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374B1 - 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 Google Patents

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374B1
KR0175374B1 KR1019950027164A KR19950027164A KR0175374B1 KR 0175374 B1 KR0175374 B1 KR 0175374B1 KR 1019950027164 A KR1019950027164 A KR 1019950027164A KR 19950027164 A KR19950027164 A KR 19950027164A KR 0175374 B1 KR0175374 B1 KR 017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type
analyzer
sound
soun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2283A (en
Inventor
이방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374B1/en
Publication of KR97001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2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374B1/en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음악을 입력받아 음악의 종류를 분석하여 음향 효과 장치에 음 효과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음악 종류 분석 장치와, 상기 음악 종류 분석 장치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음향 효과를 선택하는 음향효과 장치로 구성되어, 음악의 종류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음향의 최적 조건을 찾아서 특수 음효과를 내는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music type analysis device for receiving a music and analyzing a type of music to output a sound effect selection signal to a sound effec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music type that is composed of a sound effect device for selecting an optimal sound effect and finds an optimum condition of a sound by using a music type analysis device to produce a special sound effect.

Description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종류 분석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nalyzing music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음악 종류 분석 장치 20 : 음향 효과 장치10: music type analysis device 20: sound effect device

11 : 주파수 성분 분석기 12 : 장단 분석기11: frequency component analyzer 12: short and long analyzer

13 : 박자 분석기 14 :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의 종류 분석기13: Time Analyzer 14: Sound Type Analyzer Using Fuzzy Theory

이 발명은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음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최적의 음 효과를 내는 기능을 자동으로 선정하도록 하는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type of sound and automatically selecting a function for producing an optimal sound effect.

종래의 많은 음향기기에 음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연(delay) 소자를 응용하여 큰 무대에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거나, 팝송(pop song)에 저음을 강조하거나, 3차원의 효과를 내는 장치가 상품화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many conventional acoustic devices, delay devices are applied to produce effects such as being on a large stage, emphasizing bass in a pop song, 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It is becoming.

이와같은 종래의 음향기기는 사용자가 각각의 효과를 직접 선택하도록 되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acoustic device is such that the user directly selects each effect.

예를 들어, 클레식 음악을 들으면서는 큰 홀(hall)에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기능을 선택하고, 팝음악을 들을 때에는 저음과 고음을 강조하려는 기능을 각각 선택하였다.For example, while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we chose a function that had the same effect as in a large hall. When listening to pop music, we chose to emphasize bass and trebl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라디오(FM radio)를 듣고 있는 경우 시간대에 따라 클레식 음악, 팝음악 그리고 뉴스를 방송한다면 각 음악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음 효과를 내는 기능을 소비자 선택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radio (FM radio), the classical music, the pop music, and the news are broadcasted according to the time zone, and the consumer has to select the function that produces the optimal sound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music. .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악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최적의 음 효과를 내는 기능을 자동으로 선정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는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type of music and automatically selects a function that produces an optimal sound effect, thereby minimizing consumer inconvenience. It is to provide a class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음악을 입력받아 음악의 종류를 분석하여 음향 효과 장치에 음 효과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음악 종류 분석 장치와, 상기 음악 종류 분석 장치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음향 효과를 선택하는 음향 효과 장치로 이루어진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sic type analysis device for receiving a music input and analyzing the type of music and outputting a sound effect selection signal to the sound effect device, and the result of the music type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the sound effect device for selecting the optimal sound effect.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의 구성은, 음악(Audio In)을 입력받아 음악의 종류를 분석하여 음향 효과 장치(20)에 음효과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음악 종류 분석 장치(10)와, 음악(Audio In)을 입력받아 상기 음악 종류 분석 장치(10)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음향 효과를 선택하는 음향 효과 장치(2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music (Audio In), analyzes the type of music, and transmits the sound to the sound effect device 20. A music type analysis device 10 for outputting an effect selection signal and a sound effect device 20 for receiving an audio in and selecting an optimal sound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usic type analysis device 10. .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종류 분석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nalyzing music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음악 종류분석 장치의 구성은, 음악(Audio In)을 입력받아 음악의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퍼지(fuzzy)이론을 이용한 음의 종류 분석기(14)에 출력하는 주파수 분석 장치(11)와, 음악을 입력받아 음의 장단을 인식하여 그 결과를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의 종류 분석기(14)에 출력하는 장단 분석기(12)와, 음악을 입력받아 음악의 박자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의 종류 분석기(14)에 출력하는 박자 분석기(13)와, 상기 주파수 분석 장치(11)와 장단 분석기(12)와 박자 분석기(13)의 출력의 입력받아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음악의 종류를 인식하는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의 종류 분석기(14)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analyzing a music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fuzzy theory that analyzes the components of music by receiving music (Audio In). Frequency analyzer 11 for outputting the used sound type analyzer 14 and long and short analyzer 12 for receiving the music and recognizing the short and long term of the sound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sound type analyzer 14 using fuzzy theory. And a time analyzer 13 for receiving the music and analyzing the time signature of the music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sound type analyzer 14 using fuzzy theory, the frequency analyzer 11 and the short and long time analyzer 12. And a sound type analyzer 14 using a fuzzy theory that recognizes the type of music using the fuzzy theory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beat analyzer 13.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입력 음악(Audio In)을 음악 종류 분석 장치(10)와 음향 효과 장치(20)에 각각 입력을 한 후, 음악 종류 분석 장치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음향 효과를 선택하여 음악을 생동감 있게 하는 것이다.After inputting the input music (Audio In) to the music type analyzing apparatus 10 and the sound effect apparatus 20, respectively, the optimum sound effec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usic type analyzing apparatus to make the music come to life.

