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66B1 -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ball - Google Patents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b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066B1
KR0173066B1 KR1019960015259A KR19960015259A KR0173066B1 KR 0173066 B1 KR0173066 B1 KR 0173066B1 KR 1019960015259 A KR1019960015259 A KR 1019960015259A KR 19960015259 A KR19960015259 A KR 19960015259A KR 0173066 B1 KR0173066 B1 KR 017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all
ball
turntable
spindle
cylindric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73644A (en
Inventor
심상배
Original Assignee
심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상배 filed Critical 심상배
Priority to KR101996001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66B1/en
Publication of KR97007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A63B2047/046Motori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공 등과 같은 게임볼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볼세척장치는 원통형의 하우징(14)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54)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 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며,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갖는 턴테이블(56)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게임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64)와, 상기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여 게임볼에 불규칙한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구동수단(82)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브러시 카트리지(32)와, 게임볼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장치(28)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ball washing apparatus used for cleaning game balls such as billiard balls. The ball wa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housing 14, spins 54 rotatably install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housing, fitted to the spindle to rotate with it, and a game ball. A turntable 56 having a disk for supporting the blade, a rotary blade 64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turntable and isolating game balls, and rotating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The driving means 82 causes an irregular rotational motion to the game ball, a brush cartridge 32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a cleaning solution supply device 28 for supplying the cleaning solution to the game ball.

Description

자동 볼세척장치Automatic Ball Washing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볼세척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볼세척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ll washing apparatus of FIG.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해서 본 횡당면도이다.3 is a transverse eleva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하우징의 내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브러시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ush cartridge detachably fit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제5도는 스핀들에 대한 스크류축, 턴테이블의 허브 및 회전날개의 허브의 위치관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w shaft, the turntable hub and the hub of the rotary blade with respect to the spindle.

제6도는 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or blade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 isolating the ball.

제7도(a) 및 (b)는 턴테이블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그 회전력이 볼을 통해서 회전날개에 전달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7 (a) and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blade through the ball during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turntable.

제8도는 턴테이블 및 회전날개를 승강운동시키기 위한 승강기구의 단면도로서, 스크류축이 최하측 위치로 하강해 있는 것을 나타낸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turntable and the rotary blade, and shows that the screw shaft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제9도는 제8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스크류축이 최상측위치로 상승해 있는 것을 나타낸다.FIG. 9 is a view similar to FIG. 8, showing that the screw shaft is raised to the uppermost position.

제10도는 세척액 공급장치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제11도는 세척액을 하우징내로 분사하는 노즐의 확대단면도이다.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f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into the hous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지지프레임 12 : 콘트롤박스10: support frame 12: control box

14 : 하우징 16 : 덮개14 housing 16 cover

28 : 세척액 공급장치 32 : 브러시 카트리지28: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32: brush cartridge

54 : 스핀들 56 : 턴테이블54: spindle 56: turntable

B : 게임볼 64 : 회전날개B: Game Ball 64: Rotating Wings

70 : 스크류축 82 : 구동모터70: screw shaft 82: drive motor

88 : 승강기구 108 : 마찰클러치88: lifting mechanism 108: friction clutch

본 발명은 게임볼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게임볼, 예를 들면, 당구공 또는 포켓볼을 적정량의 세척액을 공급하면서 편마모 없이 단시간내에 세척할 수 있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me ball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ball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cleaning a game ball having a smooth surface, for example, a billiard ball or a pocket ball in a short time without uneven wear while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cleaning liquid. .

일반적으로, 당구공은 그 사용중 표면에 부착된 쵸크나 먼지, 반점, 손가락자국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주 세척을 해야 한다. 표면이 더러운 당구공을 사용해서 게임을 하면, 당구공의 진행방향이 일정치 못하고 이동거리가 짧아져서 게임의 즐거움을 저감시키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 billiard ball should be cleaned frequently to remove any chalk, dust, spots, finger marks, etc. adhering to the surface during use. This is because if the game is played using a dirty billiard ball, the direction of the billiard ball is not constant and the moving distance is shortened, thereby reducing the enjoyment of the game.

당구공의 표면세척은 수작업으로 행하여 지는 경우가 많다. 즉, 사용후의 당구공 하나하나에 세척제를 바른 후 면직물 등으로 강하게 문질러서 세척을 행함과 동시에 광택을 내고 있다. 그런데, 대개의 당구장은 수십개 혹은 수백개의 당구공을 일시에 게임용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세척대상으로 되는 당구공의 수도 그에 비례해서 증가하기 마련이다. 이와같이 많은 수의 당구공을 손으로 일일이 닦아주려면, 오랜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세척작업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일시에 많은 손님이 당구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오염된 당구공을 닦아줄 시간적 여유가 충분치 못하므로, 여분의 당구공을 미리 준비해 두거나 당구공을 닦는 종업원을 별도로 채용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Surface cleaning of billiard balls is often performed by hand. That is, after applying the cleaning agent to each one of the billiard balls after use, and rubbed strongly with a cotton fabric or the like to wash and at the same time give a gloss. By the way, since most billiards rooms provide dozens or hundreds of billiard balls for games at a time, the number of billiard balls to be washed is proportionately increased. To wipe such a large number of billiard balls by hand, not only takes a long time but also requires a very difficult and cumbersome washing operation. In addition, when a large number of customers play billiards at a time,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wiping the contaminated billiard ball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xtra billiard ball is prepared in advance or an employee who polishes the billiard balls must be hired separately.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영국특허공보 제2189156A호에서는, 하우징의 상부에 구동모터가 수납되고, 이 구동모터는 변속기를 통해서 세척벨트에 연결되고, 이 세척벨트는 컨테이너내에 담겨진 복수개의 볼과 마찰접촉하도록 하우징의 하부에 배설되어 있는 볼세척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세척벨트의 하부에서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볼을 수용하기 위한 격실을 갖는 트레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세척제 저장조를 구비하며, 이 세척제 저장조에는 공급수단이 부착되어서 세척제를 세척벨트를 거쳐 볼의 표면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view of this problem, in British Patent No. 2189156A, a drive motor is housed in an upper portion of a housing, which drive motor is connected to a washing belt through a transmission, and the washing belt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a plurality of balls contained in a container. It is proposed a ball washing devic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containe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belt, and consists of a tray having a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ball. In addition, the housing has an externally accessible detergent reservoir, which is attached to the detergent reservoir and configured to supply the detergent to the surface of the ball via the belt.

상기 영국특허공보의 볼세척장치는 다수의 볼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수동세척방식에 비해 장점을 갖는 것이나, 세척공정중 볼이 세척벨트에 의해서 오직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볼표면의 많은 부분이 거의 닦이지 않은채로 남아있게 된다. 또한, 볼이 특정부위만이 세척벨트와 계속해서 마찰접촉하게 되므로, 볼이 편마모되어 잘 구르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더욱이, 세척벨트의 장력이 충분치 않을 경우에는, 세척벨트가 트레이상에 놓여진 볼에 확실하게 마찰접촉하기 어렵고, 그 결과 일부의 볼에 대하여는 세척작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도 있다. 그밖에도, 상기 영국특허공보의 볼세척장치는 세척후의 볼에 잔류하는 세척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볼표면에 광택을 내는 데에도 부적합하다.The ball washing device of the British Patent Publication has an advantage over the manual washing method in that it can automatically wash a plurality of balls, but the ball is rotated about one axis by the washing belt during the washing process As a result, much of the surface of the ball remains barely polished. In addition, since the ball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only a certain portion of the cleaning belt continuously, there is a fear that the ball wears unevenly and does not roll easily. Moreover, when the tension of the cleaning belt is not sufficient, it is difficult for the cleaning belt to reliably frictionally contact the ball placed on the tray, and as a result, some of the balls may not be cleaned at all. In addition, the ball cleaning device of the British Patent Publication is not only una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cleaning agent remaining on the ball after washing, but also is unsuitable for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ball.

