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485B1 -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 Google Patents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485B1
KR0169485B1 KR1019910001181A KR910001181A KR0169485B1 KR 0169485 B1 KR0169485 B1 KR 0169485B1 KR 1019910001181 A KR1019910001181 A KR 1019910001181A KR 910001181 A KR910001181 A KR 910001181A KR 0169485 B1 KR0169485 B1 KR 016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ion
water
roast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10014042A (en
Inventor
고츠맨 마틴
에이. 플루거 리챠드
에이취. 스키프 로널드
Original Assignee
존 이. 네빈스
크라프트 후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470,296 external-priority patent/US5043178A/en
Application filed by 존 이. 네빈스, 크라프트 후드스, 인크 filed Critical 존 이. 네빈스
Publication of KR91001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042A/en
Priority claimed from SG19195A external-priority patent/SG19195G/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4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5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the solid substances are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during the extraction cyc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우스트 및 분쇄된 커피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출수는 로우스트 및 분쇄된 커피를 함유하는 추출 용기의 한 말단에 공급시키고, 커피 추출물은 다른 말단으로 부터 회수한다. 용기로 투입되는 물과 용기로 부터 배출되는 추출물의 흐름을 간헐적으로 중지시키고, 추출된 로우스트 및 분쇄된 커피를 추출 용기로 부터 간헐적으로 배출시키며, 이와 동시에 미추출된 커피의 일부를 다른 말단을 통해 용기에 투입시킨다. 추출 용기 내의 커피는 추출수 흐름에 대해 역류 상태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덜 복잡하고, 좀 더 용이하게 조절되며, 소규모의 투자로써 우수한 균형잡힌 향을 가지며, 더욱 향기로운 커피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tracting roasted and ground coffee. Extraction water is fed to one end of the extraction vessel containing roast and ground coffee and the coffee extract is recovered from the other end. Intermittently stop the flow of water to the container and the extract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nd intermittently discharge the extracted roast and ground coffee from the extraction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to remove some of the unextracted coffee to the other end Through the container. Coffee in the brewing vessel is moved countercurrent to the extract water flow.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coffee that is less complex, more easily adjusted, has a good balanced aroma with a small investment, and is more fragrant.

Description

볶은 분말 커피의 추출 방법Extraction Method of Roasted Powdered Coffee

제1도는 볶은 분말 커피 추출용 추출 용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extraction container for roasted powder coffee extrac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상부 블로우 케이스(blow case) 1,3,,7,9 : 밸브2: upper blow case 1, 3, 7, 7, valve

4 : 추출 용기의 제2 말단 5 : 추출 용기4: second end of extraction vessel 5: extraction vessel

6 : 추출 용기의 제1 말단 6 : 추출 용기의 제1 말단6: first end of extraction container 6: first end of extraction container

8 : 하부 블로우 케이스8: lower blow case

본 발명은 볶은 분말 커피의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볶은 분말 커피를 포함한 추출 용기의 한 말단에 추출수를 공급하면서 용기의 다른 말단으로부터 커피 추출물을 취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기로의 투입 및 배출을 주기적으로 중지시키고, 미추출된 커피를 추출 용기에 간헐적으로 투입시키면서 동시에 추출된 커피의 일부를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향이 개선된 볶은 분말 커피 추출물을 생산한다. 종래의 추출 시스템보다 고농도 또는 고수율에서, 또는 동수율 또는 동농도에 대한 시간과 온도의 좀더 낮은 작동 조건에서 항이 개선된다. 상기 두 경우 중 어느 경우에서도 실질적으로 향이 개선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xtracting roasted powdered coffe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withdrawing coffee extract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tainer while supplying extract water to one end of the extraction container containing roasted powdered coffee. Dispensing and dispensing into the container is periodically stopped and the unextracted coffee is intermittently introduced into the brewing container while simultaneously discharging a portion of the extracted coffee.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roasted powdered coffee extract with improved aroma. The term is improved at higher concentrations or higher yields than conventional extraction systems, or at lower operating conditions of time and temperature for the same yield or concentration. In either case, the fragrance is substantially improved.

가용성 커피 가공을 위한 볶은 분말 커피의 추출 방법은 대부분 6 내지 8개의 컬럼을 갖는 고정 베드 역류 추출 장치(battery) 중에서 종종 수행된다. 보통 160℃가 넘는 고온 추출수를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커피(most spent coffee)(즉, 고형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커피)를 포함하는 컬럼에 공급하여, 상기 커피를 열가수분해시킨다. 이 추출액은 점점 추출이 더 적게 된 커피를 포함하는 컬럼들을 통해 진행하면서 커피 고형분이 더욱 풍부해진다. 커피 추출물이 취출되는 추출 열중의 마지막 컬럼은 가장 신선한 (가장 적게 추출된)커피를 포함하며, 이어서, 이 커피는 대기하 추출된다. 실제적으로 가용성인, 추출가능한 모든 고형분을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커피로부터 제거한 후에, 주기적으로, 상기 커피를 포함하는 컬럼은 장치로부터 분리시키고, 신선한 커피를 포함하는 새로운 컬럼을 스트림 상에 놓는다. 추출액의 유동을 조정하여 고온 추출수가 새로운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갖는 컬럼과 이 장치의 전반에 걸쳐서 만들어진 상응하는 조절 장치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역류 추출 장치는 불연속적이며, 그러한 시스템은 목적하는 유동 조절을 위해 상당한 밸브와 파이프[복잡한 다기관(manifold)]를 필요로 한다. 전형적인 역류 추출 장치는 오른펠트(Ornfelt)의 미합중국 특허 제2,515,730호, 구겐하임(Guggenheim) 등의 동 제2,915,399호 및 문헌[시버츠(Sivetz) 및 푸우테(Foote)공저, Coffee Processing Technology, AVI Publishing, 커넥티커티주 웨스트포트 소재, 1963년, 제1권, 제281-294페이지]에 지재되어 있다.Extraction methods of roasted powdered coffee for soluble coffee processing are often carried out in fixed bed countercurrent extraction batteries with mostly 6 to 8 columns. Hot extracted water, usually above 160 ° C., is fed to a column containing the most spent coffee (ie, the coffee from which the solids are extracted) with the most active ingredients, thereby thermally hydrolyzing the coffee. This extract is increasingly richer in coffee solids as it progresses through columns containing less extracted coffee. The last column of the extraction column from which the coffee extract is taken out contains the freshest (least extracted) coffee, which is then extracted under air. After all extractable solids, which are practically soluble, have been removed from the coffee with the most active ingredient extracted, periodically, the column containing the coffee is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and a new column containing fresh coffee is placed on the stream. The flow of the extract is adjusted so that the hot extractant is fed to the column having the most new active ingredient extracted and the corresponding regulating device made throughout the device, therefore, the countercurrent extraction device is discontinuous and such a system is intended to This requires considerable valves and pipes (complex manifolds) for flow control. Typical countercurrent extraction devices are described in Ornfelt, U.S. Patent No. 2,515,730, Guggenheim et al., U.S. 2,915,399 and in Sivetz and Futte, Coffee Processing Technology, AVI Publishing, 1963, Vol. 281-294, Westport, Connecticut.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용성 고형분의 향의 품질을 유지시키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볶은 분말 커피로부터 가용성 고형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xtracting soluble solids from roasted powdered coffee in an effective way to maintain the aroma quality of the soluble soli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볶은 분말 커피를 거의 연속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은 종래의 역류 추출 장치에 관련된 복잡한 다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xtracting roasted powdered coffee almost continuously, which does not require the complicated manifold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countercurrent extraction device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실제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더 많은 수의 동등한 추출 단계로 인해, 종래의 역류 추출 장치보다 더 효과적인 볶은 분말 커피의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extracting roasted powdered coffee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countercurrent extraction devices due to the substantially larger number of equivalent extraction steps obtainable with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목적이 단일 추출 용기 중에서 볶은 분말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충족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추출수는 추출 용기의 한 말단에 공급하며, 커피 추출물은 추출 용기의 반대 말단으로부터 취출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용성 고형분은 커피 고형분의 향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볶은 분말 커피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 방법의 개선된 효능으로 인하여, 더 낮은 온도와 짧은 체류 시간의 작동 조건에서 가용성 고형분을 고농도 또는 고수율로 갖고, 우려낸 볶은 분말 커피에 좀 더 유사한 향 프로파일을 갖는 볶은 분말 커피 추출물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하고 실질적으로 향 품질이 개선된 볶은 분말 커피 추출물이 항상 생산된다.We have found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t by a method of extracting roasted powdered coffee in a single extraction vessel. Extraction water is supplied to one end of the extraction vessel and the coffee extract is taken out from the opposite end of the extraction vessel. According to the invention, soluble solids are extracted from roasted powdered coffee in an effective way to maintain the aroma quality of the coffee solids. In addition, due to the improved efficacy of the extraction method, roasted powdered coffee extracts, which have a high concentration or high yield of soluble solids at lower temperatures and shorter residence times, and which have a more similar aroma profile to sauted roasted powdered coffee, Can produce. Thus, roasted powdered coffee extracts are always produced which are excellent and have substantially improved aroma quality.

