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676B1 -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676B1
KR0174676B1 KR1019960010239A KR19960010239A KR0174676B1 KR 0174676 B1 KR0174676 B1 KR 0174676B1 KR 1019960010239 A KR1019960010239 A KR 1019960010239A KR 19960010239 A KR19960010239 A KR 19960010239A KR 0174676 B1 KR0174676 B1 KR 017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message
packet
network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750A (ko
Inventor
이창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676B1/ko
Publication of KR97007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6Packet switching, X.25, frame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527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protocols - X.25, TCAP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페이징 단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패킷교환망을 이용하여 전국 단일망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므로서 일반가입자가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단일요금으로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기존의 페이징교환망을 이용하여 단일요금처리를 위한 단일네트워크서비스를 할 시 중계전용회선(T1/E1급)을 확보했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페이징 교환시스템을 패킷교환망을 사용하여 전국 단일망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국 단일요금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Description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R2신호방식을 이용하여 자체망을 구축한 페이징시스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의 블럭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을 하기 위한 발신측 제어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을 하기 위한 착신측 제어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패킷화된 데이타의 테이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패킷교환망 120,130 : 패킷교환기
140 : 패킷교환망
본 발명은 페이징 단일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패킷교환망을 이용하여 전국 단일망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므로서 일반가입자가 어느 곳에 위치하더라도 단일요금으로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스템의 경우 단일요금체제를 위하여 전국의 페이징시스템을 E1 혹은 T1의 중계선에 연결하여 R2국간신호방식에 의해 전용망을 구성하여 호를 처리하였다. 제1도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호출자(A)가 012-NXX-XXXX를 다이얼링하면 공중전화교환망(PSTN)으로부터 가장 인접하고있는 페이징교환기(A)로 호를 착신시킨다. 이때, 상기 012는 무선호출가입자에 대한 식별번호이고, N은 페이징 네트워크내의 식별번호이다. 그러므로, 상기 페이징교환기(A)는 상기 다이얼링한 프리픽스(prefix) NXX를 분석하여 자국의 프리픽스가 아닐 경우는 해당착신교환기로 호를 교환한다. 이때, 만일 상기 해당착신교환기가 페이징교환기(E)일 경우 R2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호를 페이징교환기(E)에 착신시킨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페이징교환기가 교환가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공중전화교환망의 도움이 없이도 자체적으로 호를 다룰 수 있어 어느 페이징교환기를 호출하더라도 단일 요금처리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경우 무선호출사업자는 비용이 많은 중계전용회선(T1/E1급)을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요즘 실시되는 광역서비스등 데이타의 응용서비스를 위해서라도 중계전용회선(T1/E1급)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징 교환시스템을 패킷교환망을 사용하여 전국 단일망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국 단일요금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출자로부터 페이징호출이 있을 시 인접페이징교환기로 상기 발생된 호를 착신시키는 공중전화교환망과, 상기 공중전화교환망으로부터 착신된 호를 분석하여 패킷형태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페이징교환 시스템과, 상기 페이징시스템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타신호를 전송하는 패킷교환망과, 상기 패킷교환망을 통해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하여 언패킷 처리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2페이징교환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R2신호방식을 이용하여 자체망을 구축한 페이징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의 블럭구성도로서, 호출자로부터 페이징호출이 있을 시 인접 페이징교환기로 상기 발생된 호를 착신시키는 공중전화교환망(240)과, 상기 공중전화교환망(240)으로부터 착신된 호를 분석하여 패킷형태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페이징교환 시스템(220)과, 상기 제1페이징시스템(220)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타신호를 전송하는 패킷교환망(210)과, 상기 패킷교환망(210)을 