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605B1 - Data editing method in digital vcr - Google Patents

Data editing method in digital vc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605B1
KR0176605B1 KR1019960020621A KR19960020621A KR0176605B1 KR 0176605 B1 KR0176605 B1 KR 0176605B1 KR 1019960020621 A KR1019960020621 A KR 1019960020621A KR 19960020621 A KR19960020621 A KR 19960020621A KR 0176605 B1 KR0176605 B1 KR 017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ck number
start position
recording
cassett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4836A (en
Inventor
장용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605B1/en
Publication of KR98000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8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6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개의 데크를 사용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소정 데이타 구간에 기록된 데이타를 다른 데이타 구간에 기록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기록시각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세팅하는 제1단계;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제2단계; 재생시작위치로부터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단계;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가 동일하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제5단계; 메모리에서 리드한 데이타를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시작위치에 기록하는 제6단계; 및 기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증가시킨 후 상기 제2단계를 수행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의 소정구간에 기록된 데이타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원하는 데이타 구간에 기록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되어진 데이타의 위치를 편집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editing method for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editing method for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cording data recorded in a predetermined data section of a cassette tape in another data section using one deck . A first step of setting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of the cassette tape,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time position; A second step of transporting the cassette tape to a reproduction start position; Reproducing a predetermined unit of data from a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nd storing the reproduced data in a memory; A fourth step of increasing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 fifth step of terminating the process if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the same as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otherwise transferring the cassette tape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A sixth step of recording the data read from the memory at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of the cassette tape; And a seventh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step after increasing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dit the position of data recorded on a cassette tape by storing the data record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assette tape in a buffer memory, and recording the data in a desired data section.

Description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Data editing method of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구성을 보인 도면.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마이콤에서의 데이타 편집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FIG. 2 is a flow chart of a data editing program in the microcomputer shown in FIG.

제3a도 내지 제3e도는 제2도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의하여 데이타의 위치가 편집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FIGS. 3a through 3e illustrate the process of editing the location of data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키입력부 20 : 마이콤10: key input unit 20:

30 : 데크 메카니즘 40 : 버퍼 메모리30: Deck mechanism 40: Buffer memory

본 발명은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데크를 사용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소정 데이타 구간에 기록된 데이타를 다른 임의의 데이타 구간에 기록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editing method for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editing method for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cording data recorded in a predetermined data section of a cassette tape by using one deck in another arbitrary data section .

데이타의 편집이 가능한 종래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두 개의 카세트 데크를 구비하며, 카세트 테이프의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카세트 데크에서는 제1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을 수행하고 제2카세트 데크에서는 제1카세트 데크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2카세트 테이프의 원하는 데이타 구간에 기록한다. 따라서, 데이타 편집기능을 갖는 종래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카세트 데크를 필요로 하며, 하나의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되어진 데이타의 위치를 편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A conventional video cassette recorder (VCR) capable of editing data has two cassette decks. When performing the editing function of the cassette tape, the first cassette deck performs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cassette tape and the second cassette deck And a signal reproduced from the first cassette deck is received and recorded in a desired data section of the second cassette tape. Therefore, a conventional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a data editing function requires at least two or more cassette decks, and the position of data recorded on one cassette tape can not be edite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퍼 메모리를 사용하여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데이타의 위치를 편집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editing method of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for editing the position of data recorded on a cassette tape using a buffer memo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은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기록시각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세팅하는 제1단계;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제2단계; 재생시작위치로부터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단계;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가 동일하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제5단계; 메모리에서 리드한 데이타를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시작위치에 기록하는 제6단계; 및 기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증가시킨 후 상기 제2단계를 수행하는 제7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에 있어서, 반복기록 편집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한 후 반복기록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editing data of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extracting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a playback start position of a cassette tape,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a playback end position, A first step of setting a corresponding track number; A second step of transporting the cassette tape to a reproduction start position; Reproducing a predetermined unit of data from a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nd storing the reproduced data in a memory; A fourth step of increasing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 fifth step of terminating the process if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the same as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otherwise transferring the cassette tape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A sixth step of recording the data read from the memory at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of the cassette tape; And a seventh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step after increasing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In the data editing method of the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when the repeat recording edit command is inp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setting the number of repeated recording after the fifth step is per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사용자에 의해서 편집명령이 입력되는 키입력부(10)와,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데이타 편집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20)과, 제어신호에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를 이송시키며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하거나 버퍼 메모리(40)로부터 리드된 데이타를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하는 카세트 데크 메카니즘(30)과, 카세트 테이프에서 재생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40)를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for inputting an editing command by a user, a data editing program A cassette deck mechanism 30 for reproducing the cassette tape by feeding the cassette tap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r for recording the data read from the buffer memory 40 on the cassette tape, And a buffer memory 40 for storing data.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마이콤에서의 데이타 편집 프로그램의 플로우차트로서, 카세트 테이프상의 재생시작위치와 재생종료위치와 기록시각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X,Y,Z)를 세팅하는 단계와,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재생시작위치로부터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여 버퍼 메모리(40)에 저장하는 단계와,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X)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X)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Y)가 동일하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버퍼 메모리(40)에서 리드한 데이타를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시작위치에 기록하는 단계와, 기록시작위치의 트랙번호(Z)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FIG. 2 is a flowchart of a data editing program in the microcomputer shown in FIG. 1, which includes setting a track number (X, Y, Z) corresponding to a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a recording time position on a cassette tape A step of reproducing the predetermined unit of data from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nd storing the reproduced data in the buffer memory 40, the step of increasing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 And if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the same as the track number (Y) of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cassette tape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Recording at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of the tape, and increasing the track number (Z) of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제3a도 내지 제3e도는 제2도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의하여 데이타 위치가 편집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A 내지 참조부호 D는 카세트 테이프의 데이타 구간이며, 참조부호 X는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타 구간의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이며, 참조부호 Y는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타 구간의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이며, 참조부호 Z는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타 구간의 기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이다.3A to 3E illustrate a process of editing a data position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In FIGS. 3A to D, reference numerals A to D denote a data section of a cassette tape, Reference numeral Y denotes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a reproduction end position of a data section to be reproduced, and reference character Z denotes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a recording start position of a data section to be recorded It is a number.

