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352B1 - 분해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해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352B1
KR0174352B1 KR1019960001587A KR19960001587A KR0174352B1 KR 0174352 B1 KR0174352 B1 KR 0174352B1 KR 1019960001587 A KR1019960001587 A KR 1019960001587A KR 19960001587 A KR19960001587 A KR 19960001587A KR 0174352 B1 KR0174352 B1 KR 017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binet
shelf
parti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424A (ko
Inventor
정상문
Original Assignee
정상문
주식회사클레스트라하우저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문, 주식회사클레스트라하우저만 filed Critical 정상문
Priority to KR101996000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352B1/ko
Publication of KR97005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false tongu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7Partitions with slotted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분해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 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캐비넷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재 사용중에 있던 건물로부터 사업장소를 이전하거나 하는등의 사정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중이던 칸막이용 판넬과 그 판넬에 설치한 캐비넷을 분해하여 이전하는 건물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구성]
본 발명은,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10)을 비롯한 그 판넬(10)을 결합하는 판넬조립용앵글(20)을 형성하여 건축물에 칸막이벽을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칸막이벽에는, 분해조립이 용이한 캐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을 비롯한 케비넷측면벽판넬(60) 및 선반(80)과 스틸도어(90) 및 글레스도어(100,110)를 형성하여, 분해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 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을 구성한다.
[효과]
본 발명은 칸막이판넬(10)로 실내의 칸막이 벽면체를 구축하고, 그 벽면체가 사실상 케비넷의 배면판넬로 사용될 수 있도록 케비넷을 구성하게 되므로, 그만큼 케비넷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되는 한편 그 케비넷의 설치로 인하여 칸막이판넬(10)로 구축한 벽면이 더욱 견고하게 구축되어 있게되며, 특히 분해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약간의 지식만 갖춘자면 어디에나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분해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 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제1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케비넷이 건축물의 실내에 구축된 벽판넬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케비넷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제2도중 A와 B부를 확대도시한 평면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캐비넷이 설치되는 칸막이판넬의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중 칸막이 판넬이 구축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
제6도는 상기의 칸막이 판넬이 좌·우 양쪽으로 반복되게 구축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
제7도는 상기 구축한 칸막이 판넬에 본 발명의 케비넷을 설치하는 케비넷브라켓 구조와 그 구조를 가진 케비넷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제8도는 상기 구축된 칸막이 판넬에 결합된 케비넷브라켓에 케비넷측면벽판넬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절개 확대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중 상기 칸막이 판넬 사이의 조립용 앵글을 클림핑 클립의 확대 사시도.
제10도는 상기의 칸막이 판넬에 케비넷측면판넬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상기의 칸막이 판넬에 케비넷이 설치되는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요부 확대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중 상기 케비넷측면판넬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분해결합예시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중 상기 케비넷측면판넬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비넷도어의 실시 상태를 단면도시한 평면도로서, 도면 제14도의 C C선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중 상기 케비넷측면판넬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비넷도어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는 스틸도어의 정면 예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중 상기 케비넷측면판넬에 전면에 결합되는 케비넷도어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왼쪽에 사용되는 글레스도어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제16도는 상기 제15도의 글레스도어를 평면도시한 D D선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 상태의 단면도.
제17도는 상기 제15도 내지 제16도의 오른쪽에 사용되는 글레스도어를 설명하는 평면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면 제18도의 E E선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18도는 상기 제15도 내지 제16도의 오른쪽에 사용되는 글레스도어의 실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열장케비넷 2 : 복합형케비넷
3 : 책장케비넷 4 : 옷장케비넷
5 : 옵션형스페이스케비넷 10 : 칸막이 판넬
