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765B1 -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765B1
KR0166765B1 KR1019950021240A KR19950021240A KR0166765B1 KR 0166765 B1 KR0166765 B1 KR 0166765B1 KR 1019950021240 A KR1019950021240 A KR 1019950021240A KR 19950021240 A KR19950021240 A KR 19950021240A KR 0166765 B1 KR0166765 B1 KR 016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ffuser
air conditioner
motor
clo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156A (ko
Inventor
황선근
배일호
박춘금
최재선
김용택
김도필
진순동
정재국
안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2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765B1/ko
Priority to CN96106681A priority patent/CN1152098A/zh
Priority to IT96MI001497A priority patent/IT1283451B1/it
Priority to JP8206440A priority patent/JPH09184638A/ja
Publication of KR97000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상부에 형성된 디퓨저(DIFFUSER)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여름철에는 에어컨으로 가을이나 겨울철에는 공기청정기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안출한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로, 수평루버(120) 및 수직루버(130)가 덮개부(110)에 설치된 냉기조절부(100)와; 상기 냉기조절부(100)를 캐비닛(1)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회동축(200)과; 프론트 패널(2)에 고정설치된 공기정화 그릴부(300)와; 상기 냉기조절부(100)를 상기 회동축(200)을 지점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단(400)과; 상기 개폐수단(400)의 회동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사시도.
제3도 (a)(b)는 본 발명 디퓨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본 발명 디퓨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
(b)는 본 발명 디퓨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
제4도 (a)(b)는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수단의 제2 실시예로써,
(a)는 본 발명 디퓨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
(b)는 본 발명 디퓨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
제5도 (a)(b)는 본 발명 디퓨저 개폐수단의 제3실시예로서,
(a)는 본 발명 디퓨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
(b)는 본 발명 디퓨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
제6도 (a)(b)는 본 발명 디퓨저 개폐수단의 제4실시예로서,
(a)는 본 발명 디퓨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
(b)는 본 발명 디퓨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
제7도는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제8도는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a)(b)는 제6실시예의 디퓨저 개폐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a) 는 본 발명 디퓨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
(b)는 본 발명 디퓨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닛 2 : 프론트 패널
3 : 인넷그릴 5 : 표시창
10 : 디퓨저 100 : 냉기조절부
110 : 덮개부 111, 112 : 측판
120 : 수평루버 130 : 수직루버
200 : 회동축 300 : 공기정화 그릴부
400 : 개폐수단 410 : 모터
420 : 워엄 430 : 워엄휠
440 : 브라켓트 600 : 충격 흡수부재
700 : 제어장치
본 발명은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상부에 형성된 디퓨저(Diffuser)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여름철에는 에어컨으로 가을이나 겨울철에는 공기 청정기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안출한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는 크게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인넷그릴부(3)와; 상기 캐비닛(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며 송풍기 및 에바를 거쳐서 순환된 바람이 배출되는 디퓨저(4)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컨 실내기는 캐비닛(1)의 전면 상부에 다수개의 수직 및 수평루버로 이루어진 디퓨저(4)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캐비닛(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컨은 여름철에는 에어컨을 가동하여 상기 디퓨저(4)로 냉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가을이나 겨울철과 같은 계절에는 거의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에어컨 내부에 먼지와 같은 이 물질이 침투되어 에어컨의 성능을 저하시켰다.
