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514B1 - 유속스위치 - Google Patents

유속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514B1
KR0175514B1 KR1019960035004A KR19960035004A KR0175514B1 KR 0175514 B1 KR0175514 B1 KR 0175514B1 KR 1019960035004 A KR1019960035004 A KR 1019960035004A KR 19960035004 A KR19960035004 A KR 19960035004A KR 0175514 B1 KR0175514 B1 KR 017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magnetic ball
central passage
fluid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609A (ko
Inventor
최현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3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51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5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aps Or Cock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볼이 유체에 의하여 밀려 소정위치에 이르면 홀센서가 상기 자성볼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유속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20)의 중앙에 중앙통로(32)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통로(32)의 양측으로 노즐부재(22)(22-1)에 의해 노즐부(21)(21-1)가 형성되며 개폐판(26)이 중앙통로(32)에 위치하고 손잡이(24)가 몸체(20)에 외부에 위치토록 밸브(23)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26)과 유입구(30)사이에 자성볼(29)이 구비되며 상기 자성볼(29)의 최고 상승위치에 해당되게 몸체(20)의 외측에 홀센서(28)(28-1)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23)와 몸체(20)사이에 패킹(27)이 개입된 것인바,
개폐판(26)이 형성된 밸브(23)에 의해 중앙통로(32)를 통과하는 유체와 노즐부(21)(21-1)를 통과한 유체가 자성볼(29)에 미치는 힘이 조절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유속스위치로 임의의 최고유속과 최저유속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속스위치
제1도는 종래의 유속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도는 최고유속이 되었을 때의 밸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b)도는 최저유속이 되었을 때의 밸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카바
3 : 공간부 4 : 유입구
5 : 유입관 연결부 6 : 유출관 연결부
7 : 베이스몸체 8 : 위치설정편 삽입부
9 : 고정부 10 : 위치설정편
11 : 카바몸체 12 : 축
13 : 유체저항체 14 : 홀(HALL)센서접점부
15 : 접점면 20 : 몸체
21, 21-1 : 노즐부 22, 22-1 : 노즐부재
23 : 밸브 24 : 손잡이
25 : 연결봉 26 : 개폐판
27 : 패킹 28, 28-1 : 홀(HALL)센서
29 : 자성볼 30 : 유입구
31 : 유출구 32 : 중앙통로
본 발명은 자성볼이 유체에 의하여 밀려 소정위치에 이르면 홀센서가 상기 자성볼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유속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정할 수 있는 유속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치몸체의 내부에 중앙통로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중앙통로의 양측에 노즐부가 형성되게하며 상기 중앙통로에 밸브가 설치되게 하고 자성볼이 중앙통로를 따라 유동되게 하며 노즐부를 통과한 유체로부터 자성볼에 전달되는 힘이 개폐판에 의해 조절되게 함으로써 유속스위치의 설정유속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유속스위치이다.
종래의 유속스위치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었다.
제1도는 종래의 유속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유속스위치는, 장방형의 베이스몸체(7)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7)의 중앙에 유체가 유동되고, 유체저항체(13)가 유동되는 공간부(3)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3)에서 양측면으로 관통되게 유입구(4)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와 연결되어 유입관 연결부(5)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어 유출관 연결부(6)가 형성되며, 상부면에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고정부(9)가 형성되고 전면의 상단일측에 위치설정편 입부(8)가 형성된 베이스(1)와, 장방형의 카바몸체(11)가 형성되고 상기 카바몸체(11)의 저면에 축(12)을 중심으로 회전유동되는 유체저항체(13)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저항체(13)가 유체에 의해 밀려 접점면(15)이 닿게되는 위치에 홀센서접점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설정편삽입부(8)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향되게 위치설정편(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9)와 대응되고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부(9-1)가 형성되는 카바(2)로 구성되었다.
또, 상기 카바(2)의 상부면에 홀센서가 장착되어 유체저항체(13)가 홀센서접점부(14)에 닿게 되면 상기 홀센서는 유체저항체(13)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속스위치는 위치설정편(10)이 위치설정편삽입부(8)에 삽입되게 하고 고정부(9)와 고정부(9-1)를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며 유출관 연결부(6)가 상측을 향하도록 하면 유체저항체(13)는 베이스(1)의 유입구(4)를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유출관연결부(6)를 유출관에 연결시키고 유입관연결부(5)를 유입관에 연결시키면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유속스위치는 유체저항체(13)가 일정유속에 의해 홀센서접점부(14)와 접점이 형성되도록 유속이 설정되어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현재 설치된 유속스위치의 유속이 3m/s 로 설정되면 유체저항체(13)가 3m/s의 유속을 가지는 유체에 의해 접점면(15)이 홀센서접점부(14)에 접점되게 된다.
