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833B1 - Base station of radio communication with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of radio communication with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833B1
KR0162833B1 KR1019950064223A KR19950064223A KR0162833B1 KR 0162833 B1 KR0162833 B1 KR 0162833B1 KR 1019950064223 A KR1019950064223 A KR 1019950064223A KR 19950064223 A KR19950064223 A KR 19950064223A KR 0162833 B1 KR0162833 B1 KR 016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erence voltage
level
voltage
vo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42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5947A (en
Inventor
권헌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6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833B1/en
Publication of KR97005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83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기지국의 무선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레벨을 베이스밴드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레벨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회로를 구현한다.A circuit for converting the level of the signal processed in the radio section of the base station to match the level of the signal processed in the baseband section is implemented.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장치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신호를 제1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1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가 스윙하는 폭의 기준을 나타내는 가변적인 제1기준전압을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무선부와; 상기 가변적인 제1기준전압을 소정 제2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제3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변환부와;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상기 제3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제2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2베이스밴드신호로서 출력하는 레벨변환부와; 상기 제2베이스밴드신호를 디스크램블링 및 복조하여 복원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베이스밴드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nd outputs a high frequency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device into a first baseband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first voltage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portable device. A wireless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first baseband signal and a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representing a reference of a width at which the swing swings; A reference voltage converter configured to output the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as a third reference voltage which is variable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oltage; A level converter which outputs the first baseband signal as a second baseband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second voltage level with reference to the third reference voltage; Provided is a base station including a baseband unit for descrambling and demodulating the second baseband signal to output a restored voice signal.

상기에서 제1전압레벨은 0볼트 내지 3볼트의 범위에 있는 전압값을 말하며, 제2전압레벨은 0볼트 내지 5볼트의 범위에 있는 전압값을 말한다. 제1기준전압으로 제1전압레벨의 절반값인 1.5볼트의 전압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며, 제2기준전압은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인 2.5볼트의 전압값을 가지며, 제3기준전압은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인 2.5볼트의 전압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한다.In the above, the first voltage level refers to a voltage value in the range of 0 volts to 3 volts, and the second voltage level refers to a voltage value in the range of 0 volts to 5 vol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voltage value of 1.5 volts, which is half of the first voltage level,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has a voltage value of 2.5 volts, which is half of the second voltage level,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voltage value of 2.5 volts that is half the second voltage level.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기지국의 무선부를 휴대장치의 무선부로도 이용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section of the base station can also be used as the wireless s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Description

신호레벨 변환회로를 가지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Base st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제1도는 일반적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2도는 제1도의 휴대장치와 기지국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mobile device and base station of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신호레벨 변환회로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무선(RF)부 36 : 기준전압변환부30: RF unit 36: reference voltage conversion unit

37 : 레벨변환부 40 : 베이스밴드부37: level converting section 40: base band sec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레벨을 베이스밴드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레벨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회로를 가지는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station having a circuit for converting a level of a signal processed in a radio unit to be suitable for a level of a signal processed in a baseband unit.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과 휴대장치로 구성되어, 양방간의 신호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기지국은 유선으로 공중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되고, 휴대장치는 무선으로 기지국에 연결된다. 이러한 기지국과 휴대장치 각각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RF)부(20,30)와, 베이스밴드(Baseband)부(10,40)로 구분된다. RF부는 송신신호를 공중으로 전파하기에 적합한 고주파의 신호로 변조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의 신호를 베이스밴드의 신호로 복조한다. 반면에 베이스밴드부는 송신을 위한 음성신호를 부호화(encoding) 및 스크램블링(scrambling)하여 RF부로 인가하고, RF부로부터의 복조출력을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 및 복호화(decoding)하여 복원된 음성으로 출력한다.In general,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a base station and a portable device, as shown in Figure 1, to enabl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both.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is connected to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by wire, and the portable device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Each of the base station and the portable apparatus is divided into a radio (RF) unit 20 and 30 and a baseband unit 10 and 40 as shown in FIG. The RF unit modulates a high frequency signal suitable for propagating a transmission signal into the air or demodulates a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into a baseband signal. On the other hand, the baseband unit encodes and scrambles a voice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RF unit, descrambles and decodes the demodulation output from the RF unit, and outputs the restored voice. .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RF부 및 베이스밴드부와 휴대장치의 RF부 및 베이스밴드부는 각각 서로 다른 범위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신호들을 처리한다. 일예로 휴대장치의 RF부 및 베이스밴드부는 0볼트 내지 3볼트의 범위를 가지는 신호를 처리한다. 기지국의 RF부 또한 0볼트 내지 3볼트의 범위를 가지는 신호를 처리한다. 그러나 기지국의 베이스밴드부는 0볼트 내지 5볼트의 범위를 가지는 신호를 처리한다.Meanwhile, the RF unit and the baseband unit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F unit and the baseband unit of the portable device which perform the above functions process signals having different voltage levels. For example, the RF unit and the baseband unit of the portable device process signals having a range of 0 volts to 3 volts. The RF section of the base station also processes signals having a range of 0 volts to 3 volts. However, the baseband portion of the base station processes signals having a range of 0 volts to 5 volts.