통해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하여 언패킷 처리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2페이징교환시스템(230)으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을 하기 위한 발신측 제어흐름도로서, 호출자로부터 다이얼이 입력될 시 발신측 페이징시스템내부의 호처리부, TNPP처리부, X.25처리부에 의해 입력된 데이타를 패킷형태의 데이타 포멧으로 변형하여 패킷교환망을 통해 해당 페이징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을 하기 위한 착신측 제어흐름도로서, 발신측 페이징 교환시스템으로부터 패킷형태의 데이터가 수신될 시 착신측 페이징시스템내부의 호처리부, TNPP처리부, X.25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타를 기지국에 송출하여 무선호출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패킷화된 데이타의 테이블로서, 테이블(A)는 번호번역 요구 IDPAE FORMAT이고, 테이블(B)는 번호번역 응답 IDPAGE FORMAT(OK), 테이블(C)는 번호번역 응답 IDPAGE FORMAT(NOK), 테이블(D)는 정규 IDPAGE FORMAT(무선호출용)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되는 제2도의 시스템도를 참조하여 제3-제4도의 흐름도와 제5도의 테이블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호출가입자가 임의의 지역에서 특징가입자에게 호출을 시도할 시 공중전화망(240)을 통해 페이징시스템(22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페이징시스템(220)은 공중전화망으로부터 호의 유입을 감지하고 착신 처리하여, 공중전화망 및 호출자로부터 필요한 디지트정보를 수신처리하여 페이징 호의 전반적인 실행/관리하며 최종적으로 착신가입자에께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호처리부(22A)와, 페이징시스템간의 정의된 프로토콜의 TNPP를 관리 운용하여 TNPP포멧으로 패킷화 및 언패킷화 하는 TNPP처리부(220B)와 , 원거리시스템과 논리적인 패스를 열기 위해 X.25프로토콜로서 패킷교환망과 통신하며 전반적으로 X.25의 논리적인 패스와 물리적인 자원을 관리하는 X.25처리부(220C)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페이징시스템(220)에 호가 착신될 시 발신측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먼저 설명하면, 302단계에서 상기 호처리부(220A)에서 접수하고 수신한 프리픽스(PREFIX)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분석결과 자국가입자 일 시 자체적 호를 수행하여 해당 페이저가입자에게 무선호출 한다. 하지만, 상기 자국가입자가 아닐 시 306단계에서 상기 호처리부(220A)는 TNPP처리부(220B)를 통해 목적지 번호번역 의뢰메시지(이하 제1메시지라 함)를 패킷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변형된 포멧은 제5A도와 같이 목적지의 주소, 발신지의 주소, 시리얼 번호, function code, identifier로 구성된다. 그런 후, 308단계에서 상기 변형된 데이타를 X.25처리부(220C)로 송신하여 패킷교환망(210)을 통해 원거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번호번역을 요구한다. 그런 후, 312단계에서 상기 X.25처리부(220C)를 통해 상기 원거리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번호 번역결과(이하 제2메시지 및 제3메시지라 함)를 수신한 후 314단계에서 호처리부(220A)로 번호 번역결과를 통보한다. 그런 후, 316단계에서 상기 호처리부(220A)는 가입자에게 호출 받을 디지트를 요구한다. 이때, 318단계에서 상기 요구를 받은 사용자가 호출 받을 디지트를 다이얼링한다. 그런 후, 320단계에서 상기 호처리부(220A)는 상기 다이얼링된 디지트를 수신하여 상기 TNPP처리부(220B)로 변환을 요구한다. 이때, 상기 TNPP처리부(220B)는 상기 요구데이타를 수신하여 제5(d)도의 포멧과 같이 패킷화된 정규화메시지(이하 제4메시지라 함)를 X.25처리부(220C)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정규화메시지의 포멧은 목적지의 주소, 발신지의 주소, 시리얼 번호, function code, identifier, 메시지(호출자 디지트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제어처리하는 착신측의 흐름도를 설명하면, 먼저 410단계에서 X.25처리부(230C)는 발신측 페이징시스템(220)으로부터 패킷교환망을 통해 전송된 제1메시지를 수신하여 호처리부(230A)로 번역을 요구한다. 그런 후, 414단계에서 상기 호처리부(230A)는 상기 번호번역 요구신호를 입력받아 번호번역을 수행한 후 416단계에서 TNPP처리부(230B)로 상기 번호번역 결과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TNPP처리부(230B)는 상기 번호번역 결과를 전송받아 제5(b)도 혹은 제5(c도와 같은 포멧으로 만들어 상기 제2메시지 혹은 제3메시지를 X.25처리부(230C)를 통해 발신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메시지 및 제3메시지의 포멧은 목적지의 주소, 발신지의 주소, 시리얼 번호, function code, identifier, 메시지(O.K메시지 혹은, NOK메시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 후, 422단계에서 상기 X.25처리부(230C)는 제5(d)도와 같은 포멧의 제4메시지를 발신측 페이징시스템(220)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런 후, 424단계에서 상기 TNPP처리부(230B)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제4메시지포멧을 언팩처리하여 호처리부(230A)로 통보한다. 그런 후, 426단계에서 상기 호처리부(230A)는 최종적으로 기지국으로 호출데이타를 전송하여 최정가입자에게 무선으로 호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징 교환시스템을 패킷교환망을 사용하여 전국 단일망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국 단일요금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비용이 많이 드는 전용선을 확보하지 않아도 단일요금서비스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또한 높은 전송품질을 얻을 수 있고, 통화량과금도 정보량에 따른 과금형태이므로 소량의 데이타를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페이저에 있어서 이로운 잇점이 있다.