10a : 칸막이판넬 외장판 10b : 앵글 결합홈
11 : 단열재 20 : 판넬조립용 앵글
20a : 앵글날개 20b : 클립결합부
20c : 브라켓날개끼움구멍 30 : 앵글고정용 클립
30a : 클립몸판 30b : 클립날개
30c : 앵글삽입용홈 40 : 마감몰딩
50 : 측면판넬결합용 브라켓 50a : 브라켓몸판
50b :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 고리 50c : 앵글결합용 고리
50d : 앵글끼움용공간 50e : 유동방지용고리
60 : 케비넷측면판넬 60' :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
60a : 판넬내측면절곡부 60b : 절곡부내곡면
60c : 고정고리끼움구멍 61 :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
61a : 거치편끼움구멍 61b : 마감판넬내곡면
61c : 걸림편 62 :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
62a : 후레임날개 63 : 보강판
70 : 선반거치편 70a : 선반거치부
70b : 선반고정용돌기 70c : 거치편하단지지부
70d : 거치편상단지지부 80 : 선반
80a : 선반몸체판넬 80b : 선반몸체판넬내곡면
81 : 선반마감판넬 81a : 선반마감판넨내곡면
81b : 선반보강후레임 90 : 스틸도어
90' : 스틸도어몸체판넬 91 : 도어마감판넬
91a : 도어절곡면단부 91b : 걸림편
92 : 도어보강판 93 : 자물쇠결합판넬
94a : 자물쇠뭉치 94b : 자물쇠어셈블리
95 : 도어록로드 96 : 도어록
97 : 도어손잡이 100 : 왼쪽글레스도어
101 : 글레스도어외부판넬 101a : 외부판넬절곡부
101b : 오른쪽문가이드 102 : 글레스도어마감판넬
102a : 마감판넬단턱부 102b : 마감판넬폐킹가이드
103 : 판유리하우징 103a : 폐킹가이드
104 : 쿳숀폐킹 105 : 도어글레스
106 : 개폐용경첩셋트 110 : 오른쪽글레스도어
120 : 옵션형케비넷 130 : 서랍
140 : 천정면 150 : 바닥면
160 : 건물벽면
첨부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케비넷 시스템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케비넷이 건축물 실내에 칸막이한 칸막이판넬(10)에 조립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첨부도면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이해를 돕는 평면도로써, 반복적으로 연결된 칸막이판넬(10)의 일측면에 여러 가지 유형의 케비넷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첨부도면 제3도는, 상기의 칸막이판넬(10) 전면에 본 발명의 케비넷이 결합된 상태를 요부 확대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제2도의 A부와 B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는, 상기 칸막이판넬(10)이 판넬조립용앵글(20)에 의해 조립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칸막이판넬(10)은, 그 외면의 칸막이판넬외장판(10a)을 금속판으로 절곡여 형성하되, 그 양쪽의 수직면 중심부에 평면상형 앵글결합홈(10b)을 형성하고, 그 공간 내부에 방음, 방습등이 효과를 제공하는 단열재(11)를 충전한다.
상기의 판넬조립용앵글(20)은, 한쪽 방향이 개방되어 양쪽에 앵글날개(20a)를 가지는 평면상형상 모양으로 형성하고 그와같이된 양쪽의 앵글날개(20a)에는 하향 경사진 수개의 클립결합부(20b)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형성한 칸막이판넬(100과, 판넬조립용앵글(20)은, 그 표면에 에나멜을 비롯한 락카 및 분체도장을 열처리 실시하여 건축물의 실내에 칸막이용으로 구축한다.
이때 상기의 칸막이판넬(10)을 구축하는 방법은,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상기의 판넬조립용앵글(20)을 칸막이판넬(10)의 앵글결합용홈(10b)에 끼운 다음 스크류나사(P)를 체결해서 판넬조립용앵글(20)이 칸막이판넬(10)에 견고하게 결합시켜서 순차적으로 구축한다.
이때 수직적으로 세워서 구축하는 상기 칸막이판넬(10)의 저면에는 고정용 높낮이 조절볼트(도시없음)가 축설되므로, 그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도면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칸막이판넬(10)의 상면과 저면이 건축물의 천정면(140)과 바닥면(150)에 고정되도록 구축하며, 이때 양쪽으로 인접되어 연결하는 상기 판넬고정용앵글(20)에는,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앵글고정용클립(30)을 끼워서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의 상기 앵글고정용클럽(30)은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클립몸판(30a) 길이의 약 1/2에 해당하는 앵글삽입홈(30c)을 앵글날개(20a)의 두겹에 해당하는 넓이로 형성하며, 그 양쪽에는 내측을 향해서 대향되게 약간 구부린 클립날개(30b)를 형성하여, 클립결합부(20b)에 결합한다.
이때 결합되는 상기 앵글고정용클립(30)은,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클립몸판(30a)의 방향을 상기 판넬조립용앵글(20)으로 향하게한 상태로 클립결합부(20b)에 일치시켜서 결합한다.
다시말해서, 상기 앵글고정용클립(30)을 도면 제4도에서와같이 클립결합부(20b)와 일치되게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누르게되면 그 힘이 가해지는 앵글고정용클립(30)이 하방향으로 내려가고 그와같이 하강하는 앵글고정용클립(30)은 양쪽이 대향되게 겹쳐있는 앵글날개(20a) 바깥으로 앵글삽입용홈(30c)이 억지끼워지면서 도면 제5도 내지 제6도와 같은 상태로 결합되어 칸막이판넬(10)의 구축작업이 완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칸막이판넬(10)을 구축하는 수단은, 반드시 일직선형으로만 구축한다고 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 제2도내지 제3도와 같이 평면상자형으로 구축하는 것도 실시가능하고, 또 어떤 경우에는자형으로 구축하는 것도 실시 가능한 것으로서, 칸막이 설계조건에 따라 구축한다.
그리고, 상기 구축한 칸막이판넬(10)을 이용하여 그 벽면에 설치하는 케비넷의 구조는, 분해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하되, 각각의 케비넷측면벽판넬(60)을 비롯한 선반거치대(70) 및 선반(80)와 스틸도어(90) 내지는 글레스도어(100)와 서랍(130)등을 구성하여 조립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구축한 칸막이판넬(10)에 결합되서 케비넷의 측면벽판넬이 형성되는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구조는, 규격철판 사면을 일정한 두께로 한쪽면 방향으로 샤링 절곡하여 첨부도면 제1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절곡부내곡면(60b)과 판넬내측면절곡부(60a)를 형성하여 그 양측의 내측면 코너에 보강판(63)을 용착한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60')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판넬내측면절곡부(60a) 칸막이판넬(10)쪽에 해당되는 수직면에는 하기 설명하는 케비넷측면벽판넬브라켓(50)에 끼워지는 수개의 고정고리끼움구멍(60c)이 형성된다.