본 발명자는 위에서 인용한 종래 볼세척장치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회전날개형 볼세척장치를 개발하여 1995년 6월 8일자로 특허출원을 하였고, 이 특허출원은 현재 출원번호 제95-15075호로서 한국 특허청에 계류중이다. 이 특허출원의 볼세척장치는 상단에 접근개구가 마련되고 하단이 막혀 있는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의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상 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고, 복수개의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에 결합되며, 각각의 게임볼을 분리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리세스가 원주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회전날개와, 상기 스핀들과 상기 턴테이블을 함께 회전구동함으로써, 게임볼이 불규칙하게 자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날개를 밀면서 스핀들을 중심으로 유성운동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턴테이블과 회전날개는 게임볼의 세척이 행하여지는 하강위치와 게임볼의 광택내기가 행하여지는 상승위치사이에서 승강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슬리브형의 세척포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턴테이블의 아래에는 세척액 저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세척액 저장실내의 세척액은 임펠러에 의해 펌핑되어 하우징 측벽의 채널을 통해 게임볼로 공급된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rotary wing type ball washer that can solve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ball washer cited above and filed a patent application on June 8, 1995, which is currently filed a patent application No. 95-15075. He is pending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patented ball washing device includes a generally cylindrical housing having an access opening at the top and a closed bottom, a spindle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center axis of the housing. A turntable fitted to the spindle to rotate with it, the turntable having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game balls, and coupled to the spindle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turntable, A plurality of recesses for accommodating the game ball in a separated state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ry blade, and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are rotated together so that the game ball rotates irregularly and simultaneously pushes the rotary blade. It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to make a planetary movement around the. The turntable and the rotary blade are moved up and down between the lowered position where the game ball is washed and the raised position where the game ball is polished. A sleeve-type washing cloth cartridge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washing liquid storage chamber is provided below the turntable. The wash liquid in the wash liquid reservoir is pumped by the impeller and supplied to the game ball through the channel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상기 특허출원 제95-15075호의 볼세척장치는 게임볼을 편마모없이 단시간내에 자동세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세척포 카트리지가 면직물이나 부직포 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게임볼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세척액중의 고형성분이 세척포내로 스며들어 굳어버리는 결과, 세척포의 세척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염려가 있다. 또한, 세척포 카트리지의 내주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게임볼의 회전방향을 자주 바꾸어 주어 세척효율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It is true that the ball washing device of Patent Application No. 95-15075 has the ability to automatically clean a game ball in a short time without wear. However, since the cleaning cloth cartridge is made of cotton or non-woven fabric,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game ball, and as a result, the solid component in the cleaning solution penetrates into the cleaning cloth and becomes solid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fear that this i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cloth cartridge is design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by frequentl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ame ball.

그리고, 회전날개의 블레이드가 단순한 형상의 수직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턴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게임볼이 블레이드의 수직면에 회전접촉하는 과정에서 심한 마찰저항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게임볼이 블레이드의 수직면에 걸려 수평축을 중심으로 한 자전이 어려워지면서 턴테이블의 디스크에 누름력을 작용하게 되고, 게임볼과 턴테이블이 일체로 회전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턴테이블의 회전력은 게임볼을 통해 회전날개로 거의 모두 전달되고, 회전날개는 원심클러치의 통제속도를 넘어 지나치게 고속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게임볼이 과도한 원심력에 의해 본래의 자리에서 튀어 나갈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게임볼의 세척효율이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lade of the rotary blade has a vertical surface of a simple shape, a severe frictional resistance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game ball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of the bla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urntable. As a result, the game ball is caught on the vertical plane of the blade, making it difficult to rotate about the horizontal axis, and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disk of the turntable, resulting in the game ball and the turntable rotating integrally.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urntable is almost transmitted to the rotor blades through the game ball, and the rotor blades rotate at too high speed beyond the control speed of the centrifugal clutch, which may cause the game ball to pop out of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excessive centrifugal force. In addition, the motor is overloaded and the game ball's cleaning efficiency is reduced.

더욱이, 상기 볼세척장치에 의하면, 턴테이블의 아래에 세척액 저장실이 마련되어 있는 관계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높이가 크게 증가하고, 또한 장치의 작동중에는 대량의 세척액이 게임볼에 끊임없이 공급되기 때문에 세척액 공급시기 및 공급량을 임의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Moreover, according to the ball washer,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is not only complicated, but the height thereof is greatly increased due to the fact that the washing liquid storage chamber is provided under the turntable, and a large amount of the washing liquid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game ball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rbitrarily control the washing liquid supply timing and supply amou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게임볼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세척기능을 상실하지 않으며 게임볼의 회전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브러시 카트리지를 갖는 자동 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effectively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game ball, and does not lose the washing function even in a long time use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game ball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having a brush cartridge tha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볼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턴테이블의 회전력이 게임볼을 통해 과다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회전날개를 갖는 자동 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having a rotary wing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prevented from excessivel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urntable by the game ball to rotate smoothly about the horizontal axi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볼세척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세척액의 공급시기 및 공급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액 공급장치를 구비한 자동 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ball washing apparatus having a washing liquid supply device which can help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ball washing apparatus and allow the user to arbitrarily select a supply time and supply amount of the washing liquid.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게임볼에 회전운동을 유발시켜서 그 표면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사용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며,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복수개의 게임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와, 상기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여 게임볼에 불규칙한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게임볼을 문지르는 강모, 게임볼에 세척액을 묻혀주는 세척액 흡수패드 및 게임볼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탄성블록을 갖는 브러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ball washer apparatus which is used to induce a rotational motion to a game ball to automatically clean its surface, the cylindrical housing being rotatably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housing. A turntable having a spindle to be installed, a disk fitted to the spindle and rotating therewith, the disk supporting the gameball, and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gameballs that are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turntable and that isolate the plurality of gameballs. A rotary blade having two blades, driving means for causing an irregular rotational motion to the game ball by rotating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and being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bristles rubbing the game ball, and washing liquid to the game ball. Brush with buried wash liquid absorbing pad and elastic block to chang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game ball Automatic Ball containing cartridge can be achieved by a cleaning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게임볼에 회전운동을 유발시켜서 그 표면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며,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여 게임볼에 불규칙한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게임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각각의 블레이드는 제1 및 제2의 수직표면과 이들 수직표면의 하측선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의 경사면을 갖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ball washing apparatus used to clean a surface by causing a rotational motion to a game ball, the cylindrical housing being rotatably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housing. A turntable having a spindle, a disk fitted to the spindle to rotate therewith, the disk supporting the game ball, and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to cause an irregular rotational motion to the game ball; It is relatively rotatable relative to the turntable and has a plurality of blades for isolating game balls, each blade having first and second vertical surfaces and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se vertical surfaces. It can be achieved by an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including a rotary blade.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게임볼에 회전운동을 유발시켜서 그 표면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며,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게임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와, 상기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여 게임볼에 불규칙한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게임볼을 문지르는 강모, 게임볼에 세척액을 묻혀주는 세척액 흡수패드 및 게임볼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탄성블록을 갖는 브러시 카트리지와, 상기 브러시 카트리지의 세척액 흡수패드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볼세척 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ball washing apparatus used to clean a surface of a game ball by causing a rotational movement, the cylindrical housing being rotatably vertical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housing. A turntable having a spindle, a disk fitted to and rotating with the spindle, the disk supporting the game ball, and a plurality of blades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turntable and isolating the game ball. Absorption of the cleaning solution to the rotating blades,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to cause an irregular rotational motion to the game ball,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the bristles rubbing the game ball, the cleaning liquid on the game ball Brush cartridge having an elastic block for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d and the game ball, It can be achieved by an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including a cleaning solution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cleaning solution to the cleaning solution absorbing pad of the old brush cartridge.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볼세척장치는 지지프레임(10)과, 이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부착된 콘트롤박스(12)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4)과, 이 하우징(14)의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덮개(16)로 이루어진다. 콘트롤박스(12)에는 전원스위치(18), 스타트스위치(20), 비상정지스위치(22), 정회전 타이머스위치(24) 및 역회전 타이머스위치(26)가 설치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볼세척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4)의 일측에는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all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10, a control box 12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frame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0.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housing 14 to be mounted and a cover 16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The control box 12 is provided with a power switch 18, a start switch 20, an emergency stop switch 22, a forward rotation timer switch 24 and a reverse rotation timer switch 26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ball washing device. Make it convenient to operate. One side of the housing 14 is provided with a washing liquid supply device 28 for supplying the washing liquid.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볼세척장치의 내부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의 상단에는 덮개(16)에 의해 개폐되는 접근개구가 마련되고, 그 바닥은 바닥판(30)에 의해서 막혀 있다. 또한, 하우징(14)의 내면에는 브러시 카트리지(32)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3도를 보면 상기 하우징(14)은 축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키이(14a)를 갖는데, 이들 키이(14a)는 브러시 카트리지(32)를 원주방향으로 고정시켜서 게임볼(B)의 세척과정중 브러시 카트리지(32)가 하우징(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ll wa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detail. As show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4 is provided with an access opening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16, the bottom of which is blocked by the bottom plate (30). In addition, the brush cartridge 3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4. 3, the housing 14 has a plurality of keys 14a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se keys 14a fix the brush cartridge 3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wash the game ball B. As shown in FIG. The heavy brush cartridge 32 is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housing 14.

