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471B1 -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471B1
KR0162471B1 KR1019960012114A KR19960012114A KR0162471B1 KR 0162471 B1 KR0162471 B1 KR 0162471B1 KR 1019960012114 A KR1019960012114 A KR 1019960012114A KR 19960012114 A KR19960012114 A KR 19960012114A KR 0162471 B1 KR0162471 B1 KR 016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word
schedule
processo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313A (ko
Inventor
기세훈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1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471B1/ko
Publication of KR97007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 자연어 처리기는 문장의 처리를 위해 많은 사전등의 데이터 베이스, 긴 처리 시간등의 문제가 존재하여 실제 응용에서는 시간 및 시스템 성능등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되는 문장으로부터 먼저 용언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용언에 대해 정의된 격틀과 문장의 성분들을 일치시켜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일정관리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더불어 문장 처리시간을 줄여 시스템의 성능증대에 효율적이도록 한다.

Description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방법에 대한 동작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장분석기 20 : 시간 처리기
30 : 장소 처리기 40 : 동반인 처리기
50 : 내용 처리기 60 :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
본 발명은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장의 문법적 성분 분석과는 달리 문장의 쓰임에 따라 그에 적합한 분류를 정하고, 각 분류별 문장 분석을 수행하여 문장의 각 응용분야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연어 처리기를 이용하여 문법적인 구문 분석, 의미 분석등을 행하여 정확한 문장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 자연어 처리기는 문장의 처리를 위해 많은 사전등의 데이터 베이스, 긴 처리 시간등의 문제가 존재하여 실제 응용에서는 시간 및 시스템 성능등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문장으로부터 먼저 용언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용언에 대해 정의된 격틀과 문장의 성분들을 일치시켜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도록 함으로서 일정관리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방법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장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입력된 문장으로부터 어절단위로 구분하여 각 어절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구분된 어절이 시간, 장소, 동반인 등 어떤 일정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판단된 분류에 따라 해당어절을 상기 일정 항목으로서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해당하는 분류가 없을 경우에는 해당 어절을 내용항목으로서 저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각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구성은, 입력되는 내용을 사전을 참조하면서 각각의 단어 또는 어절등이 어떤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출력하는 문장분석기와; 상기 문장분석기에서 분류된 시간에 관련된 내용을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장치에서 요구하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시간처리기와; 상기 문장분석기에서 분류된 장소에 관련된 내용을 사전 혹은 문장상에서의 위치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처리하는 장소처리기와; 문장 형틀사전과 조사를 이용하여 사람을 찾아내는 동반인처리기와; 각 일정들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간단한 단어, 어절, 어구등을 이용한 메모등을 만들어주는 내용처리기와; 상기 각 처리기에서 출력된 내용을 받아 일정을 처리하고 그에 대하여 표시가능하도록 하는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을 통해 문장분석기(10)로 문장이 입력되면, 상기 문장분석기(10)는 먼저 내부의 용언처리기를 이용하여 문장의 용언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용언에 대해 정의된 격틀과 문장의 성분들을 일치시킴으로써 문장의 구조를 분석한다.
여기서, 용언처리기는 일정관리에 관련된 용언들에 대한 의미 분석을 통해 각 용언의 격틀(CASE FRAME)을 설정하여 필요로 하는 문장 의미 성분을 표현함으로써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사용한다.
이때 문장의 성분들은 완벽한 형태소 분석과정을 거치는 대신에 각 어절에서 사용된 조사를 중심으로 격틀과의 일치를 이루어 나간다.
즉, 용언처리기에서 문장의 용언으로부터 가능한 구문의 형태를 선택한 후 이를 토대로 구문을 분석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한국어의 경우 조사에 의하여 구문의 성격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조사 중심의 구문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예를들어 만나다라는 용언이 포함되어 있는 문장의 경우 를, 과, 랑 등의 조사는 만나는 사람을, 에서는 장소를, 부터, 에 등은 시간을 나타낸다는 정보를 용언처리기의 격틀 사전으로부터 얻고 이를 이용하여 문장내 각 어절의 성격을 결정해 나간다.