볶은 분말 커피는 추출 용기 중에서 추출한다. 용기로서는 간헐적으로 신선한 커피를 투입시키고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그 용기를 통하여 추출액이 유동할 때 볶은 분말 커피와 상기 추출액을 접촉시키는 용기가 적합하다. 바람직한 용기는 볶은 분말 커피가 베드로서 유지되며, 이 베드를 통해서 추출액이 통과하는 신장형 컬럼이다. 이러한 신장형 컬럼은 길이가 약 7.5 내지 23.0m인 것이 바람직하다. 컬럼의 직경은 목적하는 용량과 후술할 바람직한 외관 유속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기 컬럼은 추출액과 볶은 분말 커피의 가장 편리한 역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설치한다.Roasted powdered coffee is extracted in the extraction container. As a container, a container for intermittently introducing fresh coffee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as well as contacting the roasted powdered coffee with the extract when the extract flows through the container, is suitable. A preferred container is an elongate column in which roasted powdered coffee is maintained as a bed through which extracts pass. Such elongate columns are preferably about 7.5 to 23.0 m in length. The diameter of the column is determined taking into account the desired capacity and the preferred range of apparent flow rates described below. The column is installed vertically to provide the most convenient countercurrent flow of the extract and roasted ground coffee.

컬럼은 가장 편리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추출수를 상기 컬럼의 하부로 공급하고 커피 추출물을 컬럼의 상부에서 취출하여, 추출액이 볶은 분말 커피의 베드를 통하여 상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커피는 하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주기적으로, 용기로의 투입 및 배출을 중단시킬 수 있고, 미추출된 커피를 추출 용기에 간헐적으로 투입시키며,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커피의 일부는 배출시킨다. 이어서, 용기로의 추출수의 공급과 용기로부터의 추출물의 취출을 재개할 수 있다. 물론, 추출된 커피를 간헐적으로 배출시킨 후, 신선한 볶은 분말 커피를 투입시키는 결과로써 커피는 이동하게 된다. 추출수를 용기의 하부로 공급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신선한 커피는 용기의 상부에 투입하고 추출된 커피는 하부로부터 취출함으로써 상기 커피가 추출액의 흐름에 대해 역류되도록 한다. 따라서, 신장형 컬럼을 수직으로 설치함으로써 주로 중력에 의해 컬럼을 통하여 커피를 이동시킨다. 물론, 추출액과 볶은 분말 커피의 흐름을 반대로 하여, 추출수가 용기의 상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전혀 편리하지가 않다.Since the column is most conveniently installed vertically, the extract water is fed to the bottom of the column and the coffee extract is taken out of the top of the column so that the extract flows upward through the bed of roasted powdered coffee and the coffee is directed downward. It is also desirable to allow it to be moved. Periodically, the input and discharge into the container can be stopped, the unextracted coffee is intermittently introduced into the extraction container, and some of the coffee with the most active ingredient extracted is discharged. Subsequently, supply of the extraction water to the container and extraction of the extract from the container can be resumed. Of course, afte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intermittently, the coffee is moved as a result of adding fresh roasted powdered coffee. In the case of supplying the extraction water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fresh coffee is put at the top of the container and the extracted coffee is taken out from the bottom so that the coffee flows counter to the flow of the extract. Thus, by installing the elongate column vertically, coffee is moved through the column mainly by gravity. Of course, it is possible to reverse the flow of the extract liquid and roasted powdered coffee so that the extract water is suppli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but it is not convenient at all.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예정된 시간 후에 간헐적으로 추출 용기로의 추출수의 공급과 용기로부터의 커피 추출물의 취출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의 일부를 용기의 한 말단으로부터 배출시키면서, 신선하고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의 일부를 추출 용기의 다란 말단에 투입한다. 신장형 컬럼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분획은 상기 컬럼 중의 커피 베드의 부피에 대해 측정한 것으로, 예를 들면 컬럼 총 부피의 10%를 간헐적으로 배출시틴다.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 분획은 신장형 컬럼에 포함된 커피 베드의 4 내지 20%의 양으로 간헐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5부피%의 양으로 간헐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stop the supply of the extraction water to the extraction container and the withdrawal of the coffee extract from the contain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A portion of the fresh,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is introduced into the teapot end of the extraction vessel while discharging a portion of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from one end of the vessel. In the case of an elongate column, the fraction is measured for the volume of the coffee bed in the column, for example discharging 10% of the total volume of the column intermittently.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fractions are preferably discharged intermittently in an amount of 4 to 20% of the coffee bed included in the elongate column, and most preferably in an amount of 5 to 15% by volume.

볶은 분말 커피가 습윤시 및 또는 추출액의 부피를 농축 및 감소시킬 때 원래부피의 거의 2배로 팽창할 지라도, 커피가 건조하면 동일한 부피의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상기 컬럼에투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부피의 건조하고 신선한 볶은 분말 커피가 배출되는 추출된 커피를 대체할 경우, 상기 커피는 적절하게 팽창하기가 어려울 수 있어서, 적합하게 추출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30.5cm(1피트)의 분획물보다 더 큰 컬럼에 있어서, 직경 팽창은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작은 컬럼에 있어서 건조 커피는 배출되는 추출된 커피의 부피의 약 1/2정도로 투입될 수 있다, 더우기, 추출액의 유동 속도는 볶은 분말 커피에 흡수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해 조절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는 신장형 컬럼에 투입하기 전에 예습시키며(premoisturized), 이때 동시에 투입시키고 배출시키는 커피의 부피는 거의 같아야 한다.Although roasted powdered coffee expands to nearly twice its original volume when wet and / or when concentrating and reducing the volume of the extract, the same volume of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lumn when the coffee is dried. If the same volume of dry and fresh roasted powder coffee is substituted for the extracted coffee, the coffee may be difficult to swell properly and may not be properly brewed, however, 30.5 cm (1 foot) of For columns larger than fractions, diameter expansion does not appear to be a problem, therefore, for small columns, dry coffee can be introduced at about 1/2 of the volume of extracted coffee being discharged, moreover, flow of extract liquid. The speed should be adjusted to replenish the water absorbed in the roasted ground coffee. In another embodiment, the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is premoisturized prior to introduction into the elongate column, with the volume of coffee being simultaneously added and discharged at about the same time.

일단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의 투입과 추출된 커피의 배출이 완료되면, 용기로의 추출수의 공급과 추출 용기로부터의 추출물의 취출을 재개한다(상기 공급은 미리 중단시킨 것으로 가정한다). 전체적인 조작은(배출된 분획의 크기에 따라서)아주 신속하게, 일반적으로는 수분 이상 지속하지 않도록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종래의 역류 고정 베드 추출 방법보다 훨씬 더 연속적이다. 별법으로, 특수한 장치의 형상을 기초로 추출 용기로의 추출액의 투입 및 배출을 중단시킬 필요를 없게 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본질적으로 연속적이 되도록 한다.Once the addition of the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and the discharge of the extracted coffee are completed, the supply of the extraction water to the container and the extraction of the extract from the extraction container are resumed (assuming that the supply has been stopped in advance). Since the overall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very quick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raction discharged), usually not more than a few minutes, this method is much more continuous than conventional countercurrent fixed bed extraction methods. Alternativel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ssentially continuous, without the need to interrupt the introduction and discharge of the extract to the extraction vessel based on the shape of the particular apparatus.

신선한 커피의 투입과 추출된 커피의 배출은 몇 가지 임의로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선한 볶은 분말 커피를 신장형 컬럼이 상부로 투입시키는 경우에, 상기 컬럼의 하부 밸브를 잠깐동안 개방시켜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목적하는 양만큼 배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컬럼의 상부 밸브를 개방시켜 중력에 의해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의 적당한 향을 투입시킨다. 이어서, 두 밸브를 잠근다. 추출 용기가 대기압 이상의 압력에서 유지될 경우, 이 기술은 적합하지 못하다.The input of fresh coffee and the discharge of extracted coffee can be done in several arbitrary ways. For example, when freshly roasted powdered coffee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column, the lower valve of the column is briefly opened to discharge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in a desired amount. At the same time, the top valve of the column is opened to inject the appropriate aroma of unextracted roasted ground coffee by gravity. Then both valves are closed. If the extraction vessel is maintained at a pressure above atmospheric pressure, this technique is not suitable.

