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349B1 - 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349B1
KR0175349B1 KR1019950054538A KR19950054538A KR0175349B1 KR 0175349 B1 KR0175349 B1 KR 0175349B1 KR 1019950054538 A KR1019950054538 A KR 1019950054538A KR 19950054538 A KR19950054538 A KR 19950054538A KR 0175349 B1 KR0175349 B1 KR 0175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ck
actual
shap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8157A (en
Inventor
하정락
나지현
김성희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5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349B1/en
Publication of KR97005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349B1/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보드와, 상기 다수의 보드로 구성되는 다수의 블럭과, 상기 다수의 블럭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쉘프와, 상기 다수의 쉘프로 구성되는 다수의 랙으로 상기 각 시스템을 구성한 후, 상기 다수의 보드, 블록, 쉘프 및 랙에 대한 각각의 부품과 장비를 표현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다수의 보드 프레임,다수의 블록 프레임, 다수의 쉘프 프레임 및 다수의 랙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교환시스템의 부품과 장비를 상기 프레임 구조에 의해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랙, 쉘프, 블럭, 보드 정보를 운용자로부터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랙 프레임, 쉘프 프레임, 블럭 프레임, 블럭 프레임 및 보드 프레임의 시스템의 형상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 프레임 랙, 실제 프레임 쉘프, 실제 프레임 블럭의 형상 실제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제3과정과, 상기 시스템에 존재하는 최상위 수준의 부품의 실제 랙을 입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입력된 랙으로부터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을 적용하여 형상 객체를 생성하는 제5과정 및 프레임의 적용에서 제외가 되는 비프레임 형상 객체를 입력한 후, 상기 입력된 비프레임 형상 객체를 생성된 형상 객체로부터 삭제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과 장비들의 특성을 기술하고, 이에의해 교환시스템 구조의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ards designed to perform a unit function, a plurality of blocks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boards, and a plurality of blocks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blocks. After configuring each system with a shelf and a plurality of racks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helves, a plurality of board frames, a frame structure for represent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equipment for the plurality of boards, blocks, shelves and racks, A rack, shelf, block, and board inform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block frames, a plurality of shelf frames, and a plurality of rack frames, wherein the parts and equipment of the exchang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represented by the frame structure. The first step of inputting the operator from the operator,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first step Rack frame, shelf frame, block frame, block A second step of initializing the shape frame of the system of the frame and the board frame; and a third step of initializing the shape actual frame of the actual frame rack, the actual frame shelf, and the actual frame b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first step. And a fourth step of inputting the actual rack of the highest level component existing in the system, and a fifth step of applying the system shape actual frame from the rack input in the fourth step to generate a shape object and applying the frame. And a sixth step of deleting the input non-frame shape object from the generated shape object after inputting the non-frame shape object to be excluded from, thereby providing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equipment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To implement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in which effective management of the exchange system structure is achieved. Can be.

Description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 및 그 구현 방법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간략 구조도.1 is a simplified structural diagram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하드웨어 계층도.2 is a hardware hierarchy diagram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교환시스템의 하드웨어적 계층을 트리구조로 나타낸 트 리 구조도.3 is a tree structure diagram showing a hardware hierarchy of the exchange system of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과 실제 프레임의 구성 및 관계도.4 is a configuration and relationship diagram of a frame and an actu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을 클래스 상속관계로 나타낸 관계도.5 is a relationship diagram showing a class inheritance relationship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형상 객체를 생성하는 동작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shape object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시스템의 형상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동작흐름도.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initializing the shape frame of the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시스템의 형상 실제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동작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initializing a shape actual frame of the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01,102,103 :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101,102,103: subscriber exchange subsystem

104 : 연결망 서브시스템 105 :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104: network subsystem 105: central control subsystem

106 : 운용 보전 프로세서 107 : 운용자 정합 프로세서106: operation maintenance processor 107: operator registration processor

108 : 운용보전용 워크 스테이션 401 : 랙 프레임108: workstation for operation maintenance 401: rack frame