그런데, 만약 용언이 없는 경우에는 이다 또는 있다라는 용언이 생략된 것으로 간주하는데, 그 이유는 다수의 사용자가 이 두 용언을 생략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일정관리에서 문장의 요소중 특별히 시간을 표현하는 부분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시간처리기에서는 다양한 시간 표현방법으로 표현하여 처리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96년 4월 26일과 같이 년원일로 표시된 날짜 뿐 아니라 다음달 둘째 목요일 또는 다음 목요일 3시와 같은 지시적 용법(deictic expression)으로 표현된 날짜, 매주 둘째 일요일 또는 매달 20일과 같이 반복되는 날짜도 처리된다.
이러한 반복적 날짜 표현의 처리는 특히 출력시 도움이 되는데, 매주 금요일의 일정을 보고 싶다하는 경우, 매주 금요일의 일정을 한 화면에 표시해준다.
특별한 날짜가 아닌, 임의의 명사로 접근이 가능한 날짜에 대해서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관리함으로써 그 날짜의 일정을 처리해준다. 예를들어 개천절이 들어오면 10월 3일로 대치하여 처리해주고, 여름휴가는 8월 5일부터 15일까지 간다라는 일정에 대해서도 여름휴가를 8월 6일부터 8월 15일까지와 동일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함으로써, 여름휴가에는 지리산에 간다, 여름휴가에 철수와 같이 간다 등의 일정도 적절히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표현으로부터 시간을 추론하는 기능도 제공하는데, 예를들면 점심약속이라는 표현으로부터는 그 일정의 시간이 12시쯤이라고 추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한 날짜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오늘, 이번주, 이번달, 올해를 기준으로 하여 날짜를 계산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시간관련 정보 외에도 장소, 대상 및 내용등에 관련된 표현도 처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문장분석기(10)에서 문장의 구조가 분석되면 시간에 대한 것은 시간 처리기(20)로, 장소에 관한 것은 장소 처리기(30)로, 동반하는 사람에 대하여는 동반인 처리기(40)로 그리고 그 이외의 내용에 대하여는 내용 처리기(50)로 각각 출력한다.
이에 시간 처리기(20)는 문장분석기(10)로부터 전송받은 시간에 관한 내용을 다양한 형태의 시간 표현방법을 써서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로 출력하고, 마찬가지로 장소 처리기(30)와 동반인 처리기(40) 및 내용 처리기(50)도 장소, 동반하는 사람 및 내용에 대하여 처리하여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스케줄이나 기타 필요한 내용을 보고자 할 경우 각 처리된 내용에 의거하여 표시하여 알려준다.
가령, 다음 주 금요일 오전 10시에 홍길동씨가 2층 회의실에서 지적재산경영실 팀과 기계학습 세미나를 한다.라는 문장이 컴퓨터로 입력되면 문장분석기(10)는 입력되는 문장에 대하여 어절단위로 구분하여 각 어절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후 제일먼저 용언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예에서 한다라는 용언을 찾아내게 되면 그 바로 앞에 나오는 세미나를이라는 어절에서 세미나는 명사형 용언으로서 문장의 의미 전달에 있어 용언인 한다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세미나를 문장의 의미상 주용언으로 간주한다.
다음으로 문장을 처음부터 읽어들임에 있어 한 어절씩을 받아들이면서 문장 내용을 분석한다.
첫 어절을 선택하여 조사가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하여 조사가 있으면 조사를 분리하고, 그 분리된 조사를 참조하여 시간에 대한 것인지 장소에 대한 것인지 또는 사람에 대한 것인지에 대한 성격을 결정한 후 그 분리된 조사를 저장하며, 조사가 없으면 시간→장소→동반인→내용의 순으로 사전을 참조하면서 선택된 어절에 관한 정보를 알아낸다.
상기 문장에서 첫 어절인 다음 주라는 문장이 입력되면, 문장분석기(10)는 먼저 조사의 유무를 체크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조사가 없으므로 주라는 단어를 시간 사전에서 찾아냄에 따라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시간에 관한 정보로 분류하여 시간 처리기(20)로 전달한다.
다음 금요일이라는 어절을 다시 받아 조사가 포함되는지를 체크한 후 조사가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시간단어인지를 시간 사전을 이용하여 체크한다.
체크결과, 시간단어이므로 이 또한 시간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시간 처리기(20)로 출력한다.
