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931B1 -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931B1
KR0176931B1 KR1019960035010A KR19960035010A KR0176931B1 KR 0176931 B1 KR0176931 B1 KR 0176931B1 KR 1019960035010 A KR1019960035010 A KR 1019960035010A KR 19960035010 A KR19960035010 A KR 19960035010A KR 0176931 B1 KR0176931 B1 KR 017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frigerator
compressor
defrosting
de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614A (ko
Inventor
정성룡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93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운전율과 냉장고 외부온도를 조합하여 제상시점을 결정함으로써 고내 식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압축기 운전시간을 고려함과 아울러 외부온도가 높아 압축기 운전율이 높아지는 여름철에는 성에의 착상시점이 빨라지게 되므로 그에 따라 제상을 일찍 실시하고 반대로 운전율이 낮아질 때에는 제상을 늦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주위온도의 변화, 도어의 개폐 횟수 및 고내 식품의 양 등을 모두 감안하여 최적을 제상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내 식품의 과다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압축기의 운전율 및 냉장고의 외부온도를 감안하여 제상을 실시함으로써 외부온도의 변화, 고내 식품의 양의 차이 및 도어의 개폐 빈도에 따라 제상주기를 변화할 수 있게 하여 고내 식품의 신선도를 최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냉장고 제상주기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냉장고 제상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압저항(R1)과, 냉장고 고내에 설치되어 검출온도에 따라 저항값을 달리하는 온도센서(S1)와, 상기 분압저항(R1)과 온도센서(S1)에 의해 분압된 전원전압(Vcc1)을 안정하고 평활하여 출력하는 저항(R2)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지는 고내온도 감지부(1)와; 분압저항(R3)과, 제상히터(62)의 발열을 감지하는 제상센서(S2)와, 상기 분압저항(R3)과 제상센서(S2)에 의해 분압된 전원전압(Vcc2)을 안정하고 평활하여 출력하는 저항(R4) 및 콘덴서(C2)로 이루어지는 제상온도 감지부(2)와; 메모리(4)와; 전원전압(Vcc3)에 일측이 연결된 두 개의 릴레이(RY1)(RY2)와 그 각각의 릴레이(RY1)(RY2)가 동작할 때 입력전원(AC)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압축기(61) 및 제상히터(62)로 이루어진 구동부(6)와; 상기 고내온도 감지부(1) 및 제상온도 감지부(2)의 출력을 입력받아 메모리(4)에 기 저장된 데이타로부터 상기 구동부(6)의 압축기(61) 및 제상히터(62)의 동작을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cs1)(cs2)를 출력하는 씨피유(3)와; 상기 제어신호(cs1)(cs)의 레벨을 각기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6)의 릴레이(RY1)(RY2)의 릴레이 코일(L1)(L2)에 각기 공급하는 두 개의 버퍼(BUF1)(BUF2)로 이루어진 버퍼부(5)로 구성되며 미설명부호 R5,R6는 전류제한저항이며 D1,D2는 릴레이(RY1)(RY2)와 역병렬 연결된 다이오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냉장고 고내온도는 고내온도 감지부(1)의 온도센서(S1)에서 감지되고 그에 따라 그 온도센서(S1)의 저항갑이 변화하게 되며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전원전압(Vcc1)은 저항(R1) 및 상기 온도센서(S1)에서 분압되고 저항(R2)을 거쳐 씨피유(3)로 입력되며, 그 씨피유(3)는 입력된 전압으로부터 고내의 온도를 판단하게 되며, 고내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불만족하다고 판단되면 출력단(P1)으로 제어신호(cs1)를 출력하며 출력된 제어신호(cs1)는 버퍼부(5) 버퍼(BUF1)에서 레벨이 변환되어 구동부(6)로 전달되어 그 구동부(6) 릴레이 코일(L1)에 전원전압(Vcc3)을 인가 또는 차단하게 되어 그 릴레이 코일(L1)에 전원전압(Vcc3)이 흐르고 그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SW1)가 단락되어 압축기(61)로 입력전원(AC)이 전달되어 그 압축기(61)는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상기 씨피유(3)는 상기 제어신호(cs1)를 출력함과 동시에 압축기(61)가 운전을 개시한 것으로 판단하여 내부 카운터 또는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시간을 적산한다.
이후, 적산된 시간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이 되면 출력단(P2)으로 제어신호(cs2)를 출력하고 버퍼부(5)의 버퍼(BUF2)를 거쳐 구동부(6) 릴레이(RY2)가 동작하여 제상히터(62)가 구동됨으로써 성에가 제거되고 그 발열된 제상히터(62)의 온도를 제상온도 감지부(2)의 제상센서(S2)가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를 상기 고내온도 감지부(1)와 동일한 동작으로 상기 씨피유(3)로 전달한다.