이러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기지국의 RF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레벨을 기지국의 베이스밴드부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레벨로 변환시켜 주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종래에는 기지국의 RF부가 휴대장치의 RF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기지국의 베이스밴드부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기지국의 RF부를 다시 설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지국의 RF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소자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다이오드 등의 값을 적절한 값으로 재조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RF부의 각 소자들의 값을 재조정함에 따라 휴대장치의 RF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기지국의 베이스밴드부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difference, a technique for converting the level of the signal processed by the RF unit of the base station to the level of the signal processed by the baseband unit of the base stat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such a requirement, the RF unit of the base station is conventionally redesigned so that the RF unit of the base station convert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RF unit of the portable device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baseband unit of the base st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values of respective elements constituting the RF unit of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a transistor, a capacitor, a diode, and the like to appropriate values.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values of the elements of the RF unit, a signal provided from the RF unit of the portable device may be converted into a signal suitable for the baseband unit of the base station.

그러나 기지국의 RF부의 각 소자들이 값이 재조정됨에 따라 소모되는 전력의 양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기존의 RF부는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신호를 처리하지만 재조정된 RF부는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전압레벨보다 더 상승한 0볼트 내지 5볼트 범위의 전압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시 설계된 기지국의 RF부와 휴대장치의 RF부는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장치의 RF부를 기지국의 RF로 이용할 수 없으며, 기지국의 RF부를 휴대장치의 RF부로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기지국의 RF부와 휴대장치의 RF부 사이에는 호환성이 없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creases as each element of the RF unit of the base station is readjusted. This is because the conventional RF unit processes signals in the range of 0 volts to 3 volts, but the readjusted RF unit must process signals having voltage levels in the range of 0 volts to 5 volts that are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s in the range of 0 volts to 3 volts. . In addition, since the RF part of the redesigned base station and the RF part of the portable device are not the same, the RF part of the mobile device cannot be used as the RF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F part of the base station cannot be used as the RF part of the mobile device. That is, there is no compatibility between the RF sec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F s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RF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레벨을 베이스밴드부에 적합한 신호의 레벨로 변환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for converting a level of a signal provided from an RF unit to a level of a signal suitable for a baseband unit in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RF부를 휴대장치의 RF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for enabling the RF unit of a base station to be used as an RF unit of a portabl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RF부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신호레벨 변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for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RF unit of the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장치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신호를 제1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1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가 스윙하는 폭의 기준을 나타내는 가변적인 제1기준전압을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RF부와; 상기 가변적인 제1기준전압을 소정 제2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제3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변환부와;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상기 제3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제2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2베이스밴드신호로서 출력하는 레벨변환부와; 상기 제2베이스밴드신호를 디스크램블링 및 복조하여 복원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베이스밴드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gh frequency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device is converted into a first baseband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first voltage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portable device. And an RF unit for outputting the first baseband signal and a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indicating a reference of a width at which the first baseband signal swings; A reference voltage converter configured to output the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as a third reference voltage which is variable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oltage; A level converter which outputs the first baseband signal as a second baseband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second voltage level with reference to the third reference voltage; Provided is a base station including a baseband unit for descrambling and demodulating the second baseband signal to output a restored voice signal.

상기에서 제1전압레벨은 0볼트 내지 3볼트의 범위에 있는 전압값을 말하며, 제2전압레벨은 0볼트 내지 5볼트의 범위에 있는 전압값을 말한다. 제1기준전압은 제1전압레벨의 절반값인 1.5볼트의 전압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며, 제2기준전압은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인 2.5볼트의 전압값을 가지며, 제3기준전압은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인 2.5볼트의 전압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한다.In the above, the first voltage level refers to a voltage value in the range of 0 volts to 3 volts, and the second voltage level refers to a voltage value in the range of 0 volts to 5 vol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aries based on a voltage value of 1.5 volts that is half the first voltage level,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has a voltage value of 2.5 volts that is half the second voltage level,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voltage value of 2.5 volts that is half the second voltage level.

