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613B1 -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613B1
KR0165613B1 KR1019950067457A KR19950067457A KR0165613B1 KR 0165613 B1 KR0165613 B1 KR 0165613B1 KR 1019950067457 A KR1019950067457 A KR 1019950067457A KR 19950067457 A KR19950067457 A KR 19950067457A KR 0165613 B1 KR0165613 B1 KR 016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reception
frequency
power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664A (ko
Inventor
곽재봉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6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613B1/ko
Publication of KR97005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음성신호를 변복조 및 증폭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처리 수단;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정기간동안 구축된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특정 시간대 특정 번호로부터의 수신을 기억하여 그 시간대에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 전원을 '온'시키고, 그 시간 이후에는 다시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이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수단; 및 호출되어지는 전화번호에 대한 기록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되는 번호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규 번호인 경우 새로이 등록하고 기 저장된 번호의 경우에는 빈도수를 기록하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대에 수신되는 호와 접속되어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제1도는 개인통신 시스템, 특히 TDMA방식에 따른 개인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개인통신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단말기의 동작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제5a도 내지 제5b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안테나 22 : 저잡음 증폭부
23 : 복조부 24 : 베이스밴드 처리부
25 : LAPDm처리부 26 : 스피커
27 : 마이크로 폰 28 : 음성 처리부
29 : 변조부 30 : 증폭부
31 : 키 입력부 32 : 표시부
33,43 : 제어부 34,44 : 프로그램 메모리
35,45 : 데이터 메모리 36 : A/D변환기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등의 개인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이 꺼져 있을 경우에, 특정 시간에 정기적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전원을 '온'시키고 그 시간 이후에 다시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자동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에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된 개인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통신 시스템은 크게 TDP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으로 분활되어 있는바, 여기서 TDMA방식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기술의 완성도가 높다는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개인통신 시스템, 특히 TDMA방식에 따른 개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1은 개인이 휴대하게 되는 단말기이고, 2(21~2n)는 다수의 단말기(1)와 소정의 규격, 즉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규격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단말기(1)에 대한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 3(31~3n)은 다수의 기지국(2:21~2n)을 관리하면서 각 단말기(1)에 대한 통신채널의 할당제어와 핸드오버(Hand Over)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 4는 이 기지국 제어기(3)와 국선 또는 국설교환기와 이후에 설명할 인증센터(5)를 연결처리하는 교환기, 5는 각 단말기(1)에 대한 고유번호 등을 구비하여 임의의 단말기(1)에 대한 사용허가와 과금처리 등을 실행하는 인증센터이다.
또한, 여기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3)와 기지국(2)은 LAPD프로토콜, 기지국(2)과 단말기(1)는 LAPDm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개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임의의 단말기(1)가 특정한 지역내에 있게 되면, 그 지역을 관할 하는 기지국(2)은 해당 단말기(1)의 존재를 확인하여 이를 기지국 제어기(3)로 보고하게 되고, 기지국 제어기(3)는 그 단말기(1)의 등록상태를 인증센터(5)로부터 확인한 후 기지국(2)을 통해 통화에 필요한 암호코드 등을 할당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다른 단말기(1)로부터의 호출 등을 해당 단말기(1)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한편, 제2도는 상기 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21은 기지국(2)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22는 이 안테나(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등으로 구성된 저잡음증폭부, 23은 이 저잡은 증폭부(22)를 통해서 입력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4는 상기 복조부(23)와 이후에 설명할 변조부(29)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GSM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코딩(Block Coding) 및 콘벌루션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 25는 기지국(2)과 LAPDm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LAPDm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6은 상재국 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고, 27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서 변환입력하는 마이크로폰, 28은 상기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24)를 통해서 인가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6)로 출력하는 등의 음성처리를 실행하는 음성처리부이다.
