 A KR1019960010207 A KR 1019960010207A KR 19960010207 A KR19960010207 A KR 19960010207A KR 0177983 B1 KR0177983 B1 KR 017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yepiece
optical system
refractive index
finder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71105A (en
Inventor
이춘곤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6001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983B1/en
Publication of KR97007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9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1Ey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정의 굴절률을 가지는 렌즈와 부의 굴절률을 가지는 렌즈로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률을 가지며 식(1) 60〈v1〈70, 식(2) 25〈v2〈30, 상기 식(1), (2)일때 식(3) -0.6〈(1/R1+1/R3)×f〈-0.3 만족하고, 상기 식(1)과 식(5) 27〈v2〈38일때 식(6) -1.8〈(1/R1+1/R3)×f〈-0.8(여기사 v1은 렌즈1의 아베수, v2는 렌즈2의 아베수, R1, R2, R3는 렌즈의 곡률 반경, f는 접안 렌즈의 합성 초점 거리이다.)를 만족하여 시도 조정이 -3D∼+1D까지 조정이 가능하고, 컴팩트하면서 충분한 아이 릴리프를 가지며 편안한 관찰과 소비자에게 밝은 상을 제공할 수 있고 종래보다 저 가격의 파인더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게 한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which is bonded from the object side to a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nd a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s a whole, and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60 &lt; v1 &lt; v2 &lt; 30, satisfies Expression (3) -0.6 &lt; (1 / R1 + 1 / R3) x f &lt; -0.3 when v2 &lt; 30, Expressions (1) and (2), and Expressions (1) and (5) 27 &lt; When v2 <38, Eq. (6) -1.8 <(1 / R1 + 1 / R3) × f <-0.8 (where v1 is the Abbe number of lens 1, v2 is the Abbe number of lens 2, R1, R2, R3 is The curvature radius of the lens, f is the combined focal length of the eyepiece), so that the diopter adjustment can be adjusted from -3D to + 1D, it is compact and has sufficient eye relief, providing comfortable observation and bright images for the consumer. An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can be provided which enables a low cost finder optical system to be constructed.

Description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Eyepiece for Finder Optics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단면도이고,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a)∼(c)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수차이고,2A to 2C are aberrations of the eyepiece for the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의 (a)∼(c)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수차도이고,3A to 3C are aberration diagrams of the eyepiece for the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의 (a)∼(c)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수차도이다.4A to 4C are aberration diagrams of eyepieces for a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은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영상을 보여주는 물체면의 액정 디스플레이와 눈쪽에 가장 가까운 렌즈면 까지의 거리가 36mm이내인 콤팩트하면서 시도 조정이 -3D∼+1D까지 조정이 가능한 0.7인치 액정 표시 장치(LCD)를 사용하는 카메라의 파인더에 적합한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yepieces for finder optics. More specific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n the object surface showing the image and the lens surface closest to the eye is less than 36 mm, and the diopter adjustment is -3D to + 1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suitable for a finder of a camera using an adjustable 0.7-inch liquid crystal display (LCD).

종래의 카메라 파인더중 일반 리플렉스 카메라의 파인더의 경우 상의 위치가 -1D(diopter)근방에 설정되어 있고 일본제 카메라 파인더의 경우에는 -0.8∼1.2D근방에, 독일제 카메라 및 올림푸스 카메라의 경우 -0.5D근방에 설정되어 있는데, 상기는 통상의 사람이 0∼-1D에서 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지만 근시인이나 원시인은 상기의 0∼-1D를 가지는 고정된 파인더로 상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camera finder, the position of the image in the case of the finder of the general reflex camera is set near -1D (diopter), in the case of the camera finder made in Japan, around -0.8 to 1.2D, and in the case of the German camera and the Olympus camera -0.5 It is set in the vicinity of D. This is because an ordinary person can clearly see an image at 0 to -1D, but a myopia person or a primitive person can observe the image clearly with a fixed finder having 0 to -1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또, 종래의 카메라 파인더의 경우 초점판의 사이즈가 시야율이 100%일때 24×36㎜이며 초점판의 상을 접안 렌즈를 통해 눈으로 학인하기 위해서는 펜타 프리즘(pentaprism)이 필요하고, 시도 보정을 위해 별도의 악세사리를 사용하여야 하며, 초점거리도 대개 f=60㎜전후로 되어 있어 디지탈 스틸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 종류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mera finder, the size of the focusing plate is 24 × 36 mm when the field of view is 100%, and a penta prism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image of the focusing plate through the eyepiece. A separate accessory should be used, and the focal length is usually around f = 60mm,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use for camera types such as digital still cameras.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카메라 파인더의 상의 위치인 디옵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근시인이나 원시인이 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캠코더용 파인더나 디지탈 스틸 카메라, 쌍안경같은 곳에 적용할 수 있고, 종래의 파인더보다 저가격의 파인더 광학계를 구성하여 보다 경제성을 확보하고 그에 따라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렌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opter,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camera finder, so that myopia or primitive person can see the image clearly, the camcorder finder or the digital still camer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 place such as binoculars, and can secure a more economical view by constructing a lower cost finder optical system than a conventional find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눈쪽으로부터 순서대로,In order from the eyes side,