또, 상기 형성한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60')의 일측면에는 다른 하나의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을 형성한다음 결합하여 일정한 두께의 케비넷측면벽판넬(6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의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은, 판체면 양쪽으로 일정한 간격의 거치편끼움구멍(16a)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판체의 테두리 사면을 한쪽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마감판넬내곡면(61b)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한 마감판넬내곡면(61b)에는 상기 제1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수 개의 걸림편(61c)을 가진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형성한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의 내측면에는 그 판체에 보강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양쪽에 후레임날개(62a)를 가진 케비넷측면벽보강후레임(62)을 형성하여 용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형성한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b)은, 사면의 마감판넬내곡면(61b)이, 상기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60')의 절곡부내곡면(60b)에 대향되도록 한다음 약간의 힘을 가하여 밀어넣는다.
이와같이 밀어넣는 작업을 실시하게되면, 상기의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은, 그 사면의 마감판넬내곡면(61b)이 절곡부내곡면(60b)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걸림편(61c)이 압력을 받게되나 이때 압력을 받는 걸림편(61c)은 텐숀이 작용하여 무리없이 절곡부내곡면(60b)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며, 상기 밀려들어가는 걸림편(61c)은, 그 단부가 절곡부내곡면(60b)의 단부를 통과하는 동시에 복원력이 발생되어 밖으로 튀어나오면서 도면 제3도 및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절곡부내곡면(60b)의 단부 내측에 걸림편(61c) 단부가 걸려지게 되므로, 결국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60')에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이 결합되어 하나의 케비넷측면벽판넬(60)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같은 조립작업을 완료후에는 페인팅하여 열처리 한다.(상기의 페인팅 열처리 작업은 반드시 조립후로 규정하지 않고 조립전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형성한 케비넷측면벽판넬(60)은, 상기 구축한 칸막이판넬(10)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의 결합수단은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한 바와같은 케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을 형성한다음 그 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을 상기 칸막이조립용앵글(20)에 결합시킨다음 실시 한다.
아울러, 상기의 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은, 도면 제7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체를 프레싱하여 절단절곡하게 되는데, 그 구조는 브라켓몸판(50a) 중심부에 수개(도면에는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브라켓의 길이에따라 5개 또는 10개로도 형성할 수 있다)의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고리(50b)를 형성하며 그 배면 양쪽에는 상측으로 수개의 앵글결합용고리(50c)을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앵글끼움용공간(50b)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하단부 양쪽에는 각각 1개씩의 유동방지용고리(50e)를 일체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의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고리(50b) 및 앵글결합용고리(50c)와 유동방지용고리(50e)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의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고리(50b)는 반드시 고리부가 상향되게 형성하고, 앵글결합용고리(50c)는 그 고리부를 반드시 하향되게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와같이 형성한 케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을 결합하는 방법은, 그 앵글결합용고리(50c)를, 상기 형성되서 칸막이판넬(10)에 결합되어있는 판널조립용앵글(20)의 브라켓날개끼움구멍(20c)에 대향시켜서 끼우며, 그와같이 결합한 후에는 그 칸막이판넬(10)의 전면으로 향한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고리(50b)에 상기 형성한 케비넷측면판넬(60)을 세워서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와같이 결합하는 수단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상기의 케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을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에 함에있어,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고리(50b)는 작업자 방향으로 향하게하는 반면에, 그 배면쪽의 앵글결합용고리(50c)의 방향은,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을 향하게하여 수평적으로 밀어서 앵글결합용고리(50c)를, 브라켓날개끼움구멍(20c)에 끼운다음 수평에서 직각되는 하방향으로 내려준다.
이와같이 실시하게되면, 상기의 앵글결합용고리(50c)는, 브라켓날개끼움구멍(20c)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고리(50c) 하단부가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 몸체의 내측에 걸리게되는 반면에, 그 앵글(20)은, 앵글끼움공간(50d)에 끼워진 상태가 되며, 하단부의 유동방지용고리(50e)도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의 브라켓날개끼움구멍(20c)에 끼워지게되므로, 결국 케비넷측면벽판넬경합용브라켓(50)은,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의 칸막이판넬(10)에 고정된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에 자중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와같이 결합되어있는 케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은, 고의적으로 위로 들어올려서 분리시키지 않는한은 절대로 분리되지 않게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케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은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에 3개 내지 4-5개정도를 수직적으로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와같이 결합된 케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의 전면에는, 상기 형성한 케비넷측면판넬(60)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의 케비넷측면판넬(60)을 결합하는 수단은, 상기의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에 결합시킨 케비넷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에, 케비넷측면판넬(6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고리끼움구멍(60c)를 일치시켜서 결합한다.