제3도 및 제4도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브러시 카트리지(32)는 서로 합쳐졌을 때 하나의 원통체를 이루는 제1반부(34)와 제2반부(36)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반부(34)(36)의 내면에는 강모(38), 예를 들면, 돈모가 식설됨과 아울러 다수의 길이방향 홈(40)이 브러시 카트리지(32)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강모(38)의 게임볼(B)이 하우징(14)의 원주방향으로 공전할 때 원심력에 의한 마찰계수를 줄여서 게임볼(B)의 공전 및 자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세척액중의 고형성분이 브러시 카트리지(32)의 내주면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게임볼에 눌리더라도 영구적인 굽힘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반부(34)(36)의 내면에 다수개의 길이방향 홈(40)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각각의 반부(34)(36)가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잘 휘어지도록 하여 브러시 카트리지(32)의 조립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As can be seen from FIG. 3 and FIG. 4, the brush cartridge 32 is divided into a first half portion 34 and a second half portion 36, which, when combined, form a cylindrical bod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alves 34, 36, bristles 38, for example piglets, are implanted,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40 are evenly spac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ush cartridge 32. It is formed. When the game ball B of the bristles 38 revol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using 14, the friction coefficient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is reduced to smoothly revolve and rotate the game ball B and to remove the In order to prevent the solid component from accumulat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cartridge 32, it is preferable to have sufficient elasticity not to cause permanent bending deformation even when pressed by the game ball. 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4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portions 34 and 36 is to allow each half 34 and 36 to bend to a desired radius of curvature. This is for convenience in assembling the cartridge 32.

상기 제1 및 제2반부(34)(36)의 외면에는 각각 2개의 키이홈(42)이 형성되며, 이들 키이홈(42)은 상술한 하우징(14)의 대응 키이(14a)와 결합하게 된다. 키이(14a) 및 키이홈(42)의 갯수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이 아니므로 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키이조립방식 대신에 스크류나 벨크로 고정구를 이용해서 상기 제1 및 제2반부(34)(36)를 하우징(14)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구조의 제1 및 제2반부(34)(36)는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Two key grooves 4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alves 34 and 36, respectively, and these key grooves 42 engage with the corresponding keys 14a of the housing 14 described above. do. The number of the keys 14a and the key grooves 42 is not critical to the present invention, so increasing or decreasing them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first and second halves 34 and 36 to the housing 14 using screws or Velcro fasteners instead of the key assembly method. The first and second halves 34 and 36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plastic.

상기 브러시 카트리지(32)의 제1반부(34)에는 세척액 흡수패드(4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세척액 흡수패드(44)는 제3도 및 제10도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의 베이스층(46)과, 세척액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중간층(48)과, 이 중간층(48)에서 배어나온 세척액을 게임볼(B)에 묻혀주는 세척액 분배층(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층(46), 중간층(48) 및 분배층(50)은 각각 고무, 스펀지 그리고 면직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배층(50)은 위에서 설명한 강모(38)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돌출시켜서 세척공정중 게임볼이 원활히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cleaning liquid absorbing pad 44 is attached to the first half 34 of the brush cartridge 32. The washing liquid absorbing pad 44 has a liquid impermeable base layer 46, an intermediate layer 48 capable of absorbing and storing the washing liquid, and the intermediate layer 48 as shown in FIGS. Washing liquid oozed from the game ball (B) is made of a wash liquid distribution layer 50 is buried. The base layer 46, the intermediate layer 48 and the distribution layer 50 is preferably made of rubber, sponge and cotton fabric,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layer 50 is preferably protruded to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bristle 38 described above to ensure that the game ball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process smoothly.

한편, 상기 브러시 카트리지(32)의 제2반부(36)에는, 예를들면, 고무로 제조된 탄성블록(52)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탄성블록(52)은 주변의 강모(38)보다 높게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세척공정중 게임볼(B)이 탄성블록(52)에 부딪쳐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그 회전방향을 다양하게 바꾸도록 한다. 도면에는 상기 탄성블록(52)이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변경하더라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an elastic block 52 made of rubber is adhesively fixed to the second half portion 36 of the brush cartridge 32. The elastic block 52 protrudes radially inwardly higher than the surrounding bristles 38, so that the game ball (B) is pushed inwards against the elastic block 52 during the washing process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in various ways. do. Although the elastic block 52 is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he drawing, it may be changed to various other shapes as necessary.

제2도를 다시 보면, 상기 하우징(14)의 내부에는 스핀들(54)이 그 바닥으로부터 중심축선을 따라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스핀들(54)은 그 중심을 관통해서 형성된 축방향의 보어를 갖는다. 스핀들(54)에는 턴테이블(56)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키이 또는 스플라인을 통해 결합된다. 턴테이블(56)은 게임볼(B)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58)와 이 디스크(58)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허브(60)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58)의 상면은 게임볼(B)이 하우징(14)의 내면을 향해 굴러가서 브러시 카트리지(32)에 접촉할 수 있도록 외측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56)의 디스크(58)는 교체가능한 커버(62)로 둘러싸여 있다. 이 커버(62)는 게임볼(B)과 마찰접촉하여 세척 및 광택내기를 하는 것으로서, 연질의 작물, 예를 들면, 면직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spindle 54 extends vertically upwardly along the central axis from the bottom thereof in the housing 14. As shown in FIG. This spindle 54 has an axial bore formed through its center. The spindle 54 is coupled via a key or spline so that the turntable 56 can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urntable 56 is composed of a disk 58 for supporting the game ball B and a hub 60 protruding upward from the disk 5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58 is a game ball B. It is inclined outwardly downward so as to roll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4 and contact the brush cartridge 32. The disk 58 of the turntable 56 is then surrounded by a replaceable cover 62. The cover 62 is washed and polished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game ball B, and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crop, for example, cotton fabric.

