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358B1 -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358B1
KR0171358B1 KR1019920026411A KR920026411A KR0171358B1 KR 0171358 B1 KR0171358 B1 KR 0171358B1 KR 1019920026411 A KR1019920026411 A KR 1019920026411A KR 920026411 A KR920026411 A KR 920026411A KR 0171358 B1 KR0171358 B1 KR 017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cable
broadcast signal
recording
comb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831A (ko
Inventor
최상구
Original Assignee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선두
Priority to KR101992002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358B1/ko
Publication of KR94001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시청자가 두개의 유선 방송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에 시청자가 보유한 텔레비젼이 케이블-레디 기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를 각각의 유선 방송 케이블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시청자가 두개의 유선 방송을 시청할 경우 유선 방송과 무선 방송을 동시에 시청 및 녹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방송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분배된 방송 신호를 다시 결합하는 결합기와, 두개의 유선 방송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부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유/무선 방송을 동시에 시청 및 녹화하고자 할 경우에 시청자가 보유한 텔레비젼 케이블-레디 기능이 없는 경우에 2개의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텔레비젼 변환기만으로 유선 방송을 해독할 수 있으므로 회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비용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무선 방송의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일반적인 유선 방송의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일반적인 케이블-레디 기능을 가진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4도는 일반적인 케이블-레디 기능이 없는 유/무선 방송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유/무선 방송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의 구체적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안테나 20 : 유선 안테나
30 :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40 : 텔레비젼
50 :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SPR : 분배기
COM : 결합기 SW : 스위칭부
AIN,BIN : 유선방송신호 입력단자
CONIN :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입력 단자
AUXIN: 결합기 입력 단자 RFO : 고주파 출력 단자
REL : 릴레이 T1-T4 : 트랜스
C1~C8 : 콘덴서 L1, L2 : 코일
R1, R2 : 저항
이 발명은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 방송과 무선 방송을 동시에 시청 및 녹화하거나, 또는 유선 방송과 유선 방송을 동시에 시청 및 녹화할수 있도록 한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선 방송 시청 및 녹화장치 또는, 무선 방송 시청 및 녹화장치 또는, 유/무선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무선 방송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도를 보면 무선 안테나(10)는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출력단은 텔레비젼(40)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를 참조하면, 무선 안테나(10)를 통하여 입력된 무선방송 신호는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를 통하여 녹화 및 시청을 동시에 할수 있다.
제2도는 일반적인 유선 방송의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도를 보면, 유선 안테나(20)는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5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의 출력단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출력단은 텔레비젼(40)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참조하면, 유선 안테나(20)를 통하여 입력된 유선 방송 신호는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텔레비젼 변화기(50)에 의해 해독되고 이후, 제1도와 같은 처리 과정을 통하여 녹화 및 시청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제3도는 일반적인 케이블-레디 기능을 가진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3도를 보면, 유선 안테나(20)는 분배기 (SPR)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분배기(SPR)의 제1출력단은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5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의 출력단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출력단은 결합기(COM)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배기(SPR)의 제2출력단은 결합기(COM)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결합기(COM)의 출력단은 텔레비젼(40)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참조하면, 시청자가 보유한 텔레비젼이 케이블-레디 기능이 있는 텔레비젼(텔레비젼내에 유선 방송을 해독하는 기능을 보유한 텔레비젼)일 경우, 유선 안테나(20)을 통하여 입력된 유선 방송은 분배기(SPR)를 통하여 분배되는데 , 이때, 녹화를 할 경우에는 분배기(SPR)의 제1출력단을 통하여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50)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을 통하여 결합기(COM)로 입력되고, 시청을 할 경우에는 분배기(SPR)의 제2출력단을 통하여 결합기(COM)로 입력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2도와 동일 하다.