또한, 29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24)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이고, 30은 이 변조부(29)에서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1은 다수의 숫자키(10 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 입력부이고, 32는 단말기(1)의 각종 동작상태나 조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 33은 상기 LAPDm처리부(25)를 통한 기지국(2)과의 송수신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동작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단말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 34는 이 제어부(33)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35는 상기 제어부(33)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36은 상기 복조부(23)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수신데이터를 디지탈변환하여 그 수신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상기 제어부(33)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서, 이는 단말기(1)의 기지국 선택이나 핸드오버(Hand Over)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단말기(1)의 동작을 제3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단말기(1)의 전원을 온시키게 되면(ST1단계), 제어부(33)는 복조부(23)의 복조주파수를 순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캐리어를 검색함과 더불어 (ST2단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6)를 통해 입력되는 각 복조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2)을 파악하게 된다.
즉, 이 때 제어부(33)는 복조부(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와 그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6)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데이터의 레벨값을 데이터 메모리(32)에 저장한 후 가장 그 레벨값이 큰 수신주파수를 근거로 복조부(23)의 복조주파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3)는 상기 복조부(23)에서 수신되는 기지국(2)으로부터의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파악한 후, LAPDm 처리부(25)와 베이스밴드 처리부(24) 및 변조부(29)를 통해 자신의 정보를 해당기지국으로 송출함으로써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2)에서는 단말기(1)로부터 단말기정보가 수신되게 되면 이를 기지국제어기(3)로 송출하게 되고, 기지국제어기(3)는 그 단말기정보를 교환기(4)를 통해 인증센터(5)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가 적법하게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당 단말기(1)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기지국제어기(3)는 기지국(2)을 통해 단말기(1)로 암호화코드 등을 송출함으로써 해당 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등록처리함과 더불어 이후의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호출처리 등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33)는 상기 ST5 단계에서 등록처리가 완료되면,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출이 있는지, 즉 기지국(2)으로부터 호출채널(Paging Channel)이 수신되는지, 사용자가 키입력부(31)를 조작하여 기지국(2)에 대해 송신요구(호출요구)를 하는지, 또는 기지국(2)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게 된다.(ST6~ST8)
그리고, 상기 ST6단계에서 호출채널이 수신된 경우에는 기기국(2)에 대해 호출응답을 실행함과 더불어(ST9단계) 단말기의 도시되지 않은 경보신호출력부를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출이 있음을 경보해 주게 되고, 상기 ST7단계에서 사용자의 송신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키입력부(31)로부터의 키입력을 검출한 후 (SR10단계), 기지국(2)에 대해 랜덤 억세스 채널(RACH:Random Access CHannel)을 송출함으로써 접속요청을 실행하게 된다(ST11단계). 또한, 이때 기지국(2)로부터 억세스허용채널(AGCH:Access Grant CHannel)이 수신되면 또는 상기 ST9단계에서 호출응답을 실행한 후에는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와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ST12단계).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ST13단계) 상기 ST6 단계로 복귀하여 다시 호출채널의 수신여부와, 송신요구여부, 또는 핸드오버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에 의해 상기 ST8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게 되면, 새롭게 부여된 기지국정보를 근거로 다른 기지국에 대해 접속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핸드오버처리를 실행하게 된다(ST14단계)
