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182B1 -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182B1
KR0165182B1 KR1019950062608A KR19950062608A KR0165182B1 KR 0165182 B1 KR0165182 B1 KR 0165182B1 KR 1019950062608 A KR1019950062608 A KR 1019950062608A KR 19950062608 A KR19950062608 A KR 19950062608A KR 0165182 B1 KR0165182 B1 KR 0165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discharge
coins
instrument panel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493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5182B1/ko
Publication of KR97003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7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towing money or valuables, e.g. using saf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되어 있으며 주화를 주화류별로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함과 배출될 주화를 수납하는 배출함이 격벽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배출함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주화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배출함의 일면에 장착되어 수납된 주화를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와, 차량내에 장착된 코인(coin)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와 윈도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코인(coin) 스위치를 조작하면 수납된 주화가 자동적으로 배출되며, 또한 도어 윈도우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통행료 지불에 따른 차량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화 수납장치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주화 수납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주화 수납장치에 수납된 주화의 배출 및 도어윈도우를 개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의 회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고정구
12 : 리드 손잡이 20 : 수납함
30 : 배출함 31 : 배출구
40 : 격벽 50 : 탄성스프링
51 : 스프링 지지판 60 : 솔레노이드
61 : 솔레노이드 지지판 70 : 주화
80 : 코인(coin) 스위치 90 : 제어부
100 : 윈도우 모터 110 : 힌지
120 : 배출관 130 : 본체 리드(lid)
140 : 인스트루먼트 패널
본 발명은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 코인(coin) 스위치를 조작하면 수납된 주화가 자동적으로 배출되며, 또한 도어윈도우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통행료 지불에 따른 차량의 정체를 방지하는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콘솔박스에 주화를 수납할 수 있도록 코인박스가 형성되어 있는데, 종래의 코인박스는 단지 주화를 수납하는 기능만을 수행할뿐 주화를 주화류별로, 즉 100원짜리 주화와 500원짜리 주화를 구분하여 수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차량이 톨케이트를 통과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쌓여있는 주화중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주화를 찾아 통해료를 준비하여야 하며, 또한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 도어 윈도우를 개방하여야 하는데, 이로인해 톨게이트 통과시 차량의 정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화를 주화류별로 분리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이 고속도로 톨케이트를 통과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수납된 주화가 자동적으로 배출될 뿐만 아니라 도어 윈도우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통해료 지불에 따른 차량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되어 있으며 주화를 주화류별로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함과 배출될 주화를 수납하는 배출함이 격벽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배출함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주화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배출함의 일면에 장착되어 수납된 주화를 상기 배출구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본체 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내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와, 차량내에 장착된 코인(coin)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와 윈도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주화 수납장치의 측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주화 수납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1도의 주화 수납장치에 수납된 주화의 배출 및 도어 윈도우를 개방하기 위한 회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화 수납장치의 본체(10)가 운전석 전방 좌측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40)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본체(10)의 리드(lid)(130)가 힌지(110)로 인스트루먼트 패널(140)에 결합되어 있다.
본체(10)는 주화를 주화류별로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함(20)과 배출된 주화가 수납되는 배출함(30)이 격벽(40)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드(130)에는 리드(130)의 개폐시 사용되는 리드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본체(10)에는 리드(130)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함(30)의 후면에는 수납된 주화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구(31)는 수납된 주화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체(10)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1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31)에 대응하는 배출함(30)의 일면에는 지지판(51)이 결합되어 있는 탄성스프링(50)이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10) 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40)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31)를 개폐하는 지지판(61)이 고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60)가 고정 장착되어 있다.
한편,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코인(coin) 스위치(8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60)와 윈도우 모터(1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0)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수납함(20)에 주화를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고속도로 통행료를 미리 산출하여 주화를 배출함(30)의 스프링 지지판(51)과 솔레노이드 지지판(61) 사이에 수납한 후,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도착하여 차량내에 장작된 코인(coin) 스위치(80)를 누르면, 제어부(90)가 솔레노이드(60)를 구동하여 도어 윈도우를 개방한다.
즉, 운전자가 코인 스위치(80)를 누르면 제어부(90)가 솔레노이드(6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솔레노이드(60)가 구동되어 솔레노이드 지지판(61)이 후방으로 후퇴한다. 따라서, 배출함(30)에 수납된 주화가 탄성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해 배출구(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제어부(9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윈도우 모터(100)가 구동되어 운전자가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도어 윈도우를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고속도로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 코인(coin) 스위치를 조작하면 수납된 주화가 자동적으로 배출되며, 또한 도어 윈도우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통행료 지불에 따른 차량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되어 있으며, 주화(70)를 주화류별로 분리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함(20)과 배출될 주화(70)를 수납하는 배출함(30)이 격벽(40)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배출함(3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31); 상기인스트루먼트 패널(140)과 본체(1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배출된 주화(70)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20); 상기 배출구(31)에 대응하는 배출함(30)의 일면에 장착되어 수납된 주화(70)를 상기 배출구(31)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50); 상기 본체(10) 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140)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31)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60); 및 차량내에 장착된 코인(coin) 스위치(8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60)와 윈도우 모터(1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KR1019950062608A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KR016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608A KR0165182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608A KR0165182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493A KR970038493A (ko) 1997-07-24
KR0165182B1 true KR0165182B1 (ko) 1999-02-01

Family

ID=1944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608A KR0165182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51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493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438753A1 (es) Aparato distribuidor de dinero.
US3108741A (en) Electrical interlock system for fare collection apparatus
KR0165182B1 (ko) 자동차용 주화 수납장치
US4735344A (en) Device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holding objects dispensed by the latter
US5411436A (en) Currency dispenser
KR0159267B1 (ko) 고속도로 통행카드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 콘솔박스
KR0153630B1 (ko) 자동차용 주화 수납 및 토출박스
KR200178161Y1 (ko) 자동차의 카드 수납장치
JPH0932337A (ja) 駐車装置
KR0147188B1 (ko) 자동차의 티켓 보관함
JP2008126700A (ja) Etc車載器内蔵ルームミラー
KR100187932B1 (ko) 각종 카드 및 명함 수납용 트레이장치
KR19980059728A (ko) 자동차의 동전 수용부를 구비한 소물 수납박스
KR860002705Y1 (ko) 주화 환전기
JP3059818B2 (ja) 電気機器のコイン収容装置
KR0113508Y1 (ko) 카드꽂이겸용 동전보관함
KR19990010807A (ko) 도어 내장형 카드홀더
KR19980034021U (ko) 자동차의 코인 홀더부를 구비한 소물 수납박스
KR0157774B1 (ko) 동전을 내장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51451U (ko) 자동차용 동전꽂이장치
KR0115109Y1 (ko) 자동차 통행료용 동전 및 카드 보관구
JP2545664Y2 (ja) 車両用運賃箱
JPS5844030Y2 (ja) 自動車の小物入れ構造
KR200151631Y1 (ko) 파워윈도우가 연동되는 자동차의 코인박스
US3606145A (en) Coin box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