그리고 기준전압변환부는 제1기준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제2기준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출력단자로 제3기준전압을 출력하는 연산증폭기로 구성되며, 레벨변환부는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제3기준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출력단자로 제2베이스밴드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erence voltage converter includes an operational amplifier for inputting a first reference voltage as a non-inverting terminal and a second reference voltage as an inverting terminal to output a third reference voltage as an output terminal. The level converting unit includes a first baseband signal. Is input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inputted to the inverting terminal. The output amplifier outputs a second baseband signal.

이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RF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레벨을 베이스밴드부에 적합한 신호의 레벨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의 RF부를 휴대장치의 RF부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기지국의 RF부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ignal level provided from the RF unit in the base st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n be converted into a level suitable for the baseband unit, the RF unit of the base station can also be used as the RF unit of the portable devi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chip design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RF부(30)와, 베이스밴드부(40)와, 신호레벨 변환회로(35)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RF부(30) 및 베이스밴드부(40)는 각각 제2도의 RF부와 베이스밴드부와 동일하다. 그리고 신호레벨 변환회로(35)는 0볼트 내지 3볼트의 범위내에서 그 레벨이 변화하는 RF부(30)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를 0볼트 내지 5볼트의 범위내에서 그 레벨이 변화하도록 하여 베이스밴드부(40)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이의 구성은 제4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F unit 30, the baseband unit 40, and the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35 are included. The RF unit 30 and the baseband unit 40 are the same as the RF unit and the baseband unit of FIG. 2, respectively. The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35 causes the signal processed by the RF unit 30 whose level is changed within a range of 0 volts to 3 volts so that its level changes within a range of 0 volts to 5 volts. As a component that performs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band unit 40, its configuration is shown in detail in FIG.

제4도를 참조하면 신호레벨 변환회로(35)는 RF부(30)의 기준전압을 베이스밴드부(40)의 기준전압으로 변환하는 기준전압변환부(36)와, RF(30)에서 처리되는 신호의 레벨을 베이스밴드부(40)에서 처리될 수 있는 신호의 레벨로 변환하는 레벨변환부(37)로 구성된다. 기준전압변환부(36)와 레벨변환부(37)는 각각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와 출력단자를 가지는 제1연산증폭기(OP1)와 제2연산증폭기(OP2)로 구현된다.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1)을 통한 제1기준전압 Vref1이 인가되고, 반전단자(-)에는 제2기준전압 Vref2가 인가되며, 출력단자에는 제3기준전압 Vref3이 출력된다. 이때 비반전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는 저항(R2)이 연결된다. 제2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3)을 통한 제1신호 S1이 인가되고, 반전단자(-)에는 연산증폭기(OP1)으로부터 출력되는 제3기준전압 Vref3이 인가되며, 출력단자에는 제2신호 S2가 출력된다. 이때 비반전단자(+)와 출력단자의 사이에는 저항(R4)이 연결된다. 저항들(R1, R2)은 제1연산증폭기(OP1)의 증폭도를 결정하며, 저항들(R3, R4)은 제2연산증폭기(OP2)의 증폭도를 결정한다.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는 RF부(30)에서 사용되는 제1기준전압 Vref1을 베이스밴드부(40)에서 사용될 제3기준전압 Vref3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연산증폭기(OP2)는 RF부(30)에서 처리되는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제1신호 S1을 베이스밴드부(40)에서 처리될 0볼트 내지 5볼트 범위의 제2신호 S2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저항들(R1, R2) 및 저항들(R3, R4)의 값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4, the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35 may be processed by the reference voltage converting unit 36 for converting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RF unit 30 into a reference voltage of the baseband unit 40 and the RF 30. And a level converting section 37 for converting the level of the signal into a level of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baseband section 40. The reference voltage converter 36 and the level converter 37 are implemented as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and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OP2 having a non-inverting terminal, an inverting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through the resistor R1 is a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ef2 is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 and the third to the output terminal. The reference voltage Vref3 is output. At this time, the resistor R2 is connected between the non-inverting terminal (+) and the output terminal. The first signal S1 through the resistor R3 is a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OP2,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ef3 output from the operational amplifier OP1 is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 The second signal S2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At this time, the resistor R4 is connected between the non-inverting terminal (+) and the output terminal. The resistors R1 and R2 determine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and the resistors R3 and R4 determine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OP2.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conver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used in the RF unit 30 into a third reference voltage Vref3 used in the baseband unit 40, and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OP2. Performs the function of converting the first signal S1 in the range of 0 to 3 volts processed by the RF unit 30 into the second signal S2 in the range of 0 to 5 volts to be processed by the baseband unit 40. This operation may be possibl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values of the resistors R1, R2 and resistors R3, R4.