제4도는 일반적인 케이블-레디 기능이 없는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4도를 보면, 유선 안테나(20)는 분배기(SPR)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분배기(SPR)의 제1출력단은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의 출력단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출력단은 결합기 (COM)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 분배기(SPR)의 제2출력단은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5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의 출력단은 결합기(COM)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 결합기(COM)의 출력단은 텔레비젼(40)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참조하면, 시청자가 보유한 텔레비젼이 케이블-레디 기능이 없는 텔레비젼(텔레비젼내에 유선 방송을 해독하는 기능을 보유하지 않는 텔레비젼)일 경우, 유선 안테나(20)를 통하여 입력된 유선 방송은 분배기(SPR)를 통하여 분배되는데, 이때, 녹화를 할 경우에는 분배기(SPR)의 제1출력단에서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50)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을 통하여 결합기(COM)로 입력되고, 시청을 할 경우에는 분배기 (SPR)의 제2출력단에서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을 통하여 결합기(COM)로 입력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3도와 동일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유/무선 방송을 동시에 시청 및 녹화하고자 할 경우, 시청자가 보유한 텔레비젼은 케이블-레디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2개의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회로가 매우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가 보유한 텔레비젼에 관계없이 유/무선 방송을 동시에 시청 및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의 특징은, 제1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제1유선 방송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에 동시 연결되어 제1유선 방송신호와 제2유선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어 암호화된 유선 방송 신호를 해독하는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와, 상기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와 상기 분배기에 동시 연결되어 녹화용 방송 신호와 시청용 방송 신호를 동시에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기와, 상기 결합기에 연결되어 녹화 기능을 수행하는 비데오 카세트 레코드와, 상기 비데오 카세트 레코드에 연결되어 시청 기능을 수행하는 텔레비젼을 구비한 것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유/무선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5도를 보면, 제1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AIN)는 분배기(SPR)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단자(BIN)는 스위칭부(SW)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배기(SPR)의 제1출력단은 스위칭부(SW)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분배기(SPR)의 제2출력단은 결합기(COM)의 제1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칭부(SW)의 출력단은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5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50)의 출력단은 결합기(COM)의 제2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결합기(COM)의 출력단은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의 출력단은 텔레비젼(40)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참조하면, 제1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AIN)를 통하여 입력된 제1유선 방송 신호는 분배기(SPR)를 통하여 스위칭부(SW)와 결합기(COM)에 인가된다. 또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BIN)를 통하여 입력된 제2유선 방송 신호는 스위칭부(SW)에 인가된다. 이때, 가입자가 원하는 유선 방송을 선택하면 스위칭부(SW)의 제어에 의해 하나의 유선 방송 신호가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에 입력되어 녹화가 가능한 3채널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방송 신호는 결합기(COM)로 인가된다. 또한 분배기(SPR)의 제2출력단을 통하여 출력된 제1유선 방송신호는 결합기(COM)에 인가되는데 이때, 결합기(COM)에 인가된 두개의 방송 신호 즉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에서 출력한 3채널의 방송 신호와 분배기(SPR)에서 출력한 제1유선 방송 신호는 결합기(COM)를 통하여 결합되고, 이 결합된 신호는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30)에 입력되어 녹화와 시청을 할 수 있게 된다.
제6도는 제5도의 구체적 회로도이다. 제6도내의 분배기(SPR)를 보면,제1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 (AIN)중 일측은 접지되어 있고 제1유선 방송 호 입력 단자(AIN)중 타측은 트랜스(T1)를 통하여 접지도어 있다. 또, 트랜스(T1)는 다른 트랜스(T2)에 연결되어 있고 두개의 트랜스(T1,T2) 사이에서 분기되어 각각 콘덴서(C1,C2))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T2)의 일측은 결합기(COM)내의 트랜스(T3)에 연결되어 있고, 트랜스(T2)의 타측은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스(T2)와 결합기(COM)내의 트랜스(T3)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스(T2)와 결합기(COM)내의 트랜스(T3)사이에서 분기되어 콘덴서(C3)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또, 트랜스 (T2)의 타측단과 저항(R1) 사이에서 분기되어 스위칭부(SW)내에 구성된 릴레이(REL)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결합기(COM)의 구성을 보면, 트랜스(T3)의 타측은 저항(R2)을 통하여 트랜스(T3)와 분배기(SPR)내의 트랜스(T2)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트랜스 (T3)는 다른 트랜스 (T4)에 연결되어 있으며, 두개의 트랜스 (T3,T4) 사이에서 분기되어 각각 콘덴서(C4,C5)를 통하여 접지되어있다.