다시말해서, 상기의 케비넷측면판넬(60)을 작업자가 들어올린 상태에서 그 판널(6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고리끼움구멍(60c)을 케비넷측면벽판넬고정용고리(50b)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평적으로 밀어붙이게되면,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상기의 케비넷측면판넬(60)에 형성된 고정고리끼움구멍(60c)으로 상기의 케비넷측면벽판넬고정용고리(50b)가 끼워짐과 동시에 그 케비넷측면판넬(60)은 그 무게가 있으므로, 그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고리(50b)에 걸려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와같은 케비넷측면판넬(60)은, 케비넷을 몇칸 또는 어떤 구조로 구성하겠느냐에따라 그 구조를 필요한 숫자만큼 결합한다.
즉, 본 발명을 설명하는 첨부도면 제1도에는 4칸 즉, 내부가 들여다보이지않는 스틸도어(90)식 진열장식 케비넷(1)을 비롯하여, 상부는 내부가 들여다 보이는 글레스도어(100)를 가지는 반면에 하부는 서랍(130)이 형성되는 복합형 케비넷(2)과, 내부 전체가 들여다 보이는 글레스도어(100)를 가지는 책장형 케비넷(3) 및 내부가 들여다 보이지 않는 옷장케비넷(4)이 구성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느바와 같이 4칸의 구조로 케비넷을 형성한다면, 상기의 케비넷측면벽판넬(60)은, 결국 도면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5개를 결합하며, 그와같이 결합한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수직벽 즉, 거치편끼움구멍(61a)에는, 선반거치대(70)를 끼운다음 양쪽으로 얹혀지게 선반(80)을 결합하고, 그 전면에는 스틸도어(90) 및 글레스도어(100)를 결합하며, 또 서랍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벽면 형성한 케비넷측면판넬(60)의 벽면부에 서랍칸수와 일치되게 양쪽으로 슬라이드레일(도시없음)을 결합시킨다음 서랍을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하는 스틸도어(90)는, 첨부도면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스틸도어몸체판넬(90')을 비롯한 도어마감판넬(91)을 형성하여 결합하되, 상기의 스틸도어몸체판넬(90')은, 그 사면 전체를 한쪽방향으로 절곡하여 도어절곡면단부(90a)를 형성하며, 상기의 도어마감판넬(91)은, 상기의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과 같이, 사면을 한쪽방향으로 절곡하여 사면에 마감판넬절곡면(91a)을 형성하되, 한쪽면에는 자물쇠결합판넬(93)이 결합되는 요홈부와 그 절곡면(91a)에 수개의 걸림편(91a)을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합한다.
이때, 도어마감판넬(91)이 스틸도어몸체판넬(91')에 결합되는 상태는, 상기의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의 결합상태를 설명한 바와같이, 도어마감판넬(91)의 사면에 형성된 걸림편(91a)이 텐숀작용 되면서 도어절곡면단부(90a)로 들어가서 걸리면서 결합되며, 그 일측에 형성한 요홈부에는 자물쇠결합판넬(93)을 형성하여 도면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방음, 방충, 방습등의 효과를 주는 단열재(98)를 충전하며, 그 일측에는 도어록브라켓(94)을 비롯한 자물쇠뭉치(94a)를 가진 자물쇠어셈블리(94b) 및 도어록(96)이 연결된 도어록로드(95)를 결합구성한 다음 페인팅 열처리하여 스틸도어(9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의 선반(80)은, 상기 설명한 케비넷측면판넬(60)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각 판상의 철판 사면을 절단 절곡하여 그 사면에 선반몸체판넬내곡면(80b)을 가진 선반몸체판넬(80a)을 형성하고, 그 선반몸체판넬(80a)에 결합되는 선반마감판넬(81) 역시 사면을 한쪽방향으로 절곡하여 선반마감판넬내곡면(81a)을 형성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된 수개의 걸림편(도시없음)을 형성한다.
또, 상기 형성한 선반몸체판넬(80a)과 선반마감판넬(81)의 내측면에는 수개의 선반후레임(81b,81b')을 형성하여 용착하되, 선반몸체판넬(80a)의 선반보강후레임(81b)과 선반마감판넬(81)의 선반보강후레임(81b')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하여 결합한 후 페인팅 열처리 한다.