일반적으로 전화를 사용할 때, 언제나 새로운 번호를 사용하는 것만은 아니고 어느 정도의 사용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자주 반복해서 사용되는 번호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자구 사용되는 번호를 단말기 내부에 저장해 놓고,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탈 방식의 휴대전화는 여러 가지의 부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표시부(32)가 최소 2줄 또는 4줄까지도 표시할 수 있는 문자 및 부호 표시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번호 입력 시에는 번호표시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표시라인 이외의 표시라인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 호출을 위해 표시되는 호출번호 이외에 창고적인 번호를 표시 할 수 있는 표시기능을 특별한 부가적인 회로의 추가 없이도 표시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호출되어지는 전화번호에 대한 기록을 위해 EEPROM을 부가적으로 가지고 각각의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되는 번호를 EEPROM내부에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규번호의 경우 새로이 등록하고, 기 입력된 번호의 경우에는 빈도수를 기록하여 어느정도 사용시간이 경과한뒤(예컨대, 최소20통화 이상이 지났다든지 또는 사용일이 일주일이 지났다든지 또는 빈도수가 3번 이상되는 전화번호가 발생되었다든지 하는 경우)에 이 단말기 내부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에 수신되어지는 번호나 시각에 대한 정보를 기록해 둘 수 있는데, 수신의 경우 특정 시간대에 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를 통한 회화연습이라든가 업무종료 시간대에 잔업확인 등의 규칙적인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내부 데이터베이스의 내용 조회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그런데, 그 수신 시간대에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있으면 문제가 되지않지만 단말기의 밧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가 전원을 꺼두게 되면 특정시간대에 걸려오는 전화를 받은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번호로부터의 수신이 있는 특정 시간대에 자동으로 전원을 '온'시키고 그 시간대 이후에는 다시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음성신호를 변복조 및 증폭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처리 수단;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정기간동안 구축된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특정 시간대 특정 번호로부터의 수신을 기억하여 그 시간대에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 전원을 '온'시키고 그 시간대 이후에는 다시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이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수단; 및 호출되어지는 전화번호에 대한 기록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되는 번호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규 번호인 경우 새로이 등록하고 기 저장된 번호의 경우에는 빈도수를 기록하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제어 방법은 대국으로부타 페이징이 수신되면 수신 시각이 기 입력 시간대인지에 따라 수신 빈도수를 증가하거나 신규 등록을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관리하는 내부 데이터 베이스 구축단계; 및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재 시각의 수신 빈도수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대에 수신되는 호와 접속되어 통화를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2도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4도에서 참조번호 43은 본 발명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정기간동안 구축된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특정 시간대 특정 번호로부터의 수신을 기억하여 그 시간대에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 전원을 '온'시키고, 그 시간 이후에는 다시 전원을 '오프' 시키는 제어부이고, 44는 상기 제어부(43)가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메모리이며, 45는 호출되어지는 전화번호에 대한 기록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되는 번호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규 번호인 경우 새로이 등록하고 기 저장된 번호의 경우에는 빈도수를 기록하는 데이터 메모리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동작을 제5A도 내지 제5B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5A도에서 페이징을 수신하면 기지국을 선택하고 데이터 메모리(45)를 검색하여 수신 시각을 확인한 후(ST501~ ST504),기 입력 시간대인가 판단한다(ST505).
상기 판단결과, 기 입력 시간대이면 동일 번호가 있는가 판단하여 (ST506), 동일 번호가 있으면 수신 빈도수를 읽어 빈도수를 증가하고 신규 빈도수를 저장하며(ST507~ST509),동일 번호가 없으면 데이터 베이스(DB) 일련번호가 100개 이상인가 판단하여(ST510), 100개 이상이면 최저 빈도 시각을 삭제하고 수신 시각, 수신 번호, 사용 빈도값을 1 증가하며(ST511~ST514),100개 이하이면 수신 번호를 저장하고 사용 빈도값을 1 증가한다(ST513~ST514).
또한, 상기 기 입력 시간대인가 판단하는 ST505단계 후, 상기 기 입력 시간대가 아니면 수신 번호를 저장하고 사용 빈도값을 1증가한다(ST513~ST514).
상기 제5A도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 후, 다음의 제5B도와 같은 과정의 전원 제어 기능이 수행된다.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현재시각을 확인하여(ST515),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 후, 수신 빈도수가 높은 시각인가 판단한다(ST516~ST517).