또한, 트랜스 (T4)의 일측은 고주파 출력 단자 (RFO)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고, 트랜스(T4)의 타측은 접지되어 있으며, 트랜스(T3)와 저항(R2) 사이에서 분기되어 하나는 콘덴서(C6)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결합기 입력 단자(AUXIN)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한편, 스위칭부(SW)의 구성을 보면,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 (BIN)의 일측은 접지되어 있고 ,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단자(BIN)의 타측은 콘덴서(C8)를 통하여 릴레이(REL)내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 (BIN)와 콘덴서(C8)사이에서 분기되어 코일(L4)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또한 , 릴레이(REL)내의 타측단과 쌍을 이룬 단자는 코일(L5)과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입력 단자(CONIN)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고, 코일(L5) 과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입력단자(CONIN)사이에서 분기되어 콘덴서(C7) 를 통하여 릴레이(REL)내의 공통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릴레이(REL)내의 일측단과 쌍을 이룬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이상의 회로를 참조하면, 제1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AIN)를 통하여 입력된 방송 신호는 분배기(SPR)내의 트랜스(T1)를 통하여 다른 트랜스(T2)에 유도되는데, 이때, 방송 신호의 분배가 이루어진다. 분배된 신호중 하나는 결합기(COM)에 인가되고, 분배된 신호중 다른 하나는 스위칭부(SW)내의 릴레이(REL)에 인가된다.
또한,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BIN)를 통하여 입력된 방송 신호는 스위칭부(SW)내의 릴레이(REL)에 인가되고,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릴레이(REL)가 작동하면 선택된 방송 신호는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 입력 단자(CONIN)를 통하여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50)로 입력되며, 이 후, 변환된 신호는 결합기 입력 단자(AUXIN)를 통하여 결합기 (COM)에 입력된다. 한편, 결합기(COM)에 인가된 두개의 방송 신호는 두개의 트랜스 (T3, T4)에 의한 유도 과정을 거친후, 고주파 출력 단자(RFO)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에 의하면 유/무선 방송을 동시에 시청 및 녹화하고자 할 경우에 시청자가 보유한 텔레비젼이 케이블-레디 기능이 없는 경우에 2개의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텔레비젼 변환기만으로 유선 방송을 해독할 수 있으므로 회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제1유선방송 신호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제1유선 방송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제2유선 방송 신호 입력 단자에 동시 연결되어 제1유선 방송 신호와 제2유선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암호화된 유선 방송 신호를 해독하는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와, 상기 케이블 텔레비젼 변환기와 상기 분배기에 동시 연결되어 녹화용 방송 신호와 시청용 방송 신호를 동시에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기와, 상기 결합기에 연결되어 녹화 기능을 수행하는 비데오 카세트 레코드와, 상기 비데오 카세트 레코드에 연결되어 시청 기능을 수행하는 텔레비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KR1019920026411A 1992-12-30 1992-12-30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KR017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411A KR0171358B1 (ko) 1992-12-30 1992-12-30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411A KR0171358B1 (ko) 1992-12-30 1992-12-30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831A KR940017831A (ko) 1994-07-27
KR0171358B1 true KR0171358B1 (ko) 1999-03-20

Family

ID=1934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411A KR0171358B1 (ko) 1992-12-30 1992-12-30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260B1 (ko) * 1996-10-05 1999-11-15 윤종용 케이블 tv 예약 녹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831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103B1 (ko) 텔레비젼 수상기
CA24006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near video on demand
US3562650A (en) Catv system with increased channel capabilities
US6208388B1 (en) Channel responsive television input signal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US4717970A (en) Video system with programmable VCR
JP2000504527A (ja) テレビジョンプログラム及び付加的データサービスの送信及び受信
JP2622844B2 (ja) スクランブルされた特別チャンネルと通常チャンネルとを提供する有線テレビ放送において使用される有線放送用映像機器の機能活用方法とその装置
GB1506924A (en) Cable television system
KR0171358B1 (ko) 유/무선 방송 동시 시청 및 녹화장치
US3829891A (en) System for coupling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machine with television receiver
JPS62242481A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出力回路
KR20020032802A (ko) 다중 매체를 통한 동일방송 수신 방법
KR0119482Y1 (ko) 기록재생장치의 가입자 단말장치 제어회로
KR0158979B1 (ko) 공용 컨버터
JPH0546386Y2 (ko)
KR940000941B1 (ko) 유료 방송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신호 스위칭 회로
KR200179568Y1 (ko) 복합 영상기록 시스템
KR0135476Y1 (ko) 티브이시알의 신호입력 절환회로
KR100239481B1 (ko) 케이비피에스 신호를 이용한 프로그램 안내장치 및 방법
KR0144221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 녹화 장치
KR0176772B1 (ko) 유선방송용 채널선국장치
KR960007546B1 (ko) 채널선택방법
KR100230497B1 (ko) 라인녹화기능을 갖는 티브이시알 시스템
KR950010373Y1 (ko) Vcr 시스템
KR100230260B1 (ko) 케이블 tv 예약 녹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