가장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기의 바로 위와 아래에 설치되어 그와 연결되어 있는 소위 블로우 케이스로부터 상기 추출 용기에 투입시키고 배출시킨다. 블로우 케이스는 투입시킬 미추출된 커피와 배출시킬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와 거의 동일한 부피의 개별 용기들이며, 이 블로우 케이스는 추출 용기에서 유지되는 압력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약간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다. 컬럼 위의 블로우 케이스에는 적당량의 신선한 커피를 채우고, 압축 공기 또는 일부의 액체로 상기 컬럼에서 유지되는 압력보다 약간 큰 압력으로 가압시킨다. 컬럼 하부의 밸브를 개방시켜 블로우 케이스를 커피의 배출된 분획으로 채우고, 상기 밸브를 닫는다, 거의 동시에, 컬럼 상부의 밸브를 개방시키고 신선한 볶은 분말 커피를 가압하에 컬럼으로 투입시킨다. 이어서, 상부 블로우 케이스를 분리시키며, 컬럼으로의 투입과 배출을 재개하거나 계속한다. 상기 블로우 케이스의 사용은 비교적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중력에 의해 추출 용기에 투입시키고 배출시키는 것 만큼 신속하다.Most preferably, the extraction vessel is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from a so-called blow case installed above and connected to the extraction vessel. The blow case is individual containers of approximately the same volume as the unextracted coffee to be injected and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to be discharged, which can withstand pressures equal to or slightly higher than the pressure maintained in the extraction container. The blow case on the column is fill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fresh coffee and pressurized with compressed air or some liquid to a pressure slightly greater than the pressure maintained in the column. The valve at the bottom of the column is opened to fill the blow case with the discharged fraction of coffee, and the valve is closed. Almost simultaneously, the valve at the top of the column is opened and fresh roasted powdered coffee is introduced into the column under pressure. The upper blow case is then separated and the input and discharge to the column is resumed or continued. The use of the blow case is relatively simple, efficient and as fast as feeding and discharging into the extraction vessel by gravity.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작동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한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정상 상태의 조건에서, 추출 용기(5)는 다양한 정도로 추출시킨 볶은 분말 커피의 베드로 충전된다. 공급수는 추출 용기의 제1 말단(6)으로 공급하고, 커피 추출물은 추출 용기의 제2 말단(4)으로부터 취출한다.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는 주기적으로 밸브(1)을 통하여 블로우 케이스(2)로 투입시킨다. 밸브(3) 및 (7)는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블로우 케이스(2)로부터 추출 용기의 제2 말단(6)으로부터 블로우 케이스(8)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동시에 개방시킨다. 이어서, 밸브(3) 및 (7)을 닫는다. 이어서, 밸브(9)를 개방시켜 블로우 케이스(8)로부터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배출시킨다. 추가되는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는 밸브(1)를 통하여 블로우 케이스(2)로 투입되며, 이 과정은 반복된다.1 shows one preferred embodiment for opera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steady-state conditions, the extraction vessel 5 is filled with a bed of roasted powder coffee extracted to varying degrees. The feed water is fed to the first end 6 of the extraction vessel and the coffee extract is withdrawn from the second end 4 of the extraction vessel. The unextracted roasted powder coffee is periodically introduced into the blow case 2 through the valve 1. Valves 3 and 7 intermittently open simultaneously to discharge the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from the blow case 2 to the blow case 8 from the second end 6 of the extraction container. Subsequently, the valves 3 and 7 are closed. The valve 9 is then opened to drain the roasted powdered coffee extracted from the blow case 8. The additional unextracted roasted powder coffee is introduced into the blow case 2 through the valve 1,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지금까지 본 발명의 작동을 기술하였고, 상기 작동으로부터 얻어진 상당히 개선된 공정 효능과 커피 추출물의 품질을 다음에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볶은 분말 커피 고형분의 추출에 더욱 효과적인데, 그 이유는 6 또는 8개의 컬럼의 종래의 고정 베드 역류 추출 장치보다 더 많은 단계르 효과적으로 갖기 때문이며, 단계란 용어는 문헌[페리(Perry), Chemical Engineers' Handbook, 제3판, McGraw Hill, 1950년, 제716페이지]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화학 공학적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 개선된 효능으로 동등한 작동 변수에서 종래의 추출 장치에 비해 취출된 커피 추출물 중 커피 고형분의 농도가 증가된다. 또한, 모든 작동 변수를 일정하게 고정시켜도, 종래의 추출장치에 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커피 추출물에서 더 높은 수준의 커피 향이 발견되었다. 또한, 커피 향의수준은 출발시 볶은 분말 커피에서 발견되는 수준에 근접하는 좀 더 균형잡힌 수준이다. 커피 추출물을 분사 건조시키는 적용에 있어서 향상된 커피 고형분 농도는 최종 가용성 커피 제품에 향기로운 커피 향을 보존시키는데 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묽은 커피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건조시키기 전에 실질적인 하류 농축, 예를 들면, 증발에 의한 농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하류 농축은 전형적으로 향기로운 커피 향을 상당히 손실시키고(시키거나)분해시키는데, 상기 손실 및(또는)분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피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고농도 강요성 고형분은 가용성 커피 가공에 있어서 향 유지를 위해 훨씬 필요하고 바람직하며, 우수한 감각 수용성 품질을 갖는 가용성 커피 제품이 생산되는 것이 밝혀졌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so far, an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significantly improved process efficacy and quality of the coffee extract obtained from the operatio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powdered coffee solids, since it has more steps to b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fixed bed countercurrent extraction devices of 6 or 8 columns, the term being referred to as Perry ), Chemical Engineers' Handbook, 3rd Edition, McGraw Hill, 1950, page 716, which is used in its conventional chemical engineering sense,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is improved potency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coffee solids in the coffee extract taken compared to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s at equivalent operating parameters. In addition, even if all operating variables were fixed constantly, higher levels of coffee aroma were found in the coffe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compared to conventional extractors. In addition, the level of coffee aroma is more balanced, close to the level found in roasted ground coffee at the start. In applications where the coffee extract is spray dried, the enhanced coffee solids concentra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preserving the fragrant coffee aroma in the final soluble coffee product, since dilute coffee extracts are generally subjected to substantial downstream concentration, eg evaporation, before drying. This is because it requires concentration. Such downstream concentration typically results in significant loss and / or degradation of the aromatic coffee aroma, which loss and / or degradation can generally be avoided by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it has been found that the high concentration compulsory soli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uch more necessary and desirable for maintaining flavor in soluble coffee processing, and that soluble coffee products with good sensory water soluble quality are produced.

묽은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 있어서, 종래의 다중 컬럼 추출을 이용하는 추출물에 비해 최종 추출물의 향은 출발시 볶은 분말 커피 향과 거의 유사하며 그 만큼 향이 균형잡혀 있다. 수율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커피 추출물의 품질도 실질적으로 향상된다.In situations where dilute extracts are available, the aroma of the final extract is nearly similar to the roasted powder coffee aroma at the time of departure compared to conventional extracts using multi-column extractions, and the aromas are balanced.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yield, the quality of the coffee extract is substantially improved.

추출 수율, 즉, 투입된 시선한 볶은 분말 커피 중량 당 추출된 가용성 커피 고형분의 중량은 커피 추출의 정도를 정량화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 수율은 동등한 작동 변수에서 종래의추출 장치보다 더 우수하다. 수율은 일반적으로 볶은 분말 커피의 베드를 통한 추출액의 외관 유속, 추출 용기 중 커피의 체류 시간, (후술되는 바와 같은)추출액의 온도 및 투입된 볶은 분말 커피 중량 당 추출수의 총 중량에 의존한다. 추출액은 추출수로서 공급되는, 용기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를 의미하며, 커피 추출물로서 용기로부터 취출될 때까지 가용성 커피 고형분이 점차 풍부해지게 된다. 상기 액체의 외관 유속과 신장형 컬럼에 포함된 볶은 분말 커피를 통하여 공급되는 액체의 양은 커피의 추출과 세척 정도에 관계가 있다. 보다 낮은 외관 유속은 컬럼 중 액체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고, 전형적으로 더 많은 추출에 유리하다. 대기하 추출 조건, 즉 70 내지 100℃에서, 보다 높은 외관 유속은 동일한 정도의 추출을 달성하기 위하여 더 긴 추출 용기를 필요로 하지만, 커피 입자로부터 더나은 세척(및 수율)을 제공한다.The extraction yield, ie the weight of soluble coffee solids extracted per input weight of the roasted ground powder coffee, quantifies the degree of coffee ext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ion yield is better than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s at equivalent operating parameters. Yields generally depend on the appearance flow rate of the extract through the bed of roasted powder coffee, the residence time of the coffee in the extraction vessel,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 (as described below) and the total weight of extract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 coffee injected. Extract means liquid flowing through the container, which is supplied as extract water, and gradually becomes rich in soluble coffee solids until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as a coffee extract. The apparent flow rate of the liquid and the amount of liquid supplied through the roasted powder coffee contained in the elongate column are related to the degree of extraction and washing of the coffee. Lower appearance flow rates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liquid in the column and are typically advantageous for more extraction. At atmospheric extraction conditions, ie 70-100 ° C., higher apparent flow rates require longer extraction vessels to achieve the same degree of extraction, but provide better cleaning (and yield) from coffee particles.

추출이 100 내지180℃의 초대기 조건(가수분해 조건)에서 수행되는 조건에서, 더 짧은 액체 체류 시간이 향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유리하므로, 보다 높은 외관 유속이 바람직하다.In conditions where extraction is carried out at super-air conditions (hydrolysis conditions) of 100 to 180 ° C., a higher appearance flow rate is preferred, since a shorter liquid residence time is advantageous to prevent fragrance degradation.

0.03 내지 0/3 m/분의 외관 유속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하기에 편리하며, 대부분이 고농도인 대기하 고형분이 될 수 있는 추출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0.03 내지 0.15 m/분의 속도가 바람직하며, 0.06 내지 0/15 m/분의 속도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 높은 속도가 원래의 볶은 분말 커피에 근접한 제품 향을 제공하는 추출물의 향 균형을 개선시키므로, 가수분해 조건 또는 더 높은 볶음 수율(23 내지 50% 볶음 수율)을 위해서는 0.15 내지 0.30 m/분의 외관 유속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범위 밖의 외관 유속은, 저속에서는 추출 효율성이 상응하게 감소되고, 고속에서는 추출물이 많이 희석되기는 하지만 이용할 수도 있다.Appearance flow rates of 0.03 to 0/3 m / min are convenient for use i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ates of 0.03 to 0.15 m / min are preferred to produce extracts that can be largely atmospheric atmospheric solids. The speed of 0.06 to 0/15 m / min was found to be most preferred. Appearance of 0.15 to 0.30 m / min for hydrolysis conditions or higher roast yields (23-50% roast yield), as higher speeds improve the flavor balance of the extract providing product flavor close to the original roasted powder coffee Flow rate is preferred. Of course, the apparent flow rate outside the above range may be used although the extraction efficiency is correspondingly reduced at low speeds and the extract is diluted much at high speeds.