상기 턴테이블(56)의 허브(60)에는 회전날개(64)가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제3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상기 회전날개(64)는 상기 턴테이블(56)의 허브(60)에 동심으로 결합되는 허브(66)와, 세척하고자 하는 게임볼(B)을 격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허브(66)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 예를 들면, 6개의 블레이드(68)로 구성된다.The rotating blade 64 is rotatably fitted to the hub 60 of the turntable 56. As shown in FIGS. 3 and 6, the rotary blade 64 isolates the hub 66 coupled concentrically to the hub 60 of the turntable 56 and the game ball B to be cleaned.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blades 68, for example six blades 68 extending radially from the hub 66.

제6도를 보면,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68)는 제1 및 제2의 수직표면(68a)(68b)과 이들 각 수직표면(68a)(68b)의 외측하단에 짧은 길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의 경사면(68c)(68d)을 갖추고 있다. 상기 제1경사면(68c)의 경사각도는, 턴테이블(56)이 제7도(a)에서처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게임볼(B)을 가상선 위치로부터 실선위치로 이동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게임볼(B)이 점 P1에서 블레이드(68)와 접촉하여 제1의 경사면(68c)을 타고 상방으로 올라가려는 경향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경사면(68d)의 경사각도는, 턴테이블(56)이 제7도(b)에서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게임볼(B)을 가상선 위치로부터 실선위치로 이동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게임볼(B)이 점 P2에서 블레이드(68)와 접촉하여 제2의 경사면(68d)타고 상방으로 올라가려는 경향을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경사면(68c)(68d)은 블레이드(68)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시켜도 무방하다.Referring to FIG. 6, each of the blades 68 has a first length and a short length formed at the outer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rfaces 68a and 68b and the respective vertical surfaces 68a and 68b. Second inclined surfaces 68c and 68d are provid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68c assumes that the turntable 56 is rotated clockwise as in FIG. 7A to move the game ball B from the virtual line position to the solid line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B) is in contact with the blade 68 at the point P1 and has a tendency to climb upwar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68c. Similarl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8d assumes that the turntable 56 rotates counterclockwise as in FIG. 7 (b) to move the game ball B from the virtual line position to the solid line posi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et so that the game ball B is in contact with the blade 68 at point P2 and has a tendency to climb upwar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68d. If necessar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68c and 68d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lade 68.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날개(64)가 6개의 블레이드(68)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블레이드의 수를 일반 당구 게임볼의 수에 맞춰서 4개로 줄일 수도 있고, 포켓당구 게임볼 수에 맞춰서 16개로 늘릴 수도 있을 것이다. 블레이드(68)의 수가 늘어날수록 그 길이는 길어져야만 원하는 수의 게임볼을 블레이드(68) 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rotary blade 64 is shown as having six blades 68 in the embodiment of the figure, the number of blades may be reduced to four according to the number of general billiard game balls, or the number of pocket billiard game balls, if necessary. You can increase this to 16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blades 68 increases, the length must be longer to accommodate the desired number of game balls between the blades 68.

한편, 상기 스핀들(54)의 축방향 보어에는 스크류축(70)이 회전운동 및 승강운동가능한 상태로 끼워진다. 이 스크류축(70)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핀들(54)의 상단을 지나 상방으로 돌출하는 소직경의 돌출헤드(70a)와, 이 소직경의 돌출헤드(70a)와 스핀들(54)의 나머지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걸림면(70b)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돌출헤드(70a)의 자유단 근방에는 수나사부(70c)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70c)에는 대략 반구형의 캡너트(72)가 나사결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crew shaft 70 is fitted to the axial bore of the spindle 54 in a state capable of rotating and lifting. As shown in FIG. 5, the screw shaft 70 has a small diameter projecting head 70a projecting upwardly beyond the upper end of the spindle 54, and the small diameter projecting head 70a and the spindle. An annular engaging surface 70b formed between the remaining portions of 54 is provided. In addition, a male screw portion 70c is formed near the free end of the protruding head 70a, and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cap nut 72 is screwed into the male screw portion 70c.

상기 스크류축(70)의 돌출헤드(70a)와 상기 턴테이블(56)의 허브(60)와의 사이에는 환상의 간극이 마련되며, 이 환상의 간극에는 스러스트 베어링(74)과 레이디얼 베어링(76)이 스페이서 링(78)을 사이에 두고 끼워진다. 이들 스러스트 베어링(74)과 레이디얼 베어링(76)은 턴테이블(56)의 허브(60)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면(60a)와 허브(60)의 자유단 근방에 끼워진 스냅링(80)에 의해서 제자리에 유지된다.An annular clearance is provided between the protruding head 70a of the screw shaft 70 and the hub 60 of the turntable 56, and the annular clearance is provided with a thrust bearing 74 and a radial bearing 76. The spacer ring 78 is sandwiched therebetween. These thrust bearings 74 and radial bearings 76 are in place by a locking surface 60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ub 60 of the turntable 56 and a snap ring 80 fitted near the free end of the hub 60. Is maintained on.

상기 회전날개(64)의 허브(66)는 그 자유단에 상기 스크류축(70)의 돌출헤드(70a)를 둘러싸는 칼라(66a)를 구비하며, 이 칼라(66a)는 캡너트(72)와 레이디얼 베어링(76)의 내륜(內輪)과의 사이에 견고하게 협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크류축(70)과 회전날개(64)의 허브(66)는 일체로 고정되어 스핀들(54) 및 턴테이블(56)의 허브(60)에 대하여 상대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70)의 승강운동시에는, 회전날개(64)의 허브(66)뿐만 아니라 턴테이블(56)의 허브(60)도 함께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hub 66 of the rotary blade 64 has a collar 66a at its free end that surrounds the protruding head 70a of the screw shaft 70, which is a cap nut 72. And firmly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ring of the radial bearing 76.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crew shaft 70 and the hub 66 of the rotary blade 64 are integrally fixed so that they can move relative to the hub 60 of the spindle 54 and the turntable 56. In addition, during the lifting motion of the screw shaft 70, not only the hub 66 of the rotary blade 64 but also the hub 60 of the turntable 56 moves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54)과 턴테이블(56)은 구동모터(82)에 의해서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구동모터(82)의 회전력은 그것의 출력축(82a)에 착설된 구동기어(84)와 스핀들(54)의 하단에 착설된 종동기어(86)를 통해서 스핀들(54)로 전달된다. 구동모터(8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핀들(54) 및 턴테이블(5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턴테이블(56)상의 게임볼(B)은 시계방향으로의 불규칙한 운동을 하면서 제3도 및 제7도의 우측에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회전날개(64)를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스크류축(70)도 회전날개(64)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spindle 54 and the turntable 56 are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drive motor 82. As shown in FI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82 is transmitted to the spindle 54 through the drive gear 84 mounted on its output shaft 82a and the driven gear 86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pindle 54. When the driving motor 8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otates the spindle 54 and the turntable 56 clockwise, the game ball B on the turntable 56 performs the irregular movement in the clockwise direction. It moves to the same position as shown by the solid line on the right side of 7 degree | times, and thereby rotates the rotary blade 64 and rotates clockwise. At this time, the screw shaft 70 also rotates clockwise with the rotary blade 64.