Claims (7)

  1.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호출자로부터 페이징호출이 있을 시 인접 페이징교환기로 상기 발생된 호를 착신시키는 공중전화교환망과, 상기 공중전화교환망으로부터 착신된 호를 분석하여 패킷형태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제1페이징교환 시스템과, 상기 페이징시스템으로부터 변환된 패킷형태의 데이타신호를 전송하는 패킷교환망과, 상기 패킷교환망을 통해 전송된 패킷형태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언패킷 처리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2페이징교환시스템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페이징 교환시스템은, 공중전화망 및 호출자로부터 필요한 디지트정보를 수신처리하여 페이징 호의 전반적인 실행/관리하는 호처리부와, 페이징시스템간의 정의된 프로토콜를 관리 운용하여 원격망-페이징-프로토콜 포멧으로 패킷화 및 언패킷화 하는 원격망-페이징-프로토콜 처리부와, 원거리시스템과 논리적인 패스를 열기위해 X.25프로토콜로서 패킷교환망과 통신하며 전반적으로 X.25의 논리적인 패스와 물리적인 자원을 관리하는 X.25처리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3.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호출자로부터 공중교환망을 통해 인접페이징시스템에 페이징호가 발생할 시 디지트를 접수분석하여 자국가입자 호출인가를 검출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검출과정에서 타국자가입자일 시 목적지의 번호번역을 의뢰하는 제1메시지를 패킷화하여 패킷교환망을 통해 해당페이징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전송과정과, 상기 전송된 패킷형태의 데이타를 상기 해당페이징시스템에서 수신하는 제1수신과정과, 상기 제1수신과정에서 수신된 패킷형태의 제1메시지를 언패킷처리하여 번호번역하는 번역과정과, 상기 번호번역과정에서 번역된 결과인 제2메시지 및 제3메시지를 패킷처리하여 상기 패킷교환망을 통해 상기 호출자측의 페이징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2전송과정과, 상기 전송된 패킷형태의 제2메시지 및 제3메시지를 상기 호출자측의 페이징시스템에서 수신하는 제2수신과정과, 상기 제2수신과정에서 수신된 패킷형태의 번호번역결과 제2메시지 및 제3메시지를 언패킷처리하고 분석하여 제2메시지에 해당할 시 호출자로부터 호출받을 디지트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요구과정이 있은 후 호출자로부터의 호출받을 디지트를 입력받아 정규메시지인 제4의 메시지를 패킷처리하여 상기 패킷전송망을 통해 상기 해당페이징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전송과정과, 상기 전송과정에서 전송된 정규메시지인 제4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3수신과정과, 상기 제3수신과정에서 수신한 제4의 메시지를 언패킷처리하고 분석하여 최종 무선호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시지 포멧은, 목적지의 주소, 발신지의 주소, 시리얼 번호, function code, identifie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시지 포멧은, 목적지의 주소, 발신지의 주소, 시리얼 번호, function code, identifier, 번역결과메시지(허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메시지 포멧은, 목적지의 주소, 발신지의 주소, 시리얼 번호, function code, identifier, 번역결과메시지(불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메시지 포멧은, 목적지의 주소, 발신지의 주소, 시리얼 번호, function code, identifier, 메시지(호출자 디지트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방법.
KR1019960010239A 1996-04-04 1996-04-04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0174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239A KR0174676B1 (ko) 1996-04-04 1996-04-04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239A KR0174676B1 (ko) 1996-04-04 1996-04-04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750A KR970072750A (ko) 1997-11-07
KR0174676B1 true KR0174676B1 (ko) 1999-04-01

Family

ID=1945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239A KR0174676B1 (ko) 1996-04-04 1996-04-04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14B1 (ko) * 2001-09-06 2003-11-14 학교법인 동국학원 일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한 디지털 유선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75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880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2029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point to telepoint calling between pager equipped handsets
US6496579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efficient use of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6643709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converting protocol messages from one protocol into another
US6654598B1 (en) Method for setting up call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10039117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0174676B1 (ko) 패킷교환망을 이용한 페이징 단일네트워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3144762B2 (ja) 電気通信接続の方法及びその装置
KR980007063A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KR100250461B1 (ko) 단문 서비스 메시지 센터에서의 방송형 단문 전송 방법
KR19990009277A (ko) 개인 통신 서비스에서의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KR20010046982A (ko) 지능망 착신형 서비스에서의 근거리 루팅장치 및 방법
KR20020001408A (ko) 교환기에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278862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브이5.2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KR100251721B1 (ko) 착신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씨티-2착신정합교환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0540568B1 (ko) 시 디 엠 에이 망에서 팩스및 데이타 정보 자동 수신 지정방법
EP20968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service type
KR100777549B1 (ko) 지능망을 이용한 듀얼무선단말의 호처리 방법
US200201030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st mobile-to-mobile data connectivity
KR100352426B1 (ko) 이동교환시스템에서의이동가입자간데이터서비스방법
KR0181144B1 (ko) 광역망 페이징 시스템의 권역이동 등록처리방법
KR0181148B1 (ko) 무선 호출시스템의 전지역 호전환방법
KR100242696B1 (ko) 브이에이디가 없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KR100662188B1 (ko) 관문국 교환기로서 동작하는 소프트 상호접속 게이트웨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070042623A (ko) 교환 시스템의 착신 전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