한편, 글레스도어(100)는, 첨부도면 제15도 내지 제18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오른쪽과 왼쪽용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나, 그 방향에 따른 용도에 따라 문가이드(101b)가 있고 없는 차이만 둘뿐 그 외에 구조는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와같은 글레스도어(100)는, 도면 제15도 및 제18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정면에서 볼 때 사각틀 모양의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과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을 각각 형성한후 판유리(105)를 사이에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과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은, 평면상의 단면으로 표현할 때 도면 제16도 및 제17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사각형 철판의 중심부를 사각형 모양으로 프레싱 절단해서 내부에 유리가 결합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그 중공부의 사면 테두리와 외부의 사면 테두리를 절곡하여 외부판넬절곡부(101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같이 형성한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에 결합되는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도, 상기의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와 동일하게 사각 철판의 중심부를 사각형 모양으로 프레싱 하는 한편 도면 제16도 및 제17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기 프레싱된 사각틀 모양의 판체에는 나머리감춤홈을 형성하여 그 중심부에 나사구멍을 천공하며, 사각형성한 중공부 내주연의 사면 테두리는 내측면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마감판넬패킹가이드(102b)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의 사면 테두리는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단턱진 마감판넬단턱부(102a)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형성한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은, 상기 형성한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에 결합하게되나, 그와같이 결합하기에 앞서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의 중공부 내측면에는, 판유리하우징(103)을 형성하여 용착한다음 결합한다.
이때, 상기의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의 중공부 내측면에 용착형성되는 상기의 판유리하우징(103)은, 역시 사각형 틀모양으로 형성하되 사각 외주연은 직각으로 절곡하여 바깥 사면에 하우징날개(103a)를 형성하며, 그 내측의 중공부 테두리는 단층지게 절곡하여 패킹가이드(103a)를 형성한 판유리하우징(103)을 형성하여 상기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의 중공부 내측면에 용착형성한다.
따라서, 상기의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 내측면에 일체로 용착시킨 판유리하우징(103)의 패킹가이드(103a)에는, 약간의 쿳숀이 제공된 통상의 합성수지재 및 고무재등으로 패킹가이드(103a)의 깊이보다 약간 더 두꺼운 패킹(104a)을 끼운다음 그 패킹(104a)의 표면 즉, 판유리하우징(103)에 사각판 유리 (105)를 삽입하며, 그와같이 삽입된 판유리(105)의 사각 테두리부에는 또하나의 패킹(104a)재치시킨 다음 상기의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을 결합한다.
이때 판유리(105)를 지지하면서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에 결합되는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이 결합되는 상태는, 사각면 외부의 테두리에 단턱지게 형성한 마감판넬단턱부(102a)를 외부판넬절곡부(101a)에 밀어넣고 나사(P)를 체결해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외부판넬절곡부(101a)에 밀어넣어진 마감판넬단턱부(102a)에는 도면 제16도 내지 제17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외부판넬절곡부(101a)가 얹혀지듯이 끼워지고, 그 내측으로 절곡된 마감판넬패킹가이드(102b)는, 그 내측면이 판유리(105)에 얹혀진 패킹(104a)와 일치된 가결합상태에 있게되며, 그와같은 상태에서 스크류 나사(P)를 체결하게되면,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 즉, 마감판넬패킹가이드(102b)가 패킹(104a)과 유리(105)를 압압되므로 글레스도어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이때 왼쪽문으로 사용되는 글레스도어(100)의 좁은폭면에는 오른쪽도어가이드(101b)를 형성하여, 오른쪽 문으로 사용되는 글레스도어(110)가 케비넷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의 선반(80)이 재치되는 선반거치편(70)은, 도면 제12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몸체의 중심부에는 수평상의 선반거치부(70a)와 그 중심 상면에 선반고정용돌기(70b)를 형성하고 그 상부와 하부에는 수직상의 거치편상단지지부(70d)와 거치편하단지지부(70c)를 형성하되, 거치편하단지지부(70c)를 상기의 거치편상단지지부(70d)의 위치보다 약간 편심되게하여 단턱진 구멍걸림턱(70e)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형성한 각각의 선반(80)을 비롯하여 스틸도어(90) 및 글레스도어(100,110)는 다음과 같이 결합한다.
먼저, 상기의 선반거치편(70)은, 그 거치편상단지지부(70d)를 수평으로 뉘운 상태에서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거치편끼움구멍(61a)에 끼우며 완전히 끼운상태에서 수직상으로 세운다.