402 : 쉘프 프레임 403 : 블럭 프레임402: shelf frame 403: block frame

404 : 보드 프레임404: board frame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과 장비들의 특성을 기술하고, 상기 프레임에 의해 교환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 및 그 구조의 형상 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equipment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and effectively manages the switching system by the fr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and a method of representing a shape of the structure.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서는 운용자가 상기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을 관리하는 데에 여러가지의 기술이 요구되며, 특히 상기 교환시스템의 전체적인 상태 관리나 장애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환시스템 구조의 형상을 표현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in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various techniques are required for the operator to manage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In particula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witching system and the fault management may be used. The art of expression is very important.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교환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형상정보의 관리를 위하여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최대치의 형상정보를 모두 한꺼번에 관리하였으며, 각각의 형상정보의 실체와 객체에 대해 서로 다른 관리가 이루어졌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manage the shap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exchange system, all of the maximum shape informatio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can have is managed at once, and different management of the entities and objects of each shape information is performed. Was don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교환시스템의 형상정보를 관리함에 따라 최대치의 형상정보를 관리하여야하거나, 동일한 특성을 갖는 형상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관리정보에 의해 재 관리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exchange system is manag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inefficient problem of managing the maximum shape information or re-managing by other management information even though the shape data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과 장비들의 특성을 기술하고 실체의 생성시 부품정보를 공통적인 데이타베이스에 두고 이를 참조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함은 물론 그 구조에 따라 교환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 및 그 구조의 형상 표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equipment used in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and puts the component information in a common database when creating an entity and refers to i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and a shape representation method of the structure that effectively implements the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effectively manages the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 연결망 서브시스템,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등으로 구성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단위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보드와, 이 다수의 보드로 구성되는 다수의 블럭과, 이 다수의 블럭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쉘프와, 이 다수의 쉘프로 구성되는 랙으로 이루어진 하드웨어 형상을 계층적인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boards designed to perform an arbitrary unit function in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composed of a subscriber switching subsystem, a network sub-system, a central control subsystem, and the like.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 hierarchical frame structure to represent a hardware sha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lock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ards, a plurality of shelves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blocks, and a rack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helves.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보드와, 블럭과, 쉘프와, 랙으로 구성되는 교환시스템의 부품과 장비를 표현하기 위해 랙 프레임, 쉘프 프레임, 블럭 프레임, 보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스스템의 형상을 위한 객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랙, 쉘프, 블럭, 보드 정보를 운용자로부터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랙 프레임, 쉘프 프레임, 블럭 프레임, 블럭 프레임 및 보드 프레임의 시스템의 형상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 프레임 랙, 실제 프레임 쉘프, 실제 프레임 블럭의 형상 실제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제3과정과, 상기 시스템에 존재하는 최상위 수준의 부품의 실제 랙을 입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입력된 랙으로부터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을 적용하여 형상 객체를 생성하는 제5과정 및 프레임의 적용에서 제외가 되는 비프레임 형상 객체를 입력한 후, 상기 입력된 비프레임 형상 객체를 상기 제5과정에서 생셩된 형상 객체로부터 삭제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ystem using a rack frame, shelf frame, block frame, board frame structure to represent the parts and equipment of the exchange system consisting of the board, block, shelf, rack In forming the object for the shape of the rack, the shelf, the block, the board information from the operator inputs the first process,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first process rack frame, shelf frame, block frame, A second step of initializing the shape frame of the system of the block frame and the board frame; and a third step of initializing the shape actual frame of the actual frame rack, the actual frame shelf, and the actual frame b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first step. Process, a fourth process of inputting the actual rack of the highest level component existing in the system, and a system type from the rack input in the fourth process. A fifth process of generating a shape object by applying an actual frame and a non-frame shape object to be excluded from application of the frame, and then deleting the input non-frame shape object from the shape object generated in the fifth process It is carried out including the sixth process.

이하, 첨부된 참조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하드웨어적 형상을 나타낸 구조도로서, 제1도를 참조하면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는 다수의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 이하, ASS라 칭함)(101, 102, 103), 상기 다수의 ASS(101, 102, 103)에 연결되는 연결망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 이하, INS라 칭함)(104), 상기 INS(104)에 연결된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 이하, CCS라 칭함)(105)으로 구성된다.FIG.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digital mobile switch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1, a digital mobile switching center includes a plurality of subscriber switching sub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Ss). (101, 102, 103), 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S) (104)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SS (101, 102, 103), a central control sub connected to the INS (104) It consists of a system 105 (Central Control Sub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CS).