또한, 실내 냉방을 할 필요가 없는 가을이나 겨울철에 에어컨을 공기 청정기로만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디퓨저가 항상 열려져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정화 중 발생되는 바람이 상기 디퓨저로 토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한기(寒氣)를 느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물질 및 먼지 등이 디퓨저를 통하여 에어컨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씌워서 보관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상부에 수평루버 및 수직루버가 덮개부에 설치된 냉기조절부를 회동축을 지점으로 개폐수단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하여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덮개부를 덮음으로서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냉기조절부를 닫음으로서, 겨울철에 에어컨을 공기청정기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루버 및 수직루버가 덮개부에 설치된 냉기조절부와; 상기 냉기조절부를 캐비닛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회동축과; 상기 냉기조절부를 상기 회동축을 지점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회동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과 이맞물림되는 워엄휠과,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루버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2링크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캐비닛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주기어와; 상기 주기어와 이맞물림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 양단에 설치되는 종동 기어와; 상기 로드 양단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덮개부의 측판 양단에 일체로 설치된 호형상의 평기어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본 발명은, 수평루버(120) 및 수직루버(130)가 덮개부(110)에 설치된 냉기조절부(100)를 상기 회동축(200)을 지지점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단(400)과; 상기 개폐수단(400)의 회동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로 구성됨을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110)는 양단에 냉기가 측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측판(111)(1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400)은 모터(410)의 축에 설치되는 워엄(420)과 상기 워엄(420)과 이맞물림되는 워엄휠(430)과, 상기 모터(41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4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400)을 일정한 각도범위 내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는 제1스위치(710)와 제2스위치(720)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인넷그릴부이고, 5는 프론트 패널(2)에 설치되며 에어컨의 모든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정장치의 송신을 받기 위한 표시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제2도 및 제3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원격 조정장치 또는 표시창(5)에 설치된 푸시버턴을 온시키면, 이 신호에 의해서 모터(410)가 회전하고, 이 모터(410)의 축에 설치된 워엄(420)이 회전하고 상기 워엄(420)과 이맞물림된 호형상의 워엄휠(4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워엄휠(430)과 고정연결된 냉기조절부(100)가 회동축(200)을 지점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워엄휠(430)의 끝단이 수평루버(120)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평루버(120)의 일단에 설치된 제어장치(700) 즉, 제1스위치(710)가 상기 캐비닛(1)의 내측벽면과 맞닿음으로서, 상기 모터(410)의 동작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냉기조절부(100)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냉기조절부(100)를 닫으면 상기 제2스위치(720)가 모터(410)의 일측에 맞닿음으로서 모터(410)는 정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700)을 스위치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터(410)의 회전수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센서를 마이컴에 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공기량만큼 취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을이나 겨울철 또는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냉기조절부(100)를 덮음으로서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4도 (a)(b)는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디퓨저의 디퓨저 개폐수단의 제2실시예로서, (a)는 본 발명 디퓨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b)는 본 발명 디퓨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2실시예는 냉기조절부(1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개폐수단(400)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본 제1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제2실시예인 개폐수단(400)은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축에 설치되는 랙(421)과; 상기 랙(421)과 이맞물림되는 호형상의 피니언(431)과 상기 모터(41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4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개폐수단의 작용은, 에어컨의 프론트 패널(2)에 설치된 표시창(5)을 통해 원격조정기를 조작하면 상기 캐비닛(1) 내에 설치된 모터(410)가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모터(410)의 축에 일체로 형성된 랙(421)이 회동함과 동시에 이와 이 맞물림하고 있던 호형상의 피니언(431)이 회동한다.
이어서, 상기 피니언(431)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피니언(431)에 고정연결된 냉기조절부(100)가 회동축(200)을 지점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된다.
이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는 냉기조절부(1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개폐수단(400)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본 제1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제5도 (a)(b)는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수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캐비닛(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랙(421)과; 상기 랙(421)과 이맞물림되는 반원형상의 피니언(432)과; 상기 피니언(4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齒)측면에 힌지에 의해 축지지되는 링크(450)와; 상기 모터(41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4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450)와 냉기조절부(100)가 접속되는 부위에 충격흡수부재(6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기조절부의 개폐수단의 작용은 사용자가 원격조정장치 또는 표시창(5)에 설치된 푸시버턴을 온시킨다.
상기 신호에 의해서 모터(410)가 회전하면, 이 모터(410)의 축에 설치된 일체로 형성된 랙(421)이 회동함과 동시에, 이와 이맞물림하고 있던 반원형상의 피니언(432)이 회동한다.