이후에 오전 10시에 어절을 받아들여 조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 에라는 조사가 있으면 이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임을 인식하고 그 조사를 분리하여 저장한 후 오전 10시라는 시간정보를 시간 처리기(20)로 전달한다.
다음에 홍길동씨가라는 어절이 전달되면 한다라는 용언에 대한 격틀 사전에 의하여 가라는 조사가 붙은 홍길동씨는 주어로 간주한다.
다시 2층 회의실에서라는 어절을 받아들이면 에서라는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장소정보임을 인식하여 2층 회의실이라는 단어는 장소 처리기(30)로 전달하고 에서라는 조사는 분리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지적재산경영실 팀과라는 어절을 받아들여 과라는 조사를 찾아내어 사람을 나타내는 정보임을 인식하여 이를 사람으로 분류하여 동반인 처리기(40)로 출력하고, 분리된 조사 과는 문장분석기(10)가 저장하여 둔다.
기계학습 세미나를 한다라는 문장에서 문장분석기(10)는 시간, 장소, 동반인이 아니기 때문에 내용 처리기(50)로 전달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문장분석기(10)가 입력된 문장의 각 어절이 어떤 분류에 속하는지를 알아낸 후 분류된 정보를 해당 처리기로 출력한다.
따라서, 먼저 시간 처리기(20)에서는 상기 문장분석기(10)로부터 받은 다음 주 금요일, 오전 10시라는 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받아들여 오늘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인 1996년 4월 26일 오전 10시로 변형시켜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에 전달한다. 여기서 오늘은 1996년 4월 15일입니다.
장소 처리기(30)에서는 주로 고유 명사인 장소명 등을 사전을 통해서 혹은 문장상에서의 위치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장소명임이 확인된 단어, 어절 또는 어구를 처리하여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동반인 처리기(40)에서는 문장의 형틀사전과 조사를 이용하여 얻어진 사람을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로 전달함에 있어 조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를, 와, 과, 랑 등이 있다.
따라서, 과랑 연결된 지적재산경영실 팀이라는 정보를 그대로 상기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로 전달한다.
내용 처리기(50)는 사용자가 상기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를 통해서 자신의 스케줄을 확인하고자 할 때, 각 일정들의 내용이 어떠한 것인지를 보여주기 위한 간단한 단어, 어절, 어구등을 이용한 메모등을 만들어 준다.
상기예에서는 기계학습 세미나라는 어절을 만들어 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처리기를 통하여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에 저장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96년 4월 26일의 일정을 원하게 되면 화면에는 오전 10시에 2층 회의실에서 홍길동씨가 지적재산경영실 팀과 기계학습 세미나 있음이 표시하여 준다.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에 대하여 제2도에 도시한 동작과정도에 의거하여 다시한번 간단하게 알아보면, 입력되는 문장이 먼저 의문문인지를 체크하여 의문문이면 의문문임을 표시하여 주고 의문문이 아니면 마지막 어절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어절이 용언인지 아닌지를 체크한다(S1).
체크결과, 용언이 있으면 용언을 저장한 후 용언의 바로 앞의 어절을 선택하도록 하고 용언이 없으면 이는 이다 또는 있다라는 용언이 생략된 것으로 간주하고 대표용언을 설정한 후 문장의 첫 어절을 선택한다.
선택된 첫 어절에 조사가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S2)하여 조사가 있으면 그 조사를 분리한 후 분리된 조사에 의거하여 조사랑 분리된 단어가 시간관련 정보인지 장소에 관련된 정보인지 아니면 동반인과 관련된 정보인지를 체크한다.
가령 시간관련 정보이면 시간처리기(20)로, 장소관련 정보이면 장소처리기(30)로, 동반인관련 정보이면 동반인처리기(40)로 각각 전달한다.
상기 시간, 장소, 동반인에 관련된 정보가 아니면 내용처리기(5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한 어절씩 한 문장을 모두 처리하여 해당하는 처리기로 전달한다(S3).
