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884B1 -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884B1
KR0170884B1 KR1019960005920A KR19960005920A KR0170884B1 KR 0170884 B1 KR0170884 B1 KR 0170884B1 KR 1019960005920 A KR1019960005920 A KR 1019960005920A KR 19960005920 A KR19960005920 A KR 19960005920A KR 0170884 B1 KR0170884 B1 KR 017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ehydration
washing
viscous fluid
de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849A (ko
Inventor
구형모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884B1/ko
Publication of KR97006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력전달장치의 구조를 단순히하여 제조가 손쉽고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일단은 상기 탈수조(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11)의 외부까지 연장된 중공의 탈수축(22), 상기 탈수축(22)의 내부에 마련되되 그 일부가 상기 탈수축(22)의 외부로 노출되며, 그 일단은 상기 회전날개(1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터(30)에 연결된 세탁축(21), 상기 탈수축(22)의 일부와 상기 노출된 세탁축(21)의 일부를 덮는 케이스, 상기 탈수축(22)과 상기 세탁축(2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탈수축(22)과 상기 세탁축(21)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1전기점성유체부(27), 상기 케이스와 상기 탈수축(22)에 의하여 마련된 공간에 충진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탈수축(22)과 상기 케이스(25)(26)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2전기점성유체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제1도는 종래 세탁기 동력전달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동력전달장치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채용된 세탁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동력전달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동력전달장치
21 : 세탁축 22 : 탈수축
23 : 제1결합부 24 : 제2결합부
25 : 상부케이스 26 : 하부케이스
27 : 제1전기점성유체부 28 : 제2전기점성유체부
29 : 제3전기점성유체부 30 : 모터
41, 42, 43, 44 : 단자부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점성유체를 이용하여 세탁축과 탈수축을 연결시키거나 이들을 제동함으로써 그 구조를 단순화시킨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상측단은 수조(1a)를 관통하여 탈수조(1b)에 결합되고 하측단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풀리(4)의 상방까지 연장형성된 중공의 탈수축(2b)이 설치되고, 탈수축(2b)의 내부에는 상, 하측단이 각각 회전날개(1c)와 풀리(4)에 결합된 세탁축(2a)이 설치되며, 풀리(4)의 상측에 위치되는 탈수축(2b)의 외곽에는 클러치스프링(5a)과 이를 조작하여 탈수축(2b)을 풀리(4)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클러치레버(5b)가 설치된다. 세탁축(2a)의 중도에는 풀리(4)를 통하여 전달받은 모터의 회전력을 세탁에 알맞은 속도로 감속하는 유성기어부(3)가 설치되며, 이에 대향하는 탈수축(2b)은 유성기어부(3)의 드럼역할을 하도록 확관된다.
한편 유성기어부(3)의 외곽 탈수축(2b)의 외주면에는 브레이크밴드(6a)가 설치되고, 브레이크밴드(6a)의 일측에는 브레이크밴드(6a)를 조작하기 위한 브레이크레버(6b)가 설치된다. 그리고 유성기어부(3)의 상부에는 브레이크레버(6a)와 협조하여 세탁시 탈수조(1b)의 공회전을 억제하는 일방향스프링(7)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탁기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시에는 브레이크밴드(6a)는 탈수축(2b)에 밀착되어 제동상태를 유지하고, 클러치스프링(5a)은 풀림상태로 세탁축(2a)과 탈수축(2b)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은 세탁축(2a)을 통하여 회전날개(1c)에 전달되어 회전날개(1c)가 정역회전하여 세탁행정을 수행한다. 이때 회전날개(1c)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세탁물과 수류에 의하여 탈수조(1b)가 회전하려 하는데, 이를 일방향스프링(7)과 브레이크밴드(6a)가 협동하여 방지한다.