키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타 편집명령은 마이콤(20)에 전달되며, 마이콤(20)은 데이타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데이타 편집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3a도와 같은 카세트 테이프의 데이타 구조를 제3e도와 같은 데이타 구조로 편집한다.The data editing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20. The microcomputer 20 receives the data editing command and executes a data editing program to convert the data structure of the cassette tape, Edit it with a data structure like yours.

이하, 제3a도에 도시된 카세트 테이프의 C구간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여 B구간에 기록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data recorded in the section C of the cassette tape shown in FIG. 3a is reproduced and recorded in the section B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키입력부(10)를 통하여 데이타 편집명령이 입력되면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X)와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Y)와 기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X)를 세팅한다.(202) 이때의 카세트 테이프는 제3a도와 같은 데이타 구조를 갖는다.When a data editing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a track number (X)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of the cassette tape and a track number (Y)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a track number ). (202) The cassette tape at this time has a data structure such as the 3a-th figure.

데크 메카니즘(30)은 마이콤(20)의 제어에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작위치 즉, 트랙번호 X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송시킨 후(204) 재생시작위치의 C0데이타를 재생하여 버퍼 메모리(40)에 저장한다.(206) 그 후에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를 증가시키며(208),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 Y의 크기를 비교한다.(210)Deck mechanism 30 is a buffer memory (40 according to the control start reproducing the cassette tape position that is, to play the C 0 data of the then transferr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ck number X (204),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of the microcomputer 20 (206) Thereafter, the track number X of the playback start position is incremented (208), and the size of the track number X of the playback start position i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track number Y of the playback end position (210).

이때,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 X보다 크면 데이타 편집을 종료하고,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 Y보다 작으면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Z로 이송시킨다.At this time, if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larger than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the data editing is terminated. If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track number Y of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feeds them to the track number Z.