눈쪽에 가까이 있는 정의 굴절률을 가진 제1렌즈와;A first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near the eye side;

상기 제1렌즈와 접합되어 있고 부의 굴절률을 가진 제2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률을 가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It consists of a second lens bonded to the first lens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s a whole,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눈쪽으로부터 순서대로,In order from the eyes side,

눈쪽에 가까이 있는 정의 굴절률을 가진 제1렌즈와;A first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near the eye side;

상기 제1렌즈와 접합되어 있고 부의 굴절률을 가진 제2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률을 가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It consists of a second lens bonded to the first lens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s a whole, and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v1 : 렌즈1의 아베수v1: Abbe number of lens 1

v2 : 렌즈2의 아베수v2: Abbe's number of lens 2

눈쪽에서 물체쪽으로, R1, R2, R3 : 렌즈의곡률 반경From eye to object, R1, R2, R3: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f : 접안 렌즈의 합성 초점 거리f: composite focal length of eyepiece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단면도이고,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의 (a)∼(c)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수차도이고,(A)-(c) of FIG. 2 are aberration diagrams of the eyepiece for the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의 (a)∼(c)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수차도이고,3A to 3C are aberration diagrams of the eyepiece for the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의 (a)∼(c)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수차도이다.4A to 4C are aberration diagrams of eyepieces for a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의 구성은,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1, the configuration of the eyepiece for the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눈쪽으로 부터 순서대로, 눈쪽에 가까이 있는 정의 굴절률을 가지는 제1렌즈(1)와;A first lens (1)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close to the eye side, in order from the eye side;

상기 렌즈1(1)과 접합되어 있고 부의 굴절률을 가지는 제2렌즈(2)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률을 가진다.It consists of a second lens 2 bonded to the lens 1 (1)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s a whole.

상기 제1렌즈(1)는 분산을 작게하기 위해 저 분산재인 정(+)의 굴절률을 가지는 블록 렌즈를 사용하였고, 상기 제2렌즈(2)는 분산을 크게하기 위해 고 분산재인 부(-)의 굴절률을 가지는 오목렌즈를 사용하였으며, 상기의 제1렌즈(1)와 상기 제2렌즈(2)는 접합되어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률을 가지는 블록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lens 1 uses a block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which is a low dispersion material, to reduce dispersion, and the second lens 2 is a negative dispersion, which is a high dispersion material, to increase dispersion. A concave lens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is used, and the first lens 1 and the second lens 2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re composed of a block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s a whole.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렌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yepiece for the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접안 렌즈의 색수차 보정을 위해 분산인 적은 아베수v1는 60에서 70사이에 있는 광학 초자를 저분산재인 정(+)의 굴절률을 가지는 제1렌즈(1)를 사용했고 분산이 큰 아베수v2는 25에서 30사이와 27과 38사이에 있는 광학 초자를 고분산재인 부(-)의 굴절률을 가지는 각각의 렌즈를 제2렌즈(2)로 사용하여 상기 제1렌즈(1)와 조합하여 상호간의 분산 차이를 이용하여 색수차를 보정하였다.To correct chromatic aberration of the eyepiece, the small Abbe's number v1 used the first lens (1)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which is a low dispersion material, with the optical aperture between 60 and 70. Optical lenses between 25 and 30 and between 27 and 38 are combined with the first lens 1 using respective lense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which is a high dispersion material, as the second lens 2. Chromatic aberration was corrected using the variance difference.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물체쪽에 있는 초점판과 눈쪽에 가장 가까운 제1렌즈(1)까지의 거리가 36㎜ 이내로 하여 컴팩트하면서 충분한 아이 릴리프(eye relief)를 가지게 함으로써, 아이 릴리프가 적을때 발생되는 화면의 주변부가 잘리고 피사체의 관찰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을 보정하였다.The distance between the focus plate on the object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first lens 1 closest to the eye is within 36 mm so that the lens has a compact and sufficient eye relief. We corrected the problem that the periphery was cut and the observation of the subject became uncomfortable.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된 접안 렌즈의 초점 거리는 31.25㎜로서 종래의 접안 렌즈의 초점 거리보다 짧아서 시도 변화량 ΔD=(1000×Δδ)/f2의 식으로 알 수 있듯이 상기 접안 렌즈의 초점 거리가 짧을 수록 약간의 이동량으로 큰 시도 변화량을 얻을 수 있다.And the more, as a focal length of the eyepiece 31.25㎜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by the expression / f 2 short attempt variation ΔD = (1000 × Δδ) than the focal length of a conventional eyepiece shorter the focal length of the eyepiece, With a small amount of movement, a large trial variation can be obtained.