제4도에서 제1신호 S1은 RF부(30)에 의해 처리된 후 출력되는 베이스밴드부의 신호로서, 0볼트 내지 3볼트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신호이다. 제1기준전압 Vref1은 S1신호의 레벨이 시간에 따라 미세하게 스윙, 즉 가변될 시 가변되는 S1신호의 기준을 나타내는 전압으로, 3볼트의 절반값인 1.5볼트에서 가변하는 전압값을 가지며, RF부(30)로부터 S1신호와 함께 출력된다. 제2기준전압 Vref2는 베이스밴드부(40)에서 처리되는 신호레벨의 절반값을 나타내는 고정적인 기준전압, 즉 5볼트/2=2.5볼트이다. 제3기준전압 Vref3은 기준전압변환부(36)에서 출력되는 기준전압으로 베이스밴드부(40)에서 사용될 기준전압으로, 5볼트의 절반값인 2.5볼트에서 가변하는 전압값을 갖는다. 제2신호 S2는 레벨변환부(37)에서 출력되는 신호로서 RF부(30)에서 출력되는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베이스밴드의 신호가 베이스밴드부(40)에서 요구되는 0볼트 내지 5볼트 범위의 신호로 변환된 신호이다.In FIG. 4, the first signal S1 is a signal of the baseband unit which is output after being processed by the RF unit 30 and is a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0 volts to 3 vol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is a voltage representing the reference of the S1 signal that is changed when the level of the S1 signal is minutely swinged or changed over time.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has a voltage value that varies from 1.5 volts, which is half of 3 volts, to RF. The unit 30 is output together with the S1 signal.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ef2 is a fixed reference voltage representing half of the signal level processed by the baseband portion 40, that is, 5 volts / 2 = 2.5 volts.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ef3 is a reference voltage output from the reference voltage converter 36 and is a reference voltage to be used by the baseband unit 40.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ef3 has a voltage value that varies from 2.5 volts, which is half of 5 volts. The second signal S2 is a signal output from the level converter 37 and a range of 0 volts to 5 volts for which a baseband signal of 0 volts to 3 volts output from the RF unit 30 is required by the baseband unit 40.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signal of.

지금 RF부(30)로부터 제1신호 S1과 제1기준전압 Vref1이 출력되면, 제1신호 S1은 저항(R3)을 통해 레벨변환부(37)를 구성하는 제2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고 제1기준전압 Vref1은 저항(R1)을 통해 기준전압변환부(36)를 구성하는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된다. 이때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로는 고정적인 전압값, 즉 2.5볼트의 전압값을 가지는 제2기준전압 Vref2가 인가되므로 제1연산증폭기(OP1)는 제1신호 S1이 스윙함에 따라 가변하는 제1기준전압 Vref1을 제2기준전압 Vref2에 대응하는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제1연산증폭기(OP1)는 1.5볼트를 기준으로 가변하는 제1기준전압 Vref1을 제2기준전압 Vref2를 기준으로 하는, 즉 2.5볼트를 기준으로 가변하는 제3기준전압 Vref3으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제3기준전압 Vref3은 베이스밴드부(40)에서 사용딜 기준전압으로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로 인가된다.When the first signal S1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are output from the RF unit 30, the first signal S1 is a ratio of the second operation amplifier OP2 constituting the level converter 37 through the resistor R3.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is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 and is a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constituting the reference voltage converter 36 through the resistor R1.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ef2 having a fixed voltage value, that is, a voltage value of 2.5 volts is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swings the first signal S1. As a result, the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is converted into a referenc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ef2 and output. That is,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output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ef1, which is variable based on 1.5 volts, to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ef3, which is variable based o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ef2, that is, 2.5 volts.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ef3 output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as the reference voltage to be used by the baseband unit 40.