한편 탈수시에는 브레이크레버(6b)와 클러치레버(5b)가 당겨져 브레이크밴드(6a)는 탈수축(1b)에서 분리되어 탈수축(1b)의 제동은 해제되고, 클러치스프링(5a)은 감김상태가 되어 세탁축(2a)과 탈수축(2b)이 일체로 회전되어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탈수정지시나 정전시에는 당겨져 있던 클러치레버(5b)가 풀어져 탈수축(2b)의 회전력을 상실함과 동시에 브레이크레버(6b)도 풀어져 탈수축(2b)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하여 탈수축(2b)를 정지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는 세탁축과 탈수축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하여 클러치스프링과 클러치레버를 설치하고, 탈수축의 공회전을 억제하거나 급제동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밴드와 일방향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였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동력전달장치를 제조가 복잡하고 그 제조비용이 비싼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전달장치의 구조를 단순히하여 제조가 손쉽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탈수조, 상기 탈수조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전날개(13, 상기 탈수조와 상기 회전날개(1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그 일단은 상기 탈수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의 외부까지 연장된 중공의 탈수축, 상기 탈수축의 내부에 마련되되 그 일부가 상기 탈수축의 외부로 노출되며, 그 일단은 상기 회전날개(1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터에 연결된 세탁축, 상기 탈수축의 일부와 상기 노출된 세탁축의 일부를 덮는 케이스, 상기 탈수축과 상기 세탁축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탈수축과 상기 세탁축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1전기점성유체부, 상기 케이스와 상기 탈수축에 의하여 마련된 공간에 충진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탈수축과 상기 케이스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2전기점성유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가 채용된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통상의 본체(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11)가 설치된다. 수조(11)의 내부에는 회전조(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조(11)의 내부 하부에는 회전날개(13)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1)의 하면 외측면에는 회전조(12)와 회전날개(13)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30)와 모터(30)의 회전력을 회전날개(13) 또는 회전날개(13) 및 회전조(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20)가 설치된다. 이때 모터(30)는 세탁행정이나 탈수행정에 알맞은 회전속도로 가변될 수 있는 모터(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20)는 전기의 인가여부에 따라 그 점성을 달리하는 전기점성유체를 이용하여 제동 및 동력의 전달경로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20)는, 그 상단은 회전조(12)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수조(11)의 하부로 돌출된 중공체의 탈수축(22), 탈수축(22)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단은 모터(30)에 결합되고 상단은 회전날개(13)에 결합된 세탁축(21), 탈수축(22)과 세탁축(21)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1전기점성유체부(27), 탈수축(22)을 제동하기 위한 제2전기점성유체부(28)를 포함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조(11)와 모터(30) 사이에는 탈수축(22)의 하단부와 탈수축(22)의 외부로 노출된 세탁축(21)을 덮는 케이스(25)(26)가 설치된다. 케이스(25)(26)의 내부는 탈수축(22)의 하단부에 설치된 판상의 제1작동부(23)와 세탁축(21)에 설치된 판상의 제2작동부(24)에 의하여 상하 세부분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공간에는 전기의 인가여부에 따라 점성을 달리하는 전기점성유체가 충진되어 제1, 제2, 제3전기점성유체부(27)(28)(29)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1전기점성유체부(27)는 제1작동부(23)와 제2작동부(24)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의 인가여부에 따라 세탁축(21)과 탈수축(22)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며, 제2전기점성유체부(28)는 제1작동부(23)와 상부케이스(25) 사이에 마련되어 전기의 인가시 탈수축(22)을 제동시키며, 제3전기점성유체부(29)는 제2작동부(24)와 하부케이스(26) 사이에 마련되어 전기의 공급되었을때 세탁축(21)을 제동시킨다.
한편 상하부케이스(25)(26) 각각과 제1, 제2작동부(23)(24)에 대향하는 상하부케이스(25)(26)의 측면에는 상하부케이스(25)(26) 및 제1, 제2작동부(23)(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41)(42)(43)(44)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1, 제2작동부(23)(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43)(44)는 제1, 제2작동부(23)(24)가 회전체인 까닭에 브러쉬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의 작동과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행정시를 설명하겠다. 이때에는 상부케이스(25)와 제1작동부(23)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렇게되면 제2전기점성유체(28)부의 점성은 세져 제1작동부(23)를 상부케이스(25)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제2, 제3전기점성유체부(28)(29)의 점성은 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세탁축(21)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런 상태에서 모터(30)가 세탁에 알맞은 속도로 정역회전하면 모터(30)의 회전력은 세탁축(21)을 통하여 회전날개(13)로 전달되어 회전날개(13)를 정역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날개(13)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물과 세탁물에 의하여 회전조(12)도 공회전하려 하는데, 회전조(12)의 공회전은 탈수축(22)이 전기를 인가받은 제2전기점성유체부(28)에 상부케이스(25)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억제된다.