상기 SSC(105)에서는 운용 보전 프로세서(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 이하, OMP라 칭함)(106)와 운용자 정합 프로세서(Man-Machine Communication Processor ; 이하, MMP라 칭함)(107)로 구성된다.The SSC 105 includes an 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OMP) 106 and a man-machine communication proces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MMP) 107.

상기 ASS의 갯수는 가입자 수용 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최대 63개까지 가능하다.The number of ASSs is determined according to subscriber capacity and can be up to 63.

상기 ASS(101, 102, 103)는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 장치, 타임 스위치 그리고 각종 신호 장치들로 구성되어 호처리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ASS (101, 102, 103) is composed of subscriber and relay line matching device, time switch and various signal devices to perform the function of call processing.

그리고 상기 INS(104)는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중앙에 위치하여 ASS 상호간을 연결하는 공간 스위치 기능과 번호번역 및 루팅기능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INS 104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and performs a space switch function, a number translation, and a routing function, which connect the ASS to each other.

상기 CCS(105)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며, 교환기 전체 시스템의 형상 정보는 상기 CCS(105)의 OMP(106)에 보관된다.The CCS 105 is responsible for the maintenanc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and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entire exchange system is stored in the OMP 106 of the CCS 105.

상기 OMP(106)에 보관된 형상 정보는 상기 MMP(107)를 통하거나 또는 OMP(106)가 직접 운용보전용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 이하, WS라 칭함)(108)으로 다운로드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시스템의 준비시에 상기 WS(108)에 상기 OMP(106)에 동일한 형상 정보를 중복하여 둔다.The shape information stored in the OMP 106 is downloaded via the MMP 107 or directly by the OMP 106 to a work station 1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WS) 108, in which case Therefore, the same shape information is duplicated in the OMP 106 in the WS 108 in preparation of the system.

이에 따라, 상기 OMP(106)에서는 상기 ASS(101, 102, 103)나 INS(104) 그리고 그 자신이 속한 서브시스템인 CCS(105)에서 발생한 장애나 정보 정보를 모아서 형상 정보위에 상태 정보를 갱신하고 이를 WS(108)로 다운로드한다.Accordingly, the OMP 106 collects fault or inform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SS 101, 102, 103 or INS 104 and the CCS 105, which is a subsystem to which it belongs, and updates state information on the shape information. And download it to WS 108.

상기 WS(108)는 다운로드된 상태 정보를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기중복된 형상 정보상에 기록한다.The WS 108 records the downloaded state information on the downloaded or duplicated shape information.

따라서, 상기 WS(108)는 형상 정보를 그래픽으로 표현하고, 그 위에 상태 정보를 사용자가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표현한다.Accordingly, the WS 108 graphically represents the shape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thereon in a form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형상을 나타낸 계층도로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 전체 시스템(201)은 소정 R개의 랙(202, 203)으로 구성되며, 각 랙(202, 203)은 0 또는 1개 이상의 블럭(204, 205)으로 구성된다.2 is a hierarchical diagram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entir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201 is composed of predetermined R racks 202 and 203, and each rack 202, 203 is composed of zero or one or more blocks 204, 205.

또한, 상기 블럭(204, 205)은 1개 이상의 보드(206, 207) 혹은 0개의 보드, 즉 보드가 아닌 다른 임의의 장비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locks 204 and 205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boards 206 and 207 or zero boards, that is, any other equipment other than the boards.

상기 랙(202, 203)은 물리적으로 쉘프라는 단위로 나뉘어지며, 이는 랙내에서 동일한 높이의 선반으로 나위어진다.The racks 202 and 203 are physically divided into shelves, which are divided into shelves of the same height in the rack.