즉 유체저항체(13)가 일정값의 유속에 의해 홀센서접점부(14)에 접점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속스위치는 유체저항체(13)가 일정값의 유속에 의해 홀센서접점부(14)와 접점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스위치로 하나의 유속에만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고, 또 다른 유속에 유속스위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다른 유속의 유속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시험을 하거나 어떤 장치를 설치할 때 그 설정값에 적절한 유속스위치로 교체하게 되어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유속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속에 의해 유동되는 자성볼이 소정위치에 이르면 상기 자성볼을 홀센서가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자성볼의 유동이 밸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된 유속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몸체(20)의 중앙에 중앙통로(32)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통로(32)의 양측으로 노즐부재(22)(22-1)에 의해 노즐부(21)(21-1)가 형성되며 개폐판(26)이 중앙통로(32)에 위치하고 손잡이(24)가 몸체(20)의 외부에 위치토록 밸브(23)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26)과 유입구(30)사이에 자성볼(29)이 구비되며 상기 자성볼(29)의 최고 상승위치에 해당되게 몸체(20)의 외측에 홀센서(28)(28-1)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23)와 몸체(20) 사이에 패킹(27)이 개입된 유속스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기술적 구성과 작용효과 및 특징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일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도는 최고유속이 되었을 때의 밸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b)도는 최저유속이 되었을 때의 밸브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a)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몸체(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유출구(31)와 유입구(30)를 형성하여 유입구(30)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되고, 유출구를 통하여 유체가 유출되게 하였고, 내부중앙에 유입구(30) 및 유출구(31)와 일직선을 유지하게 노즐부재(22)(22-1)로 중앙통로(32)를 형성하되 상기 노즐부재(22)(22-1)의 각 중앙통로(32)를 향하는 면은 평면이 되게하고 몸체(20)의 측면내벽을 향하는 면은 몸체(20)의 측면내벽과 함께 노즐부(21)(21-1)가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노즐부(21)(21-1)에 의해 노즐부(21)(21-1)를 통과한 유체는 밸브(23)의 개폐상태에 따라 자성볼(29)에 미치는 힘의 크기를 달리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밸브(23)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는 노즐부(21)(21-1)를 통과한 유체의 힘은 그 힘의 전부가 자성볼(29)에 작용하여 자성볼(29)을 상승시키게 되고, 밸브(23)가 임의의 양만큼 개방되었을 때에는 그 개방공간 만큼의 힘이 자성볼(29)에 미치게 되며 밸브(23)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에는 노즐부(21)(21-1)를 통과한 유체의 힘은 자성볼(29)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속스위치는 밸브(23)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가 그 유속스위치가 가지는 최저유속이 되고, 밸브(23)가 완전히 밀폐되었을 때가 최고용량이 된다.
밸브(23)는 개폐판(26)이 중앙통로(3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사각부재로 형성하고, 손잡이(24)가 몸체(20)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개폐판(26)과 손잡이(24)는 중앙통로(32)와 몸체(20)를 관통하는 연결봉(26)에 의해 연결되게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24)를 임의의 유속으로 돌리면 개폐판(26)이 임의의 양만큼 중앙통로(3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패킹(27)은 밸브(23)의 연결봉(25)과 몸체(20) 사이에 개입시켜 몸체(2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속스위치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성볼(29)은 그 크기는 중앙통로(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하였고, 홀센서(28)(28-1)는 자성볼(29)이 임의의 위치에 이르면 자성볼(29)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속스위치의 유속은 최저가 3m/s이고 최고가 6m/s가 되게 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임의의 유속이 홀센서(28)(28-1)에 의해 감지되면 홀센서(28)(28-1)는 다른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맨 처음에는 유속이 3m/s가 되면 홀센서(28)(28-1)가 자성볼(29)을 감지하게 하였다.
유속스위치를 유입구(30)가 아래에 위치하고 유출구(31)가 위에 위치토록 설치한 상태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체밸브를 열어 유체를 유입구(30)로 보내면 유입구(30)에 도달한 유체는 자성볼(29)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때 보내지는 유체의 유속이 3m/s가 되지 않을 때는 자성볼(29)이 홀센서(28)(28-1)에 의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요구하는 유속이 최저의 유속이기 때문에 제2도의 (b)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개폐판(26)이 중앙통로(32)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상태에 있게 된다.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이 3m/s에 이르면 자성볼(29)은 중앙통로(32)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중앙통로(32)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와 노즐부(21)(21-1)를 통과한 유체의 힘을 모두 받게 되어 홀센서(28)(28-1)가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이르게 되고, 홀센서(28)(28-1)는 이를 감지하여 다른 시스템을 구동시키게 된다.