제8도를 참조하면, 스크류축(70)의 회전운동을 축방향의 승강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상기 턴테이블(56) 및 회전날개(64)가 볼의 세척이 행하여지는 하강위치와 볼의 광택내기가 행하여지는 상승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기구(88)가 도시되어 있다. 이 승강기구(88)는 스크류축(70)의 하단부를 따라 형성된 수나사부(70d)에 나사결합되어서, 스크류축(70)을 상기 하강위치에 대응하는 최하측위치와 상기 상승위치에 대응하는 최상측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turning position of the screw shaft 70 is converted into an axial lifting movement so that the turntable 56 and the rotary blade 64 are polished in the lowered position and the ball is polished. An elevating mechanism 88 is shown to elevate between the ascending position to be performed. The elevating mechanism 88 is screwed into the male screw portion 70d form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screw shaft 70, so that the screw shaft 70 has the lowe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ed position and the highe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sed position. It will raise and lower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side positions.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88)는 스크류축(70)의 수나사부(70d)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90a)를 갖는 슬리브(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슬리브(90)는 베어링(92)을 개재하여 원통형의 고정지지체(9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고정지지체(94)는 적절한 취부수단에 의해 볼세척장치의 프레임(10)에 취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제어기구(88)는 스크류축(70)이 최하측위치와 최상측위치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크류축(70)과 슬리브(90)간의 상대운동을 방지하는 상측 및 하측 스톱퍼(96)(98)를 구비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elevating mechanism 88 has a sleeve 90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90a which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70d of the screw shaft 70. As shown in FIG. The sleeve 90 is rotatably supported by a cylindrical fixed support 94 via a bearing 92, which is fixed to the frame 10 of the ball washer by suitable mounting means. have. In addition, the elevating control mechanism 88 has an upper side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screw shaft 70 and the sleeve 90 when the screw shaft 70 is in any one of the lowermost position and the uppermost position. Lower stoppers 96 and 98 are provided.

상측 스톱퍼(96)는, 상기 스크류축(70)에 돌설된 계지돌기(100)와, 상기 스크류축(70)이 제8도에서처럼 최하측위치로 하강했을 때 계지돌기(100)와 당접하도록 상기 슬리브(90)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멈춤돌기(102)로 구성되고, 하측 스톱퍼(98)는, 상기 상측계지돌기(10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스크류축(70)에 돌설된 하측 계지돌기(104)와, 상기 스크류축(70)이 제9도에서처럼 최상측위치로 상승했을 때 하측 계지돌기(104)와 맞닿아 접촉하도록 상기 슬리브(90)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 멈춤돌기(106)로 이루어진다.The upper stopper 96 contacts the locking projection 100 protruding from the screw shaft 70 and the locking projection 100 when the screw shaft 70 is lowered to the lowermost position as shown in FIG. The upper stopper 102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leeve 90, the lower stopper 98, the lower stopper protrusion (protruded on the screw shaft 7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topper 100) 104 and a lower stopper 10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leeve 90 so that the screw shaft 70 abuts against the lower locking projection 104 when the screw shaft 70 is raised to the uppermost position as shown in FIG. .

상기 슬리브(90)는 마찰클러치(108)에 의해서 상기 고정지지체(94)에 선택적으로 고착된다. 이 마찰클러치(108)는, 슬리브(9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압력판(110)과, 슬리브(90)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스프링지지판(112)과, 상기 압력판(110)과 스프링지지판(112)과의 사이에 구속되어 상기 압력판(110)을 고정지지체(94)의 저면을 향해 눌러주는 압축스프링(114)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마찰클러치(108)는, 슬리브(90)에 비교적 약한 토오크가 작용할 때, 즉 스크류축(70)이 최상측위치와 최하측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할때에는, 슬리브(90)와 고정지지체(94)를 연결상태로 유지하여 슬리브(90)의 회전을 방지하지만, 슬리브(90)에 비교적 강한 토오크가 작용할 때, 즉 스크류축(70)이 최상측위치와 최하측위치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회전할때에는, 슬리브(90)와 고정지지체(94)간에 슬립현상을 유발시켜서 슬리브(90)가 스크류축(7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한다.The sleeve 90 is selectively secured to the fixed support 94 by a friction clutch 108. The friction clutch 108 includes a pressure plate 110 movably fitted to the sleeve 90 in an axial direction, a spring support plate 112 screwed to a lower end of the sleeve 90, and the pressure plate 110. It is provid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plate 112 and the compression spring 114 for pressing the pressure plate 110 toward the bottom of the fixed support (94). This friction clutch 108 has a sleeve 90 and a fixed support 94 when a relatively weak torque is applied to the sleeve 90, i.e., when the screw shaft 70 rotates between an uppermost position and a lowermost position. Is kept in the connected state to prevent rotation of the sleeve 90, but when a relatively strong torque is applied to the sleeve 90, i.e., the screw shaft 70 may rotate in either the uppermost position or the lowermost position. At this time, a slip phenomenon is caused between the sleeve 90 and the fixed support 94 so that the sleeve 9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crew shaft 70.

제2도를 다시 보면, 상기 승강기구(88)의 옆에는 과속방지기(116)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과속방지기(116)는 상기 스크류축(70)에 부착된 구동기어(118)와 이 구동기어(118)에 맞물리는 종동기어(120)를 통해서 스크류축(7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과속방지기(116)는 상기 스크류축(70) 및 회전날개(64)가 미리 설정된 최고제한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는 원심력식 과속방지기를 들 수 있다. 원심력식 과속방지기는 기계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Looking back to Figure 2, it can be seen that the speed preventing device 116 is fixedly installed next to the elevating mechanism 88. The speed preventer 116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crew shaft 70 through the drive gear 118 attached to the screw shaft 70 and the driven gear 120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18. The speed preventer 116 prevents the screw shaft 70 and the rotary blade 64 from rotating above a preset maximum speed limit,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ncludes a centrifugal force speed preventer. Centrifugal force overspeed protectors are well known in the mechanical arts,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0도에는 게임볼(B)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장치(28)의 상세구조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세척액 공급장치(28)는 연마제가 혼합된 세척액을 저장하는 저장통(122)을 구비하며, 저장통(122)의 상부에는 세척액 주입구(124)가 설치되는 한편, 저장통(122)의 하부에는 끝이 고무마개로 막힌 배출호스(12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장통(122)의 상부에는 전기모터(128)가 부착되어 있고, 이 전기모터(128)는 저장통(122)의 바닥부 근방까지 길게 연장된 출력축(130)을 갖는다. 이 출력축(130)의 자유단에는 세척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날개(132)가 달려있다. 세척액을 교반하는 이유는 세척액에 혼합된 연마제가 저장통(122)의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10,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supply apparatus 28 for supplying a washing | cleaning liquid to the game ball B is shown by sectional drawing. The washing liquid supply device 28 has a reservoir 122 for storing the washing liquid in which the abrasive is mixed, and the washing liquid inlet 124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122, while the lower end of the reservoir 122 is provided. A discharge hose 126 clogged with a rubber stopper is installed. In addition, an electric motor 128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122, and the electric motor 128 has an output shaft 130 that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reservoir 122. The free end of the output shaft 130 is attached to the stirring blades 132 for stirring the washing liquid. The reason for stirring the washing liquid is to prevent the abrasive mixed in the washing liquid from sinking to the bottom of the reservoir 122.