이어서, 상기 피니언(432)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의 측면에 힌지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던 링크(450)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링크(45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링크(450)에 고정연결된 냉기조절부(100)가 회동축(200)을 지지점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된다.
이때, 상기 냉기조절부(100)가 닫힘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냉기조절부(100)와 링크(450)사이에 설치된 충격 흡수부재(600)가 충격을 흡수함으로서, 상기 링크(45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쇄시킬 수가 있다.
제6도 (a)(b)는 본 발명 디퓨저 개폐수단의 제4실시예로서, 캐비닛(1)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축에 설치되는 제1링크(460)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46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기조절부(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제2링크(470)와; 상기 모터(41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4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개폐수단(400)의 작용은, 모터(410)가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모터(410)에 축지지되어 있던 제1링크(460)가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제1링크(460)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던 제2링크(470)가 작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2링크(470)가 동작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470)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던 덮개부(11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제2링크(470)와 고정연결된 냉기조절부(100)가 회동축(200)을 지지점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된다.
이때, 냉기조절부(100)의 최고 상승점은 상기 제1링크(460)와 제2링크(470)가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이다(제6도 (a)도 참조).
또 최대 하강점은 제6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460)와 제2링크(470)가 서로 겹칠 때이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까지는 모두 체결수단이 수평루버 중앙부에 위치할 때를 설명하였으며, 그 제어방법은 동일하다.
도면중 제7도 (a)(b)는 본 발명 디퓨저 개폐수단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캐비닛(1) 내부에 설치된 브라켓트(440)의 상부 일측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축에 설치되는 주기어(480)와; 상기 주기어(480)와 이맞물림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490)의 양단에 설치되는 종동기어(491)(492)와; 상기 로드(490) 양단에 설치되는 종동기어(491)(492)와 이맞물림되며, 상기 덮개부(110)의 측판(111)(112) 양단에 일체로 설치된 호형상의 평기어(50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장 근본적인 특징은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언급한 중심부에 개폐수단이 설치되지 않고, 수평루버의 양단에 설치되는 데에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수단의 작용효과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410)가 구동함에 따라서, 상기 모터(410)의 축에 설치되는 주기어(480)가 회전하고, 이어서 상기 주기어(480)와 이맞물림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490)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종동 기어(491)(492)가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종동기어(491)(492)의 회전에 의해 이와 맞물림되어 있던 평기어(50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평기어(500)와 일체로 형성된 덮개부(110)가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덮개부(11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서 상기 디퓨저(10)를 덮고 있던 냉기조절부(100)가 열린다.
제8도는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이고, 제9도 (a)(b)는 제6실시예의 디퓨저 개폐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제6실시예는, 수평루버(120) 및 수직루버(130)가 덮개부(110)에 설치된 냉기조절부(100)를 캐비닛(1)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회동축(200)과; 프론트 패널(2)에 고정설치된 공기정화 그릴(300)과; 상기 냉기조절부(100)를 상기 회동축(200)을 지지점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단(400)과; 상기 개폐수단(400)의 회동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로 구성됨을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으로 하고, 에바 및 송풍기를 거쳐서 순환된 바람이 배출되는 디퓨저(10)는 냉기조절부(100)와 공기정화 그릴(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110)는 양단에 냉기가 측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측판(111)(1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1)의 상단에는 다수 개의 그릴을 가지는 공기정화그릴(3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400)은 모터(410)와 상기 모터(410)의 축에 설치되는 워엄(420)과 상기 워엄(420)과 이맞물림되는 워엄휠(430)과, 상기 모터(41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4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400)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작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700)는 제1스위치(710)와 제2스위치(7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제8도 및 제9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원격 조정장치 또는 표시창(5)에 설치된 푸시버턴을 온시키면, 이 신호에 의해서 모터(410)가 회전하고, 이 모터(410)의 축에 설치된 워엄(420)이 회전하고 상기 워엄(420)과 이맞물림된 호형상의 워엄휠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워엄휠(430)과 고정연결된 냉기조절부(100)가 