상기 블럭과 쉘프는 N대 M의 관계를 갖으며, 상기 블럭들은 하나의 쉘프상에 가로로 배열되고, 상기 블럭내의 보드들의 높이는 쉘프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다.The block and the shelf have a relationship of N to M, and the blocks are arranged horizontally on one shelf, and the heights of the boards in the block are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shelf.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하드웨어적 계층구조를 트리구조로 나타낸 것으로서, 교환기 시스템의 계층구조를 살펴보면,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301)은 다수의 랙(302, 303)으로 구성되며, 상기 랙(302, 303)은 다시 다수의 쉘프(304, 305)로 구성된다.FIG. 3 illustrates the hardware hierarchy of FIG. 2 in a tree structure. Referring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exchange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301 includes a plurality of racks 302 and 303, and the rack 302. 303 is again comprised of a number of shelves 304, 305.

또한, 상기 쉘프(304, 305)는 다수의 블럭(306, 307)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럭은 다시 다수의 보드(308, 309)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elves 304, 305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306, 307, which in turn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ards 308, 309.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들은 상기 다수의 보드, 블록, 셀프 및 랙에 대한 각각의 부품과 장비를 표현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다수의 보드 프레임, 다수의 블록 프레임, 다수의 쉘프 프레임 및 다수의 랙 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이러한 프레임 구조가 제4도에 나타나 있다.System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 a frame structure for expressing respective parts and equipment for the plurality of boards, blocks, shelves, and racks, including a plurality of board frames, a plurality of block frames, a plurality of shelf frames, and a plurality of rack frames. This frame structure is shown in FIG.

제4도는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계층적 구조를 이루는 각 부품과 장비의 구성부분을 표현하기 위한 프레임과 실제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4도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랙 프레임(401), 쉘프 프레임(402), 블럭 프레임(403), 보드 프레임(404)의 4종류가 있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rame and an actual frame for representing components and components of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Referring to FIG. 4, the frame includes a rack frame 401, There are four types of shelf frames 402, block frames 403, and board frames 404.

상기 랙 프레임(401)은 R개의 랙 프레임 객체 종류를 갖으며, 상기 쉘프 프레임(402)은 S개의 쉘프 프레임 종류를, 상기 블럭 프레임(403)은 K개의 블럭 프레임 종류를 각각 갖는다.The rack frame 401 has R rack frame object types, the shelf frame 402 has S shelf frame types, and the block frame 403 has K block frame typ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보드 프레임(404)은 B개의 블럭 프레임 종류를 갖는다.In addition, the board frame 404 has B block frame types.

한편, 하나의 부품에 속하는 하위 계층의 부품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실제 프레임은 실제 프레임 랙(405), 실제 프레임 쉘프(406), 그리고 실제 프레임 블럭(407)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제 프레임 랙(405)은 랙 프레임(401)의 R개의 랙에 대해 각각의 랙이 가지는 쉘프를 기술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tual frame representing the list of parts of the lower layer belonging to one component consists of a real frame rack 405, a real frame shelf 406, and a real frame block 407, the real frame rack 405 The shelf of each rack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R racks of the rack frame 401.

또한, 상기 실제 프래임 랙(405)의 개의 쉘프는 S개의 쉘프 프레임(402)에 대한 인덱스이다.Also, the shelf of the actual frame rack 405 is the index for the S shelf frames 402.

상기 실제 프레임 쉘프(406)는 쉘프 프레임(402)의 S개의 쉘프에 대해 쉘프가 가지는 블럭 k개를 기술한다.The actual frame shelf 406 describes the k blocks the shelf has for the S shelves of the shelf frame 402.

상기 실제 프레임 쉘프(406)의 k개의 블럭은 K개의 블럭 프레임(403)에 대한 인덱스이다.The k blocks of the actual frame shelf 406 are the indexes for the K block frames 403.

상기 실제 프레임 블럭(407)은 B개의 보드 프레임(404)에 대한 인덱스이다.The actual frame block 407 is the index for the B board frames 404.