한편 제1연산증폭기(OP1)는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제1신호 S1의 레벨을 제3기준전압 Vref3을 기준으로 하여 변환하여 제2신호 S2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한 이유는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제1신호 S1은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레벨을 갖지만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제3기준전압 Vref3이 2.5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가변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출력된 제2신호 S2는 0볼트 내지 5볼트 범위의 레벨을 갖는 베이스밴드부(40)에서 처리되기에 적합한 신호들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을 갖는다.Meanwhile,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converts the level of the first signal S1 a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based o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ef3 and outputs the second signal S2. The reason for this operation is that the first signal S1 a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1 has a level in the range of 0 volts to 3 volts, but the third reference voltage applied to the inverting terminal (-). This is because Vref3 is varied based on 2.5 volts. The second signal S2 thus output has the same level as the level of signals suitable for processing in the baseband portion 40 having a level in the range of 0 volts to 5 vol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레벨 변환회로는 RF부로부터 출력된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베이스밴드부에서 처리되기에 적합한 0볼트 내지 5볼트 범위의 레벨을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RF부의 각 소자들의 값을 재조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RF부를 휴대장치의 RF부로도 이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RF부의 각 소자들의 값을 재조정함에 증가하던 젼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signal having a level in the range of 0 to 3 volts output from the RF unit into a signal having a level in the range of 0 to 5 volts suitable for processing in the baseband unit. Output to the baseband section.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F unit can also be used as the RF unit of the portable device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readjust the values of the elements of the RF unit.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that is increased by re-adjusting the values of the elements of the RF uni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0볼트 내지 5볼트 범위의 레벨을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는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0볼트 내지 5볼트 범위의 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0볼트 내지 3볼트 범위의 레벨을 가지는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제1기준전압으로 2.5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기준전압을 인가하고, 제2기준전압으로 1.5볼트를 인가하고, 제3기준전압으로 1.5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기준전압을 인가하고, 또한 각 연산증폭기에 연결되는 저항들의 값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example of converting a signal having a level in the range of 0 volts to 3 volts into a signal having a level in the range of 0 volts to 5 volts has been described. A signal having a level of may be converted into a signal having a level ranging from 0 volts to 3 volts. This operation applies a variable reference voltage based on 2.5 volts a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pplies 1.5 volts a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applies a variable reference voltage based on 1.5 volts as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o properly set the value of the resistors connected to each operational amplifier.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8)