종래의 추출보다 고농도의 추출물을 생성하기 위해 투입되는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추출수의 총 중량은 종래의 추출에서와 유사하게, 즉, 약 15:1 내지 40:1에서 유지된다. 이것은 추출 용기 중에서 볶은 분말 커피 453.6 g(1 파운드)에 대해 6.8 내지 18kg(15 내지 40 파운드)의 추출액을 그를 통하여 유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빠른 외관 유속이 이용되는 가수분해 조건에서 뛰어난 추출물 향을 생성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추출수는 40:1 내지 90:1로 유지된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tal weight of extract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injected to produce a higher concentration of extract than conventional extraction is maintained similarly as in conventional extraction, ie, from about 15: 1 to 40: 1. This means flowing 6.8 to 18 kg (15 to 40 pounds) of extract liquid through 453.6 g (1 pound) of roasted ground coffee in the extraction vessel. In order to produce an excellent extract aroma in hydrolysis conditions where a faster appearance flow rate is used, it is desirable that the extraction water per weight of the roasted ground coffee to be put is maintained between 40: 1 and 90: 1.

수율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작동 변수인 추출 용기 중의 볶은 분말 커피의 체류 시간은 종래의 추출에서와 유사하게, 즉, 약 75 내지 240분, 통상 90 내지 240분으로 유지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통상 90 내지 140분의 분말 체류 시간이 출발시 볶은 분말 커피에 근접한 프로파일을 갖는 우수한 향을 생산하며, 140 내지 240분의 체류 시간은 향기로운 추출물을 고농도로 생산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체류 시간을 설정하고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의 일부를 간헐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볶은 분말 커피의 주기적인 투입과 배출 횟수는 고정된다. 이는 총 체류 시간에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추출 용기의 분획을 곱하면 투입과 배출 사이의 간격과 반드시 동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총 체류 시간이 200분으로 선택되고, 컬럼 높이의 약 12.5%가 간헐적으로배출된다면, 주기적인 작동 사이의 간격은 25분이 될 것이다. 최종 결과는 상기 장치의 목잡성을 제거하면서, 단일 추출용기로 8개 컬럼 역류 추출 장치와 동등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desirable to maintain the residence time of the roasted powdered coffee in the extraction vessel, another operating variable for achieving yield, similarly as in conventional extraction, ie, about 75 to 240 minutes, usually 90 to 240 minutes. A powder residence time of 90 to 140 minutes usually produces a good aroma with a profile close to the roasted powder coffee on departure, and a residence time of 140 to 240 minutes helps to produce a high concentration of aromatic extract. By setting the residence time as described above and discharging a portion of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intermittently, the number of periodic inputs and discharges of the roasted powdered coffee is fixed. This is because multiplying the fraction of the extraction vessel with intermittent discharge by the total residence time is necessarily equal to the interval between input and discharge. For example, if the total residence time is chosen to be 200 minutes and about 12.5% of the column height is intermittently discharged, the interval between periodic operations will be 25 minutes. The end result is to provide the equivalent of an eight column countercurrent extraction unit with a single extraction vessel, eliminating the complexity of the apparatus.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커피의 가수분해는 추출수가 종래의 장치에 공급되는 컬럼에서 일어나며, 대기하 추출은 그로부터 커피 추출물을 취출시키는 신선한 볶은 분말 커피를 포함하는 컬럼에서 일어난다. 본 발명의 볶은 분말 커피 추출 방법은 추출수가 추출 용기에 공급되는 온도에 의존하여 성취되는 결과로 증가된 적응성을 제공한다. 제1 실시태양으로, 볶은 분말 커피의 대기하 추출은 약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추출수를 용기에 공급하고, 컬럼의 총 높이에 걸쳐 상기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추출 용기 내의 압력은 보통 대기압이거나 그 보다 약간 높다. 이어서,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또 다른 추출 용기에 투입시켜, 상기 커피를 가수분해시키고, 그에 의해 생산된 남아있는 이용가능한 가용성 커피 고형분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실시탱양으로, 가수분해는 100℃이상 내지 약 232℃ 이하의 온도에서 추출수를 추출 용기에 공급함으로써 성취된다. 상기 온도는 예를 들면, 용기를 절연시키거나 쟈켓팅함으로써 용기의 전체 높이에 걸쳐 유지 할 수 있거나, 또는 정상적인 열손실을 통하여 또는 상기 용기의 쟈켓 온도를 감소 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컬럼 중 압력은 대기압보다 상당히 높고, 적어도 선택된 온도에서의 물의 포화 압력과 일치한다. 적절한 압력 하에 커피를 투입시키고 배출시키기 위한 블로우 케이스 또는 다른 적당한 장치를 물론 사용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hydrolysis of the coffee takes place in a column where the extract water is fed to a conventional apparatus, and extraction under air occurs in a column comprising fresh roasted powder coffee which draws the coffee extract therefrom. The roasted powder coffee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creased adaptability as a result achieve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extract water is supplied to the extraction vessel. In a first embodiment, subatmospheric extraction of roasted powdered coffee is accomplished by feeding extract water to the vessel at a temperature of about 70-100 ° C. and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ver the total height of the column. The pressure in the extraction vessel is usually at or slightly above atmospheric pressure. The intermittently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may then be placed in another extraction vessel to hydrolyze the coffee and extract the remaining available soluble coffee solids produced thereby. In a second embodiment, hydrolysis is accomplished by feeding the extraction vessel to the extraction vessel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100 ° C and up to about 232 ° C. The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by insulating or jacketing the container, or can be reduced through normal heat loss or by reducing the jacket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he pressure in the column is considerably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and at least coincides with the saturation pressure of the water at the selected temperature. Blow cases or other suitable devices for injecting and dispensing coffee under appropriate pressure should, of course, be used.

제2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단일 추출 용기에서 대기하 추출과 가수분해를 모두 제공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추출수를 100℃이상의 온도에서 용기에 공급하여, 물과 최초로 접촉하는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에서 알맞은 완화한 가수분해를 유도시킨다. 이어서, 용기 내의 온도는 용기 쟈켓을 통해 냉각액을 순화시킴으로써 또는 열손실에 의해 점차 낮아져서, 추출액이 추출 용기의 반대 말단의 가장 신선한 볶은 분말 커피에 도달할 때에는 상기 온도가 약 70 내지 100℃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장 낮은 온도에서 추출되는 커피는 대기하 추출되며,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커피는 종래의 추출 시스템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가장 높은 온도에서 추출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작업이 덜 복잡하다 하더라도, 경험상 단일 추출 용기 내에 정확한 온도 조절을 하는 것은 종종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난다.In a second embodiment,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can be varied to provide both subatmospheric extraction and hydrolysis in a single extraction vessel. Extracted water is fed to the vessel at a temperature above 100 ° C. to induce moderate mild hydrolysis in the roasted powdered coffee from which the active ingredient, which is first contacted with water, is extracted the most. The temperature in the vessel is then gradually lowered by purifying the coolant through the vessel jacket or by heat loss such that the temperature can reach about 70-100 ° C. when the extract reaches the freshest roasted powder coffee at the opposite end of the extraction vessel. have. In this way, the coffee extracted at the lowest temperature is extracted under air, and the coffee with the most active ingredient is extracted at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e same way as in conventional extraction systems. Although the work is less complicated in this way, experience shows that accurate temperature control in a single extraction vessel is often difficult to achieve.

단일 용기에서의 대기하 추출 이후, 제2 추출 용기 또는 심지어 고정 베드에서의 가수분해가 이어지는 역류 장치가 좀 더 유연하며, 이는 특히 대부분의 커피 맛과 향이 대기하 추출되고, 따라서 가수분해 작업은 고온에서 작동되며 향 고려에 의해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After atmospheric extraction in a single vessel, the countercurrent device followed by hydrolysis in a second extraction vessel or even a fixed bed is more flexible, in particular where most coffee flavors and aromas are extracted under atmospheric, so the hydrolysis operation is hot This is because it works in and is not limited by the flavor consideration.