상기와 같은 프레임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도 및 제3도의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에 출현하는 모든 장비와 부품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Using the structure of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present all the equipment and parts appear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system of the second and third.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클래스 상속 관계로 나타낸 것으로서, 임의의 프레임을 표현할 수 있는 공통적인 특성 즉, 다수의 보드, 블록, 쉘프 및 랙의 공통적인 특징을 표현하는 공통 프레임(cFRAME)(501)을 클래스로 정의한 후, 상기 정의된 cFRAME 클래스(501)로부터 그 특성과 동작을 상속받아 각 부품의 특성을 추가해서 cFR_RACK의 랙 프레임(502), cFR_SHELF의 쉘프 프레임(503), cFR_BLOCK의 블럭 프레임(504)과 cFR_BOARD의 보드 프레임(505)을 만든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ass inheritance relationship, in which a common frame (cFRAME) representing a common characteristic capable of representing an arbitrary frame, that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a plurality of boards, blocks, shelves, and racks ( 501) is defined as a class, and then inherits its properties and operations from the cFRAME class 501 defined above, and adds the properties of each component to the rack frame 502 of cFR_RACK, the shelf frame 503 of cFR_SHELF, and the block of cFR_BLOCK. Create a frame 504 and a board frame 505 of cFR_BOARD.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형상 객체를 생성하는 동작흐름도로서, 먼저 랙, 쉘프, 블럭, 보드 정보를 운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상기 제1도의 OMP 또는 MMP로부터 다운로드 받는다(S601).FIG. 6 is a flowchart of generating a shape object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using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ack, shelf, block, and board information are input from an operator or downloaded from an OMP or MMP of FIG. S601).

이때, 입력 또는 다운로드되는 정보는 시스템에 나타나는 부품이나 장비의 특성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만들 수 있는 자료이다.At this time, the input or download information is a material that can create a frame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s or equipment appearing in the system.

상기의 입력 또는 다운로드되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랙 프레임, 쉘프 프레임, 블럭 프레임, 블럭 프레임 및 보드 프레임의 시스템의 형상 프레임을 각각 초기화(S602)한다.Based on the above input or downloaded information, the shape frames of the system of the rack frame, the shelf frame, the block frame, the block frame, and the board frame are initialized (S602), respectively.

이어서, 상기의 입력 또는 다운로드되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을 초기화(S603)한다.Subsequently, the system shape actual frame is initialized based on the above input or downloaded information (S603).

이때,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의 자료로는 상기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랙에 속한 쉘프들을 기술한 cRF_RACK의 실제 프레임 랙(405)과, 쉘프에 속한 블럭들을 기술한 cRF_SHELF의 실제 프레임 쉘프(406), 그리고 블럭에 속한 보드들을 기술한 cRF_BLOCK의 실제 프레임 블럭(407)이다.At this time, as the data of the system shape actual frame, the actual frame rack 405 of cRF_RACK describing the shelves belonging to the rack shown in FIG. 4 and the actual frame shelf 406 of cRF_SHELF describing the blocks belonging to the shelf. , And the actual frame block 407 of cRF_BLOCK that describes the boards belonging to the block.

이어서, 시스템에 존재하는 최상위 수준의 부품의 존재 즉, 실제 나타나는 랙을 입력한다(S604).Subsequently, the presence of the highest level components present in the system, that is, the rack actually appearing (S604) is input.

이어서, 입력된 랙으로부터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을 적용하여 형상 객체를 생성한(S605) 후, 프레임의 적용에서 예외가 되는 부품을 기술 입력하는데, 특히 부품들 중 일반적인 프레임의 적용에서 제외가 되는 비프레임 형상객체를 입력한다(S606).Subsequently, after generating the shape object by applying the system shape actual frame from the input rack (S605), the technology to input the excep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frame, in particular, the non-frame that is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l frame of the parts The shape object is input (S606).

상기 입력된 비프레임 형상 객체를 생성된 형상 객체로부터 삭제한다(S607).The input non-frame shape object is deleted from the generated shape object (S607).

이때, 비프레임 형상 객체의 입력과 삭제를 순서에서 제외하고 프레임을 따르지 않는 객체를 하나의 새로운 프레임으로 추가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and deletion of the non-frame shape object may be excluded from the order, and an object that does not follow the frame may be additionally created and used as one new frame.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형상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동작흐름도로서, 상기 제6도의 제602단계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동작흐름도이다.FIG. 7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initializing the shape frame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etailed operation flowchart showing step 602 of FIG.