그 결과, 수신 빈도수가 높지 않은 시각이면 상기 ST515 단계로 천이하여 현재 시각을 확인하고, 수신 빈도수가 높은 시각이면 전원을 '온'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을 '오프'시킨다(ST518~ST520).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관리하여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대에 수신되는 호와 접속되어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음성 신호를 변복조 및 증폭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 처리 수단;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정기간동안 구축된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특정 시간대 특정 번호로부터의 수신을 기억하여 그 시간대에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 전원을 '온'시키고, 그 시간 이후에는 다시 전원을 '오프' 시키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이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수단; 및 호출되어지는 전화번호에 대한 기록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번호가 입력될 때 마다 입력되는 번호를 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신규 번호인 경우 새로이 등록하고 기 저장된 번호의 경우에는 빈도수를 기록하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2. 대국으로부터 페이징이 수신되면 수신 시각이 기 입력 시간대인지에 따라 수신 빈도수를 증가하거나 신규등록을 수행하여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관리하는 내부 데이터 베이스 구축단계; 및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재 시각의 수신 빈도수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데이터 베이스 구축단계는, 대국으로부터 페이징이 수신되면 기지국을 선택하고 데이터 메모리를 검색하여 수신 시각을 확인하는 수신 시각 확인 단계; 및 기 입력 시간대 여부, 동일 번호유무, 데이터 베이스(DB)일련번호의 갯수에 따라 수신 빈도수를 증가하거나 새로운 수신 시각과 수신 번호를 저장하는 수신 시각에 대한 빈도수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각에 대한 빈도수 저장단계는, 기입력 시간대인가 판단하는 기 입력 시간대 판단단계; 상기 판단 결과, 기 입력 시간대이면 동일 번호가 있는가 판단하여 동일 번호가 있으면 수신 빈도수를 읽어 빈도수를 증가하고 신규 빈도수를 저장하며, 동일 번호가 없으면 데이터 베이스(DB)일련번호가 소정개 이상인가 판단하는 수신 빈도수 증가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DB)일련번호가 소정개 이하이거나 기 입력 시간대가 아니면 수신 번호를 저장하고 사용 빈도값을 증가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DB)일련번호가 소정개 이상이면 최저 빈도 시각을 삭제하고 수신 시각, 수신번호를 저장한 후, 사용 빈도값을 증가하는 신규 수신 시각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단계는,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현재 시각을 확인하여 내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 후, 수신 빈도수가 높은 시각인가 판단하는 현재 시각 확인 단계; 및 상기 현재 시각이 수신 빈도수가 높지 않은 시각이면 상기 현재 시각 확인 단계로 천이하고, 수신 빈도수가 높은 시각이면 전원을 '온'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온/오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제어방법.
KR1019950067457A 1995-12-29 1995-12-29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KR016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457A KR0165613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457A KR0165613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664A KR970055664A (ko) 1997-07-31
KR0165613B1 true KR0165613B1 (ko) 1999-02-01

Family

ID=1944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457A KR0165613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251A (ko) * 1996-05-08 1997-12-12 구자홍 셀룰라폰에서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100293091B1 (ko) * 1998-05-06 2001-07-12 박성찬 개선된전원 "온(on)/오프(off)" 기능을구비한개인휴대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664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0941B1 (en) Mobile information device capable of obtaining user information relating to local area
JP4019563B2 (ja) 移動体通信装置及び移動体通信方法
JPH0685745A (ja) デュアルモード無線通信装置
KR19990051157A (ko) 복합무선단말기의 서비스 옵션에 따른 수신경고음 및 표시문구발생 방법
US7512107B2 (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ime according to pres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ime using the same
KR0165613B1 (ko) 자동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자동 전원 제어 방법
KR19980083312A (ko) 이동단말기에서 특정전화번호 통화거부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49037A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명함 관리 방법
KR20020054583A (ko) Gps 기능을 갖는 커플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0198210B1 (ko) 발신자 번호 기록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70820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the function of a teletypewriter
KR0179595B1 (ko) 기지국별 위치 보고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100198216B1 (ko) 대기시 특수음 발생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79197B1 (ko) 기지국 선별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79589B1 (ko) 초기 인사말 전송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및 그 초기 인사말 전송 방법
KR100703485B1 (ko)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0179206B1 (ko) 고유정보 저장 카드를 이용한 접속 제어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79596B1 (ko) 단위시간당 위치 보고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79208B1 (ko) 메시지 전달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KR0165612B1 (ko) 시간대별 접속 데이터를 이용한 통화접속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접속 데이터를 이용한 통화접속 방법
KR19990041241A (ko) 이동단말기의 전원 절약방법
US20030174819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y using a network-connection device and architecture thereof
KR19990048225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시각장애자를 위한 음성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59141A (ko) 이동전화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메모방법
JP3513990B2 (ja) 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