예를 들어, 뉴스 시간에는 음악의 종류가 사람의 소리가 음간의 간격이 큰 것을 이용하여 뉴스를 듣기에 가장 편리한 딱딱한 음향 효과를 선택하게 하고, 클레식 음악의 경우는 음이 계속 연속이 되고 음 폭이 큰 것을 이용하여 클레식 음악임을 인식한 다음 클레식 음악 감상에 적합한 홀(hall) 효과를 내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in news time, the type of music allows a person to choose the hardest sound effect that is most convenient for listening to the news, using a large interval between notes, while in classical music the notes are continuous and the width is constant. Use this big one to recognize that it is classic music and then create a hall effect suitable for listening to classic music.

상기한 효과를 내기 위해 먼저, 음악 종류 분석 장치(10)는 음악(Audio In)을 입력받아 음악의 종류를 분석하여 음향 효과 장치(20)에 음 효과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effect, first, the music type analyzing apparatus 10 receives music (Audio In) and analyzes the type of music to output a sound effect selection signal to the sound effect apparatus 20.

음향 효과 장치(20)는 음악(Audio In)을 입력받아 상기 음악 종류 분석장치(10)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음향 효과를 선택하여 음악을 생동감 있게 한다.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음악 종류 분석 장치(1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sound effect device 20 receives music (Audio In) and selects an optimal sound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usic type analyzer 10 to make the music come alive. As shown in FIG. 2,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usic type analy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주파수 분석 장치(11)에서 음악(Audio In)을 입력받아 음악의 성분을 분석하고, 장단 분석기(12)에서 음악을 입력받아 음의 장단을 인식하고, 박자 분석기(13)에서 음악을 입력받아 음악의 박자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퍼지(fuzzy) 이론을 이용한 음의 종류 분석기(14)에 출력한다.Receives music (Audio In) from the frequency analysis device 11, analyzes the components of music, receives the music from the pros and cons analyzer 12, recognizes the pros and cons of the sound, and receives the music from the time analyzer (13). The beat is analyzed and the result is output to the sound type analyzer 14 using fuzzy theory.

음의 종류 분석기(14)에서는 상기 주파수 분석 장치(11)와 장단 분석기(12)와 박자 분석기(13)의 출력을 입력받아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음악의 종류를 인식하여 음 효과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The sound type analyzer 14 receives the outputs of the frequency analyzer 11, the short and long analyzers 12, and the time signature analyzer 13, and recognizes the type of music using fuzzy theory to output a sound effect selection signal. .