상기 제6도에서와 같이 입력된 랙, 쉘프, 블럭, 보드 정보에 따라서 제6도의 제602단계의 시스템 형상 프레임의 초기화가 시작되면, cFR_RACK의 랙 프레임, cFR_SHELF의 쉘프 프레임, cFR_BLOCK의 블럭 프레임, cFR_BOARD의 보드 프레임의 객체를 각각 차례대로 생성한다(701)(702)(703)(704).When the initialization of the system shape frame of step 602 of FIG. 6 is started according to the rack, shelf, block, and board information input as shown in FIG. 6, a rack frame of cFR_RACK, a shelf frame of cFR_SHELF, a block frame of cFR_BLOCK, Objects of a board frame of cFR_BOARD are generated in sequence (701, 702, 703, and 704).

이때, 상기 프레임의 초기화 순서는 서로 바뀔수 있다.In this case, the initialization order of the frames may be interchanged.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형상 실제 프레임을 초기화 하는 동작흐름도로서, 상기 제6도의 제603단계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동작흐름도이다.FIG. 8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initializing the shape actual frame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step 603 of FIG. 6 in more detail.

상기 제6도의 603단계의 시스템의 실제 형상 프레임의 초기화가 시작되면, cRF_RACK의 실제 랙 프레임, cRF_SHELF의 실제 쉘프 프레임, 그리고 cRF_BLOCK의 실제 블럭 프레임의 객체를 각각 차례대로 생성한다(801)(802)(803).When initialization of the actual shape frame of the system of step 603 of FIG. 6 starts, an object of an actual rack frame of cRF_RACK, an actual shelf frame of cRF_SHELF, and an actual block frame of cRF_BLOCK are sequentially generated (801) (802). (803).

상기 랙에 속하는 쉘프를 실제 프레임 cRF_RACK에, 쉘프에 속하는 블럭을 실제 프레임 cRF_SHELF에, 블럭에 속하는 보드를 실제 프레임 cRF_BLOCK에 각각 기술한다.The shelf belonging to the rack is described in the actual frame cRF_RACK, the block belonging to the shelf is described in the real frame cRF_SHELF, and the board belonging to the block is described in the real frame cRF_BLOCK.

상기 동작에 의해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의 초기화가 달성됨에 있어서 상기 실제 프레임 초기화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When the initialization of the system-shaped actual frame is achieved by the operation, the actual frame initialization order may be interchang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과 장비들의 특성을 기술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적인 상태 관리나 장애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 이에 따라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형상 즉,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equipment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so that the overall state management or failure management of the system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thus the shape of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That is, the structure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Claims (7)