본 발명은 방법은 엄밀하게는 연속적이지 않지만, 추출물의 흐름이 간헐적으로, 심지어 짧은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수분 이내로 중지되며, 조건이 허용되면 전혀 중단되지 않으므로, 역류 추출 장치보다는 확실히 거의 연속적이다. 거의 연속적인 조작으로 정상 상태 조건에 훨씬 더 근접할 수 있어서, 취출된 추출물은 역류 장치로부터 취출된 추출물보다 좀 더 균일한 농도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추출 용기에 볶은 분말 커피를 투입시키기 전에 상기 볶은 분말 커피를 예습시킴으로써 상기 농도 프로파일은 훨씬 더 균일해질 수 있다. 건조된 볶은 분말 커피는 추출물의 원래 중량을 거의 수분으로서 흡수할 것이므로, 그러한 커피를 추출 용기에 투입시키면, 상기 커피는 초기에 접촉하는 추출액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물을 흡수하여, 상기 액체를 농축시키고, 농도 프로파일을 저해할 것이다. 따라서, 볶은 분말 커피는 추출 용기에 투입시키기 전에 35 내지 60 중량%로 예습시킬 수 있다. 예습을 위해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며, 이는 상기 추출물이 볶은 분말 커피에 커피 고형분을 첨가시켜 취출된 추출물의 평형 농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때문이다. 예습은 물 또는 10 내지 중량%의 커피 고형분을 갖는 커피 추출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습에 사용하는 액체와 상관없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예습은 또한 추출 용기에 간헐적으로 투입시키는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의 비율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Although the process is not strictly continuous, the present invention is certainly almost continuous than a countercurrent extraction device, since the flow of the extract is intermittently, even for a short period of time, preferably within minutes, and not at all if conditions permit. By near continuous operation, it can be much closer to steady state conditions, so that the extracted extract has a more uniform concentration profile than the extract taken from the countercurrent device. The concentration profile can be made even more uniform by preheating the roasted powdered coffee prior to introducing the roasted powdered coffee into the extraction vessel. Dried roasted powdered coffee will absorb the original weight of the extract almost as moisture, so when such coffee is placed in an extraction container, the coffee preferentially absorbs water from the initially contacted extract, concentrating the liquid and concentrating Will impair the profile. Thus, the roasted powdered coffee can be preheated to 35 to 60% by weight before being put into the extraction container. It is useful to use extracts for preliminary preparation because the extracts tend to add a coffee solids to the roasted powdered coffee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the extracted extract. Preheating can be carried out with a coffee extract with water or coffee solids of 10% by weight. Regardless of the liquid used for the prepa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paration also helps to determine the percentage of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that is intermittently introduced into the extraction vessel.

본 발명의 취출된 추출물의 농도 증가는 본 발명의 작동의 한 양식에 필수적이다. 모든 다른 가공 조건이 같은 경우, 원래의 볶은 분말 원두의 특징적인 향을 갖는 매우 향기로운 커피 추출물을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농도 또는 수율로 생산할 수 있는 기회도 동일하게 중요하다. 특히, 볶은 분말 커피를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 추출물로 예습시키는 경우, 추출물을 추출 용기에서 배출시킬 때 농도 범위를 약 55% 중량로 상승시킬 수 있다.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ssential to one mode of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ll other processing conditions are the same, the opportunity to produce very fragrant coffee extracts with the characteristic aroma of the original roasted powdered beans in equal or higher concentrations or yields is equally important. In particular, when the roasted powdered coffee is preliminary with the coffee extract as described above, the concentration range can be increased to about 55% by weight when the extract is discharged from the extraction vessel.

추출 용기에서 단지 대기하 추출만이 일어나거나, 0.03 내지 0.15 m/분의 외관 유속을 이용하는 가수분해 조건하에 보다 높은 농도가 요구되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신태양에서, 출구 농도는 일반적으로 커피 고형분 약 10 중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약 2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중량% 이상이다. 동일 조건에서 작동된 종래 추출 장치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커피 대 물의 비율에서 더 높은 출구 농도를 당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같은 추출용기 중 높은 커피 대 물의 비율과 높은 취출 인자(및 보통 75-140분의 짧은 분말 체류 시간)에서 대기하 추출과 알맞은 가수분해가 이루어지는 경우 및 가수분해만이 이루어는 경우에서, 출구 추출물 농도는 일반적으로 약 5% 이상이고, 예를 들어 4% 이상, 통상적으로 10% 이상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re only sub-atmosphere extraction takes place in the extraction vessel or higher concentrations are required under hydrolysis conditions using an apparent flow rate of 0.03 to 0.15 m / min, the outlet concentration is generally about coffee solids. At least 10% by weight, typically at least about 20% by weight, preferably at least about 30% by weight and most preferably at least about 40% by weight. Higher outlet concentrations can be achieved at the same coffee-to-water ratio as used in conventional extraction apparatus operated at the same conditions. Similarly, in the same extraction vessel, in the case of atmospheric extraction and adequate hydrolysis at high coffee-to-water ratios and high draw factors (and usually short powder residence times of 75-140 minutes) and only in the case of hydrolysis, The outlet extract concentration is generally at least about 5%, for example at least 4%, typically at least 10%.

상기 증가된 출구 농도의 잇점은 하류 가공 효능, 비용 절감, 향 개선의 면에서 실현된다. 통상적으로, 커피 추출물은 건조시키기 전에 실질적인 농축 단계, 일반적으로는 증발을 거치게된다. 상기 농축 단계는 에너지 집약적이며, 일반적으로 증발되는 수성상과 함께 향기로운 커피 방향분이 상당히 손실된다. 이러한 향기로운 방향분의 일부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응축, 증류 및 흡착이 공지되어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자본 집약적이고 에너지 집약적이며, 100% 성공적이지 못하다.The advantage of this increased outlet concentration is realized in terms of downstream processing efficiency, cost savings, and odor improvement. Typically, the coffee extract is subjected to a substantial concentration step, generally evaporation, before drying. The concentration step is energy intensive and generally results in a significant loss of aromatic coffee fragrance with the evaporated aqueous phase. As a method of recovering some of these aromatic fragrances, for example, condensation, distillation and adsorption are known, but these methods are capital intensive and energy intensive and are not 100% successful.

본 발명은 에너지 및 향 보유 관점 모두에서 커피 추출물이 효율적인 건조에 적합하도록 하류에서 한정된 농축이 필요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농축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높은 농도와 높고 균형잡힌 수준의 커피 방향분을 갖도록 생산된다는 점에서 종래 시스템보다 매우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in terms of both energy and aroma retention, coffee extracts are produced with high concentrations and high and balanced levels of coffee fragrances that require limited concentration downstream, or preferably do not require concentration, to be suitable for efficient drying. It is very preferable to the conventional system in this respect.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을 예시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들은 청구 범위에 청구된 것을 벗어나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s do not limit the invention beyond what is claimed in the claims.

[실시예 1]Example 1

1. 비교적 목적으로, 직경이 0.25 m이고 높이가 5.5. m인, 각각 82 kg의 볶은 분말 커피가 중전된 6개의 컬럼을 갖는 역류 고정 베드 추출 장치(역류 장치)를 평형을 획득한 후에 조작하였다. 사이클 시간은 약 175분의 장치 중 커피의 총 체류시간에 대해 한 사이클 당 약 35분이었다. 6번째 컬럼은 커피를 배출시키고 교체시키는 회전식 컬럼이어서, 6개의 컬럼 중 5개는 항상 커피를 추출하도록 하였다. 추출수를 약 130℃로 장치에 공급하여, 대기하 추출 뿐만 아니라 완화한 열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추출수의 총 중량비는 29.6:1이었다.1. For comparative purposes, 0.25 m in diameter and 5.5 in height. A countercurrent fixed bed extraction device (reflux device) with six columns, each with 82 kg of roasted powder coffee, m, was operated after equilibration was obtained. The cycle time was about 35 minutes per cycle for the total residence time of the coffee in the apparatus of about 175 minutes. The sixth column is a rotary column that drains and replaces coffee, so that five of the six columns always brew coffee. Extracted water was fed to the apparatus at about 130 ° C. to perform extraction under air as well as mild thermal hydrolysis. The total weight ratio of extract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29.6: 1.

생성 추출물은 약 6.7 중량%의 가용성 커피 고형분을 가졌다.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볶은 분말 커피의 전체 수율은 약 28 중량%이었다.The resulting extract had about 6.7% by weight soluble coffee solids. The total yield of roasted ground coffee was about 28% by weight on a dry basis.

2. 직경이 0.1m이고, 높이가 15.2m인, 44 kg의 볶은 분말 커피를 보유한 수직, 원통형의 신장형 컬럼을 사용하였다. 강철 컬럼에는 커피의 투입과 배출을 위하여 양 말단에 2개의 10cm 볼 밸브를 정착하였다. 볼 밸브를 통하여 상기한 컬럼과 연결되도록 호퍼를 컬러 위에 정착하였다. 컬럼 부피의 약 12.5%를 나타내는, 추가의 원통형 길이를 브로우 케이스로서 컬럼 아래에 수직으로 정착시켜, 하부 볼 밸브를 통하여 컬럼과 연결시켰다. 세번째 10cm 볼 밸브를 블로우 케이스 하부에 장착하였다. 물은 열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컬럼 하부의 약간 위에 정착된 베이어닛과 같은 유동 분배기르 통하여 컬럼으로 펌핑시켰다. 커피 추출물은 상기 컬럼의 상부 약간 아래에 정착된 베이어닛을 통하여 취출하였다. 추출물은 추출 컬럼으로부터 탱크로 펌핑시켰다. 볶은 분말 커피는 호퍼에 위치하며, 액체와 수동으로 혼합시켜 예습시켰다. 블로우 케이스 상의 최하부 볼 밸브를 닫아 컬럼으로 투입되고 배출되는 흐름을 중단시켰다. 컬럼의 양 말단의 볼 밸브를 본질적으로 동시에 개방시켜, 중력에 의해 볶은 분말 커피가 컬럼으로 충전되고, 추출된 커피가 블로우 케이스에 충전되도록 한 후, 양쪽 밸브를 닫았다. 이어서, 컬럼으로 투입되고 배출되는 흐름을 재개시켰다. 블로우 케이스 함유물을 냉각시키고, 최하부 볼 밸브를 개방시켜 블로우 케이스를 비웠다.2. A vertical, cylindrical elongate column with 44 kg of roasted powder coffee, 0.1 m in diameter and 15.2 m in height, was used. In the steel column, two 10cm ball valves were fitted at both ends for the input and discharge of coffee. The hopper was settled on the collar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lumn described above via a ball valve. An additional cylindrical length, representing about 12.5% of the column volume, was set vertically below the column as a brow case and connected to the column via the lower ball valve. A third 10 cm ball valve was mounted below the blow case. Water was pumped to the column through a heat exchanger and through a flow distributor such as a bayonet settled slightly above the bottom of the column. The coffee extract was taken out through a bayonet settled slightly below the top of the column. The extract was pumped from the extraction column into the tank. Roasted powdered coffee was placed in a hopper and premixed by manually mixing with the liquid. The bottom ball valve on the blow case was closed to stop the flow into and out of the column. The ball valves at both ends of the column were opened essentially simultaneously, allowing gravity roasted powder coffee to fill the column and the extracted coffee to fill the blow case, then closing both valves. The flow into and out of the column was then resumed. The blow case contents were cooled and the blow case was emptied by opening the bottom ball valve.