상기 각 처리기에서 처리된 내용을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60)로 전달하면 입력된 내용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 보관하고, 사용자가 원할경우 그 일정을 표시기를 통하여 보여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문장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문장 처리시간을 줄여 시스템의 성능효율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입력되는 내용을 사전을 참조하면서 각각의 단어 또는 어절등이 어떤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출력하는 문장분석기와; 상기 문장분석기에서 분류된 시간에 관련된 내용을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장치에서 요구하는 형태로 만들어주는 시간처리기와; 상기 문장분석기에서 분류된 장소에 관련된 내용을 사전 혹은 문장상에서의 위치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처리하는 장소처리기와; 문장 형틀사전과 조사를 이용하여 사람을 찾아내는 동반인처리기와; 각 일정들의 내용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간단한 단어, 어절, 어구등을 이용한 메모등을 만들어주는 내용처리기와; 상기 각 처리기에서 출력된 내용을 받아 일정을 처리하고 그에 대하여 표시가능하도록 하는 일정내용 보관 및 표시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문장분석기는 용언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3. 문장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에서 입력된 문장으로부터 어절단위로 구분하여 각 어절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구분된 어절이 시간, 장소, 동반인 등 어떤 일정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분류에 따라 해당어절을 상기 일정 항목으로서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해당하는 분류가 없을 경우에는 해당 어절을 내용항목으로서 저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의 일정분류의 판단은 어절내에 포함된 조사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일정분류의 판단은 어절내에 포함된 단어를 미리 준비된 사전을 참조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R1019960012114A 1996-04-20 1996-04-20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KR016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14A KR0162471B1 (ko) 1996-04-20 1996-04-20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14A KR0162471B1 (ko) 1996-04-20 1996-04-20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313A KR970071313A (ko) 1997-11-07
KR0162471B1 true KR0162471B1 (ko) 1999-01-15

Family

ID=1945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114A KR0162471B1 (ko) 1996-04-20 1996-04-20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4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21B1 (ko) * 2006-05-19 2008-04-24 최월호 일정관리자기장치 또는 일정관리모기장치 또는일정관리자기장치와 일정관리모기장치로 구성되는 휴대형어린이 일정관리장치
KR100867266B1 (ko) * 2006-12-27 2008-11-06 엔에이치엔(주) 일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50890A (ko) 2022-10-12 2024-04-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 온라인 대화자의 시간 일정 스케줄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21B1 (ko) * 2006-05-19 2008-04-24 최월호 일정관리자기장치 또는 일정관리모기장치 또는일정관리자기장치와 일정관리모기장치로 구성되는 휴대형어린이 일정관리장치
KR100867266B1 (ko) * 2006-12-27 2008-11-06 엔에이치엔(주) 일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50890A (ko) 2022-10-12 2024-04-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 온라인 대화자의 시간 일정 스케줄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313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ksan et al. Construction of the Turkish National Corpus (TNC).
US71589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ized extracting of scheduling information from a natural language e-mail
JP5481615B2 (ja) 使用者の意図に基づく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Oostdijk Corpus linguistics and the automatic analysis of English
US20090235280A1 (en) Event extraction system for electronic messages
US20040122846A1 (en) Fact verification system
US20130006986A1 (en) Automatic Classification of Electronic Content Into Projects
WO2001096980A2 (en) Method and system for text analysis
JP2007287134A (ja) 情報抽出装置、及び情報抽出方法
Lowe Software for content analysis-A Review
CN112699677A (zh) 事件提取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Wang et al. What makes web data tables accessible? Insights and a tool for rendering accessible table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Damianos et al. MiTAP for biosecurity: a case study
KR0162471B1 (ko) 문장을 이용한 일정관리장치 및 방법
JP4423004B2 (ja) テキストマイニング装置、テキストマイニング方法およびテキストマイニングプログラム
KR100669534B1 (ko) 문장추상화와 개연규칙을 활용하는 문서요약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문장 의미 분석 및 표현방법
Kohlenberg et al. Introducing UNSCdeb8 (Beta): A Database for Corpus-Driven Research o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Young et al. An analysis of ill-formed input in natural language queries to document retrieval systems
KR102518843B1 (ko) Lda를 이용한 기업 컨텐츠 관리 시스템
Fairon GlossaNet: Parsing a web site as a corpus
JP2003036261A (ja) 文章自動分類装置、文章自動分類プログラム、文章自動分類方法及び文章自動分類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H09179875A (ja) 情報検索装置
JP5187187B2 (ja) 体験情報検索システム
Borin et al. Swe-Clarin: Language resources and technology for digital humanities
JP2006285499A (ja) データマイニング装置、データマイニング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