휴대장치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신호를 제1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1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가 스윙하는 폭의 기준을 나타내는 가변적인 제1기준전압을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무선부와, 상기 가변적인 제1기준전압을 소정 제2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제3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변환부와,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상기 제3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제2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2베이스밴드신호로서 출력하는 레벨 변환부와, 상기 제2베이스밴드신호를 디스크램블링 및 복조하여 복원된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베이스밴드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ly connecting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converting a high frequency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device into a first baseband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first voltage level, and outputting the first baseband signal; A wireless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first baseband signal with a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indicating a reference of a width at which a signal swings, and the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based on a second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A reference voltage converter for outputting a variable third reference voltage and a level for outputting the first baseband signal as a second baseband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second voltage level based o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And a converter and a baseband unit for outputting the second baseband signal as a decoded and demodulated audio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레벨이 0볼트 내지 3볼트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2. The base station of claim 1, wherein said first voltage level is in the range of 0 volts to 3 vol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레벨이 0볼트 내지 5볼트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2. The base station of claim 1, wherein said second voltage level is in the range of 0 volts to 5 vol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전압이 상기 제1전압레벨의 절반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The base station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half value of the first voltage lev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전압이 상기 제1전압레벨의 절반값인 1.5볼트의 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3. The base station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value of 1.5 volts, which is half of the first voltag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이 상기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The base station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has a half value of the second voltage lev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이 상기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인 2.5볼트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4. The base station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has a value of 2.5 volts that is half of the second voltag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준전압이 상기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The base station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half value of the second voltage lev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준전압이 상기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인 2.5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4. The base station of claim 3, wherei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varied on the basis of 2.5 volts, which is half of the second voltag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변환부는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와,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기준전압을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을 상기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출력단자로 상기 제3기준전압을 출력하는 연산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The non-inverting terminal,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oltage converter includ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s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s the inverting terminal.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configured to input and output the third reference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변환부는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와, 출력단자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베이스밴드신호를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제3기준전압을 상기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출력단자로 상기 제2베이스밴드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The non-inverting terminal,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level converter includes the first baseband signal as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the third reference voltage as the inverting terminal.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configured to input and output the second baseband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신호레벨 변환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제1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1신호를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수단과, 소정의 제2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2신호를 처리하는 제2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신호처리수단으로 제공하는 변환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A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comprising: first signal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a first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first predetermined voltage level, and a second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second predetermined voltage level; Second signal processing means and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first signal into a swinging signal within a range of the second voltage level based on a half value of the second voltage level and providing the second signal to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means. Signal level convers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신호레벨 변환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제1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1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1신호가 스윙하는 폭의 기준을 나타내는 가변적인 제1기준전압을 상기 제1신호와 동시에 출력하는 제1신호처리부와, 상기 제1신호를 소정 제2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제3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기준전압변환부와,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제3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제2전압레벨의 범위내에서 스윙하는 제2신호로서 출력하는 레벨변환부와, 상기 제2신호를 처리하는 제2신호처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In a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a first signal swinging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first voltage level is processed, and a variable first reference voltage representing a reference of a width at which the first signal swings is compared with the first signal. A first signal processor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a reference voltage converter for outputting the first signal to a third reference voltage variable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the first signal to the third reference voltage And a level converting section for outputting as a second signal swinging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voltage level, and a second signal processing section for processing the second sig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전압이 상기 제1전압레벨의 절반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The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half value of the first voltage lev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이 상기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The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has a half value of the second voltage lev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준전압이 상기 제2전압레벨의 절반값을 기준으로 하여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The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third reference voltage is varied based on a half value of the second voltage lev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변환부는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와,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기준전압을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을 상기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출력단자로 상기 제3기준전압을 출력하는 연산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The non-inverting terminal,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claim 13, wherein the reference voltage converter includ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s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s the inverting terminal.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configured to input and output the third reference voltage to the output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변환부는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와,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신호를 상기 비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상기 제3기준전압을 상기 반전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출력단자로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레벨 변환회로.The non-inverting terminal,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claim 13, wherein the level converting unit comprises: inputting the first signal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and inputting the third reference voltage to the inverting terminal;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for outputting the second signal to the output terminal.
KR1019950064223A 1995-12-29 1995-12-29 Base station of radio communication with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KR01628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223A KR0162833B1 (en) 1995-12-29 1995-12-29 Base station of radio communication with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223A KR0162833B1 (en) 1995-12-29 1995-12-29 Base station of radio communication with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47A KR970055947A (en) 1997-07-31
KR0162833B1 true KR0162833B1 (en) 1998-12-01

Family

ID=1944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4223A KR0162833B1 (en) 1995-12-29 1995-12-29 Base station of radio communication with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83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47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882B2 (en) Signal process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682458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7355476B2 (en) Input stage for an amplifier
US6836156B2 (en) High frequency signal peak detector
US8346198B2 (en) Low noise amplifier for a radio receiver
US6583661B1 (en) Compensation mechanism for compensating bias levels of an operation circuit in response to supply voltage changes
JPH10513017A (en) Differential feedforward amplifier power control for wireless receiver systems
JP2006319393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0162833B1 (en) Base station of radio communication with signal level converting circuit
JPH11234151A (en) Radio transmitter-receiver
US6943618B1 (en) Compensation mechanism for compensating bias levels of an operation circuit in response to supply voltage changes
US5638405A (en) Dual-mode baseband controller for radio-frequency interfaces relating to digital cordless telephones
US7852147B1 (en) Autocalibrated controlled MOS switches and applications thereof
KR970004548A (en) Hearing Aid with Voice Amplification and Frequency Filtering
US20050168268A1 (en) Transmitter IF section and method enabling IF output signal amplitude that is less sensitive to 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JP2002280839A (en) Demodulator and communication unit employing the same
WO2002007400A3 (en) Digital interfa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WO2020062099A1 (en) Body biasing to balance rdac switches
EP1976127A1 (en) Digital reception device
JP2006526914A (en) Frequency modulated signal receiver and transmitter
JP2004357025A (en) Receiver
JP3898422B2 (en) Temperature sensor
JP2848143B2 (en) Wireless telephone
HUP0004124A2 (e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HUP0001815A2 (en) Mobil telephone device with a demodulato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