여기서는,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 Y보다 작으므로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Z로 이송시켜(212) 버퍼 메모리(40)에 저장된 데이타(C0)를 기록시작위치에 기록한 후 기록시작위치 트랙번호 Z를 증가시킨다.(216) 제3b도는 C 데이타 구간의 C0데이타가 재생되어 B 데이타 구간으로 편집기록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 since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track number Y of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the cassette tape is transferred to the track number Z of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212) and the data C 0 stored in the buffer memory 40 is recorded (216) FIG. 3B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C 0 data of the C data section is reproduced and edited and recorded in the B data section.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 Y보다 작으므로(210),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작위치로 이송시켜(204) C1데이타를 리드하여 버퍼 메모리(40)에 저장한 후(206)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를 증가시킨다.(208)Since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track number Y of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210), the cassette tape is transferred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204) and the C 1 data is read and stored in the buffer memory 40 206) Increase the track number X of the playback start position (208)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 Y보다 작으므로(210)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시작위치로 이송시켜(212) 버퍼 메모리(40)에 저장된 데이타(C1)를 기록한 후(214) 기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Z를 증가시킨다.(216) 제3c도는 C 데이타 구간의 C1데이타가 재생되어 B 데이타 구간으로 데이타 편집기록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Since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track number Y of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210, the cassette tape is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212, the data C 1 stored in the buffer memory 40 is recorded 214 (216) FIG. 3C is a diagram showing that C 1 data of the C data section is reproduced and data is edited and recorded in the B data section.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재생시작위치의 트랙번호 X가 재생종료위치의 트랙번호 Z보다 커질 때까지 수행하면 제3d도와 같이 데이타가 편집된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f the track number X of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made larger than the track number Z of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the data is edited as in the third embodiment.

키입력부(10)에 의해서 반복기록 편집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212단계를 수행한 후에 반복기록의 횟수를 설정하며(213), 이외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제3e도는 이때의 데이타 구조를 보인 것이다.When the repeat recording edit command is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0,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recording is set after performing step 212, and the other operation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Figure 3e shows the data structure at this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은 카세트 테이프의 소정구간에 기록된 데이타를 버퍼 메모리(40)에 저장한 후 버퍼 메모리(40)에 저장된 데이타를 리드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원하는 데이타 구간에 기록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되어진 데이타의 위치를 편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ata editing method of the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ord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assette tape is stored in the buffer memory 40 and then the data stored in the buffer memory 40 is read, The position of the data recorded on the cassette tape can be edited by recording in a desired data section.

Claims (2)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기록시각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세팅하는 제1단계;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제2단계; 재생시작위치로부터 소정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3단계;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 재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와 재생종료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가 동일하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시작위치로 이송시키는 제5단계; 메모리에서 리드한 데이타를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시작위치에 기록하는 제6단계; 및 기록시작위치에 대응하는 트랙번호를 증가시킨 후 상기 제2단계를 수행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A first step of setting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start position of the cassette tape,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end position, and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time position; A second step of transporting the cassette tape to a reproduction start position; Reproducing a predetermined unit of data from a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nd storing the reproduced data in a memory; A fourth step of increasing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 fifth step of terminating the process if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is the same as the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otherwise transferring the cassette tape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A sixth step of recording the data read from the memory at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of the cassette tape; And a seventh step of performing the second step after increasing a track number corresponding to a recording star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반복기록 편집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한 후 반복기록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데이타 편집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recording after the fifth step if a repeat recording edit command is input.
KR1019960020621A 1996-06-10 1996-06-10 Data editing method in digital vcr KR01766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21A KR0176605B1 (en) 1996-06-10 1996-06-10 Data editing method in digital vc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21A KR0176605B1 (en) 1996-06-10 1996-06-10 Data editing method in digital vc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836A KR980004836A (en) 1998-03-30
KR0176605B1 true KR0176605B1 (en) 1999-04-15

Family

ID=1946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621A KR0176605B1 (en) 1996-06-10 1996-06-10 Data editing method in digital vc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60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836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0322A1 (en) Recording apparatus
KR100295351B1 (en) Editing device
KR0176605B1 (en) Data editing method in digital vcr
JPH03205675A (en) Digital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6124999A (e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igital information to/from a memory device
US5016119A (en)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with two modes of keeping track of address
US6034828A (en) Recording of reproducing apparatus
KR100207782B1 (en) Video data recording and recording method for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JP4196903B2 (en) Hard disk recorder
KR950014648B1 (en) Editing order change method
KR0132221Y1 (en) System for editing vtr
JP4082026B2 (en) Digitizing device, digitizing method and digitizing system
KR0178727B1 (en) Digital camcorder having electronic still camera function
JP3603307B2 (en) Audio signal playback device
JP3039227B2 (en) Digital audio signal playback device
JPH07334971A (en) Image editing device
JP3158834B2 (en) Video signal reproducing method and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100351221B1 (en) Device for inputting title of recording medium
KR940000635Y1 (en) Replaying circuit
KR100266315B1 (en) Video cassette recorder for coping image signal of video tape
JPH0426953A (en) Information recorder
JP2000113646A (en)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910013241A (en) Character insertion method during recording of VTR system
KR19990002768A (en) How to edit recording media
KR920704275A (en) Magnetic tape copy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