상기 교반날개(132)의 바로 윗쪽에는 유체펌프(134)가 배치되며, 이 유체펌프(134)는 한쌍의 지지봉(136)에 의해서 저장통(122)에 고정지지된다. 상기 유체펌프(134)는 펌프 케이싱(138)과 이 펌프 케이싱(138)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전기모터(1328)의 출력축(130)에 고정된 임펠러(140)로 이루어진다. 펌프 케이싱(138)은 그 중앙에 형성된 유체도입공(138a)과 외측가장자리에 형성된 유체배출공(138b)을 갖추고 있다. 상기 유체배출공(138b)에는 순환호스(142)의 일단부가 접속되고, 순환호스(142)의 타단부는 저장통(122)의 천정부 바로 아래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펌프(134)가 작동하면 저장통(122)내의 세척액은 순환호스(142)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순환하게 된다.A fluid pump 134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stirring blade 132, and the fluid pump 134 is fixed to the reservoir 122 by a pair of support rods 136. The fluid pump 134 is composed of a pump casing 138 and an impeller 140 fixed to an output shaft 130 of the electric motor 1328 so as to rotate inside the pump casing 138. The pump casing 138 has a fluid introduction hole 138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fluid discharge hole 138b formed at the outer edge thereof. One end of the circulation hose 142 is connected to the fluid discharge hole 138b, and the other end of the circulation hose 142 is opened directly under the ceiling of the reservoir 122. Therefore, when the fluid pump 134 is operated, the washing liquid in the reservoir 122 is continuously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hose 142.

또한, 상기 세척액 공급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순환호스(142)내의 세척액을 흡입하여 브러시 카트리지(32)의 세척액 흡수패드(44)로 분사하는 플런저 조립체(1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런저 조립체(144)는 원통형 하우징(14)의 외부에 부착되는 플런저 케이싱(146)과 이 플런저 케이싱(1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플런저(148)로 구성된다. 상기 플런저 케이싱(146)은 그 천장벽에 형성된 관통공(150)과, 이 관통공(150)에 나란히 형성된 공기구멍(151)과, 바닥면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하는 니플(152)과, 측벽에서 하우징(14)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노즐(154)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 케이싱(146)의 바닥벽에는 밸브시트(1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밸브시트(156)에는 볼(158)이 안착되어 니플(152)의 유체흡입포트(16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shing liquid supply device includes a plunger assembly 144 that sucks the washing liquid in the circulation hose 142 and sprays the washing liquid into the washing liquid absorbing pad 44 of the brush cartridge 32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 plunger assembly 144 consists of a plunger casing 146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he cylindrical housing 14 and a plunger 148 slidably assembled to the plunger casing 146. The plunger casing 146 includes a through hole 150 formed in the ceiling wall, an air hole 151 formed in parallel with the through hole 150, a nipple 15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Has a nozzle 154 protruding towar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4. A valve seat 156 is formed on the bottom wall of the plunger casing 146, and a ball 158 is seated on the valve seat 156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luid suction port 160 of the nipple 152. Done.

제11도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4)은 걸림턱(154a)과 분출공(154b)을 가지며, 분출공(154b)에는 밸브부재(162)가 충분한 간극을 두고 끼워져 있다. 밸브부재(162)는 나사부(162a)와 헤드부(162b)를 구비하며, 나사부(162a)에는 리테이너 너트(164)가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헤드부(162b)에는 오링(166)이 접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154)의 걸림턱(154a)과 상기 밸브부재(162)의 리테이너 너트(164)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68)이 설치되어서 평상시 밸브부재(162)를 닫힘위치로 탄성가압함으로써 분출공(154b)이 오링(166)에 의해 폐쇄되도록 한다. 플런저 케이싱(146)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밸브부재(162)가 압축스프링(168)의 힘을 이기고 열림위치로 이동하여 세척액을 노즐(154)의 분출공(154b)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As enlarged in FIG. 11, the nozzle 154 has a locking jaw 154a and a blowing hole 154b, and a valve member 162 is fitted with a sufficient gap in the blowing hole 154b. The valve member 162 includes a threaded portion 162a and a head portion 162b. The retainer nut 164 is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162a, and the O-ring 166 is adhesively fixed to the head portion 162b. In addition, a compression spring 168 is installed between the latching jaw 154a of the nozzle 154 and the retainer nut 164 of the valve member 162, and is ejected by elastically pressing the valve member 162 to the closed position. Allow ball 154b to be closed by O-ring 166. When the pressure in the plunger casing 146 increases, the valve member 162 overcomes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68 and moves to the open position so that the cleaning liquid is injected through the ejection hole 154b of the nozzle 154.

다시 제10도를 참조하면, 상기 플런저(148)는 플런저 케이싱(146)의 내부에 액밀적으로 조립되는 헤드(148a)와, 이 헤드(148a)로부터 플런저 케이싱(146)의 관통공(150)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되는 스템(148b)과, 이 스템(148b)의 외측단부에 부착되는 손잡이(148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템(148b)에는 나사부(148d)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조절너트(170)를 나사결합하여 플런저(148)의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148a)의 외측면에는 세척액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의 밀봉링(172,174,176)이 차례로 끼워지고, 상기 관통공(150)의 내주면에는 플런저(148)의 요동을 방지하는 스냅링(178)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48)는 평상시 압축스프링(180)에 의해서 신장위치로 탄성가압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148c)를 잡고 누를때에는 수축위치로 이동하면서 플런저 케이싱(146)내의 압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세척액이 노즐(154)을 통해 흡수패드(44)로 분사되도록 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0, the plunger 148 is a head 148a which is liquid-tightly assembled inside the plunger casing 146, and the through hole 150 of the plunger casing 146 from the head 148a. It consists of a stem 148b extending outwardly through and a handle 148c attached to an outer end of the stem 148b.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m 148d is formed on the stem 148b and the adjustment nut 170 is screwed thereto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plunger 148 can be adjusted. First to third sealing rings 172, 174, and 176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148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50 prevents the plunger 148 from shaking. Snap ring 178 is fitted. In addition, the plunger 148 is usually elastically pressurized to the extended position by the compression spring 180,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le 148c, the plunger 148 moves to the retracted position to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plunger casing 146. The nozzle 154 is sprayed onto the absorbent pad 44.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볼세척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볼세척장치의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있어서, 턴테이블(56)과 회전날개(64)는 제2도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상승위치로 이동해 있게 된다. 사용자는 덮개(16)를 열고 오염된 게임볼, 예를 들면, 당구공(B)을 턴테이블(56)상에 재치시킨 다음, 덮개(16)를 닫는다. 이어서, 제1도에 나타낸 전원스위치(18)은 온(ON)하고, 정회전 타이머스위치(24) 및 역회전 타이머스위치(26)를 조작하여 세척시간과 광택내기시간을 각각 설정한다. 그후, 스타트스위치(20)를 누르면, 모터(8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bal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fore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ball washing device, the turntable 56 and the rotary blade 64 are moved to the ascending position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 The user opens the cover 16, places a contaminated game ball, for example, a billiard ball B on the turntable 56, and then closes the cover 16. Subsequently, the power switch 18 shown in FIG. 1 is turned on, and the washing time and the glossing time are set by operating the forward rotation timer switch 24 and the reverse rotation timer switch 26, respectively. Then, when the start switch 20 is pressed, the motor 82 starts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모터(82)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스핀들(54)과 턴테이블(56)은 제3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턴테이블(56)상의 게임볼(B)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 브러시 카트리지(32)와 접촉한 상태에서 턴테이블(56)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날개(64)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준다. 회전날개(64)의 회전운동은 스크류축(70)의 회전운동으로 이어지고, 스크류축(70)은 승강기구(88)의 작용에 의해서 턴테이블(56) 및 회전날개(64)와 함께 서서히 하강하여, 결국은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최하측위치에 도달하게 된다.In response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82, the spindle 54 and the turntable 56 rotate clockwise in FIG. 3, so that the game ball B on the turntable 56 is pushed out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brushed. The rotary blade 64 is pushed clockwise while rotating clockwise with the turntable 56 in contact with the cartridge 32.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blade 64 leads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ew shaft 70, the screw shaft 70 is gradually lowered together with the turntable 56 and the rotary blade 64 by the action of the lifting mechanism 88 In the end, it reaches the lowest position as shown in FIG.