이상같이 실시하게되면, 상기의 선반거치편(7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거치편끼움구멍(61a)으로 삽입된 거치편상단지지부(70d)의 의 전면은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그와는 반대로 거치편하단지지부(70c)의 배면은 케비넷측면판넬(60)의 바깥면에 밀착되며, 구멍걸림턱(70e)은, 그 저면이 거치편끼움구멍(61a)에 얹혀지듯이 걸려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선반거치편(70)의 상면에 많은 무게가 올려지게되면 올려질수록 더욱 많은 결속력이 부여 되므로, 상기의 선반(80)을 재치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선반거치대(70)에는, 상기 평판상의 선반(80)을 재치하게 되는데, 이때의 선반(80)저면에는 상기 결합된 선반거치편(70)의 선반고정돌기(70b)와 일치하는 구멍(도시없음)이 그 선반(80)의 저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선반(80)을 수평상으로 안전하게 재치시켜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스틸도어(90) 및 글레스도어(100,110)는, 왼쪽용과 오른쪽용을 구분하여 한조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결합하는 스틸도어(90)와 글레스도어(100,110)는, 그 결합 수단이 동일하므로, 편의상 스틸도어(90)를 결합하는 과정은 설명하지 않고, 글레스도어(100,110)의 결합상태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의 글레스도어(100,110)를 결합하는 수단에서 왼쪽용으로 사용되는 글레스도어(100)와, 오른쪽용으로 사용되는 글레스도어(110)는, 그 일측면에 각각의 문개폐용경첩셋트(106)를 사용하여, 수직벽면체인 상기 케비넷측면판넬(60)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케비넷이 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여러칸으로 형성되어 좌측이나 우측 안쪽의 복합형케비넷(2)이나, 책장형케비넷(3)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 벽면에 해당하는 양쪽의 케비넷측면벽판넬(60)에 도면 제2도 및 제16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글레스도어(100,110)의 일측단면부를, 케비넷측면벽판넬(60) 두께의 1/2 정도 위치되게하여 결합하는 반면에, 좌측이나 우측의 바깥쪽 진열장케비넷(1)이나 옷장케비넷(4)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글레스도어(100,110)의 바깥단면 단부를,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바깥단면부와 일치되게 결합한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케비넷 시스템을 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와 같이, 4개의 칸으로 형성하는 경우, 그 케비넷 시스템의 벽면체로 결합되는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숫자는, 도면 제2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좌,·우측 2개의 외면벽과 내부 3개의 벽면을 합하여 모두 5개의 케비넷측면벽판넬(60)이, 건축물의 벽면체로 구축한 칸막이판넬(1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스틸도어를 비롯한 글레스도어(90,100,110)는, 진열장케비넷(1)에 2개, 복합형케비넷(2)에 2개, 책장케비넷(3)에 2개, 옷장케비넷(4)에 1개가 결합되어 모두 7개가 결합되어 한셋트의 케비넷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듯이, 도어는 그 케비넷의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숫자가 결정되어 결합된다.
아울러, 도면 제2도와 같이 4칸의 케비넷(1,2,3,4)을 결합하여 한셋트의 케비넷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장 좌측과 우측의 바깥쪽 케비넷벽면판넬(10)에 결합되는 스틸도어(90) 즉, 진열장케비넷(1)의 좌측용 스틸도어(90)와 옷장케비넷(4)의 스틸도어(90)는, 그 바깥쪽 단면부를 케비넷측면벽판넬(60) 바깥면과 일치시켜서 그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두께에 해당하는 앞면 전체가 커버되게 결합하며, 그 내측에 결합되는 진열장케비넷(1)의 우측용 스틸도어(90)와 책장형케비넷(3)의 우측용 글레스도어(110)는, 그 케비넷측면벽판넬(60)의 앞면에 해당하는 벽면두께의 절반에 해당되게 결합하여, 결국 하나의 케비넷측면벽판넬(60)에 두 개의 도어가 양쪽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와같이 결합되는 상기 케비넷의 지붕과 천정은, 각 칸별로 형성하여 결합하거나, 혹은 두쪽으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케비넷셋트의 길이와 일치되게 길게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도 실시가능하고, 서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서랍을 구성하는 설계에 따라 도면 제1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그 높이에 해당하는 서랍칸막이(2a)를 형성하여 그 상면에 선반(80)을 고정하며 양쪽벽면체에는 통상의 서랍레일(도시없음)을 결합하여 양쪽으로 서랍을 결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이 케비넷을 구성하고 남은 케비넷과 천정의 공간부에는 도면 제1도에 예시된 바와같이, 사용자 주문에 따른 옵션형 스페이스케비넷(5)을 추가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케비넷 시스템은, 그 벽면체나 도어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표면의 외부에는 에나멜이나 락카등으로의 페인트를 열처리하기 때문에, 업무용 건축물뿐 아니라, 통상의 오피스텔이나 아파트등의 주거지에 설치하여, 반영구적으로 손색 없는 고급 가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케비넷 시스템은, 업무용 사무실과 같은 곳에서 어차피 구축하는 실내 칸막이 판넬(10)을 이용하여 케비넷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칸막이 판넬(10)을 케비넷의 배면판넬로 사용하게 되므로, 그만큼 저렴한 비용으로 케비넷을 형성할 수 있게되는 동시에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칸막이 판넬(10)의 지지력을 강화시켜 주게되며, 특히 분해결합이 용이하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건물로부터 사옥을 이전하거나 하는 등의 사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결합한 순서의 역순으로 분해하여 이전한 장소에서 다시 설치사용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분해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 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케비넷의 각 부분을 분할해서 형성하는 것으로서, 업무용 건축물의 실내에 구축하는 칸막이용 벽 판넬에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며, 현재 사용중에 있던 건물로부터 사업장소를 이전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그 칸막이용 벽 판넬과 케비넷을 신속하게 분해하여 이전하는 건물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칸막이 판넬의 종류를 볼 것 같으면, 실내에서 간이용 칸막이로 사용되는 유동식 칸막이를 비롯한 경량석고보드 칸막이 및 철재구조물로 형성하는 칸막이용 판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종류의 제품중, 유동동식 칸막이의 경우에는 그 높이가 약 1.5미터정도되는 높이의 판체 저면에 지지각이 형성되어있어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실내의 공간을 분할하여 밀폐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고, 그와는 반대로 경량석보드 칸막이의 경우에는 불연재 석고를 판상으로한 내부에 단열재가 내장되어 있어 주로 공간을 밀폐하는 용도 즉, 업무부서를 구분하는 등의 벽면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판넬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구입비용은 저렴하나 공사가 난애하여 전문가에 의해서만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강도가 낮아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후자의 철재구조물로 형성하는 칸막이용 판넬의 경우는 그 비용은 부담스러우나 짜임새있는 구조로 시공이 간편하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주로 품위가 요구되는 간부급 또는 중역실등의 밀폐용 칸막이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오피스텔이나 사무실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목재 및 철재등의 케비넷의 경우를 볼 것 같으면, 공통적으로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므로 부피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게되는데, 이와같이 부피가 큰 케비넷을 보관하거나 이동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수반됨을 알 수 있다.