다수의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 연결망 서브시스템,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단위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수의 보드와, 상기 다수의 보드로 구성되는 다수의 블럭과, 상기 다수의 블럭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쉘프와, 상기 다수의 쉘프로 구성되는 다수의 랙으로 상기 각 시스템을 구성한 후, 상기 다수의 보드, 블록, 쉘프 및 랙에 대한 각각의 부품과 장비를 표현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다수의 보드 프레임, 다수의 블록 프레임, 다수의 쉘프 프레임 및 다수의 랙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A digital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switching subsystems, a network subsystem, and a central control sub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boards designed to perform unit functions, a plurality of blocks comprising the plurality of boards, and After constructing each system with a plurality of shelv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and a plurality of racks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shelves, for representing the respective parts and equipment for the plurality of boards, blocks, shelves and racks. A structure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ard frames, a plurality of block frames, a plurality of shelf frames and a plurality of rack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다수의 보드, 블록, 쉘프 및 랙의 공통적인 특징을 표현하는 공통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보드, 블록, 쉘프 및 랙 프레임이 상기 다수의 보드, 블록, 쉘프 및 랙에 대한 각각의 부품과 장비를 표현하기 위해 상기 공통 프레임으로부터 그 공통적인 특징을 상속받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The plurality of boards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common frame representing common features of the plurality of boards, blocks, shelves, and racks. And inherit the common features from the common frame to represent the respective parts and equipment for the blocks, shelves and ra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계층별 특성을 프레임 형태로 관리하고, 그로부터 형상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조.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structure manages the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in a frame form, and generates a shape object therefrom. 프레임을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의 형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랙, 쉘프, 블럭, 보드 정보를 운용자로부터 입력하는 제1과정과;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랙 프레임, 쉘프 프레임, 블럭 프레임, 블럭 프레임 및 보드 프레임의 시스템의 형상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제 프레임 랙, 실제 프레임 쉘프, 실제 프레임 블럭의 형상 실체 프레임을 초기화하는 제3과정과; 상기 시스템에 존재하는 최상위 수준의 부품의 실제 랙을 입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입력된 랙으로부터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을 적용하여 형상 객체를 생성하는 제5과정 및 프레임의 적용에서 제외가 되는 비프레임 형상 객체를 입력한 후, 상기 입력된 비프레임 형상 객체를 생성된 형상 객체로부터 삭제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현방법.A method for creating a shape object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using a fram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inputting rack, shelf, block, and board information from an operator;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first step; A second process of initializing a shape frame of the system of the rack frame, the shelf frame, the block frame, the block frame, and the board frame; A third step of initializing a shape entity frame of an actual frame rack, an actual frame shelf, and an actual frame block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first step; A fourth step of inputting an actual rack of the highest level component present in the system; After inputting the non-frame shape object to be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frame and the fifth step of applying the system shape actual frame from the rack input in the fourth step and the application of the frame, the input non-frame shape object is generated And a sixth process of deleting from the shape object, wherein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s the frame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시스템 형상 프레임의 초기화와 제3과정의 형상 실제 프레임의 초기화가 순서없이 수행되고, 상기 제6과정의 비프레임 형상 객체의 입력과 삭제를 제외하는 수행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의 구현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itialization of the system shape frame of the second process and the initialization of the shape actual frame of the third process are performed in no order, and the input and deletion of the non-frame shape object of the sixth process is excluded. An implementation method of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시스템 형상 프레임의 초기화시 랙 프레임, 쉘프 프레임, 블럭 프레임, 보드 프레임의 객체를 순서없이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현방법.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objects of the rack frame, the shelf frame, the block frame, and the board frame are randomly generated when the system shape frame of the second process is initialized. Implementation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시스템 형상 실제 프레임의 초기화시 실제 랙 프레임, 실제 쉘프 프레임, 실제 블럭 프레임의 객체를 순서없이 생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현방법.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object of an actual rack frame, an actual shelf frame, or an actual block frame can be randomly generated when the system-shaped actual frame of the third process is initialized. How to implement
KR1019950054538A 1995-12-22 1995-12-22 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KR0175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538A KR0175349B1 (en) 1995-12-22 1995-12-22 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538A KR0175349B1 (en) 1995-12-22 1995-12-22 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157A KR970058157A (en) 1997-07-31
KR0175349B1 true KR0175349B1 (en) 1999-04-01

Family

ID=1944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538A KR0175349B1 (en) 1995-12-22 1995-12-22 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3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392A (en) * 1998-07-13 2000-02-07 김영환 Equipment manage object manag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157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6834T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software subsystems on a network system
SE503021C2 (en) Operating support networks for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network element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comprising network elements, network elements and ways of structuring software in a network element
CN101009591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network devices through an operations support system interface
JPH07504543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CN106021370A (en) Memory database instan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N107947977A (en) A kind of collocation method of interchanger,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U714733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xchange
EP087208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information managing systems
KR0175349B1 (en) Structure of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Using Frame Structur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CN100502298C (en) Method for realizing management authorization in network management system
JPH0714165B2 (en) Maintenance system for subscriber terminal management data in packet switching network
CN115208660B (en) Transparent access method for network target range equipment
US5966713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tents of a restoration log
JP3481867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multiple management protocols
KR1004418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lly managing subscriber for CO-LAN
Torrente et al. Implementation of the ANSI T1M1. 5 GNM-T1. 214 within an ODBMS framework
KR100221549B1 (en) Alarm management method using pool and pointer list
US7194727B2 (en) Managing composite objects in a network
US5893103A (en) Method of reconstructing a managed information tree
KR950005987B1 (en) Maintenance system in electronic exchange
Toda DCNA higher level protocols
Lazar et al. An architecture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on broadband networks
JPH081628B2 (en) Information network management method
Fried et al. Reliability models for facilities switching
CN111176595A (en) Video matrix combined control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