제1 전개(Run 1)로는, 컬럼 중 커피 부피의 약 12.5%를 200분의 용기중 총 체류 시간 동안 25분마다 컬럼 하부에 근전한 블로우 케이스로 간헐적으로 배출시켰다, 58 중량%의 수분을 갖도록 물로 예습시킨 동일 부피의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컬럼 상부에 위치한 블로우 케이스를 통하여 컬럼 상부에 투입시켰다. 추출수는 약 88℃에서 컬럼 하부로 공급하여, 대기하 추출을 수행하였다.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공급되는 물의 총 중량비는 29.6:1이었다.In the first run (Run 1), approximately 12.5% of the volume of coffee in the column was intermittently drained into a conventional blow case at the bottom of the column every 25 minutes for a total residence time in a 200 minute container, with 58% by weight of moisture. An equal volume of unextracted roasted ground coffee preliminary with water was introduced to the top of the column through a blow case located at the top of the column. Extraction water was supplied to the bottom of the column at about 88 ℃, extraction was performed under the air. The total weight ratio of water supplied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29.6: 1.

생성된 추출물은 약 13.8 중량% 농도의 가용성 고형분을 가졌다. 볶은 분말 커피의 전체 건조 수율은 23 중량%이었다.The resulting extract had soluble solids at a concentration of about 13.8% by weight. The total dry yield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23% by weight.

제2 전개(Run 2)는 볶은 분말 커피를 컬럼 상부로부터 취출되는 커피 추출물의 일부로 예습시켜, 공급되는 물을 예습된 추출물에 함유된 물을 보충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생성된 추출물의 농도는 가용성 고형분 36.6 중량%이었다. 추출물을 사용한 간단한 예습 방법으로 제1 전개에 비해 농도가 거의 3배로 증가하였다.Run 2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except that the roasted powdered coffee was preliminary with a portion of the coffee extract taken from the top of the column to adjust the water supplied to replenish the water contained in the pre-extracted extract. . The concentration of the resulting extract was 36.6 wt% of soluble solids. Simple preliminary methods using extracts increased concentrations almost threefold compared to the first run.

제3 전개(Run 3)는 실시예 2의 전개 1 및 2에서와 같은 전체 형상의 컬럼에서 수행하였으며, 이 실시예의 역류 장치는 직경이 0.25m이고, 높이가 7.9m이며, 140kg의 볶은 분말 커피를 보유하고 있다. 조건은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공급되는 물의 비를 약 76:1로 더욱 증가시키고, 추출수의 온도를 약 120℃로 감소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역류 장치에서와 유사하였다.A third run (Run 3) was carried out on the column of the same overall shape as in runs 1 and 2 of Example 2, the backflow device of this example having a diameter of 0.25 m, a height of 7.9 m and 140 kg of roasted powder coffee Holds. The condition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countercurrent apparatus, except that the ratio of water fed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further increased to about 76: 1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 water was reduced to about 120 ° C.

본 전개(Run 3)의 추출물은 실시예 2의 전개 1-3 또는 본 실시예의 출발시 볶은 분말 커피의 향에 가장 근접하였고, 이는 다시 종래의 고정 베드 퍼콜레이터(percolator)에서 성취할 수 없었던 물/커피 비율에서 본 발명의 증가된 효율성을 증명한다.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The extract of Run 3 was closest to the aroma of roasted powdered coffee at Run 1-3 of Example 2 or at the start of this Example, which again was unachievable in conventional fixed bed percolators. It demonstrates the increased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atio of coffee to coffe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전개 3으로서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물의 비율을 증가시키면, 동일한 수율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와 또한 추출기 중 추출 체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는 다시 바람직하지 않은 분해된 향(푸르푸랄)의 생성은 더욱 감소기키지만, 메틸 푸란, 2-3-펜탄디온 및 디아세틸 등의 바람직한 향의 추출 효율성은 개선시킨다. 볶은 분말 커피 중량 당 물의 비율 증가는 종래의 고정 베드 추출 장치에서 복잡한 다기관에 의해 부여되는 압력 저하에 제한되지 않고 쉽게 성취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잇점이 있다.Increasing the ratio of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as development 3, it is readily seen to reduce the temperature required to achieve the same yield and also the extraction residence time in the extractor. This, in turn, further reduces the production of undesirable decomposed fragrance (furfural), but improves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preferred fragrances such as methyl furan, 2-3-pentanedione and diacetyl. An additional advantage is that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water per roasted powder coffee weight can be easily achiev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pressure drop imparted by the complex manifold in conventional fixed bed extraction devices.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역류 장치에서 추출된 커피가 전개 1 및 전개 2보다 약간 2보다 약간 높은 수율을 갖지만, 이것은 장치 제한 때문에 필요한 상기 방법의 높은 추출 온도에 기인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높은 효율성은 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추출물의 고농도에서 알 수 있으며, 상기 농도는 각각의 방법에서 커피 중량에 대해 같은 중량의 물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제1 경우에서 종래에 생산된 추출물의 농도의 거의 2배였다. 재순환 추출 기술이 이용될 때, 농도는 6배 증가하였다. 고농도 추출물은 보다 많은 향을 보유하고, 추출물은 건조시키기 전에 농축시킬 필요가 더 적고, 따라서 필요한 장치와 조작비가 적게 든다는 점에서, 보다 고농도의 추출물이 유리하다.Although the coffee extracted in the countercurrent device has a slightly higher yield than 2 for Run 1 and Run 2, this is due to the high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method, which is necessary because of device limitations. The higher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at higher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produced by the method, which concentration is conventionally produced in the first case, despite the use of the same weight of water for the coffee weight in each method. Almost twice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When the recycle extraction technique was used, the concentration increased by 6 times. Higher concentration extracts are advantageous in that high concentration extracts have more aroma, and the extract needs less concentration before drying, thus requiring less equipment and operating costs.

[실시예 2]Example 2

1. 제2 비교예로, 직경이 0.25m이고 높이가 5.2m인, 각각 82kg의 볶은 분말 커피로 채워진 6개의 컬럼을 갖는 역류 고정 베드 추출 장치(제1 고정 베드)를 평형을 이룬 후 작동시켰다. 총 체류 시간을 160분으로 하도록 사이클 시간은(제6 컬럼이 비워지고 재충전되는) 임의의 시간의 스트럼에 대해 5개의 컬럼에서 약 32분이었다. 추출수는 약 177℃(약 350。F)에서 장치로 공급하여, 대기하 추출 뿐만 아니라 약간의 열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볶은 분말 커피 중량당 물의 총 중량은 15:1이었다.1. In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a countercurrent fixed bed extraction device (first fixed bed) having six columns filled with 82 kg of roasted powder coffee, each 0.25 m in diameter and 5.2 m high, was equilibrated and operated. . The cycle time was about 32 minutes in 5 columns for any time strum (the sixth column was emptied and refilled) to give a total residence time of 160 minutes. Extracted water was fed to the apparatus at about 177 ° C. (about 350 ° F.) to perform sub-air extraction as well as some thermal hydrolysis. The total weight of water per roasted powdered coffee weight was 15: 1.

건조 상태 기준의 볶은 분말 커피의 전체 수율은 약 38 중량%이었으며, 이것은 추출물이 약 23.8 중량%의 가용성 커피 고형분 농도를 갖게 한다.The total yield of roasted ground coffee on a dry basis was about 38% by weight, which gave the extract a soluble coffee solids concentration of about 23.8% by weight.