다시말해서, 종래의 케비넷이나 파일박스는 통상적으로 목재로 형성하거나 철재로 형성함에 관계없이 정해진 규격으로 조립생산되므로, 그와같은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데에는 그에따른 많은 공간확보와 노동력이 요구된다.
예를들어서, 케비넷의 일반적인 규격은 그 대부분 가로, 세로, 넓이가 880×1780×380의 큰 부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재보관시에는 그많큼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이와같은 크기의 케비넷을 운반하려면 적어도 두사람 이상은 있어야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그와같은 크기의 케비넷을 계단이나 복도 또는 엘리베이터등의 출입구를 통과하려면 그 부피가 큰만큼 통행이 자유롭지 못하여 케비넷을 이리저리 부딛치게 되므로 케비넷에는 그에따른 많은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또 그와같이 운반한 케비넷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실내의 바닥 균형이 고르지 못할 때에는 케비넷이 기우뚱거리는 등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그 케비넷의 밑바닥에 고일목을 받쳐주어야하는등 사용상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목재와 금속재등의 케비넷이나 가구에 있어, 그 구조상의 결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장점만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하게 된 것이다.
이와같이 안출한 본 발명의 케비넷은 그 케비넷의 배면판넬을 형성하지 않고 칸막이판넬에 조립하므로서 결국 칸막이판넬이 케비넷의 배면판넬 역할을 할 수 있게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18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laims (2)

  1. 칸막이판넬(10)은, 그 외면의 칸막이판넬외장판(10a)을 금속판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되, 그 양쪽의 수직면 중심부에 평면상형 앵글결합홈(10b)을 형성하고, 그 공간 내부에 방음, 방습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단열재(11)를 충전하며, 판넬조립용앵글(20)은, 한쪽방향이 개방되어 양쪽에 앵글날개(20a)를 가지는 평면상형상 모양으로 형성하고 그와같이된 양쪽의 앵글날개(20a)에는 하향 경사진 수개의 클립결합부(20b)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앵글고정용클립(30)은, 클립몸판(30a) 길이의 약 1/2에 해당하는 앵글삽입홈(30a)을 앵글날개(20a)의 두겹에 해당하는 넓이로 형성하고 클립날개(30b)를 양쪽으로 대향되게 약간 구부러지게 형성하며, 케비넷측면벽판넬(60)은,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60')과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을 형성하여 결합하되, 상기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60')은, 철판의 사면을 일정한 두께로 샤링 절곡하여 절곡부내곡면(60b)과 판넬내측면절곡부(60a)를 형성하고 그 양측의 내측면 코너에 보강판(63)을 용착하여 수개의 고정고리끼움구멍(60c)을 형성하며, 상기의 케비넷측면벽마감판넬(61)은, 판체면 양쪽으로 일정한 간격의 거치편끼움구멍(61a)을 형성하고 그 판체의 사면 테두리 사면을 직각되게 절곡하여 마감판넬내곡면(61b)을 형성하고 그 마감판넬내곡면(61b)에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수개의 걸림편(61c)을 형성하며, 그 내측면에는 그 판체에 보강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양쪽에 후레임날개(62a)을 가진 케비넷측면벽보강후레임(62)을 용착한후, 상기 형성한 마감판넬내곡면(61b)이, 상기 케비넷측면벽몸체판넬(60')의 절곡부내곡면(60b)에 삽입되도록 결합하며, 측면벽판넬결합용브라켓(50)은, 브라켓몸판(50a) 중심부에 수개(도면에는 3개로 도시되어 있음)의 케비넷측면판넬고정용고리(50b)를 상향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그 배면에는 앵글결합용고리(50c)을 하향되게 형성하여 그 내측으로 앵글끼움용공간(50b)을 형성하고 그 하단부에는 수평선상의 유동방지용고리(50e)를 일체로 형성하고, 스틸도어(90)는, 스틸도어몸체판넬(90')을 비롯한 도어마감판넬(91)을 형성하여 결합하되, 상기의 스틸도어몸체판넬(90')은, 그 사면 전체를 한쪽방향으로 절곡하여 도어절곡면단부(90a)를 형성하며, 상기의 도어마감판넬(91)은, 사면을 한쪽방향으로 절곡하여 사면에 마감판넬절곡면(91a)을 형성하여 한쪽에 자물쇠결합판넬(93)이 결합되는 요홈부와 수개의 걸림편(91a)을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합하며, 선반(80)은, 상기 설명한 케비넷측면판넬(60)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각 판상의 철판 사면을 절단 절곡하여 그 사면에 선반몸체판넬내곡면(80b)을 가진 선반몸체판넬(80a)을 형성하고, 그 선반몸체판넬(80a)에 결합되는 선반마감판넬(81) 역시 사면을 한쪽방향으로 절곡하여 선반마감판넬내곡면(81a)을 형성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된 수개의 걸림편(도시없음)을 형성하고, 수개의 선반후레임(81b,81b')을 형성하여 용착하되, 상기 선반몸체판넬(80a)의 선반보강후레임(81b)과 선반마감판넬(81)의 선반보강후레임(81b')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하여 결합하며, 글레스도어(100)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틀 