씨피유(3)는 상기 제상온도 감지부(2)로부터 전달된 전압값이 제상완료 온도인 13이상에 해당하는 전압값 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신호(2)의 논리값을 상기와 반대로 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구동부(6) 제상히터(62)는 정지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61)는 고내 온도의 높낮이에 따라 온, 오프를 반복한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씨피유에서 제상을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으로서 압축기의 운전적산시간, 즉 압축기의 운전 경과시간으로 제상을 실시할 것을 결정하게 됨으로써 항상 일정한 주기로 제상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성에가 착상하는 원인은 압축기의 운전 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외부온도 및 압축기 운전율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또한 고내 저장되는 식품의 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여름철의 경우 외부온도가 높거나 고내 저장되는 식품의 양이 많아져 압축기의 운전율이 높아지면 착상 시점이 빨라지게 되어 착상된 성에가 많아지게 되어 냉각 효율이 저하되고 고내 식품의 신선도가 저하되며, 반대로 겨울철과 같은 경우는 상기와 반대의 상황이 전개되므로 착상 시점이 늦어지게 됨으로써 불필요하게 제상을 실시하여 전력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여 그 센서로부터 외부온도를 감지하고 제상이 실시되는 최소한의 시간이 경과한 후 고내 음식물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압축기의 운전율을 고려하여 상기 외부온도와 운전율을 조합하여 제상을 실시 할 시점을 결정함으로써 변화하는 주변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여 정확한 제상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냉장고 제상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제3도는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냉장고 제상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내온도 감지부 2 : 제상온도 감지부
3 : 씨피유 4 : 메모리
5 : 버퍼부 6 : 구동부
7 : 외부온도 감지부 61 : 압축기
62 : 제상히터 S1,S2,S3 : 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은 일정시간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합산한 후 운전율을 구하는 단계와, 냉장고 외부에 설치된 외부온도 감지센서로 온도값을 읽어 온도 구간을 판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설정된 온도구간과 운전율에 해당되는 제상주기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냉장고 제상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압저항(R1)과, 냉장고 고내에 설치되어 검출온도에 따라 저항값을 달리하는 온도센서(S1)와, 상기 분압저항(R1)과 온도센서(S1)에 의해 분압된 전원전압(Vcc1)을 안정하고 평활하여 출력하는 저항(R2)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지는 고내온도 감지부(1)와; 분압저항(R3)과, 제상히터(62)의 발열을 감지하는 제상센서(S2)와, 상기 분압저항(R3)과 제상센서(S2)에 의해 분압된 전원전압(Vcc2)을 안정하고 평활하여 출력하는 저항(R4) 및 콘덴서(C2)로 이루어지는 제상온도 감지부(2)와; 분압저항(R7)과, 냉장고 외부에 설치되어 검출온도에 따라 저항값을 달리하는 온도센서(S3)와, 상기 분압저항(R7)과 온도센서(S3)에 의해 분압된 전원전압(Vcc5)을 안정하고 평활하여 출력하는 저항(R8) 및 콘덴서(C3)로 이루어지는 외부온도 감지부(7)와; 외부온도와 압축기 운전율에 따른 제상주기가 저장된 메모리(4)와; 전원전압(Vcc3)에 일측이 연결된 두 개의 릴레이(RY1)(RY2)와 그 각각의 릴레이(RY1)(RY2)가 동작할 때 입력전원(AC)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압축기(61) 및 제상히터(62)로 이루어진 구동부(6)와; 상기 고내온도 감지부(1)의 출력으로부터 구동부(6) 압축기(61) 구동시점을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cs1)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온도 감지부(7)로부터 감지된 외부온도와 압축기(61) 운전율을 조합하여 상기 메모리(4)에 저장된 테이블에 따라 제상시점을 결정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cs2)를 출력하는 씨피유(3)와; 상기 제어신호(cs1)(cs)의 레벨을 각기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6)의 릴레이(RY1)(RY2)의 릴레이 코일(L1)(L2)에 각기 공급하는 두 개의 버퍼(BUF1)(BUF2)로 이루어진 버퍼부(5)로 구성하며 미설명부호 R5, R6는 전류제한저항이며 D1, D2는 다이오드이며,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냉장고 고내온도는 고내온도 감지부(1)의 온도센서(S1)에서 감지되고 그에 따라 그 온도센서(S1)의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며 변화되는 저항값에 따라 전원전압(Vcc1)은 저항(R1) 및 상기 온도센서(S1)에서 분압도고 저항(R2)을 거쳐 씨피유(3)로 입력되며, 그 씨피유(3)는 입력된 전압으로부터 고내의 온도를 판단하게 되며, 고내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불만족하다고 판단되면 출력단(P1)으로 제어신호(cs1)를 출력하며 출력된 제어신호(cs1)는 버퍼부(5) 버퍼(BUF1)에서 레빌이 변환되어 구동부(6)로 전달되어 그 구동부(6) 릴레이 코일(L1)에 전원전압(Vcc3)을 인가 또는 차단하게 되어 그 릴레이 코일(L1)이 동작하고 그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SW1)가 단락되어 압축기(61)로 입력전원(AC)이 전달되어 그 압축기(61)는 동작을 개시한다.