2. 실시예 1의 컬럼과 전체 형태가 유사하며, 직경이 0.25 m이고 높이가 13.6m인, 약 227kg의 볶은 분말 커피를 보유한 수직, 원통형의 신장형 컬럼을 사용하였다. 강철 컬럼에는 커피를 투입하고 배출하기 위해 양 말단부에 2개의 10cm 볼 밸브를 정착하였다. 용기를 컬럼 위에 정착하여, 볼 밸브를 통하여 상기 컬럼과 연결시키고, 컬럼 부피의 약 10%인 제2 용기를 컬럼 아래에 수직으로 정착하여 하부볼 밸브를 통하여 컬럼과 연결시켰다. 이러한 하부 용기는 블로우 케이스로서 작용하고, 이 블로우 케이스는 하부 말단에 3번째 10cm 볼 밸브를 포함한다.2. A vertical, cylindrical elongate column with approximately 227 kg of roasted powder coffee, similar in overall form to the column of Example 1, 0.25 m in diameter and 13.6 m in height, was used. In the steel column, two 10 cm ball valves were fitted at both ends to feed and discharge coffee. The vessel was settled on the column, connected to the column via a ball valve, and a second vessel, about 10% of the column volume, was settled vertically below the column and connected to the column through the lower ball valve. This lower container acts as a blow case, which includes a third 10 cm ball valve at the lower end.

물은 열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컬럼 하부의 약간 위에 정착된 베이어닛과 같은 유동 분배기를 통하여 컬럼으로 펌핑시켰다. 커피 추출물은 상기 컬럼의 상부의 약간 아래에 정착된 베이어닛을 통하여 취출하여 탱크로 펌핑시켰다.Water was pumped to the column through a heat exchanger and through a flow distributor such as a bayonet settled slightly above the column bottom. The coffee extract was taken out through a bayonet settled slightly below the top of the column and pumped into a tank.

볶은 분말 커피를 예습시키지 않고 상부 용기로 공급하였고, 용기를 분리한 후 약 10 bar의 공기를 이용하여 압축시켰다. 이 경우 컬럼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흐름을 중단시키지 않았다. 컬럼의 양 말단 상의 볼 밸브를 본질적으로 동시에 개방시켜, 공기 과압의 영향 하에 볶은 분말 커피를 컬럼에 채우고, 추출된 커피는 블로우 케이스에 충전시키고, 이때 양쪽 밸브를 닫았다, 블로우 케이스의 내용물은 공기를 이용하여 블로우 케이스를 압축함으로써 배출되고, 그후 블로우 케이스 최하부 밸브를 개방시켜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분말과 물을 유효 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분말 처리 호퍼로 운반하였다.Roasted powdered coffee was fed to the upper vessel without preheating, and the vessel was separated and then compressed using about 10 bar of air. In this case, the flow into and out of the column was not interrupted. The ball valves on both ends of the column were opened essentially simultaneously to fill the column with roasted powder coffee under the influence of air overpressure, and the extracted coffee to fill the blow case, with both valves closed, while the contents of the blow case The blow case was discharged by compression, and then the blow case lowermost valve was opened to transfer the powder and water extracted with the most active ingredient to the powder treatment hopper with the most active ingredient extracted.

제1 전개(Run 1)에서, 컬럼 내의 커피 부피의 10%를 용기 속에서 약 100분의 용기의 총 체류 시간 동안 10분마다 블로우 케이스로 간혈적으로 배출시켰다. 이어서, 동일 부피의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충전 용기를 통하여 컬럼의 상부에 채웠다. 추출수는 약 160℃(약 320。F)의 온도에서 컬럼의 하부로 공급하여, 대기하 추출과 볶은 분말 커피의 완화한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당 공급수의 총 중량비는 31:1이었다.In the first run (Run 1), 10% of the coffee volume in the column was drained to the blow case every 10 minutes for a total residence time of about 100 minutes in the container. An equal volume of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was then charged to the top of the column through a fill container. Extracted water was fed to the bottom of the column at a temperature of about 160 ° C. (about 320 ° F.) to perform extraction under air and mild hydrolysis of the roasted ground coffee. The total weight ratio of feed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31: 1.

생성된 추출물은 약 22.4 중량% 농도의 가용성 고형분을 가졌다. 볶은 분말 커피의 전체 건조 수율은 약 38 중량%이었다.The resulting extract had soluble solids at a concentration of about 22.4% by weight. The total dry yield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about 38% by weight.

제2 전개(Run 2)는 전개 1과 동일한 컬럼에서 수행하였다. 이 전개에서, 조건은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공급수의 총 중량비를 53:1로 증가시키고, 추출수의 온도를 약 149℃(약 300。F)로 감소시켰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개 1과 동일하였다. 생성된 추출물은 약 10중량%의 가용성 고형분 농도를 가졌으며, 볶은 분말 커피의 전체 건조 기준 수율은 약 40 중량%이었다.Run 2 was run on the same column as run 1. In this development, conditions 1 and 1 were increased except that the total weight ratio of feed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increased to 53: 1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 water was reduced to about 149 ° C. (about 300 ° F). Same. The resulting extract had a soluble solids concentration of about 10% by weight and the overall dry basis yield of roasted powdered coffee was about 40% by weight.

제2 고정 베드 추출(제2 고정 베드)전개는 전개 2에 비하여 높은 취출 인자로 실시하였다.Extraction of the second fixed bed (second fixed bed) was carried out with a higher extraction factor compared to development 2.

이어서, 본 실시예의 고정 베드 추출 장치 전개와 펄스된 신장형 컬럼으로부터의 두 전개(Run 1, Run2)로부터 얻어진 4개의 추출물들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였다.Subsequently, the four extracts obtained from the fixed bed extraction apparatus development of this example and the two developments (Run 1, Run2) from the pulsed elongate colum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본 명세서에서 향 결과는 퍼지(Rurge) 및 트랩(Trap)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졌다. 향 회수율 값은 출발시의 볶은 분말 커피의 G.C. 수에 대하여 추출물의 G.C.수를 할당하고(보정 또는 추출 수율), 100을 곱함으로써 유도된다.The fragrance results herein were obtained by using purge and trap gas chromatography. The aroma recovery value was determined by G.C. Derived by assigning the G.C. number of the extract to the number (corrected or extracted yield) and multiplying by 100.

상기 조작 조건과 GC 분석의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냈다.The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results of the GC analysis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표 2에 요약된 전개 1, 2 및 제1 고정 베드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추출 수율이 얻어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해 커피 추출물이 출발시의 볶은 분말 커피의 향에 더 가까운 향 균형을 갖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전개 1의 데이타와 제1 고정 베드 추출 장치로부터의 데이타를 직접 비교하면, 본질적으로 동일한 추출농도로 본 방법에서와 동일한 추출 수율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추출수 온도와 분말 체류 베드에서 커피 추출물은 더 가혹한 시간/온도 노출을 받게된다.While essentially the same extraction yields are obtained in developments 1, 2 and the first fixed bed summarized in Table 2, it is understood that the coffee extract has an aroma balance closer to the aroma of roasted powdered coffee at the start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e. Directly comparing the data from development 1 with the data from the first fixed bed extraction unit, the coffee extracts in the extract water temperature and the powder dwelling bed will have a more severe time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extraction yield as in this method with essentially the same extraction concentration. Receive temperature exposure.

본 발명의 더 큰 추출 효율성의 잇점은 표 2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연구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전개 1에서, 푸르푸랄의 생성 농도는 고정 베드 추출기의 1/3이다. 푸르푸랄은 커피 가공시에 향미 분해의 지시제로서 보통 사용된다. 투번째로, 전체G.C.수는 동일하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푸르푸랄에 비해 바람직한 향의 면에서 우수한 균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외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2-메틸 푸란 및 2-3-펜탄디온 등의 바람직한 커피 향의 추출 효율성은 종래의 고정 베드 추출과 같거나 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큰 효율성으로 추출물은 출발시의 볶은 분말 커피의 향에 가까운 향 균형을 갖게 된다.The benefits of the greater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studying the gas chromatography of Table 2. In run 1, the product concentration of furfural is 1/3 of the fixed bed extractor. Furfural is commonly used as an indicator of flavor breakdown in coffee processing. Secondly, the total G.C. numbers are the same, which shows a good balance in terms of desirable fragrance over undesirable furfural. In additio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preferred coffee aroma, such as 2-methyl furan and 2-3-pentanedione, by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is equal to or better than conventional fixed bed extraction. Thus, with this great efficiency the extract has a fragrance balance close to that of roasted powdered coffee at the start.

표 2에서 본 발명의 전개 1 및 2를 비교하면, 전개 2에서의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물의 비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이 동일한 수율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온도와 또한 추출기 중 추출물 체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시 낮은 푸르푸랄 농도로서 증명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분해 생성물의 생성은 감소시키지만, 2-메틸 푸란 및 2,3-펜탄디온 등의 바람직한 향의 추출 효율성은 더욱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부가의 잇점은 볶은 분말 커피의 중량 당 물의 비를 증가시켜 종래의 고정 베드 추출 장치에서 복잡한 다기관에 의해 부가된 압력 저하에 제한되지 않고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이다.Comparing development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able 2, further increasing the ratio of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in development 2 reduced the temperature required to achieve the same yield and also the extraction residence time in the extractor. Able to know. This, in turn, reduces the production of undesirable decomposition products, as evidenced by low furfural concentrations, but further improves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preferred fragrances such as 2-methylfuran and 2,3-pentanedione. An additional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achieved without limiting the pressure drop added by the complex manifold in conventional fixed bed extraction devices by increasing the ratio of water per weight of roasted powdered coffee.