최하측위치에는 스크류축(70)의 회전력이 상측 스톱퍼(96)를 통해서 슬리브(90)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90)는 클러치(108)의 압력판(110)과 고정지지체(94)간의 마찰저항력을 극복하고 스크류축(7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크류축(70)은 더 이상 하강운동을 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때, 과속방지기(116)는 스크류축(70) 및 회전날개(64)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게임볼(B)이 턴테이블(56)로부터 튀어 오르지 못하도록 한다.In the lowermost posi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crew shaft 70 is transmitted as it is to the sleeve 90 through the upper stopper 96, whereby the sleeve 90 is the pressure plate 110 and the fixed support 94 of the clutch 108. To overcome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liver and to rotate with the screw shaft (70). Therefore, the screw shaft 70 no longer lowers, but rotates clockwise in place. In this case, the speed preventer 116 prevents the screw shaft 70 and the rotation blade 64 from rotating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thereby preventing the game ball B from bouncing off the turntable 56.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크류축(70)에 의해 하강위치(제2도의 실선위치)로 끌어내려진 턴테이블(56)은, 정회전 타이머스위치(24)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제어된 속도로 회전운동을 계속하고, 이에 따라 턴테이블(56)상의 게임볼(B)은 불규칙한 자전운동 및 스핀들(54)을 중심으로 유성운동을 병행하면서 턴테이블(56)의 커버(62)와 브러시 카트리지(32)에 의해 깨끗하게 세척된다.The turntable 56 pulled down by the screw shaft 70 to the lowered position (solid line position in FIG. 2) in this manner continues the rotational movement at a controlled speed for the time set by the forward rotation timer switch 24. Accordingly, the game ball B on the turntable 56 is cleanly cleaned by the brush cartridge 32 and the cover 62 of the turntable 56 while performing an irregular rotation and planetary motion around the spindle 54. .

그런데, 브러시 카트리지(32)의 내측면에는 탄성블록(52)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턴테이블(56)에 의해 회전하는 게임볼(B)은 제3도에서처럼 탄성블록(52)에 충돌하여 안쪽으로 바운드되고, 이로 인하여 게임볼(B)의 회전방향이 크게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게임볼(B)은 1회전 공전할때마다 탄성블록(52)의 작용에 의해서 브러시 카트리지(32)와의 접촉면이 달라지게 되므로 일부 표면만이 집중적으로 마모되거나 미세척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elastic block 52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rush cartridge 32, the game ball B rotated by the turntable 56 collides with the elastic block 52 and bounds inward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ame ball B is greatly changed. In this way, the game ball (B) i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rush cartridge 32 is changed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block 52 each time one revolution, so only a part of the surface remains intensively worn or left in a fine chuck state Can be prevented.

또한, 회전날개(64)의 블레이드(68)는 수직표면(68a)(68b)뿐만 아니라 경사면(68c)(68d)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게임볼(B)이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턴테이블(56)에 의해 회전할 때 블레이드(68)의 경사면(68c)(68d)을 타고 올라가려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턴테이블(56)의 회전력이 게임볼(B)을 통해 회전날개로 과다하게 전달되지 않고 게임볼(B)이 원활하게 자전하여 세척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blade 68 of the rotary blade 64 has not only the vertical surfaces 68a and 68b but also the inclined surfaces 68c and 68d, the game ball B is shown in FIG. When rotated by 56, it tends to climb up the inclined surfaces 68c and 68d of the blade 68.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urntable 56 is not excessively transmitted to the rotary wing through the game ball (B), the game ball (B) is smoothly rotated smoothly washing action is made.

한편, 제10도에 도시한 세척액 공급장치의 전기모터(128)는 게임볼(B)의 세척공정중 계속해서 작동하여 유체펌프(134)를 구동하게 되고, 저장통(122)내의 세척액은 순환호스(142)를 통해 순환하고 있다. 게임볼(B)이 턴테이블(56) 및 회전날개(64)와 함께 최하측 위치로 하강하면, 사용자는 플런저(148)를 하방으로 힘껏 누른다. 이에 따라 플런저(148)는 압축스프링(180)의 힘을 이기고 수축위치로 이동하여 플런저 케이싱(146)의 유체실 체적을 감소시킨다. 이때 볼(158)은 밸브시트(156)에 안착되어 유체흡입포트(160)를 폐쇄하게 되므로, 플런저 케이싱(146)내의 유체압력이 급증하고, 이에 따라 노즐(154)에 조립되어 있는 밸브부재(162)가 압축스프링(180)의 힘을 극복하고 열림위치로, 즉 제11도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노즐(154)의 분출공(154b)을 개방시킨다. 그리하여 플런저 케이싱(146)내의 세척액이 분출공(154b)을 통해 브러시 카트리지(32)의 흡수패드(44)로 분사된다. 이와같이 분사된 세척액은 흡수패드(44)를 통해 게임볼(B)의 표면에 도포되어 세척작용을 더욱 촉진한다. 그후, 사용자가 플런저(148)에서 손을 떼면, 플런저(148)는 압축스프링(18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데, 이과정에서 플런저 케이싱(146)내에는 부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순환호스(142)내의 세척액은 유체흡입포트(160)를 경유하여 볼(158)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면서 플런저 케이싱(146)내로 도입됨으로써 다음의 세척액 분사에 대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motor 128 of the washing liquid supply device shown in FIG. 10 continues to operate during the washing process of the game ball (B) to drive the fluid pump 134, the washing liquid in the reservoir 122 is a circulation hose 142 is circulating through. When the game ball B descends to the lowest position together with the turntable 56 and the rotary blade 64, the user pushes the plunger 148 downwards with force. Accordingly, the plunger 148 overcomes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80 and moves to the retracted position to reduce the fluid chamber volume of the plunger casing 146. At this time, since the ball 158 is seated on the valve seat 156 to close the fluid suction port 160, the fluid pressure in the plunger casing 146 increases rapidly, and thus the valve member assembled to the nozzle 154 ( 162 overcomes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80 and moves to the open position, ie, to the right in FIG. 11, to open the ejection hole 154b of the nozzle 154. Thus, the cleaning liquid in the plunger casing 146 is injected into the absorbent pad 44 of the brush cartridge 32 through the jet hole 154b. The cleaning liquid sprayed in this way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game ball (B) through the absorption pad 44 to further promote the washing action. Then, when the user releases the plunger 148, the plunger 148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compression spring 180, in which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lunger casing 146. Therefore, the washing liquid in the circulation hose 142 is introduced into the plunger casing 146 by pushing the ball 158 upward through the fluid suction port 160 to prepare for the next washing liquid injection.

정회전 타이머스위치(24)가 꺼져서 세척이 종료되면, 이번에는 역회전 타이머스위치(26)가 작동하여 모터(82)를 역회전시키게 된다. 모터(82)의 역회전에 따라, 스핀들(54)과 턴테이블(56)은 제3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턴테이블(56)상의 게임볼(B)은 회전날개(64)를 제7도의 좌측에서처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스크류축(70)은 승강기구(88)의 작용에 의해 턴테이블(56) 및 회전날개(64)와 함께 서서히 상승하여 결국은 제9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최상측 위치, 즉 초기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When the forward rotation timer switch 24 is turned off and the cleaning is completed, this time the reverse rotation timer switch 26 is operated to reverse the motor 82. In response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82, the spindle 54 and the turntable 56 rotate counterclockwise in FIG. 3, and the game ball B on the turntable 56 moves the rotary blade 64 to the seventh. Push it counterclockwise as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Accordingly, the screw shaft 70 gradually rises together with the turntable 56 and the rotary blade 64 by the action of the elevating mechanism 88, and eventually returns to the uppermost position, that is,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You lose.