회동축(200)을 지점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워엄휠(430)의 끝단이 수평루버(120)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평루버(120)의 일단에 설치된 제어장치(700) 즉, 제1스위치(710)가 상기 캐비닛(1)의 내측벽면과 맞닿음으로서, 상기 모터(410)의 동작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냉기조절부(100)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냉기조절부(100)를 닫으면 상기 제2스위치(720)가 모터(410)의 일측에 맞닿음으로서 모터(410)는 정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700)을 스위치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터(410)의 회전수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센서를 마이컴에 의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공기량만큼 취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을이나 겨울철 또는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냉기조절부(100)를 닫고 제9도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 그릴부(300)를 통하여 공기의 순환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는,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상부에 수평루버(120) 및 수직루버(130)가 덮개부(110)에 설치된 냉기조절부(100)를 회동축(200)을 지점으로 개폐수단(400)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하여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덮개부(110)를 덮음으로서 상기 에어컨의 디퓨저(DIFFUSER)(10)를 통하여 내부로 이물질 및 먼지등이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가을이나 겨울철 상기 냉기조절부를 닫음으로써 공기 정화기로 만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서, 소비자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공기정화 그릴부를 설치하여 일정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에어컨의 내부에 각종 바이러스가 서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수평루버 및 수직루버가 덮개부에 설치된 냉기조절부와; 상기 냉기조절부를 캐비닛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회동축과; 프론트 패널에 고정설치된 공기정화 그릴부와; 상기 냉기조절부를 상기 회동축을 지점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회동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과 이맞물림되는 워엄휠과,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져 개폐장치.
KR1019950021240A 1995-07-19 1995-07-19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KR016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240A KR0166765B1 (ko) 1995-07-19 1995-07-19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CN96106681A CN1152098A (zh) 1995-07-19 1996-06-19 分体式空调器的扩散器开关装置
IT96MI001497A IT1283451B1 (it) 1995-07-19 1996-07-18 Apparecchiatura di azionamento di diffusore per condizionatore d'aria
JP8206440A JPH09184638A (ja) 1995-07-19 1996-07-18 空気調和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240A KR0166765B1 (ko) 1995-07-19 1995-07-19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56A KR970007156A (ko) 1997-02-21
KR0166765B1 true KR0166765B1 (ko) 1999-01-15

Family

ID=1942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240A KR0166765B1 (ko) 1995-07-19 1995-07-19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6780A (zh) * 2012-11-22 2014-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升降式导风装置及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50B1 (ko) * 2002-08-1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6780A (zh) * 2012-11-22 2014-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升降式导风装置及空调器
CN103836780B (zh) * 2012-11-22 2016-06-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升降式导风装置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56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84638A (ja) 空気調和機
CN110148893A (zh) 一种配电柜风道结构及其配电柜
KR101550157B1 (ko)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0166765B1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KR0168254B1 (ko) 자동흡입그릴의 열림각 조절장치
CN211084240U (zh) 一种空调用出风装置及包含其的空调
US20030106652A1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garages
CN2505759Y (zh) 空调室外机自动开闭通风窗保护罩
KR20050021671A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100188394B1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KR20050111146A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JP2001182430A (ja) 窓の開閉装置
KR100315101B1 (ko) 에어컨 실내기용 셔터장치
CN217900005U (zh) 一种新风空调
CN214757498U (zh) 一种自动恒温信息柜
KR100187242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및 흡입구 개폐장치
KR200173252Y1 (ko) 건물용 환기장치
KR10023213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0122723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통풍구 차폐장치
KR980010207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141502Y1 (ko) 공기조화기의토출구개폐장치
KR0166766B1 (ko) 에어컨 실내기의 냉기조절기의 개폐장치
KR970007157A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디퓨저 개폐장치
KR20220056485A (ko) 루버용 자동 및 수동 겸용 개폐장치
KR01825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