Claims (17)

(a)고형분이 가장 만히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포함하는 신장형 수직 컬럼 추출 용기의 하단부에 추출수를 공급하여, 역류 추출계로 수행되는 바와 같이 상기 고형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커피를 232℃의 최고 추출수 온도에서 추출시키는 단계; (b) 추출 중 감소되거나 또는 컬럼 전체를 통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70 내지 232℃의 온도에서 0.03 내지 0.3 m/분의 외관 유속으로 유동하는 상기 추출수를 상기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와, 거의 연속적인 역류 방식으로, 최종 추출 농도가 5 내지 55 중량5의 커피 고형분이 되도록 75 내지 240분 동안 접촉시키는 단계; (c)상기 커피 추출물을 상기 용기의 상단부로 부터 취출하는 단계; (d) 추출 용기 하부에 있는, 공급수를 함유하는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 4 내지 20 부피%를 하부 블로우 케이스로 간헐적으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e)상기 (d) 단계를 수행함과 동시에, 추출기의 상부에 신선한 커피를 간헐적으로 투입하고, 추출기 하부로부터 고형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 커피와 세척수를 배출시키면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역류 방식으로, 추출 컬럼 내에서 습윤시 팽창하도록 추출된 커피의 배출시킨 부피의 1/2부피 분량의 미추출된 건조 볶은 분말 커피 또는 거의 동일한 부피 분량의 미리 습윤시킨 볶은 분말 커피를 상부 블로우 케이스로부터 추출 컬럼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초의 볶은 분말 커피에 근접한 고도로 향기로운 커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볶은 분말 커피의 추출 방법.(a) by supplying the extraction water to the bottom of the elongated vertical column extraction container containing the roasted powder coffee extracted the most solids, the most solids extracted coffee as performed by countercurrent extraction system to the highest of 232 ℃ Extracting at the extraction water temperature; (b) the extraction water flowing at an external flow rate of 0.03 to 0.3 m / min at a temperature of 70 to 232 ° C., reduced during extraction or maintained constant throughout the column, with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almost continuously In a countercurrent manner, contacting for 75 to 240 minutes such that the final extraction concentration is between 5 and 55 weight 5 of coffee solids; (c) withdrawing the coffee extract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d) intermittently discharging 4-20% by volume of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containing feed water in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vessel into the lower blow case; And (e) performing step (d) simultaneously with intermittently adding fresh coffee to the top of the extractor and discharging the coffee and wash water from which the solids are most extracted from the bottom of the extractor, in a substantially continuous countercurrent manner, 1/2 volume of unextracted dry roasted powdered coffee or approximately equal volume of pre-wetted roasted powdered coffee to the extraction column from the upper blow case was introduced from the upper blow case A method of extracting roasted powdered coffee for producing a highly aromatic coffee extract in close proximity to the first roasted powdered coffee,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커피를 투입시키고 배출시키는 기간 동안에 추출 용기로의 액체의 유입과 배출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topping the introduction and discharge of liquid into the brewing vessel during the period of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coffee. 제1항에 있어서, 추출 용기가 7.5 내지 23.0 m의 길이, 및 외관 유속이 0/03 내지 0.3 m/분이 되도록 하는 직경을 갖는 수직 신장형 컬럼이고, 추출수의 유동이 연속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vessel is a vertically elongated column having a length of 7.5 to 23.0 m and a diameter such that the apparent flow rate is from 0/03 to 0.3 m / min, and the flow of extraction water is continuous. . 제1항에 있어서,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추출 용기에 투입시키기전에 35 내지 60 중량%의 습윤 상태까지 미리 습윤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e-wetting the unextracted roasted ground coffee to a wet state of 35 to 60% by weight prior to entering the extraction container. 제4항에 있어서, 물을 사용하여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미리 습윤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viously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is wetted with water. 제4항에 있어서, 커피 추출물을 사용하여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미리 습윤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ffee extract is previously wetted with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제1항에 있어서, 외관 유속을 0.06 내지 0.15 m/분으로 유지시키고 추출수의 온도를 70 내지 232 ℃로 유지시켜, 커피 고형분 10 내지 55 중량%의 최종 추출액 농도를 얻어, 동일한 커피를 종래의 다중 컬럼, 역류 추출 방법으로 얻은 것보다 더 높은 고형분 농도를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ppearance flow rate is maintained at 0.06 to 0.15 m / min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on water is maintained at 70 to 232 ℃ to obtain a final extract concentration of 10 to 55% by weight of the coffee solids, the same coffee is A method characterized by obtaining a higher solids concentration than obtained by the multiple column, countercurrent extra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외관 유속을 0.15 내지 0.30 m/분으로 유지시키고 추출수의 온도를 70 내지 180℃로 유지시켜, 종래의 방법으로 추출된 커피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향상된, 본 발명의 추출에 사용된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에 근접하는 향과 향의 균형을 갖는 4%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에 근접한 최종 추출액 농도를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ppearance flow rate is maintained at 0.15 to 0.30 m / min and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on water is maintained at 70 to 180 ° C., which is used in the extraction of the invention, substantially improved over coffee extracted by conventional methods. Obtaining a final extract concentration of at least 4%, preferably at least 10%, with a balance of aroma and aroma close to the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제7항에 있어서, 추출수를 7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추출 용기에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A method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water is fed to the extraction vessel at a temperature of 70 to 180 ° C. 제9항에 있어서, 추출 용기 내의 온도를 70 내지 100℃로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emperature in the extraction vessel is maintained between 70 and 100 ° C. 제1항에 있어서, 추출수를 추출 용기에 공급하여, 추출 용기 내에서 70 내지 180℃의 온도로 유지시키며, 상기 추출수의 농도를 10 내지 55 중량%로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water is fed to an extraction vessel,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70-180 ° C. in the extraction vesse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ion water is increased to 10-55 wt%. 제1항에 있어서, 추출수를 10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추출 용기에 공급하여, 상기 온도를 용기의 높이에 따라서 감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water is fed to the extraction vessel at a temperature of 100 to 180 [deg.] C. to reduce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vessel. 제1항에 있어서, 추출수를 10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추출 용기에 공급하여, 추출 용기 하부의 커피를 가수분해시키고, 이 온도를 컬럼 상부에서 70 내지 100℃로 강하시켜 상부의 볶은 분말 커피를 대기하 추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roasted powdered coffee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ion water is fed to the extraction vessel at a temperature of 100 to 180 ° C. to hydrolyze the coffee at the bottom of the extraction vessel, and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70 to 100 ° C. at the top of the column. Air extraction. 제1항에 있어서, 제1항 기재의 추출 용기 내에서 볶은 분말 커피를 대기하 추출시키고, 이어서, 역류 고정 베드 추출 장치 내에서 볶은 분말 커피의 간헐적으로 배출된 분획을 가수분해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the roasted powdered coffee in the extraction vessel of claim 1 under air, followed by hydrolysis of the intermittently discharged fraction of the roasted powdered coffee in a countercurrent fixed bed extraction device. Inclu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블로우 케이스 내로 배출시키고, 미추출된 볶은 분말 커피를 추출 용기 내의 압력과 동일하거난 약간 높은 압력으로 가압되어 있는 블로우 케이스를 추출 용기에 투입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is discharged into the blow case, and the unextracted roasted powdered coffee is injected into the extraction container, wherein the blow case is pressurized to a pressure slightly higher than the pressure in the extraction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추출수의 온도가 70 내지 180℃이고, 물 대 커피의 비율이 15:1 내지 40: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 water is from 70 to 180 ° C and the ratio of water to coffee is from 15: 1 to 40: 1. 제8항에 있어서, 물 대 커피의 비율이 40:1 내지 9: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atio of water to coffee is from 40: 1 to 9: 1.
KR1019910001181A 1990-01-25 1991-01-24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KR01694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70,296 US5043178A (en) 1988-02-09 1990-01-25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US470296 1990-01-25
SG19195A SG19195G (en) 1990-01-25 1995-02-04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42A KR910014042A (en) 1991-08-31
KR0169485B1 true KR0169485B1 (en) 1998-12-01

Family

ID=6739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181A KR0169485B1 (en) 1990-01-25 1991-01-24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48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42A (en)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7739B (en) Method for forming solution enriched with tobacco solvent, cigarette assembly, cigarette comprising the solution and cigarette product with flavor improved
KR940005263B1 (en) Process for producing cocoa extract
NO143383B (en) POLYMERIZABLE STARCH ACRYLAMIDS, A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SUCH AMIDS, AND THE USE OF SUCH AMIDS.
US5043178A (en)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JPH03160949A (en) Removal of caffeine from coffee using supercritical fluid
DK153812B (en) PROCEDURE FOR REMOVING COFFEE FROM COFFEE
US2340758A (en) Extraction of coffee
JP4751677B2 (en) Extraction method of palatability materials
KR0169485B1 (en)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CN206713984U (en) A kind of process units of instant coffee
JPH053258B2 (en)
US4707368A (en) Process of steaming and percolating coffee
US4474821A (en) Accelerated decaffeination process
JP3074485B2 (en) Method of extracting baked and ground coffee
EP0438888B1 (en)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EP0115095B1 (en) Desolventizing process
US3700463A (en) Coffee extraction process
KR013774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lavouring a soluble coffee powder
EP0041634B1 (en) Coffee aromatisation process
US2915399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soluble coffee
JPS61119139A (en) Production of extract with carbonated water
CA1289806C (en)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US3740230A (en) Process for decaffeinating coffee
CA1057565A (en) Continuous production of aromatic distillates under vacuum
EP0227262A1 (en) Coffe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