최상측위치에서는 스크류축(70)의 회전력이 하측스톱퍼(98)를 통해서 슬리브(90)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따라 슬리브(90)는 클러치(108)의 압력판(110)과 고정지지체(94)간의 마찰저항력을 극복하고 스크류축(7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크류축(70)은 더 이상 상승운동을 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축(70)의 회전속도는 과속방지기(116)에 의해서 소정치 이하로 제한된다.In the uppermost posi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crew shaft 70 is transmitted as it is to the sleeve 90 through the lower stopper 98, so that the sleeve 90 is connected between the pressure plate 110 and the fixed support 94 of the clutch 108. It overcomes the frictional resistance and rotates with the screw shaft 70. Therefore, the screw shaft 70 is no longer upward movement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in place. 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screw shaft 70 is limited to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the speed preventer 116.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크류축(70)에 의해 상승위치(제2도의 쇄선위치)로 끌어올려진 턴테이블(56)은 역회전 타이머스위치(24)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제어된 속도로 회전운동을 계속한다. 상승위치에서는 게임볼(B)에 세척액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으므로, 게임볼(B)은 브러시 카트리지(32)의 강모(38)에 의해 문질러져서 광택내기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In this manner, the turntable 56 pulled up by the screw shaft 70 to the ascending position (dashed line position in FIG. 2) continues the rotational movement at a controlled speed for a time set by the reverse rotation timer switch 24. . Since the washing liquid is no longer supplied to the game ball B in the raised position, the game ball B is rubbed by the bristle 38 of the brush cartridge 32 to undergo a polishing proces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볼세척장치에 의하면, 게임볼의 회전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편마모없이 깨끗하게 자동세척할 수 있고, 턴테이블의 회전력이 게임볼을 통해 회전날개로 과다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액의 공급시기 및 공급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ball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ame ball can be automatically clean without wearing a single wea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urntable is excessively transmitted to the rotary wing through the game ball Can be prevented, and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select the supply timing and supply amount of the washing liquid is obtained.

Claims (6)

게임볼에 회전운동을 유발시켜서 그 표면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며,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게임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와, 상기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여 게임볼에 불규칙한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게임볼에 세척액을 묻혀주는 세척액 흡수패드 및 게임볼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탄성블록을 갖는 브러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자동 볼세척장치An automatic ball washer apparatus used to induce rotational motion of a game ball to clean its surface, comprising: a cylindrical housing, a spindle rotatably mount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fitted to the spindle; And a rotary blade having a disk for supporting the game ball, a rotary blade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turntable and isolating the game ball, and rotating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Brush cartridge having a drive means for driving an irregular rotational movement to the game ball,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the washing liquid absorbing pad to bury the cleaning liquid on the game ball and the elastic block for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ame ball Automatic ball washing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카트리지가 제1반부와 제2반부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볼세척장치.The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ush cartridge is divided into a first half portion and a second half portion. 게임볼에 회전운동을 유발시켜서 그 표면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며,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여 게임볼에 불규칙한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게임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각각의 블레이드는 제1 및 제2의 수직표면과 이들 수직표면의 하측선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의 경사면을 갖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자동 볼세척장치An automatic ball washer apparatus used to induce rotational motion of a game ball to clean its surface, comprising: a cylindrical housing, a spindle rotatably mount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fitted to the spindle; And a turntable having a disk for supporting the game ball, a drive table for rotating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to cause an irregular rotational motion to the game ball, and rotating relative to the turntable. An automatic ball comprising a rotary blade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 isolating game balls, each blade having first and second vertical surfaces and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se vertical surfaces. Cleaning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브러시 카트리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동 볼세척장치.4. The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brush cartridg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게임볼에 회전운동을 유발시켜서 그 표면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볼세척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끼워맞춤되어 그것과 함께 회전운동하며, 게임볼을 지지하기 위한 디스크를 갖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게임볼을 격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와, 상기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회전구동하여 게임볼에 불규칙한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게임볼에 세척액을 묻혀주는 세척액 흡수패드 및 게임볼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탄성블록을 갖는 브러시 카트리지와, 상기 브러시 카트리지의 세척액 흡수패드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볼세척 장치An automatic ball washer apparatus used to induce rotational motion of a game ball to clean its surface, comprising: a cylindrical housing, a spindle rotatably mount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housing, and fitted to the spindle; And a rotary blade having a disk for supporting the game ball, a rotary blade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turntable and isolating the game ball, and rotating the spindle and the turntable. Brush cartridge having a drive means for driving an irregular rotational movement to the game ball,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housing, the washing liquid absorbing pad to bury the cleaning liquid on the game ball and the elastic block for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ame ball And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absorption pad of the brush cartridge. Automatic ball cleaning device comprising a cleaning liquid supply mean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공급수단이, 세척액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이 저장통내의 세척액을 펌핑하는 유체펌프와, 이 유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을 상기 세척액 흡수패드로 분사하는 플런저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볼세척장치.6. The washing liquid supplying mean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washing liquid supplying means comprises a reservoir for storing the washing liquid, a fluid pump for pumping the washing liquid in the reservoir, and a plunger assembly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supplied from the fluid pump to the washing liquid absorbing pad. Automatic ball wa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60015259A 1996-05-09 1996-05-09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ball KR0173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259A KR0173066B1 (en) 1996-05-09 1996-05-09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259A KR0173066B1 (en) 1996-05-09 1996-05-09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b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44A KR970073644A (en) 1997-12-10
KR0173066B1 true KR0173066B1 (en) 1999-02-18

Family

ID=1945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259A KR0173066B1 (en) 1996-05-09 1996-05-09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b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0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2Y1 (en) * 2018-11-06 2019-01-25 오정식 Device for preventing welding wire from tang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2Y1 (en) * 2018-11-06 2019-01-25 오정식 Device for preventing welding wire from tang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44A (en)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936B1 (en) Game Ball Surface Treatment Apparatus
US5546629A (en) Ball cleaning device
US4489740A (en) Disc cleaning machine
KR20040002753A (en) Bowling ball resurfacing apparatus
WO2021196759A1 (en) Cleaning device
US20050115098A1 (en) Device for expelling liquid from a wiping element
KR20010046132A (en) Bowling Ball Cleaner
US6643881B1 (en) Ball cleaning and polishing machine
US3849823A (en) Apparatus for scrubbing rugs, floors and the like
KR0173066B1 (en) Automatic washing equipment of ball
KR100210757B1 (en) Device of cleaning the billiard ball
KR100626720B1 (en) Billiard ball cleaning device
KR012212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balls
KR100276590B1 (en) Ball ceaning device
US5598597A (en) Electric roller ball cleaning device
CN214484430U (en) Single-barrel rotating mop set
JP3019989U (en) Ball cleaning equipment
KR0125986Y1 (en) Brush cartridge
US5446939A (en) Shoe cleaning cylindrical brush
KR200186419Y1 (en) Ball cleaning device
KR0125985Y1 (en) The ball washing equipment of turn table
KR200329269Y1 (en) Structure of washing liquid tank for ball washer
KR100269085B1 (en) Billiard ball cleaning device
KR102618211B1 (en) Brush holder for automatic makeup brush cleaning machine
CN112716405B (en) Single-barrel rotating mop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