모양의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과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을 각각 형성한후 판유리(105)를 결합하되, 상기의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은, 사각틀모양으로 절단해서 사각형 중공부의 사면 테두리와 외부의 사면 테두리를 절곡하여 외부판넬절곡부(101a)를 형성하며, 상기의 글레스도어마감판넬(102)은, 그내부를 상기 형성한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와 동일하게 사각틀 모양으로 형성한후, 나사머리감춤홈을 형성하고 그 중심부에 나사구멍을 천공하고 사각 형성한 중공부 내주연의 사면 테두리는 내측면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마감판넬패킹가이드(102b)를 형성하는 한편 그 외주연의 사면 테두리를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단턱진 마감판넬단턱부(102a)를 형성하며, 상기 형성한 내측면에는, 바깥테두리에 하우징날개(103a)를 형성하고 그 내측의 테두리는 단층지게 절곡하여 패킹가이드(103a)를 형성한 판유리하우징(103)을 형성하여 상기 글레스도어외부판넬(101)의 내측면에 용착하며, 상기 형성한 판유리하우징(103)의 패킹가이드(103a)에는, 약간의 쿳숀이 제공된 패킹(104a)을 끼운다음 그 패킹(104a)의 표면 즉, 판유리하우징(103)에 사각판유리(105)를 결합하고, 선반거치편(70)은, 몸체 중심부에 수평상의 선반거치부(70a)와 그 중심 상면에 선반고정용돌기(70b)를 형성하고 그 상부와 하부에는 수직상의 거치편상단지지부(70d)와 거치편하단지지부(70c)를 형성하되, 상기의 거치편하단지지부(70c)를 상기의 거치편상단지지부(70d)의 위치보다 약간 편심되게 형성하여 단턱진 구멍걸림턱(70e)을 형성하여, 칸막이 벽면과 케비넷을 분해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 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 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의 칸막이판넬(10)을 구축하는 수단은, 상기의 판넬조립용앵글(20)을 앵글결합용홈(10b)에 삽입하여 스크류 나사(P)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한 칸막이판넬조립용앵글(20)은 양면이 마주보도록 근접시켜서 앵글고정용클립(30)으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결합이 용이한 칸막이 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의 칸막이 판넬 고정구조.
KR1019960001587A 1996-01-25 1996-01-25 분해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KR017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587A KR0174352B1 (ko) 1996-01-25 1996-01-25 분해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587A KR0174352B1 (ko) 1996-01-25 1996-01-25 분해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424A KR970059424A (ko) 1997-08-12
KR0174352B1 true KR0174352B1 (ko) 1999-02-18

Family

ID=1945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587A KR0174352B1 (ko) 1996-01-25 1996-01-25 분해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3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424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6672A (en) Partitioning system
US3949827A (en) Acoustical panel assembly
US8286401B2 (en) Demountable paneling system
US5095671A (en) Framework of a building
EP0400804B1 (en) Wall system
US5125201A (en) Joints and connector mechanisms for wall systems
US5983574A (en) Merchandise display panel
US20030205010A1 (en) Reconfigurable room partitioning system
JP6902741B2 (ja) 建具施工構造
US6315026B1 (en) Cornice box
WO2003016645A1 (en) Wall construction
US7462657B2 (en) Door system for a building
US3250582A (en) Structure for furniture, enclosures and the like
KR0174352B1 (ko) 분해결합이 용이한 칸막이판넬과 그 판넬을 이용하는 케비넷 시스템
US6070536A (en) Decorative shelv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91108A (en) Glass brick partition members
US6170211B1 (en) Demountable wall system
EP0309033B1 (en) Modular internal partition forming a container
US1960575A (en) Factory fabricated partition and ceiling construction
US2178762A (en) Building construction
US8997425B2 (en)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CA1174425A (en) Modular elevator cab
JP6910022B2 (ja) 建具施工方法
US6105327A (en) Panel structure
JPH0633858Y2 (ja) 組立て式収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