계속해서 탈수행정을 설명하겠다. 이때에는 제1전기점성유체부(27)에만 전기가 인가되어 제1작동부(23)와 제2작동부(24)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시킨다. 이상태에서 모터(30)가 탈수에 알맞은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30)의 회전력은 세탁축(21)과 탈수축(22)을 통하여 회전날개(13)와 회전조(12)에 동시에 전달된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날개(13)와 회전조(12)가 동시에 고속회전하여 발생된 원심력에 의하여 세탁물에 묻어있던 물기가 빠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탈수 정지시에는 제1, 제2, 제3전기점성유체부(27)(28)(29)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어 세탁축(21)과 탈수축(22)을 상, 하부케이스(26)에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조(12)와 회전날개(13)를 급제동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는 세탁축과 탈수축의 결합, 분리 및 이들의 제동이 전기점성유체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동력전달장치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의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수조(11), 상기 수조(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탈수조(11), 상기 탈수조(11)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회전날개(13), 상기 탈수조(11)와 상기 회전날개(1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0), 그 일단은 상기 탈수조(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11)의 외부까지 연장된 중공의 탈수축(22), 상기 탈수축(22)의 내부에 마련되되 그 일부가 상기 탈수축(22)의 외부로 노출되며, 그 일단은 상기 회전날개(1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터(30)에 연결된 세탁축(21), 상기 탈수축(22)의 일부와 상기 노출된 세탁축(21)의 일부를 덮는 케이스, 상기 탈수축(22)과 상기 세탁축(2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탈수축(22)과 상기 세탁축(21)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1전기점성유체부(27), 상기 케이스와 상기 탈수축(22)에 의하여 마련된 공간에 충진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탈수축(22)과 상기 케이스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제2전기점성유체부(28)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축(22)의 일단부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세탁축(21)에는 판상의 제1작동부(23)와 제2작동부(24)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세탁축(21)에 의하여 마련된 공간에는 제3전기점성유체부(29)가 마련되어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세탁축(21)과 상기 케이스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9960005920A 1996-03-07 1996-03-07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0170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920A KR0170884B1 (ko) 1996-03-07 1996-03-07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5920A KR0170884B1 (ko) 1996-03-07 1996-03-07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849A KR970065849A (ko) 1997-10-13
KR0170884B1 true KR0170884B1 (ko) 1999-05-01

Family

ID=1945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920A KR0170884B1 (ko) 1996-03-07 1996-03-07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8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849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46280A (zh) 洗衣机的动力传送设备和动力控制设备
KR100229135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0170884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0161045B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9980069122A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0149920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0132191B1 (ko) 세탁기용 클러치
KR0170883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308282B1 (ko) 전자동세탁기의구동장치
KR100352066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10517B1 (ko) 세탁기의 클러치 구조
KR850002366Y1 (ko) 전자동 전기 세탁기의 회전의 감속장치
KR0136644Y1 (ko) 전자동세탁기의 동력구분전달장치
KR100247358B1 (ko) 세탁기의동력전달장치
KR19980023088U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0124600Y1 (ko) 브러쉬레스 직류모우터를 이용한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229658B1 (ko) 세탁기용 샤프트조립체의 감속기어장치
KR100813044B1 (ko) 세탁기용 클러치
KR20020042170A (ko)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치
KR200141509Y1 (ko) 전자동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의 설치구조
KR930005469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로울러클러치 설치장치
KR940021807A (ko) 전자동 세탁기
KR950004274B1 (ko) 전자동세탁기의 구동장치
KR0141456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역회전 방지장치
JPS60103492U (ja) 全自動電気洗濯機の脱水槽逆回転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