상기 시도 변화량의 식에 의해 본 발명의 1디옵터에 해당하는 파인더 광학계의 이동량은 0.98㎜로서 상기 파인더 광학계의 이동으로 -3D∼+1D까지 시도 조정이 가능하다.The shift amount of the finder optical system corresponding to one dio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98 mm by the formula of the trial change amount, and the trial adjustment can be made from -3D to + 1D by the shift of the finder optical system.

또, 관찰을 용이하게 하고 화면의 주변부가 잘리는 현상을 없애주고 관찰시 피로감을 경감시켜주며 소비자에게 밝은 상을 제공할 수있게 출사동경을 6㎜로 설계하였다.In addition, the exit diameter of 6mm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observation, eliminate the cutting of the periphery of the screen, reduce the fatigue during the observation, and provide a bright image to the consumer.

상기 조건식(1)과 조건식(2), (5)는 접안 렌즈의 색수차 보정을 위하여 상기 아베수v1과 v2의 범위를 정한 것이고, 상기 조건식(3), (6)의 (1/R1+1/R3)/×f는 형상 계수 k1과 같다.The conditional expressions (1), conditional expressions (2), and (5) define the ranges of the Abbe numbers v1 and v2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of the eyepiece, and (1 / R1 + 1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3) and (6). / R3) / xf is equal to the shape factor k1.

그러므로 상기 조건식(7)와 상기 조건식(3), (6)에 의한 조건식은Therefore, the conditi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al expressions (7) and (3) and (6)

상기의 조건식(8), (9)은 첨부된 제2도, 제3도, 제4도에서 알 수 있듯이 구면 수차와 왜곡 수차, 비점 수차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조건식(8), (9)의 k1의 하한치인 -0.6이하가 되면, 부의 비점 수차가 과대하고 되고 부의 왜곡 수차가 혀용치를 벗어나 축상 색수차를 보정이 부족하게 되고 상기 조건식(8), (9)의 k1이 상한치인 -0.3이상이 되면 구면 수차와 왜곡수차가 눈에 띄어 좋지 않게 된다.The conditional expressions (8) and (9) above are related to spherical aberration, distortion, and astigmatism, as can be seen in FIGS. 2, 3, and 4, and k1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8) and (9). When the lower limit of -0.6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negative astigmatism becomes excessive, the negative distortion aberration is out of the tongue value, and the axial chromatic aberration is insufficient to be corrected. In this case, spherical aberration and distortion aberration become noticeable and are not good.

상기의 조건들을 만족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각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embodiment values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tha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are as follows.

실시예 1,2, 3에서, R1, R2, R3 : 곡률 반경In Examples 1,2 and 3, R1, R2, R3: radius of curvature