유속이 4m/s가 되었을 때 홀센서(28)(28-1)가 다른 시스템을 구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24)를 돌려 유속을 4m/s로 설정한다. 즉, 개폐판(26)이 중앙통로(32)를 임의의 양만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유입구(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속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자성볼(29)은 개폐판(26)에 부딪쳐서 역류되는 유체의 영향을 받게 되고, 또 노즐부(21)(21-1)를 통과한 유체의 힘을 적게 받게 되기 때문에 홀센서(28)(28-1)의 감지위치에 이르지 못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유입구(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자성볼(29)은 유속이 4m/s가 되었을 때 홀센서(28)(28-1)의 감지위치에 다다르게 되고, 홀센서(28)(28-1)는 이를 감지하여 다른 시스템을 구동시키게 된다.
만약 최고유속일 때, 즉 유속이 6m/s가 되었을 때 홀센서(28)(28-1)가 자성볼(29)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할 때는, 손잡이(24)를 돌려 개폐판(26)으로 중앙통로(32)를 완전히 폐쇄시키면 된다.
상기 4m/s의 유속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면 자성볼(29)은 중앙통로(32)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체의 힘만 받고 노즐부(21)(2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힘은 받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홀센서(28)(28-1)의 감지위치에 이르지 못하게 된다.
이때 유입구(3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켜 6m/s에 이르게 되면 자성볼(29)은 상승되어 홀센서(28)(28-1)의 감지위치에 이르게 되고 홀센서(28)(28-1)는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속스위치는, 개폐판(26)이 형성된 밸브(23)에 의해 중앙통로(32)를 통과하는 유체와 노즐부(21)(21-1)를 통과한 유체가 자성볼(29)에 미치는 힘이 조절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유속스위치로 임의의 최고유속과 최저유속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20)의 중앙에 중앙통로(32)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통로(32)의 양측으로 노즐부재(22)(22-1)에 의해 노즐부(21)(21-1)가 형성되며 개폐판(26)이 중앙통로(32)에 위치하고 손잡이(24)가 몸체(20)의 외부에 위치토록 밸브(23)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26)과 유입구(30)사이에 자성볼(29)이 구비되며 상기 자성볼(29)의 최고 상승위치에 해당되게 몸체(20)의 외측에 홀센서(28)(28-1)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23)와 몸체(20) 사이에 패킹(27)이 개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스위치.
KR1019960035004A 1996-08-23 1996-08-23 유속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017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004A KR0175514B1 (ko) 1996-08-23 1996-08-23 유속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004A KR0175514B1 (ko) 1996-08-23 1996-08-23 유속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09A KR19980015609A (ko) 1998-05-25
KR0175514B1 true KR0175514B1 (ko) 1999-04-01

Family

ID=1947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004A Expired - Fee Related KR0175514B1 (ko) 1996-08-23 1996-08-23 유속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5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609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7659A (en) Valve with resilient tubes having constricted portions
US4008732A (en) Diverter valve
EP1367305B1 (en) Half ball valve
US6675834B1 (en) Structure for switching flow of fluid in a fluid-conveying system
US5542449A (en) Single-outlet hot/cold water faucet with a water temperature display device
EP0369592A3 (en) Sampling probe flow sensor
US20070295417A1 (en) Faucet device selectively operatable manually or automatically
US20040060603A1 (en) Automatic valve device
JPH0129418B2 (ko)
US4301972A (en) Mixing faucet valve with diverter and anti-syphoning means
KR0175514B1 (ko) 유속스위치
EP0144852A3 (en) Drinking valve for animals
SE9203179L (sv) Omkopplingsventil med luftningsanordning
US5694970A (en) Safety valve for water supply system
US5427318A (en) One-touch on-off showerhead valve
CZ297725B6 (cs) Predstavné zarízení pro vysavac prachu
KR102271061B1 (ko) 유량검지장치
KR20020021103A (ko) 흡입채널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연결장치
KR101962864B1 (ko) 볼 밸브
KR920704077A (ko) 온수혼합토출장치
KR102244770B1 (ko) 유량검지장치
KR930006818Y1 (ko) 유수감지작동스위치
JPH0875038A (ja) 流路自動切換装置
KR900008880Y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온도 감지장치
KR200188879Y1 (ko) 콕밸브용 밀폐링의 이탈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