디지탈 음악인 경우에는 음악의 최초 신호에 음악의 종류를 기록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만 식별해내는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더욱 음악 종류의 감별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digital music, when the first signal of the music contains information for recording the type of music, it is possible to further distinguish the type of music by configuring a device for identifying only the information.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악을 입력받아 음의 성분을 분석하거나 디지탈 음악 신호의 경우 음 정보 자체에 표기된 인식 신호를 이용하여 분석한 다음 최적의 음향효과를 내는 기능을 선택하는 효과를 가진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selecting the function that produces the optimum sound effect after analyzing the component of the sound by receiving the music input or in the case of the digital music signal using the recognition signal indicated on the sound information itself It can provid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of kinds of music.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음향기기 분양에 이용될 수 있다.This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ound equipment sale.

Claims (2)

음악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는 주파수 성분 분석기와; 음악 신호를 입력받아 음의 장단을 분석하는 장단 분석기와; 음악 신호를 입력받아 음의 박자를 분석하는 박자 분석기와; 음악의 종류별 주파수 성분, 장단, 박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주파수 성분 분석기와, 장단 분석기와, 박자 분석기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된 정보로부터 퍼지 이론에 따라 음악 신호의 종류를 분석하는 음악 종류 분석기와; 상기 음악 종류 분석기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종류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음악의 종류에 해당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음향 효과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A frequency component analyzer configured to receive a music signal and analyze frequency components; A long and short analyzer for receiving a music signal and analyzing the long and long sounds; A beat analyzer that receives a music signal and analyzes a beat of a sound; It stores information about frequency components, beats and beats for each type of music, and analyzes the type of music signal according to fuzzy theory from the stored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component analyzer, beat and beat analyzer, and beat analyzer. A music type analyzer; And a sound effect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of an audio signal type output from the music type analyzer and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music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음악 종류 분석 장치는 디지탈 음악의 경우 음악의 최초의 부분에 음악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의 종류 자동인식 처리 시스템.The music type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sic type analyzing apparatus analyzes the digital music in the case where the first piece of music has information on the type of music.
KR1019950027164A 1995-08-29 1995-08-29 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KR0175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164A KR0175374B1 (en) 1995-08-29 1995-08-29 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164A KR0175374B1 (en) 1995-08-29 1995-08-29 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283A KR970012283A (en) 1997-03-29
KR0175374B1 true KR0175374B1 (en) 1999-04-01

Family

ID=1942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164A KR0175374B1 (en) 1995-08-29 1995-08-29 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3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73B1 (en) * 2005-03-24 2007-05-25 김재천 Method for classifying music genre using a classification algorith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283A (en)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8144B2 (en) Signal class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scripto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signal search method and apparatus
Rasch et al. The perception of musical tones
US5942709A (en) Audio processor detecting pitch and envelope of acoustic signal adaptively to frequency
KR920020865A (en) Voice / music discriminating device of audio band signal
JPS61244200A (en) Acoustic field improving device
KR0129989B1 (en) Automatic ton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JPH1195759A (en) Automatic timbr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0175374B1 (en) Type of music automatic recognition processing system
US5373098A (en) Device for generating tone signals using modulation
US4845753A (en) Pitch detecting device
JPH0837700A (en) Sound field correction circuit
JP2006195384A (en) Musical piece tonality calculating device and music selecting device
US6605768B2 (en) Music-signal compressing/decompressing apparatus
WO2020152264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H10149187A (en) Audio information extracting device
JP4600152B2 (en) Digital radio receiver
JP2806048B2 (en) Automatic transcription device
WO2020230184A1 (en) Signal switching device, signal switch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970008442B1 (en) Demonstration method for the electronic musical sound instrument
KR19990050494A (en) Spectrum output device for each instrument
JP3055150B2 (en) Music control device
JP2001085962A (en) Equalizer setting device in audio equipment
KR0160206B1 (en) Sound signal extracting apparatus
KR0129481B1 (en) Whole keyboard automatically accompaniment method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200193448Y1 (en) Selective output device of an audio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