한편, 상기 씨피유(3)는 상기 제어신호(cs1)를 출력함과 동시에 압축기(61)가 운전을 개시한 것으로 판단하여 내부 카운터 또는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시간을 적산한다.
이후, 상기 압축기(61) 구동을 계속 실시함과 동시에 상기 적산된 시간이 기 설정된 최소 제상시기인 5시간이 경과되었으면 5시간 동안의 압축기(61) 온 시간과 오프 시간으로부터 그 압축기(61)의 운전율을 산출하며, 외부온도 감지부(7)의 온도센서(S3)를 통하여 상기 고내온도 감지부(1)와 동일한 동작으로 냉장고 외부온도를 검출한다.
산출된 압축기(61) 운전율과 검출된 외부온도에 따라 아래 표 1을 기준으로 하여 제상시점을 결정한다.
아래 표 1은 시간을 단위로 하는 제상 주기표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예로서 상기 압축기(61)의 운전율이 60 70이고 외부온도가 25 30일 때의 제상 주기는 압축기(61) 구동후 6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압축기(61) 운전 경과시간이 6시간이 되었을때 출력단(P2)으로 제어신호(cs2)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그 제어신호(cs2)는 버퍼부(5)의 버퍼(BUF2)를 거쳐 레벨이 변환되어 구동부(6) 릴레이(RY2)를 동작하게 하여 제상히터(62)가 구동됨으로써 제상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외부온도 검출부(7)에서 검출한 외부온도가 25 30이고, 운전율이 30이하이면 제상 주기는 8시간이 된다.
제상이 실시된 이후 그 발열된 제상히터(62)의 온도는 제상온도 감지부(2)의 제상센서(S2)에서 검출되어 상기 씨피유(3)로 전달된다.
씨피유(3)는 상기 제상온도 감지부(2)로부터 전달된 온도가 13이상이면 상기 제어신호(cs2)의 논리값을 상기와 반대로 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구동부(6) 제상히터(62)는 정지하게 되고, 이후 상기 압축기(61)는 최초와 같이 고내 온도의 상태에 따라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 운전율과 냉장고 외부온도를 조합하여 제상시점을 결정함으로써 고내 식품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압축기 운전시간을 고려함과 아울러 외부온도가 높아 압축기 운전율이 높아지는 여름철에는 성에의 착상시점이 빨라지게 되므로 그에 따라 제상을 일찍 실시하고 반대로 운전율이 낮아질 때에는 제상을 늦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주위온도의 변화, 도어의 개폐 회수 및 고내 식품의 양 등을 모두 감안하여 최적의 제상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에 있어서; 일정시간 압축기의 운전시간을 합산한 후 운전율을 구하고 냉장고 외부에 설치된 외부온도 감지센서로 온도값을 읽어 온도구간을 판단한 후 설정된 온도구간과 운전율에 해당되는 제상주기 시간을 선택하도록 한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KR1019960035010A 1996-08-23 1996-08-23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KR017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010A KR0176931B1 (ko) 1996-08-23 1996-08-23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010A KR0176931B1 (ko) 1996-08-23 1996-08-23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14A KR19980015614A (ko) 1998-05-25
KR0176931B1 true KR0176931B1 (ko) 1999-10-01

Family

ID=1947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010A KR0176931B1 (ko) 1996-08-23 1996-08-23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582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에스비정보기술 링거 내용물 존재 유무 판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027B1 (ko) * 2001-08-28 200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582A (ko)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에스비정보기술 링거 내용물 존재 유무 판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14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9965A (en) Adaptive defrost control for a refrigerator
KR960001985B1 (ko) 냉장고의 자동운전제어방법
JP2539569B2 (ja) 冷蔵庫の温度調整装置
KR0129519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100271974B1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US4903500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need to defrost an evaporator coil
KR870009196A (ko) 자체조정 제상 시간간격을 가진 냉동제어방법 및 장치
JPS6122173A (ja) 霜取り制御装置
KR100828008B1 (ko) 기계식 냉장고의 제상 주기 제어방법 및 장치
KR0176931B1 (ko) 냉장고의 제상주기 선정방법
CA1169139A (e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chilled product vending machine
EP1157247A1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n a refrigerator
KR100271973B1 (ko) 냉장고의 수면운전 제어방법
EP0387680A2 (en)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thermostatic temperature control arrangement
KR100386495B1 (ko) 냉장고의운전제어방법및장치
EP1030137B1 (en)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frost operation in a refrigerator
EP0388726A2 (en) Refrigerating appliance with single thermostatic temperature control device
KR100276512B1 (ko)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KR0158015B1 (ko) 냉장고의 도어개폐에 따른 냉기보상방법
KR940002218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제어방법
KR960014852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960001208Y1 (ko) 냉장고의 자동온도 조절장치
KR100190126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제상주기결정장치
KR0176893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JP2885559B2 (ja) 冷蔵庫の除霜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