D1, D2, D3 : 렌즈간격 또는 두께D1, D2, D3: Lens Spacing or Thickness

N1, N2 : 굴절률N1, N2: refractive index

V1, V2 : 아베수V1, V2: Abbe's

E.F.L : 유효 초점 거리E.F.L: Effective Focal Length

E.R : 아이 릴리프E.R: Eye Relief

F.A : 필드 앵글F.A: Field Angle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표1과 같으며 유효 초점거리(E.F.L)은 1.0, 아이 릴리프는 25, 필드 앵글은 15.22이다.Example valu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1, and the effective focal length (E.F.L) is 1.0, the eye relief is 25, and the field angle is 15.22.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따른 실시예값은 표2와 같으며 유효 초점 거리는 1.0, 아이 릴리프는 25, 필드 앵글은 13.24이다.Example valu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2, and the effective focal length is 1.0, the eye relief is 25, and the field angle is 13.24.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한 제3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표3과 같으며, 유효 초점 거리는 1.0, 아이 릴리프는 20, 필드 앵글은 13.32이다.Example valu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3. The effective focal length is 1.0, the eye relief is 20, and the field angle is 13.32.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종래보다 저가격의 파인더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고 시도 조정이 -3D∼+1D까지 조정이 가능하여 근시인이나 원시인도 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출사 동경이 6㎜로 설계되어 관찰에 용이함으로 소비자에 대한 편리함과 밝은 상을 제공할수있는 효과를 가진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finder optical system having a lower cost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diopter adjustment can be adjusted from -3D to + 1D so that the near and near vision can be observed and the outgoing longitude is 6 Designed in mm, it is easy to observe and can provide the eyepiece for the finder optical system tha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and bright image to the consumer.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This effect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ield of digital still cameras.

Claims (3)

눈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눈쪽에 가까이 있는 경우 굴절률을 가지는 제1렌즈와; 상기 렌즈1과 접합되어 있고 부의 굴절률을 가지는 제2렌즈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률을 가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A first lens having an index of refraction when in proximity to the eye, in order from the eye; An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composed of a second lens bonded to the lens 1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s a whole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상기 조건식에 있어서, v1은 렌즈1의 아베수, v2는 렌즈2의 아베수In the above conditional expression, v1 is the Abbe number of the lens 1, v2 is the Abbe number of the lens 2 눈쪽에서 물체쪽으로, R1, R2, R3는 렌즈의 곡률 반경, f는 접안 렌즈의 합성 초점 거리.From eye to object, R1, R2 and R3 ar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f is the combined focal length of the eyepiece. 눈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눈쪽에 가까이 있는 정의 굴절률을 가지는 제1렌즈와; 상기 렌즈1과 접합되어 있고 부의 굴절률을 가지는 제2렌즈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률을 가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 렌즈A first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close to the eye side in order from the eye side;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second lens bonded to the lens 1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index as a whole,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상기 조건식에 있어서, v1은 렌즈1의 아베수, v2는 렌즈2의 아베수, 눈쪽에서 물체쪽으로, R1, R2, R3는 렌즈의 곡률 반경, f는 접안 렌즈의 합성 초점 거리.In the above conditional expression, v1 is the Abbe number of the lens 1, v2 is the Abbe number of the lens 2, from the eye side toward the object, R1, R2, R3 ar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f is the composite focal length of the eyepiece. 제1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렌즈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도 조정이 -3D∼1D(diopter)까지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더 광학계용 접안렌즈.The eyepiece for a finder optica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nded lens is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diopter adjustment can be adjusted from -3D to 1D (diopter).
KR1019960010207A 1996-04-04 1996-04-04 Eyepiece lens using finder optical system KR0177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207A KR0177983B1 (en) 1996-04-04 1996-04-04 Eyepiece lens using finder optic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207A KR0177983B1 (en) 1996-04-04 1996-04-04 Eyepiece lens using finder optica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05A KR970071105A (en) 1997-11-07
KR0177983B1 true KR0177983B1 (en) 1999-05-15

Family

ID=1945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207A KR0177983B1 (en) 1996-04-04 1996-04-04 Eyepiece lens using finder optica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98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05A (en)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91019A (en) Endoscope objective
US4437750A (en) Adjustable diopter type finder optical system
US4217048A (en) Viewfinder capable of adjusting diopter
US4522471A (en) Adapter lens system for use with photographic cameras
JP2679016B2 (en) Zoom lens system for finite distance
US4664485A (en) Finder optical system for a camera
JP4491865B2 (en) Eyepiece
US4412725A (en) Rear stop diaphragm zoom lens
JP3369597B2 (en) High eye point finder optical system
JPS588482B2 (en) compact nazum lens
KR0177983B1 (en) Eyepiece lens using finder optical system
JPH09189868A (en) Finder optical system
JP2503531B2 (en) Finder optical system with adjustable diopter
JP4269361B2 (en) Eyepiece
US5982557A (en) Ocular optical system for a viewfinder with variable visibility
JP4149683B2 (en) Variable magnification finder attachment
JP2984506B2 (en) Viewfinder optical system
JPH01108516A (en) Eyepiece
JP3585258B2 (en) Viewfinder optical system for single-lens reflex camera with adjustable diopter
JP2621254B2 (en) Eyepiece for single-lens reflex camera
JP3056234B2 (en) Afocal variable power optical system
US5889616A (en) Eyepiece for a camera
JPH06109984A (en) Ocular of finder optical system
JP3537221B2 (en) Eyepiece
JP3677791B2 (en) Real image f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